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영작문에 나타난 형용사적 수식어구의 오류분석

        박은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와 한국어의 형용사적 수식어구의 대조분석 및 오류분석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형용사적 수식어구 오류를 집중 분석하고 영어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언어 형식적 측면의 방안을 마련하여 오류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중점을 둔다.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형용사적 수식어구의 대조분석 연구를 통하여 영어 구조와 한국어 구조를 설명하고 예상되는 문제점을 짚어본다. 그 다음으로 오류분석 이론에 의거한 절차대로 오류분석을 준비하는데 연구 대상은 ㄱ중학교 2학년 280명으로 상위권/하위권을 나누어 학생의 수준 차이를 고려하였다. 연구 범위는 영어의 전치․후치 형용사적 수식어구와 한국어의 형용사적 수식어구인 관형사의 대조분석을 기초로 하여 형태적․의미적 차이점을 살펴보고 영어의 형용사적 수식어구 중 빈번하게 쓰이는 유형을 추출하여 예문들을 만들어 학습자에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결과물을 수거하여 오류의 예시들을 열거하고 오류에 대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 한국 학습자들은 영어 형용사적 전치수식 구조와 한국어 구조에 존재하지 않는 후치수식 구조에서 많은 오류를 범했다.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인데 첫째는 모국어의 간섭 현상에 의한 것이고, 둘째는 영어의 복잡한 내적 구조로 인한 영어 간섭 및 전이 현상에 의한 것이었다. 전치수식 중에서는 영어의 소유격 -’s와 고정된 한정사 어순의 통사적 측면과 소유격 한정사의 의미적 측면에서 오류율이 높았다. 후치수식은 전치수식 구조보다 더 많은 오류가 나왔고 그 요인은 모국어의 간섭보다는 영어의 내적 전이나 간섭으로 분석되었다.연구의 결과에 따라 언어 형식 교육에 적용할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방안으로 첫째, 언어 형식에 대한 영어과 교육과정을 효율적․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외국어 전이에 의한 오류율을 줄인다. 둘째,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통해 모국어 간섭 현상을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과업을 통하여 언어 형식을 학습하여 모국어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모국어 간섭 및 영어 전이에 의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become aware of th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grammatical structures.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form-focused learning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and error analysis of adjectival modifiers.The study looks into theoretical background of a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and error analysis hypothesi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of contrastive analysis of adjectival modifiers, English and Korean structures are explained and some expected problems are verified.Students' error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rror analysis procedure. The target students are 280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levels are divided into low and high levels. The range of the study includes the contrastive analysis of English pre-adjectival and post-adjectival modification and Korean pre-adjectival modification. The differences of form and meaning are considered. Sentences composed of frequently used adjectival modifiers in English are presented to the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ir errors are gathered and analyzed.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errors committed by Korean students are in pre-modification and post-modification which are not in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Two major causes of the students’ errors of adjectival modification are th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Korean, and the interference and transfer from complicated English structures. In pre-modification, the ratio of possessive -’s, the fixed order of determiner errors and the meaning of possessive determiners are comparatively high. There are more errors in post-modification than in pre-modification because post-modification does not exist in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Therefore, there are more errors caused by intra-lingual transfer and interference than inter-lingual transfer.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ways. One way to reduce the errors is to organize the curriculum of language form more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Secondly, it is essential to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language form through a form-focused communicative approach. Thirdly, tasks should be included so as to teach language form and get rid of errors. Finally, it is crucial to use multi-media to reduce the errors. Form-focused tutorials trigger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e-mail learning can be an appropriate multi-media tool to correct the errors.

      • 유치원생과 대학생의 영어작문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의 비교 및 분석

        박소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영어유치원생과 대학생의 영어작문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교수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오류 분석을 위해 영어유치원생의 영어작문이 수집되었으며 대학생의 작문자료는 유경선(2004)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이 논문은 영어유치원생과 대학생이 자주 범하는 오류, 두 집단이 범하는 오류의 공통점과 차이점, 오류의 원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오류 분석을 통해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자주 범하는 오류는 관사의 생략과 명사의 복수 대신 단수명사 적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사의 생략과 명사의 단. 복수 오류는 모국어의 부정적 전이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오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생이 대학생보다 두드러지게 범한 영어쓰기의 오류 또한 두 언어 간의 부정적 전이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모국어 전이는 대학생에 비해 모국어의 노출시기가 짧았던 유치원생에게서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대학생이 유치원생에 비해 많이 범한 오류는 유치원생이 어려운 문장 구조의 사용을 회피하면서 대학생의 오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경우이다. 이는 회피의 오류로 설명된다. 두 집단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은 오류도 회피의 오류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회피의 오류와 완벽한 습득으로 인해 오류가 없는 경우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자주 범하는 오류의 문법적 내용을 수업시간에 다루어야한다. 또한 문법 수업은 언어의 4가지 기능인 쓰기, 말하기, 듣기, 읽기의 통합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스스로 쓴 글을 교정하는 과업은 문법과 쓰기영역을 통합하여 오류를 예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이 회피의 오류를 범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다양한 문장유형을 익힐 수 있도록 장려해야한다. 유도 작문과 문법 수업은 어려운 문장 구조를 가르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자료(authentic material)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여러 가지 문장 구조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회피의 오류를 범하지 않고 문장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지도법이다. 학습자 오류 분석의 중요성만큼 오류에 따른 전략적 지도법도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s of grammatical categories in English kindergarten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English composition in Korea and to provide 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English. In order to analyze errors, data from kindergarten students was collected along with data from college students collected by Ryu(2004). This study examined high-frequency errors in each group; common errors in two groups; the difference of the errors that kindergarten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de; and the causes of the errors. The study indicated that common high frequency errors in two groups are omission of articles and using singular nouns instead of plural nouns which were caused by interference from their first language, Korean. Remarkable errors which kindergarten students committed more than college students can be analyzed as inter-linguistic errors. This study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first language caused errors in all ages. Many errors committed by college students are due to avoidance in kindergarten students' composition. Avoidance can also explain the small number of errors in both groups. Therefore, language teachers should distinguish avoidance and non-errors from mastery of language. The result of the study presents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methods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First, grammatical concepts of high frequency errors should be taught in class. Grammar lessons are necessary to language learners and should emphasize four language skills: writing,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Proofreading should be a method of teaching which links grammar and writing. Second, English language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se various sentence patterns naturally without avoidance. Controlled-writing and grammar lessons could be ways to teach certain difficult types of sentence structures. However, exposing students to authentic material in English is also a great way for students to learn complicated sentence structures naturally. The teachers' skills to diagnose and treat errors are as important as analysis of the errors.

      • 병원 간호사의 조직침묵과 진성리더십이 근접오류 보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구인회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근접오류 보고의도는 사고발생 전 발견되어 대상자에게 해가 가해지지 않은 사건 즉, 잠재적인 위해사건에 대해 보고를 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위해 사건 발생 전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어 예방대책마련 및 환자안전예방을 위하여 중요하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위험이 되는 초기 징후를 감지하고 환자안전 및 위험에 대처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근접오류 상황을 잘 인식할 수 있지만, 간호관리자의 부정적인 반응이나 리더십, 처벌에 대한 두려움, 결과에 대한 우려 및 조직 침묵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근접오류 보고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의도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환자안전관리의 일환으로 중요한 근접오류보고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관리 및 중재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연구 대상자는 U시 소재의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 총3곳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71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8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U광역시 소재 U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해당 병원을 방문해 간호부와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그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 대상자에게 배부하여 서면동의를 받아 작성 후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근접오류 보고의도 측정 도구는 김명수가 개발한 근접오류 보고의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직침묵 측정도구는Eriguc등이 터키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조직침묵 도구를 정수진이 우리나라 병원간호사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진성리더십 측정도구는Giodano-Muligan가 개발하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Authentic Nurse Leadership Questionnaire를 황진아가 번역한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다.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솟값과 최댓값,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직침묵 정도는 평균 88.04±21.83 점(도구범위: 31-155)이었으며, 대상자가 지각한 진성리더십 정도는 평균 3.89±0.74(척도범위:1-5)이었다. 대상자의 근접오류 보고의도 정도는 평균 73.41±23.16점(척도범위:0-100)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접오류 보고의도는 연령(F=7.10, p=<.001), 결혼상태(t=-3.34, p=<.001), 근무경력(F=4.10, p=.008), 근무형태(t=-3.14, p=. 003)및 직책(t=-4.7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근접오류 보고의도 정도와 조직침묵은 음의 상관관계(r=-.24, p=<.001)가 있었고 진성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r=.17, p=.026)가 있었다. 진성리더십은 조직침묵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관계(r=-.27, p=<.001)가 있었다. 4. 근접오류 관련 특성에서 근접오류 보고의도는 근접오류인지(r=.14, p=.043)및 보고체계인지(r=.27,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근접오류인지와 보고체계인지(r=.44, p=<.001)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근접오류경험은 근접오류인지(r=-.23, p=.002) 및 보고체계인지(r=-.17, p=.024)와 음의관계가 있었다. 5. 근접오류 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β=0.30, p=<.001), 진성리더십의 도덕적 규범(β=0.17, p=. 028), 조직침묵의 상황요인(β=-0.15, p=. 046)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근접오류 보고의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14%였다. 근접오류 보고의도의 하부요인 중 본인의 근접오류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형태(β=-1.99, p=. 049), 진성리더십의 도덕적 규범(β=1.47, p=.015), 연령(β=0.66, p=. 026)으로 나타났고, 직장동료의 근접오류 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β=0.32, p=<.001), 조직침묵의 동기(β=-0.17, p=.022), 진성리더십의 도덕적 규범(β=0.16, p=.033)으로 나타났으며, 타인과 근접오류 정보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고체계인지(β=0.17, p=.024), 조직침묵의 상황(β=-0.19, p=.010), 근무경력(β=0.17, p=.030)이었다. 6. 진성리더십은 조직침묵에 부적 영향을 나타냈고(β=-0.27, p=.<001), 조직침묵은 근접오류 보고의도에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β=-0.65, p=.007). 진성리더십이 근접오류 보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침묵을 통한 간접효과가 검증되어(β=0.78, 95% CI=0.03-0.37), 조직침묵은 진성리더십과 근접오류 보고의도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병원간호사의 근접오류보고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근접오류 및 보고체계인지 증가를 위해 근접오류에 관한 개념 정립을 위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환자안전사고 보고절차에 대한 교육과 보고체계시스템을 간편화하여 이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근접오류보고를 장려하는 학습환경을 통해 오류보고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가 요구된다. 또한 간호관리자가 진성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조직문화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 촉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조직침묵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오류 분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이현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어 사용 양상을 바탕으로 러시아어 접속사에 대응하는 한국어 연결어미의 오류 양상과 모어 간섭 현상을 연구하였다. 연구 자료는 러시아어 국가 말뭉치와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나눔터에서 제공하는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오류 주석 말뭉치를 활용하였다. 먼저 러시아어 국가 말뭉치에서 고빈도 접속사를 선정한 뒤 각 접속사의 개별적 특성과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을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총 17가지의 연결어미를 선정하여 오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중 가장 많은 연결어미 오류에서 간섭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던 러시아어 접속사는 и이며 그 외에도 а, чтобы, хотя 등의 접속사로부터 간섭을 받아 오류가 다수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연결어미 오류 양상으로는 대치 오류가 가장 많았으며 오형태, 첨가, 누락, 혼합 오류의 순으로 오류가 다수 존재하였다. 앞서 접속사의 대응 표현으로 선정된 연결어미 중에서는 ‘-(으)ㄹ지, -(으)ㄴ/는지’, ‘-(으)려면’, ‘-(으)니’ 등의 순서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일부 오류 표본에서는 발음이나 통사적 층위의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음의 경우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의 차이로 인해 초급, 중급 학습자들이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사적 층위에서는 연결어미를 사동 표현의 구성요소로 학습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였다.

      • 한국 초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일기 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김은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영어 학습의 초기인 초등학교 학생들은 영어 쓰기에서 다양한 오류를 일으킨다. 이러한 오류는 목표어 학습자의 목표어 습득 과정의 일부이라고 볼 수 있는 데, 이렇게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는 것은 교사에게 교수와 학습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지침이 될 수 있으며, 학생들이 학습과정에서 처해 있는 어려움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초등학생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일기 쓰기에 나타난 오류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일기 쓰기에 나타난 오류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들이 나타낸 오류의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각 학년별로 나타나는 오류의 경향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가? 이 세 연구 문제를 가지고 초등학생 6학년 22명, 5학년 20명, 4학년 15명에게 2주일에 한 번, 3달간 영어 일기를 써 오게 한 후, 그 일기에 나타난 오류를 명사 오류, 동사 오류, 문장 단위 오류, 전치사 오류로 귀납적으로 분석 하였다. 명사 오류에는 명사 어미 변화 오류와 관사 오류, 주어 생략을 포함하였으며, 동사 오류로는 동사의 형태, 동사의 시제와 생략, 불필요한 동사의 첨가 등을 포함했다. 문장 단위 오류로는 문장의 단편(구조상으로 문장의 특징을 갖지 못하는 언어형식), 무종지문(2개 이상의 주절을 접속사 없이 이은 문장)과 어순 오류를 포함하였다. 전치사 오류로는 전치사의 생략과 부적절한 전치사의 사용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일기 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에 모든 학년에서 동사 오류가 가장 높은 빈도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명사 오류, 문장 단위 오류, 그리고 전치사 오류 순이었다. 4학년, 5학년, 6학년은 모두 목표어(영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 있는 학습자로 이들이 나타낸 오류의 경향이 모두 비슷하였다. 그러나 전 학년에 걸쳐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인 오류 항목이 동사 오류인 것은 서진아(2003)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영어 일기 쓰기 오류 분석 결과에서 학생들이 관사 오류를 가장 많이 일으켰다는 결과와는 다르다. 각 오류 항목별로 하위 오류의 종류를 보면 동사 오류로는 동사의 시제 오류로 과거 시제 대신 현재 시제를 쓰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사 첨가도 많은 학생들에게서 발견되었다. 특히 4학년 학생들의 오류에서는 ‘be’동사의 첨가가 많았으며, 5학년, 6학년 학생들의 동사 오류에서는 일반 동사의 첨가나 ‘do’ 나 ‘can’ 등의 조동사를 첨가하는 오류 현상도 많이 나타났다. 명사 오류로는 관사의 생략이 많았으며 이 관사의 생략에서는 ‘a’ 나 ‘the’에서 고루 나타났으며, 잘못된 관사의 사용도 나타났다. 명사 오류에서 주어의 생략도 전 학년에서 나타났다. 문장 단위 오류에서는 어순을 영어 어순 대신 한국어 어순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4학년 학생들에서 한국어 어순을 갖는 영어 문장을 많이 나타내었다. 전치사 오류에서는 4학년들은 전치사가 들어 간 문장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회피 현상을 보였다. 4학년 학생들에 비해 5학년, 6학년 학생들에게서 전치사 관련 오류가 많이 발생이 많았는데, 그 중 전치사의 생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잘못된 전치사의 사용을 보였다. 둘째, 학년별로 나타낸 오류를 원인과 관련하여 생각 해 보면, 높은 오류율을 나타낸 오류 항목을 학년별로 비교 해 보면 4학년의 경우 동사 오류 다음으로 문장 단위 오류 (주로 어순 오류)가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어, 5학년, 6학년의 동사 오류 다음의 명사 오류 순과는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로 보아 4학년 학생들이 5학년, 6학년에 비해 모국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5학년, 6학년의 경우는 목표어에 대한 불완전한 언어 지식과 규칙을 가지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발생시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초등 영어 학습자들은 동사의 활용에서 어려움을 보였으며, 특히 동사의 시제 변화에 익숙하지 않았다. 그리고 ‘be’동사, 일반 동사, 조동사를 구분하여 사용 하는 것을 어려워했다. 또한 오류 원인을 살펴보면 영어 학습 초기에서는 모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다가 영어 학습이 진전됨에 따라 모국어의 영향은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신이 알고 있는 목표어에 대한 언어 규칙이나 지식을 적용해 보려는 시도에서 대치 현상 등 과일반화를 많이 보이기 시작하나 이는 목표어 학습 과정에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보여진다. 셋째, 학년별 오류의 형태를 보면, 생략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첨가 또는 대치, 그리고 어순이었다. 이 결과는 임진이(2005)의 연구 결과 생략(omission)이 가장 많은 오류 형태였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생략의 경우를 보면 주어 생략, 동사 생략, 전치사의 생략 등 특정 문장 성분에 관계없이 어느 문장 성분에서도 생략 현상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4학년과 6학년의 경우는 생략에 의한 오류가 많았으며, 6학년의 경우는 첨가에 의한 오류가 많았다. 첨가오류의 유형을 보면 동사의 경우 ‘be’동사나 일반 동사, 또는 조동사의 첨가가 나타났으며, 대치의 경우는 잘못된 동사와 전치사의 사용이 보였다. 어순의 경우 한국어 어순을 따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은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렇게 오류를 일으키는 현상은 목표어 학습의 과정이므로 이 현상을 인식하되 학습자들에게 오류를 고쳐야할 잘못된 것으로 인식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2 언어를 가르치는 교사로서 바람직한 모습은 제 2 언어 학습자들이 이러한 오류를 스스로 인식하고 수정해 나가는데 가능한 긴 시간이 걸리지 않도록 안내해주고 촉진 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어를 가르칠 때 문장 구성의 주요 성분의 위치, 그리고 동사의 종류, 조동사와 다른 점 등 기본적인 문법적 요소를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도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현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은 듣기와 말하기에 편중되어 있으며 발달 단계상 읽기와 쓰기 활동 등이 충분히 준비가 된 상태인데도 굳이 한정된 영어 주요 표현 몇 문장으로 한 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현 고과서 구성 등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과 교육과정의 연계가 되지 않아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영어 학습을 힘들어 하는 부분을 다소 줄여 줄 수 있다고 본다. 교사는 교육 과정의 필수 요소는 가르치되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게 운영하면서 학습자들의 현 단계와 상황, 요구에 맞는 교수를 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오류 발생은 목표어 학습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목표어 학습과정으로 볼 수 있는 데 오류발생 경향에 미치는 원인은 다양하다. 모국어와 목표어간의 언어적인 차이, 학습자의 정의적인 면, 즉 목표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 목표어에 대한 노출 정도, 연습의 방법과 양, 학습 전략 등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특히 목표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는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판단되며, 목표어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모국어 간섭은 줄어든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영어학습의 경우 동사의 활용에 있어서 초기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언어 초기 학습자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특히 동사의 종류 및 활용을 어떻게, 그리고 어느 수준으로 가르칠 것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영작문에서 교사의 간접 형태 오류 수정 피드백의 효과

        한정화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eacher's indirect error correction feedback on students' revised-writing and new writing, and their responses to the feedback they received. Six L2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rote a story ten times in total (five first-draft writings and five revised writings) based on an unscripted seven-cut cartoon, and indirect feedback was given to their writings. Indirect feedback refers to coded error correction in which errors were underlined and marked with code. For the feedback and analysis of students' writing, this study used 5 error categorizes (articles, verbs, noun endings, wrong words, sentence structures) developed by Ferris and Roberts (200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five times of writing, comparing the number of errors of students' first-draft and their revised writing in each essay, the percentage of error of revised writings decreased by 50% compared with that of first-draft writings. This indicates that teacher's feedback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errors. Secondly, when comparing the first drafts of students' five essays, the number of errors decreased gradually. That is, the number of errors in the first draft of students' last essay (the fifth essay) was 11% less than that of the students' first essay. This indicates that students learn grammar implicitly with teacher's indirect feedback and it has an effect on the decrease of errors on students' new writing. Thirdly, articles, verbs and noun endings were amenable to student self-correcting but wrong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were not easy for students to correct by themselves. This suggests that indirect feedback can help students to correct error such as articles, verbs, and noun endings by themselves but it might not help students notice errors in the areas of wrong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was substantiated by the students' request for the teacher's direct feedback or direct explanation on these two error categories, wrong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Overall, despite teacher's feedback, students sometimes felt discouraged by consistent errors. However, they gained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once they found out the number of errors decreased little by little. This study can provide teachers with valuable information with which they can respond more effectively to the needs of L2 students.

      • 오류 방지 활동이 쓰기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트란 티 투 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베트남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특징과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정확성 향상에 초점을 둔 과정 중심 쓰기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 설계한 과정 중심 수업이 실제적으로 쓰기 정확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고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후에는 본고의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쓰기의 정확성과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다음 2장에서는 본고의 기초가 되는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쓰기 정확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채택한 과정 중심 쓰기 수업의 정의, 절차, 활동을 알아본 후 쓰기에서의 정확성에 대한 정의와 쓰기의 정확성과 쓰기 오류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특징 및 학습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베트남 내 대학 한국어 학과의 강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3장의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에 대한 정확성 향상에 초점을 두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정 중심 쓰기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 실험 수업을 통해 그 결과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쓰기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쓰기 교육 방안으로 PPP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 수업의 대상은 베트남 고급 학습자였으며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나뉘었다. 그 결과, 작문 차례별 분석 시 두 집단의 전체 오류율은 모두 감소한 모습을 보였지만 오류 방지 활동을 한 실험 집단의 오류율 감소가 통제 집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오류를 범주별로 살펴봤을 때 두 집단은 작문의 정확성이 모두 증가했는데 오류 방지 활동이 실험 집단의 문법과 어휘에 대한 정확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오류 방지 활동을 하지 않는 통제 집단의 경우에서는 문법의 정확성에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문법과 어휘적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 학습 시간과 목적, 쓰기의 만족도 등의 변인들은 작문의 정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학습하고 싶은 쓰기 분야, 선호한 피드백 방식, 오류 방지 활동에 대한 요구, 그리고 학습하고 싶은 쓰기 장르 등 같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변인들은 문법과 어휘 오류율 감소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본고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정확성을 배제한다는 문제와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정 중심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의의를 두었다. 또 이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a method to improve the writing accuracy of Vietnamese advanced Korean learners. First,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riting education in Vietnam and the needs of Korean learners,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design a process-oriented writing class focused on improving writing accuracy for Vietnamese learner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process-oriented class designed in this paper was effective in enhancing writing accuracy. The order of this paper is as follows. Chapter 1 attempted to clarif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paper. After that, I analyze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accuracy in writing skill and teaching writing in Korean in Vietnam).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search was built. Therefore, I had given contents such as definition, procedures, and activities of the process-oriented writing class which were adopted to improve writing skill as well as to distinguish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precision and writing errors, which were also examined. In chapter 3, a survey was conducted o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universities in Vietnam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learner needs of Korean writing education in Vietn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 Chapter 3, Chapter 4 designed a process-oriented writing session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focusing on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m in Korean writing. In addition, I tried to assess the results through experimental classes. This paper attempted to propose a PPP model as a writing education method to prevent learners' writing error.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class were advanced Vietnamese learners, and they were divided into a comparative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When analyzing each composition sequence, the overall error rate of both groups decreased, but the error rate redu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error prevention activitie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when looking at errors by categories, both groups increased the accuracy in their writing, but it can be seen that the error prevention activity was a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both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experimental group, but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group which did not engage in error prevention activity, it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the accuracy of grammar. Subsequently,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factors which influenced Vocabulary and Grammar accuracy, factors such as writing skill satisfaction, purposes and learning tim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ccuracy of writing. However, the writing fields that learners want to achieve, the preferred feedback method, the demand for error-prevention activities, and desired writing genres were the factors that reflected learners’ needs and resulted in a closely relationship of Grammar and Vocabulary correctness. This paper pointed out the problems in teaching writing in Korean in Viet Nam and the accuracy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t would be meaningful to suggest a process-oriented writing teaching plan with the purpose of upgrading proficiency in writing. Moreover, this paper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and given possible application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 재외한인학생과 국내학생의 영어발화 오류 비교·분석

        노은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ompare the speaking error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students focused on the reason and the grammar accuracy in speaking English and give some data to the learners and teachers to solve the error problem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kind of difference could have to the students who have received the different public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The findings from the test are focused on errors' frequency expecting to offer the data in making materials and developing teaching methods to help the English learners. In order to collect speaking utterances, the speaking test is designed based on the NEAT(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and PELT(Practical English Language Test), and the test that the researcher made i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For each format, preparation and response time was given, and took 10 minutes to complete. There are three parts, and six questions. The first part is composed with short questions of four. The second part is storytelling which is consist of one question. The last third part is description of a graph which has one question. The test was administered in natural environment by CBI(Computer Based Instruction) to reduce the stress or pressure of the students. The recorded speaking test of students are transcribed with great attention. The errors are identified and classified by the standards that the researcher made. The standards of errors are consulted in the reference books. The errors are analyzed by the reason such as L1 transfer, over-generalization, lack of L2 knowledge. And then, The data wa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grammar, task, and part of spee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 have made errors in L1 transfer(84.4%); lack of L2 knowledge(8.6%), over-generalization(7%). Secondly, in the part of speech, the verb error are appeared as the highest error frequency of 32.5%. Most of students made the errors in the verb tense errors and third-singular verb agreement. The domestic students made the errors in the verb 142 times, but the overseas students made the errors in the verb 83 times. It shows that domestic students make more errors at twice. Not only in the verb, but also in the most of the part, domestic students showed more errors than overseas students at least in the twice gap. Most of domestic students made the errors caused by additions of unnecessary functional words or content words which usually occur because of the direct translation of Korean expressions. In conclusion, accuracy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as fluency, because omissions of words, phrases or even clauses needed for the meaning in the sentences can cause communication breakdown. This way could reduce the errors that might have arisen from the Korean ways of speaking that affect the structure and the sentences. Secondly, in the public education, instructional hours should be increased. The only difference between domestic students and overseas students is the instructional hours in learning English. They almost same at the term of studying English, and the private education reliance. Giving students more chance of speaking English might reduce the errors of speaking English.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teachers do group work activities to improve learners' rhetorical organization competence. Having students make stories and arrange them in the right order can help the learners focus on meanings and follow the plot of the story more effectively. Accordingly, this may help the learners develop their skills of storyt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