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淸末民初女性解放運動硏究 : YUN,miyoung

        YUN,miyoung 北京師範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8703

        <무술변법시기의 여성해방운동>근대 의의상의 여성해방사상과 운동은 무술변법시기 사상계몽운동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여성해방사상과 운동은 근대자산계급의 계몽사상 중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강유위(康有爲), 양계초(梁啓超), 담사동(譚嗣同)등은 여성해방을 주장한 최초의 인물들이었다. 무술변법시기의 여성해방사상은 주로 부전족운동과 여학진흥 등에 집중되었는데 이것은 근대여성해방운동의 출발점이었다. 무술변법운동은 바로 '보국보종(保國保種)'을 목표로 한 애국주의 운동이었다. 유신파들은 중국여성의 신체와 사상해방 실현을 주장하면서 부전족운동, 여학설립과 <<여보(女報)>>출판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는데, 그 목적은 바로 부국강병을 위한 것이었다. 유신파들은 천부인권설과 진화론의 사상을 받아들여 여성문제를 국가·민족적 위기와 연결해서 일어났는데, 이는 선명한 애국주의 색체를 보여주는 것이다. 유신파들은 부전족운동과 여학진흥을 여성해방운동의 주요내용으로 삼았지만, 이것은 진정한 여성자신의 해방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2천년이란 봉건사회에서 속박과 억압을 당해온 여성자신들의 자립을 호소한 것은 무술변법시기의 중요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무술변법시기의 여성해방운동은 민족을 구하려는 역사흐름 속에서 유신파들의 여성해방운동은 이후 여성해방의 흐름을 밝혀 주었던 것이다. <신해혁명시기의 여성해방운동>20세기 초는 근대중국사회에 커다란 변화의 시대였다. 이 시기는 민주혁명의 흐름 속에, 중국 2천여년의 군주전제체제의 막을 내리고, 중화민국 성립을 목표로 한 민족사상이 인민들의 가슴에 깊이 파고 들었다. 근대중국은 제국주의 쟁탈전의 대상이었으며 제국주의 침략군이 도처에서 잔인한 행동을 저지르고 있었다. 이러한 위기의식이 점차 가중되어 국토 분할의 형세하에 중국여성들은 각성하기 시작했으며, "조국이 흥하고 망하는 것은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에게더 책임이 있다" 또 "조국이 없으면 가정도 없고 자신의 해방도 없다."라는 의식하에 먼저 각성한 선진 여성지사들은 나라를 구하고자 전쟁등에 참여했다. 신해혁명시기의 여성애국 활동을 보면, 여성들은 자신들의 해방을 위해서는 먼저 국가를 구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자신의 해방은 국가의 운명과 같이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신해혁명 시기의 여성 혁명활동은 애국구민, 제국주의 침략에 대항, 만청왕조의 전복을 목적으로 한 '여자국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하고자 했다. 그러므로 신해혁명시기의 여성해방운동은 중국근대 반제애국운동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五四운동시기의 여성해방운동> 5·4운동시기의 여성해방운동은 무술변법과 신해혁명시기의 여성해방운동보다 더 발전되고 총결된 운동이었다. 5·4시기 여성해방운동은 2가지 방면에서 동시에 전개되었다. 각성한 여성들은 반제애국운동과 반봉건으로부터 자신의 자유를 구하고자 했다. 즉 애국운동 및 기타 정치투쟁에 참가함으로써 여성해방운동의 의의를 포함하려 했다. 여성은 반제국애국운동에 참가해서 당시 사회에서 여성들에 대한 편견을 변화시키고자 했는데, 이것은 여성들의 사회지위의 변화를 위한 필요조건 중의 하나였다. 반제애국투쟁의 참가와 여성해방 쟁취의 양자로 비록 동등하진 않았지만,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남녀청년들은 어깨를 나란히하여 전투에 참가하면서 사교의 기회를 가져 남녀평등을 위한 실천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한 것이었다. 5·4운동시기의 여성해방운동은 무술변법에 시작된 여성해방운동에 있어 최고절정에 도달한 운동이었다. 총체적으로 볼 때 중국근대는 중요한 사건과 변혁이 많았던 시기였는데 여성들은 그때마다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것이다. 혁명이 고조될 때, 여성운동 또한 고조의 열기를 띄었고, 당시 혁명이 좌절될 때에는 여성운동 또한 저조했다. 그러므로 중국근대여성해방운동은 독단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중국여성은 민족민주혁명에 참여하면서 사회변혁 가운데 자신의 해방을 획득하고자 했던 것이다.

      • 사회주의 여성운동가 허정숙(1903~1991)의 활동과 사상에 대한 재고찰 : 콜론타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백숙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life and theories of Heo, Jeong-sook (1903~1991). As an extension of that,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heories of Alexandra Mikhailovna Kollontai (1872~1952), a Russian Bolshevik revolutionary and Marxist feminist, and those of Heo, Jeong-sook. Born in 1903 in Myeongcheon, North Hamgyeong Province as the daughter of a great nationalist lawyer Heo, Hun, she left a distinct mark in various fields. In the early days, she worked hard mainly on the women's enlightenment movement, but after studying abroad, she led the socialist women's movement in the country from the beginning and emerged as a most notable socialist women's activist. As an outstanding theorist-cum-activist, Heo tried to break through the triple oppression of capitalism, patriarchy, and imperialism surrounding Joseon women at the time. She fought as a journalist, polemicist, and activist against these oppressions. And she also fough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as an armed anti-Japanese revolutionary. Heo was a key leader of the 'Kunuhoe', a unification front line organization of socialism and nationalism, and was imprisoned for her involvement in the 2nd “Female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related to the Gwangju Students Movement. From 1936 until Korea's liberation from the oppressive Japanese colonial rules, she fought against Japan in China as a member of the “Joseon Independence Alliance”, an armed group. After the liberation, sh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With such a remarkable career and excellent work skills, Heo Jeong-sook became a high-ranking politician in North Korea. She suffered a political crisis and stepped down from all posts during the sectarian struggle, which was the process of reshaping power to Kim, Il-sung, however, she succeeded in making a political comeback by focusing mostly on counter-South Korea activities later. At the time of her death, she held a record of being the most terms-elected delegate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as a woman in North Korea as well as being the longest-serving woman on the political front. She also held the important positions of the Minister of Culture, Minister of Justice, and the Chief Justice, which was the first for a woman in the world. In reflection of her achievements and career, her funeral, when she died of chronic disease in June 1991, was conducted as a state funeral. While she might not have achieved the goals of women's liberation and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which she had pursu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days, she achieved grandness within the limits of her chosen regime. It can be said that she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throughout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by greatly contributing to the women's movement, national liberation, and then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ist regime.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ories of feminism between Heo, Jeong-sook and Alexandra M. Kollontai. While Heo has been often called "The Kollontai of Joseon" due to similar paths of their lives, their theories have not been discussed in earnest comparison.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focus on three themes: "The basis of oppression of women and methodology of women's liberation", "desirable women", and "sexual morality and view of sexual love". With respect to the “methodology of women's libera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has found that Heo was a more Enlightenment thinker than Kollontai in many aspects. Heo ultimately thought that the true liberation of women was possible only through social transformation, but she also realized that the reality of Joseon at the time was that feudal traditions were so severe that women's human rights restoration should be preceded. Therefore, she set the direction of the step-by-step women's movement called the double treason movement, and in the process, she set women's enlightenment and education as the main agenda. On the other hand, while Kollontai also valued Enlightenment, she did not empathize with the ideas of liberal feminists at all. Second, there was also some difference in their view of the “desirable image of women”. While Kollontai also regarded women's emotions very importan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at Heo emphasized women's emotions to the point of putting them at the forefront of her theory. This originated from her view of human beings as emotional beings. which led to the unique and original feminism of Heo, Jeong-sook. Lastly, regarding their view of “sexual morality and sexual love,” it is considered that socialism and a bourgeois view of sexual love coexisted in Heo in contrast to Kollontai whose view was based on socialism completely. This finding is based on Heo's positive evaluation of Ellen Key. By the way, these differences stemmed from the social differences between Russia, which at the time achieved a revolutionary regime, and colonial Joseon, which suffered a mixture of triple oppression at the time. This study confirms that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m as mentioned above, they had a commonality in that both Heo and Kollontai acknowledged the relative independence in approaching women's problems and presented a methodology to solve them. Further, this paper also confirms that both Heo and Kollontai extended the horizons of Marxist women's liberation theory. 이 논문은 허정숙(1903~1991)의 삶과 이론을 재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연장선상에서 러시아의 볼쉐비키 혁명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자인 알렉산드라 미하일로브나 콜론타이(1872~1952)와 허정숙의 이론을 비교 분석하였다. 1903년 함경북도 명천에서 민족변호사 허헌의 딸로 태어난 허정숙은 다양한 방면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초기에는 여성계몽운동에 힘썼으나 해외 유학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 사회주의 여성운동을 처음부터 주도하며 대표적인 사회주의 여성운동가로 부상했다. 그녀는 탁월한 이론가이자 운동가로서 조선 여성을 둘러싼 자본주의, 가부장제, 제국주의라는 삼중 억압을 돌파하고자 노력했다. 그녀는 언론인이자 논객, 운동가로서 투쟁했지만, 직접 총을 들고 일제와 싸운 무장 항일 혁명 투사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계열의 통일전선기관인 ‘근우회’의 핵심 리더로 활약했으며, 광주학생운동 관련 제2차 ‘여자학생만세운동’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1936년부터 중국에서 ‘조선독립동맹’ 소속으로 광복 때까지 일제와 싸웠으며, 해방 이후, 북한 정권수립에 기여했다. 이러한 경력과 뛰어난 업무 능력을 바탕으로 하여 허정숙은 북한의 고위 정치인의 자리에 올랐다. 김일성 중심으로 권력이 재편되는 종파투쟁 과정에서 정치적 위기를 겪으며 일선에서 물러났으나, 이후 대남활동에 주력하며 재기에 성공하였다. 허정숙은 사망 당시 북한에서 여성으로서는 최고인민회의 최다선 대의원이자 가장 오랫동안 정치일선에 있었다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계 최초의 여성 문화상, 사법상, 최고재판소장이라는 타이틀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이를 반영하듯 1991년 6월 숙환으로 사망한 허정숙의 장례는 국장으로 거행되었다. 비록 식민지 시기부터 추구한 여성해방과 민주주의 실현의 목표를 이루지 못했지만, 자신이 선택한 체제의 한계 내에서 적지 않은 업적을 달성하였다. 이 땅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며 여성운동 민족해방에 이어 사회주의 정권 수립 기여라는 괄목할 만한 업적을 세운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허정숙과 콜론타이의 여성주의 이론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슷한 삶의 행보로 인해 허정숙이 ‘조선의 콜론타이’로 명명되어왔지만, 둘의 이론이 본격적으로 함께 논의된 바 없기 때문이다. 논의는 크게‘여성억압의 토대와 여성해방의 방법론’ ‘바람직한 여성상’, ‘성도덕과 성애관’세 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비교 결과, 여성해방의 방법론에서 허정숙이 계몽주의자의 면모를 더 많이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허정숙은 최종적으로는 사회변혁을 통해서만 진정한 여성해방이 가능하다고 보았지만, 조선의 현실은 봉건적 인습이 심각하여 여성들의 인권회복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녀는 이중반역 운동이라는 단계적인 여성운동의 방향을 설정하였고, 그 과정에서 여성계몽과 교육을 주요 의제로 설정하였다. 반면, 콜론타이는 여성계몽을 중시하기는 했지만,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의 논의에는 전혀 동조하지 않았다. 두 번째로 바람직한 여성상에 대해서도 두 사람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콜론타이도 여성의 감정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나 허정숙은 여성의 감정을 이론의 전면에 내세울 정도로 강조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인간을 감정적인 존재로 파악한 허정숙의 인간관에서 비롯된 것으로 허정숙만의 독창적인 페미니즘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그들이 생각하는 ‘성도덕과 성애관’에서 콜론타이가 철저히 사회주의에 토대를 둔 것과 달리 허정숙에게서는 사회주의와 부르주아적 성애관이 공존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엘렌 케이에 대한 허정숙의 긍정적인 평가에 근거한다. 그런데, 이러한 차이들은 혁명정권을 이룩한 러시아와 삼중의 억압이 혼재된 식민지 조선이라는 당대 사회의 차이에서 기인한 면도 있다. 다른 사회적 배경에서 비롯된 두 사람의 시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마르크스주의라는 큰 틀 안에서 여성의 성해방과 자유, 독립성을 추구했다는 면에서 두 사람은 공통점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두 사람 모두 여성문제의 상대적 독자성을 인정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마르크스주의 여성해방론의 지평을 확장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한중여성항일운동가에 대한 비교연구 : 김순애와 사량을 중심으로

        부시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민족과 나라가 생사존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여성이 남성과 함께 나란히 투쟁했다. 항일구국운동이 남성만의 전유물이 아니며 여성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움직였고 이 과정에서 남성과 다른 다양성과 복잡성 그리고 여성 내부에서의 차이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나라를 되찾는 데 남녀가 따로 없듯이 역사적 평가와 기념에도 남녀가 똑같이 기여한 만큼 정당한 대우받아야 한다. 또한, 여성에게 남성의 항일구국활동과 똑같은 기준으로 비교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한국독립운동과 중국항일운동에 관한 기록과 연구를 남성중심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기 때문에 민족 해방을 이룩한 과정에서 여성이 이루어낸 공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매우 부족하다. 본 논문은 대혁명적 민족 해방 투쟁에 참여한 한중 양국 여성들의 정체성과 주체성 그리고 행위성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남성 중심 편향의 역사적 서사의 틀에서 벗어나 김순애 선생의 독립운동활동 양상과 사량(史良)여사의 활동 실태에 대해 구체적인 고찰을 통해 여성사와 여성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젠더와 민족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한중 양국 여성들의 빛나는 활약상을 살펴보고 비교분석을 했다. 두 사람은 여성 교육, 가정 분위기, 혈연 네트워크, 활동 지역과 활동 내용 그리고 여성 해방과 민족 해방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식 등 측면에서 공통점이 나타나며 종교, 결혼·출산·돌봄 그리고 해외 독립활동 전개의 특수성 등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여성과 재중 한인 여성들의 전반적인 항일구국활 동상을 도출한 후 ‘여성 교육과 공적 영역으로 진출’, ‘항일구국활동-가 정 양립의 딜레마와 내재적 차이성’ 그리고 ‘연대와 시사점’ 이 3가지 측면에서 여성들이 항일구국활동에서 경험한 다중적 교차성과 그 원인을 분석하면서 여성 해방과 민족 해방 간의 관계를 밝혀냈다. 후방에서 남성의 부재는 여성들이 더 많은 분야에서 자신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게 했다. 여성들이 남성과 함께 민족해방의 책임을 도맡아 하게 되면서 젠더 측면에서 과거에 받았던 차별대우가 어찌 보면 희석되어 남성들이 주도하는 세계인 공적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 사회가 여성들에게 부여한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은 민족해방운동까지 확장되었다. 여성들을 독립적인 권력의 주체로 간주하지 않으며 민족국가를 구축하기 위한 일종의 사회적 자원으로 본다. 남성들은 여성들이 민족 해방과 정치에 전반적으로 개입과 참여를 거부하며 여성들에게 국민으로 해야할 의무만 강조하고 그들이 누려야 할 권리는 무시한다. 사적 영역에서 전통적인 성 역할에 대한 강조는 다시 공적 영역에서 경험한 억압과 차별들이 교차하면서 여성들의 구국운동 참여를 제한하게 하고 여성들에게 다중적인 부담을 안긴다. 서로 교차하는 민족적 젠더적 억압의 축은 여성들을 공적·사적 영역에서 다중적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하며 자신의 권리보다 항상 민족과 가족들의 이익을 최우선시하면서 자신의 권리를 위한 투쟁의 주체성과 능동성 그리고 억압으로부터 자신을 해방하려는 주체성과 능동성을 약화시킨다. 또한, 민족 해방이 이루어지고 민족이 새로운 질서에 안착한 후, 여성들은 또 다시 역사에서 밀려나고 또 다시 배척당하고 차별당하는 대상이 된다. 오늘날 한중 양국에서 제도적으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지위를 갖고 있다고 하나 사회에서 실질적으로 양성평등이 이루어졌다고는 할 수 없다. 해방 이후 여성들은 불안정한 노동시장과 불평등한 젠더 관계에서 일-가족 양립문제를 개인적으로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다양하게 분화되어 갔다. 이는 과거에 여성항일운동가들이 직면했던 딜레마와 유사하다. 즉 현재 여성들이 여전히 젠더적 민족적인 다중적 억압과 차별을 당하고 있다. 한중여성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차세대 여성에게 보여줬던 생생한 역사를 감안해 보면, 오늘날 여성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잘 파악해야 하고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감당하는 주체성을 제대로 발휘하여 공론장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비슷한 곤경에 처해 있는 한중 여성은 국경과 이데올로기의 차이를 초월하여 과거 한중 양국 여성들이 반제국주의라는 같은 목표를 위해 서로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합력해 투쟁했듯이 수많은 억압과 차별로부터 공감대와 연대를 형성하여 자발적으로 대안을 함께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nations were in their hour of peril, women as well as men fought for their countries and liberation. Women entered the public fields dominated by men and continued to play their traditional roles in private areas. They shouldered their responsibilities as a part of their nation an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anti- Japanese movement that was once considered an exclusive arena for men in a variety of ways, showing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female’s anti-Japanese movement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male’s as well as the internal differences within female. Hence, there should be no distinction and difference when praising women’s contribution to their nation’s liberation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the value of women’s reproduction. In recent years, scholars have shed new light on Korean female’s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Chinese female’s participation in China’s Anti-Japanese Movement as the wave of feminism keeps growing in East Asia. However, studies on this topic have mostly been examines from a male-centered perspective leading to the lack of correct awareness of women’s contribution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national liberation. Therefore, this paper took a different perspective by comparing two representative figures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 Kim Sun-ae(김순애) from Korea and Shi Liang(史良) from China – to unfol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Chinese women and Korean women’s participation and devotion when fighting against Japanese aggress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women’s history perspective through exploring how Kim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t both Shanghai KPG and Chongqing KPG period and how Shi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China(both Shanghai and Chongqing).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Kim and Shi in terms of educated, family atmosphere, blood-ties network, regions and contents they participated in, and the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liberation and national liberation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regarding their religion, marriage, fertility, and the unique nature of overseas Korean independence activities.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also revealed the relationships among women’s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lthough women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actively and entered the public domain which was dominated by men, their activities were still subject to men and patriarchy’s needs. Also, women had to endure the double burden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domains since their traditional role as a mother and a wife assigned by the society had expanded to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omen had suffered endless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under the axis of intersected inequality from gender and nation during the period fighting for their nations. The reason why we must shed new light on female’s roles and their historical status that haven’t been disclosed thoroughly not only lies in our praise and appreciation for those women’s devotion in regaining our countries but also in inheriting the spirit of women’s anti-Japanese movement – to see how it had impacts on today’s feminism movement and women’s status in both Korea and China, and to reveal messages that it sent to today’s modern women.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women’s self-awareness of their identity and subjectivity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as well as the usefulness of internal solidarity among women and external solidarity with different parties. Chinese and Korean females can band together to deal with the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from the similar situation nowadays including stress from the nation and society regarding the low fertility issue, double burden, and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