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에서 도자공예 프로그램이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윤지민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도자 공예 교육이 학습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 연구이다. 의학기술의 발달과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삶의 질적 문제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었다. 그로 인하여 우리들은 다양한 배울 거리를 추구하게 되었고, 이를 위한 평생교육의 활성화 정책을 통하여 우리 사회는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필요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여러 기관에서 학습자 특성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개설·운영되고 있다. 그들이 배움을 이어나가는 것에는 각자의 목표가 있겠지만 결국 삶의 행복이나 만족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 배움의 근본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 BC322)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의하면 “모든 행위와 합리적 선택은 어떤 선[좋음]을 목표로 하는 것처럼 여겨진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최상의 선”은 행복(Eudaimonia)이다. 이는 인간적 행위의 궁극적인 목표가 각자의 행복을 성취하기 위한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행복에 대한 수치는 각자의 “삶의 질”과 비례한다. 삶의 질이 올라갈수록 개인의 행복도 함께 상승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삶의 질 상승을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연관지어 그 관계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인간은 학습을 통하여 성장하는 존재이다. 그 교육 중에서도 특히 예술교육은 인간의 다양한 측면을 계발시킨다는 사실은 이미 선행된 연구들을 통해 밝혀졌으며, 예술교육의 효과는 어떠한 면에서든,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대해서는 반박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연친화적인 물질인 점토를 매개체로 한 도예 활동이 인간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좀 더 객관화 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즉,‘개인이 일생동안 느끼는 행복’의 정도를 수치화하기 위해 사회 심리학자 캐롤 리프(Carol Ryff, 1950~)가 주장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The Ryff Sca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정서에 맞추어 수정 및 보완한 김명소 외 2명의 문항들을 사용하여 도예 교육 프로그램 수강자와 비수강자를 조사하여 두 집단 간의 심리적 안녕감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는 도예 교육을 받는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지를 밝혀내고자 한 것이다. 분석결과, 도예 교육 프로그램은 심리적 안녕감을 구성하는 여섯 가지의 하위 척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도예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예와 그로 인해 동반되는 심리적인 즐거움에 대한 연상은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 이외에도 선행된 연구들 중 도예 활동이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끼치거나 개인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가에 대한 주제 등으로 발표된 논문들이 다양하고 그 수도 많았다. 그러나 감정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 척도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국내 논문은 많지 않았으며, 특히 도예 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을 연관지어 연구한 국내 논문은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본 논제와 관련한 선행 연구의 미흡한 실정에 따라 본 논문은 도예 교육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을 개진하고자 한다. 주제어: 심리적안녕감,도예,평생교육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pottery class on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learners who ever attended pottery class (Group1) and their counterparts (Group2)?” the data were pooled from a total of 146 learners in Seoul and near the metropolitan areas through the Ryff's scale measuring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s. Then, independent t-test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is as follows: on average, learners in Group1 had higher scores on all sub-components--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utonomy and personal growth--consist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s, compared with learners who did not attend pottery class. It represents that pottery class can make a contribution to adult learn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tudy discusses further pedagog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outcomes from the study, and proposes the applicability of pottery activity to improving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s. key words: Psychological Well-Being,Lifelong Education,Pottery

      •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장여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및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또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조사에서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고영희(2010)가 번안·제작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Ryff(1989)의 심리적안녕감척도를 전선영(2012)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배문주(2005)가 수정·보완한 ‘양육태도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과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계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과 애정적, 자율적, 통제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 발달에 있어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과 양육태도 모두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자아탄력적인 유아를 키우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지식 및 기술과 더불어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김수린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looked into the quality of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by investigating ecological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n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considering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help then settle down in Korean society and ultimately to promote their well-being. In this study, Psychological well-being reflects one's well-functioning as a not only individual but also a part of the society, which corresponds with the fundamental view of this study that considering marriage immigrant women as a brave and independent one. Grounded on the ecosystems perspective, taking into all possible contexts for individuals consider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examined by social demographic factors and ecosystems, including personal, familial and social-environmental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17 marriage immigrant women living in Suncheon and Yeosu, Jeonranamdo. This study conducted for about a month and used the questionnaires translated into five different langua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bove average both in general and in each sub-dimens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self-acceptance, personal growth,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positive relationships, and autonomy. That is, even if there might be some difficulties in adapting unfamiliar circumstances in Korea, mos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getting on well with their lives, functioning adequately. Second, social-demographic factors that consists of objective characteristics and each ecosystem have valid factors which can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the valid factors were income in social-demographic factors, physical health, self-respect, acculturative stress in personal system, stress on familial relationships in familial system, social support, community participation, community environment in social-environmental system. Also,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se ecosystems were found to have a meaningful connec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respectively, while the group of social-demographic factors was not. Third, in the case of taking all factors of ecosystems and social-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nto the considerati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reflected most properly. Predicting factors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self-respect, physical health, social support, spousal satisfaction, age, stress on familial relationships, and religion. All in all, every systemic factor surrounding marriage immigrant women affects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draw conclusion on their quality of life only based on a few objective and social economic factors or one single ecosystem. Therefore, personal factors as well as various contexts where marriage immigrant women belong should be given consideration to enhance their well-being in life. As a resul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upport policies or program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as basis data. 본 연구는 한국인 배우자와의 결혼을 통해 국내에 정착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 및 그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탐색하였으며, 향후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안정적인 국내 정착을 돕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안녕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 가족, 사회를 포함한 통합적인 접근을 고려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적 안녕감이란 한 사람이 주체적인 개인이자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지에 근거하여 삶의 질을 다차원적으로 판단하는 개념이며, 이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도전의식을 가진 적극적인 주체로 바라보는 본 연구의 기본적 시각과도 일치한다.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개인적 특성은 물론,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개인, 가족, 사회의 세 가지 체계로 나누어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순천․여수시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중 117명을 대상으로, 5개 언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 기간은 4월 19일 부터 5월 21일 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일반적인 수준(평균2.71점)은 물론, 6개 하위 영역(자아수용, 개인적 성장, 환경지배력,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자율성) 모두 평균 이상의 점수로 나타나, 출신국과 상이한 국내 생활에서 다소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실제로는 개인적, 사회적으로 잘 기능하며 대체로 안정적인 삶을 꾸리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객관적 지표로 이루어진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물론, 각 체계들 모두 심리적 안녕감에 유효한 차이를 야기할 수 있는 변수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소득, 개인체계에서는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족체계에서는 가족관계스트레스, 사회체계에서는 사회적지지, 사회활동참여, 지역사회환경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각 회귀분석을 통해, 동 체계들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개별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심리적 안녕감과의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안녕감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모든 체계를 함께 투입한 경우에 가장 잘 설명되었으며, 예측 요인은 자아존중감, 신체적 건강, 사회적지지, 부부관계만족도, 나이, 가족관계스트레스, 종교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안녕감에는 그들을 둘러싼 모든 체계적 요인들이 동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순히 몇 가지 객관적․사회적 지표나 어느 한 체계에 근거하여 측정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국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 뿐 아니라 그들이 속해 있는 다양한 맥락까지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원 방안 및 프로그램 등의 접근방향을 명확히 하는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노인 신체활동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이종대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how the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has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study, a total of 258 respondents ,who reside in Yangsan-Si of Gyeongsangnam-do province, are over 60 years old and keep the physical activity without having difficulty moving, were selected and surveyed. SPSS/PC 21.0 versio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ata acquired by the survey and ,depending on the subjects to be investigated, Mean, Standard Devi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taken. The crucial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The research for the fundamental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aged showed tha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as per gender; this study also showed, however, that men was higher in terms of self-regulation,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mastery than women. On the other hands, women was higher in terms of self-acceptance than men. The analysi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said that environmental mastery marked the highest in the survey and the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marked the lowest in the survey. Secon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in accordance with age. Those 66 to 70 years old had the highest self-regulation, those 76 to 90 years old the highest personal relationship, and those 60 to 65 years old the highest environmental mastery. The analysis on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hat environmental mastery was the highest and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was the lowest. Thu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al mastery. On the other hands, self-regulation,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acceptance didn't show meaningful results. Third, the analysi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existence of their spouses described that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showed meaningful results with non-existence of spouses, and environmental mastery showed meaningful results with the existence of spous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Therefore, it was discovered that the existence of spouses has partially an effect on them.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y of the elder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n exercise care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ose who have over 2-year exercise career were the highest in self-regulation, self-acceptance and environmental mastery. There were effective differences in terms of self-acceptance,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mastery. The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was not shown, but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partially found in exercise career. Second, it could be seen in the analysis on the frequency of exerci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Everyday" was the highest in self-regulation and environmental mastery, "Once a week" was the highest in self-acceptance and "twice a week" was the highest in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Self-acceptance was the highest and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was the low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acceptance,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mastery, but self-regulation didn't show effective difference. Third, it could be seen in the analysis on exercise hou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1 hour to 2 hours everyday" was the highest in self-regulation and environmental mastery, "0.5 hour to 1 hour" was the highest in self-acceptance and "Over 2 hours" was the highest in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Environmental mastery was the highest, and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was the lowest. Effective differences were discovered only in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self-acceptance and environmental mastery, but effective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was not found out. Exercise hour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partially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of the elder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ain factors of self-acceptance have negatively meaningful relations with the relationship ,the exercise career of the aged has an effect on the factor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lf-regulation,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mastery were found not to show the effective relations. The relation analysis for what the frequency of the exercise of the aged has an effect on showed that the 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but the factors of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mastery didn't hav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It was discovered that the frequency of the exercise of the aged who take part in physical activity has an impact on self-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Those results say that the elderly act autonomically and take positive part in the activity with others, and they want t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many people through the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they feel the happiness and pleasure of their life by acting toge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lderly are eager for the physical activity to maintain their sustainable life.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현재 신체활동을 하고 있는 노인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노인의 신체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상남도 양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거동이 불편하지 않은 노인 총25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21.0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 및 표준편차, 기술 통계분석, 일원량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노인의 기초배경변인과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 첫째, 노인의 성별 심리적 안녕감 차이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서는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지배력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났으며, 자아수용에서는 여자가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분석에서는 환경지배력이 가장 높게, 긍정적 대인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연령별 심리적 안녕감 차이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은 66세-70세가, 긍정적 대인관계는 76세-90세가 높게, 자아수용, 환경지배력에서는 60세-65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분석에서는 환경지배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적 대인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지배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배우자 유.무별 심리적 안녕감 차이분석에서는 긍정적 대인관계요인은 배우자가 없다가 환경지배력에서는 배우자가 있다가하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율성, 자아수용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배우자 유.무에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신체활동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 첫째, 운동경력과 심리적 안녕감 차이분석에서는 자율성, 자아수용, 환경지배력에서 2년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긍정적 대인관계에서는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났다.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지배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경력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 빈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분석에서는 자율성, 환경지배력에서 가장 높게, 자아수용에서는 주1회가, 긍정적 대인관계에서는 주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수용 또한 가장 높게, 긍정적 대인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지배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자율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운동시간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분석에서는 자율성, 환경지배력에서 매일1시간-2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아수용에서 30분-1시간이,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2시간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환경지배력이 가장 높게, 긍정적 대인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 환경지배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율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심리적 안녕감에서의 운동시간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신체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노인의 운동경력이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자아수용요인이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지배력요인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의 운동 빈도가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분석은 자율성, 자아수용 요인이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지배력요인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의 운동 빈도가 자율성, 자아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노인의 신체활동은 자율적으로 행동하고 타인과의 활동에 긍정적으로 참여하지만, 노인은 신체활동을 통하여 많은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고 싶어 하고, 함께 활동함으로써 즐거움과 인생의 행복을 느끼며, 지속적인 삶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활동 욕구를 갈망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배구동호회 참여수준과 심리적안녕감

        온세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스포츠 종목 중 하나인 배구를 생활체육으로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을 중심으로 동호회 참여수준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현재 전라북도 전주시 내 배구동호회에 참여하고 있는 회원 전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설문이 가능한 300명을 대상으로 Ryff의 심리적안녕감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 중 설문내용이 의도적으로 반복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23명의 설문을 제외한 277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에 관한 2개 문항, 참여수준(빈도, 경력)에 관한 2개 문항, 심리적안녕감(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성)에 관한 46문항, 총 5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심리적안녕감 설문지는 Ryff(1989)의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를 양명환이 한국판으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에 의하면 설문지의 신뢰도 값은 .92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Cronbach's α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설문지는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성장,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요인으로 신뢰도 검증을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자율성에서 2개의 문항(힘겨움, 생활만족),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서 1개의 문항(생활방식), 개인적 성장에서 2개의 문항(성취, 실망), 삶의 목적에서 2개의 문항(외로움, 친구),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1개의 문항(인생성취), 자아수용에서 1개의 문항(의견표출)이 이중 부하 및 기준치 이하의 요인 적재 값을 가져 삭제되었고, 심리적 안정감요인의 신뢰도는 계수 값이 .77(자율성), .70(환경에 대한 통제력), .85(개인적 성장), .81(삶의 목적), .85(긍정적 대인관계), .71(자아수용)로 나타나 심리적 안정감요인 모두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측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계처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2문항), 참여수준(2문항), 심리적안녕감(37문항)의 분석 가능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SPSS/PC+ 15.0K를 이용하여 자료 분석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배구동호회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참여빈도와 참여경력에 따른 심리적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방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셋째, 심리적안녕감의 요인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에 따른 심리적안녕감의 차이는 모든 심리적안녕감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에 따른 심리적안녕감의 차이는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심리적안녕감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배구동호회 참여자들의 참여빈도에 따른 심리적안녕감의 차이에서 자율성,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심리적안녕감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환경에 대한 통제력, 자아수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배구동호회 참여자들의 참여경력에 따른 심리적안녕감의 차이에서 자율성,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심리적안녕감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환경에 대한 통제력,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양은호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831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서울시 K구, S구와 경기도 P구에 위치한 유치원 3곳, 어린이집 3곳에 재원 중인 유아를 둔 어머니 21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은 Ryff(1989)의 척도를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김문정(2004)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최경순(199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관련한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조사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변인들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자녀 양육행동은 긍정적인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은 양육행동을 매개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밝혀내고,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을 매개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머니의 개인적인 정서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상겸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자의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 규명 그리고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모집단(universe)은 양주시, 동두천시 소재 태권도장에서 수련하고 있는 중, 고등학생으로 한정하였으며 표집방법은2단 추출법(two-stage sampling)을 활용하여 최종표본으로 313명의 조사 대상자를 추출하였다. 표집된 313명 중 자료코딩 단계에서 응답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일부 내용이 누란된 질문지는 제외시켰으며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총 300매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검색과정을 통해 측정도구에 대한 예비조사의 구인타당도를 위해 확증적 인자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내적 일관성 신뢰도(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검증을 위하여 Cronbach'α를 추정하였다. 또한 태권도 수련자의 성, 수련기간, 학교수준별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차이검증을 위하여 t-test,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다중비교법(multiple range test)으로 Duncan 검증을 활용하였으며 태권도 수련자의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의 미치는 영향성을 밝히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태권도 수련자의 성별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자아수용, 자율성, 개인적 성장은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태권도 수련자의 수련기간별 심리적 안녕감에 따른 하위변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지배력, 자아수용, 삶의 목적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자율성, 개인적 성장 등의 하위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태권도 수련자의 학교수준별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중 개인적 성장, 환경에 대한 지배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 등은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둘째,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에 피어슨 상관계수가 부분적으로 극히 유의한 양적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자아수용의 미치는 영향은 참여형태의 하위변인 중 정의적 참여는 자아수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인지적ㆍ행동적 참여의 경우는 자아수용은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형태의 하위변인 중 정의적 참여는 긍정적 대인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인지적ㆍ행동적 참여의 경우는 긍정적 대인관계에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형태의 하위변인 중 정의적 참여는 자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인지적ㆍ행동적 참여의 경우는 자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환경에 대한 지배력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형태의 하위변인 중 정의적 참여는 환경에 대한 지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인지적ㆍ행동적 참여의 경우는 환경에 대한 지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삶의 목적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태권도 참여형태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개인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형태의 하위변인 중 행동적 ㆍ정의적 참여는 개인적 성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인지적 참여의 경우는 개인적 성장에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In the present research,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ffects of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survey and analysis. In the survey, universe was limited to middle-school and highschool students practicing in a Taekwondo gymnasium located in Dongdoocheon-Si of Yangjoo-Koon. As for the sampling method, two-stage sampling and framework were generated, and first stage sampling group was derived through cluster random sampling among random sampling in a random method. Then 313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final sampling set using convenience sampling. In the survey with the 313 students, only 300 survey result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is study, with the rest discarded owing to insincere or incomplete responses. From the collected da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construct validity of preliminary investigation with respect to search process and Cronbach'α was deduct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Duncan validation method was used for t-test, one-way ANAVA, and multiple range test in order to validate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respect to sexes, trained period, and grades in school,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in order to find out effects of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urveys and analysis as described abov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sense of control on surroundings, and purpose of life, which are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Taekwondo trainees as for the sexes. Bu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not found regarding self-acceptance,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rowth. Ver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sense of control on surroundings, and purpose of life, which are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Taekwondo trainees as for periods of past train. Bu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not found regarding self-acceptance,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rowth. Ver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personal growth and sense of control on surroundings which are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Taekwondo trainees as for the school grades. However, meaningful differences were not found regarding self-acceptance,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self-regulation, and purpose of life. Secondly, very meaningful quantita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for the effect of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on self-acceptance,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cipation by definition, a sub-variable of participation types, showed meaningful influence on self-acceptance. However, in the cases of participation by information and by physical involvements, there was no influence on self-acceptance. As for the effect of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on personal relationship,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cipation by definition, a sub-variable of participation types, showed meaningful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in the cases of participation by information and by physical involvements, there was no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hip. As for the effect of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on self-regulation,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cipation by definition, a sub-variable of participation types, showed very meaningful influence on self-regulation. However, in the cases of participation by information and by physical involvements, there was no influence on self-regulation. As for the effect of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on sense of control on surroundings,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cipation by definition, a sub-variable of participation types, showed very meaningful influence on sense of control on surroundings. However, in the cases of participation by information and by physical involvements, there was no influence on sense of control on surroundings. As for the effect of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on purpose of life,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ll types of participation showed meaningful influence on sense of control on surroundings. Thirdly, as for the effect of Taekwondo participation types on personal growth,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cases of participation by physical involvements and by information, there seem to be meaningful influences on personal growth. However,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by defin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influence on personal growth.

      • 진정성 리더십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LMX의 질의 매개변수와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김태욱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0

        As the tourism industry, which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has become more influential on the global economy, the world has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tourism industry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social, The tourism industry is very influential and effective not only on the economic impact of the country but also on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sectors. As the modern society is transformed into a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the tourism sector is becoming an independent industry, and it is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it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with a high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Yoo, Won, & Kim, 2013).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y of leadership and social exchange theo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bor-intensive hotel industry and conducted research on psychologica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for an empirical analysis, it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employees working in 5-star hotel, Seoul,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LMX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establishing effective strategies for hotel management and to identify effective lead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 - evaluation method of 600 questionnaires designed and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studies of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e final 552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tested by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SPSS v.18.00 statistical progra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thetical 1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psychological well-be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thesis 2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LMX quality. Hypothesis 3,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4 and 5, we used as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will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uthentic leadership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Third, the quality of LMX will play a mediation role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ill play a moderation role between the quality of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hypothesis, Hypothesis 1 that positive leadership and personal growth wer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well-being,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and purpose in life were partially adopted. The result of Hypothesis 2, th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LMX was adopted. Hypothesis 3, the effect of LMX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ll but five sub-variables except for environmental mastery. Further studies on the rejected environmental mastery in future studies will be needed. Finally, hypothesis 4, the effect of the mediation of LMX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ypothesis 5,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artially adop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sugges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21세기 대표적인 산업으로 성장한 관광산업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세계 각국은 관광산업 발전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관광산업은 국가의 경제적 영향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환경 등 각각의 부문에 있어서 미치는 영향과 효과가 매우 크다. 현대사회가 고도 산업사회로 전환되면서 관광부문도 하나의 독립 업종, 독립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국가경제에 기여도가 높은 고부가가치산업이라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유희경⦁원철식⦁김수정, 2013). 본 연구는 노동집약적인 호텔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리더십 이론과 사회교환이론을 기반으로 심리적 및 인적자원관리 분야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 소재 5성급 호텔에 근무하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진정성 리더십을 가진 상사가 종사원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또한, 진정성 리더십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Leader-Member Exchange)의 매개효과와 LMX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리더십을 규명하고, 특급호텔 경영에 있어 전략 수립으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살펴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소재 5성급 호텔에 근무하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설계 및 작성된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해 자기평가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최종 552부의 수집된 자료를 SPSS v.18.0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으로, 가설 1인 진정성리더십이 심리적 안녕감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 2인 진정성리더십이 LMX의 질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3인 LMX의 질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4와 5의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은 종사원의 심리적 안녕감의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은 리더-구성원 관계의 질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셋째,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이에서 LMX의 질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넷째, 리더-구성원 관계의 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이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가설 검증 결과, 가설1의 진정성 리더십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개인성장은 모두 채택이 되었지만,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은 부분채택 되었다. 가설2의 진정성 리더십과 LMX의 관계에 대한 영향 결과, 모두 채택이 되었다. 가설3인 LMX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환경에 대한 지배력을 제외한 나머지 5가지 하위변수들은 모두 채택이 되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의 기각 된, 환경에 대한 지배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가설4의 진정성 리더십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LMX의 질의 매개효과는 부분채택 되었으며, 마지막으로 가설5인 LMX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의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는 부분채택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였고, 또한 본 연구의 한계와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리터러시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김혜윤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digital literacy and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middle-aged retirement prospective people who are about to retire. Through this, it aimed to fi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ltimately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by strengthening the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ability of prospective retirees and devising realistic social support measures.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how does cognitive flexibilit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does digital literacy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Fourth, does digital literacy have a mediating effect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It was set to.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31 middle-aged retirement prospective people who are about to retire through an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 using a self-report metho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digital literacy partially mediates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some moderating effect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has a partially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y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flexibility of prospective retirees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firmed in this study, a structural approach is needed to develop cognitive flexibility at the corporate and social level, including individual efforts, so that prospective retirees can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spective retiree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has a great impact on real life before and after retire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well-being in job change support services and life design education for prospective retirements. Efforts are required to consider and implement how to make prospective retirees more aware of and experience digital literacy.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moderating and controlled mediating effects. Therefore,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implementation measures of organizations and society in social support are needed so that prospective retirees can receive emotional, informa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Finall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on cognitive flexibility, psychological well-being, digital literacy, and social support for prospective retir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onsensus is formed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spective retirees, and action efforts are devised for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and government organization to improve cognitive flexibility of prospective retirees. 본 연구는 퇴직을 앞둔 중장년 퇴직 예정자를 대상으로 인지적유연성이 디지털리터러시를 매개로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사이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과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을 강화하고 현실적인 사회적지지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심리적안녕감을 제고하는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인지적유연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셋째, 인지적유연성과 디지털리터러시 사이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사이에서 디지털리터러시가 사회적지지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퇴직을 앞둔 중장년 퇴직 예정자 33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방식의 온오프라인 설문지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기술통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의 순서로 실시하였고,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유연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디지털리터러시는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사이를 일부 매개한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인지적유연성과 디지털리터러시 사이에서 일부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사이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사회적지지로 일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의 영향관계를 바탕으로 퇴직 예정자가 심리적안녕감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의 노력을 비롯하여 기업 및 사회 차원의 인지적유연성 개발을 위한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퇴직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전직지원서비스 및 생애설계 교육에서는 디지털리터러시 수준이 심리적안녕감 뿐만 아니라 퇴직 전후 실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퇴직 예정자가 디지털리터러시를 더 많이 인식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과 실행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인지적유연성이 디지털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가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퇴직 예정자들이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지지에 대한 높은 수준의 조직 및 사회의 관심과 실행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퇴직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인지적유연성, 심리적안녕감, 디지털리터러시, 사회적지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결과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퇴직 예정자의 심리적안녕감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 향상을 위한 개인 및 조직 그리고 정부 단체 각각에 맞는 실천 노력이 강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