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브제(object)의 활용을 통한 무대 형상화 연구 : Georg Buchner의 <Woyzeck>을 중심으로

        구은혜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attention of 20th performing art extended from the actor to the space, the director and scenographer started understanding the theme nested by textual interpretation, attributing its meaning to the object, and experimenting on the symbol of which the objects expresson the stage. Accordingly, the theater space is being changed to understand not only the textual meaning of visual reproduction but the precise theme of which the write is trying to deliver, and to embody it. Thus, the object in the theater space is reinterpreted out of its original meaning according to its utilization, for which the attention has been increased of the 'object' that has various changes of meaning and that can express the image of theatre. The object that was processed with the material not processed and that is called for all the general products in life will be attributed the meaning more extended in the theater space. The scenographer use the 'object' with new meaning attributed to show visually the theme of which writer tries to express through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order to delivery more efficiently the theater mind or information than the performance only by actor or line. This 'object' is efficiently used to embody the characters’ mind or theater theme in the open type of work that has infinite symbolic expressions. Thus, I interpreted the theater of 『Woyzeck』with the open type to stimulate the designer’s imagination, and used the object as the 'object' to design. This drama is a content that is treated a process from Woyzeck’s alienation of the society, his ego or nature, to his killing Mary, which is an incomplete drama of 27 short scenes that can be embodied newly on stage in order of situation. Woyzeck’ s primitive life in lower class, his constantly poor life and his gradual alienation process from the psychological repression and external power were embodied by soil, water, iron and object. Soil means Woyzeck’s hard life and repression, while is a simple play for the dominating class. Water is the mean that alienates him, which means Woyzeck’s mental and physical destruction and embodies the captain’s false moral, the doctor’s impersonality, and the major’s and Mary’s denial. Also, it is embodied as natural energy, that is, Woyzeck’s vision and auditory hallucination. These energies make Woyzeck fall more and more in the muddy mud, where Woyzeck enclos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cold iron material can not anymore be out of poverty, and the artificial objects that embody the dominating class characters show the contrasted form of Woyzeck in the primitive material, mud. Like this, by embodying the Woyzeck’s internal complications and sit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by the material and object, the subtle psychological complications not seen in the text are more clearly expressed, and the objects used to embody the character or in contrast abound the contents of theater more than expressing it with line or gesture. The researcher shows the possible symbolization of mind or complications by embodying how to express the image of theatre in『Woyzeck』with the material and object as 'object'. This satisfies many experimental challenges to express the theatre them with visual factor in the modern performance, and I would like that this thesis should be the basis of research on the possible symbolization of the image of theatre with the 'object' in the theatre space. 20세기 공연예술의 관심이 배우에서 공간으로 확장되면서 연출 및 무대 미술가들은 텍스트의 해석에 의해 내포된 주제를 파악하여 그 의미를 물체에 부여하기 시작했고, 물체들이 무대 위에서 표현하는 상징성에 대해 실험하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극 공간은 단순히 텍스트의 시각적 재현의 의미가 아닌 작가가 전달하고자하는 주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극 공간에서 물체는 그 활용에 따라 기존에 가지고 있는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새롭게 해석되는데, 이렇듯 다양한 의미의 변화를 가지며 극의 심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물체, 즉 '오브제(object)'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 시작했다. 가공되지 않은 질료의 상태인 물질과 가공되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품을 뜻하는 사물을 총칭하는 물체는 극 공간 안에서 더욱 확장된 의미를 부여 받게 된다. 무대 미술가는 새롭게 의미를 부여받은 오브제를 활용하여 작가가 표현하고자하는 주제를 주관적 해석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배우 혹은 대사로만 보여 지는 공연보다 극의 심리 혹은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다. 이러한 오브제는 상징적 표현을 무수히 내포하고 있는 개방형식의 작품에서 등장인물들의 심리 혹은 극의 주제를 시각화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이에 본인은 디자이너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개방형식을 가진 『보이체크』를 중심으로 극을 해석하고, 오브제로서의 물체를 활용하여 디자인 하였다. 이 희곡은 보이체크가 사회로부터, 자아로부터, 또 자연으로부터 소외되어 마리를 살해하게 되는 과정에 대한 드라마로 27개의 단편적 장면으로 구성된 미완의 희곡이며, 장면의 배열에 따라 새롭게 무대 위에 형상화시킬 수 있다. 하층민의 삶을 살아가는 보이체크의 가공되지 않은 삶의 원초적 모습과 끊임없이 발목을 잡는 가난한 삶, 그리고 그의 심리적 압박과 외부의 힘들로부터 점차 소외되어가는 과정을 흙, 물, 철, 사물 등을 통해 형상화한다. 흙은 보이체크의 힘겨운 삶과 억압을 뜻하며, 이와는 반대로 지배계층에게는 단순한 놀이거리에 불과하다. 물은 그를 소외시키는 수단으로 보이체크의 정신적, 육체적 파괴를 의미하며, 이는 중대장의 가짜도덕, 의사의 비인간성, 고수장과 마리의 부정을 상징한다. 또한 자연의 힘, 즉 보이체크의 환영과 환청으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힘들은 보이체크를 점점 더 질척거리는 진흙탕 속으로 빠져들게 하는데, 여기에 차가운 성질의 철재로 둘러 싸여진 공간에 갇힌 보이체크는 더 이상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지배계층의 인물들을 상징하는 오브제인 인공적 사물들은 원초적 질료인 진흙속의 보이체크와 대비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듯, 보이체크의 내면의 갈등 및 정황,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물질과 사물을 활용하여 오브제로 형상화시킴으로써 텍스트에서 보여줄 수 없는 미묘한 심리적 갈등이 보다 명확하게 표현되며, 인물을 상징하거나 대비되어 활용되는 물체들은 대사 혹은 몸짓으로 표현하는 것 이상으로 극의 내용을 풍성하게 만들어 준다. 본 연구자는『보이체크』에서 극의 심상을 표현하는 방법들을 오브제로서의 물질과 사물을 이용하여 시각화함으로서 그 활용을 통해 심리 혹은 갈등에 대한 형상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현대 공연에서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극의 주제를 표현하고자하는 많은 실험적 시도들에 부응하며, 본 논문이 극 공간에서 오브제를 활용하여 극의 심상을 형상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의 바탕이 되었으면 한다.

      • 마리쉬나르(Marie Chouinard)의 오브제(Object) 활용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Orpheus and Eurydice」 를 중심으로

        장두익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무용작품에서의 오브제 기능의 확대, 긍정적인 효과에 주목하여 오브제 기능과 상징성의 의미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오브제란 어떠한 대상이나 객체 혹은 사물 등의 의미를 가지며, 무의미한 하나의 사물로써 단순한 시각적인 역할을 포함하여 어떠한 주체에 의해서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되면서 상징성을 가지게 된다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오브제를 적극 활용하고 실험적인 도전과 시도를 통해 감각적인 연출을 하고 있는 마리 쉬나르의 작품에 나타난 오브제의 분석을 통한 오브제의 활용과 그 효율성을 지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작품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세밀한 분석을 위하여 문헌 자료들과 2008년도 초연 당시의 시각적 자료를 통하여 무용작품에서의 오브제의 역할과 의미 등을 고찰하였다. 이로써 무용작품에서의 오브제에 관한 인식과 작품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작품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에는 청색 불빛 상자, 금색 방울, 금색 가슴(줄), 마이크, 흰 천, 검은 털 뭉치, 남자 성기 모형품, 하이힐, 뱀, 대형 피리, 입안 파란 물체와 같은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하여 2차적 의미로 재해석 되어 상징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 극대화, 청각의 자극, 공감각의 확장, 작품 주제전달과 같은 다양한 연출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 안무가와 관객 간의 소통에 확장의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작품분석과 고찰을 통한 오브제의 개념 확장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는 무용영역에서 오브제의 활용이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한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또한 여러 안무가들이 무용작품에서 다양한 오브제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활용한다는 면에서 무한한 가능성과 가치가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objet function and symbolism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pansion and positive effects of objet functions in dance works. It is interpreted that an objet has the meaning of any object, and becomes symbolic as it has a new meaning by a certain subject, including a simple visual role as an insignificant one. This study attempts to perceive the use of objet and its effectiveness through analysis of objet that appears in Marie Chouinard's work, who actively utilizes objet and makes sensational direction through experimental challenges and attempts. To this end, the work "Orpheus and Eurydice" was mainly analyzed, and for detailed analysis, the role and meaning of objet in dance works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and visual data at the premiere in 2008. Through this, the perception of the objet in the dance work and the symbolism of the objet in the work "Orpheus and Eurydice" were examined. In the work "Orpheus and Eurydice", various objets such as blue light boxes, gold bells, gold chests (strings), microphones, white cloth, black bundles of hair, male genital models, high heels, snakes, large flutes, and blue objects in the mouth were used. As a result, it has been reinterpreted as a secondary meaning and has a symbolism, which is presented as a concept of expansion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choreographer and the audience while playing a role of assisting in various productions such as maximizing visual image, stimulating hearing, expanding synesthesia, and delivering the theme of the wor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use of objets in the dance area leads to positive effects in the study of the conception and symbolism of objet through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the work of "Orpheus and Eurydice". It also suggests that there are infinite possibilities and values ​​in that various choreographers give new meanings to various objets in their dance works.

      • 현대 미술의 이해를 위한 오브제 활용 지도 방안 연구

        이민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6

        현대사회는 다원화, 대중화, 포스트모더니즘 등 어려 영역이 얽히고 얽혀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양상을 띄어가고 있다. 미술 역시 과거의 고전주의니 낭만주의니 하는 양식이나 이즘처럼 깔끔하게 분류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며 새로운 재료와 표현매체, 표현방법을 통하여 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현대 미술의 흐름에 있어, 기존 예술 개념의 획기적인 방향 전환이라는 이슈를 열어준 것이 바로 오브제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그 시대의 미술을 소개하고 경험하게 하는 것이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 학교교육은 과거의 정형화된 기능 위주의 재현적 표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그 방법적 모색으로 현대 미술의 큰 흐름을 강조하고 있는 오브제 활용 지도를 통해 다소 추상적이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현대 미술을 좀 더 친근하게 느끼도록 하며 다양한 양상을 띄는 현대미술의 특징을 쉽게 이해하도록 오브제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 번째 장에서는 현대미술의 주요표현 수단 중의 하나인 오브제의 개념과 그 전개 과정을 국내외 문헌 및 논문을 통해 고찰해보고, 나아가 오브제 미술의 다양한 유형과 현대미술에서 차지하는 오브제 활용 미술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장에서는 오브제가 가지는 교육적 활용 가치를 토대로 오브제 관련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현장 교사의 오브제 미술 수업에 대한 현황 분석을 통해 오브제를 활용한 현대 미술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현대미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구체적 오브제 활용 지도 방안을 ‘감상중심활동’, ‘이해중심활동’, ‘표현중심활동’의 세 단계로 구성한 후, 각 영역의 세부적 수업 내용을 설계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이에 얻어진 수업 결과물 및 학생 설문지를 통한 수업 결과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 및 취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하여 오브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지금까지 낯설게 느껴졌던 오브제라는 단어와 친숙해졌으며 과거의 협소한 미술 재료와 사실적 재현이라는 미술 개념 에서 벗어나, 오브제 미술을 현대 미술의 큰 흐름으로 인정하고, 이해하는 열린 시각을 갖게 되었다. 둘째, 오브제를 활용한 현대 미술 작품이 어떻게 제작되었으며 표현 재료가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오브제의 다양한 형태와 쓰임새 및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었다. 작품 속에 활용된 오브제의 비판적 감상과 발견을 통해 막연하게 느꼈던 현대미술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현대 미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감상하고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학생들이 스스로 주제에 맞는 오브제를 탐색하고 조합하며 선택하는 일련의 작품 제작 과정과 경험을 통해 일상 속에서 오브제를 깊이 있고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활용하려는 열린 미적 태도를 갖게 되었으며, 자유로운 창작의 기쁨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현대미술에서 강조하는 아이디어의 생성 및 창의적 사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오브제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통해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현대미술에 흥미와 관심을 보다 많이 보였으며 오브제 미술 작품 감상 및 제작 활동을 통해 현대미술의 이해의 폭을 보다 넓힐 수 있었다.

      • 기의 형태 활용을 통한 도자 오브제 연구

        김하윤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02

        도자예술에서 "기능과 조형"이라는 단순 개념으로 해석을 내리기에는 현대도예는 다양한 양상을 띄고 있다. 비록 기능성을 지닌 기(器)나, 그 밖의 형태라 할지라도 작가의 작품의도에 따라 그 기존의 형태가 크게 변형되어 기능성을 잃고 단지, 장식성을 지닌 작품으로 보여질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비기능적인 형태라 할지라도 다른 부수적인 기능이 첨가됨으로서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 빼놓을 수 없는 표현양식 가운데 하나가 오브제(Object)양식이다. 오브제의 등장은 재료영역과 표현영역의 확대뿐만 아니라 공업화되고 상품이 범람하는 21세기 기계문명의 핵심적인 존재가 되어 그 시대의 의식을 잘 말해주고 있다. 오브제는 어떤 물체가 우연적이거나 필연적 효과에 따라 작품의 소재가 될 때 그 본래의 용도나 기능은 의미를 잃게 되고 새로운 물체성을 가지고 예술 작품화 될 때 이 물체를 '오브제(Object)'라 한다. 본 연구자는 미적인 것이 주는 감흥이 시대에 따라 그리고 역할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인식하면서 현대도자에 나타난 즉물적(卽物的) 오브제의 개념인 기존 물체의 조형성 강조에 기초를 두었으며, 그 모티브(Motive)를 일상의 사물, 즉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器)라는 형태에 두었다. 컵이나 접시를 보았을 때 통념적으로 그것들은 일상의 용기지만 그 기능을 생각하지 않고 형태와 색채, 그리고 질감에 관심을 기울이면 이미 그것들은 순수한 의미에서 하나의 조형물이다. 그러나 실용성이 없는 현대 도예작품들이 반드시 비실용적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오히려 시각적으로 보는 이에게 만족을 주는 효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하나의 용기가 나름의 조형미를 가지고 있다면 훌륭한 예술품으로 존재 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본 연구자는 기(器)가 기능이 배제되어 순수 조형물로서 가치를 가질 때, 대중적인 물체이면서도 그 형태의 특성들로 인해 조형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어 연구의 동기를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器)라는 사물이 갖는 보편적인 형태를 새롭게 파악하여 식기라는 통념에서 벗어나 결과적으로는 기능을 위한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공간으로 활용하였으며, 주전자(Pot), 컵(Cup), 접시(Plate)가 가지는 구조적 형태들을 반복, 결합이라는 활용을 통해 '보아왔던 것'에서 '보여지는 것'으로의 오브제로서 시각적 흥미를 유발하는 새로운 조형물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오브제의 개념과 비기능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기능을 위해 존재하는 기(器)의 보편적인 형태에 관심을 가지고 주전자, 컵, 접시가 갖는 구조적 형태를 활용하여 반복·결합이라는 요소에 의한 조형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조형 과정에 있어서는 주전자, 컵, 접시들의 관찰을 통해 형태활용을 통한 재구성을 하는 방식으로 표현해 보았다. 작품 제작 방법으로는 형태 반복 제작에 적합한 석고틀을 이용하여 주로 이장주입성형을 선택하였다. 태토는 백색도와 강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질 점토와 고려도토를 절반의 비율로 섞어서 사용하였다. 유약은 태토와 조형의도에 부합하는 섬세한 형태의 표현을 위해 투명유나 무유를 사용하여, 붓으로 바르거나, 담금법으로 시유하였다. 소성은 0.7㎥가스가마와 0.2㎥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50℃로 8시간동안 1차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2㎥전기가마(작품 1, 4, 9)와 0.7㎥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로 9시간동안 환원염소성(작품 2, 5, 7, 8, 10)을 하고, 형태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0.2㎥전기가마에서 1220℃로 10시간 동안 산화염소성(작품 3, 6)하였다. 작품 6은 저화도 투명유로 시유하여 0.2㎥전기가마에서 1000℃로 산화염소성하였고, 시각적 유희를 꾀하기 위해 0.2㎥전기가마(작품 8)에서 800℃로 전사기법을 이용하여 7시간 동안 3차 소성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 미학의 거부로부터 출발한 오브제 미술의 일상적 사물 즉, 소재지향적 사물관에서 벗어나 사물세계 자체의 존재치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즉, 도자예술에서 가지는 즉물적(卽物的) 오브제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인식하여 주전자, 컵, 접시의 보편적인 형태활용을 통해 기능이 배제된 기(器)의 형태를 표현해 보았다. 그리고 조형과정에서 반복과 결합이라는 조형원리를 활용하여 본래의 용도로부터 벗어나 확장된 범위의 형태적 가능성을 발견해 보았다. 이를 통해 관람자들로 하여금 시각적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일상적 사물에 대한 조형적 가치를 인식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나아가, 기(器)라는 사물이 갖는 개념적 의미에 대한 보다 넓은 해석 가능성으로 오브제로써의 예술적 가치가 부여됨을 인식하여 이를 앞으로의 창작활동을 통한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When discussing about ceramic art, modern ceramic has so many aspects to define in simple concept. Even though it is vessel with function or other shape, it could be seen as an art that has fanciness only by being changed greatly the original shape and losing the function. On the contrary, although it is nonfunctional shape, it could perform a function with adding other functions. In this aspect, one expression way that cannot be omitted from modern ceramic is Object. The appearance of Object has become the core being of appliance enlightenment in 20th century and also enlarged the area of materials and expressions, therefore showing the awareness of the age. When some objects become the material of a work according to the episodic or consequential effect, the original usage and function lose their meanings, and when it becomes an artwork with new character of an object, this is called as Object. I studied on the basis of emphasizing the formativeness of the existing objects, the concept of ready-made object shown in modern ceramic art, cognizing that the interests that are given by beauty differ to the age and role. And also I put the ground and value of this study on Motive, as it is the most common object and has formative value when it has the value as a pure plastic object by clearing the function from the object called as vessel that is shown frequently in daily life. In this study, I understand the global structure that the object called as vessel in a new way and used it for existing space not for function as a result, being out of common idea that vessel is tableware and has the purpose to suggest the new formative space through forms deformation the formative characters of vessel on the basis of formative principle. For this, I examined correlation the concept of Object and the utility of Object shown in modern ceramic art, and the formative character by deformation called as revision, loading, binding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 and through forms deformation of teapot, cup and plate that cleared the possibility. In the course of design, I expressed in the reformative way on the basis of analysis of shape and formative principle through general consideration of vessels that is being scattered in daily life. As for the method to manufacture an artwork, I selected mainly slip-casting technique using plaster mold that is suit to repeat production. In the basic earth, I used the porcelain clay body to improve the strength. As for enamel, I used spatially glaze, transparent glaze or matt non-shiny glaze to express the delicate shape. As for plasticity, the first plasticity was done for 8hours with reaching a temperature 850℃ in the gas pot of 0.7㎥ and electronic pot of 0.2㎥, and the second plasticity was done for 9 hours with reaching a temperature 1250℃ in the gas pot of 0.7㎥ as reducing flames plasticity(work 2, 5, 7, 8, 10), and for 9 hours with reaching a temperature 1220℃(work 3, 6) and 1250℃ in the electronic pot of 0.2㎥(work1 1, 4, 9) as oxide flames plasticity.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find the formative possibility of enlarged range through using the global structure of the object called as vessels that is cleared the function by cognizing the meaning and value of ready-made Object in modern ceramic art, and furthermore, to help the researcher that seek the possibility to develop the design through creative activity in the future by cognizing that the conceptive meaning of the object called as vessels can be added artistic value as Object with the possibility of broader understanding.

      • 중학교 미술 교육에 있어서 오브제 활용에 관한 연구

        조윤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00

        21세기에 들어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비롯된 정보, 통신 혁명이 인간의 생활양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세계는 급변화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미술교육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 양상에 맞추어 우리나라 미술교육 중 중학교 미술교과에 오브제를 활용함으로써, 중학교 미술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브제를 활용한 미술 수업은 회화, 조소, 디자인, 서예 등 장르를 구분하여 포함시킬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 장르와 장르의 벽을 뛰어 넘어 학습자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독특한 표현방법이다. 따라서 어떠한 장르에도 속하지 않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제 7차 교육과정의 교육목적인 매우 자유로운 수업을 통해 개성과 창조성을 개발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다. 또한 현대미술의 전반적인 동향과 관련하여 오브제가 갖는 무한한 가능성을 통해 학생들이 미술에 대한 호기심을 학생 스스로 주도적인 입장에서 작품을 이해하고 제작할 수 있는 수준별 지도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중학교 미술 교육에 있어서 오브제 활용을 통해 중학교 학생들에게 현대미술의 이해도를 높여주고, 재료의 특성과 주제에 맞는 기법을 활용하여 표현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미술교과의 표현방법을 보다 새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표현형식들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여건들을 이루기 위해 오브제 활용을 통한 수업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volu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new 21 century scientific techniques is basically changing the life style of the human being and the world is experiencing sudden change. Like this social transition was brought a huge alteration in fine arts education, too. From the next dissertation, in the center of fine art education of our country, by using objects of fine art as subjects in middle school, the objective of junior high fine art education can analyze a present condition and through this can look for improvement and direction. The art class which applies objects is merely not drawing, carving, modeling, design, penmanship or any other category that they will be able to include, but it will jump over the wall of style; and it is a unique expression method in which the learners reveal themselves. Therefore, as the inclusive concept which doesn't belong in what kind of style. The educational purpose of 7th curriculum can develop personalities and creativity through a very freely class. As we do this we can expect to improve efficently our educational method. Also, it relates with the geneal tendency of the modern arts. The students' curiosities about the fine arts make the works understood through the infinite possibilities that objects includes and in order to produce, we need on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 Object education can increase student comprehension of modern arts, make sure the techniques linked to lesson topic used appropriately in the classroom, activate the way of expressing fine arts texts and be accomplished by making the condition in which is able to use various skills of expression.

      • 오브제를 활용한 중학교 미술 교육 방안 연구 : 미켈 뒤프렌느의 미적 체험 이론에 기초하여

        이승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87

        현대 미술은 개인의 성별, 계급, 자아의 정체성 등에 관심을 두기 때문에 다양한 양식이 공존하고, 오브제를 통해 새로운 양식이 산출된다. 오브제는 예술작품의 형식과 재료, 예술의 사회적 기능을 확대하며 전통예술의 범위를 해체한다. 오늘날 오브제는 다양한 형식으로 삶의 영역에 깊숙이 침투해있다. 따라서 일상의 모든 것은 미적 체험을 통해 미적 대상으로 거듭날 수있다. 뒤프렌느가 미적 체험에 대한 논의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그가 인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에서 인간과 세계의 관계라는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기 때문이다. 김화자2)는 미적 지각에 의한 미적 체험은 작품의 이해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래성을 회복시켜서 결국 우리는 각자의 ‘나’ 가 아닌 ‘하나의 우리’로서 타인들과 함께 살아가는 존재라는 인간주의적 의미를 지닌다고 말한다. 즉, 미적체험을 통한 미술교육은 단지 멋있기 위한 미술을 배우는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미적 체험을 함으로써 개인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해서 이다. 본 연구를 통해 뒤프렌느의 미적 지각 단계에 맞추어 오브제를 활용한 중학교 현대미술교육 현장에 투입하였다. 영화와 예술 작품을 수업 시작에 제시하여 1단계인 학습자의 감각적 지각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감각적 내용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오브제를 준비한 뒤 오브제를 직접 고르고 선택하게하여 학생 각자가 대상을 향해 지향적 태도를 갖게 하였다. 2단계인 표상을 위한 상상력 지각의 단계에서 일반적 경험의 상상력을 절제하고 아이디어 스케치 단계를 통해 오브제를 새로운 의미로 재탄생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3단계인 반성 비평적 지각을 돕기 위해 스스로 표현하고 만든 예술작품들에 대한 구조적 이해와 내면적 반성을 통해 새로 탄생한 미적 대상물을 주변여러 학생들과 감상을 하였다. 이와 같이 실제 학교 미술교육에서도 미적 체험과 표현, 감상의 영역의 미술 교육이 골고루 이루어 질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미술 교육은 삶의 영역에서 의미 있는 지각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을 더 잘 이해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improved art instruction method based on Mikel Dufrenne's aesthetic theory. The new method is to let learners have aesthetic experience with object, to cultivate the learners' aesthetic faculty and aesthetic creativity. The essence of Mikel Dufrenne's esthetics is to grasp the underlying significance of aesthetic object by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three aesthetic perception stages - pre-representation, representaton, appreciation. Traditionally object was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Cubiists manipulated object in a plane, expanding the realms of fine art. Dadaists , employing object as a technique for representation not as a simple subject of representation, introduced object itself into fine art, shattering the border line between fine art and sculpture. The appreciation of modern art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object. Object also has deeply penetrated into various realms of modern life. Access to various object in modern life brings life to object as a subject of aesthetic experience. Mikel Dufrenne's emphasi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in modern life has much to do with his concern about humans and the world. Such aesthetic experience leads to appreciation of works of life and awareness of our being 'we as one' in our community by restoring the human aesthetic nature. The ultimate purpose of art education must be understanding humans and our community. The current 7th Curriculum focuses on the art education of representation-only, failing to teach evenly the three scopes : aesthetic experience, representation, appreciation. In such context, aesthetic faculty and creative works can never be expected. The instru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 At the introduction stage, by presenting various object the learners' sensuous perception was evoked. By presenting object such as film or works of art or by letting learners select object, object-directed attitude was motivated. At the second(representation or imagination) stage, restraining ordinary imagination, original and creative imagination about the object was stimulated through brain-storming sketch. At the final(reflection and emotion) stage,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aesthetic creation in critical perspective and with inner reflection, students in groups were allowed to obtain the aesthetic value of the creation. In view of this study, middle school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learners aesthetic nature by evenly-distributed activities of aesthetic experience, re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Well-balanced art education, by employing object, can help understand humans and the world and contribute to promoting quality of life for learners.

      • 대중매체 활용을 통한 일상적 오브제의 변용에 관한 연구 : 본인의 봉투작업을 중심으로

        서수경 昌原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2254

        현대는 복잡하고 다원화된 문화를 형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중매체로 인해 정보 전달의 속도가 가속화되어 문화의 간격은 좁아지고 있다. 그 속에서 형성된 대중문화가 대중의 가치관까지도 지배하고 있다. 예술은 이러한 문화라는 큰 테두리에서 시작하여 고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미술을 문화의 견지에서 바라보고자 할 때, 대중매체를 미술에 활용하는 것은 대중문화에 빼앗긴 대중들의 관심을 다시 순수미술로 돌리기 위해 그들의 감수성에 어필한다는 적극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미술에서 이러한 대중매체를 활용하는 예술가들이 많은 것은 당연한 추세이다. 예술가는 현대 사회, 문화적 변화에 따라 사회 속의 한 인간으로서 대중과의 만남이 문화 생산물을 통해 사회 속에 환원 되도록 해야 하며 작품을 통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스스로의 반성과 자신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예술에 있어서 작가의 일상은 작품 창조의 중요한 수단이며 그 일상의 표현에서 주변의 물건이 하나의 오브제로 제시되어 지기도 한다. 이에 본인에 의해 선택된 봉투는 현실에 접근하는 한 방법으로 현대인들의 다양한 모습으로 재해석되어 나와 관람자가 소통하는 통로인 것이다. 봉투라는 대상을 소통의 매개체로서 현대인들의 모습으로 은유하여 현대 도시생활 속에서 인간들의 욕구와 자기 위치를 찾고 개인들이 보다 넓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가지며 여러 관계들에 참여하면서 어떻게 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러한 과정과 구조들이 개인들의 역할에 의해 어떻게 유지되는지에 대한 탐색을 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자아와 사회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현대인들의 정체성을 발견하고자 함이 본인 작품의 목적이다. 본인 작품에서 봉투 위의 드로잉은 일상의 기록임과 동시에, 현대 사회의 모습이 함축되어 작품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일상에서 수집된 편지봉투, 일기장, 인쇄된 글 등 이러한 매체를 이용하여 과거의 시간을 추적하고 기억할 수 있는 기호로 선택됨은 관객과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선택된 드로잉에 의해 나타난 소통의 대상으로 은유한 봉투작업들은 반복적으로 나열되어 평범한 것이 되기도 하는 동시에 일상을 특수화 시키고 있다. 여기서 반복의 표현은 일상의 비개성적인 현대인들을 상징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생활 속에서 미술이 좀 더 대중과 친숙하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주변에서 특이하지도 낯설지도 않은 '봉투'라는 대상을 통해 그에 얽힌 나의 내·외적 경험을 찾아 현시대의 일반적인 관심사와 문제점을 현대인들의 모습을 통해 찾고자한 봉투 작업에 관해 논하였다. 이는 일상소재를 통찰력을 가진 눈으로 바라보아 그것이 가진 메타포를 포착하여 현시대의 문화, 사회적 세태와 그 문제점까지 모색해 보게 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해 준다. The culture of modern times is complicated and yahoos and the cultural distance is close by various mass media accelerated the speed of information transfer. Now our values are controlled by public culture and The arts need to be considered under the limit of this culture. When you'd like to see the arts in a cultural point of view, the application of mass media to the arts could be found positive meaning that the public interest gives back again. So, there is many artists using mass media in the modern arts. In the arts, the life of artists is the most important means to create a work and could be shown around things to an object in daily expression. The envelope chosen by myself is the way of coming to understand with the audience by means of being approached to the actual. I'd like to study about how to make people desire and their identity having a membership of a citizen by means of an envelope connecting with people. This work can be used in advance for finding modern people's identity effected between oneself and society. The upside drawing of the envelope in my work is the record of daily life and also it makes work better reflected modern life. Making good use of envelopes, dames, prints and so on, these attract time sympathy with people by selected the sign of past time and memory. The envelopes work arranged repeatedly that selected drawings make daily life that could be not only normal but also particular. Those of repeated work is for the reflection of not being individual. I'd like to the arts more familiar in our life so I talked about the envelope work for finding modern people's life by the envelope which is familiar and induces people's imagination. This study gave me a chance to look inside of me and gave me great insight into modern times.

      • 피나 바우쉬의 창조의 미학 : 무대 미술을 중심으로

        정다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34

        본 연구의 목적은 피나 바우쉬와 협업한 무대 미술가 롤프 보르직과 페터 팝스트와의 작업을 통해 실존주의 철학, 공간의 해체, 오브제의 활용에 대해 고찰하여 피나 바우쉬의 창조의 미학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된 저서와 선행 연구 논문을 깊이 있게 살펴보고 피나 바우쉬의 작품 중에서 롤프 보르직과 협업한 작품 4개와 페터 팝스트와 협업한 작품 5개를 선정하여 무대 미술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로 롤프 보르직과 페터 팝스트와의 협업을 통한 피나 바우쉬의 무대 미술을 통해 유효한 세 가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인간 실존의 주제를 표현함으로써 인간 삶의 가치를 구현하여 무대 미술을 통해 새로운 교감과 소통의 실존주의 철학을 미학적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기존에 존재하는 공간을 해체와 재구성으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조형적인 공간으로서의 미학을 끌어내었다. 셋째, 자연에서 가져온 오브제의 활용으로 작품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여 그녀만의 무용 언어로 풀어내었다. 따라서 피나 바우쉬 작품에서 무대 미술이 예술적 표현의 자유와 무용 예술의 독창성을 지닌 작품으로 승화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롤프 보르직과 페터 팝스트와의 협업을 통한 피나 바우쉬의 무대는 파격적인 재해석을 통해 변화와 무한한 가능성을 실현시켜 수많은 예술가에게 새로운 시각으로 무대를 바라보고 실험적 시도를 통해 창작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예술이 가진 경계를 해체하고자 했던 피나 바우쉬의 창조의 미학을 조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 피나 바우쉬, 롤프 보르직, 페터 팝스트, 실존주의 철학, 공간의 해체, 오브제의 활용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aesthetics of Pina Bausch’s creation by considering existentialism, dissolution of space, and the use of objects through the collaborations with the stage artists Rolf Borzik and Peter Pabst. Related books and preceding research papers were examined in depth and of Pina Bausch’s works, four collaborations with Rolf Borzik and five collaborations with Peter Pabst were chosen to analyze, focusing on the scenography. Three valid conclusions were carried out through this study of Pina Bausch’s scenography with Rolf Borzik and Peter Pabst. First, existentialism of a new version of communion and communication was demonstrated in an aesthetical way with the scenography by embodying the value of human life by describing the issue of human existence. Second, the aesthetics as a formative space that adds a new meaning to the traditional area was brought out by destroying and reconstructing. Third, the use of objects taken from nature maximized the effect of the play and conveyed symbolic meaning and Pina Bausch demonstrated it in her own way of expression. Therefore, in Pina Bausch’s work, it is shown that the scenograph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levating artistic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originality of dance art. The collaborations with Rolf Borzik and Peter Pabst have embodied infinite possibilities and changes through unconventional reinterpretation.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creation so that numerous artists could look at the stage from a new perspective and try experimental attempts. H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lluminating the aesthetics of Pina Bausch’s creation, which tried to surpass the existing art. Keywords : Pina Bausch, Rolf Borzik, Peter Pabst, existentialism, dissolution of space, use of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