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수학과 과학 교과 내용의 연관성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현대 사회의 모든 분야는 과학 기술의 바탕 위에 이루어져 있으며, 과학 지식과 정보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과학 교육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요구되며,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과학 교과를 어렵다고 말하고 있으며, 과학 교과에는 수학 교과와 관련하여 경험될 수 있는 장애들이 있다. 수학은 과학 교과 안에서 중요한 부분은 이룬다. 이와 마찬가지로 학교 수학 역시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수학적 주체와 구조화되고 단순화된 응용 문제만을 다룸으로써 실제적으로 수학적 개념의 파악과 문제 해결력이 저하되고 있어 학생들이 수학 학습을 힘들어하고 있다. 전통적인 문장제의 결점은 그것이 다루는 주제가 현실성을 상실함으로써 응용의 필요성을 부각시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로 무엇보다도 흥미롭고 유익한 수학의 응용 문제를 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연구할 필요가 있는 데 그 하나의 방법이 타교과와의 연계성이다. 또한 과학을 학습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점은 수학의 기본 기능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이 두 교과에 대한 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두 교과의 내용을 적절히 연관지어 사용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상의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 내용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비교하고 교사가 구성할 수 있는 교사 수준의 교육 과정과 학습자의 학습 성과로서의 교육 과정상의 차원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가 서로의 관련성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학습 성과를 극대화시키는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리하여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중학교 제7차 교육 과정에 의한 수학과 과학교과의 교육 과정 비교를 수학과 과학 교과서의 내용의 진도 시기 순서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제7차 교육 과정에 의한 교육 현장에서 두 교과 내용의 연관성에 관해 직접 느끼고 있는 교사와 학생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7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중학교 수학과 과학 교과의 내용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실제 교수 상황에서 연관이 있는 상대 교과의 내용이 선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되고 있는 경우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제7차 교육 과정에서의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의 내용은 어떠한 연관성과 학습시기로 구성되어 있는가? 2. 학생들이 느끼는 수학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연관이 있는 상대 교과의 선행 학습 부재로 인한 학습 실태는 어떠한가? 3. 수학 교사와 과학 교사가 느끼는 두 교과에 대한 연관성의 인식 정도와 연관이 있는 상대 교과의 선행 학습 부재로 인한 교수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중학교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한 수학과 과학 교과의 교육 과정 비교를 위해 7종의 과학 교과서와 16종의 수학 교과서 중에 각각 임의로 한 종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분석은 교과간의 내용에 대한 연관성을 교과별로 연간 지도 계획표를 참고로 하여 수학 교과서와 과학 교과서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수학과 과학 교과의 내용의 연관성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두 교과가 관련된 장면에서의 실천 상황을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우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은 두 교과가 내용상 관련이 깊은 문제를 각각 2문제씩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풀어보게 한 형태와 두 교과의 연관성에 대한 학생의 입장에서 느끼는 인식의 상태를 알아보고 질문을 하였다. 중학교 교사들에 대한 설문지는 수학과 과학 교과의 내용의 연관성에 대한의 전반적인 인식과 두 교과가 관련된 장면에서의 실천 상황, 제 7차 교육 과정에서의 변화에 대한 인식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에서의 수학과 과학 교과 내용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제7차 교육 과정에서 수학 교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과학 단원은 중학교 2학년의 '여러 가지 운동', 중학교 3학년의 '일과 에너지'와 지구 과학 상식으로 나타났고, 과학 교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학 단원은 중학교 1학년의 '문자와 식', '함수', 중학교 2학년 단원에서도 '함수', '방정식'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학 교과에서 과학의 내용을 소재로 하기에 가장 적합한 단원이 물리 분야이고, 과학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는 그래프와 문자의 변환이 기본적인 선행 요건임을 알 수 있게 한다. 2. 제7차 교육 과정의 수학과 과학 교과의 진도 순서를 비교해 본 결과, 제6차 교육 과정에 비해 문제로 지적되었던 부분이 상당 부분 해소되었으나 수학의 선행 학습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과학 학습에 이용되는 단원이 아직은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7차 교육 과정이 제6차 교육 과정에 비해 진도 순서가 많이 고려되었다고 받아들이고 있는 교사는 거의 없었다. 3.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 내용간의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대 교과에 가장 영향을 주는 영역으로 과학은 물리 영역, 수학은 함수 영역을 뽑았다. 또한 학생들에게 내용상 관련있는 상대 교과의 선행 학습이 수업 당시에 안된 상태로 학습을 한 내용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게 해본 결과 낮은 학습 성취를 보였다. 그리고 그 이유로 연관이 깊은 상대 교과의 내용 때문이라고 많은 학생들이 대답하였다. 4. 대다수의 교사들 역시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간의 내용상의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느끼고 있으며 특히 과학 수업시 수학적 내용의 선행 학습 부재로 인해 겪는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가장 영향을 주는 수학 영역으로 과학 교사들은 '함수'와 '방정식과 부등식'을 뽑았으며 수학 수업에 영향을 주는 과학 영역은 단연 '물리' 영역이라고 수학 교사들은 응답하였다. 5. 교사가 할 수 있는 두 교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수업이 사실상 힘들게 하는 이유로 교사 모두 충분한 설명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함을 들었으며, 특히 수학 교사는 과학 교과 내용에 대한 명확한 지식의 미비를, 과학 교사는 교육 과정 진도상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진도 순서를 충분히 검토하여 교과서 구성을 해야함과 동시에 상대 교과와 연관이 깊은 내용을 학습할 때 교사와 학생 모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참고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으로는 먼저, 교과서 편집시 과학과 수학의 교과서 내용과 진도 순서가 일치되도록 교육 과정 개정 때 심도 있게 논의하여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학교 현장에서 진도 시기의 부적절로 인해 선행 학습의 부재로 겪는 어려움을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서 우선 최소화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상대 교과와 연관이 깊은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하고 풍부한 참고 자료를 개발하여 교과서에 함께 구성해야 할 것이다. 교사는 수학과 과학 교과서 내용간의 상호 연관성을 깊이 인식하여 두 교과 교사들 간 상호 협력 속에서 서로의 관련 내용에 대해 명확한 지식을 습득하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다. 특히 수학 교사는 과학 교과뿐 아니라 다른 교과와도 연계학습이 가능한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관련있는 교과간의 선행 학습의 부재로 인한 학습 장애를 최소로 할 수 있는 교과간의 내용상의 연관성을 고려한 다양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science and mathematics are deeply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n spite of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d science, however, students might face difficulties by inconsistent teaching plan on curricula when they learn science. According to this thesis, it will be presented appropriate time to teach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ience and math and making out annual teaching plan focused on the 7th curriculum.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Movement and Energy and Work in science curricula at 2nd and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 is very closely related to math in 7th curriculum. Function and Letter and equation in math curricula at 1st and 2n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 is very closely related to science in 7th science curriculum. It should be preceded understanding Transformation of Graph and Letter basically for them to learn science effectively. 2. Part of inconsistent teaching plan that caused problems in the 6th curriculum was mostly solved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ience and math centered on the 7th curriculum. But it isn't complete. 3. Most of students agree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math. They respond that the science class chapter that need great amount of mathematical contents are "Natural law", also. They respond that the math class chapter that need great amount of science are "Function". 4. Most of teachers agree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math. Especially, They respond that they experienced hard time in managing science class because of the preceding mathematical concept. They respond that The science class chapter that need great amount of mathematical contents are " Natural law". also, They respond that the math chapter that need great amount of science are "Function", "Letter and equation". 5. Learning to consider relation to science and math is faced difficulties because of shortage of sufficient time to explain concept. Hereby, refering materials is need to promote effect of science learning by reducing hindrance to the minimum resulted in lack of preceding mathematical concept. Also, refering materials is need to promote effect of math learning by reducing hindrance to the minimum resulted in lack of preceding scientifical concept.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조기 침입탐지를 위한 침입경보 연관성 분석 프레임워크

        강성문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6

        오늘날의 네트워크는 광역화 및 고속화되고 있으며 해커들의 공격 기법들은 다양화되고 지능화됨에 따라,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시스템은 대량의 침입경보를 발생시키고 있는데 그 경보에는 과탐지 오류나 미탐지 오류를 포함하고 있어 보안관리자들의 분석을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각종 공격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하기 위해 침입탐지시스템에서 탐지하는 많은 침입경보를 축약하고,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관제시스템을 운영하는 보안관리자들이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침입을 조기에 탐지하여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침입경보를 축약하고, 집단화하며 이들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고 침입상황을 분석하여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침입경보 연관성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침입경보 연관성 분석 프레임워크는 침입을 탐지하여 침입경보를 발생하는 센서, 동일한 침입경보를 축약하는 Filter, 여러 곳에서 축약된 침입경보를 통합 및 집단화하는 Aggregator, 침입경보들간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는 Correlator, 침입경보를 공격 유형별로 분류하고 침입상황을 분석해 주는 Situator 그리고 침입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Viewe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침입경보 연관성 분석 프레임워크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침입탐지시스템이 생성하는 침입경보가 대량으로 발생하였을 때 그 경보의 수를 줄여주며 이들을 집단화(그룹핑)하고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여 중요한 침입경로를 효과적으로 보여 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기술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이기종의 침입탐지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관제시스템이나 중요정보 기반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사이버테러 대응 관리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침입탐지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침입경로를 분석하는 도구로도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침입방지시스템이나 기타 정보보호 제품과 연동하여 효과적인 사이버테러 대응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전장유전체 연관성분석에 의해 발굴된 SORBS2 유전자 변이와 혈관경직 간의 연관성 연구

        권지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6

        심혈관계 질환은 현대인의 사망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그 병리생태의 규명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다.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으로서 혈관노화와 연관된 혈관경직이 있는데 이는 심장-대퇴동맥 맥파속도로 측정될 수 있으며 혈관노화와 연관되어 심혈관계 질환의 병리생태학적 기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혈관경직과 원인유전자 변이 간의 연관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며 특히 아시아인을 대상으로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동맥경화의 병리생태적 지표로서 혈관경직 발생 관련 유전자 및 유전적 다형성을 발굴하고 혈관경직의 발생 정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의료원 심혈관센터에서 수집된 605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장유전체 연관성 연구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를 수행하여 혈관경직 발생과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는 다수의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ysm, SNP)을 발굴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SNP들이 존재하는 대상유전자 SORBS2 유전자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후보 유전자로 선정된 SORBS2는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여타 민족 집단을 대상으로 질병과 관련된 유전적 연관성 연구가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집단에서 혈관경직 발생관련 후보유전자인 SORBS2 유전자 변이와 혈관경직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군은 혈관경직의 지표인 심장-대퇴동맥 맥파속도를 측정하여 경직도의 수준에 따라 분류한 후, 325 명의 대조군과 280 명의 환자군이 포함된 총 605 명을 대상으로 연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SORBS2 유전자의 전장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20 종의 tagging SNPs가 발견되었다. SORBS2 SNPs 각각의 유전자형 및 대립인자형은 TaqMan assay를 이용해 결정했다. 이들의 빈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 SNP 중 rs2278938과 rs10001944는 대조군과 환자군과 사이에 유전자형과 대립인자형 빈도분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01).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 등 전형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를 보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rs2278938과 rs10001944는 모두 우성유전양상 (dominant genetic model)에서 각각 OR = 0.483, P = 5.198 ? 10-5과 OR = 0.613, P = 0.0058로서 혈관경직의 감소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는 달리 rs13119106 A 대립인자는 혈관경직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OR = 1.586, P = 0.019). 일배체형 (haplotype) 분석결과, haplotype CG는 혈관경직 발생 감수성과 매우 유의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OR = 15.553, P = 0.008).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인 집단을 대상으로 SORBS2 유전자 변이들과 혈관경직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는 최초의 연구이며 이런 결과는 SORBS2 유전자 변이들이 혈관경직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유전적 지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독립된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 유전자 변이에 대한 연관성 검증 연구 및 유전자 변이에 대한 기능적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유의한 연관성 결과를 나타낸 유전자 변이에 대해 여타 집단에서의 재현성 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선별된 유의한 유전자 변이의 생체 내에서의 기능 규명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IPA를 활용한 세계유산과 인근 상업가로의 연관성 분석 연구 : - 경주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

        정연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2000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경주역사유적지구의 인근 상업가로를 대상으로, 두 공간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요소들을 도출하여 연관 관계의 개선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 앞서 연관 관계를 정의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연관성 요소를 도출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상업가로를 방문한 방문객 118명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상업가로 이용실태, 연관성 요소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를 사용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통해 유의한 값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IPA 분석과 연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도출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설문조사를 통해 세계유산과 상업가로 간의 연관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문객의 75%는 세계유산과 상업가로 간의 연관성이 존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연관성 정도의 평균값은 3.95로 높게 평가되었다. 세 상업가로 중 황리단길, 교촌한옥마을, 로데오거리 순으로 연관성이 크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연관성 요소 중 통일성을 나타내는 건축물 요소와 경관성을 나타내는 도시적 요소가 세계유산과 상업가로의 연관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건축물 요소가 도시적 요소보다 큰 영향을 준다. 즉, 세계유산과 어울리는 색채와 디자인을 사용한 건축물이 많을수록 해당 상업가로가 세계유산과 연관성이 크다고 판단하며, 세계유산과의 동선이 잘 연결되어 있고 시각적인 방해요소가 없을수록 연계 관계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관성 요소에 대한 모든 만족도는 중요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세 상업가로 모두 방문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요소들을 충분히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체험 프로그램과 교육 프로그램, 안내 및 해설 등과 같은 홍보와 프로그램적인 요소들의 중요도-만족도 차이가 가장 컸다. 마지막으로 세 상업가로는 세계유산과 연관 관계를 잘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집중영역에 포함되는 상업가로는 없었으며, 유지영역 또는 과잉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 세 상업가로는 세계유산과 연관 관계를 충분히 맺고 있으며 현재와 같이 명확하고 쾌적한 동선, 경관을 해치지 않는 건축물 등을 통한 세계유산과의 연관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세계유산과 인근 상업가로의 연관성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영향을 주는 연관성 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중심으로 연관성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association b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spaces and deriving factors indicating the association with the nearby commercial streets of Gyeongju Historic Areas, which was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in 2000. Prior to the analysis, the association was defined first,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deriving the association factors through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survey, the importance-performanc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lated factors of 118 visitors to commercial street were derived. After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significant values through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and IPA analysis for deriving improvement measur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deriving factors affecting the associ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association between world heritage and commercial streets. 75% of visitors answered that there was a association between world heritage and commercial street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egree of association was highly evaluated at 3.95. Among the three commercial streets, Hwangridan-gil, Kyochon Hanok Village, and Rodeo Street were said to be highly related in the order. Second, among the factors of association, the building factors indicating unity and the urban factors indicating landscape influence the association between world heritage and commercial streets and the building factors has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urban factors.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the more buildings used colors and designs that match the world heritage, the great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mmercial streets and the world heritage, and the more visually obstructed it is. Third, all satisfaction with the association factor was lower than the importance. It is judged that all three commercial streets do not have sufficient factors to indicate the association that visitors consider important.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importance-performance of promotional and programmatic factors such as experience programs, educational programs, guidance and commentary was the largest. Finally, it is judged that the three commercial streets maintain a good association with world heritage. There was no commercial street where affected the association, and as it was included in the maintenance area or the excess area, the three commercial streets were sufficiently related to the world heritage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association with the world heritage through clear and pleasant movements and buildings that do not harm the landscap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world heritage and nearby commercial streets through a survey, and it is meaningful to derive an improvement to strengthen the association by deriving the association factors.

      • 시 텍스트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시교육 방안 연구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박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현재의 시교육이 개별 시 텍스트에 대한 분석 위주의 수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학습자의 풍부한 시 읽기 경험을 도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학습자의 시적 문학 경험 확대를 통해 자연스럽게 감상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시는 본래 함축성이 강한 언어로 이루어진 구조체이므로 학습자 혼자만의 시각으로는 깊이있게 감상하기 어렵다. 그리고 시교육에서는 학습자들에게 해석의 다양성을 허용해 주면서도 텍스트의 내적 의미에서 현격히 벗어나는 해석을 하지는 않게 적절히 안내해 주어야 한다는 교육적 난점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스스로 시를 올바르게 감상하고 내면화할 수 있게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시적 문학 능력을 신장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그 문학 능력은 학습자가 다양한 시를 읽어 나가면서 자신의 인식의 폭을 넓히고 보다 창의적인 시각에서 시 텍스트를 받아들일 수 있을 때 비로소 발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히 서로 연관성 있는 시 텍스트들을 비교·대조하면서 읽는 것은 시에 대한 안목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시 텍스트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시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제일 먼저 새로이 적용되는 7차 교육 과정 문학 영역을 검토하여 학습자의 문학 경험 확대를 통한 문학능력 향상이라는 목적의 의의와 교사의 열린 교재관 수용의 필요성에 대해 논해 보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문학 교실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시 관련 문항 양상을 살펴, 교과서 밖의 시를 적절히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과 텍스트 사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해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현행 18종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검토해 본 결과, 시 선정상의 문제점과 학습활동상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교과서에는 지금까지 정전이라 고 평가받아 온 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여성 시인의 시나 1980년대 이후에 나온 시에 대한 안배가 부족하며, 또한 학습활동에서 연관성 관련 문항을 충실하게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교사가 주제별, 이미지별로 연관성을 살려서 시를 읽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 자료를 구성하여 학습자가 비판적인 시각에서 시 읽기 경험을 확대해 나가도록 이끌어 줄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주제별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시 텍스트들을 함께 읽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시 텍스트의 주제별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를 자아의 갈등과 성찰의 자세, 고향의 기억과 원형적 그리움의 정서, 죽음의 승화와 삶의 의미 재인식이라는 세 가지 주제 항목에 적용하여 교수·학습의 실제적인 과정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들을 읽어가는 동안 학습자들은 일차적으로 자신의 인식의 폭을 넓히면서 시를 더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고, 이차적으로 자신을 반추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임을 지적하였다. 4장에서는 이미지별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시 텍스트들을 함께 읽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마찬가지로 시 텍스트의 이미지별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시 교수·학습 모형을 먼저 설계하고, 이를 우리에게 친근한 꽃, 새, 돌이라는 세 가지 사물의 이미지 항목에 적용하여 교수·학습의 실제적인 과정을 제시하였다. 꽃은 개화의 희망과 낙화의 절망이라는 이미지로, 새는 자유로운 비상과 초월이라는 이미지로, 돌은 무거움과 생명에의 의지라는 이미지 등으로 읽어 나갈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시 읽기를 하는 동안 학습자들은 시인의 시각에 비친 사물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찾아 볼 수 있고, 하나의 사물에 대한 상상력을 풍부하게 펼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시 창작을 위한 문학적 인식 능력과 태도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가 서로 연관 있는 시 텍스트들을 대하면서 교사와의 원활한 소통과정을 통해 문학 경험을 확대해 나갈 때, 자신의 문학 능력 또한 자연스럽게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가 안겨 주는 아름다운 정서적 체험을 직접 누려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그 실제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ha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at the present poetry education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of each poetry texts and it prevents learners from having a large experience in reading poetry. Therefore I've tried to find some methods to enlarge learners' powers of appreciation of poetry naturally through expanding experience of poetry. Poetry originally consists of significant words and it's hard for learners to appreciate poetry from ones' viewpoint. And there is an educational difficulty in that though they are allowed to interpret poetry variously, learners should be guided not to go against inner meanings of texts. Therefore we need to extend learners' ability in understanding of poetry and literature in order to let them appreciate poetry more profoundly and understand it fully. Learners can have the ability in understanding of poetry and literature through the expending experiences by reading poetry, wider recognition and creative vision. On this process it can be helpful for having an eye for poetry to compare and contrast between poetry texts related with each other. In this research I proceeded with this study to give directions to the education of poetry focu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poem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chapter, above all I examined the domain of literature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its goal, improvement of literary ability by means of enlarging learners' literary experiences and necessity of teacher's open-mind at choosing textbooks. I examined the aspects of questions related to poetry at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hich has a great effect on high school literary class and I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poems out of textbooks appropriately and introdu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cu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exts. In connection with this, I examined the present 18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and then I found the problems of inclusion of poems and learning activities. On the textbooks most of the poems are Canons so far and the textbooks require poems of after 1980's and women poets' and show limits in that they don't give question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solidly. I suggested that teachers need to get support materials, in connection with images and themes, which can help learners to read and understand poetry and let the learners enlarge their reading poetry experiences from the point of critical view. In the third chapter I tried to find a solution to reading poetry texts 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mes together. For this, first I design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entered on the relation of poetry texts by themes. I applied this to three theme items such as self-complication vs. self-reflection, emotion of archetypal longing vs. the memory of hometown and the sublimation of death vs. the meaning of life and suggested the actual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le reading various poems connected with each theme, learners can understand poetry more profoundly, widening their understanding of matters at first. And then they can have time to look back on their own lives. In the fourth chapter I tried to find a solution to reading poetry texts 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images together. For this, first I design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entered on the relation of poetry texts by images. I applied this to three image items such as flowers, birds and stones which are familiar to us ; blooming flowers as image of hope and fallen ones as image of despair, birds as image of free flying and solitude, stones as image of heaviness and desire to life. While reading these poems, learners can find poetry writers' various perceptions of matters from their own viewpoint and develop imagination of a matter. Furthermore they can have literary ability and attitude to compose a poem. Learners can extend their literary ability naturally when their literary experiences are expanded through the smooth communication with teachers by texts connected with each other. Learners can experience emotional richness from poetry as well. I expect that this essay will show the systematic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help to reach the goals mentioned up above and its actual process.

      • 전시회 브랜드 커뮤니티 결합의 관계적 요인이 전시회 만족도 및 개최도시의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심혜린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4

        Exhibitions are recognized by companies as an integrated marketing tool that breaks away from the simple publicity func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numerous product transactions related to specific industries and fields and exchanges between companies and companies and economic effects that promote industry revitalization as well as export, it is recognized as a strategic industry in many countries because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For the success of an exhibition,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nstituent of the exhibition plays a big rol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value of each exhibition in detail and to see how each constituent entity perceives the value of the exhibition. In terms of sharing value,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to verify how the exhibitors perceive the value.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brand relationship, product relationship, and social relationship among the exhibition brand community bonding factors can lead to exhibition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o the host city of Busan.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brand community concep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s newly re-examined according to this study and a differentiated study was attempted by newly suggesting the sub-factor of social relevance.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is to provide a suggestion that the justification for holding the exhibition increases when it is in harmony with the personality of the host city and various backgrounds, and is related to the growth engine industry of the host city.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argeted at 291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to 60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21 KOMARINE,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data collec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For a high-quality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of MICE experts and Busan citizens of the 2021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rand relevance of the brand community, which is hypothesis 1, had a positive effect on exhibitio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rand associ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xhibition satisfaction (β=0.225, p<0.000 ).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me of the exhibition and the background or characteristics of the host c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duties of participants and visitors, harmony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image of the host city, the necessity of holding an exhibition in the industry in which the participants and visitors are engaged. It has been well demonstrated that exhibition participation is related to the benefits and value provided to participants and visitors, and when the correlation is high, exhibition satisfaction is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 relevance of the brand community, which is hypothesis 2,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exhib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duct associ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xhibition satisfaction (β=0.399, p<0.000 ). In other words, assuming that the exhibition is a product or product, the environment such as the cleanliness of the exhibition venue, the convenience of viewing the exhibition, the safety of holding the exhibition, the visual elements of the exhibition venue, the collection of various new information through the exhibition, and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It was well known that satisfaction with the exhibition increases when there are professionalism, benefit of exhibition contents, diversity of exhibition contents, and enjoyment and fun of exhibition. Third, the social relevance of the brand community, which is hypothesized 3,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xhibitio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relev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xhibition satisfaction (β=0.217, p<0.000 ). In other words, meeting new people through exhibition participation, communication during the exhibition participation process, new companies found at the exhibition site, kindness and consideration of participating companies, understanding of visitors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and provision of visitor services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It was widely known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exhibition jumps when the positive attitude for the exhibition and the atmosphere for forming a general consensus among all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are good. Fourth, exhibition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in the city where the exhibition was hel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xhibition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ity brand loyalty (β=0.558, p<0.000 ). It shows that loyalty to the city in which the exhibition was held increases when a positive attitude toward perceived satisfaction, positive word-of-mouth about participation in the exhibition, and revisiting the exhibition is formed in comparison to the prior perception of the exhibition.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exhibition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factors of exhibition brand community, the difference in influence between product relevance (β = 0.399) and brand relevance (β = 0.225) with the highest standardized coefficient estimate was calculated and verifi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hi-square difference for each path coefficient, the difference in relative influ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x²d(1)= 11.29, p<.001).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roduct relevan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exhibition satisfaction compared to brand relevance and social relevance. Although this study provides several useful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based o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can be said to be as follow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KOMARINE, Korean representative maritime and shipbuilding industry exhibition. The scale, reputation and level of KOMARINE are generally high, and since it is an exhibition that they prefer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respondents' evaluations tend to be positive as well. In addition to industrial exhibitions, consumer goods exhibitions are also actively held. Since this study was limited to an industrial exhibition called KOMARIN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B2B consumer goods exhibition in the futu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earch results. 전시회는 단순 홍보의 기능에서 탈피한 통합적 마케팅 수단으로 기업에서 인식되고 있으며, 단시간에 특정 산업과 분야와 관련한 수많은 상품거래와 기업과 기업 간의 교류를 통하여 산업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경제적 효과 발생뿐만 아니라 수출 진흥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많은 국가들의 전략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시회의 흥망성쇠는 전시회를 구성하는 각 주체 간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큰 역할을 하며 각각의 전시회의 가치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각 구성 주체별로 전시회의 가치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전시회의 가치를 공유한다는 측면에서 전시회 구성 주체들이 어떻게 가치를 인식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시회 브랜드 커뮤니티 결합요인 중 브랜드 연관성(Brand relationship), 상품 연관성(Product relationship), 사회적 연관성(Social relationship)가 전시회 만족도와 개최도시인 부산시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로 귀결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 커뮤니티 개념을 본 연구에 맞게 새롭게 재조명하고 사회적 연관성이라는 하위요인을 새롭게 제시하여 차별화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것에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전시컨벤션산업을 육성하고 있는 시점에서 전시회는 개최도시의 개성과 여러 가지 배경과 조화를 이루고, 개최도시의 성장동력산업과 연관성이 있을 때 전시회 개최에 대한 당위성이 더 높아진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21 KOMARINE에 참가한 20대에서 60대 이상의 남·여 29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 법을 통한 자료수집을 통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양질의 설문조사를 위해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작성 후 MICE 전문가와 2021 부산국제영화제(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의 부산 시민 참관객을 대상으로 한 사전조사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서 설문지를 최종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정리하고 시사하는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브랜드 연관성은 전시회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브랜드 연관성은 전시회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25, p<0.000 ). 즉, 전시회의 주제와 개최도시의 배경이나 특징과의 연관성, 전시회와 참가자 및 참관객의 직무 등과의 연관성, 참가자 및 참관객이 종사하는 산업에서의 전시회 개최 필요성, 전시회와 개최도시의 이미지와의 조화, 전시회 참가가 참가자 및 참관객에게 제공하는 혜택과 가치 등의 관계가 있고 그 상호 연관성이 높을 때 전시회 만족도가 증대된다는 것을 잘 보여주었다. 둘째, 가설 2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상품 연관성은 전시회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상품 연관성은 전시회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399, p<0.000 ). 즉, 전시회를 하나의 상품이나 제품으로 가정하고 전시회 개최 장소의 청결 등의 환경, 전시회 관람의 편리함, 전시회 개최의 안전성, 전시회 개최 장소의 시각적 요소, 전시회를 통한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수집, 전시회 내용의 전문성, 전시회 내용의 유익성, 전시회 내용의 다양성, 전시회의 즐거움과 재미 등이 있을 때 전시회에 대한 만족도가 증대된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설 3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사회적 연관성은 전시회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사회적 연관성은 전시회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17, p<0.000 ). 즉, 전시회 참가를 통한 새로운 사람들과 만남, 전시회 참가 과정에서의 의사소통, 전시회 장소에서 알게 된 새로운 기업, 참가기업들의 친절함과 배려, 참가기업들의 방문객에 대한 이해, 참가기업들의 방문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극성, 전시회에 참가하는 모든 이들의 전반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분위기 등이 좋을 때 전시회 만족도가 증대된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었다. 넷째, 전시회 만족도는 전시회 개최도시의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전시회 만족도는 도시 브랜드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558, p<0.000 ). 전시회에 대한 사전인식에 비해 전시회 참가를 통해 지각된 만족도, 전시회 참가에 대한 긍정적 입소문, 전시회 재방문 등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될 때 전시회가 개최된 도시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추가로 전시회 브랜드 커뮤니티 세 가지 요인 중에서 전시회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표준화 계수 추정치가 가장 높은 상품연관성(β=0.399)과 브랜드 연관성(β=0.225)의 영향력 차이를 검증하였다. 각 경로계수에 대한 카이스퀘어 차이 검증결과,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x²d(1)= 11.29, p<.001). 즉, 상품 연관성은 브랜드 연관성과 사회적 연관성에 비해 전시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실무적으로 그리고 학문적으로 유용하게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양조선 산업전시회인 KOMARINE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KOMARINE의 규모, 명성과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고 참가를 선호하는 전시회이기 때문에 설문조사 응답자들의 평가 또한 긍정적일 수밖에 없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산업전시회 이외에도 생활소비재 전시회도 활성화되어 많이 개최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KOMARINE이라는 산업전시회에 국한되어 조사했기 때문에 앞으로는 B2B 생활소비재 전시회 등도 조사를 하여 연구결과를 비교 및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중학교 수학과 기술교과 내용의 연관성 고찰

        이관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4

        한글초록:수학은 다른 분야의 학문적 기초가 되고 있으며, 수학적 지식의 습득과 기능의 숙달을 통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거나 다른 교과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수학과 다른 교과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과 기술과의 내용상 연관성 여부, 학생들이 느끼는 수학과 기술교과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수학과 연관성으로 인한 기술과 학습실태 파악, 기술교사가 느끼는 수학과 기술 교과와의 연관성의 인식 정도와 수학과 연관성으로 인한 기술과 교수-학습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설문지와 두 교과서를 분석 조사한 결과 첫째, 중학교에서 수학과 기술 교과의 내용은 상당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특히 기술교과의 3학년 과정에서 ‘전기․전자기술’ 단원과 1학년 ‘제도의 기초’ 단원이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역이고, 기술교과를 이해하는 데 관련이 있는 수학 영역으로는 ‘수와 연산’, ‘도형’, ‘측정’으로 나타났고 기술의 수학 관련 단원의 내용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수와 연산에 관한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이 선행요건임을 알 수 있게 한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상의 진도시기를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은 문제가 없었으나 아직도 기술교과의 내용 중 수학교과에서 선행학습이 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어서 그 내용의 교수와 진도 시기의 조정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많은 학생과 교사가 수학과 기술교과 내용에 연관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수학을 잘 하는 것이 기술 공부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로 학생들은 수학과 관련된 기술교과 문제의 해결에서 법칙이나 개념은 알고 있으나 식을 적용하는 방법이나 계산식의 풀이 과정에서 틀리는 경우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해 기술수업 시간에도 관련된 수학적인 내용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과 학습 자료개발 및 그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기술교사가 수학교과와 연관성을 고려한 수업이 안되는 이유로 기술교과의 수업시간 부족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수학교과에서 배운 내용은 학생들이 모두 알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연관성의 인식 부족을 그 이유로 응답하였다. 이에 수학과 연관성을 인식한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3학년 기술 과정만을 대상으로 수학과 연관성에 관한 내용을 분석한 것이므로 1, 2학년 과정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 사회적 자본과 범죄발생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성동구와 광진구를 사례로

        권중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4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사회학뿐만 아니라 행정학, 경제학 등 사회과학과 관련된 모든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범죄학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외국에서는 사회적 자본과 범죄와의 관계에 대하여 범죄를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고자 하는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 자본과 범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몇몇 연구는 이론적 범주에 머물러 있거나 2차 자료를 근거로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여 범죄와의 연관성을 추정하는 정도의 수준에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생활권역에서 사회적 자본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사회적 자본과 범죄발생과의 연관성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생활범죄는 지역사회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이러한 인간관계를 측정할 수 있다고 전제하고 사회적 자본과 범죄발생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검토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에서 구성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강도, 강간, 절도, 폭력 등 생활범죄가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과 연관성이 있다는 점에서 사례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설문조사 방법으로 측정하고, 이를 지역의 범죄발생률과 비교함으로써 사회적 자본과 범죄와의 연관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자본은 특정 사회의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연계망(network), 신뢰, 호혜성과 같은 특징으로 인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는 사회 공동의 선을 증가시키고 생산적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는 함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사회적 자본의 존재는 시민들의 협력과 집합적 행위를 촉진시켜 공동체 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 준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이 시민사회의 성과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공동체의 이익 창출에도 기여한다면 어떻게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킬 것인가의 문제가 중요해진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에서 구성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강도, 강간, 절도, 폭력 등 생활범죄가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설문조사 방법으로 측정한 후, 범죄발생률과의 비교를 통하여 사회적 자본과 범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를 신뢰, 참여, 네트워크, 이타주의 등으로 한정하여 20개의 측정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서울특별시 내의 유사한 2개 기초자치단체인 성동구와 광진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회적 자본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범죄발생률은 사회적 자본의 측정시점과 근접한 2012년도 강도, 강간, 절도, 폭력 등 생활범죄로 한정하였다. 범죄 관련 자료는 경찰청에서 발표하는 공식통계를 활용하였으며, 사회적 자본의 측정은 두 자치구에서 거주하고 있는 주민에 대한 무작위 추출방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987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또한 설문결과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 Alpha 값이 0.8 이상으로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을 측정한 결과, 성동구와 광진구를 통합한 사회적 자본 측정치와 생활범죄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인 신뢰, 참여, 네트워크, 이타주의 요소와 생활범죄와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생활범죄 사이의 연관성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질문한 ‘동네밤거리를 안전하다고 느끼는 정도’에 대한 설문에서 안전하다고 느낀다는 응답과 생활범죄에 대한 서울시 체감안전도를 측정한 연구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나 신뢰와 생활범죄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참여요소와 생활범죄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는 거주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 유대감이 높고 절도 등 생활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작게 나타난다. 또한 거주기간이 길수록 참여요소 중 투표참여율이 높고 지역사회 유대감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거주기간이라는 변수를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참여와 생활범죄 사이에 연관성이 나타났다. 네트워크 요소와 생활범죄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는 거주기간이 길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화재, 범죄 등 비상사태 시 도움을 요청할 이웃이 많고 음식을 나누거나 간단한 부탁을 할 수 있는 이웃이 많아 네트워크 형성이 잘 되어 있고 이러한 거주기간, 소득수준이라는 변수를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네트워크와 생활범죄 사이에 연관성이 나타났다. 이타주의 요소와 생활범죄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는 거주기간이 길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타주의 형성이 잘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이러한 거주기간, 소득수준이라는 변수를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이타주의와 생활범죄 사이에 연관성이 나타났다. 또한 성동구와 광진구 각각의 사회적 자본 측정치와 생활범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면 생활범죄 발생률이 감소할 것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

      • 중국 상장기업의 정치적 연관성, 사회적 책임활동 및 기업가치에 관한 연구

        박설욱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4

        기업 사회적 책임활동(CSR)은 기업과 이해관계자와의 정보 격차를 줄이고(Dhaliwal, Li, Tsang, & Yang, 2011; Kolk & Extercatte, 2005) 나아가서 기업의 가치가 증가 될 수 있다(Margolis & Walsh, 2003; Orlitzky, Schmidt, & Rynes, 2003;백준성 & 윤병섭, 2018). 또한 기업은 CSR를 통하여 경쟁우위와 기업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고(Hooghiemstra, 2000; Neu, Warsame, & Pedwell, 1998; 박상록 & 박현숙, 2013) 시장과 사회 속에서 해당 기업이 정당성도 얻을 수 다(Campbell, 2007; Filatotchev & Nakajima, 2014). 최근 중국은 꾸준한 경제발전을 가져왔다. 하지만 경제발전 우선 정책으로 인해 각종 사회,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중국 기업은 중국 내 그리고 세계적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Sial, Zheng, Khuong, Khan, & Usman, 2018). 또한 2006년 정부의 주도하에 “조화로운 사회(harmonious society)”를 만들기 위한 국가적 정책이 발표되면서 기업들의 역할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2006년부터 시작하여 CSR제도에 관한 여러 제도와 정책을 발표하면서 상장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따르도록 요구하였다(Gao, 2011). 이는 중국 시장에 참여자들에 대한 CSR를 유도하는 환경적 압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즉 중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연구함에 있어서 제도적 환경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중국 내 CSR과 관련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짐에 불구하고 기타 국가들과 명확히 구분되는 독자적 정치를 하고 있는, 중국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한 정치적 연관성이 CSR정보공시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미흡하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CSR이 경영과 무관한 분야의 순수 지출로서 기업이 자원사용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고 경쟁자들이 쉽게 모방 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McWilliams & Siegel, 2011). 또한 최고경영자들이 기업의 CSR를 이용하여 개인의 명예를 높이고 자신의 직업발전에 초점을 두어 CSR이 실질적으로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도 있다(Galaskiewicz, 1997; Haley, 1991). 이러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음에 불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성과와 어떻게 연관되는가는 여전히 여러 학자들 사이의 논쟁 초점이다(Barnett & Salomon, 2006; Lu, Chau, Wang, & Pan, 2014; Ramchander, Schwebach, & Staking, 2012; Z. Wang & Sarkis, 2017). 본 연구에서는 중국 상해와 심천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2008년 ~2014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려 한다. 첫 번째는 중국 정부가 CSR제도를 강화하는 제도적 환경에서 정치적 연관성 기업이 반응을 살펴보면서 CSR정보공시를 통한 정부로부터의 정당성 확보의 측면에 초점을 둔다. 두 번째로는 CSR제도를 강화하는 중국 환경에서 기존의 CSR과 기업가치 간의 논쟁이 중국 시장에서 어떠한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정치적 연관성의 조절효과도 살펴보고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연구결과가 있다. 첫째, 정치적 연관성 기업이 더 높은 CSR정보공시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원 획득을 위한 정치적 연관성은 정부의 CSR제도 압력에 정부, 대중, 언론 앞에 높은 노출과 가시성으로 적극적인 CSR정보공시로 자신의 정당성을 확보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정치적 연관성 기업은 지역발전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도 제시하고 있다. 정치적 연관성 기업은 높은 가시성으로 강압적 압력을 받으며, 발달한 지역에 있을수록 건전한 시장화 제도와 건전한 법률화 제도로 정부의 더 높은 감독을 받으며 이에 따라 더 적극적으로 CSR제도에 반응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두 번째로 CSR정보공시 점수와 기업가치에 관한 실증연구를 하였는데, 선진국 시장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본 연구에서 정부를 이해관계자에 포함하여 중국 시장을 연구했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CSR은 비효율적인 투자와 모방이 쉽고, 경영자의 대리인 문제로 기업 성과에 영향에 없다는 주장과는 달리, 중국에서 기업 사회적 책임활동은 이해관계자와의 정보 갭을 줄이고 기업 이미지와 경쟁우위를 얻을 수 있어 궁극적으로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주장과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넷째, 독자적 정치를 하는 중국에서 정치적 연관성은 기업의 중요한 전략적 자원이다. 즉 정치적 연관성은 비 정치적 연관성 보다 많은 더 많은 정치적 우위와 자원이 있는데, 이러한 기업들의 높은 CSR점수는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더 좋은 이미지를 주고 긍정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에 영향을 주는 연구결과를 보인다. 조절변수인 정치적 연관성을 중앙 정치적 연관성과 지방 정치적 연관성으로 나누어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기업에 있어 중앙 정치적 연관성은 더 좋은 전략적 자원일 될 수 있고 정부를 포함한 여러 이해관계자들은 중앙 정치적 연관성을 더 인정하고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CSR can narrow the information gap between enterprises and stakeholders, thus improving the value of enterprises. In addition, enterprises can gain competitive advantages through CSR, and these enterprises can also be justified in the market and society. In recent years, China's economy has been developing steadily. However, due to the policy of prioritizing economic development,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come increasingly serious, so Chinese enterprises have become the target of condemnation in China and the whole world. In 2006, under the guidance of the government, the country introduced the policy of building a "harmonious society" and began to emphasize CSR of enterprises. Since 2006, a number of CSR policies have been issued, requiring listed companies to assum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is can be interpreted as increasing environmental pressure on CSR of market participants in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when study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hinese enterprises. In this social atmosphere, there are various researches on CSR in China. However, in my opinion, considering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which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China and other countries,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olitical ties on CSR information score is still not satisfactory. In this study, enterprises listed in Shanghai and shenzhen stock exchanges of China are taken as objects, and the data from 2008 to 2014 are taken as the center to conduct research from two aspects. First of all,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strengthening CSR policies, of political ties the response of enterprises, and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ensuring legitimacy by releasing CSR information. Second,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CSR policies in China,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CSR and enterprise value debates in the Chinese market and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tical ti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the research shows that political ties has a positive impact on CSR information scores. Under the pressure of CSR policies, political ties enterprises have higher exposure and visibility in front of the government, the public and the media, so they publish higher CSR information scores to ensure their legitimacy. Secondly, the research results of political ties enterprises are also presen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development level. Political ties enterprises are under intense pressure due to their high visibility. The more developed regions are, the more highly supervised by the government due to the sound market-oriented system and legal system, and the more active they are to respond to CSR policies. Third,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CSR information scores and enterprise value. Although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 developed countries, the Chinese market has been studied by government stakeholders. In past research, CSR has argued that inefficient investment and imitation are easy and do not have an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because of the operator's agent problem. On the contrary, CSR argues that CSR in China can shorten the information gap with stakeholders and gain corporate image and competitive advantage, which will ultimately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Fourth, in China, political ties is an important strategic resource for enterprises. That is to say, political ties has more political advantages and resources than non-political ties, and the high CSR scores of these enterprises can leave a better impression on stakeholders and produce positive reactions, which will eventually affect enterprise value. We divided the moderating variable - political ties into central political ties and local political ties, and observed the moderating effect. For enterprises, the central political association may be a better strategic resource for stakeholders, including the government, and the results show that stakeholders more recognize the central political ties and show more positive responses.

      • 중학교 수학과 기술교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이준희 신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4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human beings need systematic ability which takes advantage of the technology. In order to have these skills, technical education is needed that relate knowledge configurationally and comprehensively. Mathematics and technology have a deep connection in contents, and to make students achieve the aims in technology, mathematical knowledge should be related in teaching technology. However related both subjects, the order of each subject course is different in the curriculum, which makes much difficulty in teaching the subjects.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would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mathematics and the specific difficulty teachers feel in teaching the subject in terms of applying mathematical aspects in technology class. By doing so, I try to find the opportunity to boost the effects of teaching technology class. I ann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subject and mathematics in terms of context and teachers understanding focused o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clusion that is gotten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and technology subjects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middle school. Especially, the strongly related part in technology class is the whole contents of the electric machine technology in the third grade and manufacture technology nuit's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ratio of measure in the second grade, and the mathematics area that has a strong connection and needed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subject is number and arithmetic and character, expression, and geometry follow the next.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lasswork process of the two subjects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ost of the technology class does not have any problem to follow the class because of the pre-learning in math class while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as waveform of interchange makes the difficulties because concept of nature, sine law, law of cosines(first year mathematics in high school), vector(higher mathematics, geometry and vector) of trigonometric functions does do not become virtue studying in the concept(third year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about square root and irrational number that is mathematical contents published in size of drafting paper and kind of electricity, which is dealt with the utilization part in mathematics. Third, most technology teachers feel that mathematics and technology have a strong relationship in contents. Moreover, number and arithmetic operation, character and way, geometry part in mathematics are related in technology class according to the teachers. Fourth, many students feel that mathematics and technology have a strong relationship in contents. They believe the high score of mathematics is helpful to learning technology subject, and actually the teaching which deals with mathematical parts such as problem resolution, solving problems, calculating, and applying the rules is strongly needed to teach as they already know the rules and concepts. Fifth,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coordinated math and technology class is "bringing reference books as technology teachers have classes" and "reordering the process of teaching." Offer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t is needed to teach the related parts of the both subject by relating the knowledge and extending the structure of the comprehensive structure of the way of thinking. Furthermore, the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based program which coordinates science․technology․engineering․mathematics is required. Moreover, this research studied focused on middle school curriculum, hopefully, however, the following study which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 both subject is going to be researched in the nearest future.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인간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능력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통합적으로 지식을 연계하고 종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기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학과 기술교과는 내용면에서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들의 기술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기술교과의 학습 시에 수학내용을 적절히 연관 지어 사용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 그러나 두 교과는 서로 깊은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부분 교육 과정상 내용과 지도 순서가 합리적이지 못하고, 이로 인해 일선 학교 현장의 기술교사들은 기술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기술교과의 교과서 내용을 연관 지어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두 교과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기술교사와 학생들이 기술수업 시 수학적 방법을 적용할 때 구체적으로 어떠한 어려움을 느끼는지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기술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과 기술교과의 내용의 연관성을 분석해보고, 기술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두 교과간의 연관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에서 수학과 기술교과의 내용은 상당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특히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술교과의 영역은 3학년 과정에서 전자 기계 기술 단원의 전체적인 내용과 2학년 과정에서 제조 기술 단원의 측정기구와 작도, 척도의 비율로 나타났고, 기술교과를 이해하는데 가장 관련이 있는 수학 영역으로는 수와 연산이며 다음으로 문자와 식, 기하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과 기술교과의 2007 개정 교육과정상의 진도시기를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은 수학교과에서 선행학습이 되어 기술교과의 학습에 별 문제가 없었으나 제도용지의 크기(기술․가정2)에 나오는 수학적인 내용인 제곱근과 무리수에 대한 개념(중3 수학)과 전기의 종류인 교류의 파형(기술․가정3)에서 삼각함수의 성질, 사인법칙, 코사인법칙(고1 수학), 벡터(고등수학, 기하와 벡터)의 개념은 선행학습이 되지 않아서 이해시키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저항의 색띠 저항값 계산에서 지수의 범위가 정수, 유리수로 확장되어 국민 공통 교육 기간인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수학을 학습한 학생이 선택할 수 있는 『수학의 활용』에서 다룬다. 따라서 그 내용의 교수와 진도 시기의 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대다수의 기술교사들은 수학과 기술교과의 내용상에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느끼고 있으며, 수학교과의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영역이 기술교과 수업에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적용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많은 학생들이 수학과 기술교과 내용에 연관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수학과목을 잘 하는 것이 기술교과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로 수학과 관련된 기술교과 문제의 해결에서 법칙이나 개념은 알고 있으나 식을 적용하는 방법이나 계산식의 풀이 과정에서 틀리는 경우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해 기술수업 시간에도 수학과 관련된 내용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다섯째, 기술교사가 수학교과와 연관성 있는 수업을 위한 효율적인 수업방안은 ‘기술교사가 수업 시 참고자료를 준비’, ‘교육과정상의 진도순서의 재조정’ 순으로 많았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수학과 기술교과 간에 서로 연관 있는 영역을 함께 통합적으로 교육함으로서 지식을 연계하고 종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지식의 구조를 넓게 할 필요가 있겠으며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네 영역의 통합요소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기반의 프로그램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과 기술교과의 내용으로 연구하였으나, 앞으로는 고등학교 교과 내용도 분석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좋겠으며 더불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수학과 기술교과 내용에서의 연관성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