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장초음파검사에서 혈관에 따른 심장근육 Strain에 관한 연구

        박은경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심장초음파검사는 심장의 전반적인 기능 평가와 밸브 질환 및 심장근육의 움직임 등을 평가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검사이다. 그중 심장근육의 움직임은 검사자의 육안적 판단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객관적이라 할 수 없기에, 반점추적 심장초음파를 통한 Strain값을 측정함으로서 정량화시키려는 노력들이 많이 이루어지지만 여러 제약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에 정확한 심장근육의 Strain을 측정하기 위한 조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질환의 유무)이 혈관별 Strain값과 전체 혈관의 Strain 값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영상의 여러 조건 변화(General, Resolution, Compress, Gain, Chroma)가 혈관별 Strain 값과 전체 혈관 Strain 값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LAD 혈관에서 성별에 따른 분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냈고(p<.05), 나머지 혈관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분류한 연구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심장근육의 Strain값 (–18%)과 각 변환 인자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RCA에서는 Resolution, Compress, Gain, Chrom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5), LAD에서는 Resolution, Compress, Chrom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LCX 혈관은 Compress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세 혈관에 대한 연구에서는 다섯 변환인자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5).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검사 시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General 조건에서는 다른 변환된 조건보다 유의성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고, RCA에서는 Resolution, Compress, Gain, Chroma, LAD에서는 Resolution, Compress, Chroma, LCX 혈관은 Compress 조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심장초음파검사 시 협착 혈관별 유의성을 가지는 조건을 사용하여 분석하면 정확한 Strain 평가를 할 수 있으리라 사료 된다. Echocardiography is a widely used test to evaluate the overall function of the heart, valve disease, and movement of the heart muscle. Among them, the movement of the heart muscle is often made based on the examiner's visual judgment, so it cannot be called objective. Therefore, many efforts are made to quantify the strain by measuring the strain value through Speckle-Tracking Echocardiography(STE), but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r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ditions for measuring the exact strain. Through this study, whether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 affect the strain value for each blood vessel and the strain value of all blood vessels, and changes in various image conditions (General, Resolution, Compress, Gain, Chroma) ) affects the strain value for each vessel and the strain value for the entire vessel. As a result of the study,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were shown only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gender in LAD vessels (p<.05),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in the study in which the remaining vessels were classified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rain value –18% of normal myocardium and each transformation fact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Resolution, Compress, Gain, and Chroma in RCA (p<.05), and LAD vessels is Resolution, Compress and Chrom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p<.05). LCX vessel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in Compress (p<.05). In the study of whole blood vessel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in all five transformation factors(p<.05).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general condition obtained during examination was generally less significant than other converted conditions, and in RCA, Resolution, Compress, Gain, Chroma, and LAD, Resolution, Compress, Chroma, and LCX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Compress condition. showed a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ccurate strain evaluation will be possible if the echocardiography is analyzed using conditions with significance for each stenotic vessel.

      • 우측 심장을 이환한 감염성 심내막염의 임상상에 대한 연구

        박창범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 배경: 서구에서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Right-sided infective endocarditis)은 전체 심내막염 중 5-12%를 차지하고 있으며 약물 중독자에게 흔히 발생하고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은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인에서 이에 대한 기본 특성, 빈도, 연관된 선행 위험 인자, 원인균 및 우종의 위치 등에 대한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연구 방법: 1989년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들의 의무기록으로 이들의 기본 특성, 임상경과, 수술결과 등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받은 총 308명의 환자들 중 심초음파로 우종이 좌측 및 우측 심장에 확인된 환자는 각각 249명(80.8%), 34명(11.0%)이었고 4명(1.3%)에서는 양측 심장 모두에서 우종이 있었으며 우종이 확인되지 못한 경우도 21명(6.8%)이었다. 전체 34명의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4.1+15.0세 이었고 남자가 18명(53%)이었다. 심실 중격 결손, 동맥관개존중 및 폐동맥판 협착증 등의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15명(44%)이었고, 19명에서는 선천성 심장질환을 동반하지 않았다.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에 대한 선행 위험 인자는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군에서 침술, 칼 및 외상 등에 의한 피부 손상(32%, p=0.024)과 수술, 중심 정맥관 삽입술 및 내시경 등의 병원 내 침습적 시술 후 발생한 경우가 많았으나(37%, p=0.053),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군에서는 특발성으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80%, p<0.001). 심내막염의 원인균으로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군에서는 S. aureus가 가장 많았지만(13/19, 68.4%),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군에서는 S. viridans가 가장 많았다(6/15, 40%).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군에서의 우종의 위치는 단락의 형태에 따라 우심실벽, 폐동맥 등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나,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군에서는 우종이 삼첨판막에 국한되어 관찰되었다. 전체 사망률은 20.6%(7/34명)이었고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 각각 6.7%, 31.6%이었다( p=0.104). 결론: 우측 심장을 침범하는 심내막염은 드물지 않으며 서구와 달리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심장 질환이 가장 큰 위험인자이었고 이 질환유무에 따라 심내막염의 선행 위험 인자, 원인균 및 우종의 위치가 서로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Right-sided infective endocarditis(RtIE) occurred in about 5-10% of cases of total infective endocarditis. In western countries, many cases of this disease are related to drug addiction, and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 is S.aureus. But Nothing is know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tIE such as frequency, predisposing risk factor, causative organism and mortality in Korea. Method: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including baseline characteristics, blood culture, echocardiographic data, and operation records was done with clinical diagnosis with infective endocarditis at Asan Medical Center from 1989 to December 2003. Result: Of total 308 patients diagnosed as infective endocarditis, vegetations at left-sided heart were found by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in 249 patients(80.8%), right side in 34 patients(11.0%), both sides in 4 patients(1.3%) and no vegetation was found in 21 patients(6.8%). Mean age of patients with RtIE was 44.1±15.0 years, and male was 18 patients(53%). Fifteen patients had congenital heart diseases such as VSD, PDA and PS, but the remaining 19 patients didn't. Invasive procedures such as operation, central line insertion, and endoscopy and skin injuries such as knife injury, acupuncture, and trauma were common predisposing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whereas idiopathic or no predisposing risk factors are most common in patients without congenital heart disease. S.viridans was the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 in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6/15, 40%), but S.aureus was the most common in patients without congenital heart disease(13/19, 68.4%). Locations of vegetation in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were variable according to the turbulent flow, but those of vegetation in patients without congenital heart disease were exclusively in the tricuspid valve. Mortality of patients with total RtIE was 20.6%(7/34); mortality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underlying heart disease was 6.7%(1/15), 31.6%(6/19), respectively( p=0.104). Conclusion: No drug addict in RtIE was seen.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in patients of RtIE. Predisposing risk factors, causative organism and locations of vegetation were different in patients with or without congenital heart disease.

      • Cardioprotective effects of genetically engineered cardiac stem cell by spheroid formation on ischemic cardiomyocyte

        정한샘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Sca-1+ cardiac stem cells and their limited proliferative potential were the major limitation when using various studies. In addition, transitional two-dimensional cell systems had limitations in viability,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Therefore, the effects of genetically engineered cardiac stem cell (GECS) inserted with the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TERT) by spheroid formation were investigated in cardiomyocyte survival during hypoxic condition. GECS was secured by hTERT-immortalized Sca-1+ CSCs lines (CSCs). Sphere-GECS (S-GECS) was formatted using by Poly-HEMA.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pro-apoptotic factor/antiapoptotic factor, and hypoxia-induced survival factors were compared using qPCR, western blot, or cytokine array. CoCl2 was used to make a hypoxia mimicking environment and to see whether paracrine factors secreted from S-GECSs protect from CoCl2-induced death of cardiomyocyte. Gene silencing via CXCR4 siRN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protective effects of S-GECSs were disappeared. For investigating downstream pathway of SDF-1α/CXCR4, western blot of Erk and Akt signaling pathway were performed. S-GECSs were injected into the peri-infarct region of a rat model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to investigate their roles in cardiaoprotection. Optimal settings of S-GECSs were considered to be 1,052 cells / mm2 of GECSs and 48 h culture period. Compared to A-GECSs, S-GECS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RNA expression of SDF-1α and HIF-1α. In addition, cytokine array analysis and ELISA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SDF-1α in S-GECSs. S-GECSs CM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portion of early and late apoptotic cardiomyocytes during CoCl2-induced hypoxic injury. Gene silencing via CXCR4 siRNA deterior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S-GECSs in hypoxic injury. As the downstream pathway of SDF-1α/CXCR4, Erk and Akt signaling pathway were stimulated in presence of S-GECSs CM. Transplantation of S-GECSs into a rat model with AMI improved the cardiac function and reduced the fibrosis area. In border zone, expression of CXCR4 and mCD3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GECS group. Sphere formation of GECSs engineered by Poly-HEMA exhibited significantly less expression of antiapoptotic markers and higher expression of hypoxic and growth factors compared with A-GECSs. This cardioprotective effects were confirmed to be related with CXCR4 and SDF-1α pathway. We demonstrated that transplantation of S-GECSs into infarcted heart reduced infarct size and improved cardiac func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transplanted S-GECSs may possess cardioprotective roles in the infarcted myocardium by paracrine effects,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cardiac functions after MI. Sca-1 심장줄기세포는 제한적인 수득률과 증식력 때문에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큰 한계가 있다. 게다가 전통적인 이차원적 배양시스템은 심장줄기세포의 생존력, 증식력, 분화력 뿐만 아니라 기능적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인간 텔로머라아제 역전사효소(hTERT)를 이용하여 불멸화된, 유전적으로 조작된 심장줄기세포계통을 구형으로 배양함으로써 이것이 저산소장애 환경내 심근세포에 심보호 효과가 있는지, 어떠한 기전으로 그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텔로머라아제 역전사효소(hTERT)를 이용하여 불멸화된 Sca-1+인 심장줄기세포계통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GECS).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S-GECS)는 poly-HEMA 물질을 통해 형성되었다. 형성된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를 평가하고자 성장인자, 고사인자, 허혈유도 생존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심근세포의 사멸을 유도한 저산소 배양 조건에서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가 심근세포 사멸을 줄여주는 심보호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였다. 더불어, 이 효과가 SDF-1α/CXCR4 경로와 그 하위 경로에 있는 Erk 및 Akt 신호 체계를 통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끝으로,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를 급성심근경색 동물모델 내로 이식한 후에 심장기능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상적인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가 형성되는 조건은 mm2당 1,052 심장줄기세포를 파종하여 48시간 배양했을 때로 확인되었다. 부착배양과 비교하였을 때,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는 qPCR을 통해 분석결과 SDF-1α와 HIF-1α를 유의미하게 더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싸이토카인 어레이와 효소면역분석에서도 SDF-1α가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에서 높게 확인되었다. 심근세포의 저산소 배양 조건에서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의 분비물 처리는 초기 및 후기 심근세포 고사를 유의미하게 줄여주었다.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 분비물 처리는 CXCR4의 활성이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CXCR4를 유전자 침묵화할 경우 유도된 심근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SDF-1α/CXCR4 경로의 하위 신호 체계인 Erk와 Akt의 발현이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 분비물 처리시 역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급성심근경색 쥐 모델내로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 이식 후 28일째에 대조군 대비 좌심실 구출률이 개선되며 경색부위의 크기가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 이식 후 28일째에 경색부위에서 CXCR4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호스트의 CD31 발현이 증가되어 신생혈관 형성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형성된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는 SDF-1α/CXCR4 신호체계에 의해 저산소 조건에 의해 유도된 심근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급성심근경색 동물모델내로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심장기능의 개선을 확인하였으며, 그것이 구형 불멸화 심장줄기세포의 측분비효과에 의한 심보호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구형 불멸화 줄기세포는 향후 세포 치료 측면에서 유용한 세포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심장동맥 조영술과 심장동맥 중재술시 낮은 프레임 적용이 방사선량 감소 및 영상 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혁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경피적으로 시행하는 심장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CAG) 및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은 전리 방사선인 X-선 영상을 이용하여 시술한다. 이는 결정적이고 확률적인 방사선 효과에 의한 피부 손상 및 잠재적 암 유발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방사선을 이용한 시술로 인한 유익을 최대화 하면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심장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CAG 및 PCI는 연속적 촬영(Cine radiography) 방법으로 영상 획득을 한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초당 15 프레임(frame)을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초당 30 프레임까지 사용할 때도 있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타 검사들에 비해 방사선 피폭량이 높아지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FPS)와 심박동수(heart rate) 변화에 따른 방사선량 감소 효과 및 이로 인한 영상 화질의 변화 관계를 밝혀 환자 및 시술자의 피폭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심장 전용 팬텀을 사용하여 60 BPM, 80 BPM, 100 BPM으로 심박동수에 변화를 주었으며, Toshiba INFX-8000V angiography unit(Toshiba medical, Japan)을 이용하여 7.5 FPS, 15 FPS, 30 FPS로 Cine radiography 영상을 획득하고 팬텀 내 스텐트의 근위부, 중간, 원위부에서 각 3회 씩 총 81회 신호 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측정하여 신호 대 잡음비 (Signal to Noise Ratio, SNR), 대조도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 선명도(Sharpness)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FPS에 따른 방사선량은 7.5 FPS가 15 FPS와 대비 50.35 %, 30 FPS와 대비 25.21 % 감소시켰으며, 영상 화질은 SNR 값이 7.5 FPS가 (55.18) 로 15 FPS (35.89), 30 FPS (30.68)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 하였고 (p<0.001), CNR 값은 모든 FPS 비교에서 차이가 없었다 (p=0.878, 0.979). Sharpness의 경우에는 7.5 FPS와 15 FPS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16.69 vs. 19.33, P=0.160), 30 FPS는 7.5 FPS (25.40 vs. 16.69, p<0.001) 및 15 FPS (25.40 vs. 19.33, p<0.001)와 비교 시 통계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심박동수 변화에 따른 비교에서는 SNR 값이 100 BPM일 때 (45.98) 로 80 BPM(36.77), 60 BPM(39.01) 에 비해 통계적 우위를 보였고 (p<0.001), 다른 BPM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CNR, Sharpness는 심박동수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30 FPS, 15 FPS, 7.5 FPS에 따른 방사선량 감소 효과 및 영상 화질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7.5 FPS의 사용이 30 FPS 대비 선명도 면에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15 FPS과 비교했을 때에는 영상 화질을 저하 시키지 않으면서 방사선량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impact of low frame rate on image quality during coronary angiography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dose of patients and operators. Materials and Methods: Cine radiography for a coronary stent in a coronary phantom (Mocomo) was performed at 7.5 FPS, the lower frame rate than usually used frame rate during coronary angiography (15 FPS and 30 FP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heart rate of 60 BPM, 80 BPM and 100 BPM. Cine radiography also was performed at 15 FPS and 30 FPS. All images were acuqired three times per each FPS. Image qualities, measrued by the mean signal-to-noise ratio (SNR), contrast-to-noise ratio (CNR) and sharpness of the stent at the proximal, the middle and the distal part in the phantom,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frame rates and heart rates. Results: The radiation dose of 7.5 FPS was reduced by 50 % and 25 % compared with that of 15 FPS and 30 FPS respectively. The mean SNR was significantly high value at 7.5 FPS (55.18, p <0.001) compared with 15 FPS (35.89) and 30 FPS (30.6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CNR following each frame rate (p=0.878, 0.979). The mean sharpness did not differ between 7.5 FPS and 15 FPS (16.69 vs. 19.33, P = 0.160). but the mean sharpness of 30 FPS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compared with that of 7.5 FPS (25.40 vs. 16.69, p <0.001) and 15 FPS (25.40 vs. 19.33, p <0.001). According to the heart rate, the mean SNR was 45.98 (p <0.001) at 100 BPM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compared to that of 80 BPM (36.77) and 60 BPM (39.01). The mean CNR and sharpness didn'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use of 7.5 FPS demonstrated that radiation exposure dos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ithout degrading image quality compared with commonly used 15 FPS.

      • 심정지용액을 이용한 4시간의 cold ischemia와 재관류 후 propofol이 심기능 및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최성욱 高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서론: 심장이식술의 경우 이식되는 심장의 기능장애 및 세포자멸사 같은 다양한 변화를 동반하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재관류시기에 생성되는 산소자유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근 심장수술에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propofol은 허혈-재관류 모델에서 산소자유기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심근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심장이식 모델에서의 영향 및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쥐의 적출심장을 이용한 심장이식 모델에서 propofol이 심기능과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0마리의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Langendorff 관류장치를 이용하여 15분간의 안정기, 15분간의 관류기를 두고, 1분간 심정지용액을 주입한 뒤 심장을 회로에서 분리하여 4시간 동안 4 ℃의 저장용액에 보관하였다. 4시간이 지난 뒤 심장을 다시 Langendorff에 장착하여 60분간의 재관류후 좌심실에서 조직을 채취, TUNEL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자멸사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4군으로 나누었으며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허혈 전 propofol 2μM을 관류액에 첨가한 군(PRE), 허혈 후 propofol 2μM을 관류액에 첨가한 군(POST), 허혈 전과 후 propofol 2μM을 관류액에 첨가한 군(ALL)으로 나누어 각각 좌심실 생성압 회복률(recovery of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 좌심실압의 최대/최소 순간변화율(recovery of dP/dt), 심박수, 관류량 그리고, 세포자멸사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안정기시 4군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좌심실 생성압의 경우 propofol을 허혈기전에 투여한 군(PRE)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회복율이 향상되지 않았는데 propofol을 재관류시기에 투여한 군(POST)에서 대조군에 비해 회복율이 향상되었다(61.2 ± 8.5%; control, 64.3 ± 9.7%, PRE vs. 86.3 ± 12.1%; POST, 74.9 ± 13.2%; ALL, p &lt; 0.05). 최대 좌심실압의 순간변화율(dP/dt)의 경우에서도 허혈기전에 propofol을 투여한 군과 달리 재관류시기에 propofol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회복율의 향상이 관찰되었다(86.7 ± 11.4%; POST vs. 62.5 ± 13.1%; control, 62.5 ± 12.5%; PRE, 70.2 ± 26.3%; ALL). 재관류시기에 propofol을 투여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 세포자멸사의 생성도 감소시켰다(171.8 ± 23.9; control, 182.2 ± 14.0; PRE vs. 70.9 ± 9.0; POST, 77.6 ± 10.6; ALL, p &lt; 0.05). 결론: 흰쥐의 적출 심장을 이용한 심장이식 모델에서 4시간의 차가운 심정지용액을 이용한 전허혈 후 재관류 시 허혈 전 propofol의 투여는 심근기능장애에 대한 보호효과가 없으나 재관류 동안 propofol의 투여는 심근기능장애를 개선하고 세포자멸사를 억제한다.

      • 심장초음파 검사 자세가 좌심실의 수축기능 및 이완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영종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 자세의 변화나 외부 압박에 의해 심장에 압박이 가해진다면 심장기능 측정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지침서에 따르면 심장초음파를 통한 심장의 기능 측정시 사용되는 참고치들은 자세에 따른 구분은 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심장초음파를 통한 심장의 수축기능 및 이완기능의 측정에 있어서 자세와 복부 비만도에 따라 측정값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정확한 판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5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일개 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기저질환이 없는 20세에서 60세 사이의 성인 89명을 선정하였다. 심장초음파를 통해 바로 누워서 심장의 수축기능 및 이완기능을 측정하고 왼쪽으로 돌아 누워서 다시 한번 측정하였다. 총 89명을 왼쪽으로 돌아 누웠을 때와 바로 누웠을 때 심장의 수축기능 및 이완기능 측정값의 차이가 있는지 paired t-test를 통해 검증 하였고, 복부비만군과 정상군으로 나누어서 paired t-test와 t-test를 실시 하였다. 결과 : 수축기능은 복부 비만군과 정상군 모두 자세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E velocity는 두군 모두 바로 누웠을 때에 비해 왼쪽으로 돌아누웠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E' velocity는 정상군에서는 자세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p=0.164), 복부 비만군에서는 바로 누웠을 때에 비해 왼쪽으로 돌아 누웠을 때 더 낮게 측정되었다(p=0.001). 또한 복부 비만군과 정상군의 자세에 따른 E' velocity의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p=0.215). 결론 : 수축기능은 자세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지만 이완기능 측정시 두 군 모두에서 왼쪽으로 돌아 누워서 측정시 바로 누었을 때에 비해 E velocity 값이 감소하였고 E' velocity는 복부 비만군에서만 자세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이를 통해 심장초음파를 통한 이완기능의 측정시 자세 변화에 따른 변화를 보정하여 판독하여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복부비만에 따른 E' velocity값의 변화 역시 보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지침서의 참고치가 어떤 자세에서 측정된 값인지 분명히 제시 되어야 하고 자세에 따라 이완기능의 측정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세에 따른 참고치도 제시 되어야 한다.

      •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 비교

        김경숙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심장질환은 만성질환 중의 하나로 환자로 하여금 많은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경험하게 하는데, 그 유병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 심장질환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인 심장수술은 많은 위험요인이 따른다. 그러므로 합병증 발생 예방 및 재활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육이 효과적이려면 환자의 간호요구와 간호사의 교육목표가 일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보면 환자의 교육요구와 간호사의 교육목표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중요도를 비교함으로써 심장수술 환자의 요구에 맞으면서 효과적인 간호가 되도록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설계는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1999년 8월 6일부터 8월 31일 사이에 경남 소재 M시의 1개 종합병원과 P광역시 소재 2개 대학병원의 흉부외과 외래에서 심장수술후 추후검진을 위해 방문한 환자 127명과, 같은 기간동안에 같은 병원에서 심장수술환자를 간호하는 병동 및 중환자실 간호사 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CPLNI(Cardiac Patient Learning Needs Inventory)등을 이용한 12개 선행연구와 문헌 그리고 1개 종합병원 심혈관센터의 심장수술 후 건강정보지 등을 기초로 하여 내용 타당도 검정과 신뢰도 검정 및 요인분석 등을 거쳐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4점 평점척도의 42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이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 .9555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요인분석, t-test, ANOVA, Scheffe test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를 비교해 본 결과 총 평균평점 4점에 대해 간호사가 3.47(± .40), 환자가 3.25(±.44)로 간호사의 지각한 중요도가 환자의 지각한 중요도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001). 2.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 영역별로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를 비교해 본 결과 7개 영역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 .05), p< .01), p< .001), 그중 '해부생리' 영역에서만 유일하게 환자가 지각한 중요도 (3.61± .71)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3.39± .68)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5), 나머지 영역에서는 모두 간호사가 높았다. 3.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 문항별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를 비교해 본 결과 총 42개의 문항 중 32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 .05), p< .01), p< .001), '심장의 모양과 하는 일에 대한 설명' 문항만이 유일하게 환자가 지각한 중요도(3.61± .71)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3.39± .68)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p< .05), 나머지 문항은 모두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가 환자가 지각한 중요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 영역별 중요도 순위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은 환자는 '해부생리'(3.61± .71) 영역이었고, 간호사는 '질환의 일반적 정보'(3.73± .32) 영역이었다. 5.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 문항별 중요도 순위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문항은 환자는 '발생가능한 합병증 및 예방에 관한 설명' (3.70± .51) 문항이었고, 간호사는 '즉각 도움을 구해야 할 합병증에 대한 설명'(3.90± .34) 문항이었다. 6. 환자의 제 특성에 따른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지각한 중요도의 차이에서는 수술 후 경과기간별 '기타정보' 영역에 대한 지각한 중요도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 .05), Scheffe test를 해 본 결과 수술 후 6개월 미만군이 2년 이상 4년 미만군 보다 '기타정보' 영역에 대한 지각한 중요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간호실무에서 심장수술 환자들에게 심장수술 후 간호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때에 환자의 요구 및 간호의 중요도에 비해 환자가 모르고 있는 사항을 고려하여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환자들이 수술 후 첫 6개월 이내일 때에 중요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을 고려하여 이 시기에 더욱 강도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Heart disease are chronic ones which put many physical and mental distress on patients and increase the prevalence. Cardiac Surgery which is one of the methods curing such disease have many risk factors. After the surgery, therefore, an effective education for ensuring prevention of any complication and rehabilitation are very important. To perform the education effective correspondence between nursing requirements by patients and purposes of educating nurses. However many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such correspondence had not been realize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by compar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nursing educati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The study was designed in the form of comparison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Aug. 6. to 31, 1999. The subjects were 127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chest surgery to receive medical examination after taking heart operations and 82 nurses who taking care of cardiac surgery patients in chest surgery ward and ICU and other ward at one general hospital in Masan city and two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city.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is questionnaire which based on 12 previous studies using CPLNI(Cardiac Patient Learning Needs Inventory) and related literatures and a published health information for after cardiac surgery patients from cardiac center in a general hospital. And a questionnaire containing 42 items whose evaluation is made using a scale ranging from one to four points, which was directly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es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found at Cronbach α = .9555. The data were anayl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ratio,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omparison of perceived importances of nursing education after cardiac surgery between patients and nurses showed that nurses and patients were at 3.47(± .40) and 3.25(± .44) points in average, respectively, in the full mark of 4 points. This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perceived by n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y 2. In the comparison of the importa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seven content aspects of nurs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l over the aspects(p< .05), p< .01, p< .001), except in the aspect of anatomy and physiology for which the importance perceived by patients(3.61 ± 71) were higher than that by nurses(3.39 ± .68). 3. Such comparis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in terms of 42 items as mentioned above indicated that 32 among the totaled 42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 .05), p< .01, p< .001). Except in the item titled as 'explanation of the shape and function of heart' for which patients(3.61± .71) were higher in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nursing education than nurses(3.39± .68), the latter showed higher levels of such perception than the former in the remaining items(p< .05). 4. When the contents of nursing education after heart operation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priority in importances, patients perceived the content of 'anatomy and physiology' as most important(3.61 ± .71) while nurses, 'general information on heart disease'(3.73 ± .32). 5. When the 42 question items regarding nursing education after cardiac surgery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priority in importance, patients perceived the item titled as 'explanation of the shape and function of heart'(3.61± .71) while nurses, explanation of complications which need urgent treatment'(3.90 ± .34). 6. In comparison of perceived importances of the educational content aspects among patie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other information based on periods after cardiac surgery'(p<.05). Through Scheffe test, the aspect were found perceived as more important by patients whose period after heart operation is below six months than by those who are 2 to 4 years after cardic surgery.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as above, it seems desirable that nursing education after cardiac surgery should be provided with its focus on things patients are not aware of in relation to their requirements and the importance of nursing. In addition, such education should be intensely performed within the first six months after the surgery since patients perceive the education as more important within the same period than in any other periods.

      • 심장 중재적 시술에서 진단참고수준 산출 및 의료진의 피폭선량 관리에 관한 연구

        노영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현대인의 의료수준이 발전함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 1인당 연간 피폭선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대한민국의 1인당 연간 의료 피폭 방사선량은 2.4 mSv로 2016년 1.96 mSv보다 22.4% 증가하였으며, 의료방사선 평균 검사 건수 또한 2016년 6.1건에서 2019년 7.2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방사선 중재적 시술은 총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의 9.4% 수준의 검사 건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피폭선량은 25.5%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선 검사 항목 중에서도 중점적인 환자선량 관리가 필요한 검사이다. 카테터 기반의 중재적 시술은 1930년대에 도입되었으며, 수술에 비해 작은 침습성으로 통증감소, 입원 기간 단축, 비용 절감 등의 장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관상동맥을 진단하는 시술은 대퇴동맥(Femoral Artery: FA) 또는 요골동맥(Radial Artery: RA)을 천자하여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질환을 진단하며, 풍선 확장 또는 스텐트 삽입과 같은 시술로 질환을 치료한다. 이러한 시술 중에 발생하는 일차선과 산란방사선에 의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 방사선에 피폭된다. 또한 방사선 중재적 시술은 환자의 국소부위에 지속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고 그 산란선이 의료진에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환자선량 관리와 더불어 의료진의 선량관리가 필요하다. 중재적 시술의 피폭선량은 환자의 병변의 복잡성, 의료진의 숙련도, 혈관조영장치의 촬영조건, 개인 보호구 착용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환자와 의료진의 피폭선량이 좌우될 수 있기 때문에 타 방사선검사와 비교하여 방사선 피폭선량 관리가 중요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장 중재적 시술에 대하여 환자 및 의료진의 선량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환자 피폭선량 관리를 위한 연구로, 심장 중재적 시술의 대표적인 시술에 대한 진단참고수준(Diagnostic Reference Level: DRL)을 도출하였다. 심장 중재적 시술의 대표적인 시술인 심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CAG)와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시술을 대상으로 국내 9개의 심혈관센터의 1,071건(CAG 792건, PCI 279건)의 시술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단참고수준을 도출한 결과 CAG 시술의 75% 진단참고수준은 47.0 Gy·cm2, PCI 시술은 171.3 Gy·cm2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의료진의 선량 관리 연구로 임상환경에서 의료진이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팬텀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환경에서 의료진이 노출되는 선량은 여러 요인을 통제한 팬텀 실험으로 정량화하였고, 시뮬레이션으로 의료진의 방사선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재적 시술에서 의료진의 선량에 관여할 수 있다고 예상되는 혈관 천자법, 시술 시 환자에게 조사되는 엑스선관 각도, 개인 보호구(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착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팬텀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서 혈관 천자법에 따른 선량 분포를 확인한 결과, 대퇴동맥 천자법(Femoral Artery Puncture: FAP)이 요골동맥 천자법(Radial Artery Puncture: RAP)보다 10%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심장 중재적 시술 중 환자에게 조사되는 엑스선관 각도에 따라 의료진 선량을 가장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는 각도는 좌전사위(Left Anterior Oblique: LAO)와 머리쪽(Cranial, CRAN) 각도였으며, 개인 보호구 착용에 따른 의료진의 방사선량을 분석한 결과, 납 안경, 갑상선 보호대, 방사선 방호용 앞치마 등의 개인 방사선 보호구를 착용했을 때의 의료진의 피폭선량이 개인 보호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84.5%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혈관조영장치의 촬영상태 관리기능(Modality Performed Procedure Step: MPPS)의 환자선량 출력값으로 의료진의 선량을 추정할 수 있는 환산계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 중재적 시술의 환자 및 의료진의 방사선량 관리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첫 번째로 환자 피폭선량을 관리방안으로 심장 중재적 시술의 진단참고수준의 제정과 활용이다. 방사선 시술 및 검사에 대한 진단참고수준은 질병관리청 가이드라인으로 발행하고 있지만 심장 중재적 시술에 대한 진단참고수준은 누락되어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진단참고수준이 활용된다면, 환자 피폭선량 수준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지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방사선 중재적 시술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방사선 방호를 위한 실행계획(action plan) 사용을 권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행계획을 지킴으로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선량 저감화에 기여할 수 있다. 세 번째로 DICOM을 활용한 선량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환상계수를 활용한다면, DICOM RDSR에서 추출한 환자 정보만으로도 추가적인 측정 없이 의료진의 선량을 추정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심장 중재적 시술에서 환자선량 데이터 분석, 팬텀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환자 및 의료진의 피폭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이 의료방사선의 효율적 관리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s modern medical level advancements, the annual medical radiation exposure dose of Koreans continue to increase. As of 2019, the annual medical radiation exposure dose per capita in Korea was 2.4 mSv, up 22.4% from 1.96 mSv in 2016, and the average number of medical radiation exams also continues to increase from 6.1 in 2016 to 7.2 in 2019. In particular, the radiation intervention exam is 9.4% of the total number of medical radiation exam, but the exposure dose accounts for 25.5%, so it is one of the radiation exam that require intensive patient dose management. The catheter-based interventional procedure was introduced in the 1930s and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advantages such as small malignant invasive, reduced pain and risk, shorter hospitalization and reduced cost compared to surgery. Coronary angiography is a techniques after contrast agents have been injected via a catheter through femoral or radial artery, and perform procedures such as balloon dilation or stent insertion. Such procedures inevitably expose the radiation to patients and medical staff. In addition, since radiation intervention procedures continuously irradiate the patient's local area and its scattered radi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occupational exposure management is strictly required with patient dose management. The radiation exposure dose for interventional procedures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omplexity of the patient's lesion, the proficiency of the medical staff, the exposure conditions of the angiography device, and the wearing condition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dose is emphasized compared to other radiation exams. Therefore, the study on dose management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was conducted in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 First, as a study for patient exposure dose management,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DRL) for coronary angiography(CAG)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PCI) was calculated using patient radiation exposure data of 1071 examination (CAG 792, PCI 279) collected from 9 Korean cardiac centers The 75th percentile DRL of the total KERMA area were 47.0 Gy·cm2 and 171.3 Gy·cm2 in CAG and PCI. Second, occupational exposure for medical staff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was analyzed through phantom experiments and simulations. The occupational exposur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was quantified by a phantom experiment, and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were analyzed by simulation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pational exposure such as artery puncture position, X-ray tube angle,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artery puncture position, occupational radiation dose at femoral artery puncture position was 10% lower than that of those at radial artery puncture position. The major angle to increase scattered radiation were left anterior oblique(LAO) and crania(CRAN). and when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lead glasses, lead apron and thyroid protector, occupational radiation dose was 84.5% compared to when not worn. In addition, a conversion factor that estimates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was derived from the patient air KERMA of modality performed procedure step(MPPS). In this study, radiation dose management methods for patient and medical staff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irst, determination and utilization of DRL in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in the each medical facilities for patient radiation management. The DRL for interventional procedures and radiation exams is issued under guidelines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but the DRL for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is omitted. Therefore if the DRL for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determinated in this study is used, it can be used as index to identify and improve the level of patient radiation management. Second, the action plan for radiation protection of patient and medical staff was recommended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 By complying the action plan in clinical field, it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patient and occupational exposure. Third, radiation dose management system using DICOM RDSR was proposed. Occupational exposure can be calculated and managed without additional measurement only with patient dose information extracted from DICOM RDSR us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and if the radiation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staff and patient is managed by government agencies, medical radiation lifetime management for entire nation is possible. This study aim to present the effective method for managing radiation exposure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based on patient dose data analysis, phantom experiments, and simulations in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 of medical radiation management.

      • Changes of Cardiac Indices in Growing Korean Black Goats Measured by M-mode Echocardiography : 성장 중인 한국흑염소에서 M-mode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한 심장 지표들의 변화

        최원일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심장초음파는 안전하며, 동물에게 최소한의 스트레스로 심장의 기능을 평가하고, 선천적, 후천적 심장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M-mode 심장초음파는 심장 및 혈관의 구조, 움직임, 기형 등을 확인하는데 널리 이용되며, 심장의 기능을 연구하는데 많이 사용되어왔다. 본 실험에서는 한국흑염소에서 각 심장수치들을 측정하고 심장수치와 체중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후 2, 4, 8, 10, 12, 16 주령의 한국흑염소를 대상으로 체중과 심장수치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Long-axis 4 chamber view와 Long-axis out flow view의 영상을 얻은 후 측정부위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M-mode상에서 심장의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항목으로는 이완기와 수축기의 LVID (Left ventricle internal diameter, 좌심실 내경), IVS (Interventricular septum diameter, 심실중격 직경), LVW (Left ventricle wall, 좌심실벽 직경), LAC (Left atrium internal diameter, 좌심방 내경), AO (AORTA, 대동맥 직경) 이었으며, 공식을 이용하여 EDV (End diastolic volume, 좌심실 이완기 볼륨), ESV (End systolic volume, 좌심실 수축기 볼륨), FS(Fractional shortening), EF (Ejection fraction), SV (Stroke volume), LA/AO ratio (Left atrium to aorta ratio)를 산출하였다.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LVW, LVID, IVS, LAC, AO, EDV, ESV, SV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LA/AO ratio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아주 작은 증가를 보였고, EF, FS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은 M-mode echocardiography를 이용하여 한국흑염소의 심장지표들을 측정한 최초의 보고이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는 한국흑염소를 이용한 심혈관계 실험의 기초 데이터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ardiac dimensions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the cardiac dimensions to body weight in the growing Korean black goat (Capra hircus aegagrus.) M-mode echocardiography under dimensional guidance in long-axis 4 chamber view and long-axis left ventricular outflow view were performed on 27 Korean black goats at 2, 4, 6, 8, 12 and 16 weeks after birth using SA 8800^(�) (Medison Co., Korea) with a 4-9MHz curved transducer. The M-mode guidance line wa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eptum and passing through the left ventricle structures, and passing through the left atrium and aorta. Diastolic and systolic left ventricle internal diameter (LVID), interventricular septum diameter (IVS) and left ventricle wall diameter (LVW) were measured at long-axis 4 chamber view. Diastolic and systolic left atrium internal diameter (LAC) and aorta diameter (AO) were measured in long-axis left ventricular outflow view. Left ventricle and diastolic volume (EDV), left ventricle end systolic volume (ESV), stroke volume (SV), fractional shortening (FS), ejection fraction (EF) and left atrium to aorta ratio (LA/AO ratio) were calculated. Mean body weight was increased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3.06 ± 0.07 kg at 2 weeks to 5.35 ± 0.09 kg at 12 weeks. Each of dimensions of LVW, LVID, IVS, LAC, AO, EDV, ESV and SV were increased relative to body weight. LA/AO ratio was minimally increased to body weight.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the cardiac or circulatory study using Korean black goats as a laboratory purpo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