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급식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현미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결식아동에 대한 지원으로 실시되고 있는 아동급식사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급식사업에 관한 보건복지가족부, 관련문헌, 연구논문, 정기간행물, 각종 통계자료와 보고서, 세미나 자료 및 정책 자료 등을 정리 ․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식대상에 있어 선정의 불명확성과 선정과정에서 교육청과의 협조체제의 미비, 결식아동 관리, 발굴의 부족 및 획일적 지원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결식아동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규정되어야 하고, 대상자 선정을 위한 정확한 실태조사의 실시와 함께 급식지원 연계조치를 하여 적극적 실태 파악을 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 담당자를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급식 내용에 있어 지역아동센터, 식품권, 주․부식 지원문제, 낮은 급식지원단가로 인한 아동들의 선택권의 제한 및 부실도시락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활성화와 지역아동센터 이용대상자가 확대실시 되어야 하고, 급식지원단가가 현실화되어야 한다. 셋째, 급식전달체계의 이원화된 전달체계와 급식지원 시설 부족의 문제, 유명무실한 아동급식위원회, 민간부분 자원 미활용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담당부처간의 통합 및 명확한 역할 분담 체계 구축하고, 서비스 연계 및 통합적 대책을 마련하고, 아동급식위원회 내실화 추진 및 역할 강화,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가족부의 연계를 통한 학교급식 인프라 활용과 지원방법의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급식재정에 있어 지방이양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급식비의 중앙정부 지원으로 급식비지원 체계를 개선하고 충분한 급식 예산확보가 진행되어야 한다. That this research is enforced by support about pupils without lunch examine change process of child meals business draw problem analyzing present condition There is the purpose to present improvement way accordingly. hereupon this research about child meals business health and Welfare household Department, connection literature, investigation, gazette, various statistical datas and a report, seminar data and policy data etc. result that arrange and analyze is as following. First, fire categoricalness of choice and choice process in meals target support problem drew unpreparedness of cooperation system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pupils without lunch administration, the tribe of excavation and uniformity enemy. definite justice about pupils without lunch should be prescribed to improve this do meals support link air with enforcement of correct fact-finding mission for greate box choice so that can do active actual conditions grasping, must support social welfare person in charge. Second, is in meals contents by area child center, food book, week·corrosion support problem, low meals support parishioner children's limitation of option and problem of insolvent lunch basket drew. to improve this area child center spur and area child center utilization target length extension enforce must meals support unit cost should be actualized. Third, dualized last month of system meals last month system and meals support equipment tribal problem nominal child meals committee, common people part resources America practical use problem drew. construct integration between charge countersignature and definite role division of labor system to improve this ready service link and synthetic countermeasure propulsion and role consolidation child meals committee substance skill through link of education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and Health and Welfare household department must grope school feeding infra practical use and specific plan of support method. Fourth, local transfer problem in meals finance drew. by central government support of meals rain to improve this improve meals bean-curd refuse circle system and enough meals budget security should be gone.

      •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 급식시설 운영 실태조사 및 위생수준 평가

        박숙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시설 운영실태와 위생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평가, 급식시설 현장평가를 통해 위생수준을 점검하여 나타난 위생관리 문제점의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지역아동센터 시설운영주체는 개인이 가장 높았으며, 이용아동 수는 전체지역에서 20명 이상 29명 이하인 곳이 6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사가 있는 센터는 전체 7.0%, 조리사가 있는 센터는 전체 56.5%로 예산부족으로 인해 채용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종사자들의 겸직으로 급식운영이 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 급식일지 중요도-수행도 비교 결과, 식단표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보다 수행도의 점수가 높았으며, 급식운영일지, 검수일지, 조리사 면허증, 검식일지, 조리원 위생교육일지, 재고조사표, 건강진단결과표, 소독실시필증, 비품대장표 항목에서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대구지역은 식단표의 중요도가 4.54점, 경북지역은 건강진단결과표의 중요도가 4.5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구지역은 식단표, 위생점검일지의 수행도가 4.51점, 경북지역은 식단표가 4.61점으로 수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생관리 운영 실태조사 결과, 종사원의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시설은 87.9%로 대구·경북지역 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대부분 위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위생교육 받은 내용을 현장에 적용하는 시설은 70.8%로 조사되었다. 위생교육 받은 내용을 현장에 적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설 및 기기 부족이 30.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위생시설 실태조사 결과, 오염·비오염구역 구획구분이 되어있는 시설은 전체 48.2%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전처리용·조리용 개수대가 구분되어 있는 시설은 전체 53.0%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내부벽·바닥 타일이 설치되어 있는 시설은 전체 44.2%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온장고는 대구지역 31.9%, 경북지역 12.0%가 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위생관리 중요도-수행도 비교 결과,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료 선입선출, 구매한 식재료의 주기적인 유통기한 확인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와 수행도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01). 구매한 식재료의 주기적인 유통기한 확인, 식재료 검수일지를 작성․보관 항목에서 대구·경북지역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p<0.05). 수행도는 작업 전 작업자들의 건강상태 확인, 식재료 검수일지를 작성․보관, 식재료와 조리된 음식은 바닥에서 60cm이상 떨어진 곳에 보관, 보존식 보관 및 관리기준 준수 항목에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급식시설 현장심사 결과, 대구지역의 경우 시설관리 32.0/45점(71.1%), 개인위생관리 17.7/24점(73.6%), 작업위생관리 28.0/48점(58.3%)으로 전체 평균 77.7/117점(66.4%)로 나타났다. 시설관리, 개인위생관리영역에서 경북지역이 대구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과 경북지역 모두 작업위생관리영역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 중점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분야로 조사되었다. 급식시설 청결도 확인 결과, 기구·용기영역에서 칼은 전체 37.5%, 도마는 전체 42.9%, 식판은 전체 100%, 행주는 전체 42.9%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설·설비 영역에서 싱크대는 전체 50.0%, 작업대는 전체 12.5%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냉장고 손잡이는 모든 센터에서 부적합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위생영역에서 작업자 손은 전체 57.1%, 고무장갑은 전체 100.0%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급식 운영에 있어 위생관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도록 영양사의 배치가 필요하며, 효율적으로 위생관리가 되기 위해 급식시설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매체, 매뉴얼을 개발하여 위생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아동센터 급식시설에 시설 및 기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시설이 많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offers preliminary data to strategize improvements of sanitation management problems revealed by inspecting sanitation level, through the field evaluations on foodservice facilities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items and management of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Most of Community Child Centers are privately owned, and the numbers of children 20 to 29 was 63.0%, the highest. Only 7.0% and 56.5% of the centers had nutritionists or cooks, respectively, due to budget deficit, and foodservice are run by employees holding other works. As a result of comparing importance-performance in foodservice journal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score of importance is higher than that of performance in all items except for menu.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items such as foodservice journal, inspection journal, cook license, meal sampling, sanitation education journal, inventory tag, health examination result list, certificate of disinfection and equipment register(p<0.05). The highest importance scores were menu in Daegu with 4.54 and health examinations result tables in Gyeongbuk area with 4.56. The highest performance scores were menu and sanitation check journal in Daegu with 4.51 and menu tables in Gyeongbuk area with 4.61.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of sanitation management found that 87.9% of employees had regular health inspec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egu and Gyeongbuk(p<0.05). Most of sanitation educations are necessary, and it is found that contents of sanitation educations are applied to fields in 70.8% of facilities. Among the reasons why the contents of them are not used in the fields, the rate of shortage of facilities and devices is 30.1%, the highest one.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of sanitation facilities found that separated of contaminated and non-contaminated areas are 48.2% of all, and they are significantly more founded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1). separated of sinks for pre-processing and cooks are 53.0%, and they show significant higher rate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5). Interior wall, floor tile installation are 44.2%, and they are significantly more founded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5). 31.9% of centers in Daegu and 12.0% of centers in Gyeongbuk area were equipped with hot holding table(p<0.05). As a result of comparing importance-performance in sanitation management show that importance is higher than performance in all item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ll items except for FIFO of stored food and checking of periodic expiration date(p<0.00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items such as checking of periodic expiration date and ingredients to create and store logs inspection, is found between Daegu and Gyeongbuk(p<0.05). For the performance, some items are shown as higher in Daegu than in Gyeongbuk: examination health check before working, ingredients to create and store logs inspection, handing food on working table with at least 60cm hight from floor and preserved food and managing compliance standards(p<0.05). The results of field examinations of food-service facilities, the score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sanitation management is 32.0/45(71.1%); personal hygiene management, 17.7/24 (73.6%); and foodservice processing sanitation management, 28.0/48 (58.3%), and average scores of which is 77.7/117 (66.4%) in Daegu. The levels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sanitation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are higher in Gyeongbuk than in Daegu, and both of which show the least level in foodservice processing sanitation management which should be thus intensively managed. As result of cleanliness check in foodservice facilities, it is found that knife is suitable for 37.5% of all centers, chopping board 42.9%, food tray 100%, and dishtowel 42.9% in cooking utensils and that sink 50.0%, working table 12.5% in facilities/equipments. And grip of refrigerator is unsuitable for all centers. In personal hygiene, hands of workers and rubber gloves are suitable for 57.1% and 100% of all centers. In the foodservice management, employments of nutritionists are needed to improve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and the sanitation education is thought to be provided to managers based on developments of various medium and manual, for the efficient sanitation management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should be continuously supplied to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due to relative lack of them.

      • 초등학교 급식의 수산물 이용실태및 소비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조미연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외식산업의 발달로 식생활이 서구화 되면서 고지방식품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의 식품 소비 패턴의 변화로 인해 수산물의 섭취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최근 일부 기호도 조사에서는 어린이의 경우 수산물에 대한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단체 급식처에서 제공되는 메뉴의 경우 잔식량이 비교적 높은 음식으로 생선조리 음식이 지적되고 있다. 즉 수산물의 가공 조리면에서 아동의 기호도와 기대치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산물의 섭취 기피와 조리 기피요소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급식에서의 수산물 식품/음식의 이용실태 분석을 통하여 급식아동의 기호도와 얼마나 근접되어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서 성장기 아동들에게 수산물 음식의 섭취 기회를 증가시켜 수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전국 초등학교 163개교의 영양사와 5학년 아동 4120명을 대상으로 우편 서베이 방법을 이용하여 수산물 식품/음식의 이용빈도 및 기호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내용분석 연구로 1999년 계절별(4개월)로 초등학교 급식의 식단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수산물 식품/음식에 대한 기호도, 급식시 수산물 식품/음식의 이용빈도, 수산물 식품/음식의 이용 장애(애로)요소, 급식에 관한 일반 사항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영양사용 155부와 아동용 설문지 3581부가 회수되어 각각 95%와 87%의 높은 회수율을 보였고 130개교의 식단이 회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산물의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1∼2회가 57.4%로 가장 많았으며 수산물 이용 장애(애로)요소로는 식품의 안전성이 71.6% 학생의 기호도가 68.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수산물로는 멸치류, 오징어류, 조개류, 동태/동태포, 새우류순이었다. 2. 수산물 이용도와 관련된 변인을 분석시 지역, 급식인원, 식단가, 근무학교의 형태와 수산물의 이용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표준조리법을 사용하는 경우 수산물의 이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급식 아동의 수산물 섭취빈도는 일주일에 3∼4회 섭취가 34.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일주일에 1회, 거의 먹지 않는다. 하루에 한두가지 섭취 순으로 나타났다. 수산물 식품/음식 섭취장소는 집이 43.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교급식과 외식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에 따른 수산물 섭취빈도를 비교시 수산물을 거의 먹지 않거나 전혀 먹지 않는 비율이 내륙지역인 충북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하루에 한두가지의 수산물을 섭취하는 비율는 전남과 경남지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지역을 내륙과 해안지역으로 구분한 경우 해안지역에서 수산물을 하루에 한두가지 섭취한다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영양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수산물 식품/음식에 대한 기호도 조사결과는 대체로 싫어하는 편이다가 50.7%로 가장 높게 지적되었다. 5. 급식아동의 수산물 식품/음식 기호도는 수산물 식품/음식 자체에 대한 기호도의 경우,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결과가 38.1%로 가장 높았으며 좋아하는 편임 35.8%, 아주좋아함 14.7%로 나타난 반면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 식품/음식에 대한 기호는 보통이다가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좋아하는 편임이 22.1% , 싫어하는 편임 18.7%로 나타나 전체 수산물 식품/음식에 대한 기호도보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기호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지역별 수산물에 대한 아동의 기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산물을 아주 좋아하거나 좋아하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경기도에서 가장 높았고(52.7%), 경남지역에서 가장 낮았으며(41.3%) 아주 싫어하거나 싫어하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전남과 강원지역이 가장 높았다(각각 18.7%와 17.7%). 조사대상지역을 내륙과 해안으로 구분했을때에는 기호도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수산물에 대한 기호도가 높을수록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섭취빈도가 높은 경우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호도와 섭취빈도 사이에 관련성이 높음을 알수있었다. 7. 영양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수산물 음식의 기피 이유로는 45.8%가 조리방법에 좌우된다고 응답한 반면 아동은 수산물 특유의 맛과 냄새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2.1%로 가장 높았다. 8. 영양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수산물 음식 기호도에 있어서는 가장 좋아하는 생선류로는 동태포튀김이, 가장 싫어하는 생선류로는 고등어 조림으로 나타났고, 가장 좋아하는 조개류·연체류·건어물류로는 새우튀김이, 가장 싫어하는 조개류·연체류·건어물류로 해파리 냉채가, 영양사와 아동 모두 각각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9. 식단분석 결과 수산물 식품/음식을 조리방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자주 이용되는 조리법으로는 국, 탕찌개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볶음류, 무침류, 튀김류, 구이류, 조림류, 전류, 젓갈류, 찜류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동들이 좋아하는 조리 방법은 튀김류, 볶음류, 국탕, 찌개류, 전(구이)류, 찜(조림)류 순으로 나타나 약간의 차이를 볼수 있었다. 10. 학교급식에서 수산물 음식에 대한 개선사항으로는 맛을 개선해 달라는 응답이 전체의 51.8%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수산물 식품/음식에 대한 영양사 및 아동의 기호도 차이에서 볼 수 있듯이 영양사들은 아동이 수산물 음식을 기피한다라는 의식보다는 수산물 음식의 섭취기회를 더 제공할 수 있도록 급식식단 작성시 수산물의 이용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 아동이 수산물 음식을 기피하는 이유로는 수산물 자체의 맛이나 냄새 때문이며, 조리방법에 따라서도 좌우되므로, 수산물 자체의 맛이나 냄새를 변화시킬수 있는 조리법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며, 특히 아동들이 먹기 편하도록 가시나 뼈를 제거하는 등의 식품 구입 및 검수시의 배려가 필요하다. 3. 조리법 선택시 아동이 선호하는 조리법을 반영함으로서 잔식량 감소 및 학교 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4. 기호도가 낮지만 영양적으로 우수한 수산물의 섭취를 권장할 수 있는 영양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onsists in facilitating seafood consumption by increasing its intak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hrough analysis of seafood using frequency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For that purpose, randomly sampled out from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county were 155 dietitians and 5th grade 3581 children, on whom a mail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ir seafood using frequency, and choices, and lunch menu by seasons (every four months). Subjects of study consisted of seafood choices, using frequency, obstacles (bottlenecks) in seafood use, and general matters on the provision of meal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eafood using frequency of the respondents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in one or two times a week, while obstacles (bottlenecks) in seafood use presented high values in the safety of food by 71.6% and children choices by 68.4%. 2. the seafood intake frequency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ree or four times a week by 34.5% and the places of seafood intake indicat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home by 43.5% and then came in order of school provision of lunch and dining out. 3. The dietitians responded that children for the most part had not a preference for seafood, whereas the children pointed out average by 46.2%. 4. As for reasons for avoidance of seafood, the dietitians expressed the highest response in it depends very largely upon the art of cooking by 45.8%, while the children because of its peculiar taste and smell by 42.1%. Their required improvement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improve the taste by 51.8%. 5. The children most preference for seafood that dietitians thought included fried jerked frozen pollack and fried shrimps, while dislikes seafood hard-boiled mackerels and cold jellyfish strips. 6. The arts of cooking frequently used were represented in order of soup, broth, and stew, and the children's preferred art of cooking was from fried foo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1. The intention to increase seafood using frequency is needed to at the time of formulating menus so that more seafood-providing opportunities can be given. 2.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cooking is urgently needed that can change the taste or the smell of seafood, and concurrently with this conveniences be taken into account in eating such as elimination of bones, etc. as early as the states of purchase or checking of seafood. 3. The reflection of the preferred arts of cooking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atisfaction with the seafood as well as to the reduction of food remnants. 4. The recommendation of intake of low choice but nutritionally good seafood is required to be expanded in nutrition education.

      • 도시와 농촌 급식아동간의 체격 및 위생습관 비교

        진은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1985 국내석사

        RANK : 248669

        1985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T시 내에 소재하고 있는 3개 급식 국민학교 중 2개교 남·여 아동 585명과 H군 내에 소재하고 있는 4개 급식 국민학교 중에서 3개교 남·여 아동 4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체검사 및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 계측치는 신장, 체중, 흉위, 좌고 모두에서 도시 급식아동과 농촌 급식아동 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도시 표준체력치보다 도시 급식아동에서 우수했고, 농촌학생 표준 체격치보다 농촌급식 아동에서 우수했다. 설문조사 결과 학교급식에 대한 견해는 도시 92.3%, 농촌 95.5%에서 필요하다고 했고, 학교에서의 위생습관 즉 급식 전에 손을 씻거나 급식후 양치질 하는데에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고, 가정에서의 식사전 손을 씻는지 여부에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reference data for effective school lunch program and health service. The study on 585 (Boys: 304, girls: 281) primary school lunch children in an urban area and 485 (Boys: 263, girls: 222) primary school lunch children in an rural area was conducted for assessing their physical consitution and sanitary condition from may 1 till May 30, 1985. Some of the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On the physical constitution. In comparing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urban school lunch children with that of rural school lunch children,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urban school lunch children was superior to that of rural school lunch children, and there was stastical difference (P< .01, P< .05) In comparing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urban and rural school lunch children with the standard physical constitution of urban and rural school children,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urban and rural school lunch children was superior to the standard physical constitution of urban and rural school children. 2) On the need of school lunch 92.3% of urban school lunch children and 95.5% of rural school lunch children want to have school lunch. 3) On the sanitary condition. In comparing the sanitary condition in the house of urban school lunch children with that of rural school lunch children, there was no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m. (P > .01) In comparing the sanitary condition in the school of urban school lunch children with that of rural school lunch children,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m. (P< .01)

      • 여름방학 중 취약계층 아동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음식점의 운영관리 실태

        김진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foodservice management in the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funded children's meal program during summer vacation. A mail survey was conducted with persons who worked in the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funded children's meal program in Seoul during summer vacation in 2010.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was employ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restaurants for different regions and types of operations. A total of 6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74 chinese restaurant, 235 bunsik restaurants and 91 Korean restaurants. Among the 139 questionnaires collected(23.2%), 138 usable ones were analyzed(23.0%).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83% of survey respondents were owners and 65% of the restaurants have an area of exclusive use space below 20 pyeong. The results showed that over the half(57.2%) of the restaurants did not employ any certified cooks. About 98% of the restaurants provided side dishes; Among them, only 42% planned menus for side dishes in advance and only a half changed side dish menus periodically. The restaurants tended to purchase food materials from food suppliers(60.9%) on a daily basis(80.4%). Most of the restaurants(89.1%) did not adjust serving size of meal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children subject to the program. Some restaurants even reused leftovers(21.7%). The suggested reasonable reimbursement rate of meals for children using restaurants differed by types of restaurants; the percentage of chinese restaurants having responded 5,000 won or higher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types of restaurants. This study revealed that foodservices in the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funded children's meal program, especially chinese restaurants, were not properly managed in terms of menu and food production management. Therefore, it is highly suggested that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restaurants need to be established and further consideration be given to whether to include chinese restaurants in the meal program.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proposed reasonable reimbursement rate of meals for children using restaurants differed by the types of restaurants, implying that a plan for adjusting the reimbursement rate according to the types of restaurants should be considered to prepare. 본 연구는 여름방학 중 아동급식사업을 통하여 취약계층 아동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음식점의 운영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2010년 여름방학 동안 서울시에서 아동급식사업에 참여한 음식점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 및 업종별 음식점 수를 기준으로 비례층화추출법을 적용하여 표본으로 추출된 중식당 274곳, 분식점 235곳, 한식당 91곳에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139부를 회수하였고(회수율 23.2%), 부실 기재된 설문지 1부를 제외한 138부를 분석하였다(분석률 23.0%). 응답자의 약 83%가 업주였으며, 음식점 중 약 65%가 20평 미만의 전용면적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반수(57.2%)의 음식점에서 조리사자격증이 있는 조리사를 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 98%의 음식점에서 반찬메뉴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이 중 42%의 음식점에서만 반찬메뉴를 사전에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기적으로 반찬메뉴를 변경하는 음식점도 절반에 불과하였다. 음식점에서 식재료를 구입 시 식재료전문 공급업체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고(60.9%), 식재료를 매일 구입하는 음식점이 많았다(80.4%). 또한 대다수의 음식점(89.1%)에서 아동의 연령에 따라 식사 제공량의 차이를 두지 않았으며, 심지어 당일 사용하고 남은 음식을 보관한 후 다음 번에 재사용하는 음식점도 있었다(21.7%). 또한 음식점에서 취약계층 아동에게 양질의 식사를 제공하기 위한 식사 지원금에 대한 의견은 업종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중식당이 분식점과 한식당에 비해 5,000원 이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결과, 음식점의 메뉴관리 및 생산관리 측면에서 음식점의 운영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식당에서 이러한 경향이 높았다. 그러므로 음식점의 운영관리가 취약했던 부분에 대해 운영관리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아동급식사업에 참여할 음식점을 지정할 때 중식당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취약계층 아동에게 양질의 식사제공을 위한 적정 가격의 응답은 업종별로 상이하였으므로, 음식점의 업종에 따른 식사 지원금의 차별화를 고려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학교 영양교육이 급식아동의 식생활태도, 영양지식 및 잔식량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 일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실증연구

        윤현희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 intake in school lunch. The subject were 1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buk area. Total 63 students (35 boys, 28 girls) were designated as the experimented group, while the other 63 students (27 boys, 36 girls)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A four week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ed group. The effects of 4 wee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changes in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 intake in school lunch were analyzed.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for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In addition to, nutrient intake in school lunch over a three day period was estimated by weighing food lef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changes in eating behavior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ed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ed group (experimented group > control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increase in nutrient intake in school lunch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ed group (experimented group > control group). Therefore, we concluded that short-term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improv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 intake in school lunch. However, it did not change in ea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improving eating behavior in elementary students by developing a long-term nutrition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