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윤용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0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극장은 1950년 설립 이후 장르별 전속단체와 함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하여 꾸준하게 노력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문화정책의 변화에 부응하여 국립발레단 등 3개 전속단체를 법인화하여 독립시킨 후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체제를 변경하였다. 2010년도에는 국립극단도 법인화하면서 국립창극단 등 전통예술 장르 중심의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립극장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고 미래에도 공연예술부문의 대표 극장으로서 위상과 아울러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되었다. 국립극장이 설립된 이후 관료 중심의 유연하지 못한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효율성과 책임성에 중점을 둔 책임운영기관으로의 변경은 기존의 관료주의적 운영에 변화를 주어 경영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여전히 문화예술기관으로서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적잖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만족할만한 운영체제로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전속단체를 포함한 국립극장의 운영 전반에 걸쳐 심층적인 분석과 아울러, 해외의 주요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립극장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환경과의 교류와 수용으로 고객 우선과 미래 지향적인 입장에서 국립극장의 운영에 관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립극장의 다양한 환경변화를 감안하면서 연관성이 긴밀한 분야인 조직 운영, 공연 진흥사업과 프로그램, 예술감독과 전속단체 등을 분석하여 쟁점과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해외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쟁점과 비교 분석사항으로 SWOT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션과 개선전략을 설정하고 고객 지향의 장기적인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국립극장의 미션으로는 문화예술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 예술성 높은 작품 제작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민의 문화향수 증대를 위한 사업, 국내외 문화예술의 교류 협력사업, 공연예술 자료수집 및 연구기능 강화, 문화예술에 관한 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전략으로서는 극장과 전속단체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활성화, 작품의 창작과 연구 그리고 활발한 교류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공연예술 진흥을 위하여 정보화와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하고 풍부한 예술교육을 제안할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운영과 구조개선 그리고 극장과 전속단체의 관계 재설정과 함께 재정 체계의 경직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과 경영관리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극장장을 비롯한 직단원의 인사정책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립극장이라는 명칭을 공연예술분야를 포괄적으로 상징하는 것으로 변경과 함께 국립극장 무대에 올리는 공연예술 작품에 대하여 질적 수준을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진입로를 이설하는 방안과 함께 새로운 국립극장의 건립 방안도 검토하며, 문화예술 창작기관으로서 국민이 골고루 문화예술을 향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과 더불어 지역 국립극장이나 분관의 설립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장르별 전용 공연장으로 특성화와 함께 무대미술 제작 및 보관창고를 마련하며, 관객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을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접근성도 높여야 한다. 예술 창작의 지원을 위한 자문위원회의 개선방안이 있어야 하며, 민간 지원을 위하여 설립한 발전기금과 후원금에 대한 투명성과 객관성을 높임과 아울러, 후원회와 회원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로서 잠재적 능력과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인간을 형성할 수 있는 예술교육과 관객개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속단체의 기획 역량과 예술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레퍼토리시스템과 시즌 공연제 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국립극장 무대에 걸맞은 작품을 발굴하고 선정하기 위하여 레퍼토리개발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극장장과 예술감독의 역할과 책임성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간 역할의 범위를 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예술감독에게 제작과 공연에 관한 권한의 위임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예술적 성과와 정체성을 위해서는 극장장에게 운영과 프로그래밍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총감독으로서 경영부문과 예술부문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 복지를 위한 예술향수의 확대와 함께 공연 창작사업의 전문화를 위하여 프로그램의 선택과 집중, 홍보 마케팅 역량 강화, 해외 초청공연의 특성화라는 원칙을 제안할 수 있었다. 전속단체와 단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작품 제작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며 창작 중심의 예술조직으로 전환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제

      •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 작품 비교분석 연구 : -인천시립무용단 역대 예술감독 중심으로-

        박상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99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 작품 비교분석 연구 -인천시립무용단 역대 예술감독 중심으로- 박 상 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생활무용전공 인천시립무용단은 1981년에 창단되어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직업무용단으로 전국적으로는 네 번째, 시립무용단으로는 세 번째로 창단되어 현재까지 90회 정 기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역사적 깊이가 있는 무용단으로 꼽힌다. 그러나 이러 한 시립단체의 역사성을 기록하여 보존하는 기록물이나 연구논문은 전혀 없음 을 알 수 있다. 인천시립무용단의 정기공연 기록은 인천지역의 지역성, 정기공 연의 특성, 예술감독의 의도, 정기공연 작품의 연속성과 발전, 예술적 아이덴티 티 형성, 관객 만족도 등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드백 과정을 통해 예술단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예술적 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인천시립무용단의 작품을 분석하고 관객의 성향 을 파악하는 것은 인천시립무용단의 지속 발전 가능성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이 라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천시립무용단 예술감독이 이끈 정기공 연의 주제와 그에 따른 관객의 참여와 반응을 여러 시각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의 작품성향 비교분석은 김병석의 분류방법을 통해 주제를 분류하였고 둘째, 정기공연에 관해 필요한 문헌자료는 현장 조사를 통해 인천시립무용단의 연보와 정기공연 프로그램 노트, 서적 등을 수집하였으며 셋째, 초기 인천시립무용단의 정기공연 자료 정리가 안 되었거나 소실된 부분은 인천시립무용단 예술 감독과의 인터뷰, 초대 단원(송성주, 최공 주)들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기록하고 부족한 자료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에서 선호하는 주제는 전통의식적 주제, 문학 적인 주제, 역사적인 주제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주제로 작품을 안무한 감독님들 은 이청자 예술감독, 김영숙 예술감독, 홍경희 예술감독, 김윤수 예술감독, 손인 영 예술감독, 윤성주 예술감독 등이 있었다. 이 중 전통의식적 주제의 작품은 전통의식적 주제가 가지는 전통+의식이라는 명제 안에서 한국 춤이 기본이 되 는 전통무용, 민속무용, 신 무용, 종교의식, 제의 등을 주제로 한국 전통사상이 되는 정기공연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문학적인 주제를 다룬 정기공연은 소설, 극, 설화, 민담, 신화 등의 문학 작품에 영감을 받아 위 소재를 무용 언어로 해 석하였다. 극적 상황을 자유롭게 무대화시킨 작품으로 현시대에 맞게 재해석 및 구성하여 관객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역사적인 주제를 다룬 정기 공연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대의 역사적인 사건과 인물을 소재로 하였 다. 인물을 중심으로 춤과 음악을 통해 재현하고 관객들에게 역사적인 인식과 이해를 넓히는데 공감하며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할 수 있었다. 둘째, 추상적인 주제를 선호하는 감독님들은 이영희 상임 안무자, 민태금 상 임 안무자, 한명옥 예술감독이 있다. 추상적인 주제를 다룬 정기공연은 구체적 이고 명확한 주제보다 상징적이고 미학적인 표현으로 춤과 음악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을 다각도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은 관객들에게 감정적인 공감과 감동을 간접적으로 전달하였으며, 추상적인 예술의 미학을 관객들에게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인천시립무용단이 공연한 횟수는 총 39회이다. 그중 36회의 관객 수를 살펴보면 총 누적 관객 수는 55,594명으로 이러한 수치 는 19년 동안 한 해 평균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을 관람한 관객 수가 매년 2,926명으로 꾸준히 관객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정 관객층뿐만 아니 라 다양한 연령층과 관심층이 공연을 관람한 것으로 인천 지역 사회의 무용문 화예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발맞춰 인천시립무 용단은 다양한 형태의 공연 스타일로 관객 수를 높이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수 준 있는 공연작품으로 예술의 지속성과 지역 사회의 소통을 강화하려고 노력하 고 있다. 주요어 :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 작품분석, 관객 수, 예술감독

      • 국악관현악단의 악기편성 변화요인 연구 : 국립국악관현악단을 중심으로

        김석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3

        Traditional Korean Music Orchestras(or Gugak orchestras) have employed instruments without specific standard, resulting in inconsistent instrumentation between orchestras. This thesis aims to highlight the discrepancies in gugak orchestra instrumentation and analyze the causes of orchestral modifications. The divergence in the number of performers and orchestral positions have caused the following issues: 1) discrepancy between what a composer intended and how the musical piece is performed; 2)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group ensembles due to frequent use of guest musicians; 3) increasing influence of sound engineers’ mixing technique in music due to frequent use of microphones, apart from conductor’s interpretation or musicians’ expressions. This research examines changes in orchestral instrumentations of 18 gugak orchestras across South Korean history. In addition, the thesis particularly focuses on the National Orchestra of Korea’s performances from its birth to the present. The archival research practice, in this project, incorporates primary and secondary data, including historical materials and mass media articles. This further reveals variation, discourses, and causes of changes in gugak orchestra formation across different periods. This paper underscores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sizes of gugak orchestras in South Korea varied across orchestras, as well as time period. Second, there has been continuous decrease in the number of gayageum and geomungo while the number of piri, haegeum, and percussion performer has increased. Third,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permanent musicians in the National Orchestra of Korea has remained relatively steady, each art director has employed additional intern or guest performers driven by their musical tastes and intentions. Fourth, the use of synthesizers or Western instruments in the National Orchestra of Korea differed between art directors. For instance, Sang-hwa Choi and Sang-il Han frequently employed synthesizers while Byeonggi Hwang and Il Won used various Western instruments in the performances. Based on the research, this thesis propos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gugak instruments needs to be improved to amplify the sound for better tone quality. By doing so, gugak performance can ultimately present natural sound of instruments without using electronic amplifiers. Therefore, improving the instruments in gugak orchestras should be the first step to produce acoustic sound dynamics. Second, standardizing the formation of orchestras for wind, string, and bowed stringed instrument sections is needed. Like Western orchestras have achieved standardized instrument formations through continuous and cautious examinations, in-depth musical analysis of sound power output and tonal characteristics of gugak instruments is also required. The intentions of composers and conductors can be fully accomplished following the standardized rule. Third, orchestral positions should be appropriated throughout continuous experiments. Traditional monotonous system needs to be reexamined and there should be greater emphasis on musical characteristics of gugak instruments. Fourth, an enough number of musicians and permanent conductor should be employed to secure the quality of performances. Most importantly, constant feedbacks should be given to musical pieces performed multiple times, in order to continue musical experiments and establish frameworks for orchestra operation in the long run. 본 논문은 국악관현악단이 창단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인 악기편성 기준 없이 단체마다 임의적으로 편성하고 있음에 따라, 전국의 국악관현악단 단체 간의 편성구조가 상이함을 밝히고 편성의 변화요인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작성 되었다. 국악관현악단의 편성인원과 배치구조가 상이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은 첫째, 같은 곡을 연주할 때 단체마다 작곡가가 의도한 소리의 구현이 상이한 점. 둘째, 인원이 부족한 파트에 대해 불가피하게 객원연주자를 사용하게 되면서 단체의 앙상블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점. 셋째, 상이한 악기편성을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휘자의 해석이나 연주자의 표현 외에 음향기사의 믹싱기술이 음악에 또 다른 큰 변수로 작용하게 되는 점이다. 구체적 연구방법으로 전국 국악관현악단 18개 단체의 편성구조를 시대별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또 국립국악관현악단을 대표 표본으로 꼽아 창단부터 현재까지의 정기연주회와 의미 있다고 판단되는 기획공연의 악기편성자료와 그 당시의 신문, 잡지, 공연평 등을 수집하여 시대별로 어떤 변화와 논의들이 있었는지, 변화요인은 무엇인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점은 첫째, 전국 국악관현악단의 편성인원수는 악단별·시대별로 차이를 보인다는 점. 둘째, 시대에 따라 가야금, 거문고는 점차 인원수가 적어지는 양상을, 피리와 해금, 타악은 인원수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며, 전체 총인원수는 늘어난 점. 셋째,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총 정규 인원수는 창단 해를 제외하고는 대동소이하지만, 각각의 예술감독들은 인턴단원과 객원연주자를 통해 필요한 연주인원을 추가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예술감독의 성향과 방향에 따라 편성한 악기의 차이를 가진다는 점. 넷째,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악기편성에서 예술감독의 변화에 따라 신디사이저와 서양악기가 사용되었는데, 최상화·한상일 예술감독 체계에서는 신디사이저의 사용이, 황병기·원일 예술감독 체계에서는 서양악기의 사용이 두드러졌다는 점이다. 국악관현악단의 편성에 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관현악의 좋은 배합을 위해서는 악기의 소리크기를 확대할 수 있는 악기개량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국악기 본연의 소리만으로 공연할 수 있는 악기로 개량되어야 한다. 그보다 먼저 관현악의 음량의 다이내믹을 원활히 이뤄낼 수 있도록 악기개량을 하는 것이 관현악구성을 위한 첫 번째 과제이다. 둘째, 관악기·현악기·찰현악기 간의 체계적 편성 틀의 제작이 필요하다. 서양관현악이 오랜 기간 음악적 실험을 통해 구축한 편성 틀을 갖춘 것처럼, 국악기의 특성과 소리크기와 음향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체계적인 국악기편성 틀이 제작되어야 한다. 그 틀이 제시된 후에는 작곡가와 작품의 작곡 의도에 따라, 또 지휘자의 음악적 추구방향에 따라 악기구성의 의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배치에 관하여 계속해서 실험을 통한 합리적인 배치법이 제시 되어야 한다. 과거 고음하수 저음상수의 일률적인 관현악 배치법에서 벗어나 국악기의 악기특성을 고려한 배치법이 계속해서 실험되고 연구되어야 한다. 넷째, 연주에 부족한 편성인원을 인턴이나 객원연주자로 채워 운영하는 구조를 벗어나, 정단원수로 충분한 인력과 상주지휘자와 함께 운영되어야 한다. 배치와 편성에 대한 실험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같은 곡이 여러 번 무대에 올라갈 때 그것을 피드백 하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운영 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 문화예술기관의 자율성 연구 : 예술의전당 사례연구

        이철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문화예술기관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이다. 자율성은 정부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관계자율성(relational autonomy)과 기관 내부에 해당하는 내부자율성(internal autonomy)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관계자율성은 법적자율성, 구조자율성, 재정자율성으로 세분하였고, 내부자율성은 관리자율성, 정책자율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기관의 환경에서 정치적 환경과 경제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권 변화에 의한 정치적 환경 변화보다는 경제적 환경 변화의 영향이 더 크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전두환 정권 이후 민주화됨으로써 사회적 자율성이 높아졌고 정권 변화에 따라서 문화정책 이념이 정권마다 제시되었으나 예술의전당의 운영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에 급격한 경제적인 환경 변화는 문화예술기관 운영에 영향을 크게 미쳤고 지속적이었다. 1998년 정부는 운영 지침으로 80%의 재정자립도를 달성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서 예술의전당은 경영합리화 방안으로 조직과 정원을 감축하였다. 정부의 지침은 예술의전당이 운영 방향을 고유 목적사업 달성하는 공공서비스에서 재정자립도라는 경영적 성과 달성을 목표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양적 성과 달성이 예술의전당 운영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예술의 운영이 IMF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운영이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연구 결과 양적 성과에 치중하여 질적 성과와 차이가 나타났다. 그동안 양적 성과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질적 성과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한 결과였다. 오페라, 무용, 연극 등 고유 목적 사업 대신에 수익형 사업인 뮤지컬의 수입에 의하여 재정자립도를 유지한 것이어서 질적 성과는 낮았다. 정책자율성이 낮아졌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신자유주의 기간에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가 다르게 나타난 현상을 본 연구에서 자율성의 역설(autonomy paradox)이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율성의 역설이 정부의 지나친 개입으로 인한 목표 달성에 치우칠 경우에 질적 성과가 낮아질 뿐 아니라 조직의 운영 목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자율성이 기관 운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행정학적 함의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예술의전당의 창립기 부터 현재까지를 정권 변화에 따른 영향을 시기별로 분석함으로써 정치적 영향력 보다는 경제적 환경이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밝혔고, 예술의전당의 역사적 실체를 국정감사자료, 예술의전당 보고서, 계획서 등 구체적인 내부 자료를 근거로 하여 밝힌 것도 중요한 연구 의의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예술의전당을 창립기 부터 현재까지 구체적인 과정을 밝힌 연구로는 처음일 뿐 아니라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을 동시에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론화 할 수 있는 자율성의 역설을 발견하였고, 종적 연구의 첫 사례연구로서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결론을 요약하면 ①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환경 요인은 정치적 환경보다는 경제적 급변 현상의 영향력이 더 컸다. ② 신자유주의에 입각한 재정자립도 지침과 같은 정부의 성과주의는 예술의전당 운영을 양적 성과에 치중하게 한 원인이었고, 질적 성과를 낮게 하였다. ③ 따라서 재정자율성을 제외한 법적자율성, 구조자율성 등의 관계자율성과 ④ 조직, 인사, 예산 등 관리자율성과 고유 목적사업 추진과 관련된 정책자율성이 낮아지는 원인이었다. ⑤ 관계자율성과 내부 자율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면 내부자율성이 문화예술기관 운영의 성과를 더 좌우한다. 따라서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팔 길이 원칙은 준수될 가치가 있다. ⑥ 문화예술기관은 고유 목적사업이 예술활동에 있으므로 경영자(CEO)와 예술감독(artistic director)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고, 예술감독제의 시행이 중요하다. ⑦ 다른 문화예술기관의 운영 성과 분석 평가도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동시에 연구하여 운영실체를 밝힐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의 가치가 있고 실제로 문화예술기관의 운영 실태를 밝힐 수 있다. ⑧ 자율성의 역설이 문화예술기관에서 발견되어 자율성을 행정학에서 이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변수로서의 의의가 있다.

      • 제작극장 조명감독의 업무에 관한 연구 : 명동예술극장을 중심으로

        임일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062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제작극장 명동예술극장에서 조명감독이 연극의 제작에 관여하는 부분과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조명감독 업무의 내용과 범위를 명확히 하고자함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향후 설립될 제작극장에서의 조명감독 업무의 개선 방안을 강구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작극장과 임대극장의 종류에 따른 구분을 통해 제작극장의 특수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작극장의 조직 구성과 제작극장에 소속되어 업무를 수행하는 조명감독의 역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제작극장의 개념을 형성하고, 이 극장에서의 조명감독의 업무 제시로 제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근무 경험 바탕을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명동예술극장의 배경과 역사에 대해 소개하고, 제작극장과 임대극장의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또 사회적 역할과 기능에 있어서의 명동예술극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어서 제작극장의 조직 구성과 조명 팀의 업무 분장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명동예술극장이 제작하여 실행하는 공연의 종류를 분류하고 각 종류에 따른 공연을 서술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극전문제작극장인 명동예술극장의 조명감독이 수행하는 업무를 분석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제작극장 조명감독으로서 공연의 형태에 따라 수행하는 업무의 세부적인 부분을 살펴보았고 공연 외의 활동에 대해서도 연구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조명감독의 업무를 중요도 순서로 제시하였고, 각 업무별 특징과 수행하는 방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더불어 공연 준비 중, 공연 중, 대외 공연 중 세 가지의 공연 상황으로 구분하여 조명감독들의 배치 상황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결론으로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명감독 자격제도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 제작극장 조명감독에 대한 인식을 확립하기 위하여 조명감독들은 업무의 수준 향상과 전문성 증대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 셋째 조명감독이 수행하는 업무는 공연 제작 업무, 공연장에 대한 관리 업무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연 제작 업무는 제작극장 조명감독의 특수한 업무로써 조명디자인, 조명콘솔 프로그래밍, 조명콘솔 오퍼레이팅 등 공연의 전반적인 창작 작업을 수행하며 이 점이 임대극장의 조명감독의 업무와 큰 차이점으로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공연의 준비 과정, 공연 상연 과정, 대외 공연 중에 따라 극장 소속 조명감독의 배치와 역할의 변화 발생으로 전문 인력의 수가 부족하다는 점을 부각하고, 전문 인력 양성에 대해 피력하였다. 이 연구는 조명감독의 역할에만 천착하여, 조명감독의 직업적 신분에 관한 연구에는 미치지 못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range as well as the depth of involvement of a lighting director when producing a live drama at Myeongdong Art Theater, one of the leading producing house in Korea and to specify both the tasks and domain of a lighting director. Furthermore, it also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lighting directors who will be hired by subsequent producing theaters which are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reasoning from the development of culture. The study is based on distinctions of producing theaters from the rental theaters, basicall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 of producing theater, especially on how they operate and organize the group members and their tasks.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been done under the necessity of a study on the roles of lighting directors hired by producing theaters within their constitution. The research indicates about the concept of Myeongdong Art Theater on the basis of the period when they were self-supportive, and have put together the roles of a lighting director depending on the type of tasks. The 2nd chapter, in detail, specifies the differences between producing theater and rental theater with the background and the history of Myeongdong Art Theater, and also states the social role as well as function of Myeongdong Art Theater. In succession, there is an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organization based on both National Theater of Korea and Myeongdong Art Theater. Moreover, this chapter contains a research of self-produced programs of Myeongdong Art Theater by categories and the organizing method built on the circumstances of each performances. The 3rd chapter covers a research and analysis of tasks assigned to lighting directors at Myeongdong Art Theater, specialized at producing live dramas. Based on their job assignment, the works were able to divide into 8 detailed tasks, and examining each of those details led the thesis to also cover the distinctiveness that are required to the lighting directors as a professional manpower. Also, the duties are sectionalized into 3 situations which are preparing, proceeding and external assignments, to explain the working method among the handful of staffs. The thesis presents following as a conclus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for the lighting directors to make an individual effort towards improvement on levels of performances and adding expertise, in order to establish recognition of their roles at producing theaters, secondly, the necessity of expansion on hiring professional personnel owing to implementation and invigoration of the qualifying examinations for the theatrical technicians, and finally, distinction as a creator and administrator compared to the lighting directors of rental theaters and a movement to definitize this within the industry as well as by national dimension. Both the specificity and specialty of lighting directors participating as a production staff in producing theater should receive credit and be involved as a specialist in producing theaters which will gradually increase in near futur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elevating the cultural art industry. As this study is basically focusing on the role of a lighting director in producing theater, it hasn’t reached the ubiquitous positions of them in our society. Hopefully, expecting to proceed a research on this subsequently.

      • 중국 감독 쎄페이(謝飛)의 영화 서사 스타일 연구

        진려나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134

        이 기사의 연구대상은 중국 4 세대 감독 쎄페이(謝飛)의 영화 예술이다. 쎄페이(謝飛)는 4 세대 감독의 뛰어난 대표자이다. 그는 1990년도 부터 커다란 성취를 얻었으며 상당한 국제적 영향력을 가진 중국영화 감독이다. 수년 동안 쎄페이(謝飛)는 예술 영화 촬영을 고집하고 독특한 예술적 스타일을 형성했다. 쎄페이(謝飛)의 영화는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와 삶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재료 선택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쎄페이(謝飛)의 영화는 항상 고유한 특성을 유지하고 뚜렷한 예술적 개성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시적 기질과 예술적 스타일로 인해 그의 영화는 항상 일종의 예술적 시적 감정을 통해 실행된다.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is the film art of Xie Fei, the fourth generation of Chinese director. Xie Fei is an outstanding representative of the fourth generation of directors. He is a Chinese director, who has made great achievements since the 1990s, and who has had considerable international influence. Over the years, Xie Fei has been insisting on shooting art films, and has formed a unique artistic style. Xie Fei's films have very different themes and strive to show a diverse culture and life. However, no matter how the choice of materials changes, Xie Fei's films always keep their own mark and have a distinct artistic personality. Because of his own poetic temperament and artistic style, his films have always run through a kind of artistic poetic e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