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장면연출 연구- 작품<SF 통닭>의 스토리보드를 중심으로 -

        장길호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애니메이션은 각각의 그림을 한 화면에서 순차적으로 보이게 하여 마치 그림이 움직이는 것처럼 시각적 착시를 만들어 낸다. 현대의 애니메이션 제작방식은 2D, 3D애니메이션, 클레이메이션, 스톱모션 등 여러 가지 제작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컴퓨터와 카메라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촬영하는 모션컨트롤 기술 등이 놀랍도록 발전하고 있다. 단순히 필름 카메라를 가지고 그림을 촬영하던 시대에서 퍼스널 컴퓨터 한 대에서 채색과 동화, 촬영 등이 모두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보급과 발전은 기존의 노동 집약적이던 제작방식에서 탈피, 일인이 단시일 내에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제작방식의 변화는 변화된 제작 노하우를 쌓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시행착오를 가져왔다. 이러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프리프로덕션 과정이 더욱 중요해졌다. 또한 수요층의 눈높이 변화로 보다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제작과정에서 프리프로덕션이 차지하는 비중은 커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SF 통닭>이라는 작품에서 나타나는 애니메이션의 재미요소를 알아보고, 애니메이션 연출기법을 이용한 <SF 통닭>의 스토리보드를 통해 애니메이션 특유의 연출 방식과 컴퓨터를 이용한 연출, 편집 기법이 애니메이션의 완성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끼치는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장편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 프리프로덕션의 중요성과 스토리보드를 통한 치밀한 화면구성을 미리 구현해 볼 수 있었다.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컴퓨터관련 제어기술과 색채구성, 오디오가 화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과제로 남았다.

      • 제작실습을 통한 연출교육의 실제 : 가천대학교 연기예술학과 공연프로젝트 <산불>을 중심으로

        한상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연예술의 발달과 함께 연극학과가 다양한 측면에서 설립되고 있다. 이 논문은 가천대학교 연기예술학과에서 공연제작실습을 위해 사전에 어떠한 연출적 교육을 실시하며, 해당 교육이 공연제작실습에서 어떠한 형태로서 활용되어지는지를 정리한 논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교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각 학과들에게 선행 자료로서의 보탬이 되고자 하며, 나아가 동시대와 미래 연극의 연출가 양성을 위한 대학 연출교육의 영역과 목표를 살펴보고 앞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융합적인 교육 방법론의 확립을 위한 연구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론의 내용으로는 크게 ‘공연제작 이전의 연출교육과정’, ‘공연제작 수업을 통한 연출교육과정’으로 나누고 있으며, ‘<산불>Production을 통한 연출교육의 실제’로서 교육과정의 예시를 들었다. 첫째, ‘공연제작 이전의 연출교육과정’에서는 연출의 기초원리인 ‘극적문법’을 습득하기 위한 본과의 교육과정을 정리하였으며, 풍부한 배경지식의 학습과 예술적 자질의 함양을 위한 전방위적 교육을 위한 선행교과목의 개별 교육 과정 운용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 설명하였다. 둘째, '공연제작 수업을 통한 교육과정'에서는 앞서 다뤘던 교육들의 심화과정으로서 본과 교육과정을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크게 강조한 부분은 네 가지의 목표(연극적 공간 창조와 표현 기술의 실습, 배우들과의 창작 과정경험, 리허설의 조직과 단계별 운영, 공연의 상연과 평가)를 달성하는 것으로 함축할 수 있다. 이전 교육 과정에서 개별 교육과정의 운영을 강조하였다면 본 과정에서는 대부분의 수업이 ‘공연제작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협업과 공동 운영에 중점을 두어 융합 교육화를 강조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셋째, ‘<산불>Production을 통한 연출교육의 실제’에서는 ‘공연제작 이전의 연출교육과정’을 마친 학생들이 ‘공연제작 수업을 통한 연출교육과정’으로 연극 <산불>을 제작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다. 이 과정은 ‘사전준비단계’, ‘공연제작단계’, ‘공연 및 평가’로 나누어지며 각 단계는 제작실습 이전의 연출교육을 수료한 학생들이 첫 번째 공연제작을 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형태로 가시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육의 실제 과정을 다루고 있다. 위의 과정들을 통해 본 연구는 공연연출 문법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과 실제 제작실습에서 적용되는 사례를 통해 연출교육의 체계화와 발전을 위한 한가지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 연구 : <호두까기 인형>(2005)을 중심으로

        차태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논문 요약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 연구 - <호두까기 인형>(2005)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의 제반 요소를 실제 작품 연출과정을 토대로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뮤지컬 공연시장의 3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어린이 뮤지컬의 현황에 따른 문제점을 제기하였고, 또한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출 총보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출 총보는 뮤지컬의 연출 작업 방식으로 드라마의 플롯(plot)과 음악(기악), 연기와 가창, 음악과 무용 및 각종 무대기술을 종합하여 악보화 한 것을 말한다. 연출자는 음악(기악과 가창)과 배우의 연기, 코러스의 무용 및 작품에 필요한 모든 요소들을 디자인하고 연습시켜 공연에 이르게 하는 전 과정을 지도하며,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출과정에서 정리된 연출 총보는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드는 지휘자의 악보로서 공연의 일관성을 유지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연출 콘셉트를 기록해놓은 것이다. 어린이 뮤지컬 연출 총보는 1단계로 제작사와 연출가의 작품 만들기의 기본 계획에서 시작된다. 2단계는 극작과 연출의 작품설계 작업, 3단계는 극작과 음악(작곡), 4단계는 음악과 무용, 5단계는 연기와 가창, 6단계는 무대미술과 각종 디자인의 결합, 7단계의 공연 연습을 통해 만들어진다. 연출 총보는 작품의 예술성을 담보하며,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드는 지휘자의 악보로서 매년 장기간의 공연과 지방공연에 반드시 필요한 연출자의 기록이다. 이러한 연출 총보에 맞추어 연구의 본론, 첫째 장에서는 어린이 뮤지컬의 개념과 특징을 연구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어린이 관객의 특징에 맞는 극 구성 연구를 다루도록 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연출 총보를 통해 작품 만들기의 설계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네 번째 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연출 작품인 <호두까기 인형>(2005)의 연출 총보 를 통해 구체적인 어린이 뮤지컬 만들기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론에서 제시한 어린이 뮤지컬의 연출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관객은 이야기 진행순서에 따라 작품을 이해한다. 대부분의 어린이 뮤지컬은 1막 구조이지만, 그 안에 시작, 중간, 끝이라는 드라마의 기본구 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어린이 관객은 박자나 구성에 대한 식별력보다는 강, 약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음악배치와 장면배치를 통해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들어야 한 다. 셋째, 작품의 전개과정과 극적 갈등을 보여주는 무용의 기능을 통해 어린이 관객 들이 극적 상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넷째, 노랫말과 연기는 반드시 악보 속에 존재하여야 하며, 극의 흐름에 어긋나 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연출 방법론은 연출 총보의 기준이 된다. 본 연구는 어린이 뮤지컬이 어린이들에게 예술지향적인 미적 감흥과 미적 체험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는 전제 아래 연출의 기술적 측면들을 고찰, 검토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해외 단행본 및 국내 단행본, 각종 자료 및 설문조사 통계와 본 연구자의 어린이 뮤지컬 연출 작업을 바탕으로 하였음을 밝혀둔다. 이 연구를 통해 어린이 뮤지컬이 일반 연극, 또는 성인 뮤지컬과 다른 독특한 개념과 목적이 있음을 밝히고, 또한 ‘어린이를 위한’ 뮤지컬 작품 만들기 과정의 구체적인 연출방법을 ‘연출 총보’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어린이 뮤지컬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주제어 : 어린이 뮤지컬, 연출, 연출 총보, 도덕, 교훈.

      •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식공간연출이 고객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1회용 테이블매트 연출을 중심으로

        박정윤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한식뷔페레스토랑에서 1회용 테이블매트를 사용한 식공간연출이 고객감정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것이다. 또한 고객감정반응이 고객의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식공간연출은 심미적 측면, 기능적 측면, 차별적 측면으로 구성된 것이다. 고객감정반응은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을 의미한다. 고객행동의도는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20대~50대의 한식뷔페 레스토랑 이용경험이 있는 성인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공간연출, 고객감정반응, 행동의도에 대한 측정 결과는 다음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외식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변수를 구성하는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Mean) 및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였다. 넷째,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식공간연출이 고객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공간연출에 대한 인식이 고객감정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다중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식공간연출의 심미적 측면, 기능적 측면, 차별적 측면의 요소들은 고객의 긍정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공간연출이 고객감정반응 중 부정적인 반응에는 차별적 측면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공간연출의 차별적 측면이 높다고 느낄수록 고객의 부정적인 반응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식공간연출이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식공간연출이 행동의도 중 재방문의도에는 기능적 측면, 차별적 측면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의도의 구전의도에는 심미적 측면, 기능적 측면, 차별적 측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공간연출 요소가 행동의도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1회용 테이블매트는 위생적이거나 식탁 위의 연출 자체의 기능과 역할에 따라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적인 측면도 행동의도에 영향이 있음을 사료된다. 셋째, 고객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고객감정반응이 행동의도의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적인 반응에는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 감정반응이 높을수록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가 높아졌다는 의미이다. 이상의 결과는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운영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객의 재방문과 구전행동을 유도함에 필요함을 시사한다. 첫째, 한식뷔페레스토랑의 1회용 테이블매트의 식공간연출에 있어서 기능적 측면인 목적에 맞는 연출이 고객의 시각적,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음식에 대한 정보나 음식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 1회용 테이블매트의 식공간연출이 기능과 목적에 맞고, 유행을 반영하는 것은 고객의 재방문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미적 측면에서는 식공간연출자의 미의식부터 출발하게 되는데, 1회용 테이블매트의 식공간연출을 해당 브랜드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컨셉에 맞추고 재질, 색상, 소재, 형태 등을 이용하여 심미적인 측면을 보완, 연구하는 것이 고객의 구전행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회용 테이블매트가 주는 브랜드만의 독특한 가치와 음식분야를 구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다른 브랜드와 구별되는 차별화 측면이 고객감정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객의 긍정적 감정반응 향상을 위한 1회용 테이블매트의 식공간연출에서는 단순한 차별의 구분보다 한식뷔페레스토랑만의 차별적인 독특한 가치를 부여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긍정적 감정반응이 부정적 감정반응보다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는 점을 고려하여, 한식뷔페레스토랑 운영에 있어서는 고객의 긍정적 감정반응 유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시사되었다. 긍정적 감정반응은 행동의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식뷔페레스토랑의 1회용 테이블매트의 식공간연출, 고객감정반응, 행동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본 연구 결과는 지속적으로 한식뷔페레스토랑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ining space styling using disposable table mats in Korean buffet restaurants affect the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 intention of customers. A verification of how the customer emotional response affects the customer behavior intention was made as well. The space styling in this study is comprised of aesthetic, functional, and differential aspects. Customer emotional response denotes the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 Customer behavior intention denotes the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investigation was made with 219 adults of the age between their 20s and 50s residing in Seoul/Kyeong-gi region who have had Korean buffet restaurant service experience. The examination results of the dining space styling, customer emotion,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method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pprehend general attributes and dining related attributes. Seco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calculate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criteria consisting of variables. Thir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in order to apprehe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of major variables. Four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pprehe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major variables.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dining space styling on customer emotional respons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along with the effect of customer emotional response on customer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pprehend if recognition on dining space styling affects customer emotional response. It is confirmed that the elements of aesthetic, functional and differential aspects of dining space styling significantly affect the positive response of customers. As to th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of customers, only the differential aspects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means that the greater customers feel the differential aspects of dining space styling, the less customers respond negatively.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how dining space styling affects behavior intention, only the functional and differential aspects significantly affect re-visit intention, while all of aesthetic, functional and differential aspects significantly affect word of mouth intention. This means that the elements of dining space styling affect behavior intention, from which it is considered that a disposable table mat affects behavior intention depending upon hygiene or functions and roles of display itself on a dining table, and differential aspects from other brands also affect behavior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whether or not the customer emotional response affects behavior intention, it is found that the customer emotional response significantly affects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hile the negative response doesn't affect re-visit intention nor word of mouth inten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customers hav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the higher customers have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The above-listed results imply the necessity of the below facts to induce customer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behavior in operating a Korean buffet restaurant. First, in the dining space styling of a Korean buffet restaurant using disposable table mats, the styling that suits the purpose—which fits the functional aspect— fulfills customers’ visual and emotional desire and simultaneously affects information on food or food choice. Thus, utilizing the dining space styling using disposable table mats with a right function and purpose as well as in fashion and trend will be able to raise customer re-visit intention. Also, the aesthetic aspect starts by the stylist’s aesthetic sense; designing the dining space style with a disposable table mat by matching it to the concept of the brand of the restaurant and complementing as well as studying the aesthetic aspects using the material, quality, color, shape, etc. are expected to promote customer word-of-mouth behavior. In the fact that customers can differentiate the unique value and food category only for the brand with disposable table mats,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tial aspects distinguished from others affect customer emotional response. Second, in the dining space styling using disposable table mats to enhance positive customer emotional respons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style by granting a unique and differentiated value of the Korean buffet restaurant rather than a simple differentiation. Third, considering the fact that positive emotional response had a greater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compared to negative emotional response, the need to focus on triggering customer positive emotional response in running a Korean buffet restaurant was suggested, as a positive emotional response also affects behavior intention. Thus, the result of this study verifying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dining space styling, customer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 intention of disposable table mats in a Korean buffet restaurant is expected to offer a basic marketing strategy data that will continually induce customers to visit a Korean buffet restaurant.

      • IT 기술을 이용한 住居施設의 다양한 조명 연출 시스템에 關한 硏究

        김선근 高麗大學校 工學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조명기구의 역할이 단순하게 빛을 비추는 단계에서 벗어나 조명의 빛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상황에 맞는 분위기를 연출 한다던가 아니면 바이오 기능을 부가하여 심리적 안정을 주는 생산적 기능으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조명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재 및 여러 형태의 기능을 융합한 새로운 기구가 개발됨으로써 미래형 조명연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조명기구의 역할이 다양화 되는 현실에 맞추어 주거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연출 시스템 및 적용기구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첫째는 거실과 주방에서 연출할 수 있는 통합 생활모드 연출 시스템, 둘째는 침실이나 공부방에서 연출 가능한 바이오라이팅 시스템, 셋째는 현관입구에서 연출 가능한 센서 감지형 무선 일괄제어 시스템, 넷째는 온도조절기, 네트워크 스위치, 대기전력차단 복귀스위치, 전기사용량 모니터링 디스플레이을 통합한 그린통합스위치[TLSM(Thermostat Lighting Standby-power energy Monitoring)]시스템을 개발하여 설치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기의 상황을 고려한 조명이 인간의 생리적·심리적 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설문 분석을 통해 일반인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좀 더 새로운 조명 연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Now is the time that a lighting fixture to be used for a home life puts great emphasis on an interior aspect to produce an exclusive atmosphere because of being in harmony with a building through development of a presentation system with various materials besides a merely functional side to give out light. For instance, a future lighting must be able to represent diverse colorings and atmospheres and it has to make flexibility of a design without limitation on shape and installation. Hereafter, this researcher is to study each feature to install a diverse shape of lighting presentation systems. 1st, the system of an integrated life mode capable of presentation in a living room and a kitchen. 2nd, the system of a bio-lighting capable of presentation in a bedroom and a study room. 3rd, the system of a package wireless control with a sensor type capable of presentation at the front door. 4th, It is to install the systems of TLSM (Thermostat, Lighting, Standby power cut off switch, and energy Monitoring) for integrating thermostat, network switch, returning switch of standby-power cutting and energy Monitoring in the sample house. Al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what the lighting has an effect on a huma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 by analyzing a result of the prior installed systems and it is to apply them in a site to develop a new system and facilities of lighting presentation to grasp the users' propensity of use.

      • 초보연출자와 숙련연출자의 심리극 연출행위 비교

        강지윤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ow dependent on psychodrama experienced directors and novices are and how dependent on performance factor they are, and to compare non-verbal as well as psychodramatic factors and verbal factors in two different performances. This study that structures two different performances could be a previous material to the training of directors. This study questions how dependent on psychodrama phrases experienced directors and novices are, how dependent on performance factor novice director and experienced are, and how different the performance sub-factors of experienced directors and novices are. To examine the questions, two evaluated people checked four tapes recorded by experienced directors and novices respectively per three minut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experienced directors carry on dramas focusing on action phrase, but novices are more dependent on warm-up. Experienced directors have protagonists participate in the drama with the use of psychodramatic factors, but novices depend on verbal expression more than action phrase. The difference revealed through content analysis is that experienced directors took actively part in the dramas and make protagonists active, yet novices directed the drama relying on auxiliary ego. This study is expected to the basic material in training directors of psycodramas. The features of experienced director and novices are seen in this study.

      • 웹툰 연출의 영화적 기법 연구

        최유남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통만화시장의 붕괴와 인터넷의 보급, 그리고 포털 사이트의 콘텐츠 서비스 등으로 만화매체는 출판물 위주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진화했다. 단순히 온라인에서 기존의 출판만화를 스캔하여 보여주는 뷰어만화에서 웹의 환경에 맞게 재탄생 한 웹툰에 이르기까지 만화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웹툰은 캐릭터 산업, 연극, 영화 등 각종 문화 산업과 연계되어 OSMU(One Source Multi Use)의 대표적 문화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웹툰의 장르전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매체전환에 대한 연구가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만화매체 자체는 근대를 거치며 태평양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정착되었으나 페이지의 공간적 한계로 칸의 영상적 표현이 크게 부각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웹툰에 이르러 칸은 영화의 프레임과 같은 역할을 대신하며 출판만화 보다 영상적 표현이 잘 구현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즉, 웹툰의 형식적 특징인 세로 스크롤과 세로 공간의 확장으로 웹툰의 영화적 연출이 최적화 되었으며 스크롤 장치의 움직임을 통해 영상효과를 연출하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웹툰이 연출방법에 있어 영화적 표현이 어떻게 차용되고 그 특징은 무엇인지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믹스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웹툰의 대표작가 강풀, 강도하, 윤태호의 작품을 선정, 작품을 분석하고 영상연출의 특징을 비교 분석했다. 작품 분석을 통한 영화적 기법은 다양한 숏과 앵글의 연출, 카메라 연출, 디지털 기법을 사용한 장면전환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웹툰의 영화적 기법 차용은 웹툰의 연출 특징으로 자리 잡았음을 나타낸다. 다만, 웹툰 연출의 한계는 컴퓨터 모니터의 특성상 가로 폭 제한과 칸의 변형, 나눔, 배열에 따른 연출적 효과가 크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은 웹툰 연출에 대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의 웹툰 연출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한다. 나아가 웹툰 연출의 미학적 구현이 한 단계 발전하기를 기대해 본다. Since the collapse of traditional cartoon market, propagation of the internet and contents service of portal web-sites have transferred the growth of cartoon from publication to on-line with high velocity. The on-line cartoon has been changing continuously from viewer-cartoon, which shows the scanning-version of existing published cartoon, to webtoon, which has been re-generated according to the web-environment. The webtoon, among the, has become one of the main culture-contents of OSMU (one source multi use) linked to various cultural industry including character industry, play and movie. In accordance with this phenomenon,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s in changes in genre of webtoon and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reformatting. The cartoon, itself, has taken root since modern society and after pacific war. However, the pictural expression of space has not been magnified due to the limitations of page space. Since the introduction of webtoon, however, the space is playing a role as frame of movie and the conditions, in which pictural expression can be well expressed more than in published one, has been established. That is to say, vertical scroll and expansion of vertical space have optimized movie-like directing for webtoon and the movement of scroll has enabled video effect.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how movie-like technique is utilized to produce an webtoon and its characteristics. In doing so, cartoonists' work, which are being on media-mix mostly, including Pool Kang, Doha Kang and Taeho Yoon, have been selec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creen direction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cartoon works, the movie-like techniqu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playing various shots and angles, transition through camera digital techniques. This may imply that movie-like technique of webtoon has become one of the features of webtoon display. However, web-toon has some of limitations in displaying due to limited length of width, transformation, separation and arrangement of cell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monito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there needs to be various and continuous studies on webtoon displaying and such efforts are expected to result in new changes in webtoon displaying in the future.

      • 무용 전문연출가를 통한 무용 공간연출 활성화 방안 연구

        신정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improving a dance performance's artistic value as a composite art with more systematic professional dancing instructor and getting to know how the spacial production is being vitalized. As today's artistic performances are having various genre, being separated, and complicated, this research was planned to encourage the dance direction as a composite art with introducing more progressive way of professional dancing direction. For the reason above, this research has found the most rational way through studying the various dancing performance. A dance director would reconstruct the cooperation between the lifelikeness of the stage in the center of production and the solidity of the stage through the way of studying in this research. Concrete ways of this research are the books related with dance, the thesis for degrees, the essay of other fields and literature records related with this research, through the way of studying like this, the conclusion has been made after considering the way of encouraging the spacial direction via professional spacial director, the conclusions are below First, need to rear a professional dancing instructor. The professional drama director directs in modern stag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directed by the professional director would bring the various change of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comparison. But the concept of direction to the performance would be fully induced for keeping the atmosphere of th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original materials such as the movement of dancer and expression wouldn't be embossed. Second, the director needs to have knowledge in various field and speciality of dance itself. As the dance performance, which is the expression through the movement of body, is based on the performance, the spacial direction which could greatly affect to the expression of dancer is needed for the synergy effect with grasping the speciality of artistic value in the stage. For the performance above, the mechanical equipments of the stage, properties, lights, sounds, and the objective point of view from a dance performer are needed to be combined, in this case, the director's broad knowledge will be helpful to prove this matter. The first solution for the matters above i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instruction the professional dancing director through the professional institution. Direction of dance performance will be more valuable if the director analyzes the performance in an objective point of view and creates. So instructing the professional dance instructor and making the system for the performance with understanding of space where all dancers perform in are needed with more fractionated education of dance and extended theory of dance in university course. Korea Art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plans the policy related with the education of cultural art and instructs the directors who have field experience, have been systematically educated, and can develop the plan, mediate, practice. For inducing the professional dancing director, the course needs to have additional instruction for making stage, lights, sounds, planning theory, and systematic curriculum is needed for the experience of the actual direction. The 21st century's art performance needs to have the movement and the ability of expression from the professional dancing director with the intention of dance performer and be another expression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nd art through the instruction of the professional dance director.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공연에 있어 무대 공간연출이 어떻게 활성화 되고 있으며, 보다 체계적인 무용 전문연출가를 도입하여 무용 공연이 종합예술로서의 예술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공연예술이 점차 다양해지고 복합적인 분업화를 이루어 감에 따라, 종합예술로서 무용 연출 활성화를 위한 현대적 무대 공간 연출 표현방향이 좀 더 전문적인 무용 연출의 도입으로 진보적인 예술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하는 바람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입장의 무용공연 형태를 조사하는 연구방법을 통하여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무용 전문연출가가 작품의 중심에 서서 무대의 생동감과 관객의 감동이 함께 느껴질 수 있는 입체감 있는 무대를 만들어 갈 수 있는 협력관계의 위상을 재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무용관련서적과,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학위논문과 타 분야의 논문과 서적을 통한 문헌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무용전문 연출가 도입을 통한 공간연출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전문 연출가의 육성이 필요하다. 현재 무대공연에 있어 연극 전문연출가가 연출을 맡게 되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무용 공연의 경우 구성의 다양한 변화와 대조 및 대비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품에 연극 연출개념이 그대로 도입되어 작품의 극적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공간 활용과 세트 활용이 화려한 반면 무용공연이 연극적으로 표현되어 무용 고유의 매체, 즉 무용수의 움직임이나 표현력이 부각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둘째, 공간 연출에 있어 연출자는 무용의 본질적 특징 및 무대공간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의 기반을 습득해야 한다. 신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무용이 공연을 전제로 준비되는 만큼, 무대공간이 갖는 미적 특징을 파악하여 무대에서 무용수의 연기가 그 배경이 되는 공간과 더불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용수의 표현이 극대화 될 수 있는 공간 연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무대기계장치, 소품, 조명, 음향 등의 분과는 물론이고 안무가와의 객관성을 토대로 한 상호협조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연출자의 폭 넓은 지식의 기반은 이를 해결하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 위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는 무엇보다도 무용인들 스스로가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문 교육기관을 통한 무용 전문연출가의 교육과 양성이 필요하다. 무용공연 작품의 연출은 연출자가 작품을 객관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포괄적인 시각으로 창작하여 그 능력 최대한 발휘될 때 작품의 완성도와 예술적 가치를 이룰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대학교육과정에 있어서도 무용이론 교육이 확대되고 좀 더 세분화되어 무용을 전공한 무용수들이 자신이 움직이는 공간에 대해 선 이해를 가지고 공연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용 전문연출가의 육성이 절실하다. 이에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 교육과 관련하여 정책을 발굴하고 전문연출가를 양성하여 문화예술 분야별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기획, 조정, 실행하는 전문연출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함으로써 현장업무 능력을 강화시켜 많은 연출가를 육성한다. 이와 같이 무용전문연출가의 도입을 위해서도 무용과 학사 교육과정에서부터 무대제작, 조명, 음향, 기획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 할 수 있도록 관련 교과 수업을 개설하여야 할 뿐 만 아니라 전반적인 연출을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커리큘럼이 도입되어야 한다. 무용도 전문 연출가의 양성을 통하여 21세기 공연예술에 있어 무용공연이 무용전문연출가에 의해 무용수의 움직임이나, 표현력에 포커스를 맞추어 안무가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며 공연예술계에 또 하나의 새로운 장르로 표현되어야 한다.

      • 解放 前 韓國 演劇 演出의 發展 樣相 硏究

        노승희 東國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modern direction styles of Korean theatre from the early decade of the 1900’s to the 1945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1900's, characteristic of Enlightenment movement and Japanese colonization, go on to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with specific needs of theatrical direction for each decade between. For each decade examination was made to analyze its trend and show the features of the period. The earliest decade of the 1900’s sought how to represent realistic illusion, which required the appearance of director. It also found the western indoor playhouses built, which forced the Korean traditional outdoor theatre to undergo great changes. As a result there appeared a ‘variety show’ with a range of amusements, and ‘Chang-keuk,’ a Korean classical musical. Especially <Eun-se-gye, a Silver World> as a new theatrical form cut a fine figure acting up to the demands for the new theatrical practices. The theatre was adapted for the stage from the namesake novel and performed with acknowledgement of the necessity to visualize realistic illusions using audio-visual theatrical tools and different style of action from the previous days. But the theatre was not successful with its abrupt presentation. It required the appearance of the expert to direct action appropriately to the new contents of the new theatrical form with using technical tools for realistic illusions. The expert arrived in the person of theatre manager of ‘Shimpa’ troupes in the 1910's. ‘Shimpa’ was a new theatrical form introduced from Japan under its colonial rule. It deprived ‘Chang-keuk’ of the opportunity to adjust its form and contents to the indoor theatre. Korean ‘Shimpa’ was launched in 1911 by Lim, Sung Koo, the head of the Hyukshin troupe. This troupe was motivated by commercial profit, so that its repertory was chosen for the public taste to ensure financial success. Lim himself directed and supervised the rehearsals. But the performance mainly depended on the actors' improvisation because Korean ‘Shimpa’ drama had not yet written scripts. Those days casting was taken charge of by the head of the theatre. He used to inform actors of the story, and tell them the significant lines and movements of each part. He sometimes employed some directorial devices to keep the audience's attention. For example, first, monologues by the leading performer and fighting scenes with exciting acrobatic skills were used in order to draw the audience’s attention. Second, lacking in scripts and rehearsals, the actor’s voice and movements had to be exaggerated, which led to intentional overacting. Third, much attention was paid to the scenery to create stage illusion. A backdrop was used in the early ‘Shimpa,’ and later by setting up the walls at the back of the stage and pain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a house a more realistic illusion of space could be facilitated. The 1920's witnessed the appearance of a head of direction and considered theatre a comprehensive art. Those days theatre company consisted of many different departments to treat direction, literature (or script), scenery, and music, and among them the department of direction managed various disciplines supervising the whole production. They could be called ‘Directors.’ Park, Seung Hee of Towolhoe, The Drama Club, and Yeon, Hak Nyun of Jonghapyesulhyophoe, Total Art Association, are two fine examples of directors of that time. They were different from the ‘Shimpa’ leaders in that they held the script in high regard, and made actors memorize or ‘learn’ their lines. The learning of lines put great importance on actor’s individual practices, which led to naturally-looking action via the text without improvisational overacting of the ‘Shimpa.’ In terms of scenery, they created stage illusion through realistic scenery and props. But this kind of sets used a flat backdrop, and consequently revealed a two-dimensional arrangement and movement of the actors. In the 1930's, Hong, Hae Sung, another professional director, appeared with Keukyesulyonguhoe, The Drama Academy. He had previously been an actor for the Tsukiji Little Theatre, the model of Japanese modern theatre, and was much influenced by Osanai Kaoru. Hong attempted ‘realistic directing’ by adopting main repertory of the Tsukiji including Checkhov and Ibsen. With emphasis on script analysis, he required his actors to study their roles, and told them to act their inner motives. To facilitate this process he extended rehearsal terms to about a month and divided it into two phases. The first was for script analysis and the other the actor’s staging. Hong wrote Stage Art and the Actor, which includes his ideas of a realistic acting style.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orough analysis of the script and staging, and the director's role as an acting coach. Reflecting the influence of Osanai Kaoru, Hong predetermined each actor’s place and wrote them down in his script to help rehearse the actors. (This notation is known as ‘blocking.’) This had become the usual rehearsal method for Korean directors until the 1960’s. However, the predetermined places confined actors' movement with the result that they acted formalized actions rather than their inner motives. This led to a formalization of acting. This formalized acting style produced two-dimensional acting against Hong’s staging device of three-sided walls, which he intended to set up, keeping ‘the fourth wall’ in his mind. Since the actors acted in a full-front place in front of the walls, his stage stayed two-dimensional just like a backdrop. In addition, though he paid attention to the historical accuracy of the set, even of small items, he restricted the actors’ movements and places to two-dimensional space, with ignoring the theatrical conditions to arrange a long table and chairs in the center, along with the back wall. Such arrangements did not fit to perform the repertories of the Tsukiji Little Theatre. Consequently, the actors’ placement and movement looked so unnatural and artificial that they contradicted his concept of ensemble work and inner-motived interaction among them after all. Ryu, Chi Jin, another director of The Drama Academy, started writing and directing uniquely Korean plays with his frustration at the crudity of translated play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inning the audience’s sympathy with ‘Realism’ of the theatre. He chose the satirical and historical plays as Realist repertory, for they had another purpose to avoid the Japanese censorship. After all a theatrical style known as ‘Romanticism based on Realism’ was his invention with various directorial devices to enhance the ‘Romanticism’ of the play. He often put songs and dances into the plays with the musical and visual effects. Moreover, Ryu chose a large theatre to gather a greater audience. This inevitably led to the use of a full-sized stage and the need for the actors to overemphasize their voice and movements. If the actors did not shout out to the noisy audience in the large auditorium, or exaggerate their movements as much as they could, they would not be able to draw the audience’s attention. His ‘Romanticism based on Realism’ was original in that he emphasized a romanticism carrying the Korean sentiment. But he failed to create a directing style which could highlight the romantic elements and at the same time involve the larger theatre. He had only to raise the sound and exaggerate the movement. Therefore we can say he did not conform those physical stage elements to his idea of ‘Realism and Romanticism.’ From 1940 until the 1945 Liberation, as the Japanese fascism went to the extreme, ‘National Theatre’ had been enforced in order to propagandize ‘The Japanese Great East-Asian Co-Prosperity Project.’ This coercive policy in effect ‘censored’ Korean directors, who turned instead to the external, physical elements of the stage. For the purpose of avoiding censorship they focused on historical accuracy and external elements and produced lots of historical plays with no substantial views. As they couldn’t develop their own directing method any more, they mixed directing method of modern theatre with that of popular theatre. As a result, the acting was exaggerated with a flood of sentimental melodramas. The scenery became splendid and spectacular, which gave the chance of technical advances in stage craft, but the actor, as the ‘hero’ of a historical play, had to deliver banal speeches, which led the audience to a meager satisfaction. To conclude, the achievement of the modern Korean direction can be evaluated as follows: Firs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development of modern direction of the stage was delayed to block the directors’ free creative activity with an identity crisis. It was difficult for the directors to seek their own directing method. Second, modern Korean direction was accompanied by the theatrical practices of “Romanticism,” so that it overwhelmed “Realism.” Actually they had to watch the contradiction between realistic directing style and romantic theatrical practices. Third, the modern directors sought Realism which required a more interaction between the actors on stage, but they had to maintain romantic theatrical practices of an intimat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main reason is that they wanted to offer to the audience the opportunity to use the theatre as an outlet of their repressed senti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