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전치사 사용상의 오류분석 연구

        정현모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韩国人使用汉语介词的偏误研究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郑 显 模 本论文的研究的目的是考察学习者使用汉语介词时常产生的偏误类型,找出产生偏误的原因,并将分析结果运用到汉语介词教学中。 本文的研究步骤是: 首先,收集了考察、描写汉语偏误分析的资料,找出这些资料中所记载的病句,总数为3160个。再从中挑选出有关汉语介词的病句,这样的句子共有408个,与之相关的介词共有20个。其次,进行偏误分析。根据偏误分析理论以及与介词有关的语法内容分析了408个病句,总结了介词的偏误情况、偏误类型,并找出产生偏误的原因。最后,在前文考察分析的基础上探讨了适用于韩国汉语学习者的汉语介词教学方案。 分析后得出的结果如下: 第一、各个介词的偏误情况。有关介词“在”的病句最多,共有107个。其后依次是“把(69个)”、“对(34个)”、“被(32个)”、“给(32个)”、“跟(24个)”、“离(17个)”、“比(16个)”“向(15个)”、“为(为了)(15个)”、“到(11个)”、“关于(6个)”、“按照(2个)”、“根据(2个)”、“往(2个)”、“用(2个)”“除了(1个)”、“于(1个)”。 第二、偏误类型。错序最多,为36%,误代为26%,误加为23.5%,遗漏为15%。 第三、偏误产生的原因。因语际负迁移而产生的偏误最多,占69.5%,因英语负迁移而产生的偏误占14.1%,因语内负迁移而产生的偏误占9.6%,因交际策略而产生的偏误占6.8%,没有因学习环境而产生的偏误。 根据本文的分析结果提出了以下教学方案: 首先提出了可以在课堂上运用的教学方案,使学习者在学习的过程中尽量避免产生误代、遗漏、错序、误加。其次建议将介词偏误分析的结果运用到汉语教材的编写中。现有的教材一般只注重介绍词典中的解释,如果能将偏误分析的内容适当地反映到教材中,也能使学习者了解偏误产生的原因,从而避免产生错误。最后建议编写有关偏误分析的专著。目前在韩国有关偏误分析的专著太少,需要编写更多专著。这样,学者在进行这方面研究的时候也会更加方便。 本文通过分析有关汉语介词的病句,了解了韩国的汉语学习者在使用介词时产生的偏误类型及原因,并由此深入探讨了汉语介词的教学方案。希望本文的研究成果能对汉语介词偏误研究提供一些有用的资料,对韩国的汉语介词教学起到一定的作用。

      • 유치원생과 대학생의 영어작문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의 비교 및 분석

        박소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영어유치원생과 대학생의 영어작문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교수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오류 분석을 위해 영어유치원생의 영어작문이 수집되었으며 대학생의 작문자료는 유경선(2004)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이 논문은 영어유치원생과 대학생이 자주 범하는 오류, 두 집단이 범하는 오류의 공통점과 차이점, 오류의 원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오류 분석을 통해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자주 범하는 오류는 관사의 생략과 명사의 복수 대신 단수명사 적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사의 생략과 명사의 단. 복수 오류는 모국어의 부정적 전이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오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생이 대학생보다 두드러지게 범한 영어쓰기의 오류 또한 두 언어 간의 부정적 전이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모국어 전이는 대학생에 비해 모국어의 노출시기가 짧았던 유치원생에게서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대학생이 유치원생에 비해 많이 범한 오류는 유치원생이 어려운 문장 구조의 사용을 회피하면서 대학생의 오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경우이다. 이는 회피의 오류로 설명된다. 두 집단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은 오류도 회피의 오류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회피의 오류와 완벽한 습득으로 인해 오류가 없는 경우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자주 범하는 오류의 문법적 내용을 수업시간에 다루어야한다. 또한 문법 수업은 언어의 4가지 기능인 쓰기, 말하기, 듣기, 읽기의 통합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스스로 쓴 글을 교정하는 과업은 문법과 쓰기영역을 통합하여 오류를 예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이 회피의 오류를 범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다양한 문장유형을 익힐 수 있도록 장려해야한다. 유도 작문과 문법 수업은 어려운 문장 구조를 가르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자료(authentic material)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여러 가지 문장 구조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회피의 오류를 범하지 않고 문장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지도법이다. 학습자 오류 분석의 중요성만큼 오류에 따른 전략적 지도법도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s of grammatical categories in English kindergarten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English composition in Korea and to provide 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English. In order to analyze errors, data from kindergarten students was collected along with data from college students collected by Ryu(2004). This study examined high-frequency errors in each group; common errors in two groups; the difference of the errors that kindergarten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de; and the causes of the errors. The study indicated that common high frequency errors in two groups are omission of articles and using singular nouns instead of plural nouns which were caused by interference from their first language, Korean. Remarkable errors which kindergarten students committed more than college students can be analyzed as inter-linguistic errors. This study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first language caused errors in all ages. Many errors committed by college students are due to avoidance in kindergarten students' composition. Avoidance can also explain the small number of errors in both groups. Therefore, language teachers should distinguish avoidance and non-errors from mastery of language. The result of the study presents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methods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First, grammatical concepts of high frequency errors should be taught in class. Grammar lessons are necessary to language learners and should emphasize four language skills: writing,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Proofreading should be a method of teaching which links grammar and writing. Second, English language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se various sentence patterns naturally without avoidance. Controlled-writing and grammar lessons could be ways to teach certain difficult types of sentence structures. However, exposing students to authentic material in English is also a great way for students to learn complicated sentence structures naturally. The teachers' skills to diagnose and treat errors are as important as analysis of the errors.

      •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분석 : 모국어 간섭을 중심으로

        박경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를 대상으로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과 원인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언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오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모국어, 교육 과정, 학습자의 태도, 목표 언어에 대한 규칙 적용 등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대조분석 가설에서는 오류를 좋지 못한 것으로 여겼으나 오류분석에서 오류는 아주 중요하고 당연한 것으로 본다. 학습자의 오류는 언어간 간섭과 언어내 간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언어간 간섭인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적 측면에는 대조분석, 오류분석, 설문지 및 인터뷰가 있다. 대조분석은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그리고 오류분석은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오류분석으로 밝힌 오류 중에서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를 추출하여 대조분석과 설문조사, 인터뷰를 바탕으로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의 원인을 밝혔다.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에서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를 음운, 어휘, 문법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예비 오류분석을 통해 대조분석의 대상을 한정하고 대조분석에서 나타난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오류분석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모국어의 간섭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서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발음 오류는 주로 인도네시아어에는 없는데 한국어에는 있는 발음에서 오류가 나타났다. 또한 영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와 같은 경우에 인도네시아어 발음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오류도 있었다. 둘째, 인도네시아어의 어휘나 연어의 의미를 직역하거나 한국어에 없는 어휘를 사용하는 오류가 나타났다. 어휘의 생략, 첨가, 대치에서 오류를 확인할 수 있는데 어휘의 생략이나 첨가 오류는 지시대명사, 단위 명사, 조사, 연어 사용 등에 나타났다. 이러한 오류는 인도네시아어에서는 자연스러운 문장이나 한국어에서는 어휘의 생략이나 첨가로 인하여 어색한 문장이 되는 것이었다. 대치 오류는 한국어에 없는 인도네시아어 어휘를 그대로 가져다 쓰거나 인도네시아어 어휘의 의미를 한국어로 직역하여 나타난 오류이다. 셋째, 문법 오류는 조사, 어미, 문장 구조 오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조사에서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격조사를 생략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어미에서는 시제 어미와 연결 어미에서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가 나타났다. 문장 구조에서는 수식 구조나 부정사의 사용에 오류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대조분석에서 문법 구조상 조사, 어미, 문장 구조 등 두 언어의 차이점이 많았기 때문에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 또한 많았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 오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 하였기 때문에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과 실험적 검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적용하여 검증해 보려는 것이다. 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 나. 수학 학습태도에 있어서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서울시에 소재한 S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방학 중 특별학습을 할 학생을 모집하여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반과 실험반으로 각각 1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은 전체적인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전체 집단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수준에 따라 상·중·하위집단으로 분류하여 비교하면 상위 집단은 이미 수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수준이 높고, 하위집단은 수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던 것으로 보여진다. 단지 중위집단의 경우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 A와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을 진행한 실험집단 B는 수학 학습태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학적 성향 검사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수학적인 의지, 수학적인 가치영역이다. 이는 자신의 오류에 대해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스스로 만들어 풀어보게 함으로써 수학에 흥미를 느끼고 학문적인 면보다 수학의 다양한 면을 발견하게 하여 학생들의 수학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과제는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에서 학생들의 개인적 성향에 맞추어 같은 오류를 반복하지 않게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지도하고 좀 더 긍정적인 수학학습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좀 더 다양한 학년, 다양한 단원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지도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 오류분석을 통한 쓰기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중학교 2학년생을 중심으로

        이윤순 全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8831

        외국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1학년 때 가장 흥미 있고 재미있었던 과목인 영어가 점점 재미없으며 지루하고 어려운 과목이 되어 간다. 이는 영어학습에 아직도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이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아직 영어학습의 초기단계라 볼 수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작문에 나타나고 있는 오류를 수집, 분석하여 그 원인을 규칙 확대와 언어전이에 의한 것으로 분류하여 보았다. 1차에 실시한 오류분석 결과규칙 확대에 의한 오류가 언어전이에 의한 오류들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오류빈도는 동사 사가 가장 많았으며 명사의 복수형 어미, 관사, 전치사, 소유격 사용등이었고 그 밖 의 사항들은 비슷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기초로 다음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 학생들의 오류를 추출하여 집중적으로 지도하면 학생들의 작문실력이 향상될 것이다. 가설2 : 오류를 파악하고 지도하기 때문에 오류수가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 가설3 : 학생들은 영어에 대한 관심, 흥미도 그리고 학습의욕이 상당히 향상될 것이다. 학생들의 오류를 줄이며 영작문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지도 방법과 과정을 모색해 보았는데 지도방법으로는 (l)Peer-correction을 통한 지도 (2)기호를 이용한 지도 (3)Three-pencil Method (4)Indrection and Drection Correction (S)Copyreading Technique등을, 지도과정에서는 (1)교재내용을 copy하는 일 (2)Dictation으로 연습하는 일 (3) 기본문형을 활용한 입고 간단한 문장 만들기 (4)Guided Writing (5)Reproduction (6)국문영역 (7)Free Writing등의 과정을 통해 지도하였다. 본 학습방법과 과정을 통해서 지도한 결과는 2차와 3차의 실험을 통해서 나타나고 있듯이 가설1에서 설정된 학생들의 작문력이 상당히 향상되었으며 가설2에서의 오류의 수가 상당히 줄어들었고 가설3과 갈이 규칙확대의 오류가 언어전이의 오류 보다 훨씬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동안에 영어에 흥미를 잃었던 학생들까지도 미미하나마 흥미를 갖기 시작했으며 영어에 대한 태도를 학생들이 적극적 이도록 하는 바람직한 현상이 나타났음은 매우 의의 있는 결과였다. 그러나 오류분석을 통해서 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의의 있는 일이라 여겨지지만 오류분석 시 분석자의 주판이 어느 정도 개입되는가의 문제와 무엇을 오류로 선택한 것인가의 문제 등에 대해서는 분석자에 따라서 상당히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분석목적에 따라서 방법들은 다양하게 선택되어 질 것이며 영어의 작문력을 향상시키는 문제 역시 다른 세 기능과 마찬가지로 언어학적인 문제, 심리학적인 문제 그리고 교육학적인 문제 등이 내포되어 와기 때문에 계속 연구해 볼 문제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on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rror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mpositions of English and but to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through the error analysis. This paper limits its analysis to the overgeneralization and the language transfer. For this study 120 students who are in the second grade at the Kongju Middle Schco1were chosen. They were given tests of Korean-Englishtranslationof 30 sentences. of course these sentences are supposed to be e easy enough for them to translate the Korean sentences into English ones. These errors were then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vergeneratization and Language Tranfer. There of this analysisshow that errors generalization (34.8) are greater than from language my trans In the viewpoint of error analysis, error is an evidence that students are confronted with acquistion step toward target language competence. In this paper in order to decrease the errors and improve the stsudents' writing ability five error-correction techniques and seven teaching writing steps were used. After teaching through these techniques and steps students were given to testsin1ateJulyandOctober.Thesentencesfortestingsa their test type. They made a lot of errors, too. But the numberof errors were much decrea and their writings were improval, compared with the first analysis.

      •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사용 연구 : '이/가', '을/를', '에/에서'를 중심으로

        성나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case particles in Native Russian speaker by analyzing their errors in using 이/가, 을/를 and 에/에서. To this end, the discussions are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specific goals; first, to examine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Russian languages by comparing Korean case particles with Russian case endings; second, to classify the type of errors into location, pattern, and lay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and standard of judgement for error; and third, to examine the errors based on two categories including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L1 (Russian) and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L2 (Korean). Chapter 1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studying the use patterns of 이/가, 을/를 and 에/에서 by Native Russian speakers learning Korean, and presents review of related previous studies. Chapter 2 introdu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including contrastive analysis, interlanguage and error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contrastive analysis,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are confirmed by comparing Korean case particles with Russian case endings, which were used as the grounds for explaining the causes of errors by the learners. In addition, this study takes the position of interlanguage hypothesis and error analysis hypothesis in that it identifies the error patterns of case particles and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case particle usage by analyzing the corpus of Native Russian speakers learning Korean. Chapter 3 compares Russian case markers and their functions with Korean case particles focusing on the subject particle 이/가, object particle 을/를 and adverbial particle 에/에서. For thi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particle are first discussed. Next, the ways Korean particles are realized and its example sentences are examined according to case structure arrang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5). As for the Russian language, the ways case endings are used are examined along with example sentences focusing on six cases; nominative, genitive, dative, accusative, instrumental, and prepositional (or locative). Chapter 4 describes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and standard of judgement for case particle errors in reference to the corpus of Native Russian speakers learning Korean containing 20,418 phrases. Chapter 5 analyzes the errors found in the corpus of Native Russian speakers learning Korean by location, pattern and layer. Locations of errors are examined in terms of which case particle among 이/가, 을/를 and 에/에서 is used most frequently and shows difference in usage depending on the learners’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Patterns of errors are analyzed after classifying errors into omission, addition, extended application of precedent grammar and nonuse of target grammar according to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Native Russian speakers. Layers of errors are considered in terms of form and syntax. Allomorph and spelling errors of particles are examined under the topic of form. Afterwards, errors in honorific forms, passive/causative, intransitive/transitive verbs and complement case markers are examined under the topic of syntax. Chapter 6 analyzes the learners’ errors in two categories;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L1 (Russian) and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2(Korea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usses the usage pattern of 이/가, 을/를 and 에/에서 by Native Russian speakers learning Korean in multilateral ways and analyzing their errors in using the case particles in terms of location, pattern and layer. Key words: Error analysis, Korean Case Particle, Russian Native Speaker Learning Korean, Corpus. Error location, Error pattern, Error layer. 본 연구는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의 격조사 ‘이/가’, ‘을/를’, ‘에/에서’의 오류 분석을 통해 격조사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래의 세 가지 세부적인 목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한국어 격조사와 러시아어의 격어미 대조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둘째, 오류 분류 절차와 판정 기준에 따라 오류의 유형을 오류 위치, 오류 양상, 오류 층위로 나누어 분석한 후, 셋째, 오류 결과를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러시아어 모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이/가’, ‘을/를’, ‘에/에서’의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의 러시아어권 격조사 오류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단일화된 오류 분석 방법의 한계점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보완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격조사 오류 분석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2장에서는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의 격조사 사용 양상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본 연구와 관련된 대조분석, 중간언어, 오류분석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대조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격조사와 러시아어 격어미 대조를 통하여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의 오류 원인을 설명하는 근거로 사용되었다. 또한,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의 말뭉치 분석을 통해 실제 격조사 오류 양상을 확인하고 격조사 사용의 특징을 밝혀낸다는 점에서 중간언어와 오류분석 이론의 입장을 취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의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에서’를 중심으로 러시아어의 격표지와 기능을 대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격의 정의 및 개념을 살펴보고 국립국어원(2005)의 격체계를 기준으로 한국어의 격 실현 방식과 예문을 살펴보았으며 러시아어는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의 6격 체계를 중심으로 격어미 실현 방식과 예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주격은 러시아어의 주격에, 한국어 목적격은 러시아어의 대격, 생격, 여격, 조격에, 한국어 부사격은 러시아어의 전치격, 생격, 대격, 조격에 대응된다는 것을 밝혔다. 4장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 말뭉치 20,418 어절의 격조사 오류 분류 절차와 오류 판단 기준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4장의 오류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말뭉치를 오류 위치, 오류 양상, 오류 층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오류 위치에서는 격조사 ‘이/가’, ‘을/를’, ‘에/에서’에서 어떤 격조사의 쓰임이 숙달도별로 차이를 보이고 빈도율이 높은지 살펴보았다. 오류 양상은 러시아어 모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로 누락, 첨가, 대치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대치는 다시 선행 문법의 확대 적용 오류, 목표 문법의 미사용 오류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오류 층위에서는 크게 형태와 통사로 구분했으며 형태에서는 조사의 이형태와 철자의 오류를 살펴보고 통사에서는 높임, 피동/사동, 자동사/타동사, 보격조사의 오류를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오류 분석 결과를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와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에서는 주격 조사의 누락 오류, 러시아의 격을 한국어에 적용한 오류, 러시아어의 서술어 품사를 그대로 한국어에 전이해서 나타난 오류, 시간이나 장소 명사에 부사격 조사가 불필요하게 첨가된 오류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에는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이형태 오류, 보조사 앞에 과잉 첨가된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오류,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혼동으로 인한 대치 오류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 모어 학습자의 격조사 ‘이/가’, ‘을/를’, ‘에/에서’의 사용 양상을 오류 위치, 오류 양상, 오류 층위로 학습자의 언어를 보다 다층적으로 분석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어: 오류분석, 격조사, 러시아어 모국어 학습자, 한국어교육, 말뭉치, 오류위치, 오류양상, 오류층위.

      •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영작문에 나타난 형용사적 수식어구의 오류분석

        박은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와 한국어의 형용사적 수식어구의 대조분석 및 오류분석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형용사적 수식어구 오류를 집중 분석하고 영어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언어 형식적 측면의 방안을 마련하여 오류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중점을 둔다.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형용사적 수식어구의 대조분석 연구를 통하여 영어 구조와 한국어 구조를 설명하고 예상되는 문제점을 짚어본다. 그 다음으로 오류분석 이론에 의거한 절차대로 오류분석을 준비하는데 연구 대상은 ㄱ중학교 2학년 280명으로 상위권/하위권을 나누어 학생의 수준 차이를 고려하였다. 연구 범위는 영어의 전치․후치 형용사적 수식어구와 한국어의 형용사적 수식어구인 관형사의 대조분석을 기초로 하여 형태적․의미적 차이점을 살펴보고 영어의 형용사적 수식어구 중 빈번하게 쓰이는 유형을 추출하여 예문들을 만들어 학습자에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결과물을 수거하여 오류의 예시들을 열거하고 오류에 대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 한국 학습자들은 영어 형용사적 전치수식 구조와 한국어 구조에 존재하지 않는 후치수식 구조에서 많은 오류를 범했다.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인데 첫째는 모국어의 간섭 현상에 의한 것이고, 둘째는 영어의 복잡한 내적 구조로 인한 영어 간섭 및 전이 현상에 의한 것이었다. 전치수식 중에서는 영어의 소유격 -’s와 고정된 한정사 어순의 통사적 측면과 소유격 한정사의 의미적 측면에서 오류율이 높았다. 후치수식은 전치수식 구조보다 더 많은 오류가 나왔고 그 요인은 모국어의 간섭보다는 영어의 내적 전이나 간섭으로 분석되었다.연구의 결과에 따라 언어 형식 교육에 적용할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방안으로 첫째, 언어 형식에 대한 영어과 교육과정을 효율적․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외국어 전이에 의한 오류율을 줄인다. 둘째,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통해 모국어 간섭 현상을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과업을 통하여 언어 형식을 학습하여 모국어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모국어 간섭 및 영어 전이에 의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become aware of th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grammatical structures.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form-focused learning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and error analysis of adjectival modifiers.The study looks into theoretical background of a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and error analysis hypothesi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of contrastive analysis of adjectival modifiers, English and Korean structures are explained and some expected problems are verified.Students' error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rror analysis procedure. The target students are 280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levels are divided into low and high levels. The range of the study includes the contrastive analysis of English pre-adjectival and post-adjectival modification and Korean pre-adjectival modification. The differences of form and meaning are considered. Sentences composed of frequently used adjectival modifiers in English are presented to the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ir errors are gathered and analyzed.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errors committed by Korean students are in pre-modification and post-modification which are not in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Two major causes of the students’ errors of adjectival modification are th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Korean, and the interference and transfer from complicated English structures. In pre-modification, the ratio of possessive -’s, the fixed order of determiner errors and the meaning of possessive determiners are comparatively high. There are more errors in post-modification than in pre-modification because post-modification does not exist in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Therefore, there are more errors caused by intra-lingual transfer and interference than inter-lingual transfer.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ways. One way to reduce the errors is to organize the curriculum of language form more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Secondly, it is essential to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language form through a form-focused communicative approach. Thirdly, tasks should be included so as to teach language form and get rid of errors. Finally, it is crucial to use multi-media to reduce the errors. Form-focused tutorials trigger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e-mail learning can be an appropriate multi-media tool to correct the errors.

      • 오류분석 학습방법을 활용한 일차방정식의 지도에 관한 연구

        이은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M.A. Thesis A Study on Errors Analysis-Based Guidance on How to Solve Linear Equations Lee, Eun-He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ion School of Education Yeo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Kim, Jin-Hw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rrors made when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ork out linear equations, and by extension, to formulate teaching methods to train students to analyze and correct their own and other students' errors in order that they can achieve self-directed learning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To analyze errors made in the process where students work out linear equations. 2.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rror analysis on students’ learning of math (the error analysis is the process by which students find and correct the causes of errors by themselv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 first-year, members of an extracurricular math class,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Daegu City, South Korea. In this study, two types of test papers were used, one of which (Test A) had students analyze their and their classmates' errors. The other (Test B) was to correct errors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fter the tests, an analysis was made of students’ error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 and the effect of the error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any cases students’ errors were caused by a lack of understanding of equations; especially, decimal or fractional coefficients. Second, many errors were caused by the wrong application of the distributive law or in complicated and applied formulas. Third, the other errors were caused in algebraic operation or by procedural omission, i.e., students’ inattention or lack of fundamental ability to calculate or dropping the final check.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solv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train students to comprehend mathematical terms and concepts and thus to internalize them. Students must also become proficient at working out such problems by practicing various problems. In addition, the whole class needs to be keyed to students’ ability. Students need to be trained to check their calculations before writing final answer in order that potential errors can be corrected in advance. Error analysis made students take an interest in the process of working out problems, and as a result improve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concepts and solve problems. Additionally, it ga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systematize their thought of errors and reflect on their own errors while learning from the errors of others’. Moreover, they found pleasure in correcting their own errors by themselves and restored confidence in learning math.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Mathematics Education) in February, 2011. 논 문 요 약 오류분석 학습방법을 활용한 일차방정식의 지도에 관한 연구 이 은 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진 환)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차방정식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내고, 학생 스스로 자신의 오류와 타인의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여 교정하는 자기주도적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수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가 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일차방정식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원인을 분석한다. 2. 학생 스스로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교정하는 오류분석 학습방법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D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 계발활동 수학반 학생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문제지 A형은 문제풀이용 자기평가 학습지로 문제를 푼 후 자신의 오류와 친구들의 오류를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되었고, 검사 문제지 B형은 오류교정용 풀이분석 학습지로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타인의 오류들로 구성되었다. 검사 실시 후 학생들이 일으킨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였고, 사후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이 가지게 되는 수학에 대한 생각과 오류분석 학습방법의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의 원인으로는 첫째, 등식의 성질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한 오류로 특히 소수계수나 분수계수를 포함한 방정식의 풀이에 많이 나타난다. 둘째, 분배법칙을 잘못 적용하는 오류인데 괄호가 있거나 분수식을 포함한 약간 복잡하고 변형된 문제를 접하면서 오류를 범한다. 셋째, 대수적인 연산의 오류 또는 생략의 오류인데 학생들의 부주의와 기초 연산 능력의 부족과 더불어 마지막 검산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이러한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용어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개념의 이해를 통한 내면화 과정을 거친 후에 방정식의 풀이가 숙달 되도록 다양한 문제를 통해 감각을 키워주는 학습을 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하게하고, 반드시 마지막 단계에서 자신의 풀이 과정이 맞는지 검토하여 오류가 이루어진 즉시 교정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오류분석 학습방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스스로 분석을 통해 풀이 과정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과정 속에서 개념을 이해하며, 검토하는 행동이 강화되어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다. 친구들과 타인의 다양한 오류를 접하면서 오류와 관련된 사고과정의 체계가 정리되어 자신의 오류를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스스로가 수학적인 오류를 교정할 수 있다는 기쁨을 느끼고 수학 학습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 본 논문은 2011년 2월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 중국어 보어의 학습방안 연구 :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양천천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830

        중국어 보어는 외국인 학습자가 습득하기 쉽지 않은 중국어 문법 항목 중 하나이다. 보어에 따라 문장 구조가 달라지거나 보어 자체의 문법적 기능이나 내용이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중국어 보어 문법의 이와 같은 특징은 한국인 학습자에게 모국어와 중국어와의 문법 특징의 상이함에 더하여 보어 습득에 큰 어려움을 안겨 주고 있다. 따라서 중국어 보어의 완벽한 습득을 위하여 한국인 학습자에 특화된 효율적인 보어 학습 방안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중국어 보어의 효율적인 습득 방안을 구체적으로 다룬 논의는 모두 개별 보어에 국한된 것이었다. 따라서 중국어 보어 문법이 가진 총체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총체성을 근거로 보어 전체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논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더군다나 중국어 보어를 하위 분류하고 각각의 보어가 가진 문법적 특이성에 천착하여 개별 보어의 효율적인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여기서는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보어의 효율적인 학습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한국인 학습자가 중국어 보어의 사용 과정에서 겪는 오류 현상을 분석한다. 이러한 오류 분석을 위해 한국인 학습자에게 제시한 보어는 결과보어, 수량보어, 방향보어, 정도보어, 가능보어, 시간/장소보어 등 여섯 가지이다. 이들 보어의 오류 분석 결과를 통해 한국인 학습자가 겪는 오류의 기본적인 원인이 모국어(mother language)에 의한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와 목표어(target language)에 의한 부정적 전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국어와 목표어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는 대체, 누락, 어순 바뀜, 회피 등과 같은 구체적인 문법적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보어, 수량보어, 방향보어, 정도보어, 가능보어, 시간/장소보어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별 보어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제시한 학습 방안에는 문법 수업 모형 중 가장 전형적인 PPP 수업 모형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응용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뒤이어 중국어 보어 학습 방안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업이 끝난 뒤 중국어 보어의 오류 분석을 재차 실시하였다. 이러한 오류 분석을 통해 수업 이후 한국인 학습자가 경험하는 개별 보어에 대한 오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업 방안을 적용하기 전의 오류율과 수업 방안을 적용한 후의 오류율의 차이를 비교하여 우리가 제시한 수업 방안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수업 직전과 직후 선정된 오류 분석 대상자는 한국의 부산 동아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98명이었다. 이들은 모두 중급 수준의 중국어를 구사하였다. 세계적으로 중국어 학습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은 갈수록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중국어를 공부하는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중국어 보어의 학습 방안을 다룬 구체적인 논의는 거의 없었다. 특히 이들 보어를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어 보어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 방안을 제시한 논의는 찾기 어렵다는 점에서 이 글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Korean learn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are easi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tongue when learning Chinese. Therefore, Korean learners have several things in common when they encounter difficulties in learning Chinese. Chinese complement is one of the difficulties that Korean learners encounter in learning Chinese grammar. In TCSL, it is very important to adopt targeted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Complement is a special grammatical item in modern Chines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flexibility and complexity. These characteristics make it the key and difficult point in Chinese learning. The noun complement also exists in Korean grammar, but many scholars believe that the complement in Korean belongs to the research field of semantics and does not belong to grammar. At the same time, the high frequency of using Chinese complements and the diversity of syntactic forms increase the learning difficulty of Korean learners. Chinese learn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are vulnerable to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using Chinese complements, resulting in the phenomenon of transfer. Korean learners often adopt avoidance strategies, or use other grammatical structures and verbs instead of complements, which hinders their acquisition of complem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acquisition of Chinese complements by Korean native Chinese learners, this paper chooses the errors in the test paper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Chinese Studies in the China-Japanese Department of DONG-A University in Korea and the examples of complements in the two sets of textbooks actually used in the teaching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n China and Korea as the research objects. This paper deals with the errors made by Korean learners in the process of learning Chinese in terms of quantity, result, trend, degree, possibility and location time compl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complements in modern Chinese, the erroneous corpus is analyzed from the aspects of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in order to find out the rules of learners' acquisition of Chinese complements.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results of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most of the researches are carried out on Korean learners learning Chinese in China.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errors of Chinese learners in Kore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in China.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ers' surveys and papers, this study finds ou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rrors that learners show in learning complements.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Chinese complement teaching program suitable for Korean native Chinese learners is worked out. This is not very common in the existing research on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n Korea. I hope it will have some impact on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