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경석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sire should be filled as well as physiological desire for wholesome growth of child. therefore, child grows physically and spiritually healthily ultimate target of equipment cloth business, must put to make these can run life in society smoothly. we could not but try to achieve primary target that target of child welfare equipment is necessities of life solution because we were in absolute pauperism economically past. but, is thought that will have to be interested in aspect that country's economic strength can escape and do so that form personality that children are stabilize and desirable emotionally in livelihood protection side that function of welfare facilities satisfies physiological appetite of child simply because is holding economic strength that people large majority can escape in absolute pauperism improving now. This research recognizes about effect that child bringing up equipment child's life satisfaction effect factor gets in life savage tribe, and there is the purpose to grope social welfare practice way to heighten child's 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achieves this purpose To 332 children who is living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18 places that is situated in Taegu wide area city Got conclusion such as that diagnose and investigate. First, was expose that affect affirmative child bringing up equipment child's age and child's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religion. child's age is young, child's life satisfaction level appeared high when there is religion. Second, was expose that influence in child's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number of persons who child bringing up equipment child lives together in the room that do and employee replace number of times. child's number to live together in the room is more, employee replace number of times is less, child's life satisfaction level appeared high. Third, mind·egoism of child bringing up equipment child's equipment life of life satisfaction connection factor, friend relation, school life was expose that influence in child's life satisfaction. equipment life and friend relation, school life is good, mind·egoism was expose that life satisfaction is high is high. friend relation was expose that affect biggest child's life satisfaction among this. If present social welfare practice plan to heighte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child's life satisfaction with this study finding, is as following. First, so that can become independent if become proper age because child's life satisfaction is high child's age is young economical, life enemy, must creat efficient ready process program that can become independent psychologically and these ready process may have to be been based on enough. Second, national economical support may have to be backed to solidify part about quality of equipment of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hird, must do may have to develop effective self persimmon elevation program for child bringing up equipment child, and magnify an opportunity that can make affirmative support system. Fourth, need link with school to offer enough small group or a part participation opportunity that have common preoccupation, and prevent child's problem or discord. Because is misgovernment that virtue research is unprepared to child bringing up equipment child until now, research of various part for child bringing up equipment child is considered must consist. 아동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서는 생리적인 욕구 뿐 아니라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설복지 사업의 궁극적 목표도 아동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전하게 성장하여, 이들이 원만하게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데 두어야 할 것이다. 과거 우리는 경제적으로 절대적 빈곤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아동복지 시설의 목표가 의식주 해결이라는 일차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국가의 경제력이 향상되어 국민 대다수가 절대적인 빈곤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제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복지시설의 기능이 단순히 아동의 생리적인 욕구만을 충족시키는 생활보호 측면에서 벗어나 아동들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바람직한 인격을 형성시킬 수 있는 측면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아동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구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아동양육시설 18개소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 332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나이와 종교에 따라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나이가 어릴수록, 종교가 있을 때 아동의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아동이 한 방에서 같이 생활하는 인원과 직원교체 횟수에 따라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방에서 같이 생활하는 아동의 수가 많을수록, 직원교체 횟수가 적을수록 아동의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생활만족도 관련 요인 중 시설생활, 친구관계, 학교생활과 심리․자아관이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생활과 친구관계, 학교생활이 좋을수록, 심리․자아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친구관계가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실천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나이가 어릴수록 아동의 생활만족도가 높으므로 적절한 연령이 되면 독립할 수 있도록 경제적, 생활적, 심리적으로 독립할 수 있는 효율적인 준비과정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준비과정이 충분히 기초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양육시설의 시설의 질에 대한 부분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적인 경제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자아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며, 긍정적인 지지체계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시켜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공동의 관심사를 가지는 소집단이나 동아리 참여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아동의 문제나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 학교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다양한 부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아동양육시설 ‘퇴소준비 청소년’ 자립 인식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김미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성공적인 자립은 여러 지원체계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관점에서 자립지원서비스의 총체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아동양육시설 ‘퇴소준비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시설퇴소라는 현상은 원가족을 대신하여 지지체계가 되어주던 시설과의 재분리라는 경제적ㆍ정서적ㆍ심리적인 변화과정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경우 그들의 자립을 단지 여러 지원체계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낙관적인 것만으로 이해할 수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체계의 관점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퇴소준비 청소년’ 당사자에 초점을 맞추어, 아동양육시설에서 퇴소를 앞두고 있는 ‘퇴소준비 청소년’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립에 대해 그들의 입장에서 탐색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연장보호를 받고 있는 아동 중 현재 대학 등에서 시설퇴소를 준비하고 있는 ‘퇴소준비 청소년’ 5사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도 있는 면접에 기초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퇴소준비 청소년’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립에 대해 그들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이는 ‘퇴소준비 청소년’들의 퇴소 전 자립준비 및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시설에서 생활하는 과정 속에서 담당 생활지도교사나 자립지원전담요원 그리고 기관의 양육방침과 규정에 따른 정보를 통해 시설퇴소와 자립에 대해 인식하게 되면서 막연히 시설을 퇴소하는 것이 자립, 즉 ‘시설퇴소를 자립’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진학을 하지 못 할 경우 시설에서 퇴소해야만 한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진학 후 연장아동으로 생활하게 되면서 자립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갔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진학이 시설퇴소를 연장하기 위한 즉, ‘자립을 유보’하는 것이 아니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 단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시설퇴소는 ’버려지는 느낌’으로 ‘자립’은 떠날 힘이 생기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시설퇴소가 현실로 다가오는 상황 속에서 주거와 취업 그리고 복합적인 감정들에 대한 갈등을 겪으면서 두렵지만 시설퇴소와 ‘자립’에 대해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은 ‘시설퇴소가 자립’이 아니라 ‘자립은 시설퇴소와 함께 시작’되는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퇴소준비 청소년’ 자립 인식의 변화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시설퇴소를 앞두고 있는 ‘퇴소준비 청소년’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립에 대해 그들의 입장에서 이해하였다는 데 무엇보다 의의가 있을 것이다. In a perspective that successful self-reliance could be achieved through interaction among various supporting system, overall support necessity of self-reliance support service is raised. However, for 'discharge preparing adolescent' of child care center, a phenomenon of facility discharge is hard to be understood simply based on an optimistic viewpoint that their self-reliance could be achieved just through interaction among various support systems in case of approaching facility discharge issue from a viewpoint of economic, emotional,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process of re-separation from the facility that provided support system on behalf of original family. Under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in a position of 'discharge preparing adolescent' from child care center, self-reliance being recognized by them was explored and intended to be understood by focusing on those adolescent concerned one step ahead of self-reliance support system perspective of existing child care center. For this objective, position of 'discharge preparing adolescent' for their recognized self-reliance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 by selecting 5 cases of 'discharge preparing adolescent' at university at present among the youth under extended protection at child care center as research participants. From this analysis, institutional, practical implication for self-reliance preparation and support before discharge of 'discharge preparing adolescent' was intended to be deduced.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stage, research participants vaguely recognized facility discharge as self-reliance, that is, 'facility discharge=self-reliance' as they started to recognize facility discharge and self-reliance through living guidance teacher or exclusive self-reliance support personnel and information of institutional nurturing policy and regulation in a process of living in the facility. At second stage, it could be realized that research participants had anxiety of being compelled to be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if they fail to enter university. And as they were living as extended children after university admission, their recognition for self-reliance was changed. Therefor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university admission in a way that it was not intended for extending facility discharge, that is, to 'put off self-reliance'. At the final stag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facility discharge as 'deserted feeling' and 'self-reliance' as a concept that they were competent to leave facility. While experiencing conflict for residing, employment and complex emotions under the situation that facility discharge was approaching as reality, they started to accept facility discharge and self-reliance with a dreadful sense. Therefore, research participants started to recognize that 'facility discharge is not self-reliance' but 'self-reliance starts with facility discharge'. More than anything els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self-reliance was understood in a position of 'discharge preparing adolescent' by empirically analyzing transformation process of self-reliance recognition of 'discharge preparing adolescent' at child care center.

      •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김점숙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Because this research chooses child bringing up equipment 3 places that is locating student teenagerses and Kyongbuk such as slightly old who is living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9 places in Taegu-Metropolitan city to Choose to investigation caravan, there is the purpose to examine closely effect relation with a friend about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life advisor, social support by schoolteacher and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self respect subtraction and independence positively, and grope effect verification and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independence way that social support level of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gets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independence, if it summarizes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result that produce equilibrium to recognize general tendency about social support of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and self respect subtraction and independence, social support of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was expose that is out of the common level, case of self respect persimmon, showed ordinary level and independence depth ordinary level was construed that become. Second, according to result that verify effect that level gets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self respect divination is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society enemy's territory, friend's support about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can know that is exerting affirmative effect because is expose that exert effect that keep in mind in self respect divination. Third, life advisor's support about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could know that is exerting affirmative effect because is expose that exert effect that keep in mind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self respect divination. Fourth, according to result that verify effect that level gets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independence is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society enemy's territory, it grasped that friend's support about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is exerting affirmative effect raising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independence. Fifth, result that verify effect that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self respect persimmon level gets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independence,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self respect persimmon could grasp that is affecting affirmative independence because is expose that affect that keep in mind that very high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independence. Sixth, attachment with life advisor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and relation that intimate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independence affirmative effect brainsickness grasp can . This treatise drew intents following several social welfare enem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First, need education that can improve independent spirit·independence heart since is young. Second, program that must exclude formal education to improve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es' independence ability, and is specialized through independence program complete charge needed personnel should be supplied, and systematic · continuously enforce must . If reflect after suitable dictionary four through estimation for this, progressive education may be achieved more. Third, introduction and trial of education are pressing lively experience studying enemy through education, fieldwork who is specific about right occupational consciousness establishment and profession and detail. Fourth, must support self respect stuff and active learning so that can heighten more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es' results because will about independence appears high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record are a tall student. Because offer institute taking a course, studying Mento or learner circle servants actively for this and form a relationship, must plan ability elevation. Fifth, must guide to give responsibility about work that own undertake and act to get into acquired habit and there is sense of responsibility go out in society in future. Sixth, marginal mans such as a child bringing up equipment enfilade viscounts and schoolteacher in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 surrounding, a friend must ready foothold that they can have dignity and go forward for the world because lead them for direction that can raise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es' self respect stuff and become active supporter who do not save praise and stimulant always. Deep interest and attention for child bringing up equipment teenagerses' independence way groping through succession research which detail more than hereafter finally may have to be achieved. 본 연구는 대구시 소재 아동양육시설 9개소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청소년들과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아동양육시설 3곳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아동양육시설청소년에 대한 친구, 생활지도원, 학교 교사에 의한 사회적 지지와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자립과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수준이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에 미치는 영향검증과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자립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을 산출해 본 결과,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보통 이상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경우는, 보통 수준을 보였고 자립심도 보통 수준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수준이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아동양육시설청소년에 대한 친구의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양육시설청소년에 대한 생활지도원의 지지는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수준이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아동양육시설청소년에 대한 친구의 지지는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다섯째,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에 매우 높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자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섯째, 아동양육시설에 있어서 생활지도원과의 애착과 친밀한 관계는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자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어릴 때부터 독립심· 자립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양육시설청소년들의 자립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형식적인 교육을 배제해야 하며, 자립프로그램 전담요원을 통한 전문화 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고, 체계적·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사전사후 평가를 통해 반영해 나간다면 보다 더 진취적인 교육이 이뤄질 것이다. 셋째, 올바른 직업관 확립과 직업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교육, 현장 방문을 통한 생생한 체험학습적 교육의 도입과 시행이 시급하다. 넷째, 학교 적응력과 학업 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자아존중감과 자립에 대한 의지도 높게 나타나므로 아동양육시설청소년들의 성적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학습지원을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학원수강, 학습 멘토나 학습자원봉사자들을 적극적으로 알선하고 결연해 주므로 실력 향상을 도모해 주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자기가 맡은 일에 대한 책임성을 부여해 주고 습성이 되어 장차 사회에 나가서도 책임감 있게 행동하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아동양육시설청소년의 주변에 있는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과 학교 교사, 친구 등 주변인들은 아동양육시설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그들을 유도하고 늘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적극적인 지지자가 되어 주어 그들이 긍지를 가지고 세상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향후 보다 세부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아동양육시설청소년들의 자립방안모색을 위한 깊은 관심과 배려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양육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강범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시설 양육의 역사가 약 50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요보호 아동의 전문적 대리양육서비스를 하는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관심이 미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양육과 보호의 직접적인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양육업무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가 종사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개인 특성, 보호아동 특성, 근무환경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또 각 변인들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설명력 등은 어떠한지 규명하여, 종사자의 양육환경 개선과 양육의 질(質)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 양육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둘째, 양육스트레스는 종사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개인 특성, 보호아동 특성, 근무환경 특성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셋째, 종사자의 양육스트레스를 잘 설명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 위의 내용을 연구하기 위해 전국 약 240개 아동양육시설 중 71개 시설의 생활지도원(보육사)을 설문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양육스트레스 경향(수준)은 중간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 연구된 일반가정 취업모와 비슷한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이다. 즉 종사자들은 일반가정의 부모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요보호 아동에 대하여 부모역할의 일차적인 책임을 갖고 있는 것이며, 직업으로서 아동을 단순히 보호, 관리, 통제하는 일방적 관계가 아니라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둘째, 각 독립 변인에 따라 종사자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1)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사회복지 관련 자격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학력과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만 유의미하였다. 즉 학력이 높은 집단(전문대졸 이상)의 경우가 양육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시설 근무기간은 1년인 집단이 근무기간 2년과 5년 이상의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개인특성에서는 양육효능감과 부모역할 책임감 모두 유의미하였다. 즉 양육효능감과 부모역할 책임감이 낮은 수준의 종사자 집단이 양육스트레스가 전체 양육스트레스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보호 아동특성에서는 아동기질, 아동문제 행동 지각정도, 보호가 매우 어려운 아동 수, 담당아동 연령대에 따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담당 아동의 기질이 까다롭지 않고 순한 집단, 담당아동들에 대한 문제행동 지각 정도가 낮은 수준의 집단, 보호가 매우 어려운 아동이 한 명도 없는 집단, 12개월 이하의 영아와 24∼36개월 영아를 담당하는 종사자 집단이 양육스트레스 전체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4) 근무환경 특성에서는 담당아동 수, 1주 평균 근무시간, 근무형태(시설내 거주, 출퇴근)에 따른 집단간 양육스트레스 차이는 없었고, 직무만족도, 근무조건 융통성, 자원활동 전담자 유무, 현재 접촉 연고자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근무시간 융통성이 높은 집단, 자원활동 전담자가 있는 시설의 종사자 집단, 현재 접촉 연고자가 한 명도 없는 집단인 경우 양육스트레스 평균 점수가 전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각 특성 변인별 집단간 양육스트레스 차이의 결과를 지지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비교적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난 변인으로 아동기질, 아동문제행동 지각 정도는 뚜렷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양육효능감, 직무만족도, 근무조건 융통성, 자원활동 전담자 유무는 뚜렷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즉 아동의 기질이 까다로울수록, 아동의 문제행동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 직무만족도, 근무조건 융통성이 낮을수록, 자원활동 전담자가 없는 경우 양육스트레스는 뚜렷이 높이지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양육스트레스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을 규명한 결과 아동의 기질 > 양육효능감 > 직무만족도 > 근무조건 융통성 > 근무형태 > 보호가 매우 어려운 아동 수의 변인 순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이 나타났다. 한마디로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에게 있어서 담당아동의 기질이 까다로울수록, 개인의 양육효능감이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을수록, 근무조건 융통성이 낮을수록, 근무형태가 시설 내 거주인 경우, 보호가 매우 어려운 아동 수가 많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특성과 부모의 개인특성, 환경특성이 상호작용하며 밀접한 영향을 준다는 여러 연구결과들을 지지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는 일반부모와 같은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종사자의 양육스트레스는 보호 아동특성 중 아동의 기질과 보호가 매우 어려운 아동 수, 종사자 개인특성 중 양육효능감, 근무환경 특성 중 직무만족도, 근무조건 융통성, 근무형태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예방하여 아동에 대한 양질의 양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아동기질과 문제에 대처하고 양육효능감과 부모역할 수행 능력 향상과 유지를 위한 재교육과 보수교육의 지속적 제공,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사회적 인정 향상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보수(급여), 시설의 설비, 근무조건 융통성, 근무형태 등의 근무여건 개선, 자원봉사나 아동상담,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별도의 전문인력 충원과 보다 개별화된 아동양육을 할 수 있도록 생활지도원의 충원이 필요하다 하겠다. Although a history of bringing up by institutions is going to almost 50years, a concern for parenting stress of a worker belonging institutions of bringing up children(workers from here) where fulfills a parenting service of professional proxy for children needed protection has not been positively regarded. This study choosing workers whose role is important to decide direct service quality of protecting and bringing up children as the subject, aims to grope for a methode to enhance the rearing quality and to modify an circumstances of workers by examining if parenting stress of workers related to the rearing career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character of demography, individual character, character of protected children and character of working surroundings, as well as how each variable effects on fostering stress. Matters followed are dealt with in this study. Firstly, general tendency (degree) of parenting stress of workers is inspected. Secondly, a question of if the parenting stress of workers is different according to character of demography, individual character, character of protected children and character of working surroundings, is inspected. Thirdly, a question of what is a prerequisite giving a good explanation about parenting stress of workers is inspected. For this study, nursery instructors of 71 institutions from 240 institutions of bringing up children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were questioned, and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ed. Firstly, tendency (level) of parenting stress of workers seemed to be about the middle. That is similar level to parenting stress of general mother of employment studied precedently. In other words, it presents workers are likely to have the first responsibility the same as parents role of general family for children needed protection during everyday life, and they do not make one- sided relation simply protecting, managing, and controling children as their career. Secondly, results of investigating differences of parenting stress of workers according to each variable are 1) in terms of character of social demography, sex distinction, age, qualification relating to social well being did not make an effect, but a difference of schooling was meaningful. That is, marks of parenting stress was high in case of a group having high academic background ( higher than collage graduation, and a group of one year length of service marked relatively high than a group of 2 years and a group of more than 5 years length of service. 2) in terms of a variable of individual character, both a sense of efficacy of bringing up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of parents role are meaningful. So to speak, parenting stress of a workers' group having a low level of a sense of efficacy of bringing up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appeared higher than average. 3) in terms of character of children needed protection, disposition of children, perceptual degree of children problem, a number of children difficult to protect and an age group of children in charge were all meaningful variables statistically. Namely, a group of workers where children's disposition were meek in temper, a group of workers where a perceptual degree of issued behaviors toward children in charge wes low, a group of workers where nobody was difficult to protect and a group of workers where babies under 12 months and between 24 months∼36 months were in charge got low marks. 4) in terms of character of working surroundings, there were not differences of parenting stress among groups according to a number of children in charge, an average working hour per a week and a style of working (stay in institution, attending of leaving office). However, there exited statistic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a satisfaction degree of career, flexibility of working surroundings, whether people in complete charge of volunteer activity were or not and whether close relatives were or not. That is to say, a group whose satisfaction degree of workers and flexibility of working hour were high, a group of workers where people in complete charge were and a group whose relatives were not in touching with, got lower average marks of parenting stress than average of the whole. Thirdly, having analyzed a mutual relation to support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between groups divided by each character of variables, disposition of children and perceptual degree of children problem were vivid variables showing positive relation , but a sense of efficacy of bringing up, a satisfaction of working, flexibility of working hour and whether people in complete charge were or not, were in negative relation. Namely, the more children were captious, the higher was perceptual degree of children problem, the lower were a sense of efficacy of bringing up, satisfaction degree of working and flexibility of working hour, and in a case that there was not person in complete charge, parenting stress tends to become higher expressively. Fourthly, as a result of clarifying variables that explains parenting stress of workers the best, disposition of children > a sense of efficacy of bringing up > satisfaction degree of working >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 > a style of working > a number of children difficult to protect effect meaningfully in order. Summarizing it into a word, it is predictable for fostering stress to become higher provided the more children in charge are captious, the lower is a sense of efficacy of individual bringing up, the lower is satisfaction of working, the lower is flexibility of working hour, in a case that a style of working is stay in institution and the more is a number of children difficult to protect. These results support several studies precedent that parenting stress undergoes various influences of character of children, individual character of parents and character of circumstances and effects each other. Through the results of study above, workers experience the same parenting stress as every parents, and it is very affected by disposition of children and a number of children difficult to protect among character of protected children, a sense of efficacy of bringing up among individual character of workers, and satisfaction of working,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 and a style of working among character of working surrounding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qualified rearing service by diminishing parenting stress of work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education and enhanced-education for keeping and improving an ability fulfilling a role of parents and a sense of efficacy of bringing up well and for coping with problems and various disposition of children, to give resonable pay for enhancing social acknowledges and satisfaction of working, to improve a style of working,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 and facilities of institutions. Also to recruit not only professional manpower for developing volunteer activities, children counselling, education and program but nursery instructors for more individualized education of children is strongly required.

      • 아동양육시설 내 초등학교 근무 교사의 시설보호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안예나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아동양육시설 내 초등학교 근무 교사의 시설보호아동 지도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t an Elementary School within Child Care Facilities 안 예 나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은 향) 최근 이혼이나 가출, 학대, 빈곤 등으로 인한 가정해체가 늘어나고 있으며 부모가 아동에게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지 못해 가정 밖으로 양육되는 ‘보호대상아동’이 늘어나고 있다(보건복지부, 2020). 이러한 사회적 영향으로 교사들은 학교에서 시설보호아동을 만나게 될 경우는 증가하게 되었고, 시설보호아동을 지도해 보지 않은 많은 교사들은 시설보호아동들에 대한 지도의 어려움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파생되는 여러 감정의 대응과 감정의 처리에도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해 연구자는 양육시설 내 초등교사의 시설보호아동의 지도 경험에 대해 주목하며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시설보호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시설보호아동을 지도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양육시설 내 초등학교 근무 교사의 시설보호아동 지도 경험은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가, 둘째, 양육시설 내 초등학교 근무 교사의 시설보호아동 지도 경험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연구 문제를 위해 사용한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은 연구자 경험의 내러티브에서부터 시작한다(김수진, 2016)는 점에서 연구자의 자전적인 이야기로 내러티브를 시작한다. 연구자 삶의 이야기와 경험이 연구 참여자로의 이야기되는 삶, 경험과 함께 이야기되는 삶과 경험 속에서 나타나는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가 아동양육시설 내 초등학교에 근무할 때 함께 근무했던 교사로서 시설보호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는 함께 내러티브를 검토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4년 3월부터 6월까지이며, 연구 참여자들과 공식적인 면담은 2024년 3월부터 4월까지 이루어졌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주로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 내용을 녹취한 전사 자료이며 수업 중 수집한 그림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자는 시설보호아동을 지도하였음에도 서로 다른 인식과 감정을 가진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에 주목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이 지금 현재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모습의 교사로 살아가고 있는지 공통된 함의를 찾아보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보호아동을 지도한 교사들은 그 과정에서 다양한 감정을 느꼈다. 연구 참여자 A는 막막함, 불안함, 무능력함, 연구 참여자 B는 답답함, 아이들에 대한 미움을, 연구 참여자 C는 문제행동을 지도하지 못하는 자신을 보며 무능력함과 스트레스, 자존심 상하는 느낌을 받았고, 연구 참여자 D는 수업에 대한 막막함을 느꼈으며, 혹시 아이가 문제행동을 할까 학생을 만나는 내내 학생의 눈치를 보고, 불안감을 느꼈다고 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설보호아동들이 일반 아이들과는 다른 형태의 ‘집’에서 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핍’에 주목하였다. 아이들은 사적 공간이 부족하고, 지켜야 하는 규칙이 많은 집에 살고 있기에 학교라는 곳에서 아이들이 자유롭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시설보호아동들을 지도한 교사는 시설보호아동들이 시설이라는 곳에 살고 있고, 부모가 없음으로 인해 느끼는 사회적 낙인과 결핍으로부터 차별과 편견 없이 성장할 수 있도록 교사로서, 동시에 아이들의 보호자가 되려고 하였다. 넷째, 시설보호아동을 지도한 교사는 시설보호아동들이 불평등한 기준으로 생긴 서열에서 벗어나 소중한 존재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설보호아동을 바르게 성장하게 해주었던 것은 어른들의 옳은 소리가 아닌 사랑과 기다림이었다. 교사들은 학생을 훈육하는 대신 함께 힘든 감정을 공감하고 아이가 변할 수 있도록 관심을 놓지 않고 기다려 주었다. 최근 ‘서이초 사건’, ‘주호민 특수교사 사건’ 등으로 교사들은 교사로서 꿈꾸었던 교육 전문가로서의 자율성을 발휘하는 일은 어느덧 상당한 용기를 요하는 일이 되었고, 아이들과 적극적으로 만나서 교육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는 교사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들은 그동안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마음속에 각자 담아두었던 많은 것들을 함께 꺼내보며 힘들었던 부분을 해소하였고, 현재 형성된 교육계의 분위기와는 상반되게 학생들에게 교사로서, 동시에 보호자로서의 위치에 서서 아이들과 적극적으로 만나고, 아이들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용기 있는 교사로서 성장할 수 있었다. 주요어: 아동양육시설, 시설보호아동, 초등학교 교사, 내러티브 탐구 ※ 본 논문은 2024년 8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의 아동학대 인식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을 중심으로

        윤소연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아동을 도울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심각성, 관련법, 신고의무제, 예방교육 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에 위치한 아동양육시설 종사자 169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신고의무자인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안재진(2002), 김지경(2002), 김소연(2002), 이미영(1999), 김지윤(2000)이 사용한 질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와 t검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고의무자인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전반적 인식 정도는 어떠한가? 학대의 증상에 대한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을 살펴보면, 신체적 학대 3.76% 정서적 학대 3.49%, 방임 3.21%, 성적 학대 3.12%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가 어느 정도 일어난다는 질문에 대한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을 살펴보면 종사자들은 아동학대의 발생에 대해서 대다수 종사자들이'매우 많이 일어난다'고 89명(52.67%)이 응답하였고, 심각성 역시 대다수의 종사자들이'다소 심각하다'고 89명(52.66%)이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고의무자인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의 관련법과 신고의무제에 대한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아동학대에 대한 관련법에 대한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결과는 169명 중 105명(62.13%)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응답자 중 64명(37.87%)정도는 아직도 관련법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은 아동학대에 대한 처벌 규정은 많이 인식하고 있고, 다음으로 학대행위에 관한 규정은 약간 높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아동하대 정의와 법 조항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고의무자인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을 아동학대에 관한 예방교육경험과 필요성에대한 인식 정도는 어떠한가? 아동학대에 대한 적절한 교육경험의 인식에서는 겨우 과반수가 적절한 교육을 받았다고 하였지만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에 참석할 것인가를 묻는 문항에서는 대부분이(71.6%)의 종사자가 교육이 필요하고 교육에 참석하겠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바탕으로 아동학대 방자 및 예방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한다. 첫째,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우리나라 전체에 대한 심각성에 대한 종사자들은 높은 인식을 고려할 때 이는 우리나라 전 국민의 인식변화를 통해 아동학대 행위가 빠른 시일 내에 우리사회에서 근절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부는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신고절차나 신고자 신분 비밀 보장에 대한 명확한 정보제공, 그리고 신고의무자에 대한 법적인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학대 관련 교육 및 세미나를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받을 수 있도록 공교육 교육과정에 포함해야 한다. The research aims to get a grip on an Understanding level of cruelty to children in concerning to the profession of Children rearing facilities. Also the subject of research inquires closely into the understanding of cruelty to children,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regulation, system of obligatory report, campaign for prevention in concerning to the profession of Children rearing faciliti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level of cruelty to children in concerning to the 169 professions of Children rearing facilit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 whom have under a charge to report, using the reconstructed questionnaires which is taken by Jae-jin, Ahn(2002), Ji-kyoung, Kim(2002), So-yen, Kim(2002) Mi-yung, Lee(1999) and Ji-yun, Kim(2000) already, and that used to a frequency, a percentage, an average, a standard deviation, a ANOVA and a T-verifi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ings: 1. What does the profession of Children rearing facilities think of that understanding level of Cruelty to children? It was shown physical cruelty 3.76%, mental cruelty 3.49%, noninterference 3.21%, sexual abused 3.12% when it makes an analysis about the description of cruelty When I examined the question of frequency, 89people(52.67%) answered that the accidents occur in our country frequently. Also 89people(52.67%) replied to the question of seriousness as they understand it, is very serious. 2. What does the profession of Children rearing facilities, whom under an obligation to report think of that the regulation and the system of obligatory report?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any of professionals of Children rearing facilities understood about the regulation, there were 105people(62.13%) said like that in 169 people and 64 people (37.87%) didnt understand yet. So we can draw an inference from the results, the professionals knows the penalty of regulation generally, in addition they have a better understating of the cruelty to children, but they are deficient in the understanding of definition and each article. 3. What does the profession of Children rearing facilities, whom under an obligation to report think of that the campaign and the need for prevention or instruction? The majority of professionals in the children rearing facilities had experienced a discipline for prevention and the most professionals (71.6%) gave assurances that the discipline of cruelty to children would be needed; they would be attending the discipline. In conclusion, it put forward a proposal for a prevention of Cruelty to children as like that, which is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s. Firstly, when we think of that the seriousness on understanding level of Cruelty to children as they understand it, we should finish the Cruelty to children by a change of people's awareness as soon as possible. The government should have to acquaint them with a procedure of report and under the guarantee on a reporter's privacy though an aggressive advertising campaign. Also that should include an instruction for preventing cruelty to children and a Seminar into a course of public education system, make it generally taken as well as the professionals in the children rearing facilities.

      •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차진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자립의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아동양육시설 19개 중 설문 응답을 허락해준 시설에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남·여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18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자립의지 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과 전체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자립의지 간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모두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자아탄력성이 자립의지에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설 청소년의 자립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 보육사의 아동기 양육경험, 전문성 인식 및 직무환경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언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시설거주아동의 특성과 욕구가 다양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아동양육시설에서는 과거와 같이 단순한 차원에서 아동을 수용․보호해서는 안되며, 보육사는 주양육자로서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양육태도는 아동의 인성 및 사회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보육사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거주아동에게 있어 보호환경이라 할 수 있는 보육사의 경험을 아동기 양육경험, 직업에 대한 전문성 인식, 직무환경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하위요인들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보육사의 양육태도를 활성화하는 요인과 저해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시설거주아동의 복지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위해 경상북도 내 아동양육시설 15개소 보육사 중 타 업무의 병행 없이 순수하게 보육업무만을 전담하는 보육사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성실한 12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사의 연령, 결혼상태, 자녀유무에 따라 양육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40세 이상일 때, 기혼일 때, 자녀가 없을 때 양육태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사의 아동기 양육경험, 직업에 대한 전문성 인식, 직무환경은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거부적 태도, 통제적 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아동기 때 긍정적 양육을 받았을수록, 직업에 대한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환경이 좋을수록 긍정적 양육태도는 증가하고, 부정적 양육태도는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직업윤리와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환경의 하위요인 중 역할모호성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과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이 직무환경의 하위요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자율성과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 도전은 긍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이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보다 긍정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가지고 있는 양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로 잡기 위해 아동분야 사업안내 지침에서 보육사의 양육기술에 대한 교육을 필수로 규정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보육사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직업 영역 중 하나로 인식되어야 하며, 보육사들의 전문적인 단체 구성을 통해 아동양육에 대한 직업윤리를 강화하고, 보육사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보육사의 물리적인 직무환경 개선과 더불어 보육사 1인당 양육 담당 아동 수 및 교대근무 실시 권고에 맞게 보육사 인력이 배치되도록 행정기관의 책임 있는 관리․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are varied and complicated. Accordingly, the child caregivers should provide professional and comprehensive services, and the child care facilities should not care for and protect children with the methods used in the past. In particular, the attitude of child caring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sociality of children to a large extent; therefore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s of caregivers to child care. In this research, accordingly, the experiences of a child caregiver, which can be seen understood as the protective environment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ve been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experience in child caring service from childhood and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in the job and work environment. Through this, the factors which that vitalize and deteriorate the attitude of child caregivers to child caring have been examined an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welfar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o carrying out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33 child caregivers, whose only job is childcare and nothing else only without other tasks, in 15 facilities in Gyeongsangbuk-do.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128 ones with reliable answers were used for analysis.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SPSS 18.0 for Window was employed for analyz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value,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from analyses are below. Firstl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marriage status, children and attitude to child caring of caregivers. This indicates that caregivers who are over 40 years or over, married and without children exhibit better attitude to child caring. Secondly, there was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of the job, work environment with affective attitude and autonomous attitude, which are sub-elements of attitude to child caring while there was negative (-) correlation with work environment. That is to say, higher levels of receiving positive child care from childhood,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and work environment were found to result in better positive attitude to child caring and less negative attitude to child caring. Third, work ethics, social and economic status i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unclear role in work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 child caring. In addition, the sub-element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was higher than the sub-element of work environment. In particular, autonomy, (a sub-element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unclear role and challenge, (which a sub-element of work environment) were found to affect positive attitude to child caring. The conclusions fro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hild caring related business guidelines should contain education on child caring skills, and there needs to be systematic and sustainable education for the adjustment of negative perceptions on child caring of caregivers about child caring. Secondly, child caregivers should be seen as a professionals job. Thus, work ethics for child caring should be reinforced and the rights of caregivers need to be protected through a professional group of child caregivers. Finally, the physical work environments of child caregivers need to be improved. Also, there needs to be responsible administration and control from administrators for the arrangement of the work forces to meet the recommendations for the number of children allocated per one caregiver and work rotation.

      •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나미나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중․고등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도모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한 목적으로 조사, 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에서 시설 내에 형제가 있는 청소년과, 가족과 만남을 가지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아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적응에서 시설 내 형제가 있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학교생활적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의 개인 내적 보호요인들과 개인 외적 보호요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들 중 가족과의 만남을 가지는 청소년과,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자아탄력성의 개인 외적 보호요인에서 학교차원의 학교돌봄의 관계와 기대, 지역사회차원의 돌봄의 관계와 기대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가족과의 접촉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이룩함으로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의 가족과의 접촉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가족연계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심리?정서적 안정을 위한 개입이 필요하며, 자아탄력성을 유지?증진하기 하기 위해 효과성을 검증받은 의사소통 능력, 건전한 감정해소능력, 적극적 문제해결능력, 긍정적 사고능력을 포함하는 자아탄력성 증진 훈련프로그램이 개발?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하여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기효능감 프로그램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를 증진을 위한 자기 성장 집단 상담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필요한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스트레스 대처 훈련 프로그램, 장차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퇴소 후의 경제활동과 취업을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학교와 상황과 여건, 청소년들의 현 상태를 고려하고,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influence which self-resilience of juvenile in child-care facility has on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23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child-care facility as the target. The results which were surveyed and analyzed as well as contemplated with the purpose of seeking practical social welfare methods in order to contrive self-resilience of youth in child-care facility are as follows. First, for self-resili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juvenile with siblings in child-care facility and those who meet with their family were confirmed as having higher self-resilience while for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their self-resilience was shown to be mostly lower. Second, for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aving siblings in the facility was revealed as having a well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youths with sibling in the facility had higher school adjustment rate than those who did not.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internal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of the self-resilience of juvenile in child-care facility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hile among them, the school perspective, the personal external protective factor of self-resilien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Fourth, as a result of checking the influence sub-factors of self-resilience of juvenile in child-care facility have on school adjustment, it wa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and expectation of caring in the perspectives of schools and local societies are the sub-factors which influence school adjustment for those who have meetings with family and are hig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as the personal external protective factors of self-resilience. If practical social welfare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adjustment of juvenile in child-care facility a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y are as follows: First, since contact with family wh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s establishes positive growth and development for youth in child-care facility, family-liaison programs to expand opportunities for juvenile who live in facility regarding contact with family should be activated. Second,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re necessary to fortify the self-resilience of juvenile in child-care facility while self-resilience improvement training programs which include effectiveness verified communication ability, silent emotion-settlement ability, ac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positive thinking ab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self-resilience. Third, to help the school adjustment of juvenile in child-care facility, self-efficiency programs to decrease anxiety and depression while improving social correlation should be provided as well as group counseling for self-growth which could improve the self-respect and friendship of the youth and lower their stresses. Additionally, socio-technical programs to improve techniques necessary for social correlation such as the daily lives of juvenile in care facility, stress-coping training programs to effectively cope with stress which influences their personality formations or school lives, and career searching programs for finance activities and employment after the discharge of the youth from child-care facility should be run. Therefore, proper services should be provided b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and circumstances of each school and youth while assessing how the correlation are with the network related to the youth in child-care facility. Lastly, subsequent studies on political aspects for improving their school adjustment ability should be constantly made by intensifying the self-resilience of juvenile in child-care facility.

      •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문은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고 탄력성을 강화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경북지역 아동양육시설 21개소의 고등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탄력성에서 학교성적이 중․상위권 청소년들과 종교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의 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이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내적 요인인 지적 차원과 의지적 차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을 강화하고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탄력성의 지적 차원을 강화할 수 있는 지적 능력개발 및 학습지원과 심리, 정서적 지지체계 구축 및 종교 활동을 통해 영적 안녕을 누릴 수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의 탄력성 내적 요인의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지적 차원인 자기효능 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의지적 차원인 낙관 성 향상 프로그램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응에 필요한 사회기술 프로그램,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 등 긍정적인 스트로크(stroke)강화 개입이 진로성숙도의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셋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 외적 요인의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시설,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하여 진로프로그램을 활성화 하며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해 또래 상담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퇴 소 직전에는 자립준비 기술평가 자립지원관련 정보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 내적․외적 요인을 강화하고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스티그마(stigma)가 대물림 되지 않도록 탄력성 강화에 영향을 주는 건전한 감정 해소 능력을 강화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들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심리적 유연성을 가지고 떳떳하게 사회에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실천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의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improvements on building relationships and social skills of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through group music therapy program. Total of twenty mentally disabled people from the rehabilitation facil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y were second-degre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who had not been able to participate in any of the facility programs and have SQ below 24 and IQ between 35 and 49.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performed after dividing twenty people into two groups: ten people were set as an experimental group to take the music therapy program and the rest of them that could not take the program were set to be the control group.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lasted 45minutes, once a week for 13 weeks period from September 2009 to December 2009. As a research tool,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developed by Gresham & Elliott(1990) and reorganized into 3 main parts (cooperation, assertion, and self control) by Kim-Hyung Ji(1996 was used. The checklist for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was reorganized by a researcher, considering 10 questions that derived from 14 scales i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Catel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as follows: First, to find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the inter-item consistency was checked by using Cronbach coefficients α. Second, the group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scor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ird, ANOVA test was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 scor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st period. Mauchly's test of sphericity was performed. When the sphericity assumption was satisfied, the effect test of the inner group was perform by a one-way ANOVA test with the assumption of the sphericity and simple main effects was checked for finding out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test period. The results were proven as follows: First, the group music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kill improvements to mentally disabled adult job seekers. Second, the group music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building social relationship to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Thus, it was proven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s on social skills to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and also under the sub categoryㅡcooperation, assertion, and self-control. Moreover, it had positive effects on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After all, the group music therapy have positive influences to mentally disabled job seekers who are preparing to get jo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