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의 정보품질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마상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43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는 알레르기 유발식품에 대해 국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해주고 식품알레르기 예방을 통하여 소비자들의 건강을 증진하고자 도입된 제도이다. 그러나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의 표시방법이 소비자 친화적이지 못하고 소비자들의 인식개선이 잘 되지 않아 제도의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따라서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를 하나의 기술적인 정보품질로 받아들이고, 이를 소비자에게 잘 전달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의 정보품질에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소비자들이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상의 용이성과 유용성 그리고 이용의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식품알레르기의 유발표시제의 이용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의 정보품질을 신뢰성, 정확성, 적시성, 가시성과 정보접근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식품알레르기의 경험이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알레르기 경험유무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의 이용의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의 정보품질에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가 효과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받아들여지는 수용의 문제로 확장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이 된다고 하겠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제기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가 좀 더 효과적으로 기획 및 시행될 수 있는 전략적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조사내용을 근거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작성된 설문지로 2019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 까지 20대에서 60대까지의 일반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On-line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한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보면,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특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인 신뢰성, 정확성, 적시성, 가시성, 정보접근성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용의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용이성과 이용의도 간에도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품질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용의도에 대한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성, 정확성, 적시성, 가시성, 정보접근성에 대해서는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용의도에 대해서는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것은 식품알레르기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변수들 간의 직접효과를 보면,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품질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도 이용의도에 정(+)의 방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를 보면,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품질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의 간접효과 역할을 파악하기 위한 Bootstrapping test 분석결과,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품질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중 어떠한 변수가 매개역할을 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두 변수 모두 매개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각된 용이성 보다 지각된 유용성이 더 큰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를 하나의 정보품질로서 파악하고, 어떻게 하면 소비자에게 잘 전달 될 수 있는 가에 초점을 두어, 수용과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는 대해 차별성을 찾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정보특성의 하위요인인 신뢰성, 정확성, 적시성, 가시성, 정보접근성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용의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와 영향력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가 제공하는 정보는 소비자가 읽기 쉽고 이해가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식품에 포함된 다른 재료나 영양정보와는 확연히 차별화될 수 있는 표식을 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식품내용물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눈에 띄는 추가적인 주의표시가 필요하다. 둘째, 일반소비자가 식품제조업체로부터 알레르기 유발식품 및 원재료에 대한 정확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식품제조 단계에서 사용된 원재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해당업체의 홈페이지 등을 통해 소비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도 가공제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셋째,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서 언제 어디서나 정보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용자들에게는 시스템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스마트기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식품알레르기 정보를 양방향의 형태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야 하며, 더 나아가 개인에게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알레르기에 취약한 유아 및 청소년의 경우에는 학교홈페이지나 학교알리미를 통해 알레르기 유발식품의 위험성을 알리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학교나 유치원 등 단체급식의 경우에는 이해당사자들인 학교, 학생, 학부모와의 정보공유가 중요하다. 그리고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자녀의 부모는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크므로 학부모를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유발아동 각자의 특성에 맞는 식품알레르기의 예방 및 대처방안 그리고 맞춤형 교육자료의 개발 및 제공이 더욱 필요하다. 또한 알레르기가 없는 사람들도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알레르기 유발식품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알레르기 유발식품을 섭취하여 증상이 발견될 경우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소비자가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의 표시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제품선택에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정부는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의 정보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의 유용성, 용이성과 이용의도를 제고하여야 한다. The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was introduced to guarantee the public's right to know about allergy-causing foods and to promote the health of consumers through the prevention of allergies. However, there are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ecause the methods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are not consumer friendly and the consumers' perception is not improv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as a single technical quality of information and look at how they can be communicated to consumers.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apply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the information quality of the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to facilitate access to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and to make it easier for consumers to use and better use. To analyze the intended use of food allergies, the information quality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them into reliability, accuracy, timeliness, visibility and access to information. Also, considering that allergy experiences can affect our overall lives,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the intent of using food allergen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we have allergic experiences. It is said to be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in tha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an be applied to the information quality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which can be the basis for expanding the problem of acceptance of food allergy-inducing markers effectively to consumers. Further, the Commission intended to verify the research theory raised through the survey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search for strategic measures in which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can be planned and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rais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study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verage adult males and female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June 1, 2019 to June 30, 2019. For empirical analysis,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3.0 were analysed.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ccuracy, timeliness, visibility,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of-use, and usability, all of which constituted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usa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formation quality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and the existence of food allergy experiences for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ir intended us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information quality sub-factor reliability, accuracy, timeliness, visibility,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perceived availability. This can be seen as being more aware of allergens than people who have no experience with food allergies.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information quality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ded use showed that the quality of the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Fourth,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quality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the indirect effect of the information quality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nd in order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played the role of the perceived usefulness or perceived ease-of-use, we found that both of the parameters played the role of the carrier, and that the perceived ease-of-use had a greater parametric effect. This study defines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as a quality of information and focuses on whether they can be delivered well to consumers, and shows that they are related to reliability, accuracy, timeliness, visi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which are sub-factories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should be provided in a format that is easy to read and understandable to consumers. Indications that may be distinct from the raw materials or nutrition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ood should be made to facilitate the discovery of information about food content that may cause allergies. Second, there is a limit to the ability of ordinary consumers to obtain accurate and necessary information about allergy-causing foods and raw materials from food manufacturers. It is necessary to database raw materials used in the food preparation stage and share information with consumers through the company's website. Third, providing users with anytime, anywhere access to information from a variety of media (Internet, mobile, etc.) can be a way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regularly update food alert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using smart devices and Internet-based applications, and further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o individuals. Fourth, for adolescents who are vulnerable to allergies, it is necessary to inform and educate them about the dangers of allergy food through school websites or school alimis. Institutional food service, such as school or the nursery school, students, parents, in the case of stake holders through information sharing with the intake of food allergen. That can give first aid when allergy symptoms are found, and education and publicity is required. In conclusion, in order for consumers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reflect the display of the allergy-induced food system in their product choice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information quality of food allergen labelling system to enhance their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bility.

      •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소비자 및 식품 알레르기 유병 어린이의 보호자 인식도 분석

        박종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식품 알레르기 유발 물질 표시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식품알레르기 표시제에 관한 심층적인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전문가로부터 진단을 받은 식품 알레르기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 하여 조사 하였다. 일반 소비자의 식품알레르기 표시제의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편의 추출 샘플링 방법을 이용 하여 연령별로 543명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문가로부터 식품알레르기 확진을 받은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20명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신촌 세브란스 어린이 병원). 설문지는 일반소비자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유무와, 알레르기 지식, 식품알레르기 표시제의 이해도와 개선사항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 되었다. 식품알레르기 환자의 보호자 대상의 심층 인터뷰의 내용은 식품알레르기 증상 및 종류, 식품 알레르기 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알레르기 표시가 없는 비포장 식품의 경우 대처법, 식품 알레르기에 필요한 교육 등으로 구성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19.3%가 식품 알레르기를 갖고 있었으며, 40대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20대에서 다소 낮은 비율의 식품알레르기 유병율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연령에 상관없이 비슷한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특히 가장 높은 알레르기 유발식품으로 지목된 식품은 복숭아로 조사대상자의 5.7%가 유발식품으로 답변하였으며, 이는 식약처에서 지정한 13가지 식품에 속하는 주요 알레르기 유발 식품 이었다. 그러나 지정된 식품에 속하지 않는 기타식품의 빈도가 3.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심층인터뷰 연구 결과 식품 알레르기 환자는 평균연령이 4.5세로 대부분이 영?유아 이었고, 난류에 대한 식품알레르기가 가장 많이 조사 되었으며 기타 식품에 대한 의견이 있었다. 또한 인터뷰에서 식품알레르기 유병을 알게 된 방법은 대부분 식품의 섭취 경험을 통해 알게 되고 이후에는 병원에서 전문적인 검사를 받아 추가적인 식품 알레르기 정보를 알게 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일반소비자의 식품알레르기 유병자 중에는 식품 알레르기 외에 추가적으로 나타내는 알레르기 증상이 알레르기성 비염이 35%로 가장 많았다. 또한 심층 인터뷰에서 환자들의 식품 알레르기 증상은 두드러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를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식품라벨의 가장 먼저 확인하는 정보와 중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5점 척도의 평균을 조사 하였다. 가장먼저 확인하는 정보는 상표명이 3.73/5으로 가장 높게 집계되었으나 알레르기 정보에 대한 원재료 표시는 2.49/5로 가장 낮게 나왔다. 이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일반소비자가 식품라벨에서 가장 먼저 확인 하는 정보가 상표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알레르기 정보에 대한 확인이 낮게 나온 이유는 설문조사 대상자가 식품 알레르기가 없는 경우가 많았거나 글자가 작아 읽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식품라벨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5점 척도 평균의 연구 결과 원산지가 4.06/5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식품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대한 정보는 3.63/5로 중요성 인식이 다른 내용보다 가장 낮게 인지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식품알레르기의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에서는 식품알레르기 정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환자의 알레르기 증상의 정도에 따라 식품라벨의 알레르기 표시 사항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식품 알레르기 표시 개선방향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소비자들은 식품 알레르기 정보에 대하여 글씨를 굵게 하거나 배경색과 다른 색을 써서 확인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개선 방법이라고 응답하였다. 식품 알레르기 환자의 보호자들도 글씨를 크게 하거나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를 따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개선 방법이라는 같은 응답을 하였다. 또한 비포장 식품의 경우 식품알레르기 정보를 구두로 확인하여 섭취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구두 확인으로는 정보가 정확하지 않아 알레르기 증상이 발병한 경우도 있어 비포장식품의 알레르기 정보 표시에 대한 시급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설문 응답자와 심층인터뷰 응답자는 알레르기 표기에 대한 현행법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고,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응답하였다.

      • 고장초의 항알레르기 효능 검색

        이은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비만세포는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등의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고친화성 IgE 수용체에 IgE와 항원의 응집이 발생하면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을 통해 히스타민, 프로테아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지질매개물질 등 알레르기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화학 매개체들이 분비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RBL-2H3 세포의 알레르기 염증반응에 대한 고장초의 억제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1. 고장초의 알레르기 억제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고장초 메탄올 추출물의 β-hexosaminidase의 방출에 대한 영향과 세포의 탈과립 및 TNF-α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장초 메탄올 추출물이 β-hexosaminidase의 방출과 TNF-α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의 탈과립 또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식품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고려하여 고장초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β-hexosaminidase 방출량 측정을 통해 알레르기 억제효능을 검색해 본 결과,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한 β-hexosaminidase 방출 억제효과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장초 에탄올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 층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물의 β-hexosaminidase 억제효능을 검색해보았다. 그 결과, chloroform fraction의 억제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Chloroform fraction의 TNF-α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및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와 protein kinase B (Akt)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chloroform fraction이 TNF-α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며, COX-2의 발현과 MAPK 및 Akt의 인산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hloroform fraction이 T 세포주인 MOLT-4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MOLT-4의 사이토카인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고장초는 비만세포의 활성화만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고장초 에탄올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 phytol이 주요 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uthentic phytol과의 비교를 통한 효능확인을 진행 중이다. 본 실험의 결과들을 통해 고장초 추출물이 항알레르기 효능을 가지며 chloroform fraction이 그 활성이 가장 높다는 것과 고장초의 주요 성분이 phytol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hytol에 대한 효능 확인실험을 완료한다면 고장초는 항알레르기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ast cells are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allergic disorders including allergic rhinitis, dermatitis, asthma, and food allergies. Antigen-mediated aggregation of immunoglubulin E (IgE) bound to its high-affinity receptor on mast cells or basophils initiates a complex series of biochemical events, resulting in the release of mediators such as histamine, proteas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lipid mediators that cause allergic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Zizania latifolia on allergic inflammation stimulated by various inducer in RBL-2H3. 1. Zizania latifoli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evaluated the effect on the release of β-hexosaminidase and cytokines such as tumour necrosis factor-α (TNF-α). In addition, the effect on cell degranulation was compared by using microscopic observation in RBL-2H3 cells. The results showd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Z. latifolia inhibited the release of β-hexosaminidase and TNF-α in the cells. The Z. latifolia extract also suppressed the cell degranulation induced by compound 48/80. 2. The inhibitory effect of 70% ethanol extract of Z. latifolia on the release of β-hexosaminidase was similar to that of the methanol extract.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in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 fractions to separate active components and the β-hexosaminidase activities of each fraction were measured. As the results,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β-hexosaminidase release was highest in the chloroform fraction. 3. To investigate the regulatory mechanism for the mast cell activation, the inhibitory effects of chloroform fraction on TNF-α production,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phosphorylation of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protein kinase B (Akt) were tested in RBL-2H3 cells. Moreover, we studied the effects of chloroform fraction on cytokines production in MOLT-4 cells. As the results, the chloroform fraction inhibited TNF-α production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chloroform fraction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OX-2 and the phosphorylation of MAPK and Akt. But, the effects of chloroform fraction on the production of cytokines in MOLT-4 cells were not significant. 4. The ethanol extract was analyzed by GC/MS, and phytol was identified as a major component of Z. latifolia extract. Collectively, Z. latifolia extract showed strong anti-allergic effect and its chloroform fraction had strongest anti-allergic activity. Phytol was identified as a major component of methanol extract and the chloroform fraction. Thus, Z. latifolia could be utilized as a effective resource for prevention of allergic diseases.

      • 경기도 초·중학교 학생의 식품알레르기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이진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초  중학생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식행동, 식품알레르기 지식, 알레르기 표시제도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도의 정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경기도 남녀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2,3학년 387명을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 식행동, 식품알레르기 지식, 알레르기 표시제도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식품 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이 14.5%로 학교에 따라 초등학생이 13.7%, 중학생이 15.4%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남학생이 9.3%, 여학생이 19.0%로 알레르기를 경험한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식품알레르기를 알게 된 경로로는 경험에 의해서가 가장 많았고, 증상으로는 두드러기, 가려움 등 피부질환이 많았다.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났을때 대부분의 학생들이 특별한 대처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의 경우 가족 중 알레르기를 경험 빈도가 알레르기를 경험하지 않는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행동 점수는 3.68점으로 나타났고, 알레르기 비 경험집단이 경험집단 보다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삼겹살 등 동물성 기름을 자주 먹지 않는다’의 문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알레르기 지식의 정답률은 41.5%로 낮은 정답률을 나타났고,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른 지식 정답률은 경험집단이 비 경험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식행동 점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1). ‘주위에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하고 있는 친구들을 이해할 수 있는가’의 문항의 점수가 3.76점을 나타났다. 가정동신문에 게시된 식단은 ‘가끔 확인한다’가 가장 많았다. 초  중학생들이 식단표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음식명, 영양정보, 원산지,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으로 응답하였다. 남  여학생은 음식명, 영양정보, 식품 알레르기 유발식품, 음식의 조리방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식행동 점수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은 음식의 조리방법이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식단에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 확인을 가끔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를 확인하지 않아도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어서’가 가장 많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표시제의 크기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보통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바람직한 표시 방법으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방법과 숫자 대신 알레르기 유발 식품명을 직접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표시제도에 대한 관심을 살펴보면 초중학생은 ‘보통이다’가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 여학생 모두 표시제에 대한 관심이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경험집단은 표시제에 대해 관심이 없는 편으로 나타났고, 비 경험집단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식행동 점수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 모두 표시제에 대한 관심이 보통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종합한 결과 3.05점으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학생들을 위한 개별 서비스에 대해서 초중학생의 경우 보통이다가 많았으며, 알레르기 경험집단, 비 경험집단도 보통이다의 응답이 많았다. 식품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바라는 점은 초중학생은 알레르기 예방교육을 실시한다가 많았고, 알레르기 경헙집단은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를 더 잘 보이게 한다가, 비 경험집단은 알레르기 예방교육을 실시한다가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며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관심과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경우 원인식품에 대한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 정확한 원인식품을 파악한 뒤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가 되어있는 식단표를 통해 원인식품을 파악해야 하며, 표시제도를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erception of prevalence rate of food allergy, eating behavior, knowledge on food allergy, and food allergen labeling among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Based on this, this work would provide the basic materials in establishing the allergen labeling about school meal. The survey was performed by selecting 387 subjects from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7th, 8th and 9th graders in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o see the experience and non-experience, eating behavior, knowledge about food allergy, and food allergen labeling. Students experienced in food allergy accounted for 14.5%, and among whic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unted for 13.7% and 15.4%, respectively. In the question about whether or not they experienced in allergy, boys were 9.3% and girls were 19.0% by the gender percentage. With regard to the route through which they got to know the food allergy, the experience category came in first. As a symptom, skin disorders were most common such as hives and itche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do not receive any medical treatment, in particular, in dealing with allergy problem. Students with food allergy experience whose family members have a family history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allergy than students whose family members have no family history. The category of eating behavior indicated a point of 3.68 and the non-experienced group in allergy showed a higher point significantly than experienced group.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tegory of 'not frequent intake of animal fat such as pork belly.'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in knowledge about food allergy showed the relatively low 41.5%.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s to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according to experience and non-experience in allergy, the experienced group had a higher level than the non-experienced group. The group with a higher point indicated a higher value than that with a lower point in eating behavior category (p<.01). In the category of 'whether or not to understand the friends with food allergy', it turned out to be 3.76. For the menu posted in parents’ notices, 'confirmed occasionally' was most. The important things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nsider are food name, nutrition information, place of origin, and allergy-causing foo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onded with an importance of food name, nutrition information, allergy-causing food, and recipe. Groups with high point and low point in eating behavior category had a highest level of correlation with recipe. It was found that students often confirmed the food allergen labeling on menu. The reason not confirmed is because they are 'able to make a right choice even without allergen labeling.' For the compulsary labeling size in the present act, most students thought that it is proper.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direct notice of food name causing an allergy is preferred to the present numbering method. As to the interest in labeling system, answers with 'common' took the highest portion an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onded with a degree of common level. The experienced group in allergy had not much interest in labeling system, whereas the non-experienced group had a common level. Both groups with a high point and a low point in the eating behavior indicated a common degree about this system. The overall point from students in relation to food allergen labeling turned out to be 3.05. In the category of individual service for the students who have an allergy to food, they responded with a common level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e was true with the experienced group and non-experienced group in this questioning category. For their overall hope that school should realize regarding the food allergy, the item of 'preventive education' came in the first place. The experienced group indicated 'better presentation about food allergen labeling' item. The non-experienced group pointed out the 'preventive education.' From the results, it is thought that the knowledge on allergy to food is not enough and that more interest and education about food allergen labeling are needed. For the students with food allergy experience, the allergy-causing food should be consulted with an assistance from medical specialist and then this type of food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menu with an allergen labeling. It is also necessary that the systematic and constant education about nutrition should be followed up for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allergen labeling system at school.

      • 태풍과 호우가 알레르기 질환에 미치는 영향

        문종윤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알레르기는 IgE와 관련된 과민 반응으로 천식, 비염, 두드러기, 아토피 피부염 등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 중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은 가장 흔한 알레르기 질환으로 그 유병률은 도시화에 따라 빠르게 증가해왔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에 의해 태풍, 호우, 폭염 등의 기상 현상의 빈도가 증가하여 그에 따른 공기 부유 알레르겐인 꽃가루, 오존, 곰팡이 등의 농도 증가가 보고되었다. 이렇게 증가된 공기 부유 알레르겐은 알레르기 질환의 발생 증가와 증상 악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 공단의 자료로 재해기간 후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외래 내원 환자가 실제로 늘어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최근 2003년부터 2009년까지 태풍과 호우에 의해 특별재해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의 주민들이다. 기상자료로는 기상청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알레르기 질환 자료는 건강보험공단에 천식(j30), 알레르기비염(j45), 아토피피부염(l20)으로 청구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특별재해지역 선포 기간과 선포기간에 따른 인접한 주의 알레르기 질환의 외래내원 환자수를 비교하여 모집단의 인구가 같다는 가정 하에 Rate ratio(RR)를 구하였으며 0-7일간의 지연기간을 주었다. 태풍 기간의 RR 값은 천식은 lag day 0일째에 가장 낮은 0.671(0.634-0.708)을 보였으며 그 후 증가하여 lag day 6일째 최대값인 0.900(0.862-0.937)를 타나내어 의원 외래 내원 환자가 재해 기간 이후 감소하였다.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lag day 6일째 가장 높은 RR 값인 1.191(1.150-1.232)을 보여 의원 외래 내원 환자가 증가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lag day 5일째에 최대 RR 값인 1.229(1.217-1.241)을 보여 의원 외래 내원 환자가 증가 하였다. 폭우의 경우에는 천식은 lag day 2일째에 0.902(0.842-0.963)으로 최소값을 나타내어 참조기간보다 외래 내원 환자수가 감소하였으며 태풍에 비해 RR값의 큰 변화는 없었다. 알레르기 비염은 lag day 7일 째에 최대 RR 값인 1.075(1.018-1.132)를 보여 환자수가 재해기간에 약간 증가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은 lag day 7일 째에 최대 RR값인 1.134(1.113-1.155)를 나타내어 참조기간에 비해 재해기간 외래 환자가 증가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태풍에 비해 폭우의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내원 환자수의 변동이 적었다. 따라서 태풍과 호우의 빈도가 늘어나는 경우 알레르기비염과 아토피 피부염 환자 증가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외래 내원 환자수가 감소한 천식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인천지역 중학생의 알레르기경험 유무에 따른 식생활의식 및 식품섭취패턴의 비교 연구

        유덕영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국문요약] 인천지역 중학생의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른 식생활의식 및 식품섭취패턴의 비교연구 최근 20년간 청소년들의 알레르기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과거 유전적요인보다는 대기오염 및 서구화된 식생활과 학생들의 편의식품 이용증가 등 환경적요인으로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알레르가 청소년들의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자료들도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식생활지도가 중요한 시기인 중학생들의 알레르기 경험유무에 따른 식생활, 식습관, 생활습관 특성과 식품섭취패턴,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인천시 소재 남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150명(51.6%), 여학생 139명(48.15), 총289(73.4%)명의 설문지를 분석정리하였다. 먼저, 알레르기 경험그룹은 58명(20.1%)이며, 40명(68.9%)이 경험에 의해 알레르기 증상을 알게되었다 하였다. 알레르기 발생 부위는 입(35.4%)이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생 후 대처사항으로는 약국치료(24.0%)를 한다고 응답하였다. 알레르기 경험여부에 따른 식생활, 식습관, 생활습관 특성은 알레르기 경험그룹이 그렇지않은 그룹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특성에서는 ‘정해진시간에 규칙적으로 식사를 한다’ 67.2%(p=0.01), ‘매일 채소반찬을 먹는다’ 81.0%(p=0.07), ‘골고루 식사한다’ 71%(p=0.001), ‘매일 육류 반찬을 먹는다’ 87.0%(p=0.039), ‘매일 김치를 먹는다’ 83.1%(p=0.024)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고, 식습관 특성은 ‘결식을 얼마나 자주하나’에 주 1~6회이상 65%(p=0.013), ‘천천히 식사를 한다’는 30분이상 55%(p=0.016), ‘하루 물 섭취량은’ 82%(p=0.004) 6컵이상 섭취하며, 간식은 87%(p=0.019) 주1~6회이상 섭취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생활습관 특성은 운동을 89%(p=0.002)가 주1~6회이상을 하고, 56%(p=0.001) 7시간이상 수면하며, 95%(p=0.035) 2시간이상 TV를 시청한다고 응답하였다. 알레르기 경험여부에 따른 식품섭취패턴은 주 3~4이상 섭취한다고 응답한 식품은 쌀(p=0.037), 현미밥(p=0.005), 잡곡밥(p=0.002), 고기류(p=0.014), 난류(p=0.027), 담색채소류(p=0.014), 과일류(p=0.003), 고체지방(p=0.030), 견과류(p=0.001), 과자(p=0.048), 라면(p=0.009)이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식품은 육류(32%), 곡류(18%), 일반과일류(17%)순, 가장 싫어하는 식품은 채소류(28%), 콩류(25%), 어패류(20%)순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경험여부에 따른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의 인식도는 알레르기 경험그룹이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 확인여부’는 ‘거의 확인한다’ 응답을 55%(p=0.001), 관심여부는 ‘보통이다’ 이상의 응답을 50%(p=0.001), 표시된 유발식품은 건강에 좋지않다고 생각한다에 ‘보통이다’이상의 응답을 69%(p=0.005), 알레르기 유발식품은 먹지않으려고 한다에 ‘보통이다’이상의 응답을 60%(p=0.001) 유의적으로 더 높게 응답하였다. 또한,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와 관련 학교에 바라는 점으로 표시제의 가독성, 예방교육, 홍보라 응답하였다. 「알레르기 유발 표시대상식품」을 알레르기 경험그룹은 30명(51.7%), 알레르기 비경험그룹은 83명(35.9%)가 정확히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76명(60.9%)는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유발 표시대상식품」을 모르는 176명이 알레르기 표시대상식품 중 대상식품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식품은 소고기(26.70%), 돼지고기(17.05%), 닭고기(16.48%), 우유(14.20%), 토마토(14.20%)순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알레르기 경험그룹이 알레르기 비경험그룹보다 식생활의식과 올바른 식품섭취 등이 더 양호하며, 과거에 비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식품섭취패턴과 실제 식품 선호도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알고있는 올바른 정보보다는 현실적으로 본인이 선호하는 것을 섭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알레르기 유발 표시제의 제도적인 보완과 정책적인 지원이 함께 확대해 나간다면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의 효과성도 확대될 것이라 사료된다. 핵심 되는 말 : 식품알레르기, 식생활, 식습관, 생활습관, 식품섭취패턴,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

      • 산단 지역 소아 청소년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distress and allergic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industrial complex area

        이미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943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는 많은 질병의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알레르기 질환도 그 중에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서구화된 다른 나라와 같이 천식과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스트레스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단 지역인 광양만권 지역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 진단, 치료율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여수와 남해의 산단 지역에서 5km 이내에 소재하고 있는 동과 15km 밖에 소재하고 있는 동을 선정하여 선정된 동에 소재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교를 파악한 후, 군집 추출법(cluster sampling)을 사용하여 학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교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한 후 동의한 소아 청소년 총 6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학적 특성, 생활습관,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등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확인했으며, 알레르기 증상은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ISAAC) 설문지의 한국판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스트레스는 사회심리적 건강 측정 도구(Psychosocial Wellbeing Index)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독립적인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교란변수(노출군, 성별, BMI, 나이, 지역, 소득)를 통제하였다. 알레르기성 비염 항목 중에는 일년 중 비염경험과 동반증상 경험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오즈비(1.024, 1.089)를 보였다(P<0.05). 아토피 관련 항목 중에서는 아토피 진단 경험, 아토피 치료 경험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오즈비(1.040, 1.049)를 보였다(P<0.05). 알레르기성 눈병의 경우 일생 중 눈병경험, 일년 중 눈병 경험, 눈병 진단경험, 눈병 치료 경험 4가지 항목 모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오즈비(1.019, 1.026, 1.030, 1.034)를 보였다(P<0.05). 천식관련 항목 중에는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오즈비는 없었다. 본 결과는 소아 청소년에서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가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스트레스를 조절함으로써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스트레스가 알레르기 질환에 미치는 기전에 대한 연구와 함께 소아 청소년에서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Stress has been considered a cause of many disease and allergic disease is one of them.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is increasing in korea, but it is hard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symptoms and stress. We wan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y related symptoms and str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industrial complex. We investigated 698 children and adolescents lived in Gwangyang bay industrial complex using multi-stage cluster sampling method. We selected group which are living in Gwangyang city within 5 km and outside 15 km of Gwang Yang Iron Company,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Hadong Power plant. These people were interviewed about allergy related symptoms using ISAAC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and psychosocial stress by PWI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We used a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for odds ratios for complaint rate of allergic symptoms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household income, body mass index, residence, distance of industrial complex. PW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ergic rhinitis, itchy eczema and allergic conjunctivitis. Our results supported that stress have a relationship with allergic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live industrial complex. So, further research for casual relationship and some prevention plans for decreasing str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ll be required.

      • 식품알레르기 발생실태 및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이은주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The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food allergy status, prevalence, and perceptions of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FALSSF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parents of little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ers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Korea.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zed 434 picked-up-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for 568 parents by first and second phase showed as below.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on first 370 people showed 30people(8.1%) of current group, 51people(13.8%) of experienced group, 289people(78.1%) of unexperienced group. In short, experienced children of food allergy were 81people that is 21.9% prevalence. By the experience of food allergy, genders, age, and child BMI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food allergy features to experienced children, first time to experience was at 1-2ages with 59people(40.7%), at 3-5ages with 53people(36.6%). Most of children had the allergy before 5 years old. ‘Rash, skin hives' was 50people with 45% that is the highest of food allergy symptoms. 'Itching' was 41people with 36.9% that is the second. In family history, mother's was the highest with 31.9%, sibling's was the second with 29.7%, and father's was the third with 25.3%. 'Peach' was the highest of cause foods with 22.9%, 'milk and pork' was 9.4%, crab was 6.3%, 'mackerel and shrimp' was 5.2%, 'eggs and tomato' was 3.1%, 'buckwheat, peanut, and soy' was 2.1%, 'wheat' was 1.0%, other foods included snack, beef, chicken, boiled food with additive, was so high with 28.1% Group parents perception for FALSSFS had a significant result(p<0.01), but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knowledge, satisfaction, need. Looking for each item, knowledge about food allergy didn't show significance as a whole but the current group appeared to be the highest. Looking for each section, the current group has more proper knowledge significantly on the knowledge about the severe allergy(p<0.01), genetic association(p<0.05), knowledge about the anaphylaxis(p<0.01). It didn't show significant result on satisfaction, need. Average was 3.33±0.58 that means low satisfaction and high need with 3.89 ±0.55. On educational part about FALSSFS, 54.6% experienced nutritional education through school news or website(32.5%), news or TV(28.1%). 16.5% experienced nutritional education. 58.3% answered ' School newsletter' was Perception of effective promotion method. Nutritional teacher was chosen as the most proper counselor with 47.4%, and then doctor was 31.7%. Preventive education was the best wish related to food allergy at school with 26.2% and then helping students to understand about the students with food allergy was 20.2%.The benefit of the FALSSFS was to increase safety of school food and promote emotional health of children with allergy. Check point of food label when purchasing packaged food other than school food,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allergy was significantly interested in verific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p<0.05), food additive(p<0.01),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p<0.05) In conclusion, the rate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in Yangsan-si was so high with 21.9%. and indication products of duty should expand gradually for school food service because variety food except indication products of duty was verified to be cause food. Most of parents had low perception of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even though the system launched 2 years ago. We need to promote in various channels. ' School newsletter and website' was shown as most easy and accessible way to promotion. So nutritional teacher should provide practical and specific information via such channels. 본 연구는 경남 양산시에 소재한 병설유치원 및 초등학교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식품알레르기 특성실태 그리고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인식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56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1·2차로 나누어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회수된 434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통계는 IBM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분석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은 최근 12개월 이내 알레르기를 경험한 현증군이 30명(8.1%), 알레르기를 경험하였으나 최근 12개월 내에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은 경험군이 51명(13.8%), 비알레르기군이 289명(78.1%)으로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은 21.9%로 나타났다. 즉,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은 81명으로 21.9%의 유병률을 나타내었고 식품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성별 연령별 BMI에 따른 유병률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1·2차 조사대상자 중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유병아동 145명을 대상으로 한 식품알레르기 발생 특성 분석 결과 식품알레르기를 처음 경험한 시기는 1~2세가 59명(40.7%), 3~5세가 53명(36.6%)으로 대부분의 아동이 5세 이전에 식품알레르기가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증상은 ‘두드러기, 피부발진의 비율이 50명(45%)으로 가장 높았고 ‘가려워 진다’가 41명( 36.9%), ‘설사, 구토, 복통’이 11명(9.9%), ‘숨쉬기가 어려워진다’ 5명(4.5%)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의 유전적 계통은 어머니 쪽이 31.9%로 가장 높았으며 형제·자매가 29.7%, 아버지가 25.3%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원인식품으로는 복숭아가 22.9%, 우유와 돼지고기가 각각 9.4%, 게가 6.3%, 고등어와 새우가 각각 5.2%였으며 난류와 토마토가 3.1%, 메일, 땅콩, 대두가 2.1% 밀이 1.0%로 나타났으며 기타식품으로 과자류, 쇠고기, 닭고기, 식품첨가제가 든 가공식품 등이 28.1%로 매우 높게 나왔다. 3. 1·2차 전체인원 434명을 대상으로 한 학부모의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군별 학부모 의견은 관심도에서만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p<0.01) 지식, 만족, 필요도 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교육에 관한 부분에서는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54.6%였으며 교육의 경로로는 가정통신문이나 학교홈페이지가 32.5%, 신문이나 TV등 대중매체를 통해서가 28.1%였으며 영양교육을 받은 경우는 16.5%였다.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는 58.3%가 가정통신문이라고 답하였고 가장 희망하는 상담자로는 47.4%가 영양교사, 31.7%가 의사라고 답하였다. 학교에서 식품알레르기와 관련하여 바라는 점은 예방교육의 실시 26.2%였고 다음으로는 식품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것 20.2%라고 응답하였다.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표시제의 큰 유익은 ‘학교급식의 안전성의 증가’가 42.5%이며, 다음으로는 유병아동의 정서적 건강이 증진이라고 33.2%가 답하였다. 5. 학교급식 외 포장식품을 구매할 때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유병아동의 부모가 비알레르기 아동의 부모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p<0.01), 원산지(p<0.05), 식품첨가물(p<0.01), 친환경농산물 (p<0.05), 알레르기 식품표시 등에 대한 확인에 있어 유병아동의 부모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알레르기를 가진 아동의 부모는 학교급식 이외의 식품 구입 시에도 훨씬 민감하게 식품표시를 확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