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실행연구

        이희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외국인 유학생이 전공 관련 분야에서 학문적인 성취를 이루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200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된 전공과목 관련 한국어 교육이라는 학습자의 요구와 직결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실증적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검증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S대학의 경영학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 실행과 평가 과정을 거쳐 그 효용성을 검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은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활용한 것으로, 언어 교수자가 내용 교수자로부터 강의계획서를 제공받는 최소한의 협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단계별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첫 단계는 요구조사이다. 2019학년도 2학기 S대학 경영학 전공 신입생 17명을 대상으로 전공 한국어에 대한 학습자 요구조사 및 상황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들을 위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학문목적 기능별 기초 한국어 교육과정과 세부 전공 한국어 교육과정을 통합시킨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학문목적 읽기’를 기반으로 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방식을 적용하고 언어 수업 후 전공 내용 수업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는 교육과정 설계 단계로, 먼저 학습자의 요구조사 및 상황분석 결과와 내용 중심 교수 및 읽기 교육과정의 원리를 반영하여 교수요목의 내용 범주를 마련하였다. 설계된 교수요목은 주제·내용 교수요목을 기반으로 하며 읽기 전략 중심의 기술 교수요목과 과제 중심 교수 교수요목이 접목된 통합 교수요목으로 어휘와 문법 교수요목이 추가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내용 과목인 ‘경영학원론’의 강의계획서를 검토하여 각 교수요목 범주의 목표를 설정하고 어휘, 문법, 읽기 전략 관련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어휘 및 문법 등의 교육 내용 선정은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어휘는 전공 용어를 설명하고 있는 어휘 중 동사와 명사로 활용 가능한 한자어를 ‘교육용 핵심 어휘’로 보고 전공 텍스트에서의 빈도, 교육용 어휘 목록의 중복도, 한자어 어근의 유추 가능성(학습의 용이성), 조어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문법은 학습자들이 전공 텍스트를 이해하고 학문 공동체에서 요구되는 표현을 함양해야 한다는 점에서 텍스트 관계 표지 중 문법 요소 관련 표지를 분석하여 선정하였다. 읽기 전략은 선행 연구와 학문목적 읽기 교재의 읽기 전략을 분석한 후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와 관련된 읽기 전략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과정은 학문목적 기능별 기초 한국어 교육과정과 세부 전공 한국어 교육과정이 통합된 형태이므로 중간고사를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2단계로 나누고 중간고사 이전에는 개별 읽기 전략의 학습 및 연습에, 중간고사 이후에는 선수 학습한 개별 읽기 전략을 통합적으로 연습하는 것에 비중을 두어 교육 자료 및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세 번째는 교육과정 실행 단계이다. 2020학년도 2학기 신입생 22명을 대상으로 총 8주 동안 각 4주씩 최초 설계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 교육과정이 끝난 후에는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행하여 후속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모든 교육과정이 종료된 후 교육과정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의 평가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전공 지식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였다. 중간고사 이후 실행된 수정된 교육과정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교육과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곧 전공과목에 대한 흥미 촉진 및 불안감 감소로 이어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병존 언어 교수 효과’에 대해 20명(95%)의 학생이 ‘매우 만족’과 ‘만족’으로 응답하여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둘째, 병존 언어 교수를 활용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전·후에 실시한 사전·사후 한국어 숙달도 평가를 통해 본 연구의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실력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육 내용으로 선정한 ‘교육용 핵심 어휘’, ‘텍스트 관계 표지(문법)’, ‘읽기 전략’, ‘협력 읽기 활동’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및 활동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은 과제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각 과별로 기초어휘, 학술 기본어휘, 전공 기본어휘로 구분되어 관련어 정보가 같이 제시되는 ‘새 어휘 예습 과제’와 ‘협력 읽기 활동을 위한 예습 과제’는 학습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전공 텍스트를 한국어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총 19명의 학생, 즉 90%가 학습 자료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이 자료 개발 방법은 언어 교수자에게도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다. 그 이유는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내용을 선택하고 자료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섯째,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는 ‘어휘’, ‘전공 기초 지식’, ‘읽기’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읽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수업 목표 달성의 측면에서 약 19%(4명)의 학생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 실행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한 학생의 비율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를 통해 언어 숙달도가 낮을수록 전공과목과 더불어 전공 한국어 수업을 부담스러운 과목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으며, 학습자의 학업 적응에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덟째, 학습자들은 전공 한국어 수업 중 전공 기초 지식, 읽기, 어휘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어휘와 문법은 어려움의 인식 정도가 감소한 반면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전공 기초 지식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 정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 대면 수업(교실)과 비대면 수업(Zoom)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 수업(교실)에 대해서는 19명(90%)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비대면 수업(Zoom)에 대해서는 15명(72%)이 만족한다고 응답하는 데에 그쳤다. 본 연구 결과가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일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과 달리 전공과목과 관련된 ‘특수성’에 초점을 맞출 때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특수성’은 특정한 분야, 학습자의 특정 요구와 관련되는 것으로 ‘전공 계열 과목’보다는 ‘특정 전공과목’이, 주제 중심 교수’보다는 ‘병존 언어 교수’가 더 바람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내용교수자의 강의계획서에 따라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방식을 설계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은 교육 현장에 실제 적용 가능한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교육 현장의 한계로 인해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이 변형되어 적용되었지만 대부분의 학습자가 그 효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읽기’ 기반으로 병존 언어 교수 활용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은 효과적이다. ‘읽기’ 기반의 교육과정은 내용-언어 교수자 간에 ‘강의계획서’ 공유라는 최소한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므로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가 높은 ‘전공 기본어휘’, ‘전공 기초 지식’을 언어 수업 내용으로 다룰 수 있다. ‘읽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난 것은 학습자들이 ‘읽기’ 기반 수업이 ‘어휘’와 ‘전공 기초 지식 습득’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인식한 것으로, 그 효용성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넷째, 언어 학습의 측면과 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서 전공 텍스트를 말뭉치로 구성하여 언어 교수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은 유용하다. 학습자들이 교육 자료에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고, 적극적인 과제 수행을 보인 점에서 전공 텍스트 말뭉치 구성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용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교수자도 적극적으로 전공 텍스트 말뭉치를 활용해 교육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특수 학문목적 한국어 수업이 학습 부담감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2단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구성하고 어휘를 반복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약 20%의 학생이 수업 목표 달성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지 않았으며, 최초 실행된 교육과정과 수정된 교육과정 평가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한 학생의 비율은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특수 학문목적 교육과정 설계 시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를 더욱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병존 언어 교수가 특수 학문목적 언어 교육과정에 가장 이상적인 모형이나 언어 교수자와 내용 교수자의 협력이라는 한계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최소한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변형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해 언어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따라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모형을 기반으로 설계하고, 그 설계 절차를 구체적으로 밝혔으며 평가의 과정을 통해 효용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ultimate goal of teach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s to help foreign students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ir major fields of study. The goal is closely linked to Korean learners’ needs or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their major, which has consistently been raised since the early 2000s. To meet these needs,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should be empirically studied and verified using various methods. In this study, I developed a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S University, Seoul. I verified the curriculum’s effectiveness through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course to propose a direction for developing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The suggestions made in this study apply a modifie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odel that assumes minimal cooperation and where the language instructor receives a syllabus from the content instruct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eeds Analysis: I conducted a survey and situation analysis for 17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S University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9 on the learners’ need for the Korean language for their major. The results indicated it would be most desirable to integrate the courses by func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as concentrations under the major.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appropriate to apply a modifie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ethod, based on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organize major subject classes after language classes. Curriculum Design: I then established the categories of syllabus contents that reflect the result of the learners’ needs survey and situation analysis and the principles of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and reading curriculum. The designed syllabus integrates the reading strategy-oriented technical syllabus and the task-oriented syllabus based on the subject and content syllabus, with the addition of the vocabulary and grammar syllabus. Next, I reviewed the syllabus of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to set goals for each syllabus category and select the content for teaching vocabulary, grammar, and reading strategie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under vocabulary and grammar, I built a corpus from the texts in the major field and utilized it. For vocabulary, Chinese characters that can be used as verbs and nouns, were selected as “keywords for education,” among terms used in the major. The frequency of these terms in the major’s text, the overlap of the educational vocabulary, the possibility of inference of Chinese roots (ease of learning), and word formation ability wer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ss. For grammar, grammatical element-related markers, were analyzed for selection from the text-structure markers, considering that grammar education should aid students’ comprehension of texts in the major and learn expressions required in the academic community. For reading strategies, I analyzed existing studies and the suggested strategies in textbooks relating to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selecting appropriate strategies primarily related to “lit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Finally,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integrates the courses by func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as concentrations.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parts by the midterm;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odel were developed focusing on the learning and practice of individual reading strategies before the midterm, and on the comprehensive practice of individual strategies after the midterm.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final process involv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is was divided into the first draft and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for a total of 8 weeks for 22 freshmen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0 academic year. After the first draft curriculum was implemented, I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reflect the findings in the follow-up curriculum. After all curriculum were completed, a final draft of the curriculum was prepared.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applying the ALI mod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onducted in Korean applying the ALI mode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cquiring knowledge of the major.”Regarding the modified curriculum which was implemented after the midterm, more students reported a positive influence, citing the effect of sparking interest in and easing anxiety about major subjects.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also indicated positive results about the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effect”; 20 students, or 95%, said they were “very satisfied” or “satisfied,” imply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curriculum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Korean language competence.” The ex-ante and ex-post Korean proficiency 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onfirmed that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respondents’ Korean reading skills. Third, “Key Vocabulary for Education,” “Text-structure Markers (Grammar),” “Reading Strategies,” and “Collaborative Reading Activities,”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Fourth, The “New Vocabulary Preview”(are presented with related language informations **which are divided into basic vocabulary, basic academic vocabulary, and specialized vocabulary for each chapter) and “Preview for Collaborative Reading Activities” can be a burden to students. Nevertheless it was observed that respondents perceived them positive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nd assignments. Fifth, the use of textual material from the majo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ed to be helpful. In total, 19 students, or 90%,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materials; the material was also perceived positively by the instructors, as a corpus was built from the textual material from the major and used to select the contents and develop course material. Sixth, the learners’ needs for a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ere consistently represented as a needs for “vocabulary,”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and “reading.” However, the level of perception regarding the need for “reading”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assessment of the modified curriculum. Seventh, it was found that four students, or about 19%, did not view the curriculum positively with regard to achieving class goals.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negatively perceived the first draft curriculum and the modified curriculum assessment. This indicates the lower the language proficiency of the student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erceive the major class and major subjects being in Korean as burdensome, which may negatively affect their academic adjustment. Eighth, the learners were observed to have difficulties with basic knowledge, reading, and vocabulary in major classes conducted in Korean. As the curriculum proceeded, the perceived difficulty regarding vocabulary and grammar decreased, while the perceived difficulty regarding reading,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increased. Ninth, for class satisfaction, face-to-face classes (classroom) and online classes (Zoo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face-to-face classes (classroom), 19 students, or 90%, provided a positive evaluation, while for online classes (Zoom), only 15 students, or 72%, reported that they were satisfi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an be effective when focused on “specificity” related to major subjects, unlike the curriculum in Korean for general academic purposes. This “specificity” is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areas or needs of learners, implying that the “specific subject of the major” can become more desirable than the “subjects related to the major” and “Adjunct Language Instruction (ALI)” more desirable than “Theme-Based Instruction.” From this perspective, I developed a modified ALI model where Korean class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syllabus of the content instructors. Second, the modified ALI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hich can be applied in the classroom. Although the ALI model was modifi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a majority of the students reported positively regarding its effectiveness. Third, it is effective to design a curriculum in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that applies the ALI model centered around “reading.” Based on the minimal cooperation between the content and language instructors regarding sharing a “syllabus,” this curriculum can be highly feasible in the classroom situation and can cover “basic vocabulary of the major”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which is the principal needs of learners. The fact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the need for “reading”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assessment of the revised curriculum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learners perceiving the effectiveness of “reading-based classes” for acquiring “vocabulary” and “basic knowledge of the major.” Fourth, it is useful to organize the textual materials from the major into a corpus and use them as basic materials for teaching language in terms of learning the language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active task engagement, which implies the usefulness of constructing this corpus. Additionally, since it is practical for the instructor to organize the textual materials into a corpus and use it as basic materials,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major classes in Korean based on this corpus is recommended. Fifth, for learners with a low proficiency in Korean, the special academic Korean classes may increase the burden of learning; henc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urriculum taking this aspect into account.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stages keeping these points in mind. It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stages and the same level of vocabulary was repeatedly presented. However, about 20% of the students did not respond positively to the achievement of class objectives a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nswered negatively showed almost no change in the assessment of the curriculum that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revised one. This suggests that the leaner’s language proficienc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ore carefully when designing a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for special academic purposes. In this study, I proposed a modified ALI model based on the minimal cooperation between the language instructor and content instructor,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ALI model has not been actively used due to the limitation in cooperation between language and content instructors, despite it being an ideal model for a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designed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Additionally, we set the language education categories for implementation in the classroom by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develop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ss of developing a language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was designed based on the most realistic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the classroom, the design procedure was identified in detail,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the evaluation.

      • 한·중 여성 차별 표현 비교 연구

        자오징 강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언어는 인간들이 사회에서 소통할 때에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인간들의 사상과 의식을 반영한다. 이와 동시에 언어가 인간의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여성 차별에 관한 언어 표현을 연구하여 한국과 중국 여성들이 사회 위치를 밝히자고 한다. 먼저 한국과 중국의 여성에 관한 호칭어, 속담과 공공매체 언어에서 언어 자료를 정리한 후 한국과 중국 여성의 사회 위치를 연구한다. 본고는 한·중 양국의 여성 차별, 성차별, 여성비하와 관련된 단어, 문장, 호칭어, 속담 등의 표현을 대상으로 차별 유형별로 자료를 분류하고, 자세한 비교 분석을 통해서 언어표현 속의 차별적 요소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논문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한국 자료는 국립국어연구원 홈페이지에 실려 있는 『표준국어대사전』 속의 호칭어, 속담, 공공매체 언어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국립국어원은 국어의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 연구 활동을 관장하는 국가 기관이다.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한국의 어문 정책의 기반을 조성하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인 점에서 공공성과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 선정하였다. 중국 자료는 『现代汉语词典』와 『新华词典』를 참고하고 남성과 여성의 이름과 호칭어를 비교해서 여성 차별 현상을 연구한다. 공공매체 언어는 중국의 바이두 뉴스에서 여성과 관련된 뉴스와 중국 신문에서 나온 보도에서 여성과 관련된 부분을 선정해서 분석한다. 이 논문은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 · 중 양국어의 여성차별 언어의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고 여성 차별 언어의 유형 및 특징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여성 차별의 표현을 호칭어, 속담, 공공매체 언어로 분류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여성 사회 위치를 높이기 위해서 하고 있는 일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지금 여성들에 대해 아직도 필요한 노력 등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은 연구한 내용을 정리하고 부족한 부분 및 앞으로 보충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여성 차별에 관한 언어가 아래의 3가지로 분류해서 볼 수 있다. 첫째, 여성 호칭어이다. 여성을 직접 부르는 호칭어와 여성을 언급할 때에 사용하는 호칭어이다. 특히 부부사이에서 사용된 부부호칭어에서 부부 관계에서 남성과 여성의 성별 차이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남성의 친족 호칭어와 여성의 친족 호칭어의 비교를 통해서 남성과 여성이 가정 관계에서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둘째, 속담이다. 속담은 사람들이 오래의 사회생활에서 누적된 생활의 경험이나 상식이며 인간 사회 생활을 가장 생생하게 묘사하는 언어 표현이다. 속담은 사람들의 사상의식을 기록하고 사회에서 여성을 보는 시선을 본래대로 기록하고 구두에서 전해져서 소민(小民) 사이에 여성의 차별 현상을 연구할 수 있다. 셋째, 공공매체 언어이다. 공공매체 언어는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매체 기관에서 발행한 것이고 사회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고 공공기관과 언론을 지배하는 기관들이 여성에 대한 인식을 연구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모두 유교 전통과 가부장제의 영향 아래 수 천 년 동안 발전해왔다. 한중 여성은 남성보다 못난 존재, 남성의 부속품, 남성의 도구로 보고 있다. 이외에 시대의 발전에 따라 여성들이 자기의 의지로 자유롭게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지만 학식이 많은 여성들이 중국에서 무서운 존재가 되었다. 한국 양국의 여성 사회 위치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회와 국가는 모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더 많은 학자의 눈길을 끌고 더 좋은 연구를 통해 한중 여성의 사회 위치를 개선하고 더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 Language is us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people who live in the society. Language reflect people's real life and people make language during their life. In this paper discriminating languages of Korean and Chinese are going to be contrasted and analyzed to fined out the features of the females are discriminat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society. First the expressions about female address terms, proverbs and public contents are collected to study female's social status of women in Korea and China. This research analyse the words, phrases, address terms, proverbs on women discrimination. The language materials are analysed by types to see how females are discriminated in the society. The language materials are from Online Standard Korean Dictionary by National Academy of the Korean Language. National Academy of the Korean Language is an institution running by Korea government doing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t the same time it also helps the development. The Chinese language materials are from Modern Chinese Dictionary and New Chinese Dictionary to compare the names of Chinese male and females', proverbs and public contents to see the discrimination on Chinese female. This paper is divided into 5 parts. The first part is about the aim of this research and the researching method and other researches on the theme. The second chapter shows the definition and types about female discrimination. The third chapter is going to compare the address terms, proverbs and public contents on female discrimination and the forth chapter is on cultur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Al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es and effects are done in both countries there are still more to do to improve female's social status. Female discrimination language can be divided into 3 kinds. First, female address terms. According to what is females called directly and indirectly, especial what females are called in the family by their husband that we can see the differences between man and woman.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 woman's family members are called comparing with a man's we can also know the discrimination on woman. Second, proverbs. Proverbs are habits and knowledges while people live in the society. They are the best materials to show the life style and thoughts of people. Proverbs record what people think and see and are passed on to each other by moths. It's the best way to study the thoughts of general people. Third, public contents. Public contents have great effect on most people because people get information on TV and newspaper, and even internet today. They almost touch almost every single person and are published by the most authoritative agency. They indicate what the more educated people think about the female. Both Korea and China a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and patriarchy. Females in Korea and China are discriminated in the society and are treated as the inferior people than male, the components of male, even the tools of male. Although we have got lots of progress nowadays, women can go to school and study more as they wish, but a PHD girl is going to be seen as a horrible people in China. There are many things have done in Korea and China to improve the social status in two countries. This paper is going to attract more people to look and study on female discrimination and to improve more about women aiming at making a better and more peaceful society.

      •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장애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이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apply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develop a care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for the 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and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models and procedures to develop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Second, what is the utility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The study went through three stag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suitable design and development methodology was selected by examining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Second, a specific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derived from researches on education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Third,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adapted, a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the program was appli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pecific context of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proceeded through five step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ADDIE)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ISD) model. Concretely, a 26-chapter-long program was developed and run in 5 sessions. Seco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on language ability composed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nd on career maturity composed of career attitude, competence, and behavior was conduct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and verified that students’ language ability and career maturity improved. Two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SD model is an adequate program development model for develop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in the specific context of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is effective in improving language ability and career maturity.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further researches targeting learners of all ages with various disabilities with the use of variety of instructional method are necessary for the general use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Second, follow-up researches examining language ability with various assessment tools should be conducted. Multilateral examination is necessary since this research only evaluates reading and writing by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and listening and speaking attitude by observation. Third, follow-up researches on whether students’ improved career maturity would maintain after the end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are necessary.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언어능력과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하여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장애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모형과 절차는 무엇인가?’와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장애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용성은 무엇인가?’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세 가지였다. 첫째, 개발연구 방법론을 고찰하고, 산출물·도구 연구를 이 연구의 타당한 연구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자유학기제의 진로탐색활동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언어경험접근법 및 진로교육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 개발(ISD) 원리에 따라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한 개발 모형에 따라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시 소재 'ㅇ'특수학교 중학교 2학년 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5회기 총 26차시에 걸쳐 실행해 본 후 교육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의 진로탐색활동이라는 특정 맥락에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원리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절차의 단계로 진행하였고 필요에 따라 각 단계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둘째,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26차시에 걸쳐 진행한 후 전문가 평가와 학습자 종합평가를 실시하여 이 교육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자유학기제 진로탐색활동 맥락을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 개발 원리에 따라 도출한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장애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절차는 이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하였다. 둘째,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장애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언어능력과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과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장애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장애영역 및 연령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개발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검사도구 또는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언어능력의 변화를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BASA 읽기·쓰기 검사, 듣기·말하기 태도 관찰에 한정하여 평가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다각적 관점에서 언어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장애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더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하여 장기간 언어능력 변화 추이를 관찰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한 학습자의 진로성숙도가 상급학년 진급 후에도 유지 또는 향상하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LangCog을 활용한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인지능력 특성 연구

        하예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Recent trends in language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have been focusing on the use of multimedia, computers, and tablet PCs to enhance traditional rehabilitation methods. By presenting continuous data with audiovisual and movement components, these technologies aim to reduce abstraction and provide a more engaging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ce for individuals undergoing rehabilitation. One notable program in this field is LangCog, a computerized language and cognitive program that has gained atten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ettings. LangCog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gnition. It incorporates brain activation and language training activities, as well as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strategies. However, one limitation of LangCog is that it does not provide standard scores or average numbers for each age group. As a result, it only allows for individual performance assessment, making it challenging to compare an individual's performance with that of their peers and identify areas that require more training. To address this limitation, a study was conducted comparing the scores of typically developing school-age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LangCog. The study focused on six selected activities within LangCog and compared the brain activation, cognition, and language scores of both groups.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vise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cores and the scores related to brain activation, cognition, and language abilities in LangCog.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anguage, cognition, and brain activation abilities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n using LangCog. Secondly,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emonstr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VT scores and scores related to language, cognition, and brain activation in LangCog. Similarly,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cross all areas. In conclusion, LangCog is a widely used rehabilitation program that provides valuable benefits. Howev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preliminary evaluation data for children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the study population, including a larger sample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o establish a standardization process. This would enable LangCog to not only serve as a rehabilitation program but also as an evaluation tool. 최근의 언어 및 인지재활의 동향을 살펴보면 단면적이고 일차원적인 전통적 재활보다 시청각을 함께 제시할 수 있고 움직임을 볼 수 있는 연속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상성을 줄일 수 있는 멀티미디어나 컴퓨터, 태블릿 PC 등을 활용한 재활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재활보다 멀티미디어 및 디지털을 활용한 재활에서 더욱 진전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를 근거로 개발된 전산화 언어·인지 프로그램 LangCog은 다양한 특수교육 및 재활현장에서 각광받고 있다. LangCog은 언어와 인지 간의 밀접한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인지기능의 향상뿐만 아니라 뇌활성화 기능과 언어 훈련 활동까지 포함하고 있어 언어발달장애 아동의 인지 및 언어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연령대의 기준점수(평균수치)가 정해져 있지 않아 개개인의 성과도만 확인할 수 있고 또래아동과의 상대적인 비교는 불가하여 훈련이 필요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의 구분이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이에 학령기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점수를 비교 분석하고, 영역 간의 상호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1학년에서 3학년의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으로 구분하였다. LangCog의 활동 중 6개를 선정하여 검사를 진행하였고, 각 활동에서의 뇌활성화, 인지, 언어 점수에 있어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점수를 비교, REVT의 수용, 표현어휘 및 LangCog의 뇌활성화, 인지, 언어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LangCog 문항 점수에서 언어, 인지, 뇌활성화 능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아동은 REVT-R과 REVT-E, REVT-R과 LangCog-언어, REVT-R과 LangCog-인지, REVT-E와LangCog-언어, REVT-E와 LangCog-인지, LangCog-언어와 LangCog-인지, LangCog-인지와 LangCog-뇌활성화 간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지적장애아동은 모든 영역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LangCog은 재활 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동이 치료 초기 수업을 진행하기 전 기초자료 없이 사전 검사, 즉 평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기초선을 마련할 수 있는 자료 제시를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지적장애아동 및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표준화 과정을 거친다면 LangCog이 재활 프로그램으로의 역할만이 아닌 평가 프로그램으로의 역할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샛별 경기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비스 산업의 종사자들은 기업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더욱 더 변화하는 환경과 복잡하고 고차원화된 고객들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고객들의 욕구를 신속하게 응대해야하기 때문에 기업으로부터 많은 감정표현을 요구 받고 있으며, 감정노동자들은 자아가 손상되어 갈등 및 혼란이 극대화되고 감정부조화 및 소진 현상이 발생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카지노 딜러는 감정노동자로서 게임테이블에서 직접적인 금전이 오가면서 고객들이 게임실패에 따른 결과에 다양한 언어폭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무례한 행동으로 인하여 감정적인 상처와 상당한 스트레스를 겪으며,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의 불일치 즉, 감정부조화와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 카지노 딜러는 다른 어떤 서비스 종사자들에 비해서 많은 양의 감정노동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언어폭력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완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을 완화하고, 업무의 능률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지노 딜러를 대상으로 한 언어폭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며,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있어 자아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자아탄력성을 규명함으로써 감정불일치로 나타나는 감정부조화를 낮추고, 직무소진을 감소시켜 카지노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을 실증조사를 통하여 직무소진의 해결을 위한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카지노기업 서비스에 대한 질적 확보와 고객만족을 유도하는 카지노 종사원의 능력을 극대화 시키고, 조직의 효율성과 실천적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6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4개의 카지노기업(파라다이스, GKL, 강원랜드, 랜딩) 총 400부를 배포하여 이중 380부가 회수되었다. 그리고 일부 중요항목의 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부적절한 17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63부를 가지고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V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폭력이 감정부조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을 통해 카지노딜러의 자아개념 손상을 초래하고 모욕감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하위요인들도 감정부조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직무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부조화에 지속적인 감정사용은 카지노 종사원들로 하여금 직무소진을 느끼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과 같은 부정적인 변수들을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스로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인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적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최근 아시아 지역 IR기업의 성장과 신규 복합리조트의 개장으로 인해 카지노 산업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으며, 카지노 딜러는 변화하는 환경과 감정노동자로서 긍정적인 마인드와 유연한 사고를 갖추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아탄력성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앞으로 학문적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 카지노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기를 바란다. 핵심어 : 카지노딜러, 언어폭력, 감정부조화, 직무소진, 자아탄력성 As the competition of corporations intensifies, workers in service industry are requested from the companies to respond rapidly to changing environment and complex and high-dimensional desires of customers. Emotional workers continue to experience a vicious cycle of emotional dissonance and exhaust phenomenon as their ego is damaged conflict and confusion are maximized. As an emotional workers, casino dealers experience various verbal violence due to the game failure of customers as money comes and goes directly in the game table. Due to customer's rude behaviors, casino dealers get emotional hurt and significant stress, experiencing a mismatch between what they actually feel and what their organization requires, that is, emotional dissonance and exhaust. Casino dealer not only have a greater amount of emotional labor than any other service workers, but they also are exposed to verbal violence of customers, so the necessity to relieve this is raised. We will verify the regulation effect of ego resiliency as a way to relieve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of casino dealers and to improve their work efficiency. Nevertheless, research on verbal violence against casino dealers is lacking and research on whether ego resiliency has regulation effect in term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is also not sufficien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rbal violence o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and identify the ego resiliency that regulates these relationships to lower the emotional dissonance that appears as emotional mismatch and reduce Job burnout. It is also to grasp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through practical survey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onsultation and training to solve the Job burnout. Through this, it can maximize the competency of casino dealers who secure qualitative aspects and induce customer satisfaction and establish the practical strategy for organization's efficien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stributed a total of 400 copies of questionnaires to 4 casino corporations (Paradise, GKL, Gangwon Land, Landing) from June 20 to September 20, 2019 and 380 were collected. We used a total of 363 copies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17 copies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inappropriate for statistical analysis due to the omission of some important item and insincere response. We used SPSS 23.0Ver. program to analyze the material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erbal violence has positive (+) influence on the emotional dissonance. Lower factors that cause damages to ego of casino dealers and give sense of outrage through verbal violence have positive (+) influence on the emotional dissonance. Second, the emotional dissonance has positive (+) influence on Job burnout. We can know that continuous use of emotion on emotional dissonance makes casino workers fell Job barnont. Third, ego resiliency in the relationship of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Job burnout has a regulation effect. We can know that ego resiliency is an individual's ability to improve negative variables such as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posi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personal effort to increase ego resiliency is required and internal competency program that can enhance ego resiliency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and reduce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caused by verbal violence. Recently, casino industry is facing a new turning point with the growth of IR corporations in Asia areas and opening of new complex resort. Therefore, I hope this study can identify whether casino dealers have flexible thinking and positive mind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s an emotional worker and present the necessity of ego resiliency that can relieve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and various significant research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sino industry can be attempted. Key words : casino dealer, verbal violence, emotional dissonance, job burnout, ego-resiliency

      • 뇌졸중 환자의 언어 재활 현황 및 요구 조사

        윤하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뇌졸중은 뇌의 신경학적 이상으로 인해 기능적 이상이 나타나는 뇌 질환을 말한다. 뇌 손상 후 언어 시스템의 손상이 나타나면 언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재활하는 목적의 언어재활은 개인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활동 및 참여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언어 재활 실태와 뇌졸중 환자들의 주관적인 언어재활에 대해 조사하여 언어 재활 서비스가 필요한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뇌졸중 환자들 중 언어재활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는 26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뇌졸중 발병 이후 발병 초기 혹은 현재에 언어 재활을 받은 적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 배부 후 자료를 조사한 결과 발병 초기 언어 재활을 받은 환자는 110명, 언어 재활을 받지 않은 환자는 총 154명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언어 재활을 받은 환자는 55명, 언어 재활을 받지 않은 환자는 총 209명으로 나타났다. 발병 초기 및 현재 언어 재활을 받지 않은 이유로는 모두 ‘언어 재활에 대한 지식 부족’이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냈으며 환자들의 일반적인 정보에 따른 만족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뇌졸중 환자들은 언어 재활을 필요로 하고 있지만 경제적, 환경적 이유로 인해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언어 재활의 비용과 형태의 변화를 요구하였으며 언어 재활의 중요도 또한 인지하고 있었다. 뇌졸중 환자들의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환자들의 요구도와 언어재활의 객관적인 인식을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뇌졸중 환자의 언어재활서비스와 관련된 기초 자료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해 본다. Stroke is a brain disease in which functional abnormalities occur due to neurological abnormalities in the brain. Language disorders can occur if the language system is damaged after brain damage, and language therapy aimed at rehabilitating them is to maximize individu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The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peech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and subjective speech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treatment for stroke patients who nee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264 stroke patients who had receive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patients who had undergone speech rehabilitation in an acute or subacute phase after stroke.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after distribution of the questionnaire, 110 patients underwent acute speech rehabilitation and 154 patients did not receive speech rehabilitation, 55 patients underwent subacute speech rehabilitation and 209 patients did not receive speech rehabilitation. The highest response was "lack of knowledge about language rehabilitation" for both acute and subacute speech rehabilitation,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general information was not significant. Stroke patients need language rehabilitation, but they are not able to receive it due to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asons, so they demanded changes in the cost and shape of language rehabilitation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anguage rehabilitation.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speech rehabilitation services for stroke patients, we were able to investigate the patient's requirements and objective perception of speech rehabilit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on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for stroke patients.

      • 기독교 무언극에 나타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 창작 기독교 무언극 <사영리>Ⅰ, Ⅱ를 중심으로

        박하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창작 기독교 무언극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해 본인 창작 무언극 <사영리>Ⅰ, Ⅱ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인간의 표현 양식은 언어와 비언어로 나눌 수 있는데 태초에 언어가 생겨나기 이전부터 인간은 감정을 표현하고 자기의 생각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정과 몸짓 그리고 간단한 의성어를 통해 의사소통하였다. 연극은 인간의 모든 신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문학 장르와의 변별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무언극과 관련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본고는 이에 착한하여 기독교 무언극에 나타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기독교 무언극은 예술 장르가 갖는 시공간을 뛰어넘을 뿐만 아니라 언어가 갖는 한계도 뛰어 넘어 선교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된다. 예술 장르가 시공간을 뛰어 넘기 위해 가장 먼저 뛰어넘어야 할 장애는 바로 언어이다. 그러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언어적 한계를 뛰어 넘는다. 기독교 무언극은 그러한 점에서 선교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된다. 무언극과 같은 의미인 마임이나 팬터마임 또는 넌버벌 퍼포먼스라는 전문용어는 많이 알려 졌지만 무언극이라는 용어는 생소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무언극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기독교 무언극에 대한 정의를 정립하였다. 기독교 무언극이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고의 분석 대상은 대사 없이 신체의 움직임으로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를 표현하는 무언극이라는 명칭을 써서 작품을 공연하는 배우와 관객 같은 일반인들이 접근성이 편의하도록 본고의 연구자는 기독교 무언극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기독교 무언극은 대사 없이 비언어적 코드로만 극의 내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복음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이에 본고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성격을 짚어 보았으며 더불어 선행 연구된 비언어적 코드의 종류와 기능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으로 김우룡・장소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사용하였다. 이론 정립 이후 무언극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기독교 무언극의 장르와 기독교 무언극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전제로 연구자가 창작한 기독교 무언극 <사영리>Ⅰ, Ⅱ의 분석을 통해 작품 속에 드러나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연구하였다. 이에 기독교 베시지 전달에 적합한 공통된 비언어적 코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작품 <사영리>Ⅰ, Ⅱ는 기독교의 복음전달의 핵심인 ‘사영리’의 네 가지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극작 되었다. <사영리>Ⅰ은 연구자가 2016년 2월 인도네시아 해외 단기선교에 공연으로 활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현지 신학교와 원주민 마을에서 총 4회 공연하였다. <사영리>Ⅱ는 2018년 말레이시아 해외 선교의 복음전달을 위해 창작되어 원주민 마을의 교회와 교회가 없는 지역의 맨땅 사역으로 총 7회 공연하였다. 본고는 <사영리>Ⅰ, Ⅱ의 공연에서 각각 주안점을 둔 비언어적 코드를 분석한 이후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사용한 비언어적 코드를 기표화 하여 정리하였다. <사영리>Ⅰ, Ⅱ에서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은 비언어적 코드의 공통화된 기표이다. 두 작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비언어적 코드는 신체언어로써 행동 코드, 외양 코드, 공간 코드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언어적 코드를 4장에서 기표화하여 정리하였으며 정리 과정을 통해 후속 기독교 무언극 창작극에 비언어적 코드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centered on creative non-verbal play <The Four Spiritual Laws> I, II to conduct a research on non-verbal communication of creative Christian pantomimes. In a society humans interact with others by communicating their thoughts, emotions, and expressions, and effective message transfer through communication has been specifically mentioned for the past thousands of years. Expressive methods used by humans can be divided into either verbal or non-verbal category, and humans have been using facial expressions, body languages, and simple onomatopoeic expressions even before the creation of languages. Theater play is distinguished from other genres of literature in that it utilizes the whole body parts of performers. The reason why this paper focuses on non-verbal communication in pantomime, a genre of theater play, is due to lack of accumulated research data on this subject despite its functional potential to reach beyond verbal limitation. Language is the first barrier to move past for an art genre to go beyond spatio-temporal limitations. However, non-verbal communication allows art to move past the verbal barrier. This is why Christian pantomimes are used as an effective tool in missionary works. In general, no such thing as a Christian non-verbal play. However, this performance is clearly a non-verbal play which expresses a story through body movements displayed in Christian style. Rather than using lexical terms such as mime, pantomime, or non-verbal performance all of which shares the same definition with non-verbal play, this paper choses to use the term non-verbal play and call this specific type of performance a Christian non-verbal play in order to allow more convenient access for general people including performers and audiences. As previously mentioned, Christian non-verbal play needs to ultimately convey evangelical messages through the story only using non-verbal code without any verbal line. Thus, this study traced back to the concepts and the characteristic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d sought to organize the types and functions of non-verbal codes investigated in the past studies. To achieve this goal, Non-Verbal Communication Theory of Woo-ryong Kim・So-won Jang was referred to as a theoretical methodolog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history of non-verbal pla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eory, Chirstian non-verbal play as a genre, and the meaning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Chirstian non-verbal play. Based what has been established,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non-verbal communication revealed in the play by analyzing the creative Christian non-verbal play <The Four Spiritual Ways>I, II written by the author of this paper. The result showed common non-verbal codes suitable for conveying evangelical message. <The Four Spiritual Ways> I, II are based on four basic principles of ‘The Four Spiritual Ways’which is the center of Christian evangelization. <The Four Spiritual Ways> I was written by the author of this paper for the short-term overseas mission to Indonesia in February of 2016, and it had been performed 4 times at local theological school and native villages. <The Four Spiritual Ways> II was created to send evangelical messages during the overseas mission to Malaysia in 2018, and the play had been performed 8 times in a church in native village and other regions without any Christian base. This paper analyzed non-verbal code focusing on <The Four Spiritual Ways> I, II performances and organized the codes used in both performances into symbol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Four Spiritual Ways> I, II is the symbols of non-verbal codes used in both pieces. The most frequently used nonverbal code in both performances are behavior code, external look code, and spatial code all of which are parts of physical language. These non-verbal codes were organized into symbols in chapter 4. This study seeks to provide help in offering non-verbal codes in Christian non-verbal performance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support for offering non-verbal code to Christian non-verbal performance through such organization process.

      •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의 조사와 질적 연구

        유재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스마트기기 사용이 필수인 시점에서 의사소통 장애아동들의 스마트기기의 사용 현황과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프로그램 사용 전후에 따른 인식의 변화 및 사용 견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 1회 이상 언어치료를 받는 3∼6세 아동의 부모 2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3명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 장애아동이 처음 스마트기기를 접한 시기는 아동의 나이가 올라갈수록 그 빈도가 낮아졌으며, 만 1세에 처음 접하고 이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정상발달 아동의 사용 실태와 비교하였을 때 응답이 일치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부모들은 사전에 사후와 관계없이 아동 교육 목적으로는 유료 프로그램(앱)이라도 사용할 의향이 있으며, 사후 결과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교육적 효과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심층 면담의 결과 질적 분석을 거친 자료들에서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장단점’, ‘부모 특성에 따른 인식’,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후의 변화’,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언어치료 효과’, ‘향후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견해’의 5개의 대주제와 그에 따른 13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5개의 대주제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장점으로 시간과 장소의 자유로움과 재미에 대해서 장점으로 생각하였으며, 단점으로는 중독성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둘째, 부모 특성에 따른 인식에서 맞벌이 여부와 기기의 친숙도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고, 교육 수준에 따라 콘텐츠 활용 방법의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디지털 보조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후의 변화에 대해서는 4가지 측면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부모의 생활 측면에서 기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으며, 아동 생활 측면에서는 기기 사용에 대한 자제력이 향상되었고, 아동 발달 측면에서 또래와의 소통에서 적극적으로 다가가는 모습이 생겼다고 한다. 마지막 교육적 측면에서는 아동의 명료도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넷째, 언어치료의 효과와 관련된 대주제에서 대면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은 더욱 필요하다고 느꼈으며, 디지털 보조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은 보조 역할로써 활용이 되면 좋다고 하였다. 다섯째, 부모의 견해와 조언에서는 기존에 있던 디지털 기기에 대해 무조건 반대하기보다는 긍정적인 활용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고 하였고, 개선점으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오류를 줄였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디지털 언어치료 애플리케이션의 활용과 부모의 인식변화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 언어치료의 향후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t a time when smart device use is essential, we would like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smart device use by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and changes in perception and opinions on use before and after using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program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3 parents of 3 to 6-year-old children who received language therapy at least once a week. Among them, three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 at which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first encountered smart devices decreased as the child's age increased, and the majority of responses indicated that they were introduced and utilized by the age of 1. This pattern of responses matched with the usage pattern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dditionally, parent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expressed a willingness to use paid programs (apps) for educational purposes regardless of pre- or post-intervention. Moreover, the post-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five main themes and 13 sub-themes were deriv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Perception based on parental characteristics', 'Changes after using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Language therapy effects of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and 'Opinions on future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When examining these five main themes, the first theme revealed that the advantages of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were perceived as offering freedom of time and place, as well as being enjoyable. However, concerns about addiction were identified as a disadvantage. In the second theme, 'Perception based on parent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dual-income status and familiarity with technolog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use of the applications. However, differences in content utilization methods were noted based on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s. The third theme, 'Changes after using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consisted of four sub-themes. Parents' negative perceptions of devices transformed into positive attitudes regarding their usage. Children exhibited improved self-control in device usage, and they actively engaged in communication with peers. Notably, children's speech clarity also improved in an educational context.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erms of parents' perspective, their negative perceptions of devices changed positively. In the child's daily life, they showed improved self-control in device usage, and in terms of their development, they demonstrated a proactive approach in communicating with their peers. Additionally, on an educational level, there was an observable improvement in the child's speech clarity. Moving on to the fourth theme, which focused on the effects of language therap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greater need for in-person language therapy. However, digital assistive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were seen as beneficial in a supportive role. Lastly, concerning parents' opinions and advice, it was suggested to promote positive usage of existing digital devices rather than opposing them outright.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forming parents about various positive ways to utilize these devices. Additionally, they expressed a desire for diverse content development and reducing errors in the ap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utilization of digital language therapy applications and the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s. Through this understanding, it is hop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digital language therapy.

      • 코로나19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 인식 및 요구 조사

        김원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특히 밀폐된 공간 안에서 대면 수업을 하는 언어재활서비스에도 마스크 착용, 서비스 중단 등의 많은 변화가 뒤따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님들의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감염병 시기의 언어재활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언어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들의 부모님 6명을 심층적 조사를 통해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코로나 발생 이전부터 언어재활서비스를 받았고 현재에도 언어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들의 부모님 6명을 선정하였다. 면담 후 자료를 조사한 결과 ‘외부요인 변화’,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 ‘영향을 받은 부분’, ‘증가된 요구사항’이라는 4개의 대주제와 ‘마스크 착용’, ‘치료 횟수 감소’, ‘부모상담의 변화’, ‘치료기관 선택 기준’, ‘부모상담의 필요성과 중요도’, ‘원격치료, 온라인 치료’, ‘부모상담의 방법에 대한 인식’, ‘치료효과’, ‘부모상담의 질적 향상’, ‘치료환경’이라는 10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고, 20개의 구성 개념이 도출되었다. 코로나19 시기의 변화된 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님들의 인식 변화와 경험을 통해 요구를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은 우리 일상생활에 다시 나타날 수 있으며, 언어재활서비스에 현재와 같은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본 연구가 제한적 상황에서 언어재활서비스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해 본다. COVID-19 has brought many changes to our daily live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which provides face-to-face classes in an enclosed space, has undergone many changes, such as wearing masks and stopping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time of infectious disease by in-depth investigation of parent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in-depth survey of six parents of subjects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selected six parents of subjects who had receive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are still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ata after the interview, four main themes were 'change in external factors', 'parts not affected', 'parts affected', and 'increased demands', as well as 'wearing a mask', 'reducing the number of treatments', ' Changes in Parent Counseling', 'Criteria for Selection of Treatment Institutions',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arent Counseling', 'Remote Treatment, Online Treatment', 'Perception of Parent Counseling Methods', 'Treatment Effect', 'Quality of Parent Counseling' 10 sub-themes such as 'improvement' and 'therapeutic environment' were derived, and 20 construct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the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change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during the COVID-19 era, we were able to find out in detail their needs. In modern societ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may reappear in our daily lives, an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may be subject to current restric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maintain the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in limited circum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