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들만의 리그'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한국 금융투자업계의 젠더화된 네트워크에 관한 비판적 분석

        이영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thesis critically explores the labor culture and perceptions of workers in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and how financial capitalism operates based on it. The thesis argues that gender functions as an axis of a new accumulation strategy driven by global financial capitalism and seeks to capture it from a gender perspective revealed explicitly in the labor performance of industry worker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demonstrates how such a gendered labor culture in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highlights the inequality problem of Korean society, where financial capitalism is prevalent. With the rapid expansion of global capitalism, neoliberal financialization, the driving force, has firmly established itself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the domestic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has grown, giving hope to countless people while also encouraging economic desires. Workers who entered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by building various high specifications have been reborn as steady workers who embody the workers' image required by these specifications and move financial capitalism. However, becoming these “steady workers” differs depending on gender. As a result, experience is linked to practical labor inequality, making it difficult for female workers to gauge where their identity fits into the industry quickly. The “their league” structure, which is implicitly inherited and sensed, is maintained while strengthening the male centrality of the sector, which also shares context with the entire accumulation structure of Korean society. To carry out this thesis, the researcher met and talked with a total of 32 research participants from August 2019 to February 2021, conducted pilot research and full-fledged field research, and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industry workers. Newspaper articles, legal and statistical data and related research papers were carefully reviewed and used to interpret empirical data obtained during field research. While conducting research, the researcher positioned herself as a "close outsider" in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by witnessing various significant changes and crise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Participants in the thesis entered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for various reasons, were connected by performing different tasks in multiple fields, and left the industry for various reasons. The intended arguments revealed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is constructed on the capital market. The division of functional areas within the industry leading to the front-middle-back is the basis for the fundamental accumulation of financial capital profits. The 1997 IMF financial crisis,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enactment and subsequent revision of the Capital Markets Act are critical factors in the evolution of the Korean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Second, these changes in markets and industries have established "ideal" workability that suits them. This workability includes the daily performance of unpaid labor in light of “autonomous” labor, the internalization of heavy work intensity, performance-based contractual employment, and the acquisi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informal networking. This workability applies to many male workers located near the “front”(investment department) in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the gendered industry labor network. Gender factor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tering the industry—labor and moving—and leaving the industry, resulting in inequality. Third, these gendered industry network structures and ideologies that drive labor culture include risk-taking and performance-based meritocracy. Risk-taking ideology maximizes profits while transferring the responsibility associated with it to the outside of a male-dominated investment network. Taking these as steppingstones, exclusive and speculative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of profits occur among workers, which are also linked to the polar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problem of predatory financial capitalism related to economic inequality. This thesis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critical cultural studies of finance by revealing that financial capitalism and the labor culture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reinforce the new gender order. This study deals with the dynamics of financial capitalis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y critically examining the gendered labor culture of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and its “league of their own” by interpreting the experiences, desires, and life stories of those “who feel they do not belong to it.” 본 연구는 한국 금융투자업계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여 업계 노동문화와 그에 기반한 금융자본주의의 작동 방식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연구자는 젠더가 글로벌 금융자본주의가 추동하는 새로운 축적 전략의 한 축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하며,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그러한 전략이 구체적으로 업계 노동자들의 노동 수행에서 드러나는 지점을 젠더 관점에서 포착하고자 했다. 덧붙여 이러한 금융투자업계 젠더화된 노동문화가 금융자본주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와 만나고 있음을 보여주려 하였다. 글로벌 자본주의의 급속한 팽창과 함께 한국 사회에서도 그 원동력인 신자유주의 금융화가 공고하게 자리 잡았다. 그 영향으로 국내 금융투자업계는 성장 가도를 달리며 수많은 이들에게 모종의 희망을 부여하고, 동시에 경제적인 욕망을 부추겼다. 각종 고스펙을 쌓아 금융투자업계에 입성한 노동자들은 그 안에서 요구하는 노동자상을 수행하며 금융자본주의를 굴러가게 하는 착실한 일꾼으로 거듭난다. 그러나 이 일꾼이 되는 과정은 젠더에 따라 다르게 경험된다. 경험은 결과적으로 노동의 장에서 실질적인 불평등 문제와 연결되고, 이로 인해 여성 노동자들은 업계 내에서 자신이 어떤 정체성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 쉽게 가늠할 수 없게 된다. 암묵적으로, 혹은 은연중에 계승되며 감각되는 ‘그들만의 리그’ 구조는 업계의 남성 중심성을 강화하면서 유지되는데, 이는 금융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사회로 접어든 한국 사회의 배타적인 축적구조와도 맥락을 공유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2019년 8월경부터 2021년 2월까지 파일럿 연구, 본격적인 현장연구, 업계 노동자 심층 인터뷰 등을 진행하며 총 32명의 연구 참여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신문기사, 법률 및 통계자료, 관련 선행연구 논문 등을 꼼꼼하게 검토하여 현장연구 때 획득한 경험적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활용했다. 연구자는 한창 연구를 진행하는 중에도 한국 자본시장의 여러 굵직한 변화와 위기를 경험하면서 금융투자업계에 ‘가까운 외부자’로 자신을 위치시켰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다양한 이유로 금융투자업계에 진입했고, 여러 방면에서 다른 일을 수행하며 연결되었으며, 또 별개의 이유로 업계를 떠났다. 본 연구에서 드러내고자 했던 논지 및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금융투자업계는 자본시장을 토대로 구성되며, 프론트-미들-백으로 이어지는 업계 내부의 기능적인 영역 구분은 가장 기본적인 금융자본 이윤 축적의 기반이 된다.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09년 자본시장법 제정과 이후 개정은 한국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계의 발전과정에서 손에 꼽을 수 있는 핵심적인 변화 국면이다. 둘째, 이 같은 시장과 업계의 변화는 그에 걸맞은 ‘이상적인’ 노동자성을 구축하게끔 했다. 이 노동자성에는 ‘자율’노동으로 비추어지는 무급노동의 일상적인 수행, 그에 따른 과중한 업무강도의 내면화, 성과에 따른 계약직 형태의 고용, 비/공식적인 네트워킹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획득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노동자성은 젠더화된 업계 이중 노동 네트워크의 중첩된 구조 속에서 주로 투자부서인 ‘프론트’에 위치한 다수의 남성 노동자들에게 적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업계 입성-노동 및 이동-이탈 과정에서도 젠더 요인이 유의미하게 개입되며 결과적인 불평등을 발생시켰다. 셋째, 이러한 젠더화된 업계 네트워크 구조와 노동문화를 움직이는 이데올로기로는 위험 감수(Risk taking)와 성과에 따른 능력주의가 있다. 위험 감수 이데올로기는 이익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그에 수반되는 책임을 남성 중심적인 투자 네트워크의 외부로 이전시켰다. 이를 발판 삼아 다시 한번 노동자들 사이에 배타적이고 투기적인 이윤 축적과 분배가 발생하며, 이는 한국 사회의 양극화, 경제 불평등과 관련된 약탈적인 금융자본주의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전 지구적으로 확장하는 금융자본주의와 그 안에서 태동하고 구성된 금융투자업계의 노동문화가 새로운 젠더 질서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을 금융의 젠더화 등의 개념적 논의를 통해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드러냄으로써 비판적인 금융문화연구의 외연 확장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한국 금융투자업계의 젠더화된 노동문화를 살펴 한국 사회와 글로벌 금융자본주의의 연결과 그에 따라 구축된 ‘그들만의 리그’를 비판적으로 살피고, 그 바깥에서 노동하고 살아가고 있는, ‘그들이 아닌’ 이들의 경험과 욕망, 삶의 이야기를 학문의 장에서 더욱 심도 있게 논의함으로써 금융자본주의의 역동을 젠더 관점에서 새롭게 사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한국 남성복 테일러 문화 고찰 : 맞춤복 장인과 신입기술자의 경험이야기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류웅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5

        Traditional master tailors of menswear are gradually dis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market evolving around ready-to-wear. This also means the partial disappearance of Korean fashion history.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the tailors of custom menswear are losing interest in training a younger generation of tailors. This study records a part of history of custom menswear industry, which is being lost, through the experiences of two Korean master tailors. Also, through the interviews of the two masters and novices, the differences in the way of thinking and behaving between the two generations were examined to help understanding with each other. Finally, suggestion for promoting the domestic custom menswear tailoring industry were made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nt study applied a narrative analysis method utilizing the framework of a narrative plot consisting of six elements: abstract, orientation, complicating action, evaluation, resolution, and coda. In this study, total of 82 plots were extracted. 31 plots were used to document the culture of Korean custom menswear master tailors with the themes including education, working environment, ups and downs of the industry, and current trends and prospects. Meanwhile, 78 plot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way of thinking and behaving of the masters and novices around the themes including work ethics, relation between mentors and apprentices, educ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late 1950s and the early 1960s, when the master tailors started to learn tailoring, tailors were proud of their job as it was popular then. The only way to learn the skills was as an apprentice who was supposed to work for free for six to seven years learning by watching experienced tailors work. It took three to four years to be able to make pants after years of doing chores, and took three more years to make jackets. Then the apprentice could work independently as a pants maker or a jacket maker or learn tailoring (pattern making and fitting) according to their financial situation or choice. Tailoring could learn as an apprentice or at an institute in a more systematic way. In addition, there was a technical gap between regions as tailors were less than willing to open their knowhow or exchange their skills with others. However, some more open-minded tailors often took a tour around the nation to hold teaching sessions. As the past apprentice system, which took a long time for training, is not suitable in today’s fast-paced life style,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and run with the government support. Aspiring tailors can learn from creation to tailoring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econd, master tailors during the 1960s, wanted to work in the shops around Namdaemun (the South Gate of Seoul) or Gwanggyo, which was considered the mecca of custom-made suits of Korea. The tailor shops usually hired suit makers and tailors with pattern making skills. Tailors received higher monthly wages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Suit-makers were paid per the piece. However, high-skilled suit-makers were paid higher than tailors. Third, custom tailoring was popular between the early 1960s and mid-to-late 1980s. As tailors, who had been hired by the owner of the shop, started their own business in 1970s, when the number of tailoring shops increased and master tailors enjoyed financial stability. During the boom years, Korean tailors won gold medals in the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 for 12 consecutive years and the government was eager to nurture skilled tailors by holding a national qualifying examination. However, the growth of ready-to wear market and oversupply put the custom tailoring industry on a downhill since the late 1980s, with less people interested in learning the skill. Many tailors started to work for ready-to-wear clothing companies, moved overseas, or became a construction worker. Fourth, a close look a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custom tailoring industry revealed the continuing recession.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tailoring among youth, low-priced low-quality road shops with aggressive marketing strategy have become popular. The Custom Tailors & Designers Association of Korea has made efforts to promote the benefits of tailored suits by holding fashion shows and international events including the Congress of World Federation of Master Tailors and the Congress of Federation of Asian Master Tailor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ways of thinking and behaving of the master and novice tailo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attitude toward job, masters tend to manage their appearances for customers as well as for themselves while novices are likely to seek high-end fashion styles symbolized by luxury brands. Masters are still working actively without neglecting self-development while novices are focused on self-education to master tailoring skills. In general, they are highly proud of being a tailor, but novices interested in suit-making are not entirely free from sense of frustration about their jobs. Both groups prefered handwork system with craftsmanship. Novice tailors showed a preference for one-man bespoke tailoring, where one tailor is in charge of custom patterns and the whole process of construction. Second, as for the relation between mentors, apprentic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masters received training as an unpaid apprentice whose working conditions were less than favorable. However, that did not stop them from working hard. On the other hand, novices received more systematic training and were quite satisfied with it. However, they pointed out the lack of educational facilities for mastering skills as a problem. In addition, masters were respectful of their mentors and trusted apprentices. On the other hand, novice tailors did not trust older generation of master tailors due to the forced apprentice system and their poor working environment. Third, as for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custom menswear tailoring industry, masters raised issues with unpaid working environment and believed this was the cause for the lack of trust between mentors and apprentices. They pointed out that many novices left the business due to financial difficulty. Interviewees thought it was necessary for novices to associate with established tailors as well as for the master tailors to associate with each other. They were also concerned about the tarnishing of the image of tailored suits due to low-priced and low-quality road shop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custom menswear tailoring industry can be made: maintain the high-end image, continue self-development and craftsmanship orientation, establish training facilities for mastering tailoring skills, improve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guaranteeing minimum wages, encourage the younger generation of tailors to participate in the association, and make efforts to raise awareness of the public on tailored suits. Further studies on custom menswear tailoring from various aspects would expand the scope of understanding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n fashion. 현재 기성복 중심의 패션시장에서 전통 남성 맞춤복을 만드는 장인들이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한국복식문화 역사의 일부분도 함께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남성 맞춤복을 만드는 장인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후배양성의 의지 또한 결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남성 맞춤복 장인 2명의 경험이야기를 통하여 사라져 가는 한국 남성 맞춤복 업계 문화의 일부분에 대해 기록하였다. 또 장인 2명과 신입 기술자 2명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세대 간의 이해를 돕고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남성 맞춤양복 업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분석법(Narrative analysis)을 적용했으며, 내러티브 분석의 틀로 Labov의 6단계로 구성된 내러티브 플롯(Narrative plot)을 활용하였다. 6단계는 요약(abstract), 상황(orientation), 전개(complicating action), 평가(evaluation), 해결(resolution), 종결(code)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총 82개의 플롯이 추출되었다. 한국 남성 맞춤복 업계 문화의 기록을 위해 31개의 플롯이 사용되었으며 교육, 근무환경, 업계의 호황기와 침체기, 업계의 근황과 전망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 장인들과 신입 기술자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의 분석을 위해서는 78개의 플롯이 사용되었으며 직업에 대한 의식, 스승과 제자의 관계 및 교육, 작업환경 등의 주제가 분석되었다. 한국 남성 맞춤복 업계 문화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인들이 테일러 교육을 받기 시작한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는 해당 직업이 인기가 많아 직업에 대한 자부심이 컸다. 맞춤양복 기술을 배우기 위해서는 양복점에서 무보수로 일을 하며 어깨너머로 6년~7년정도 배우는 도제식 교육이 유일했다. 심부름 과정을 거쳐 하의 기술자가 되기 위해 3년~4년정도 소요되며, 상의 기술자가 되기 위해 3년정도 더 소요되었다. 개인의 경제적 상황과 선택에 따라 하의 기술자나 상의 기술자로 독립하거나 재단을 배웠다. 재단은 도제식으로 배우는 방법과 학원에서 체계적으로 배우는 방법이 있었다. 자신의 노하우를 타인에게 알려주지 않는 업계의 분위기로 인해 테일러들 간에 기술교류가 원활하지 않아 지역 간에 기술격차가 심했으나, 일부 진취적인 테일러들은 기술 평준화를 위해 지방을 순회하며 강습회를 열기도 했다. 장기간의 학습과정이 소요되는 과거의 도제식 교육이 현시대에 적합하지 않아 현재는 제작부터 재단까지 단기간에 집중 교육이 이루어지는 전문교육기관이 설립되어 국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둘째, 당시의 근무환경을 보면, 장인들은 1960년대에 한국 양복의 중심지인 소위 남대문통, 즉 광교일대의 양복점에서 근무하기를 원했다. 양복점들은 기술자를 고용하여 경영하는 곳이 다수였으며, 재단사 테일러들은 월급제로 다른 업종보다 높은 보수를 받았다. 양복기술자들은 공임제로 벌수에 따라 보수를 받았으나 기술이 노련한 제작 테일러들은 재단사보다 많은 보수를 받기도 했다. 셋째, 맞춤양복 업계의 호황기는 196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중후반정도였다. 1970년대는 양복기술이 없는 경영인들에게 고용되었던 테일러들이 독립하면서 양복점들이 많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장인들도 이때에 본인의 양복점을 개업해 경제적 안정을 누렸다. 호황기에 한국 테일러들은 세계기능올림픽에서 12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고, 정부에서도 정책적으로 맞춤복 기능검정시험을 실시하여 기술자들을 육성했다. 하지만 기성복 시장의 활성화 및 과잉생산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맞춤양복 업계의 침체기가 시작되었으며, 배우려는 사람들도 격감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많은 테일러들이 기성복회사로 옮기거나 이민을 갔으며 건설 노동자로 전업하였다. 넷째, 맞춤양복 업계의 근황과 전망을 보면, 최근 테일러링을 배우려는 젊은이들이 증가하는 추세이긴 하나 맞춤복이라는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저가와 저품질의 로드 숍으로 인해 맞춤양복 업계의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맞춤양복협회는 업계의 활성화를 위해 세계주문양복연맹총회와 아시아주문양복업자총회 등을 유치함은 물론 패션쇼를 열어 맞춤복의 장점을 홍보하고 있다. 장인들과 신입 기술자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에 대한 의식을 보면, 장인들은 자신들과 손님을 위한 외모관리의 멋을 추구했으며, 신입기술자들은 명품이 지향하는 하이엔드 패션의 멋을 추구했다. 그리고 장인들은 꾸준한 자기 개발로 현재까지 현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신입기술자들은 양복기술의 숙달을 위해 복습을 하며 자기 개발에 전념하고 있었다. 이들은 테일러 직업, 특히 재단사로서의 자부심이 컸으나, 제작기술을 좋아하는 신입기술자는 직업에 대한 자괴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 수작업을 선호하며 장인정신을 추구하고 있었다. 특히 신입기술자들은 혼자서 재단과 제작을 하는 1인 비스포크를 선호했다. 둘째, 스승과 제자의 관계 및 교육환경을 보면, 장인들은 오랜 시간동안 어깨너머로 배우는 무보수의 열악한 도제식 교육을 받았지만 근면한 자세를 잃지 않았다. 신입기술자들은 체계적인 교육을 받았으며 매우 만족했다. 하지만 숙달할 수 있는 교육기관이 없는 것을 문제로 보았다. 또한 사제 간의 관계에 대해 장인들은 그들의 스승에 대한 공경심을 갖고 있었으며, 제자들에 대해 신뢰하고 있었다. 반면에 신입기술자들은 기성 테일러들의 과거의 도제식 방법의 강요에 따른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인해 신뢰가 없었다. 셋째, 맞춤양복 업계의 작업환경을 보면, 장인들은 무보수의 노동환경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제 간에 믿음이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신입기술자들 또한 경제적 어려움으로 양복업계를 떠나는 사람이 많다고 했다. 면접대상자들은 기성 테일러들 간에 교류는 물론 신입기술자들의 협회활동 참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 면접대상자들은 로드 숍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맞춤양복에 대해 저가와 저품질이라는 이미지를 갖게 되는 것을 우려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양복업계의 활성화를 위해 하이엔드 이미지 고수, 자기 개발과 장인정신 지향, 숙달교육기관의 설립, 최저임금 지급 등 노동환경의 개선, 젊은 테일러들의 협회활동 참여와 맞춤양복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노력을 제언한다. 남성맞춤복의 폭넓은 이해를 위해 다양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현업광고인이 본 대학광고교육의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이윤재 목원대학교 언론광고홍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4

        그 동안 대학의 경영학과, 신문방송학과 그리고 최근에는 광고학과에서 광고에 대한 집중적이고 활발한 교육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그러한 발전과 성장 속에서 현실을 재검토 해야할 시기가 왔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학과의 교과과정에 대한 업계의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광고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대학의 광고학과 교과과정을 18개 영역으로 분류한 다음, 실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이들 각각 영역에 대하여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전략 및 기획과 마케팅의 경우 대학의 현재 교과과정에서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업계나 학계 모두 가장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행사의 규모에 따라 중요시하는 교과 영역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대기업들이 실습과 광고윤리법제, 사회문화를 제외한 모든 교과영역을 중요시하고 있다. 셋째. 대행사의 근무 부서에 따라 혹은 대학에서 전공여부에 따라 느끼는 각 교과영역 중요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넷째. 업계와 학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업계보다는 학계가 모든 교과영역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업계와 학계가 적절하다고 여기는 전공 대 교양의 비율이나 이론 대 실기의 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현행 교과과정보다 더 많은 전공과 실기의 비율을 원하였다. 여섯째. 전공과목 이외에 개설할 필요가 있는 과목을 분석한 결과 프리젠테이션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전공교과목 이외에 다른 학문 분야의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 사회과학 분야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일곱째. 실습과목들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광고기획 실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보제작이나 사진실습은 중요도에서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Even though Departmen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ss Communication, and, recently, Advertising in universities have done major contribution to the education and the growth of advertising, it is time to review their curricula to reflect the trends of advertising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elpful data in organizing the curriculum of Department of Advertising by examining the opinions of industry on current curricula of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current curricula of Departments of Advertising were classified into 18 areas and practitioners of the industry was asked how important each area wa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both practitioners of the industry and professors in universities showed the opinion that Advertising Strategy and Planning and Marketing were two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even though their portions in current curricula are relatively low. Second, depending on the size of firms they worked for, practitioners showed different opinions on which areas were important. Generally, persons who worked for a larger firm expressed greater importances for all areas except Practice, Advertising Ethics and Law, and Society and Cultur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actitioners' opinions based on the divisions they belonged to and the areas they had majored in at universities. Forth,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opinions of practitioners and professors showed that generally professors regarded all areas as more important than practitioners did. Fif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opinions of practitioners and professors on desirable portions of credits for the speciality and a general education and those for the practices and theories. The portions that both practitioners and professors considered as desirable for the credits for the speciality and the practices, however, were larger than those of current curricula of universities. Sixth, when asked which subjects were needed to provide for the Advertising major in addition to currently provided ones, many practitioners recommended the subjects on presentation skill and, as an additional useful field of study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Advertising, social sciences were mentioned most. Seven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portances of subjects on practice showed that Practice on Advertising Planning was most important and that Production of Newsletter and Practice on Photograph were least important.

      • 이벤트업계 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이벤트업계 종사원들을 중심으로

        박재관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775

        This thesis attempts to propose a ques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of event company, and how it effects the changes of their occupations. This study will evidentially examine the aspects that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job movement of event company workers in order to enhance efficient management techniques, which may result in decrease of job movement. Hence, the aspects are established and categorized as four variables, that are; 1) Work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Variable 2) Job Func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 3)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 Concrete study details are as follows; Hereupon in this study the population-sociological characteristic variable, work environment variable, job characteristic variabl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 are established as factors of exerting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of job and job movement propencity for event company's personnels. The sample survey is conducted by total inspection of people working in event business, which are registered inSeoul Metropolitan City.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are used. The survey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studied through SPSSWIN 10.0,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d distribution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the population statistical difference To observ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movement propencity as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 of corelation analysis as a summary is as follows; Job environment characteristcs and job satisfaction tends to be plus(+) corelation in 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variable, and minus (-) corelation in job movement propencity. To be concrete, job satisfaction tends to be higher when satisfaction on promotion and training is high (β=.466, p<.001), satisfaction on welfare system is high (β=.166, p<.05). As a contrast, job movement propensity tends to be high when satisfaction on welfare system is low (β=-.270, p<.01). Regarding job characteristics variable, corelation between job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job movement propensity tends to be plus (+). To be concrete, job satisfaction tends to be high when job functional characteristics is intense and job identity (β=.524, p<.001), variety of techniques (β=.422, p<.001) are high. However, job movement propensity also shows high when job functional characteristics, variety of techniques, job identity is high. Regar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 co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movement propensity shows plus(+). To be concrete, job satisfaction level tends to be high when three hierachial factors as desire of accoplishment (β=.531, p<.001), absorption to organization (β=.305, p<.001), internal dicipline (β=.297, p<.001) levels are high. As a contrary, the result of recurrence analysi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influence on job movement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because recurrence formula shows p>.05. At this point followings are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tates of marriage and levels of wage are presented as factors in relation to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 variable, which all effect job satisfaction job movement propencity. Therefore opportunity of promotion and payment increase should be offered after due consideration of family support or career and a well-organized wage system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se. Second, Regarding work environment variable, each company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with education and training to workers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actively. Also welfare system should be fixed in order to decrease job movement propensity. Third, in relation with job func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 Job Design method or Job Analysis method should be introduced that are commonly used in general organizations. This helps the companies to secure specialized human resources and also helps event company's personnels to establish job identity within his/her own specialized work area. Finally, regar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 the level of individual absorption into organization effects job satisfaction and job movement propensity. Thus, event company and management have to pay keen attention to satisfy individual desire by job-functional positioning of each personnel, keep interest on workers' welfare, keep workers independent and responsible by appropriate duty-distribution, and keep them updated with organization's objective, so that each personnel can understand and concentrate into organization. The discussion on job satisfactionand job movement propencity of the people in event companies, which is the core subject of this study, may be able to suggest fundamental evidences to prepare systematic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 of event business, which provide human services in changes of event services. Moreover,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job movement tendency of event company personnels and provides importance meaning to human resouces administration of event companies if further studies are executed on cause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movement propensity. 이 논문의 연구는 이벤트업계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이직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경영기업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벤트회사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이벤트회사 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근무환경특성변수, 직무특성변수, 개인특성변수를 설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벤트업계 종사원들의 전반적인 직무만족과 이직성향 수준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수들이 이벤트회사 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근무환경특성 변수들이 이벤트업계 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직무특성변수들이 이벤트업계 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넷째, 개인특성변수들이 이벤트업계 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다섯째, 직무만족과 이직성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조사표본은 2005년 4월 현재 서울특별시에 등록된 13개의 이벤트 기획사, 광고대행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이벤트업계의 모든 종사원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structured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통계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은 SPSSWIN 10.0을 이용하였고 신뢰성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를 통하여 인구통계학적인 차이점을 검정하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T-test를 이용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 및 이직성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 기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근무환경특성변수에서는 근무환경특성과 직무만족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이직성향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변수에서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성향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특성 변수에서는 직무만족, 이직성향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벤트회사 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 왔으며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면, 첫째, 인구사회학적특성변수와 관련하여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결혼상태와 임금 수준의 정도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가족부양이나 경력 등을 고려해 승진기회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적정한 보수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근무환경특성 변수와 관련하여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기관 자체에서 종사자들이 교육 및 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주고, 이직성향을 줄이기 위해서 복리후생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특성변수와 관련하여 직무의 정체성 정도가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일반기업에서 시행하고 있는 직무설계(Job Design) 및 직무분석(Job Analysis)기법을 일부라도 도입하여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하며 이벤트회사 종사원들이 자신만의 고유영역에서 전문성을 최대한 살려 직무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개인특성변수와 관련하여 조직몰입의 정도가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모두 영향을 미치므로 이벤트 회사는 개인의 욕구가 충족될 수 있도록 종사원을 배치할 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경영자는 종사원들의 복리후생에 진심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정확한 업무분장을 통한 큰 자율성과 책임성을 갖도록 유도하고 조직의 목표를 종사자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조직에 몰입해 나락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인 이벤트회사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대한 논의는 변화하는 이벤트계의 흐름 속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벤트회사의 조직적인 ‘인적자원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고 보여지며, 이벤트 회사 종사원들의 일괄적인 직무만족과 이직성향 정도를 파악한 것으로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을 좌우하는 요인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이벤트 업계의 인적자원을 관리 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트렌드 정보산업의 현황 분석 : 국내 텍스타일 및 패션업계의 트렌드 정보 이용 실태를 중심으로

        전유미 건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757

        한글초록:오늘날 텍스타일 및 패션 시장에서의 정보 수집 능력은 매출 증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점차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는 더 이상 필요에 의한 구매가 아닌, 감성을 자극하는 상품에 대한 순간적인 소유욕과 상품 자체의 가치보다는 상품에 내재되어 있는 이미지에 대한 욕구로 구매 행위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텍스타일 및 패션계 종사자들은 이러한 소비자의 심리와 그들이 추구하는 이미지 그리고 그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소들을 알아야 하고, 심지어는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그들의 가치관과 일치할 컨셉과 테마를 미리 예견하여 상품을 제작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일련의 작업들은 디자인 제작과 함께 자체적으로 소규모의 회사에서 진행되기에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쉽지 않은 일이다. 그로 인하여 등장한 것이 트렌드 정보산업이다. 트렌드 정보산업은 소비자 시장과 사회 전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일어날 소비자의 심리 변화와 그들이 추구할 컨셉과 이미지를 예견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텍스타일 및 패션 관련 종사자들에게 그 정보를 제공하여 이익을 창출케 하는 분야이다. 해외의 마케팅 자문회사나 트렌드 예측 전문 기관과 기업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사회적인 흐름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그러한 검증 과정을 통해 현재부터 향후 10년을 아우르는 트렌드를 발표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선도적으로 그러한 과정을 통해 트렌드를 예측하는 전문 기업이 아직 자리잡고 있지 않으며, 우리가 가장 트렌드에 민감하다고 생각하는 텍스타일 및 패션 분야에서 조차도 정확하게 트렌드를 예견하는 전문 기관이 없다. 다만, 외국의 전문 기관의 정보를 구매해 와서 짜집기 형태로 국내 실정에 맞춰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국내의 트렌드 정보회사들의 트렌드 수집 및 분석 방법에 대하여는 그 정확도와 정보의 신뢰도에 대한 의문이 남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트렌드 수집 방법과 사용 방법의 문제점은 결국 트렌드 보다는 유행을 좇아가는 기업 풍토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외의 트렌드 전문 예측기관ㆍ연구소ㆍ회사의 트렌드 예측 과정과 결과물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을 국내와 비교ㆍ분석하여, 앞으로 국내 트렌드 정보산업이 나아갈 방향과 올바른 트렌드 정보 이용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패션 트렌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의미를 정확히 규정하고 트렌드 정보의 제작에서 전달까지의 과정을 체계화하여 트렌드 정보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외의 트렌드 정보회사에 대한 조사와 각 회사들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국내외 정보회사들의 정보기획 프로세스를 각각 도식화하여 제시함으로서 국내외 정보기획 과정의 차이점과 그로 인해 알 수 있는 국내 정보산업계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다음으로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트렌드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국내 트렌드 정보산업계에 대한 실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현 시점에서의 실태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제기된 문제점에 대한 분석과 그 문제점의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현재 국내 트렌드 정보 산업계의 문제점들은 텍스타일 및 패션업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점점 트렌드 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그 영향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트렌드 정보를 이용함에 있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부산하기관들의 보조 하에 트렌드 정보업계와 연계를 시켜 정보를 이용하고 컨설팅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정부 사업이 요구된다. 정보를 이용하길 원해도 자체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업계들은 기본적으로 정보 이용에 있어 소극적이지만, 정보에 대한 요구는 존재한다. 국내 텍스타일 및 패션업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업계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수준까지의 정보를 국가에서 제공해 주어야 국제적인 경쟁력도 갖출 수 있다.둘째, 국내 트렌드 정보업계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정보가 얼마만큼 신뢰할 수 있는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비자는 잘못된 정보를 이용할 위험이 높으며 그에 따른 손해도 발생하게 된다. 이는 국내 트렌드 정보에 대한 불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트렌드 정보산업계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국내 트렌드 정보에 대한 평가는 정부지원기관, 각 학계의 연구소등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도 요구된다. 일차적으로 기준의 마련과 수행 기관의 선정에 있어서는 정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형태로 그 시작을 할 수 있으리라 보여지며, 차후 적절한 기관의 설립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셋째, 전문적으로 트렌드 정보산업에 종사할 인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트렌드 분석과 트렌드 정보산업 분야의 전문인력 육성과 각 업계에서의 정보산업 인력의 적극적인 수용이 필요하겠다. 본 논문을 통하여 조사와 연구를 하는 데에 있어 본 연구자가 느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트렌드 정보산업에 대한 것이다. 또한, 트렌드 정보 이용에 있어서의 정보의 제작과 제공, 그리고 그 정보의 이용과 평가의 실질적인 상황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한 상황과 실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대상 설정에 있어 전체 텍스타일 및 패션업계 중에서 의류만에 치중되어 원사와 소재 생산업체 더 나아가 악세서리와 패션과 관련된 기타 상품까지 이르는 포괄적인 면을 다루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그에 따라 의류와 연관되어 있으며, 트렌드를 수용하고 있는 텍스타일 및 패션관련 분야와의 연결된 연구가 필요하다.그러므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텍스타일 및 패션업계에 있어서의 트렌드 정보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더 나아가 여러 분야에서의 연구와 지속적인 문제점 진단이 이루어져 국내 트렌드 정보산업계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초록:Today, the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is appeared to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terms of the increase in sales in the field of textiles and fashion. The reason is that consumers purchase goods not because of the need for them but because of the desire for possessing the product which provokes emotion and getting an intrinsic image of goods rather than the object itself. Thus, the employees engaged in textiles and fashion companies should not only know the psychology of these customers, their desirable image and the elements forming it but also capture their minds and predict the concept and theme which match their value before manufacturing. However, these processes are not easy for small companies to manage with designing when they confront the matter of time and budgets. That is why industry of trend information has emerged. It is the area which collects and analyses the information of the overall society, and also forecasts the change of customers’ minds and concept and image that they pursue. It eventually profits from suggesting the information to the people in the field of textiles and fashion in a different way. While the special producer or the trend forecasting manufactory in foreign countries accomplishes several projects which apply various ideas and the vision of the flow of a society and the future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the trend looking 10 years ahead, the professional company for trend forecasting has not settled down in Korea. Moreover, there is no special institute to predict the trend through the complete process even in the field of textiles and fashion which are regarded to be sensitive to the trend. There are only some institutes that imitate foreign companies to meet the domestic situation. Therefore, we cannot help questioning the accuracy and the credibility of the way the domestic trend information industry collects and analyses the trend. This dissertation is prepared to not only examine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the work the foreign companies achieve but also suggest the correct direction of domestic trend industry and the right way to use the information in the future by comparing it with domestic one. In order to attain this aim, the writer meant to make a precise meaning by the theoretical survey and help the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trend industry through the process of the trend information which is systemized from its production to the presentation. Moreover, the writer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our and foreign companies and tried to find out differences and solutions to improve the information field. In addition, the research has achieved to look into how accurate and credible the domestic trend information is and it is used to be aware of the present position and sort out the difficulties that are caused by colleting demands of current users. Here are three suggestions to solve the problems closely linked to textiles and fashion industries and expected to have a strong influence in the future situation. The first is the need of governmental assist. Many small companies which are having difficulties in labour and budgets still demand information even though they are passive to use it. To activate domestic textiles and fashion industry and keep competitive power over foreign companies, it is essential to support them to reach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a certain extent with governmental aid. The second is an evaluation of information suggested by the trend information industry. Unless it is properly examined, customers would take risks to use incorrect information and it would lead to severe damages such as unreliability towards domestic trend information. The evaluation would be carried out by governmental agency or a particular laboratory of each academic study. An appropriate standard is necessary for it and all those processes could be prepared in the name of governmental project. The third is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t is crucial to train and accommodate human resources to keep experts for analyzing and studying trend in the field of trend information industry. This study is about the trend information in our country. This is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and presentation of the trend information and the substantial state of its use and evaluation. There were some limits in that it was not easy to cover general aspects ranged from the material manufacturing to the additional items in connection with fashion such as accessories because the subject was focused on clothing among the whole textiles and fashion industries. It is surely necessary to study the field which is related to clothing and includes the trend. Consequ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role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rend information in the field of textiles and fashion industry, and further ahead it would be helpful to improve domestic industry of trend information on the basis of ongoing research and problem-evaluation in various fields.

      • 우리나라 製藥業界의 特性 및 經營實態에 관한 統計的 硏究

        정병주 光州大學校 經商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743

        우리나라 제약업계는 IMF의 상황속에서 보다 발전적인 형태로 구조조정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중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의 제약업계는 기술력과 마케팅력이 약한 틈새 시장형 산업으로서 산업기반이 취약하고, 이로인해 국내 제약사의 R&D 능력은 세계수준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어 세계적인 신약을 개발하기에는 기술수준이 아직도 미흡한 실태이다. 96년 20개 상장제약업체 재무와 순익분석에서 나타난 현상을 보면, 투자 및 기타자산의 증가와 유형고정자산 증가가 둔화되는 추세를 보였는데, 이와 같은 사실은 사업 다각화에 따른 출자, KGMP 시설투자의 완료, 생산설비 확대 억제 등의 내실 경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인 제약환경의 추세는 전략적 제휴 및 합병 등의 전략에 의한 대형화 거대화로서 연구개발능력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의 제품개발에 의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시켜 제품 및 마케팅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최근 국내 제약업계들도 이러한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지만, 국내 제약업체들의 자산규모로는 대그룹사나 다국적 제약기업들과의 경쟁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국내제약업체들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전략적 제휴나 합병등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 시켜가야 할 것이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분석에서는 전반적인 국내 경기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20개 국내 상장제약업체들의 매출 시장상황의 어려운 여건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경영실적을 올린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매출원가율, 판매 및 일반관리비 등이 높아져 경쟁을 위한 시장환경을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제약업체에 대한 경영실태를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경영성과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생산성, 5개 분야로 구분하여 변수들간의 상관분석 및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검증해 보았다. 변수들 상호간의 상관분석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인과관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생산성을 제외하고 변수간의 재무성과가 실명력이 약하여 통계적으로 유외한 수준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 국내 의류업계 머천다이저의 업무에 관한 연구

        원선혜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711

        국내 의류업계의 머천다이저들은 기업의 생산 및 판매의 글로벌화로 인해 기획 및 유통을 담당하는 전문인력을 필요로 함으로서 그들이 소속된 기업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의류업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패션 머천다이저들을 그들이 소속되어 있는 기업의 형태에 따라 유형별로 구분하고, 또한 그들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실증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유형별 머천다이저의 업무를 정립시키고 아울러 머천다이저의 직무의 효율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선행연구와 문헌, 업계정보지를 기초로 한 설문지를 실무종사자들과의 개별면접을 통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머천다이저의 정보분석업무에 관한 8문항, 상품구성을 위한 업무에 관한 15문항, 판매 및 판매촉진업무에 관한 12문항, 조사대상의 특성에 관한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총 205부를 배부하여 이중 200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하고 부정확하게 응답한 것을 제외한 19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Package Program을 이용한 빈도분석과 분산분석 및 튜키테스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머천다이저의 정보분석업무는 national brand 머천다이저와 수입 brand 머천다이저 및 백화점 바이어가 buying office 머천다이저에 비해 많이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머천다이저의 상품기획업무는 national brand 머천다이저, 백화점 바이어, 수입 brand 머천다이저, buying office 머천다이저 순으로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머천다이저의 생산기획업무는 national brand 머천다이저와 buying office 머천다이저가 백화점 바이어와 수입 brand 머천다이저보다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머천다이저의 구매기획 및 구매업무는 수입 brand 머천다이저가 다른 유형의 머천다이저에 비해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머천다이저의 판매 및 판매촉진업무는 수입 brand 머천다이저가 national brand 머천다이저와 백화점 바이어보다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정보분석업무는 national brand 머친다이저와 백화점 바이어는 패션 trend에 관한 정보를 많이 반영하고, 수입 brand 머천다이저는 매장별 판매정보를 많이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상품기획업무는 national brand 머천다이저는 전반적으로 모든 업무를 다른 유형의 머천다이저에 비해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기획업무는 buying office 머천다이저가 공급업체의 발굴 및 결정업무를 다른 머천다이저에 비해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판매 및 판매촉진업무는 national brand 머천다이저는 스파트 생산 및 인기상품의 재생산업무를, 수입 brand 머천다이저는 상품의 매장간 이동 업무를, 백화점 바이어는 매장별 예상매출액 업무를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 논문은 현존하는 머천다이저의 업무에 관한 연구를 좀 더 체계화시키고 또한, 기업의 경영자들이 머천다이저의 직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업의 조직개편을 실행함으로서 의류업계의 핵심 업무를 수행하는 머천다이저들의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As companies have become global in production and sales of their merchandise, they came to need planning and distribution professionals. Against this backdrop, merchandisers in the Korean apparel industry perform diverse lines of work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company they work for. This paper classified fashion merchandisers into different catego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any they worked for and inquired into their line of work. In so doing, the author attempted to outline the work performed by each type of merchandiser and provide some raw data, which can be utilized to enhance their work efficiency. The evaluation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made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literature, and trade journals, which was then modified through one on one interviews with fashion merchandiser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8 questions about information analysis, 15 questions about merchandise mix, 12 questions about sales and sales promotion, and 17 question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rchandiser being examined. A total of 205 questionnaires have been distribu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rom which 200 were recovered, and of those 196 were actually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the ones whose answers were not sufficient or appropriate. For data analysis, SPSS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Tukey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formation analysis took up a greater portion of their work for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and department store buyers compared to buying office merchandisers. 2.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spent most time on merchandise planning, then department store buyers, followed by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and lastly buying office merchandisers. 3. Production planning took up a greater portion of their work for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and buying office merchandisers compared to department store buyers and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4.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spent more time on purchase planning and actual purchase compared to any others. 5. Sales and sales promotion took up a greater portion of their work for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compared to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and department store buyers. 6. In information analysis,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and department store buyers were keener on fashion trend, whereas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were more interested in sales information per store. 7. In merchandise planning,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did more work overall compared to other merchandisers. In production planning, buying office merchandisers spent more time than any others on searching for new suppliers and decision-making. 8. In sales and sales promotion, national brand merchan- disers were focused on spot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best-selling items,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on merchandise transfer between the stores, and department store buyers on revenue forecast per store.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hopes to give more discipline to the existing studies on the work of fashion merchandisers. It is also the authors wish to see companies undergo restructuring to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the merchandisers, which will help the merchandisers who are after all the driving engine behind the apparel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