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이 상담자의 다문화 역량과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수행경험에 관한 연구

        장영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다문화상담자 역량 및 상담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효과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상담자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상담자의 다문화역량 변화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상담자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상담자의 상담자 효능감 변화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은 상담자의 인식과 수행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상담자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상담자의 다문화역량 변화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검증한다. 둘째,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상담자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상담자의 상담자 효능감 변화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액션러닝을 활용한 상담자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자의 인식과 수행경험을 탐색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탐색했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다문화상담자 7명을 실험집단으로, 7명을 통제 집단으로 표집하여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으로 모집된 다문화상담자 7명에게 10회기로 구성된 본 연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다문화상담자 역량 검사(California Brief Multicultural Competence Scale: CBMCS)와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 검사(Multicultural Counseling Self-Efficacy Scale-Racial Diversity Form: MCSE-RD)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 과정 중에 작성한 활동지 및 성찰지와 프로그램 마지막 회기에 실시한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자료를 이용하여 질적인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수행경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다문화상담자 역량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 다문화상담자 역량 점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으로 본 연구 프로그램이 다문화상담자 역량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집단은 다문화상담자 역량 하위 영역인 내담자에 대한 민감성, 다문화적 지식, 문화적 장벽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고, 반편견적 능력 영역에서는 7명 중 4명의 점수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통제집단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특별히 반편견적 능력 영역에서 7명 중 5명의 점수가 감소했다. 이것으로 보아 반편견적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본 프로그램 보다 더 오랜 시간의 교육이 필요하며, 보다 지속적인 연습과 훈련이 필요한 영역이라 판단된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 점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의 유의한 증가에 본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집단은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 하위 영역인 다문화적 개입 영역, 다문화적 평가, 다문화적 상담 회기능력, 즉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고, 통제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문화적 개입 영역에서 6명, 다문화적 평가 영역에서 5명, 다문화적 상담 회기 능력에서는 2명의 점수가 감소했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자들의 인식과 수행 경험을 탐색한 결과, 다문화상담자들의 액션러닝을 통한 다문화상담 이해 내용, 그리고 액션러닝 수행과정과 효과에 대한 양상을 살펴 볼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자들이 액션러닝 활동 과정을 통해 다문화상담을 이해해 나가는 모양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 액션러닝 활동을 통해 다문화상담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먼저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을 시작으로, 지식적인 내용 습득을 넘어 상담자 자신의 생각과 삶을 연결하여 인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상담자들은 다문화상담에 대한 이해와 다문화상담자에 대한 이해를 인식함으로 다문화상담의 개념을 정리하고 상담 과정과 상담 방법에 대해 점검하며 상담자로서의 자기탐색으로 나아갔다. 마지막으로 상담자들은 액션러닝 과정을 통해 다문화상담의 실제적인 문제와 필요를 인식하였고 문제를 명료화하여 현재 상황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들은 제도적인 문제와 다문화상담자의 어려움 그리고 다문화상담자 교육 현실에 대한 내용을 논하였다. 또한 교육에 참여한 다문화상담자들이 액션러닝 활동을 통해 수행으로 옮기는 과정 첫째는, 프로그램 과제에 적응해 나가는 것이 시작이었다. 과제의 내용은 연구자가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액션러닝 활동을 통해 개인적으로나 팀 모두에게 적용되는 과제를 직접 정하는 방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초기에 교육 참여 상담자들은 과제 수행에 대해 큰 부담감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교육 방식과 다르게 실천적인 지혜를 요구하는 액션러닝 교육 방법에 대한 적응이 필요했던 것으로 예상된다. 구성원 각자 개인적으로 적응하는 시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자들은 회기를 거듭하면서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과제를 찾고 이를 수행해 나가며 점차적으로 적극적인 과제 수행의 자세로 적응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과제 수행의 연습을 통해 프로그램에 적응한 상담자들은 액션러닝 교육의 핵심인 실제적 적용으로 나아가는데 있어서 개인적 적용, 상담 및 교육 현장에 적용, 삶에 적용으로 실천의 영역을 넓혀나갔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자들이 액션러닝 학습 과정에서 경험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실제 과제를 찾고 수행으로 옮기며 성찰과 적용을 반복하는 액션러닝 수행 과정을 통해서 개인적 변화,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의 변화, 관계와 주변의 변화를 경험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넷째, 상담자들이 경험한 액션러닝 효과는 공유의 기회, 사고의 확장, 적극적 학습, 자기 성찰의 기회이며 본 프로그램을 마치며 상담자들은 다른 센터나 기관에 본 프로그램이 실시되어 이와 같은 액션러닝 교육 효과가 이어지기를 바랐다. 이는 일회적인 상담자 교육이 아니라 상담자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상담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는 의견이다. 또한 서로 다른 의견과 가치관으로 혼란과 갈등을 겪는 다문화상담 종사자들 간의 논의와 소통이 이뤄질 수 있는 장이 마련 될 필요성과 다문화상담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모임, 혹은 함께 일하고 있는 동료상담자들과의 지지적인 장을 통하여 액션러닝을 활용하여 문제를 공유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설정을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교류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하였다. 본 연구는 액션러닝을 활용한 다문화상담자 교육이 다문화상담자 역량과 자기 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입증한 것에 대해 의미가 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상담자들의 인식과 수행 및 프로그램 효과와 제언이 경험적으로 도출 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다문화상담자들이 액션러닝 과정을 통해 경험한 인식과 수행을 통해 얻은 실천적 지식 습득으로 인한 다문화상담자 역량 강화와 자기 효능감 증진은 다문화상담자로서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상담 현장에서 발휘하는데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며 상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상담자교육에 액션러닝 적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계기가 되고, 다문화상담자 교육 현장에 일회적인 교육보다 장기적으로 실천 될 수 있도록 도입되는데 기초적인 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arry out a multicultural advisor education program using Action Learing (AL) to verify the impact on the competence and effectiveness of the counselors, an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required to discover the effect of the education program.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lteration of multicultural compet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advisor education program using Action Learning and the controlled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lteration of the advisor's effective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advisor education program using Action Learning and the controlled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Third, what impact does multicultural advisor education program using Action Learning have on the advisor's cognition and performing experience? Specific studies are provided below. First,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 to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unselo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of multicultural counselors using Action Learning and the degree to which the multicultural capability has changed in the control group counselors not participating. Second,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 to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unselo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of multicultural counselors using Action Learning and the chang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 for control group counselors not participating. And Lastly,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exploring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experience of the consultants involved in the training programs for counselors using Action Learning. Seven multicultural consultants were listed as controlled in a group of seve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both groups conducted pre and post progress inspections. Seven multicultural consultants who were recruited b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pplied to this 10-term research program, and then tested in advance and after the program was tested using the multi-culture advisor's competency test (California Brief Multicultural Competence Scale: CBMCS) and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he results (Multicultural Counseling Self-Efficacy Scale-Racial Diversity Form: MCSE-RD). Through qualitative analyses,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using the activity sites created during the program's progres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data from the program's last ses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cores of the multicultural consultants over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ability score for multicultural consultants in a controlled group has decreased, meaning that the program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dvancement of the capabilities of multicultural consulta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areas of perception of the sensitivity, multi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barriers to people who are involved in the multilateralism subspace. In the semi-probability capacity area, the scores of four out of seven students improv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ll areas, especially in the semi-probability capacity area, where scores from five out of seven individuals have decreased. This makes it judged that the area of the program requires longer education than the program does to improve its semi-pressurized capabilities, and that it requires more consistent exercise and training. Second,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ound that the scores of the multiple cultural consultants self-efficiency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decreased with the score of the group's pre and post culture peers. This means that the program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consultants ' self-efficie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areas of multicultural intervention, multicultural evaluation, and multicultural counseling session capabilities, which are all subcategories.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ith six scores falling in the multicultural involvement areas, five in the multicultural evaluation areas, and two in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session abilities. Third, as we explore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erformance by the consultants involved in the program, we looked at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counseling through the action learning of the multicultural consultants, and also at the aspects of the action learning process and effects. The way in which the consult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understood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through the action learning activities process was as follows. First, I started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culture in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through the action learning activities, and then recognized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the ideas and life of the counselor over the acquisition of intellectual content. Second, the multicultural consult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rganized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examined the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methods by recognizing understanding multicultural counseling. Lastly, the action learning process allowed the consultants to recognize the practical issues and need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to clarify the problems to find ways to implement them in the current situation. They discussed systematic issues, the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counselors, and the realities of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counselors. The first step in the process for multicultural counselors participating in education to move to performance through action learning activities was to adapt to program tasks. Although the content of the task was not a static one, but a direct assignment to both individuals and teams through action learning activities, training consultants expressed a great burden early on the program. It is expected to require adaptation to the action learning method, which requires practical wisdom,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education. Although each member had different times to adjust individually, the consultants who took part in the training programs gradually looked for and performed the tasks they could perform during the session. Second, through the exercise of task performance, the consultants who adapted to the program expanded the field of practice to include personal applications, counseling and application to educational sites, and applying to life as a core of action learning education. Third, through the program's interactive curriculum, the consultants were able to find real tasks, move them to performance, and repeat the process of reflection and application changes through the changes in perception they experienced during the action learning process. Fourth, the action learning effects experienced by the consultants are opportunities for sharing, extension of events, and opportunities for active learning and introspection, and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counselors conducted the same training program with other centers and agencies. This reflects the demand for continued consultant training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the consultant rather than first class guidance. Also, it is necessary to create a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mong multicultural counseling workers who experience confusion and conflicts with each other through different opinions and valu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monstrating that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ounselors based on action learning has been effective in promoting multicultural capacity and self-efficiency, and has participated in programs to derive cultural benefits from the program.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multicultural consultants based on their perception and practical knowledge gained from the action learning process, and promoting self-efficiency are key drivers of counseling services. Therefore, it is used as an opportunity to actively review the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to the guidance of the consultants and to introduce a basic study into the educational site of the multicultural consultants to be implemented in the longer term rather than in the formal education.

      • 액션러닝 코치 양성 사례연구 : 아주그룹 사례를 중심으로

        김주연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내 액션러닝을 시행하고 있는 기업 다수가 질문과 성찰을 거의 실시하지 않거나, 문제해결기법이나 아이디어 창출기법을 액션러닝으로 인식하는 등 액션러닝이 추구하는 철학, 취지가 무색한 액션러닝을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액션러닝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중요 요인으로 러닝코치에 관한 효과적인 양성과정을 설계, 개발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질문과 성찰이 강조된 액션러닝, 2-3개월에 걸쳐 장기간 Part-time으로 양성과정을 운영, 매 Set meeting마다 일정 시간을 할애하여 액션러닝 이론학습을 꾸준히 하는 것, 교육 참가자에게 부여되는 과제를 소속 회사에 적합한 액션러닝 운영방안을 설계하도록 하는 것이 액션러닝 및 러닝코치에 관한 이해를 하는데 보다 유효하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L=P+Q+R+I라는 액션러닝의 구조와 본 연구의 대상기업인 아주그룹의 러닝코치 양성과정의 사례를 토대로 교육 참가자에 대한 관찰과 과정종료 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Part-time 방식이 액션러닝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질문과, 성찰, 실행의 중요성 이해, 러닝코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참가자의 변화와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매 Set meeting마다 이론학습을 병행하는 것이 액션러닝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러닝코치 양성과정의 과제로 소속 회사에 적합한 액션러닝 운영방안을 설계하는 것을 수행하는 것이 액션러닝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교육 참가자 다수는 현업의 적응적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st of companies which is trying to do Internal Action Learning doesn't try to do Philosophy and Purpose of Action Learning such as doing without Question and Reflection, recognizing Problem Solving Tool or Process of creating as Action Learning. This Study is processed with design and developing of effective Training Program for Learning Coach that is main point of in-depth understanding and successful processing Action Learning. We made case of hypothesis for progressing this study that Training Program emphasized Question and Reflection, 3 month long term Part-time training, Pasting specific time for every set meeting to do theory action learning, Making people to instruct Action Learning managing method of company in by problem are mor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Action Learning, and Learning Coach. For verification of hypothesis, this study tried to do theory and practice study, and tried to observe people and had and interview with people based structure of Action Learning as L=P+Q+R+I and Case of Training Program for Learning Coach in AJU Group. Conclusion of this study with observation and interview is that long term Part-time training is positive about understanding Action Learning, Importance of Question, Reflection, Implementation. And pasting specific time for every set meeting to do theory action learning is more effective. Lastly making people to instruct Action Learning managing method of company in by problem is mor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Action Learning, but people prefer to do adaptive problem.

      • 액션러닝 기법을 적용한 협력쓰기 수업이 초등영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김예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언어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사회 곳곳에서 더 요구됨에 따라 글쓰기와 같은 표현 능력이 더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영어 교과서의 활동이 자유 작문에 비하여 통제 작문의 단계에 치우쳐 있는 경우가 많으며 쓰기 수행 방식 역시 개별 쓰기 활동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이 학습하거나 습득한 영어 어휘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자유 작문 활동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초등 현장에서 작문 학습에 소그룹 협동 글쓰기를 적용한 시도를 적지 않게 찾아 볼 수 있으나 쓰기 전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의견 수렴 및 합의 과정에서 교사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진 연구는 드물었다. 교사의 적절한 협력 전략 선택은 쓰기 전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성 및 효과적인 의견 수렴을 돕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기법이 초등영어 협력쓰기활동에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액션러닝은 ‘수업에서 공동의 실질적 과제 해결을 위해 러닝 코치(교사)에게 안내받은 전략을 활용하여 과제를 해결하거나,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자들과 상호작용하며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액션러닝의 기저 이론이 글쓰기의 과정에서의 학습 효과에 초점을 맞춘 과정중심글쓰기 이론과도 연관성이 있음에 착안하여 과정중심 글쓰기에 액션러닝 협력 기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수업이 학습자들의 쓰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의적인 영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대상은 연구자가 재직 중인 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들로, 총 12차시의 수업에서 진행한 4가지의 활동 결과물을 분석하여 실험학급과 비교학급의 유창성의 정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쓰기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세부적인 내용을 주관식 설문을 통해 질문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한 협력쓰기 활동은 일반 과정중심 글쓰기 활동에 비해 쓰기 유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창성은 학습자가 산출해 낸 쓰기 결과물의 총 단어 수, 평균문장길이, 총 문장 수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타 협력쓰기 연구와 다르게 교사가 학습자의 의견 조율을 위하여 전략적으로 선택한 협력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에 따라 학습자들은 불필요한 갈등 상황을 줄이고 효율적인 협력 활동을 거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해내고 쓸 내용을 확장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가 산출물에 반영되었다. 둘째,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한 협력쓰기 활동은 영어 쓰기에 대한 자신감, 흥미도, 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 번 작성한 글을 다시 한 번 고쳐 쓰면서 학습자는 작문 상황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감을 가지고 문장을 완성한다. 셋째, 추가적으로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한 협력쓰기 활동은 협력하는 교실 문화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글을 쓰기 위하여 교사가 글의 목표만을 제공한 상황에서 글의 주제와 내용을 모둠원과 함께 의논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고, 함께 돌려 읽으면서 피드백을 주고받았다. 이렇게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주고받으며 함께 성장하는 교실 문화는 인성 중심 교육을 추구하는 현재의 교육 양상에 알맞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의 자유 작문 정확도, 성숙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작문 정확도의 경우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부담감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정의적 부담감을 낮춤과 동시에 정확도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시킬 수 있는 영어 작문 수업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상위 학습자가 협력학습에서 정의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활동 구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하위 학습자와 중위 학습자의 경우 협력학습에서 상위 학습자의 도움을 많이 받기 때문에 활동의 만족도가 큰 반면, 상위 학습자의 경우 학습 만족도가 부족한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 격차를 고려하여 상위 학습자의 성취도 향상 및 학습 만족도를 점검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과정중심 협력쓰기 활동이 하나의 수업 모형으로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서울시교육청에서 제안한 다양한 협력 기법을 활용하여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과정중심 글쓰기 수업 활동에 알맞은 하나의 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현장 연구자들의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 액션러닝을 활용한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성과와 성공촉진요인 : ODA 초청연수 미얀마 사례 중심으로

        심성희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성과관리가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액션러닝 방식이 적용된 국제개발협력 분야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해 보고 이러한 방식이 정착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성공촉진요인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또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원국의 요구와 상황에 맞는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액션러닝 모델을 설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무상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된 한국국제협력단의 농촌개발분야 역량강화전략 한국초청연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의 방법인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문제는 첫째, 액션러닝을 적용한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성과는 무엇인가, 둘째, 액션러닝을 적용한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성공촉진요인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교육생선발 및 교수설계, 사전과제, 한국초청연수 시행, 평가 및 사후관리, 현업적용도 및 효과성 평가, 그리고 결과 정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액션러닝에 참여한 미얀마 공무원 4명을 대상으로 성찰노트 작성 및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연구 결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액션러닝을 ‘실제 직면한 문제를 분석하여 실현가능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성찰하고 학습하는 개인 및 조직 역량개발의 참여적 교육 방법’으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액션러닝을 적용한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생들은 문제분석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인식하고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학습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학습을 통해 자신감 향상, 자기성찰, 인식의 변화 등 긍정적 태도변화를 보여주었다. 셋째, 학습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학습한 내용을 현업에 적용하는 지식확산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액션러닝을 적용한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성공촉진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적 과제의 제공이었다. 실제적 과제의 제공은 자신들이 처한 상황과 그에 대한 문제를 고민해 보도록 유도하고 실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요인이다. 둘째, 액션러닝 적용을 통한 모델링은 교육생들의 만족도와 학습 성과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 과정에서의 상호작용은 서로 소통하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학습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넷째, 학습전이는 교육의 효과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성공촉진요인을 적용하여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할 때 참고할만한 각 요인별 중요 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 국제개발협력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와 성공촉진요인을 도출하고 액션러닝 모델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교육의 효과성과 현업 적용성에 대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효과를 입증했다는데 독창성과 차별성을 갖는다. 실무자들이 국제개발협력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제 운영할 때 본 연구가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아이디어를 얻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cent concern on effectivenes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raining program for developing countri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utcomes of ODA training program applying action learning, and to derive facilitating factors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action learning. In addition, as a method for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provision of training program,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suggestions for practical work through re-designing action learning model of ODA training program.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capacity-building strategy in rural development invitational training program of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as a part of grant ODA. The procedure of the study as follows: training program design and selection of trainees; preliminary assignment; implementation of invitational training to Korea; evaluation on post-management; and evaluation on practical application to job and effectiveness, and results summary. The main results of outcomes of ODA training program using action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ly, the trainee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blem analysis, and improved their problem-solving capacity through study on its process. Secondly, they improved self-confidence, self-reflection, mindset change, and positive change on attitude, Thirdly, they showed knowledge dissemination performance through sharing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applying trained contents to their jobs. The study’s main results on success factors of ODA training program using action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ly, authentic task induces trainees to deliberate on situations and problems, and effects on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during real problem-solving. Secondly, A modeling applying action learning positively effects on proving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learning. Thirdly,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feedback, interaction on learning process increases effectiveness of learning. fourthly, learning transfer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effect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training.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erms of model proposal of action learning by deriving success factors and re-defining the model of ODA training program for trainees from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is unique and different by proving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 to job of training in mid-and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reference to acquire idea and minimize trial and error to design and implement ODA training program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액션러닝 방식 대학 수업의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김미옥 전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Action learning is the procedure of taking thinking and action into synchronization. Learning is a continuous progression and is best gained with an open, analytical mind, capability to listen, question and discover ideas. Nevertheless, the vast majority of study of action learning is mainly focused on identifying the key factors of action learning type for the organization. In this vein, many scholars in the field of action-learning have put the question what are the key factors for university cas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success factors of action learning type for University Case by taking a case stud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the phenomenon and contextual elements of the action learning typ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it is employed in University Cas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sults of the explored data are related to the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CIPP) assessment model decision type if both the decision-centered CIPP evaluation model and the program of action learning type teaching-learning method are used as one framework.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e key success factors of this framework would be useful for academics who want to utilize and renew the action leaning type teaching-leaning method for the sake of their teaching approaches. To carry out of this study, first, in-depth interviews with sixteen participants were conducted. Interviews were coded and categorized to identify and analyze features of participants’ perception in terms of the key success factors of action learning. The categorized success factors were converted into the survey. Followed this, an electronic survey was sent to sixteen participa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phase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by utiliz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regarding the frequency of the key success factors mentio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for the key success factors of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CIPP model in ranked from 1 to 5 in terms of a high importance average value. The identified key success factors of CIPP evaluation model such as the size of the students, providing guidance for the selection of the task, promoting compliance with ground rules, etc... are individually discussed. More details can be found in Chapter 3.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which is designed to be constantly recirculated in relation to the decision-based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ors and instructors who study teaching-learning method in terms of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implicat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That is, this study not only neglects the various aspects of implementation of action-leaning college classes but also does not specify whether they are the whole project of action-oriented college class or the partial project type of action-oriented college class. Even though this study shed new light on the key success factors of action-learning for University Cas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key success factors in different contextual University Cases.

      • 액션러닝 가창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오연경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액션러닝 가창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액션러닝과 음악적 표현 능력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가창활동을 분석하여 액션러닝을 적용한 가창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파주시 소재 G초등학교 4학년 1개반 25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 20일부터 2014년 12월 23일까지 총 16차시의 액션러닝 가창 프로그램을 음악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액션러닝 가창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 동영상, 교사 일지, 학생 포트폴리오, 학생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 방법으로 음악적 표현능력과 문제해결력을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액션러닝 가창 프로그램이 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가창 능력적인 면에서 리듬과 음정을 정확하게 부르고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발전되었으며, 자신감이 생기면서 가창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소극적으로 참여하던 학생들이 중창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 협동하며 음악적으로 조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액션러닝 가창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력을 증진시켰다. 학생들끼리 과제를 정하고, 과제의 순서 및 해결을 하면서 점차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고, 스스로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집중력도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액션러닝 가창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소통 능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몇몇의 학생들이 주도하면서 모둠을 이끌어가는 모습에서 점차 서로 소통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음악적 과제를 함께 해결하게 되었다. 또한 모둠에서 각자의 역할이 주어짐에 따라 소극적인 학생들의 모습이 보다 적극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었으며 모둠 활동에서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소통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액션러닝 가창 프로그램은 음악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 학생들이 음악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노래 부르는 활동을 점차 좋아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 액션러닝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최희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액션러닝은 학습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러닝 코치(Learning Coach)와 함께 개개인의 과제뿐만 아니라 팀 전체가 공통의 과제를 정해진 시점까지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질문과 성찰을 통하여 과제의 내용 측면 뿐만 아니라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 자체의 학습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액션러닝 기법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학습의 주인이 되어 경청과 소통의 방법을 익히고, 배려와 경청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을 통해 과제를 해결해가는 활동을 수업 안에 구성함으로써 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이 신장되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는 호기심을 출발점으로 시작되었다. 액션러닝 협력학습 실천하기 위하여 교내 액션러닝을 위한 여건을 조성한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습관을 기르는데 매우 효과가 있었으며 적극적인 학교생활을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더불어 학생들의 액션러닝 학습결과 전시회를 통해 학생과 러닝 코치(교사)는 다양한 액션러닝 수업기법을 공유하고 협력학습을 전개할 수 있었다. 액션러닝 협력학습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교과별 핵심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액션러닝 관련 요소를 추출하고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액션러닝의 주제를 선정한 후, 액션러닝 수업 프로젝트를 펼쳤다. 팀 빌딩(모둠 세우기)을 통해 학생들은 과제를 함께 탐구하고 해결함으로써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학생 중심의 수업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액션러닝 수업은 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신장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교과별, 학년별 특성에 맞게 액션러닝 기법을 재구성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액션러닝 협력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우선 러닝코치(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과 활용자료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인재 상을 길러내는 데 액션러닝이 하나의 열쇠가 되리라 기대해본다.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설계 및 운영 평가

        김윤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한 후 실제 교육현장에서 집단역동성에 따른 수업의 효과를 양적 및 질적 자료를 통합하여 검증함으로써 액션러닝 기반 수업운영의 도입 근거 및 추후 운영계획을 모색하기 위한 실행연구이다.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일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 133명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7~8명으로 구성된 18개 학습팀에 배정되어 총 13주 동안 3개 분반으로 나누어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Sagor(2004)가 제시한 실행연구과정에 따라 1단계 비전 명료화, 2단계 이론통합, 3단계 실행 및 자료수집, 4단계 성찰 및 수정행동계획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 중 양적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으며, 질적 자료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 운영 효과를 위한 가설검증은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간호전문직관은 입학시보다 더 향상될 것이다’는 집단역동성이 낮은 군과 높은 군 모두 입학시보다 더 향상되어 지지되었다(paired t=10.91, p<.001, paired t=14.79, p<.001). 2. 제 2가설인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을 받은 후 집단역동성이 높은 군은 집단역동성이 낮은 군에 비해 간호전문직관이 더 향상될 것이다’는 간호집단역동성이 높은 집단은 4.26점, 낮은 집단은 4.04점으로 두 집단 간의 간호전문직관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t=3.14, p=.002). 3. 제 3가설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은 입학시보다 더 향상될 것이다’는 집단역동성이 낮은 군의 의사소통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며(paired t=-0.31, p=.756), 집단역동성이 높은 군은 유의한 향상을 보여(paired t=3.94, p<.001)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4. 제 4가설인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을 받은 후 집단역동성이 높은 군은 집단역동성이 낮은 군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이 더 향상될 것이다’는 집단역동성이 높은 집단은 3.75점, 낮은 집단은 3.55점으로 두 집단 간의 의사소통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t=3.33, p=.001). 둘째, 질적 자료인 학습자 종합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신입생들은 액션러닝 후 개인차원에서는 ‘자기이해하기’와 ‘미래의 자신의 모습 그리기’, 팀차원에서는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대인관계형성하기’와 ‘구성원으로서의 책무 인식하기’, 학습차원에서는 ‘학습에 대한 관점 변화’를 경험하였다. 셋째,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 운영에 대한 연구자의 성찰 결과, 성공적인 액션러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운영 전략이 제시되었다: 1) 액션러닝 가이드북 개발, 2) 수업차시별 교수자-학습자 역할 구체화, 3) 구조화된 질문 개발, 4) 집단역동성 향상 방안 마련, 5) 숙련된 퍼실리테이터 확보, 6) 임상전문가들의 지원 확보, 7) 동료 교수와의 협력, 8) 대학당국의 지원과 관심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현장의 교수자가 자신이 운영하고 있는 수업과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교수전략으로 액션러닝 기반 수업을 운영하고 그 효과를 실질적인 간호교육현장 맥락에서 평가하고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또한, 액션러닝과 같은 소그룹 협동학습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집단역동성과 퍼실리테이터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분석을 토대로 간호대학 신입생들에게 보다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액션러닝 기반 수업운영의 개선 계획을 도출하여 이를 추후 실행연구로 실행할 것을 제안한다.

      • 유아교육기관에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춘애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하여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유아교육기관에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유아교육기관에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공동체의식 증진에 미치는 적용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프로그램 적용에 따라 기관에서 유아, 부모, 교사 공동체의식 측면에 갖는 의미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공동체의식과 관련한 문헌을 고찰하고 소셜액션러닝 활용 실태 및 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초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고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프로그램의 평가방법을 구안하였다. 이후 내용 및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 교사의 공동체의식에 있어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S어린이집 혼합 연령 반 유아 16명과 부모 23명을 대상으로 자유선택활동에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20주차로 진행되었다. 추가로 2015년 6월22일~8월21일(9주)까지 질적 탐색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후에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공동체의식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공동체의식 분류항목표로 교사가 유아를 관찰한 내용을 평정한 결과를 수치화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IBM SPSS 18 for Window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t 검증(paired t-test)과 일원반복측정(one-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용 공동체의식 분류항목표에 대한 공동체의식 구성요소의 검사에서는 항목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회기별 차이에 있어서는 1회기부터 3회기까지는 자유선택활동 영역에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유아의 공동체의식 관련 변인을 20주 적용하였을 때의 공동체의식 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3회기 측정을 통한 종속 변인 각각에 있어서의 총점과 하위요소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반복측정(one-way repeated ANOVA)방법을 사용하였으며, 3회기 측정치 간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점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Scheffė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3〕에서는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 부모, 교사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면담 자료, 반성적 저널, 기록자료, 캡처자료 등을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을 구성한 결과, 목적은 유아, 부모, 교사가 ‘공동체 생활에서 자발적인 참여로 서로 협력하고 자신과 함께 원만한 사회관계를 맺고 더불어 살아가는 기초를 형성하여 공동체의식을 증진 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은 공동체의식의 5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5개의 구성요소는 친밀감과 소속감, 자발적 참여와 의사표현, 조화와 단결, 일체감과 상호영향의식, 자율성과 공공의식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대한 하위요소로 친밀감과 소속감에는 ‘동일한 구성원이라 느끼며 행동하기’, ‘서로 도우려고 노력하기’, ‘소속감과 일체감 갖기’, ‘반 친구들과 최선 다하기’, 자발적 참여와 의사표현에는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기’, ‘협력하려고 노력하기, ‘집단의 모임에 꼭 참석하기’, 조화와 단결에는 ‘집단의 결정을 존중하고 발전시키기’, ‘집단에 피해주지 않기’, ‘협력․협동하려고 노력하기’,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하는 이유 알기’, 일체감과 상호영향의식에는 ‘집단을 위해 최선을 다하기’, ‘서로 의견 나누기’, ‘활동에 집중하기’, ‘반 친구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은 스스로 고치기’, 마지막으로, 자율성과 공공의식에는 ‘공공기물을 소중히 여김’, ‘주인의식 갖기’, ‘맡은 역할에 책임 다하기’, ‘규칙 잘 지키기’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원리, 교수-학습과정, 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교수-학습의 원리는 다양성과 융통성의 원리, 상호작용 원리, 통합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자기 주도적 원리, 연계성의 원리로 구성하였으며 교수-학습과정의 소셜액션러닝단계는 도입, 전개, 마무리, 사후활동의 4단계로 구성한 후, 다시 하위 7단계로 활동 상황 제시하기 → 문제 이해 및 명료화(의미화 전략) → 가능한 문제해결 도출하기(대안 탐색 전략) → 액션플랜 작성하기(재 의미화 전략)→ 활동적용(공유 활동 전략)→ 결과 전시 및 발표 → 성찰 및 재방문하기로 구성하였다. 평가매체는 스마트 앱, QR코드, 카카오그룹, 밴드, 태블릿PC, Kids note를 사용하였으며, LCD프로젝터, Screen Mirroring은 재방문 시 활용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처치 전후 유아의 공동체의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유아, 교사들의 공동체의식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소별로 각각 살펴보면, 친밀감과 소속감, 자발적 참여 및 의사표현, 조화와 단결, 일체감과 상호영향의식, 자율성과 공공의식측면 모두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소 20개 항목에서도 사후점수가 사전점수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 교사의 공동체의식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의 공동체의식 회기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친밀감과 소속감, 자발적 참여 및 의사표현, 조화와 단결, 일체감과 상호영향의식, 자율성과 공공의식측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공동체의식을 향상시켰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SNS 활용에 있어서 부모, 유아, 교사의 공동체의식 측면에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배려로 이어지는 가족 공동체 형성하기’에서는 유아들의 생활을 관찰할 수 없어서 불안하고 걱정이 많은 상태에서 SNS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갖으면서 편안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은 ‘부모와의 소통의 통로’를 찾으면서 긍정적 변화의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 ‘수업 안에서 갇힌 교사에서 나아가는 것’ 은 불안감 해소로 행복을 찾고, 유아, 부모, 교사의 능동적인 참여와 수업이 활성화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는 교사가 자신의 수업에서 변화된 새로운 모습을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평소에 간과하고 있었던 부분을 사진이나 동영상 등으로 자세하게 볼 수 있는 매체의 활용은 ‘수업에서 또 다른 즐거움을 발견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나눔과 협동 작업으로 나(I)에서 우리(We) 되기’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나의 경험은 또 다른 생각을 찾아 나아가는’ 태도를 보이며 가정 이외의 지역사회와 친밀감을 형성하고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유아, 교사는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의 진행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갖게 되면서 ‘멘토와 멘티의 역할’을 주고받는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프로그램 활동이 전개되면서 유아, 부모, 교사는 이제는 ‘모든 것을 잘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이고 만족감을 느끼며 자신감을 갖고 의지를 보이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 action learning programs to enhance a sense of commun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se are research questions to satisfy the purpose. Research question 1. How should be organized social action based learn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a sense of commun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impact and changing pattern shown in the process of the application of social action based learning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promotion of a sense of community?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meaning of a sense of Children, parents, teachers, community spirit on the sid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e institu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For the research question 1, researcher considered the bibliography related to social action based learn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formed a draft proposal of social action based learning program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on the basis of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to social action learning education, and devised the goals, objectives, contents of the progra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method of the program, after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And then, after review, supplement, and modification about the contents and site suitability, researcher developed the final program. For the research question 2, researcher verified the difference that the social action based learning program for the community spirit increase affects to the infant, parents, and teachers in the infant education. The research which is applied social action learning-based program in free-choice activity progressed during 20 weeks with 23 parents and 16 children of five years old of ‘S’kindergarten. Additional search carried out a quality up to June 22 to August 21, (9 weeks) 2015.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rogram, an inspection about community spirit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s conducted. The measurement tools are sense of community categories by a vote of teachers what they're observing the infants to quell the result of the figures provided.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18 (IBM SPSS 18 for windows) the statistical software, paired t-test and one-way repeated ANOVA are carried out. And at the test of Sense of community component regarding teacher’s community spirit categorie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At the differences of each session in the application program, until third session from the first session, sense of community related variables which are social ac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infant’s the sense of community related variables for 20 weeks of when applied measure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otal score and lower element in measurements of three session through the finding themselves in each dependent variable, one-way repeated ANOVA was used and to learn about the specific difference of betwe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third session and scheffė verification was used with a posteriori tests for the total. For the research question 3, researcher analyzed discussion materials, reflective journals, archival material, capture data, etc to examine infant. parents, and teachers courses of change in process program application process. Effects of social action learning program for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in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i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social action running program that composes the result, parents, infants, parents and teachers ‘ in community life in voluntary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participate and join him in a good social relationships live together and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by forming a basis for this purpose.’ Detailed objectives of a sense of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its individual components are as follows. The summary for achieving the objective of education such as community spirit of the five components and lower in the 20 in each of those shipped in.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is presented by classifying into the principle of teaching – learning, teaching - learning process, an assessment. Steps of social action learning consist of 4 levels, introduction, deployment, finish and follow-up activities. and then lower 7 levels, to provide activity situation → problems understanding and clarification(Making meaning strategy → finding a solution possible to try to hammer(Alternative search strategy) → to fill out an action plan(Rebuilding meaning strategy) → activity application(Sharing strategy) →display results and announcement, follow-up activities consist of revisiting and reflecting. Second, before and after program treatment, a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infants’ sense of community, after program application infant’s and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ppeared high. A close look each component in a sense of community specifically, intimacy and a sense of belonging,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harmony and unity, a sense of unity and mutual impact consciousness, autonomy and public awareness aspects are higher than those of post tes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ed. Subordinate element in 20 items, post scores are higher than advance scor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ed. Therefore, this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ing infant’s and teacher’s sense of community can see on that. See if I may differ depending on the results of each infant's sense of community ses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ed.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said to improve the infant's sense of community. Third, Utilizing SNS followed program application, the meaning of parents, infant, and teacher’s sense of community is appeared as follows. In terms of infants, ‘to move in collaboration’, ‘to be us from me by sharing and cooperating’, ‘to find another idea by revisitation experience’, in terms of parents, ‘for now we can do well’, ‘to experience that leads to consider family community’, in terms of teachers, ‘to move out form teach trapped in classroom’, ‘to have more interesting more involved’, ‘another joy founded in my activity’, ‘to find parents and street of communication’, ‘to learn by sharing are presented.

      • 액션러닝(action learning)을 활용한 고전 문학 교수-학습 방안 및 효과 :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이은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고전 문학을 친숙하고 유의미하게 학습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액션러닝 수업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고전 문학 수업의 문제점과 학생들과 고전 문학과의 거리감을 극복하기 위한 고전 문학 교수-학습 방법으로 액션러닝을 활용한 수업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허균의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4차시의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을 진행한 뒤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액션러닝은 과제해결을 위해 모인 구성원들이 실제 과제를 해결하거나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질문과 성찰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고전 문학을 자신과 동떨어진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고전 문학 작품 속의 문제 상황을 자신의 삶과 관련지어 해결해 봄으로써 고전 문학을 친숙하게 느끼고, 액션러닝 활동을 통해 유의미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고전 문학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 집단에서는 액션러닝 수업을 통하여 고전 문학인 <홍길동전>을 지도하고, 비교 집단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통하여 같은 작품을 지도한 후 고전 문학에 대한 태도 및 이해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SPSS for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 집단에는 별도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수업 활동지를 분석하여 액션러닝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액션러닝 고전 문학 수업의 의의에 대해 다음과 같은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첫째, 몇몇 학습자만이 아닌 전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 스스로 구성한 지식이 교사의 일방적인 전달에 의한 지식 보다 훨씬 오래 기억에 남는다. 셋째, 학습자들의 창의력이 향상된다. 넷째, 학생들의 고전 문학에 대한 친숙도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궁극적으로 액션러닝은 학습과 실천 사이의 거리를 좁혀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