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 방안

        심연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for fourth grade learners in the revised 7th English national curriculum which i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09). To achieve such objectives, the following has been done.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reading contents and criterion of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in both the 7th English national curriculum and revised 7th English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reconstruction of the textbook for various reading activities and increasing number of English class hours were performed. Lessons of textbook are organized to teach eight periods so that learners had two English classes a week other than one which they used to had in 7th national curriculum. Third, two classes of 4th graders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jeon city,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30 male and 29 female students. At the onset, basic data was collected though a questionnaire in which all 59 students participated. The data was analyzed in four facets: experience of English learning, experience of English Reading, preferred learning activities and expectation of learning English twice a week.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experiment in the cognitive domain, English reading achievement test was giv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For the same reason the affective domain, the questionnaire as to students self-confidence, anxiety, interest,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bout English learning was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middle of the experiment, change of participation was conducted by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 and a survey on students' self-test about interest,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was performed. And furthermore, students' reflective writing after experiment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from the English reading achievement test showed that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gradually improved after learning reading of the revised 7th English national curriculum. It has showed that self-confidence, anxiety, interest, and attitude in the affective domain improved and had meaningful results. Teaching two periods a week expanded to provide chances for students to learn reading English and kept up students achievement of reading ability. In conclusion,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criterion and numbers of English class hours of revised 7th English national curriculum had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Th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 above: Various lesson programs including more varieties of reading English should be developed. It showed some of low-level students were not improved in reading English test after the experiment. Teachers' elaborate advance preparation and development of various activities suitable for students' level are required so as to unfold good qualitative class. English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study ways to teach efficiently and create a variety of materials classes for written English which are newly adopted in revised 7th English national curriculum. 한국의 외국어로서의 영어 학습 환경은 학습한 구두 언어를 일상 대화에 사용하기에 어려우므로 초등학교에서는 현재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음성언어 중심의 수업보다 학생들에게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문자언어와 읽기에의 노출 기회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 맞추어 초등학교 4학년의 주당 수업 시수를 2시간으로 늘리고,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적용하여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재구성을 통한 다양한 읽기 활동의 수업이 학생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7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한 단원 당 8차시의 지도 방법을 구안하였다. 구안한 방법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여, 수업시수 확대에 따른 지도 방법이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적 측면에서는 사전·사후 읽기 평가를 실시하였고 정의적 측면에서는 정의적 영역 설문 및 학습자의 설문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읽기 능력의 변화와 읽기에 대한 관심도, 흥미도, 자신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 성취 기준을 적용한 읽기 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에게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음성 언어 위주의 수업보다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사전·사후 평가에서 상위권보다는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읽기 능력 향상의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의적 영역 설문 조사, 소감문 문항 분석 결과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한 주당 2차시 읽기 수업은 영어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영어 학습 태도, 만족도의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읽기 지도가 학생들에게 영어 읽기에 대한 욕구를 충족 시켜 주고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를 골고루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활동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기 때문이다. 셋째, 7차 교육과정의 음성 언어 중심의 학습으로 인해 읽기를 도외시 하여 오히려 영어 읽기에 대한 학생들의 기회를 제한시켰으나 주당 2단위 영어수업은 4학년 학습자의 읽기 기회를 확대하고 나아가 읽기 학습 능력을 고취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수업시수와 성취기준을 적용한 읽기 지도는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학습자들에게 읽기 학습을 통해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를 결부시켜 영어 읽기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주고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상위권 학생들은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 되어도 읽기 능력에는 변화가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선수학습과 영어 조기교육으로 상위권 학생들의 읽기 능력은 학교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수준보다 더욱 앞서가 있고 개정 교육과정이 높은 성취 기준을 요구하면 요구할수록 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사교육 시장의 교육열은 더욱 높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알맞은 활동 중심과 이해중심의 읽기 지도가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하위권 학생은 실력 향상의 편차가 많고 읽기에 대한 흥미도도 떨어지며 학습을 어려워하므로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이 적용될 경우 영어과 부진아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학생이 흥미도 검사에서 영어 읽기 학습에 긍정적 응답을 보였으나 하위권 학생들 일부는 읽기 학습이 어렵고 지루하다고 응답하였다.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읽기를 즐겁게 배울 수 있는 지도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읽기를 학습하면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문자를 쓰는 것에 대한 흥미를 표현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4학년에서 쓰기 성취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읽기 성취도는 매우 높았으나 문자 학습을 읽기에만 국한시키다 보니 쓰기가 배제된 문자 언어 학습이 오히려 쓰고 싶어 하는 학습자들의 요구를 묵시하게 되었다. 4학년에서 쓰기 성취 기준의 도입이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4학년에서 읽기와 쓰기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지도하는 방법에 대한 환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글 구조 도식화와 질의-응답 전략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동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글의 구조에 대한 지식이 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어 학생들의 읽기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보고, 도식화 전략과 질의-응답 전략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성남시 S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10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읽기능력이 동일한 3개 학급을 두개의 실험집단과 하나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두 실험집단의 학생들을 수준에 따라 상·중·하로 다시 나누고, 1주일에 5시간씩 총 2주에 걸쳐 10시간동안 도식화 전략과 질의-응답 전략을 지도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 구조의 도식화 및 질의-응답 전략의 지도는 학생들의 읽기능력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도식화 및 질의-응답 전략과 같은 읽기 전략을 지도하는 것이 읽기 전략을 지도하지 않은 것보다 학생들의 영어 읽기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서로 다른 읽기 전략을 지도한 두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향상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읽기 문항 유형에서 전반적인 향상을 보였다. 즉, 두 실험집단의 학생들 무두 내용일치, 요지추론, 글의 흐름파악하기의 유형에서 읽기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집단별이나 수준별로 향상의 정도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두 실험집단 모두 상대적으로 영어 숙달 정도가 낮으며 영어 읽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중위그룹과 하위그룹 학생들의 영어 읽기능력이 많이 향상되었다. 넷째, 두 실험집단 내에서 수준별 학생들의 읽기 문항 유형에 대한 성취도를 분석해 본 결과, 질의-응답 전략을 지도받은 중·하위그룹의 학생들은 요지추론과 내용일치에서 비교적 많은 향상을 보였고, 도식화 전략을 지도받은 중·하위그룹의 학생들은 글의 흐름파악하기, 내용일치, 요지추론에서 비교적 많은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글 구조의 도식화와 질의-응답 전략을 지도한 읽기 수업은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읽기 전략을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읽기 전략을 제대로 사용 못하는 중․하위그룹에게 보다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글의 구조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도식화 및 질의-응답 전략과 같은 읽기 전략을 좀 더 오랜 기간 동안 적극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읽기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영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웹 페이지의 전략적인 활용

        손영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영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웹 페이지의 전략적인 활용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손영희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정보통신 네트�p으로서의 인터넷은 다양한 상호 작용적 의사소통 매체로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 개선과 수업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 읽기 능력과 연관하여 생생한 자료들을 하이퍼텍스트 혹은 하이퍼미디어 기반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전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7차 교육과정의 바탕이 되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배양 할 수 있다. 2) 연구의 목적 EFL교육의 상황 속에서 웹을 이용한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수업을 전개함으로서 웹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 잠재력, 특히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으로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3) 연구의 제한 첫째, 단기적인 실험수업을 실시한 결과의 효과만 검증하였기에 실제 학교현장의 장기적인 연구의 효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자료 제시 순서는 연구자 임의로 정하여 학습 전이의 문제가 고려되지 못했다. 셋째,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내용은 유사한 연구논문의 설문지를 참고함으로서 그 제한점을 내포하고 있다. 2. 이론적 배경 1) 웹 기반 교육( Web Based Instruction) 학습이 일어나거나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웹의 특성과 웹이 제공하 는 자료들을 활용하여 전개하는 하이퍼미디어 기반의 교수 프로그램으로 설계가 잘된 WBI는 학습자 주도적인 교수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매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하이퍼미디어 환경의 발달로 웹을 이용한 교수 학습의 활용 가능성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2) 자기 주도적 학습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 욕구를 진단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며, 적합한 학습 전략을 선택, 실행하여 학습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 및 활동을 의미한다. 수업자와 학습자의 관계는 동등한 관계로서 학급자의 자발성, 주도성, 책임감 등과 같은 인성적 특성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학습 경험을 계획하고 필요를 진단하고 자원을 찾고 학습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개인이 주도권을 갖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3) 독해 과정 모형- 상호 과정 모형( interactive processing ) 읽기 과정은 텍스트의 단어들을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하는 상향식 과정과 독자의 예측 및 추측의 과정이 중심이 되어 의미를 파악하는 하향식 과정이 상호 작용하여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으로, 효과적인 읽기 지도를 위해서 교사는 교재 뿐 아니라 학습자인 독자와 관련한 요소-언어숙달 수준, 선험 지식, 정의적 측면-등을 고려하여 주어진 정보를 잘 연결하여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3. 연구방법 및 절차 1) 가설 설정 가설 1 : 웹 기반 교수 학습을 실시한 실험반은 통제반보다 읽기 능력이 더 많이 향상될 것이다. 가설 1 : 웹 기반 교수 학습을 실시한 실험반은 통제반보다 전반적인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와 흥미도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2) 연구 대상 및 기간 연구 대상 : 천안시 중학교 3학년 2학급 학생들로 3월에 두 연구 집단의 학력 수준에 대한 검사 결과 동질집단으로 구성되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 기간 : 2003년 4월부터 9월 말 ( 약 6개월 ) 3) 연구의 설계 연구 도구 : 설문지- ①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웹 활용 실태, 웹 활용 수업의 필요( 사전검사 ) ② 결과분석을 위한 설문지 -태도와 흥미도 변화(사전사후검사) -문항평가지-읽기능력 평가(사전사후검사) 연구 가설 검증방법 : 이질통제 집단 전후검사 설계방법(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으로, 두 개의 자연 집단을 사용하되 한 집단에게만 처치를 함으로써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설계이다. 통계 패키지 SPSS-PC+10.0 프로그램으로 T검증을 하였다. ① 가설1의 검증 : 도학력평가의 독해력 측정부분을 웹 기반 교수학습의 적용 전, 후의 결과를 통계프로그램으로 T검증하였다. ② 가설2의 검증 : 웹 기반 교수학습의 적용 전, 후의 태도와 흥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긍정적인 질문 문항과 부정적인 질문 문항으로 나누어 5 단계 평가척도에 의한 분석 결과를 통계프로그램으로 T검증하여 그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4. 연구의 실제 1) 시간 운용 및 지도 방법 통제반은 차시별 지도 계획에 따라 교과 내용에 대한 충실한 수업을 전개하였으며, 실험반은 5명을 7개조로 편성하여 주 1회 수업을 ICT실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웹 활용 읽기 교수-학습 활동을 위해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 단계별로 구분하여 조별로 부여된 활동학습지 과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방과 후 ICT실을 개방하여 적극적인 상호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2) 지도 내용 및 절차 ① 학생들의 흥미 유발을 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1단계- 학생들의 흥미와 경험 파악 2단계- 인터넷상의 학습 자료 수집 3단계-수준별 및 학습과정 단계별로 학습 자료의 재구성의 3단계를 거쳤다. ② 지도 과정 1단계- 협력학습을 바탕으로 하는 수준별로 조를 조직하여 학습활동 2단계- 교사는 미리 관련 사이트를 검색, 자상한 안내와 설명을 제공 3단계- 수업 내용과 관현도니 학습 자료를 사전에 제작 활용 4단계- 수업 후 웹 활용 활동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 3) 웹 활용 읽기 학습 활동 단계 단순화된 수업 형태를 피하고 다양한 상황중심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시간 배정을 하였다. ① 읽기 전 활동 : 텍스트 도입 및 과제 제시- 과제는 학습자가 읽게 되 는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는 수행과제이다. 제목 및 소제목 찾기-내용 추론을 하고 읽기 중 활동으로 넘어가기 위한 과정 ② 읽기 중 활동 : 학습 자료 제시- 학습 내용 선정 이유, 사이트 검색 어휘 학습-맥락 안에서 어휘 공략 기술을 익히고 자유롭게 추측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유도 응집성 도구-글의 일관성과 체계를 유지해가는 특성을 인식하도록 함 연결사-문장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글의 흐름과 구조를 이해함 ③ 읽기 후 활동 : 이해도 측정-글을 다시 읽고 내용을 가볍게 측정 요약-전체 글 내용을 요약하여 이해도를 확인 내용 지도-글을 지도처럼 구조화하여 이해여부를 측정 5. 연구 결과 및 분석 1) 가설1의 검증 및 분석 -검증 표 생략 웹 기반 교수학습을 실시한 실험반은 통제반보다 읽기 능력에 있어 더 높은 향상을 보일 것이다. 실험반과 통제반의 읽기 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한 결과 통제 반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실험반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2의 검증 및 분석- 검증 표 생략 웹 기반 교수학습을 실시한 실험반은 통제반보다 전반적인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나 흥미도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실험반과 통제반의 태도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한 결과 통제반은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반은 평균이 높게 상승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업태도 향상에 웹 활용 수업이 긍정적인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실험반과 통제반의 흥미도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한 결과 통제반은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반은 평균이 높게 상승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략적인 웹 활용 수업이 흥미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6. 결론 및 제언 1) 결론 웹 활용 읽기 실험수업을 실시한 후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 다양한 웹 중심 활동을 통하여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텍스트, 이미지, 음성 형태의 멀티미디어 보조물 등을 이용한 인터넷 읽기 자료를 통해 읽기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또한 과제 해결 중심의 수업 진행은 학생들의 동기 부여와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였다. ② 웹 활용 수업은 영어의 정의적인 영역(흥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반 학생들의 흥미도와 태도에 대한 검증 결과 학생들 스스로 진행하는 수업에 더 적극적이고 활발한 참여를 하여 영어에 대한 흥미와 태도가 통제반에 비해 높게 향상되었다. ③ 웹 활용 읽기 수업의 효과를 위해서는 학습자 수준에 알맞은 양질의 수업 자료를 선정하고 그 활용 방법을 철저히 분석하여 지도 계획이 수립되어야겠다. 2) 제언 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은 웹을 활용한 교육으로 성취해 낼 수 있다고 보여 지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① 학습자 수준에 맞은 인터넷 학습 자료의 선정과 개발, 지도 전략이 뒤따라야 한다. ② 멀티미디어형 어학실이나 컴퓨터실을 영어교사가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른 교과간의 충분한 이해와 협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학기 초에 시수 배정을 할당받아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웹 활용 수업이 이루어 지도록 교과 과정상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③ 성공적인 웹 활용 수업을 위한 교사 자신의 자발적이고도 자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수업자는 새로운 매체 활용의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하겠다. ④ 교사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자료를 개발하고 또 이를 교사간의 학교별, 지역별 모임을 통해 양질의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Strategic Use of Web Pages to Improve Reading Skill Son, Young-he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ouse students' interest in studying English and to present an approach for improving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using the Web pages as a concrete and practical learning strategy. The subjects consists of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educated by the instructional program using the learning materials in various Web pag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educated by the traditional program. The number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32 senior students in middle school. The research has been made on its effects onthe students' attitude and interest in English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greater significant increases in both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general English proficiency for the upper level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positive and meaningful changes in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such as attitude, interest, and recogn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Web Based Instructions improves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increases their interest and attitude in English as well. Therefore, more researches should be made on thi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more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students' English ability.

      • Phonics지도가 초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이은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phonics 지도가 초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영어에 대한 흥미도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또한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읽기 지도에 phonics를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보다 효과적인 읽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phonics의 적용이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자들의 영어 소리와 철자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어떤 효과를 주는지 분석한다. 둘째, phonics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결과를 분석하여 개별 학습자의 읽기 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학습자의 읽기 단계를 분석한다. 셋째, phonics의 적용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이상의 연구 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남의 소도시에 있는 Y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 4명을 선정하였다. 4명의 학생들에게 5학년 수준에 맞는 phonics를 재구성하여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다. 영어 수업을 실시한 후 매 수업을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그것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대한 의문점은 면담이나 관찰을 통해 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honics를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은 영어 소리와 철자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특히 첫소리와 철자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과 단모음을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phonics를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과 읽기 단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 모두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읽기 단계도 모두 향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phonics를 적용한 읽기 활동을 통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개인별 단어 읽기 능력은 긍정적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단어를 읽지 못했던 학생들은 읽기에 흥미를 보이고, 단어를 자세히 보는 습관을 기르게 되었다. 학습자들의 태도에 있어서도 어렵다고 생각하던 읽기를 재미있는 활동으로 여기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 단어의 소리와 철자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phonics 학습 활동은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읽기 능력의 향상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켜 영어에 대한 전반적인 흥미와 태도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어 시간에 phonics를 적용하여 영어 단어 읽기 활동을 실시하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phonics는 학생들의 영어 읽기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의 신체적·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활동 중심의 다양한 phonics 적용 방법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초등 영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읽기 자료가 다양하게 구안되고 작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honics instruction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learners' interests and reading 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more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reading in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room. For research purposes, the following issues were addressed. First, it analyzed the effect the application of phonics would have on fif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glish alphabet and sounds. Second, by analyzing the result of phonics study before and after its application, the reading level and capability of individual learners can be determined. Finally, it analyzed the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phonics on the attitudes of fifth year elementary students toward reading in English. In order to analyze the above issues, four fifth year elementary students in Y Elementary School in a small city in Gyeongnam were chosen. The four students were provided with an English class with phonics instruction appropriate to the fifth year student level. After implementing phonics instruction in the English class,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research and participants engaging in activities were tape-recorded and analyzed. The analyzed results were supplemented through interview or observ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shown as follows. First, when phonics instruction was applied, the learners' abilit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s and the English alphabet was improved. In particular, the capability to understand short vowels and initial sounds and their corresponding letters greatly increased. Second, when phonics instruction was applied, all the learners' reading abilities and levels were improved, as is shown i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ird, the individual word read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have shown positive changes as a result of the reading activities applying phonics. Students who could not read any English words began to show interest in reading and studying words closely. Whereas, when the students began phonics lessons, they thought the reading was difficult, after studying phonics for some time, the attitude of the learners was changed and they found the activities interesting and showed strong motivation for the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To conclude, the phonics learning activities displaying the alphabet and sounds of words improved the reading abilities of learners. This improvement stimulates interest and motivation in the learners and greatly impacts students' overall interest and attitude with respect to learning English. Thus, the application of phonics instruction to English education could serve to develop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provide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edicated to determining how phonics instruction could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light of school children'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a wide variety of phonics materials will be developed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 영어학습에서 자가 평가가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신윤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assessment for learners' English reading ability using reading strategies. Also this research will get us some kind of relevance between reading strategies and English reading ability through the use of self-assessment. Self-assessment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recognize the reading goals and contents constantly and to establish the directions of the reading. Through this activity, this study is to find how self-assessment affects interest in reading. For this study three hypotheses have been set up. First, the use of self-assessment after reading class is expected to make improvements on students' reading ability. Second, the use of self-assessment after reading class is expected to help the learners use more reading strategies. Third, self-assessment will be helpful to raise learners' interest in English and improve their attitude and participation in class,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of the class.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0 second-graders in a middle school in Je-cheon, Chung-buk Province. The procedure of the experiment goes through the self-assessment format I develope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 post-accomplishment reading test, diagnosis survey and post-survey were conducted. Self-assessment material was made for the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and was conducted for about 20 minutes after each reading class. The total experimental period was 16 weeks, and the material was about lesson 7 through 11 of the textbook. And when there were more reading texts in a certain lesson, the self-assessment material was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exts. Self-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e sixth period of nine period lessons and tried to help the learners reflect on their reading and recognize the content and goal of the reading. Moreover, the specific questionnaire of self-assessmen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monitor their attitude toward the class and reading strategies. Teacher's comments on the self-assessment material help them sustain the effect of the assessment and find their weaknesses and areas where they need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assessment was very effective to make the learners get higher scores on the reading test than before. Three groups of learners divided by a diagnostic reading test got higher scores. However, the middle-level group and the low-level group were much more enhanced in scores than the high-level group. Second, the usage of reading strategies was enhanced through self-assessment, especially in the middle-level group and the low-level group. The usage of reading strategies in their groups increased a lot compared to the high-level group. Third, through a diagnosis survey and a post-survey, self-assessment mad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learners' affective domain such as learners' interest about English and attitud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class. Based on the results, we can gain some expectations. First, when self-assessment is conducted continuously, it will expel the learners' anxiety about reading, and then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will be surely enhanced. Especially,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the low-level learners who don't know reading strategies and middle level learners who try to overcome their ability with reading strategies than high-level learners who already know and use the reading strategies. Second, self-assessment let us know the learners' strategies, and through this learners' reading ability can be predicted. It also gives some directions to teachers on how they can teach certain guidelines to learners. In conclusion, learners should constantly diagnose problems and monitor their progress through self-assessment. Self-assessment provide learners with more awareness of their minds in the read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he change of learners' mind is needed like that test or assessment i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And people's active use of self-assessment in reading will be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읽기에서 자가 평가의 실시를 통해 자가 평가와 영어 읽기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자가 평가를 통한 읽기전략과 읽기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읽기능력에 따른 효율적인 읽기전략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읽기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자가 평가를 통한 읽기의 목표 및 내용을 수시 점검하고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얼마나 읽기에 흥미를 갖고 행하게 되는지에 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기대되는 효과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수업 후 자가 평가를 하고 그것이 읽기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사전 읽기능력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나눈 세 개의 집단 모두에게도 효과적인가? [연구문제 2]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수업 후 자가 평가를 한 것이 학습자들의 읽기전략의 사용에도 도움을 주며, 또한 사전 읽기능력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나눈 세 집단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연구문제 3]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수업 후 자가 평가를 한 것이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 영어수업의 참여도,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도 등 수업태도를 변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가? 위의 연구를 위해 충북 제천지역 소재 N 중학교 2학년 학생 60명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과정은 자가 평가 모형을 개발해서 학생들에게 실험수업을 실시했고 실험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사전·사후 읽기능력평가와 사전·사후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반의 자가 평가 자료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만들었으며 16주에 걸쳐 교과서 7단원부터 11단원까지의 읽기자료를 기초로 만들었으며, 매 읽기활동 후 자가 평가지를 투입하여 20분정도 자신들을 돌아보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단원별 읽기부분이 여러 개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각 이야기별로 평가지를 마련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것은 각 단원별 9차시 중 6차시에 실시하였으며 자가 평가를 통해서 자신의 읽기활동을 돌아보고 읽기의 전반적인 내용 및 주제에 대한 목표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자가 평가 문항을 통해 자신의 수업에 임하는 태도 및 읽기전략을 살펴보는 좋은 기회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신의 자가 평가지의 아래쪽에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효과 및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단점 및 보완할 점을 알아내고 학습에 대한 방향 설정을 하도록 하는 길잡이 역할을 하도록 학습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읽기능력 향상에 대한 사전 읽기능력 평가, 사후 읽기능력 평가의 분석 결과 자가 평가를 활용한 수업활동이 학습자들의 읽기능력의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진단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자가 평가가 세 개의 집단 모두에게 효과적이었으나, 상위권보다는 특히 읽기능력이 중위권이나 하위권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자가 평가는 학습자들의 읽기전략 사용에 효과가 있었으며, 진단평가점수를 기준으로 나눈 세 집단 중에서 중위집단과 하위집단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설문지 분석 결과 자가 평가는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쳐, 또한 영어의 흥미도, 영어수업의 참여도,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도에도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자가 평가를 지속적이고 끈기 있게 실시한다면 중학교 2학년 학습자들에게 다소 어렵게 느껴지던 읽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읽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존부터 읽기전략을 사용해오고 또 영어지식이 풍부한 상위권 학습자들보다 전략에 대한 생소함을 느끼던 하위권이나 영어지식이 부족함을 읽기전략으로 극복하려는 중위권 학습자들에게 읽기전략에 대한 간접적인 학습을 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영어 학습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자가 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읽기전략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읽기능력의 향상도도 예상할 수 있고, 그에 알맞은 학습법도 지도할 수 있어 학습자들의 영어학습법에 대한 길잡이로도 매우 효과적이라 하겠다. 결론적으로, 자가 평가는 학습자들이 읽기 그 자체와 읽는 과정을 스스로 살펴보는 인식력이 생기게 도와주며, 학습자들은 이러한 자가 평가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진단하고 학습과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와 같은 결실을 이끌기 위해서는 평가를 그저 교사들의 전유물이 아닌 학습자가 함께 행할 수 있는 것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또한 읽기에서의 자가 평가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 The Effects of Input-output Scaffolding with CLIL-pyramid on L2 Reading Proficiency and Attitude of Primary English Learners

        김아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put-output scaffolding with CLIL-pyramid on L2 reading proficiency and attitude of primary school learn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2 reading proficiency and attitude. A total of 140 students in M primary school took two types of pre-test and post-test: YLE reading proficiency test and L2 reading attitude test. Resul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using input-output scaffolding on L2 reading proficiency and attitudes. Findings showed that learners improved their L2 reading proficiency in input-output scaffolding with CLIL-pyramid. Input-output scaffolding with CLIL-pyramid also helps students at various reading levels improve their L2 reading proficiency. Indeed, input-output scaffolding with CLIL-pyramid is most effective for lower level learners. The results of L2 reading attitude survey revealed that input-output scaffolding with CLIL-pyramid improved primary English learners’ L2 reading attitude. L2 reading proficiency and L2 reading attitud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hrough this study input-output scaffolding with CLIL-pyramid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L2 reading proficiency and attitude. Possibl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CLIL-pyramid를 사용한 Input-output 스캐폴딩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영어 읽기 능력과 태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본다. 부산지역 M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영어 읽기 능력과 태도를 실험 전, 후 측정하였다. 실험 전, 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R 프로그램 통계를 활용하여 영어 읽기 능력과 태도의 변화 정도와 관계를 분석하였다. CLIL-pyramid를 사용한 Input-output 스캐폴딩은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 시켰다. 실험 전 읽기 능력 측정값을 토대로 실험집단을 수준별로 4그룹으로 나눴을 때 모든 수준별 그룹이 영어 읽기 능력 향상도를 보였으며 영어 읽기 능력이 낮은 그룹이 가장 큰 향상을 보였다. 영어 읽기 태도 설문 내용 결과 CLIL-pyramid를 사용한 Input-output 스캐폴딩이 영어 학습자의 영어 읽기 태도를 향상 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 읽기 능력과 읽기 태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약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에 따라, 체계적인 수업계획과 자료 제작을 위해 CLIL-pyramid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Input-output 스캐폴딩이 학생의 인지적 발달을 도와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공교육의 한계를 넘어 효과적인 영어 수업을 적용해야 한다.

      • 이솝우화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신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강민선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1997년 각 계의 요구로 시작된 초등 영어 교육은 음성언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듣기·말하기 활동 중심의 연구와 자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 음성 언어에 대한 노출이 한계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6학년의 과정을 살펴보면 음성 언어 뿐만 아니라 문자 언어의 교수·학습 수준이 심화됨에 따라 효과적인 영어 읽기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읽기 활동을 강화하여 영어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며, 영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주기 위하여 초등학생 영어 읽기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6학년 영어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이솝우화를 활용한 읽기 지도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솝우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아동의 영어 읽기 능력 신장과 정의적 측면(자신감, 흥미도, 친숙함)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여 보고 효과적인 읽기 지도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연구는 본 연구자가 재직 중인 면 단위 소규모 초등학교 6학년 1개 반 22명을 선정하여 16주 동안 32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 전, 제 7차 교육과정 6학년 영어 교과서의 각 단원별 의사소통 기능과 주요 학습 내용 및 기본 읽기 구문을 분석하고, 단원별로 사용될 이솝우화를 선정하여 개작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어진 학습내용과 주제 및 기본 읽기 구문을 자료를 근간으로 이솝우화 개작하였다. 실험 연구 전·후에 같은 내용으로 실시한 아동의 정의적 특성 조사 결과, 아동들에게 영어에 대한 흥미, 자신감, 친숙함 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들에게 학습주제와 관련된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영어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들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친숙도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슷한 수준의 아동들끼리의 활동을 통해 서로 돕고 자신감을 신장하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교실 내에서의모국어 사용을 줄이고 영어 사용을 권장함으로써 아동의 영어 표현 기회를 확대한 것이 자신감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예비 실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수업 계획과 수업 모형에 따라 영어 수업을 지도하였다. 실험 연구 결과는 읽기 능력 평가와 과정 평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영어 읽기 능력 평가는 실험 전·후 두 차례 실시하여 결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전에는 100점 만점으로 ‘상’집단이 10명, ‘중’집단이 4명, ‘하’ 집단이 8명이었는데, 실험 후에는 ‘상’집단이 14명으로 증가, ‘중’집단이 6명으로 증가, ‘하’집단이 2명으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읽기 능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되고, 학습 집단이 좀 더 안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과정 평가 방법으로는 매 단원 4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을 마친 후 실험 반 아동들의 자기 점검과 교사 관찰 평가를 네 가지 영역(흥미도, 참여도, 이해도, 자신감)으로 나누어 상·중·하 3단계로 평가·기록하였다. 실험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긍정적인 발전이 보였고 이는 수업 개선의 자료로 삼았다. 연구 결과 이솝우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아동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영어에 대한 친숙함과 자신감, 흥미도가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구안된 수업 모형은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이솝우화를 기본 활동과 더불어 보충·심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이야기의 난이도를 조절한 이야기의 개작 활동과 새롭고 흥미로운 읽기 자료를 확보하여 현장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ocused on the spoken language has been implemented since 1997. Many studies condu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ere focused on how to teach spoken English; researchers have been more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spoken language rather than the written language. Teaching English in the EFL context like in Korea, however, cannot provide the students with various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frequently. It is necessary to find a more effective way to teach reading because not only the teaching-learning level of the spoken language but also that of the written language is deepen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for Grade 6. We need to enhance our students' reading capabilities and to help them more exposed to English by beefing up English reading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way of using Aesop's fables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in order to enhance the 6th graders' reading abilities. Two concrete goals are as follows: first, a model for an effective teaching of reading is developed. Second, the effects of Aesop's fables in English classes on the enhancement of the students' reading abilities and on the learners' affective factors such as confidence, interest, and familiarity are examined. One small class of Grade 6 in a rural area (n=22) was selected and the total number of 32 classes were given to them during the term of 16 weeks. Before experiment, the textbook for Grade 6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First, communicative functions, chief contents to be learned, and basic structures for reading presented in each unit were analyzed. Next, Aesop's fables appropriate for each unit were selected and each fable selected was adapted on the basis of its contents, topic, and basic structure for read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t seemed that the effects of Aesop's fables on the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and their familiarity with English learning were positive. Adequate reading materials closely related to each topic helped the students reduce their anxiety of learning English; consequently, those materials helped them enhance their interest in and familiarity with English. Besides, the enhancement of students' confidence in English seemed to be caused by the cooperative activities among students in the similar level. The classroom atmosphere in which the students were encouraged to use English more frequently than their native language might also be the cause of the enhancem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ents' achievement tests of reading and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performance. Students' achievement tests of reading were given twi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efore the experiment, an advanced group consisted of 10 students and the number of students at intermediate and lower levels were 4 and 8, respectively. After the experiment, the number of students at advanced and intermediate levels increased by 4 and 2, respectively. Instead, the number of students at lower level decreased by 6. It seems that students' capabilities of reading in general improved and each group tended to change steadily. The formative evaluation of the students was conducted regularly at the end of the fourth period of each lesson. The students were asked to self-evaluate their performance during each class and the teacher recorded her observation of the class. Four categories such as interest, participation, degree of comprehension and confidence were checked and/or recorded by the three-level scale: advanced, intermediate, and low. As the experiment continued, a positive improvement was observed; this observation was considered as the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e might conclude that the use of Aesop's fables in English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not only on the enhancement of students' reading capabilities but also on their familiarity with and, confidence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In other words, the teaching-learning model made up for this study would be applicable to other English class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y in which Aesop's fables are adapted more specifically to satisfy the students' different levels and in which more interesting reading materials are developed.

      • 플롯 중심 아동문학 읽기가 5학년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arlotte's Web을 중심으로

        최경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새로운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새로운 세상을 열어간다는 말과 같다. 세계가 하나의 공통체로 발달하고 있는 요즘, 영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영어가 우리의 삶의 질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문학을 활용해 영어 학습을 실행하고, 초등학교 5학년 어린이의 읽기 능력 향상과 영어 학습 태도 변화를 알아보고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 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아동문학을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의 영어 교육을 위해 총체적 언어학습, 이야기 구조 교육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아동문학 작품은 White. E. B. (1952)의 'Charlotte's Web.'을 선정해 내용을 분석하고 교수 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춘천 G 초등학교 5학년 어린이 12명이었고 13차시의 수업이 실시되었다. 실험 방법은 사전·사후 흥미도, 자신감,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발달, 자기 학습 평가 영역별 검사와 학생의 자기 평가, 교사의 관찰을 통해 학습 태도의 변화와 읽기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어린이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향상시켰고, 영어 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를 부여했다. 둘째,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어린이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 시키고 읽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동문학 작품 중 대화문이 많이 들어있는 작품을 읽는 것이 어린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이야기 구조 교육은 어린이들이 이야기의 내용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기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섯 째, 초등학교 영어 수업의 아동문학 선정에서 인지 발달 과정상 지나치게 쉬운 내용을 담은 동화보다 어린이의 발달 단계에 맞는 내용을 동화책을 선정해서 읽는 것이 어린이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등 정의적 영역과 단어와 의사소통문의 학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제한된 어휘 수준에 얽매이지 말고, 자유롭게 교사의 판단에 따라 영어 아동문학을 그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언한다. 둘째, 아동문학 작품을 통하여 어린이들이 영어에 많이 노출 될 수 있도록 학교에 영어 도서관 설치를 제언한다. 셋째, 영어 교육에서도 아동문학을 지도할 때 이야기 구조 교육을 함께 해서 어린이의 학습 기억을 돕고 전체적인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아동문학의 활용방안에 대한 다양한 교사 연수가 실시되어야 한다. Learning a new language is opening a new world. Nowadays the world is getting more global. The. necessity of English Education is more required also English ability is important for us to be a high quality of life. Literature is highly valued in itself. Yet, we can expect creations of more productive value if its good points are used for language teaching. Literature has everything needed for language learning and, moreover, it has a powerful attraction of interest. With this benefit, literature becomes very familiar material for acquiring the mother tongue through the means of the fairy-tale from very early childhood. It is widely used in bot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plot-based reading instruction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12 fifth 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Kang-won Province. Through the students' self-evaluations, teacher's observations, students' journals including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attitudes, self-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English reading skills and communication abilities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elf-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using literature and their English languages skill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were improved. Second, Plot-based reading is useful for students' understanding literary elements and story. In conclusion, we can get very important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Children's literature-based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using plot- based reading strategies can be highly effective in helping elementary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and to lead self-direct English learning. Students' communicative desire in English and their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were increas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should positively reflect the students' desire for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teacher's suggestion for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nglish classroom.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 of different students' level should be continued.

      • 읽기 후 활동이 고등학교 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혜령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로 학교 교과 과정에 맞추어 읽기 후 활동을 했을 때 그 활동이 영어 능력 상·하위 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읽기의 하위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학생들의 정의적 변화를 연구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의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63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교과서를 읽기 교재로 하여 학교 정규 교과 과정에 맞추어 읽기 후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요약하기 집단 33명과 이해질문 집단 30명으로 나누어졌다. 사전 모의 평가 결과로 요약하기 집단은 13명의 상위 집단과 20명의 하위 집단으로, 이해질문 집단은 13명의 상위 집단과 17명의 하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읽기 후 활동으로 요약하기 집단은 요약하기 활동, 이해질문 집단은 이해질문 활동을 하였다. 교과서 읽기 지문을 해석한 후 요약하기 집단은 조별 활동을 통해 과제를 해결하였고 이해질문 집단은 개별적으로 과제를 해결하였다. 실험 수업 전·후의 읽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 모의 평가를 하였고 읽기 후 활동에 대한 정의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기초 사전 설문 조사, 사전·사후 설문 조사와 심화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변량 분산 분석을 한 결과 요약하기 활동을 한 요약하기 집단의 읽기 능력 총점이 이해질문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요약하기 집단의 상향식 점수는 이해질문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요약하기 집단의 하향식 점수는 이해질문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요약하기 집단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총점과 상향식 점수는 이해질문 집단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 비교하여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못하였으나 하향식 점수는 이해질문 집단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 비교하여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읽기 후 활동에 대한 정의적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약하기 집단의 상위 집단은 읽기 후 활동에 대한 필요성, 그 활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실험 수업 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요약하기 하위 집단은 읽기 후 활동의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요약하기 집단과 이해질문 집단의 하위 집단 모두 읽기 후 활동에 대한 흥미가 줄었다. 요약하기 집단의 하위 집단이 읽기 후 활동에 대한 자신감이 줄어들었다. 넷째, 교과서를 읽기 교재로 하여 학교 교과 과정에 따라 요약하기 활동을 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읽기 능력과 하향식 읽기에 효과적이기는 하였으나 교과 과정에 맞추어 요약하기 활동을 하는 것이 시간상 촉박하였다. 또한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상위 집단과 동일한 요약하기 활동을 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교과 내용의 난이도가 높을 경우 그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약하기 활동이 전반적인 읽기 능력과 글의 주제와 요지 파악 능력을 평가하는 하향식 읽기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요약하기 활동이 언어적 지식과 함께 글의 내용을 파악하고 주요 정보를 선정, 통합해야 하는 복잡한 인지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험 수업 후에 학습자들이 요약하기 활동에 대한 흥미, 자신감, 필요성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 되었다. 따라서 교과서를 가지고 학교 교과 과정에 맞추어 요약하기 활동을 할 경우 교과 내용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요약하기 활동을 적용하고, 학생 수준에 맞는 요약하기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며, 상위·하위 집단에게 요약하기 활동을 적용하는 절차를 다양하게 해야 하고, 학생들에게 과제를 해결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향후 읽기 활동과 학교 현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하기 활동이 읽기 능력의 향상과 하향식 읽기에 효과적인 읽기 후 활동으로 입증되었으므로, 이해질문 활동 외에 요약하기 활동이 학교 현장에서 읽기 후 활동으로 대체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요약하기 활동이 상위 집단 뿐 아니라 하위 집단의 하향식 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 수준에 맞게 세분화된 절차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된다면 전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읽기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셋째, 사전·사후 설문 조사 결과 읽기 후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많은 학생들이 교과서 내용의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교과서의 지문 읽기에 부담을 느끼고, 읽기 후 활동에 대한 흥미나 동기가 낮아졌다. 따라서 성공적인 읽기 활동을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의 정의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효율적인 읽기 후 활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ost-reading activity on high school read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 the effects of post-reading activity on overall, bottom-up and top-down reading, students' emotional change after post-reading activity and the applicability of summary activity to school class.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six weeks with 63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a 33 of a summary activity group and a 30 students of a comprehension check question group. The summary group was classified into 13 high-levels and 20 low-level students. The comprehension check question group was also divided into 13 high-levels and 17 low-levels. All students were provided with the same textbook reading pages, pre-reading activities and while-reading activities, but two different post-reading activities were provided to each group.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score of overall and top-down reading of summary group improved more than that of comprehension check question group; as for the bottom-up reading skill, the score of summary group didn't improve more than that of comprehension check question group. Second, top-down reading score of summary high-level and low-level groups improved more than that of comprehension check question high-level and low-levels, but the score of overall reading and bottom-up reading of summary high-level and low-level groups didn't improve more than that of comprehension check question high-level and low-level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on students' affective factors(interest, confidence, the acceptance of the necessity)on post-reading activities, the summary low-levels showed negative attitudes on the summary activities. An affective factor of comprehension check question low-levels on comprehension check activity, that is, interest, was also changed negatively. Fourth, summary activities using textbook, following school curriculum caused busy class schedule and demanding tasks of low-level group students. It grew worse as the contents of the lesson became more difficult. With all the above mentioned results, the present study concludes that the summary activity is effective in overall reading and top-down reading. However, attitudes towards the summary activities became negative following an experiment. Therefore, teachers need to develop appropriate summary activities and procedures applicable to a variety level of students. They should also give students enough time to complete summary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