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휘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핵심어휘 선정 연구

        이창봉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언어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어휘적 특성이 다양하게 발현된다. 한국어는 이러한 어휘적 특성 중에서 특히 격식성과 상호작용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 언어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가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이 반영된 균형말뭉치의 구축과 분석을 통해 핵심어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가 장르별 어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핵심어휘를 선정하였다. 특히 핵심어휘의 특성 중 빈도, 범용성, 산포도, 장르성, 확장성, 학습용이성을 기준으로 한국어 학습용 핵심어휘를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 중 장르 간 어휘 분포인 범용성과 장르의 특성이 반영된 장르성을 분석하기 위해 어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확장성 측정을 위해 ‘한국어기초사전’ 용례 말뭉치를 참조말뭉치로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용이성 측정을 위해 ‘학습자말뭉치’를 참조하여 핵심어휘군의 출현빈도를 측정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세분화된 학습자의 동기로 실제성 높은 어휘 선정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연구 방향의 설정을 위해 어휘 선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그 흐름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와 개념을 살폈다. 우선 핵심어휘의 바탕이 되는 ‘어휘’, ‘기초어휘’, ‘기본어휘’의 개념과 핵심어휘의 이론적 특성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의 핵심어휘 선정 기준을 상대빈도, 범용성(장르 분포), 산포도(장르별 어휘 분포 정도), 장르성(어휘 중심성), 확장성, 학습용이성으로 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어휘의 장르성 분석을 위한 방법론인 텍스트마이닝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말뭉치 자료와 균형말뭉치 구축을 위한 텍스트 선정 방법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어휘 선정을 위해 원시말뭉치 기준 5개 장르, 12개 텍스트 총 1,500만여 어휘 규모의 균형 말뭉치를 구축하였으며 핵심어휘의 선정 기준을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어휘의 선정 절차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하여 전체 연구의 방향을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핵심어휘 선정을 위한 기본 언어 자료인 균형말뭉치의 구축 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균형말뭉치 구축 조건을 살펴보고 기존 말뭉치의 구성을 검토하여 언어적 특성을 균형 있게 고려한 새로운 말뭉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틀을 설정하기 위해 Biber(1988)를 참고했으며 강범모 외(1998)를 통해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에 따른 텍스트 유형을 선정하였다. 전체 균형말뭉치를 구축하기 전에 본 연구에서 선정한 텍스트 유형의 상황적, 언어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0만 어휘 규모의 표본 균형말뭉치를 구축하였다. 표본 균형말뭉치를 구축하고 분석한 결과 장르별 텍스트의 특성이 어휘 분포로 충분히 확인되었으며 품사 유형 비율과 고빈도 어휘가 장르별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 전체 균형말뭉치 구축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시간 상호작용과 격식성이라는 상황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을 고려한 원시말뭉치 1,500만 어휘, 형태분석 말뭉치 1,400만 어휘 규모의 균형말뭉치 구축 과정과 분석 도구의 사용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 구축된 전체 균형말뭉치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며 본격적인 핵심어휘 선정을 위한 작업을 실시하였다. 균형말뭉치 어휘의 누적빈도 90%의 어휘 유형 분석 결과 총 3,574개의 어휘가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어휘를 대상으로 앞서 정한 6개 어휘 선정 기준을 통해 최종 점수 상위 1,000개의 어휘를 핵심어휘로 선정하였다. 먼저 범용성 분석 결과 2개 장르에서 분석된 어휘가 869개로 가장 많았으며 5개 모든 장르에서 분석된 어휘는 846개가 분석되었다. 범용성을 보완하기 위한 산포도 분석 결과 빈도 순위 28위인 관형사 ‘한01’이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보였으며 그 뒤를 이어 ‘모이다01’, ‘직접’, ‘새로’가 분석되었다. 핵심어휘의 특성 중의 하나인 확장성 분석 결과 지정사 ‘이다’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뒤를 이어 ‘하다01’, ‘들08’이 분석되었다. 특정 장르의 어휘적 특성을 반영하는 장르성 분석 결과 ‘이다’, ‘것’, ‘하다01’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용이성 분석 결과 ‘이다’, ‘있다’, ‘하다01’, ‘것’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핵심어휘의 특성을 고려한 6가지 선정 기준값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최종 점수 순으로 분석한 결과 ‘이다’, ‘하다01’, ‘것’, ‘있다’, ‘들08’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6장에서는 핵심어휘의 품사와 의미, 수준, 주제에 대한 유형 분류 작업을 실시하였다. 핵심어휘의 의미적 특성 분석을 위해 기존에 구축된 어휘 목록인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참조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품사 유형 분석 결과 가장 많은 수의 품사 유형은 일반명사였으며 동사, 일반부사 순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핵심어휘의 수준은 초급이 668개로 가장 많았고 중급 311개, 고급이 12개로 분석되었다. 의미 범주에 의한 분석 결과 ‘개념’에 해당하는 어휘가 238개로 가장 많았고 ‘인간’, ‘사회생활’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주제별 분류 결과 ‘일상생활’, ‘물건사기’, ‘환경문제’ 순으로 핵심어휘의 주제가 분석되었다. 7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진행한 핵심어휘 선정 과정에 대해 요약하여 제시하며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1,500만 어휘 규모의 균형말뭉치를 정제하여 최종 1,000개의 핵심어휘를 선정하였다. 다만,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을 반영한 기존 어휘 선정 연구가 부재하여 모든 과정을 처음 시도하였기 때문에 매 단계마다 오류와 문제점이 다수 발생하였으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균형말뭉치 구축 과정의 후처리 작업에 있어 누적 빈도 상위 90%의 어휘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전체 어휘에 대한 후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도 아쉬움이 남는다. 본 연구는 기본어휘, 핵심어휘 선정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언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어휘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한 귀납적 연구 방식을 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어의 어휘 특성 중 격식성, 상호 작용성, 문체 등의 특성을 고루 갖춘 균형말뭉치를 자체 구축하였으며 말뭉치 분석을 통해 어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어휘 선정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은 장르성 분석을 위해 텍스트마이닝이라는 통계적 텍스트 분석 기법을 도입하였다. 일반적인 기본어휘 선정 기준인 빈도, 범위, 산포도에 더해 핵심어휘의 이론적 특성에 바탕을 둔 장르성, 확장성, 학습용이성의 선정 기준을 추가한 점도 입체적인 어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실이라고 판단된다.

      •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육용 어휘 선정 연구

        백선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7

        어휘는 언어의 가장 핵심을 이루는 요소로서 인간이 일생동안 꾸준히 익혀야 하는 영역이며 사고의 기초가 된다. 이렇게 어휘 학습은 평생을 이어가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정규 교육에서는 교육 과정이 7차를 이어 내려오는 동안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어휘 교육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1, 2학년 읽기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의 어휘를 아동에게 친숙하고 일반적으로 유용한 17개의 의미 영역별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어휘를 구체성, 친숙도, 고유어, 보편성, 철자법의 5개 기준으로 나누어 개별 어휘들의 난이도를 -10에서 +10까지 분류하였다. 이러한 기준은 주관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니긴 하나 초등학교 저학년 7차 교육 과정의 어휘 수록 양상을 의미영역별로 다소나마 분석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기본 어휘, 기초 어휘, 교육용 어휘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보다 효율적인 어휘 교육을 위해서는 보편적이고 교육적 적용성이 높은 어휘들의 목록이 있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기본어휘와 기초어휘의 선정은 그 가치가 높다 할 것이다. 또한 개인의 어휘 학습의 기반을 형성하고 학습의 토대를 이루는 어휘력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또한 현장에서 제대로 된 어휘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대해 그 원인과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학습자의 어휘력은 양적 어휘력과 질적 어휘력으로 크게 이분된다. 학교에서의 어휘 교육은 그 양의 확장보다는 개인의 질적인 어휘력의 신장에는 기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장의 어휘 교육은 아동의 질적 어휘력의 신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Ⅲ 장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교육하기에 적합한 의미 영역을 선정하였다. 먼저 분류 어휘집에서 공통으로 추출되는 의미 영역을 기본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에 부합되는 의미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연구 대상이 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읽기 교과서의 대단원과 소단원을 나누었다. 수록된 이야기글이나 설명글의 소재와 제재를 중심으로 가르치기에 적합하고 저학년의 수준에 맞는 영역들을 알아 보았다. 이렇게 설정된 의미 영역을 중심으로 분류 기준에 의거해 초등학교 저학년의 어휘 학습에 적합한 개별 어휘들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어휘들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의 어휘의 수록 양상을 살펴 보았다. 첫째, 초등학교 1,2학년의 읽기 교과서에는 다른 어휘들에 비해 동물과 식물, 해, 달, 별 등의 자연물을 나타내는 어휘가 많이 등장한다. 이는 아동들의 흥미와 친밀성을 감안한 소재 선택이 분명하지만 전체 어휘에 대한 어휘 비율이 높아서 보다 다양한 어휘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둘째, 사물의 동작 묘사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부사나 형용사대신 흉내내는 말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의인화된 어휘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릴 때부터 친근하게 접해온 자연물이나 동물을 소재로 동화형식을 많이 취함으로써 나타난 당연한 결과인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어휘 학습의 한 방법으로 의미 영역 설정을 통한 어휘 지도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했다. 아직까지도 체계화되지 않은 어휘 교육이 제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선정 기준을 통한 어휘들을 중심으로 계획적인 어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강조되어온 양적 어휘력의 확산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아동들의 질적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있어야 할 것이다. Vocabulary is the area that must learn steadily during lifetime and becomes footing of human being as the element that make nucleus of language. In spite of that Vocabulary studying must go on whole life, it has been neglected in the regular school education during 7th curriculum. This study sorted vocabularies of a text book in 7th curriculum by 17 meaning areas that is familiar to child and is useful to elementary school 1 or 2 grade. After that, those vocabularies divided into +10 to -10 in total. They are also classified as the 5 standards such as vocabulary concreteness, familiarity, dividing into idiom, universality, spelling degree of difficulty of individual vocabularies. These standards do not escape dimension of investigator's subjectivity but I think there will be some values in analyzing aspect of the vocabularies in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of the 7th curriculum. Chapter 2 searched concept of basic vocabulary, basis vocabulary, educational vocabulary on the basis of former standards of the studies. The list of vocabulary for language education that become foundation of each subject can contribute much in vocabulary teaching. Also, will have to be realized about component of vocabulary ability and the importance that form individual's base of vocabulary studying.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e cause and actual conditions for vocabulary teaching on the spot properly that is not achieved. Learner's vocabulary is halved greatly by quantitative vocabulary and qualitative vocabulary. However, vocabulary education in school can contribute in individual's qualitative vocabulary than the size of the quantitative vocabulary. Conclusively, vocabulary teaching in regular school system must focus in child's enlargement of quantitative vocabulary. Chapter 3 chose suitable meaning area to teach lower grade students in school based on the meaning areas from the former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the lower grade's text book according to this common meaning category that is suitable for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lso based on the material and learning subject of telling story and explanatory text, there were meaning category selection for the lower grade student's level. Like this, choosing suitable individual vocabularies to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vocabulary according to standard of classification laid stress on establishment of meaning area. And the study tried to find out the aspect of collecting vocabulary in lower grades' text book. Firsthand,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re are lots of vocabularies that display natural object like animals, plants, sun, moon, and star etc. this is because of taking into account intimacy with interest of children. But compared with whole amount of vocabulary, this is high percentage in terms of missing opportunity that can receive various vocabulary. Second, could know that mimicking terms occupied large amount of the vocabulary which display action representation or status of things than any other adverbs or adjectives. In this case, there will be some advantages that repeated speeches that imitate help children describe personal belongings easily and interestingly vivifying rhythm of vocabulary. Third, there are a lot of anthropomorphic vocabularies. Natural object or animals which this contacts is intimate since their childhood. This may be rightful result considering that child may accept those subjects as is easy and familiar. This study focuses on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meaning areas by methods of vocabulary studying to lower grades' students. Vocabulary education that is not systematized up to now has to planned systema-tically by means of specialized list of vocabularies through specific and reliable standards to find place and deliberate vocabulary learning methods. Also, there will have to be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qualitative vocabulary of children.

      • 現行 高等學校 英語 敎科書의 語彙選定에 關한 硏究

        서영갑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868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teaching of English by reviewing the vocabularies contained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current use and to emphasize more effective and scientific selection and arrangement on the ground of the principles give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future. There are five different kinds of the newly-publishe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hey number fifteen in total. All fifteen samples of the newly-published textbooks were examined to see whether or not the chosen vocabularies were scientifically controlled 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given principles. Throug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points are revealed: First, not enough number of vocabularies are contained in the textbooks in terms of the vocabulary baseline give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the different vocabularies used in the five textbooks is 6,673, which means that the wide range of vocabulary is used in compiling the textbooks. Textbook has 2,884 vocabularies, textbook 2,698, textbook 3,396, textbook 2,581 and textbook 2,901. Only one out of five textbooks contains more than 3,000 vocabularies which is the baselin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there are 730 basic vocabularies sele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should be learned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But some of them are also selected as new vocabularies in High School Textbooks. Though their number is 50, they should be omitted in High School Textbooks when new vocabularies are counted. Third, compared with Palmer's 3,000 Vocabulary List, which is one of the most authoritative vocabulary lists so far known, the current Hish School Textbooks omitted 421 vocabularies from Palmer's 3,000 Vocabulary List, and these 421 are surely of high frequency even at this time and must be included in High School Textbooks. Forth, the vocabularies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requency, Availability, Range, Coverage, and Learnability. In conclusion, since most of the current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have less vocabularies than 3,000 given as the standar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select and present 3,000 vocabularies to be learned at high schools just as 730 basic vocabularies are given for middle schools. It is suggested that the 6,673 words in the current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should be referred to, when the 3,000 vocabularies for the high school English course are to be selected or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to be reformed in the future.

      • 금융권 외국인 실무자를 위한 한국어 금융어 전문어휘 연구 : 금융투자업을 중심으로

        이정은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financial vocabulary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for Korean learners among foreign workers in the domestic financial sector. Chapter 1 discusses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in the financial sector and suggests that foreign workers in the financial sector should be recognized as new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n Chapter 2, through the demand survey of foreign workers in the financial sector, what kind of jobs they are mainly positioned in and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in the performance of those job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is, a primitive corpus was constructed, and vocabulary was extracted in order of frequency through an intelligent morpheme analyzer. The extracted vocabulary was again scored for work closeness and importance through expert advice from domestic financial sector workers. Theref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a morpheme analyzer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concurrently with the advice of a group of experts in the financial sector. Through this, 500 words of practical financial vocabulary for education were selected. Most of the selected vocabularies appeared as verbs, and about 40% of them appeared as specialized words that were used only in financial practice or had a meaning different from the general meaning. In Chapters 3 and 4, based on the financial vocabulary selected in Chapter 2, the vocabulary was analyzed from the morph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 semantic point of view, respective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ncial vocabulary were searched for. The arrangement and presentation of vocabular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is an important issue in vocabulary education. Foreign workers are those who already have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ir job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stitutional and emotional aspects of each country's financial market, and there are many parts that are tolerant or have different meanings only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so it is often an obstacle to job performance. In many cases, it is mainly caused by incorrect interpretation from the vocabulary unit, so it can be said that education of vocabulary in financial practice is even more important. If more sophisticated studies are continue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hem expand their vocabulary and further help them perform their jobs efficiently.

      • 초등 영어교과서 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김희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70

        To effectively study English students need to practice and repeat basic words in vast vocabulary.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basic words for beginner. For this reason I examined the relevancy of the basic word lists of the 3rd and 4th grade English textbooks with emphasis on spoken English for listening and speaking rather than written English for reading or writing. This was don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word lists of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published by native countries and the basic word lists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is thesis achieves the results which are as follows. 1. Each textbook shows a high degree of observing the vocabulary control mad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the rate of 91.5%~100%. The words used in the textbooks not included in the word lists mad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relevant because these words appeared at least twice in the four native textbooks in this study. 2. The high frequency of words used in the korean English textbooks is the high frequency of words used in native textbooks. This suggests that the selection of word lists used in the textbooks for beginner is relevant. 3. The topics or themes used in the textbooks are related to children's everyday experiences or interests. 4. The words used in the textbooks are generally classified as nouns, adjectives and verbs. Nouns used in the textbook are words of school life, food, clothing, habitation, place, body, hobbies, names of people in actual life. Adjectives used in the textbook are words of shape and color of things, feeling or emotion. Verbs used in the textbook are words which are regularly used to describe actions or behaviors in actual life.

      • 高等學校 中國語 敎科書 語彙 選定에 대한 考察 : 第 7次 敎育課程을 中心으로

        金淑香 순천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69

        本文以高中中國語文敎科서的第I·II卷,卽被敎育部采擇的四충敎科서的第I·II卷,共計八冊위硏究對象,着重硏究詞彙。 本硏究如何進行: 第一章위序論。 在此章說明硏究的目的·范圍和方法。 第二章위理論的背景。 通과學者문견解,可以知道外語學습中,詞회선定的必要性及其표准。 說明本硏究的표准,卽敎學基本詞彙和<<한語水平詞彙여한字等級大綱>>的詞彙。 比교<<한語水平詞彙여한字等級大綱>>的詞彙和敎學基本語彙。 第三章的詞회선定中,經과對詞회量的調査,對各충敎科서羅列的詞회종量的側面進行比교,然后再看敎科서中反映出多少第七次敎學基本詞회。 比교<<한語水平詞彙여한字等級大綱>>的詞彙和敎科서的詞회。 第四章위本硏究的結論。 硏究結論如下: 1。 高中中國語文敎科서선擇詞회的표准大致如下。 第一,以常用詞회위主。 第二,以具有교强的構詞能力的詞회위主。 第三,응여學습者語文水平발展的各계段相适응。 第四,응具有敎育性,要附合시代要求。 2。 把第七次敎學基本語彙여<<한語水平詞彙여한字等級大綱>>的詞彙相比교,大部分的詞회是被收錄在<<한語水平詞彙여한字等級大綱>>甲級·乙級的詞彙, 不被收錄的詞회只有12介,比率是1.46%。 3。 종四충敎科서的I·II卷총詞彙量來看,A敎材收록了889介單詞,B敎材收錄了805介單詞,C敎材收錄了933介單詞,D敎材收錄了828介單詞。 但是在課文中要求重点學습的詞회,A敎材中有665介,B敎材中有661介,C敎材中有512介,D敎材中有817介。 在第I·II敎材中,D敎材的총詞회量里,課文里的詞회量所占比重위97.69%·100%,比率最高。 重点精독課文以外的口語련습部分·單元整理以及련습문題部分也有相당數量的詞회出현,급學습者造成부단。 如果장其平均地吸收到每篇課文里,我인위可以感경學습者的부단。 4。 在各敎材中,A敎材是第七次敎學基本語彙出현最多的。 타占총詞회量的70.19%。 D敎材是第七次敎學基本語彙出현最少的。 타占총詞회量的65.82%。 5。 위了比교敎科서詞彙선定的恰당性如何,通과對<<한語水平詞彙여한字等級大綱>>的詞회作比교分析,結果是:第I卷敎材中,B敎材中的詞彙被收록在<<한語水平詞彙여한字等級大綱>>甲級的比率是79.6%,排位最高。第II卷敎材中,B敎材中的詞彙被收록在<<한語水平詞彙여한字等級大綱>>甲級和乙級的比率是86.54%,排位最高。 由于敎科서조成因素파多,本論文근就其詞회部分略作硏究,而未涉及其他方面。 因此,受此局限不能對敎科서作系統,綜合地分析。 今后我환准비對詞회出현頻率調査硏究。

      • 중국어 작문시 발생하는 어휘선정상의 오류 연구 : 한, 중 동형한자어를 중심으로

        김신애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21

        在我們現在使用的漢字詞彙中, 韓文和中文都有的同形漢字詞彙占有相當高的比例. 這對我們學習中文旣是一個有利條件, 同時也是生産錯誤的直接原因. 本文從《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中8822個詞彙中, 挑選出單音節和雙音節的漢文·中文共有的同形漢字詞彙2800多個, 從中再篩選出易發生錯誤的詞彙, 幷把它們歸納成 “由於詞彙屬性的原因發生的錯誤” 和 “由於詞義的原因發生的錯誤”, “由於其他原因發生的錯誤” 三類, 幷分別擧例分析之, 目的在於能更正確地用中文進行構思. 各章的內容簡要說明如下. 第一, 由於詞彙屬性的原因發生的錯誤. (1) 在韓語中作名詞使用 : “姓” 這個詞, 在韓語中作名詞, 在漢語中作動詞. 在漢文中被當作動詞. 所以把 “그의 성은 왕씨가 아니고 장씨다” 就不能飜譯成 “他的姓是張, 不是王”, 而應該說 “他姓張, 不姓王”. (2) 在韓語中作形容詞使用 : “適合” 一詞在韓語中作形容詞, 在漢語中作動詞. 在漢文中它后面不能接賓語, 但再中文裏却可以接. 因此, “이 운동은 나에게 적합하다” 不能說成 “這個運動對我不適合“. 而應說 ”這個運動不適合我“ 才更貼切. (3) 在韓語中作名詞和動詞使用 : “固執” 一詞在韓語中作名詞和動詞, 在漢語中是作形容詞來用. 在韓語中 “固執” 一詞可以和 “있다” 及 “세다” 連結使用, 但在漢語中不能. 因此 “이 사람은 고집이 세다” 譯爲 “他這個人固執很强” 就不對, 應譯爲 “他這個人很固執”. (4) 在韓語中作名詞和形容使用 : “悲憤” 一詞在韓語中作名詞·動詞形容詞來使用. 而漢語中是用作名詞和動詞. 因此把 “그의 말은 매우 의심스럽다” 譯成 “他的話十分疑心” 就不對, 應該用漢語中有 “의심스럽다” 的意思的形容詞 “詞疑”, 譯爲 “他的話十分可疑” 才對. (5) 在韓語中作名詞及動詞·形容詞使用 : 韓語中的 “疑心” 可以被當作名詞·動詞形容詞來使用. 而漢語中是用作名詞和動詞. 因此把 “그의 말은 매우 의심스럽다” 譯成 “他的話十分疑心” 就不對, 應該用漢語中有 “의심스럽다” 的意思的形容詞 “可疑”, 譯爲 “他的話十分可疑” 才對. (6) 在韓語中作形容詞和動詞使用 : “乾燥” 一詞在韓語中用作形容詞和動詞, 在漢語中用作形容詞. 所以不能把 “미역을 건조시키다” 譯成 “把海帶乾燥了”, 應該用 “弄乾” 代替 “乾燥”, 譯成 “把海帶弄乾了”. 第二, 由於詞義的原因發生的錯誤. 在這裏, 我把它又大致分爲詞義部分相同和詞義完全不同兩類. 例第(1)(4)項, 是詞義部分相同, 例第(2)(3)項, 是詞義完全不同. (1) 在韓語中作名詞使用 : 韓語的 “詩節” 一詞, 具有 “①季節 ②時候 ③把人的一生劃分幾個時期的其中一個時期”. 在漢語中, 只含有韓語中第①②項意思. 所以不能把 “어린 시절의 생활을 잊을 수 없다” 譯成 “忘不了幼年詩節的生活”, 應該用漢語中有韓語 “詩節” 的意思的 “時代”, 說成 “忘不了幼年時代的生活”. (2) 在韓語中作動詞使用 : 韓語的 “就職” 一詞, 是 “獲得職業” 的意思. 在漢語裏是 “正式就任”的意思. 因此不能把 “그의 인쇄 공장에 취직했다” 說成 “他在印刷廠就了職”. 要用漢語裏具有 “취직하다·취업하다” 的意思的詞彙 “就業”, 譯成 “他在印刷廠就業”. (3) 在韓語中作形容詞使用 : 韓語中的 “小心” 一詞有 “①非常注意 ②度量窄 ③膽小膽怯” 的意思. 但在漢語中說 “小心”, 完全與韓語的意思不同. 所以不能把 “그녀는 다 좋은데 어떤 때는 너무 소심하다” 譯成 “她什麽都好, 就是有時太小心”.這里應該用漢語中具有韓語②的意思的詞 “小心眼兒”, 譯成 “她什麽都好, 就是有時太小心眼兒”. 如表達與韓語③相似的思想, 應該用 “膽子小” 一詞. (4) 在韓語中作副詞使用 : 韓語中的 “大槪” 一詞, 具有 “①大致事由 ②差不多的程度”.但在漢語中却有 “①大致的內容或情況 ②大致·大體上的 ③推測可能·大致·大約”. 不能把 “사람들은 대개 이 일을 알고 있다” 說成 “人們大槪知道這件事”. 在此, “大槪”的意思是韓語中第②例內容. 所以應該用漢語中具有這個意思的 “大部分”這一詞彙, 譯爲 “人們大部分知道這件事”. 第三, 由於其他原因發生的錯誤. (1) 對是否可以連帶出賓語而發生的錯誤 : 在漢語中 “反復” 一詞是用作動詞. 但不可能帶着賓語, 所以不能把 “나는 다시는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說成 “我再也不反復過去的錯誤了”. 應該用具有 “다시 범하다”, “다시 저지르다” 的意思的漢語詞彙 “重犯”, 譯爲 “我再也不重犯過去的錯誤了”. (2) 重疊使用中出現的錯誤 : 在漢語中 “散步” 一詞重疊使用時, 不能使用 “散步散步” 或者 “散散步步”. 只能是動詞 “散” 字重疊. 所以不能把 “우리는 천안문 광장에 산보하러 갔다” 說成 “我們去天安門廣場散了散步”. (3) 句子成分使用不同而發生的錯誤 : “永遠” 一詞不能當作謂語使用, 所以不能把 “다행히 두 번째 남편은 사람됨이 괜찮아 그녀는 위안을 얻었지만 이러한 행복이 영원한 것은 아니다” 譯成 “辛虧第二個丈夫爲人很好, 他才得到了安慰, 可是這種幸福不是永遠的”. 應該用 “永久” 一詞替代 “永遠”, 譯爲 “幸虧第二個丈夫爲人拫好, 他才得到了安慰, 可是這種幸福不是永久的” (4) 由於襃貶而發生的錯誤 : 在韓語中 “結果” 一詞是不能用再由於人爲的原因生産的壞結果方面. 所以不能把 “이 일을 만약 제때에 처리하지 않으면 일체의 결과를 네가 책임져야 한다” 說成 “這件事如果不及時處理, 一切結果由伱負責”. 應該用 “後果” 一詞替代 “結果”, 譯爲 “這條事如果不及時處理, 一切後果由伱負責” (5) 其他原因發生的誤差 : 在韓語壞, “健康” 一詞不能與 “好”, “壞”, “垮” 等形 容詞連接使用. 所以不能把 “몇년이 지나서 그들의 건강은 나빠졌다” 說成 “過了幾年, 他們的健康全垮了”. 應該用具有 “健康” 意思的 “身體” 一詞, 譯爲 “過了幾年, 他們的身體全垮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