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을 통한 보육교사의 정서조절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오금자 서울한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order to invigorate the activities of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s, many studies in the field are needed, and researches should be done to provide empirical data that can be used for the enhancement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gained through activities of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on self-efficacy by the mediation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It also seeks to find ways to enhance emotional regulation,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and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The research problem was established to examine influential 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through activities of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on self-efficacy by the mediation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conclusions were drawn. The research model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set up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based on the research objective. The final analysis was made on 255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activities and 245 childcare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 WIN 20.0 program, and correlation,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in the participating group,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efficacy. In the non-participating group,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elf-efficacy. Second, it was shown that, in the participating group,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had quantitative effect on ego-resilience. In the non-participating group, only behavioral strategy had influence on ego-resilience, and cognitive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did not affect ego-resilience. Third, in the participating group,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had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all had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non-participating group,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Fourth, in the participating group,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all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with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discussions were formed. First,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self-efficacy. In the participating group, higher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had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activities were effective for the participating group.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activities should be further promoted in daycare sites in order to improve self-efficacy. Second, the emotional regulation of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affected ego-resilience. In the participating group, higher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had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are necessary to oblig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activities not only for childcare teachers but also for daycare education courses. Third, the emotional regula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activities affected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participating group, higher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had influence on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It was proven that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had the effect of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activities. Therefore, the activities of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should be invigorated for the emotional enhancement of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 serious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harsh working environment. Fourth,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cognitive, behavioral, and experiential strategie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activities of horticulture experience program, ego-resilience should be enhanced along with cognitive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and experiential strategy of emotional regulation, and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본 연구는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에 대해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가 많지 않아 자료가 빈곤한 편이며, 이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보육교사들의 정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을 통한 보육교사의 정서조절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을 매개로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정서조절, 자아탄력성,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소진을 감소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있다.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을 통한 보육교사의 정서조절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을 매개로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보육교사 255명과 비참여 보육교사 245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 t-test, 다중회귀 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참여집단에서는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이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참여집단은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이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참여집단에서는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이 자아탄력성에 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참여집단은 행동적 전략만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적 전략과 체험적 전략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참여집단에서는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은 모두 부적으로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비참여집단은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참여집단에서는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 모두 자아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보육교사의 정서조절 전략은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참여집단에서는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이 높을수록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은 참여집단에 효과가 있었으며,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보육현장에서는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을 더욱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보육교사의 정서조절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다. 참여집단에서는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이 높을수록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보육교사뿐만 아니라 보육교육과정에서도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이 반드시 편성하여 실시하도록 법적․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보육교사의 정서조절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쳤다. 참여집단에서는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을 감소하는 쪽으로 영향을 미쳤다.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 참여집단에서는 정서조절전략이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이 실증되었다. 따라서 열악한 업무환경에서 많은 심리적 소진을 겪고 있는 보육교사들의 정서함양을 위해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정서조절과 자아효능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은 매개효과를 가졌다. 정서조절의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과 자아효능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정서조절의 인지적 전략, 행동적 전략, 체험적 전략과 함께 자아탄력성을 높여주도록 해야 하며, 심리적 소진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일중독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송이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근로자의 일중독과 가족기능 간의 심리적소진의 매개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기준 직장을 다니고 있는 만19세 이상 ∼ 만65세 이하 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역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5일부터 9월 20일까지 약 2개월 간 온·오프라인 설문을 e-mail 및 휴대전화를 통해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282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가족기능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였고,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의 일중독이 가족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독의 하위변인에 따라 살펴보면, 과도한 일몰입과 높은 강박관념은 가족기능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으며, 낮은 일향유감만이 가족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자의 일중독은 심리적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소진이 가족기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중독과 가족기능 간 심리적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일중독 전체와 하위요인인 과도한 일몰입, 높은 강박관념, 낮은 일향유감 모두 가족기능과 관계에서 심리적소진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중독과 심리적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중독에 대한 개인·조직·가족적 측면에서의 인식이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내 복지관이나 센터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을 구상할 필요가 있고, 조직 내 상담실 또는 클리닉 운영을 통한 일중독 및 심리적소진의 예방과 완화를 돕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의 실효성있는 제도마련을 통해 건강한 업무환경 형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일중독을 완화하고 심리적소진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족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er's workaholism and family function. For this, I conducted a survey with employees who are over 19 and under 65 years old in Seoul and Gyeonggi-do. To collect data, on- and off-line survey had been distributed for approximately 2 months(15/07/2017–20/09/2017) through e-mail and mobile phone, and 282 of survey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ANOVA were us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 and the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in results for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employees’ workaholism had negative effect on family function. Looking at the lower-level category of workaholism, excessively devoting to work and obsession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amily function, while only lower work enjoyment showed this on it. Second, employee’s workaholism had positive effect on burnout. Third, burnout had negative effect on family function. Forth, looking a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and family function, the workaholism and excessively devoting to work, obsession, and lower work enjoyment as the lower-level category had significant influence and are shown complete mediating effect. Therefore, to prevent workaholism and burnou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re should be awareness of personal, organizational, family aspects of workaholism. Also, not only useful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ut also it is needed to help relieve and prevent workaholism and burnout by running counseling center in the community. Creating good work environment is required through an effective system prepared by government as well. Then, family function will be strengthened by reducing workaholism and burnout for employees.

      • 중등교사의 심리적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소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aims to identify how secondary school teacher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to verify the roles of resilience while burnout affects job satisfaction. A survey of 292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and collected. Except 3 respondents making no or poor answers, a total of 289 respondents’ data went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and measurement tools used for collecting data were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KRQ-53(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and TJSQ(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the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22.0 to analyze the status of demographic variables. Along with SPSS 22.0,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 major variables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In a bi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MOS 22.0 was used for implemen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lso,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t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m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Secondly,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indicat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not only with all factors but also with all sub-factors. Thirdly, when burnout is a path to job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were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relations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f the teachers experiencing burnout are able to increase resilience, it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in virtue of resilience when they confront burnout situations in the teaching career. Such research finding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eachers experiencing burnout to develop student guidance measures in a positive way by exploring themselves and making efforts to improve resilience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where the necessity for diminishing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load of teachers, professional counsel and teacher’s authority protection system caused by the continual loss of teacher’s authority are desperately required.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심리적소진,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이 각각 어떤 관계를 맺는지 파악하고, 심리적소진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인천 및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중등교사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 및 회수했다.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자 3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289명의 자료를 통계처리 했으며, 측정도구는 심리적 소진 척도인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척도, 회복 탄력성 척도인 KRQ-53(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척도, 직무만족도 척도인 TJSQ(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ri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2.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고,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변인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SPSS 22.0를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수행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소진은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일부 하위 요인에 있어서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는 전체 요인은 물론 모든 하위 요인에 걸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로 향하는 경로일 때, 회복 탄력성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중등교사들이 회복 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면 교사들이 교직 생활에서 심리적 소진 상황에 처할 때 회복탄력성을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중한 행정업무로 인한 교원들의 행정업무 경감의 필요성 증가, 교권의 하락으로 인한 교사 대상의 전문적 상담 및 교권 보호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교육 현장에서 심리적 소진을 보이는 교사들이 자신을 탐색하고, 회복 탄력성을 증가시키는 노력을 함으로써 긍정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재활치료 종사자의 자기-구획화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

        권재성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재활치료 종사자의 심리적 소진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 변인인 자기-구획화와 환경적 변인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구획화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알아보고 두 변인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상호 작용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의 재활치료 기관에 근무하는 재활치료 종사자 146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심리적 소진 척도, 자기-구획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구획화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활치료 종사자의 일반적 배경인 성별, 연령, 직종, 학력, 결혼상태, 근무지, 근무경력, 급여수준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성별과 직종, 근무경력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에 연령이 낮고, 학력 수준이 낮으며, 미혼일수록 심리적 소진을 더 많이 경험하였고, 근무지에 따라서는 중소재활병원에 근무하는 치료사가 소진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2. 자기-구획화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구획화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구획화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서 상사지지, 동료지지, 가족지지가 많을수록 심리적 소진을 덜 경험하였고,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를 많이 경험할수록 심리적 소진을 덜 경험하였다. 3. 자기-구획화 수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기-구획화 수준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구획화 수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자기-구획화가 낮은 집단은 사회적 지지에서 평가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심리적 소진의 차이가 있었으나, 자기-구획화 수준이 높은 집단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심리적 소진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자기-구획화 수준이 낮은 집단은 심리적 소진의 개선을 위해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이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variable of self-compartmentalization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rehabilitation therapists.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self-compartmentalization and the burnout by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investigated to know the interaction of the two variables on having the effect on burnout. The present study subjected the 146 rehabilitation therapists who work at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centers around the country to measure the burnout by us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self-compartmentalization level, self-compartmentalization scale was used,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using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1. The difference of burnout by the general backgrounds of rehabilitation therapists from the aspects of sex, age, occupation, academic background, marital status, workplace, work experience, and by payment level has been investigated. There was no difference of burnout by sex, occupation, and by work experience. However, the therapists in lower age, lower academic background, and unmarried therapists more frequently experienced the burnout. If differentiated by workplace, therapists who work at the mid to small rehabilitation hospitals experienced the most burnout. 2. The result of overviewing the relationship of self-compartmentaliza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burnout revealed to show no meaningful relationship in between self-compartmentaliz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rtmentalization and burnout. However,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burnout presented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I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if more supports were received from seniors, co-workers and families, they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the burnout, and if the experiences of emo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s are frequent, they were less likely experience the burnout. 3. The result of reviewing the difference of burnout by the level of self-compartmentalization and by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burnout by the self-compartmentalization was not observed, but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burnout was observed by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result of revie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self-compartmentalization leve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resulted to show the difference of burnout by the levels of appraisal and informational supports in social support for the group with low self-compartmentalization, but the group with high self-compartmentalization resulted to show no difference of the burnout by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Therefore, the study reveal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burnout of the group with low self- compartmentalization through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Conclusively, the meanings of the present study,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following studies have been made.

      •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목표접근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혜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 tendency of goal-orient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a child care teacher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emotional exhaustion of the teacher on goal-orientation and role performance. The study was aimed to discover that a teacher’s goal-orientation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of the teacher and role performance though preceding research. The study was performed by survey of 235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the provinces of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Jeolla-do in Novermber to December, 2014. In order to measure emotional exhaustion of a child care teacher, the researcher used MBI (Maslach Burnout Inventory), which Maslach and Jackson (1986) invented and was also used in the study of Jonggak Lee (2013); for measuring goal-orientation, experts of child care education and the researcher edited and used Goal Orientation Scale of Elliot (1997) which was also edited by Jeongju Cha (2006). Also, role performance instrument which Yeonhee Joo (2004) invented, Youngja Ko (2007) used in her study, and Eunji Heo (2014) edited and improv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0.0 program. the researcher calculated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factor, and to observ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major factor, Pearson correlation was calculated.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goal-orientation as a mediator variable on th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f a child care teacher on role performance, mediation analysis made by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emotional exhaustion of a child care teacher, goal-orientation, and role performa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factors of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of a teacher, goal-orientation, and role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ach other; emotional exhaustion of a teacher had effects on goal-orientation and role performance. As a result of testing a mediating effect of goal-orientation of teachers mediating effect, goal-orientation was partially mediating emotional exhaustion and role performance. The study raises the importance of improvement of goal-orient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programs and education to approach child care goals as a teacher, and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various welfare systems to resolve emotional exhaustion of a teacher so that he/she can more actively perform his/her role. Keywords: child care teacher, emotional exhaustion, goal-orientation, role performance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목표접근성과 역할수행의 경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목표접근성과 역할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분석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교사의 목표접근성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역할수행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보고 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전라도지역 어린이집 교사 235명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하여 Maslach와 Jackson(1986)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측정 도구를 이종각(2013)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재사용하였고, Elliot(1997)의 목표지향성 척도를 차정주(2006)가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를 연구자와 보육관련 전문가가 목표접근성이라는 척도로 구성 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측정하기 위하여 주연희(2004)가 도구를 개발하고 고영자(2007)가 수정한 유아교사 측정도구를 허은지(2014)가 수정· 보완한 역할수행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으며 주요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심리적소진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목표접근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매개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목표접근성, 역할수행은 교사의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목표접근성과 역할수행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목표접근성과 역할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목표접근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목표접근성은 심리적 소진과 역할수행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목표접근성 증진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교사로서의 보육목표에 접근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으로 지원하며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해결하도록 다양한 복지체제를 마련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역할수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마련해야겠다. 주요어: 보육교사, 심리적 소진, 목표접근성, 역할수행

      •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우울의 매개효과

        이경미 진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우울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와 부산 및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변인들 사이의 기술통계와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연구자가 설정한 독립변인들이 종속 변인에 대해 설명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0.0을 사용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였으 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을 확인한 결과 네 가지 변인 사이에는 모두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 우울과 심리적 소진과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상 관은 교사가 근무환경에서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우울 및 심리적 소진을 유발할 수 있으나 자기자비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과 심리적 소진이 발생할 확률이 낮 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이 심리적 소진을 설명하는 변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직무 스트레스, 우울, 자기자비 순으로 높았고 이들 세 가지 변인이 심리적 소진을 설명하는 전체 설명량은 33.0%였다. 셋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을 야기하는 경로에 자기자비와 우울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줄 수 있 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해 분석하 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TLI, CFI, RMSEA 값 모두 좋은 적합도 기준을 충족시켰으며,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전체효과는 .669(직접 효과 .543(81.2%), 간접효과 .126(18.8%))이었고, 직무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이 심리적 소진을 설명하는 정도는 53.4%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 스트레 스와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우울과 심리적 소진을, 자기자비는 심리적 소진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직무 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을 유발할 수 있고 우울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환경에서 심리적으로 소진될 확률이 높아지나, 같은 스트레스 환경이라도 자기자비가 높으면 우울과 심리적 소진의 발생 확률 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해석 가능하다. 이 연구는 네 가지 연구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는 것과 직무 스트레 스와 심리적 소진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우울의 순차적 매개경로를 밝혔다는 점, 또한 자기자비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영향(매개효과)을 초등교사를 대상으 로 처음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전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에 의존하여 연구가 진행되었고, 직무 스 트레스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무 환경에서 경험하 는 대인관계에 직무의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성인학습자의 완벽주의와 심리적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김호선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성인학습자의 완벽주의와 관련하여 심리적 소진 예방 및 문제해소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성인학습자의 완벽주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소진과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인학습자의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성인학습자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경기도 소재 2개 교육 대학원에 재학 중인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직업이 없는 자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301부를 대상으로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의 경우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적극적 대처의 경우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경우 적극적 대처와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소극적 대처의 경우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심리적 소진은 자기지향 완벽주의와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타인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심리적 소진은 적극적 대처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소극적 대처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는 심리적 소진과 정적인 관련성을 보인 반면, 적극적 대처는 심리적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소진에 대한 완벽주의의 영향력을 배제한 상태에서도 적극적 대처는 심리적 소진을 여전히 예측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와는 별도로 완벽주의는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극적 대처는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인 완벽주의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매개변인인 소극적 대처는 심리적 소진에 여전히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소극적 대처는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완시킬 수 있는 요인 중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거나 문제해소를 위해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개입할 수 있는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보육교사의 인간관계(원장·동료교사·학부모), 업무보상, 근무조건과 심리적 소진

        김희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 인간관계(원장・동료교사・학부모와의 관계), 업무보상, 근무조건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정휘(1992)가 번안한 Maslach와 Jackson(1981)의 Maslach Burnout Inventory(MBI)를 보육교사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인간관계 중 원장과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송지준(2005)이 번안한 Graen과 Uhi-Bien(1995)의 리더-멤버 교환관계척도(Leader-Member Exchange7: LMX7)를 김유정, 박수경, 임정진, 안선희(2011)가 어린이집 상황에 맞도록 수정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Jorde-Bloom(1989)이 개발하고 이분려(1998)가 번안한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 조사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 중 동료교사와의 관계 요인을 추출하여 측정하였으며, 학부모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경숙(2013)의 도구를 참고하여 김은정(2014)이 수정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업무보상은 문미선(2007)이 개발한 근무환경 척도 중 경제적 보상 요인과 이형정(2008)의 근무환경 척도 중 복리후생 요인을 추출하여 측정하였으며, 근무조건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형정(2008)의 근무환경 척도 중 담당업무량 요인과 육아정책연구소(2013)에서 고안한 근무시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및 Duncan 사후검증, Pearson 적률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단계선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의 설립유형, 일일 근무시간, 월급, 총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직장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일 평균 8시간에서 11시간 미만 근무하는 경우 보다 11시간 이상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더 높은 수준의 심리적 소진을 겪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월평균 210만원에서 240만원을 받는 경우 보다 150만원 미만의 월급을 받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높았다. 또한 총 경력이 2년에서 5년 미만인 보육교사는 심리적 소진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겪고 있으며, 7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경력교사는 심리적 소진을 가장 적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간관계, 업무보상, 근무조건,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인간관계는 심리적 소진의 모든 하위요인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 원만한 관계를 맺지 못할수록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 및 전체 심리적 소진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업무보상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적 상관을 나타났으며, 이는 보육교사가 업무보상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심리적 소진을 많이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근무조건과 심리적 소진의 모든 하위요인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이는 보육교사가 현재 근무하는 어린이집의 근무조건을 적절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높은 수준의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는 것을 뜻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의 주된 관심사인 보육교사의 인간관계와 업무보상 및 근무조건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가 맺는 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와 현재 근무하는 어린이집의 업무보상, 근무조건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근무조건, 원장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업무보상, 동료교사와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보육교사에 대한 검증과 더불어, 어린이집 설립유형별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설립유형에 따라 주요요인이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는 근무조건과 원장과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고,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근무조건, 학부모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업무보상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어린이집의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소진에 업무보상만이 영향을 미쳤고, 직장어린이집의 보육교사의 경우, 근무조건, 동료교사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근무조건과 원장과의 관계가 전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중대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이기 위해서 무엇보다 근무조건의 개선이 필요하지만, 어린이집 내의 인간관계를 친밀하고 원만한 관계로 발전시키고, 그 관계를 통해 다양한 도움을 받아 스트레스와 소진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줄여 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설립유형별로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이 다르므로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개별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변인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어린이집 설립유형별 세분화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방성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In this study, we wanted to look at the effect of parenting teachers ' emotional labor and mental workload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To find out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358 child care teachers in the area of J. The data col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were based on the SPSS WIN 22.0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measure influenc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of child care teacher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s '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he inner behavior,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be a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engagement, continuous immersion, and normative flow among the sub-causer of the organizational engagement.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y of teachers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in child care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ood and bad luck. The emotional depletion, dehumanization, and reduced achievement, which are lower factors in teacher psychology, are found to be related to emotional immersion, continuous immersion, normative flow among sub-caters. Second, after analyzing the influence of teachers o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immersion in the organizatio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mental workload on organizational flow was 30.8 %, which showed that the sub-causing of emotional labor, physical behavior, and emotional depletion, which are the sub-causer of emotional labor,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hat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factors was internal, emotional depletion, and superficial behavio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have examined how emotional labor and mental workload of child care teachers affect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based on this, we hope to find practical measur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settlements and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development of programs at child care sites to reduc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hild care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J 도 지역의 보육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변수 간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조직몰입의 변수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내면적 행동은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심리적소진과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심리적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성취감 감소는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30.8%로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 심리적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이 조직몰입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내면적 행동, 정서적 고갈, 표면적 행동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여주기 위해 보육현장에 맞는 제도의 정착, 근무환경 개선 등 현실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