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인과 원어민의 영어 이중모음의 음향적 특성 비교 연구

        이진주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coustic characters of English diphthongs spoken by Korean speakers and English speakers and to find out errors in pronunciation caused by Korean speakers compared with English speakers. Te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five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ive English dipthongs ([ow],[ej],[aj],[ɔj],[aw]) were recorded and they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nglish diphthongs produced by Korean speakers were usually not diphthongs but a sequence of independent phonemes that is, they are produced longer than those of English speakers. But the diphthong[ow]of Korean speakers was pronounced shorter than that of English speakers. This is because Korean speakers pronounced as a monophthong, not a diphthong. Korean speakers made mistakes in articulating diphthongs compared with English speakers. They tend to have a higher frequency than English speakers because they pronounce diphthongs like two separate monophthongs and also articulate independent tense vowels. In fact, in the pronunciation of diphthongs, the tongue moves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The two articulations of a diphthong can be described as the nucleus plus a glide; the nucleus is that part of the diphthong which is sustained the longest, while the glide can be thought of as a more transient sound which provides a transition into(i,e. preceding) or out of (i.e. following) the nucleus. In conclusion, teachers should instruct students not to produce a sequence of independent phonemes when they pronounce the English diphthongs: one of the two vowels is strong and long, and the other is weak and short. They should help students listen and produce correct pronunciations after educating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English diphthongs. * Key words: diphthong, monophthong, independent phoneme, tense vowel, 본 연구는 한국인이 발화한 영어 이중모음과 영어원어민이 발화한 영어 이중모음의 음향적(실험적) 특성을 비교하고 분석하는데 있고 한국인의 이중모음 발화를 원어민과 비교하여 나타나는 발화오류와 문제점을 밝혀내는데 있다. 비교분석한 음은 영어 이중모음으로, 영어 원어민 5명과 한국인 대학생 10명의 두 집단을 대상으로 영어 이중모음[ow],[ej],[aj],[ɔj],[aw]를 음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한국인의 발화가 원어민과 비교하여 이중모음의 구간별 시간적 길이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문제점들로 인해 한국인의 이중모음[ow]는 단모음으로 잘못 조음되어 원어민보다 짧게 발화되었다. 실제 이중모음을 앞 음은 길고 강하게 뒤 음은 짧고 약하게 발화해야 한다(Roach, 1991)라는 사실을 모른 채 이중모음[ow]를 제외한 나머지 이중모음들은 두 개의 모음 연접(모음+모음)처럼 길게 발음되어 이중모음 발화가 제대로 되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인의 외래어의 이중모음 분석결과에서는 외래어의 이중모음이 일반단어의 이중모음보다 더욱 두 개의 개별음가로 발음되어질 것으로 예측했으나 외래어라고 해서 더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하지만 평균값을 비교해보면 외래어의 두 번째 안정구간(second steady state of formant)이 약간 더 길게 나타나 외래어가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제대로 이중모음을 발음되어지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인의 이중모음 조음활동이 원어민과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제 2 포먼트 값의 비교에서는 한국인의 제 2 포먼트의 값이 대개 원어민보다 거의 모든 이중모음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앞서 제 2 포먼트의 구간별 길이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이중모음 발화가 마치 두 개의 모음 연접처럼 개별음가로 발음하는 것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한국인은 이중모음을 독립적인 긴장 모음(independent tense vowel)으로 달리 발음하기 때문에 제 2 포먼트의 값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차이는 한국인의 조음하는 구간의 폭 즉, 이중모음의 큰 특징인 전이하는 구간(transition)의 폭이 원어민보다 좁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인의 영어의 모든 모음들은 원어민의 영어모음보다 좁은 구역 내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인과 원어민은 이중모음 발화를 매우 다르게 발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한국인의 이중모음 발화가 원어민의 발화와 비교했을 때, 발음상의 오류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영어 학습자에게 영어 이중모음을 발음지도하기 위해서는 발음기호에 대한 단순 암기 보다는 깊이 내재화된 이중모음의 인식능력이 필요하고 조음적 측면에서 영어 이중모음의 음향적 특성을 계속해서 인지하고 발음할 수 있는 교육이 좀 더 구체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주제어(Keyword): 이중모음, 단모음, 긴장모음, 안정구간, 전이구간

      • 음운 환경이 영어 모음 길이에 미치는 영향

        윤광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원어민과 전라 방언을 사용하는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발음한 영어의 모음 길이를 음향 분석 기기인 CSL(Computerized Speech Lab)를 통해 음운 현상과 일치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영어의 모음 길이의 환경은 고유 성질과 인접 환경에 의해서 변화가 일어난다. 본 논문에서는 고유 성질에 의한 실험으로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 길이, 이중 모음과 단모음 길이를 비교하였고, 인접 환경에 의한 실험으로 개방 음절의 모음과 폐쇄 음절의 모음 길이, 개방 음절의 모음과 유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 길이, 유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과 무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 길이를 비교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에는 영어 원어민 네 명과 전남 출신의 한국인 영어학습자 여덟 명의 피험자가 참여했으며, 영어 원어민은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모음 길이에 대한 비교 대상으로 삼고자 했다. 총 12명의 피험자들로 하여금, 직접 microphone을 통해 실험 자료인 최소 대립 여덟 쌍의 단어를 네 번씩 반복하여 녹음하였다. 이 실험 자료는 각각 CSL에서 분석되었고, 그 결과는 T-검증 방법으로 유의미적인 차이의 여부를 알아보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모음 길이는 영어 원어민의 경우와 다르게 나타났고, T-검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두 그룹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길이를 비교해 보면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학습자 모두 긴장 모음을 이완 모음보다 약 1.5배 길게 발음하였다. 셋째, 이중 모음과 단모음 길이를 비교해 보면 영어 원어민은 이중 모음을 단모음보다 약 1.4배 길게 발음하였다. 반면,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경우에는 약 1.6배 길게 발음하여,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영어 원어민보다 약 1.1배 길게 발음하였다. 넷째, 개방 음절의 모음과 폐쇄 음절의 모음 길이에서는 영어 원어민은 개방 음절의 모음을 폐쇄 음절의 모음보다 약 1.2배 길게 발음하였다. 반면,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경우에는 약 1.5배 길게 발음하여,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영어 원어민보다 약 1.3배 길게 발음하였다. 다섯째, 개방 음절의 모음과 유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 길이에서는 개방 음절의 모음과 폐쇄 음절의 모음을 비교하기 위해 예로 든 단어가 같기 때문에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여섯째, 유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과 무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 길이에서는 영어 원어민은 유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을 무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보다 약 1.8배 길게 하였으나,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경우에는 약 1.5배 길게 발음하였다. 따라서 영어 원어민이 한국인 영어학습자보다 약 1.2배 길게 발음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발음한 영어 모음 길이 중 영어 원어민의 모음 길이에 가장 근접한 환경은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 길이의 비교이며,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 환경은 유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과 무성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 길이의 비교이다. 이는 올바른 영어 발음 학습을 위해서는 영어의 개별 음가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습득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English vowel length between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from Chonnam Province using a Computerized Speech Lab(CSL). The environment that affects English vowel length is changed by the inherent quality of vowels and adjacent environment. In this study, as the first experiment caused by inherent quality, the length of tense vowel vs. lax vowel and diphthong vs. monophthong were compared. And as the second experiment caused by adjacent environment, the vowel length of an open syllable vs. the vowel length of a closed syllable, the vowel length of an open syllable vs.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d consonant and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d consonant vs.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less consonant were compar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people: four English native speakers and eight Korean English learners from Chonnam province. They were asked to pronounce the eight minimal pair words four times through the microphone. T-test was used to check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aforementioned five compari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owel length of Korean English learners was different from that of English native speakers and the result of T-test represent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length of tense vowel was 1.5 times as long as that of lax vowel, and both groups showed the same result. Third, in the case of English native speakers, the diphthong was 1.4 times as long as the monophthong, but, in the case of Korean English learners, the diphthong was 1.6 times as long as the monophthong, thus, the latter was 1.1 times as long as the former. Fourth, in the case of English native speakers, the vowel length of the open syllable was 1.2 times as long as that of the closed syllable, but, in the case of Korean English learners, the vowel length of the open syllable was 1.5 times as long as that of the closed syllable. The latter was 1.3 times as long as the former. Fifth, the vowel length of an open syllable vs.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d consonant showed the same result as the vowel length of an open syllable vs. the vowel length of a closed syllable because of the same words. Sixth, in the case of English native speakers,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d consonant was 1.8 times as long as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less consonant, but, in the case of Korean English learners,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d consonant was 1.5 times as long as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less consonant, thus the former was 1.2 times as long as the latter. Consequently, for Korean English learners, the nearest environment to English native speakers' vowel length w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ense vowel with lax vowel. And the farthest environment w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d consonant with the vowel length followed by a voiceless consonant. Therefore, for the adequate learning of English pronunciation, we need a clear and precise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about an individual phonetic value.

      • 한국인 성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의 영어 모음 발음 대조 분석 : 음향 분석과 청취실험을 통하여

        오연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thesis is to examine the way Korean adult learners of English and native English speakers produce English vowel sound through the acoustic phonetical analysis. The second aim is to find out which English vowels Korean students have trouble understanding through a listening experiment. Three Americans and six Korean adult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o measure the formant frequencies and the lengths of English vowels. They read test sentences including eleven vowels for recording. The result shows Koreans do not usually move their tongue as wide as Americans do. This may have caused by the language transfer from their own Korean language habit. Moreover Americans pronounce back vowels longer while Koreans make front vowels longer. The reason for that is Americans most likely use their tongue root more actively than Koreans. In the listening test, one American male and the same informants as the acoustic experiment were involve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English lax vowels such as /./ and /./ are the most difficult ones for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That is because Korean vowels do not distinguish lax and tense vowels as English vowels do. Therefore Koreans produce Back High Vowels such as /./ and /u/ nearly in the same area whereas Americans pronounce those vowels in two different spots. So English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English vowel sound system well and put an effort to teach their students English vowels more articulately and correctly. The findings of this experiment may help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of English in Korea as guidelines to some sources of Korean students. mispronouncing of English vowels.

      • 한국어 지역방언 사용자의 영어모음 교육을 위한 한·영 모음 비교연구

        안정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this thesis, we compared English vowels with Korean ones in terms of formant frequencies. This was to identify each position of the vowels in the coordinates representing the space in the oral cavity. It has been known that the first formant frequency (F1) is related to the tongue height, whereas the second formant frequency (F2) informs the tongue backness. Plotting the data points consisting of (F1, F2), obtained from the various previous studies of English vowels and the vowels of Korean regional dialects in two dimensional space. This is where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F1 or tongue height, and the horizontal axis corresponds to F2 or tongue backness, shows which English vowel is articulatorily close to which Korean vowel, or vice versa. In doing so, we used Bark scale to show perceptually equal intervals of pitch as equal distances along the scale. Graphical representation of vowels of Seoul and Kyungsang dialects on the same formant chart reveals that the speakers of Seoul dialect move the articulators more drastically than those of Kyungsang dialect. On the other hand, comparing Korean vowels of Seoul dialect with English vowels, Korean /어/ is articulatorily similar to English /ʌ/. While the vowels of Kyungsang dialect, /에(애), 어, 이/ are plotted similar to English /ɛ, ʌ, ɪ/ on the formant chart, respectively.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ies, /이/ the Kyungsang dialect is considered as lax vowel /ɪ/ rather than tense vowel /i/ in English. From these results, different approaches should be made to the speakers of different dialects when teaching pronunciation of English vowels. This is because some English vowels are more difficult for the speakers of one variety of dialects to learn than for the speakers of other variety of dialects. It will be desirable to have a different method for teaching pronunciations of English vowels, depending on the learner's dialect of his/her mother tongue. 영어의 모음과 한국어의 모음을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포먼트 주파수를 가지고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비교를 통해서 한국어 모음과 좀 더 유사한 영어 모음을 구분하고 상대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모음을 알아보았다. 한국어 모음은 지역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각 지역어의 모음 분포와 영어 모음 분포를 비교하여 지역어에 알맞게 영어 모음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새로운 학습 방법을 모색하였다. 서울 방언과 경상 방언의 모음 분포를 제 1 포먼트와 제 2 포먼트 주파수를 가로축과 세로축의 좌표로 나타내고 같은 모음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제 1 포먼트 주파수는 혀의 높이와 관련이 있으며 제 2 포먼트 주파수는 혀의 후설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 방언은 경상 방언에 비해 조음자의 움직임이 크게 나타났으며 영어의 모음과 비교했을 때, 서울 방언의 /어/는 영어의 /ʌ/와 조음 위치적으로 유사한 반면 경상방언의 /에(애), 어, 이/는 영어의 /ɛ, ʌ, ɪ/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전에 알려진 바와는 달리, 경상 방언의 /이/ 모음은 영어의 긴장모음 /i/가 아니라 이완모음 /ɪ/에 좀 더 가까운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어 모음 교수 시, 학습자의 방언에 따라 다른 학습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논문에서는 서울 방언 화자와 경상 방언 화자가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모음의 학습 방법을 기술하였다.

      •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모음 길이 인지 및 현황 연구 : 폐쇄음에 선행하는 모음 길이 차이를 중심으로

        양은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음성적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영어 모음의 이음 (allophone) 중 하나인 모음의 길이 는 이해가능정도의 발음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습득 해 야 하는 영어 발음 요소 중 하나이다. 영어 모음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개음절 (open 에서 가장 길게 발음되며 폐음절 (closed 에서 더 짧게 발음된다 폐음절 중 에서도 모음의 길이는 어말 유성음 일 경우 어말 무성음일 때보다 더 길게 발음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은 어말 유성음에 선행하는 모음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발음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음의 길이 차이를 잘 인지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2 학년 학생들 을 대상으로 후행하는 영어 폐쇄 음의 유 · 무성에 따른 모음의 길이 차이 인지를 탐구 하고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발음 지도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서울 소재 고등학교 한 곳과 대전 소재 고등학교 한 곳의 2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모음 길이 차이 인지평가 와 영어 발음에 대한 인 식을 조사하였다.

      • 폐쇄음 앞에서 영어모음의 길이차이에 대한 발화 연구

        김온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의 목적은 음향ㆍ음성 실험을 통하여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영어모음 발화의 길이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 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 모음길이가 차이를 보이며 발화되는 환경 중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 길이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 소재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10주간의 영어 발음 교육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한 핵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모음 길이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 화자들의 모음 길이를 비교ㆍ분석 하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발음 교육을 실시하고 이들의 교육 전 녹음 데이터와 교육 후 녹음 데이터를 비교하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을 위하여 단모음 단어 중 종성자음이 폐쇄음으로 끝나는 영어 단어 60개를 선정하였다. 실험 목표 단어는 종성의 유ㆍ무성의 자질이 최소대립쌍이 되는 서른 쌍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10명과 미국 동부지역 출신의 원어민 화자 3명에게 동일한 단어의 목록을 읽게 요구하였다. 녹음 된 자료는 프라트(Praat)를 통해 모음 길이를 측정(ms)하고 모음과 종성자음 간 길이의 비율을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의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 자료는 통계프로그램(SPS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는데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와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 그리고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교육 전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 발화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가 있었다. 즉,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발음 교육 전 종성 자음의 유ㆍ무성에 따라 모음길이에 차이를 두고 영어단어를 발화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교육 전 한국인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의 발화 길이와 비율은 원어민화자의 발화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원어민 화자에 비해 무성폐쇄음 앞에서 모음을 조금 더 길게 발음 하였고 유성 폐쇄음 앞에서는 조금 더 짧게 발화하였다. 즉, 유ㆍ무성 폐쇄음 앞에서 모음 길이의 평균차이는 원어민의 발화에 비해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 후 한국인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의 발화 길이와 비율은 원어민화자와 비교해 보았을 때, 모음길이는 무성폐쇄음 앞의 모음 길이는 교육 전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성폐쇄음 앞의 모음 길이에서는 오히려 더 짧아진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반면 모음길이의 비율에 관해서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모음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단모음 내에서 음절 어말에 나타나는 유ㆍ무성 폐쇄음 앞에서 유의한 차이를 두고 모음을 발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원어민의 발화에 비해 두 환경의 모음 길이 차이의 폭은 작았고 교육을 통한 변별적 발화능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았음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orean learners' vowel length differences in a rhyme with a stop coda. A 10-week course on English pronunciation was provided to 10 female learners studying at a university located in Busan. Research aims are as follows. First is to compare vowel lengths in the rhyme with a voiceless or voiced stop coda of Korean learners with that of native English speakers. The second is to verify the effect possibility of pronunciation training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vowel duration between Korean learners' pre-recording and post-recording. In experiment, both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read selected words with a voiceless and voiced stop at coda and the pronunciations were recorded. In the recordings, the duration is measured and examined using Praat. The measurements were used to implement independent samples t-test, paired samples t-test and two-way ANOVA through IBM SPSS ver.2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n learners case, the vowel length in front of a voiceless and voiced stop has meaningful differences before pronunciation training. However, the gap of duration in two contrastive condition is more significant in natives' case.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pronunciation learning, pre-record and post-recor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paired t-test result, there is no improvement. This results show Korean learners originally make a distinction between two contrastive conditions. However, compared with native speakers, range of gap is bigger than Korean learners. In addition, short-time pronunciation training cannot reduced this gap.

      • 영어 모음에 관한 청취력 분석

        박재홍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31

        인간이 동물보다 더 위대한 존재가 된 까닭은 인간의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이 내재되어 있는 심층세계에 대한 표현, 감각적인 사실들에 대한 느낌과 체계화되거나 무질서한 의식들에 대한 논리적인 표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린 점에서 구두언어(verbal language)에 의한 표현은 여러 가지 형태의 표현 중에서도 가장 직접적이고 알아듣기 쉬운 것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21세기에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인류의 보편화된 가치를 중심으로 범세계적인 교류확대가 예견되고 있다. 우리의 청소년들을 이러한 교류확대에 적응하고,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세계인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세계 공통어가 되다시피한 영어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켜야 하며, 특히 영어 청취력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이 중요하다. 제5차 교육과정까지는 주로 단순한 단어암기, 문법교육, 문장전환에 대한 학습, 문장해독능력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제6차 교육과정에 들어와서는 중등학교 수업현장에서 듣기(listening)와 말하기(speaking)에 많은 비중을 둔 영어학습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와 영어의 음소체계나 조음 양식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청취력 강화 학습이 절실히 필요하며, 특히 미묘한 혀의 움직임에 주로 의존하는 모음발음에 대한 청취력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교수 학습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학생들의 영어 모음 청취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알아내고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듣기시험(listening test)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음과 그 이음(allophone)인 /□/음의 청취구별이 가장 잘 안되고 있다. 둘째, 학생들은 /ε/음과 /æ/음을 혼동해서 듣고 있으며, 각각의 음의 발음 방법과 발음할 때의 턱의 높낮이 정도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있다. 셋째, 후전이음(off-glide)의 청취에 문제가 있으며, 특히 /□/와 /ou/음의 구별, /ε/와 /ei/음의 구별이 잘 안되고 있다. 넷째, 우리말에 없는 긴장모음(tense vowels)과 이완모음(lax vowels)에 대한 청취력이 낮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학생들이 위에 언급한 모음음소들의 조음위치나 발음 방법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어서 생긴 것들로서, 이의 개선과 해결을 위해서는 영어교사가 먼저 학생들 앞에서 입술모양이나 혀의 위치, 턱의 높낮이 등을 먼지 시범(modeling)해 보이고 학생들이 따라 하면서, 바람직한 영어음을 낼 때까지 반복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다음, 먼저 최소 대립어(minimal-pairs)를 사용하고, 그 다음에 짧은 문장을 연습하는 순서로 발성과 청취를 반복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tape-recorder, 실물 화상기, video tape등의 교육 기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ability of listening vowel sounds and to help teachers to teach English vowels in a more practical way. English has many vowel phonemes that are systematically different from Korean ones. In addition, there are clear distinctions between tense and lax vowels, and even some vowel phonemes are not in Korean. Because of these phonologicall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students often have difficulty hearing unfamiliar sounds or he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ome sounds in learning English.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 have had some vowel sound listening tests to my high school students for two years, using many different types of exercises with sound contrast pairs. All exercises were recorded on the cassettes.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s. (1) Most senior high school students showed more abilities in listening /□/ ↔ /a/, /□/ ↔ /u/, /æ/ ↔ /□/, /i/ ↔ /□/, /æ/ ↔ /a/, /æ/ ↔ /ai/ sound contrast pairs. Also, the second year students make a greater progress than the first year students in listening these sound contrasts. (2) Most students have difficulty listening /□/ ↔ /□/, /□/ ↔ /□/, /□/ ↔ /□/ sound contrasts. More listening practice on these vowel sounds is required. (3) Perceptual confusion between /ε/ and /æ/ is more recognizable. Most students lack particular attention for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manner of articulation in terms of vowel distinctions. (4) Most students don't distinguish /□i/ from /□/ in the listening test. Especially in the case of /□i/, students have some problems in listening off-glide sounds.

      • 고등학생 영어모음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한 최소대립쌍(minimal pairs) 활동의 효과 연구

        이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비교적 분절음 간의 구분이 분명한 영어자음과 달리 영어모음은 조음의 연속선상에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각 모음의 미세한 차이를 구분하여 발음하기 어렵고, 또한 비슷한 한국어 모음으로 대체하여 습득하는 성향에 의해 올바른 모음발음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서로 구분하여 발음하기 어려운 영어 모음 발음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음성학적 지식을 사용하여 각 모음 간의 차이를 설명 할 수 있는 최소대립쌍 활동이 모음발음에 효과적인 활동으로 판단하여, 최소대립쌍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발음 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3명의 여학생과 7명의 남학생 등 총 20명의 고등학생들이 최소대립쌍 활동 이후 모음 최소대립쌍이 포함된 문장을 읽고 녹음한 후, 녹음된 발화의 음성적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원어민이 발화된 모음을 듣고 학생의 의도대로 들었는지 이해가능성을 알아보는 발음 식별 실험을 시행하였다. 최소대립쌍 활동에 쓰인 영어 모음은 8개([i], [ɪ], [ɛ], [æ], [ɑ], [ɔ], [ʊ], [u])의 단모음이다. 그 중에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4쌍의 최소대립쌍([i]와 [ɪ], [ɛ]와 [æ], [ɑ]와 [ɔ], [ʊ]와 [u])은 모음의 연속선상(continuum)에서 서로 인접해 있는 모음이다. 활동은 12차시로 3주간 진행하였고 활동 후 학생들의 모음 발음을 음성적 측면과 인지적 이해가능성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음성적 측면의 분석에서는 학생들이 발화한 모음의 F1값과 F2값을 측정하여 활동 전후를 비교하였다. 인지적 이해가능성의 측면에서는 원어민 청자가 참여한 발음 식별 실험을 진행하였다. 음성적 측면에서 활동 이후 학생들의 모음 발화에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인접 모음인 [i]와 [ɪ], [ɛ]와 [æ], [ɑ]와 [ɔ], [ʊ]와 [u]에서 각 모음의 F1, F2 값이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할 만큼의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최소대립쌍 활동은 학생들이 인접 모음들을 음성적으로 차이가 나게 발음하는데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이해가능성 점수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원어민이 듣고 식별한 이해가능성 점수에서 여학생 발화의 경우 [ɪ], [ɛ], [æ], [ɑ], [ʊ], [u]의 이해가능성 점수는 활동 이후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i]와 [ʊ]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i]와 [ɔ]를 제외하고 모든 발음에서 활동 이후 이해가능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원어민이 여학생과 남학생의 발화에서 모두 식별에 어려움을 겪는 발음은 [i]와 [ʊ]로 나타났다. 음성적 특성에 큰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해가능성 점수에 변화가 생긴 것은 조음기관의 높낮이와 전후방성을 나타내는 F1, F2보다는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길이의 차이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최소대립쌍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영어 발음의 음성적 변화를 가져 오는 데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지만, 영어 원어민이 인접 모음을 듣고 의도대로 식별하는 이해 능력 향상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inimal pair activities in teaching English vowels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enty high school students (13 female and 7 male students) recorded the carrier-phrase sentences which contain minimal pairs of English vowels after minimal pair activities and the acoustic change and the intelligibility of the vowels were analyzed. Eight vowels, [i], [ɪ], [ɛ], [æ], [ɑ], [ɔ], [ʊ] and [u],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owel continuum, were included in the activities. The minimal pair activities were conducted over the time span of twelve periods in three weeks. Students' vowel pronunciations were then separately analyzed in the aspect of acoustic change and perceptual intelligibility of vowels. In respect to acoustic change, the F1 and F2 values of the students’ vowel produc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In terms of perceptual intelligibility, sound identification tests were conducted by a native listener with the students’ recordings of the vowels in carrier-phrase sent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re were slight changes acoustically in students’ vowel production after the activities, the changes did not lead to differentiating the adjacent vowels, between [i] and [ɪ], between [ɛ] and [æ], between [ɑ] and [ɔ], and between [ʊ] and [u]. This reveals that minimal pair activities were not effective in acoustical differentiation of adjacent English vowels. Nevertheles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intelligibility scores. Th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elligibility scores by the native listener in [ɪ], [ɛ], [æ], [ɑ], [ʊ], [u],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i] and [ʊ]. [i] and [ʊ] were most difficult vowels for the native listener to identify in the sound identification tests. The reason for this improvement can be attributed to length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ctivities. In conclusion, even though minimal pair activities were not effective in changing the quality of English vowels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y can at leas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intelligibility of some vowels, possibly as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adjacent vowels was improved.

      • 한국인 영어 학습자를 위한 음성 언어 명료도를 강화한 영어 모음 강조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손현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vowels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emphasizing English vowels for speech intelligibility. Although there are many good model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vowels for Korean students and teachers, they still have difficulty producing and perceiving English vowels correctly, which play linguistically crucial roles in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English native speakers. Vowels are the sounds carrying emotional messages that cause some misunderstanding or embarrassing situations between Korean English speakers and natives. So this author attempts to propose a better way to acquire, produce and differentiate various English vowels by developing such a special training program with manipulated vowel sounds to recognize, differentiate and produce the vowel sounds more efficiently and to improve Koreans' communication and conversation skills. Five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a perception test to find out the most intelligible combination of suprasegmental features(duration, pitch, and intensity) after manipulating the features by 1.2, 1.4, and 1.6 times. Thirt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o measure the student's English listening achievement. They were subsequently divided into 2 groups of 15 students each: an experimental group (EG) and a control group (CG). The CG was trained in a normal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vowels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G was trained in a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vowels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emphasizing English vowels for speech intelligibility. The experimental condition consisted of a training program in the recognition, differentiation, and production of various vowel sounds. The program spanned an eight-week period with 5 days a week and 50 minutes per lesson. The materials for the protocol were composed of audio recordings professionally recorded at a recording studio by acoustic engineers. The audio materials consisted of 12 English vowels produced in isolation, in words and in sentences. Each vowel, within a word or a sentence was read once by an English native speaker. The duration and intensity of the vowels were then manipulated to have values 1.2 times greater by Praat 4.4.2 to enhance their intelligibility. Such intelligibility enabled Korean students of English to be exposed to more intelligible environments of a particular vowel sound. It was hypothesized that such an exposure to more intelligible environments would enable the subjects to recognize, differentiate, and produce the vowel sounds more efficientl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test, it was shown that the most intelligible combination of acoustic features is the duration and intensity with various manipulating scales. Second, in the pre- and post-test of the students' English listening achievement, EG obtained higher scores in the post-test than they did in the pre-t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ores was significant in the t-test. Also, the CG obtained higher scores in the post-test than they did in the pre-t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ores was significant in the t-test. However,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EG was higher than that in CG. This means that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sound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English listening achievement. Third, in the EG the improvement of tense vowels /i, u, ɔ/ whose vocal tract was held relatively constant was higher than that of lax vowels in any combination of suprasegmental features and manipulating scales. In conclusion,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sound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Korean students' English listening achievement especially, in the basic level of phonemic awareness. So, the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vowels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by emphasizing English vowels for speech intelligibility provides a great solution for teachers looking for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for their students. Putting these findings into practice, however, inevitably involves more researches on increasing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sounds in various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