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듣기 교육의 실제성 요소가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혜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중급 수준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대화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듣기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 실제 대화에서 나타나는 특성들을 실제성 요소로 규정한 뒤 이를 속성에 따라 범주별로 나누고 해당 범주들이 듣기 교육용 음성 자료에 포함되었을 때 어떠한 교육 효과를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앞서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듣기 수업의 실제 대화와 유사한 듣기 음성 자료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실제성 요소의 세부 항목을 선정하고 이를 속성에 따라 ‘음운·음성 및 환경적 요소’와 ‘형태·통사적 요소’, ‘발화 수행적 요소’로 범주화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범주에 따라 실제성 요소들을 교육용 음성 자료에 반영하여 해당 자료로 교육받은 학습자들의 실제 대화 이해도를 집단별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형태·통사적 요소’와 ‘발화 수행적 요소’는 교육용 대화의 대화 환경, 대화 목적, 대화자 간의 관계 속성에 상관없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음운·음성 및 환경적 요소’는 낯선 관계의 정보 취득 목적 전화 대화에서 높은 교육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성 요소의 교육 효과는 대화 속성에 따라 학습자에게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실제 대화와 유사한 듣기 교육용 음성 자료를 제작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실제자기 수준, 이상적 자기 수준 및 자기불일치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정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실제자기와 이상적 자기간의 불일치가 우울과 관련된다는 자기 불일치 이론(Higgins, 1987)의 기본 가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불일치의 각 요소인 실제자기 수준과 이상적 자기 수준이 각각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Higgins 자기질문지, Hoge & McCarthy 척도를 사용하여 실제자기, 이상적 자기, 자기불일치의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Beck 우울척도,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 무망감 우울증 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 집단이 비우울 집단에 비해 자기불일치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실제자기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그러나 이상적 자기 수준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회귀분석 결과 실제자기 수준이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고 다른 두 변인의 설명변량은 매우 작거나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자기불일치가 지나치게 높은 이상적 자기에 의한 것인지 또는 지나치게 낮은 실제자기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분석 결과는 자기불일치가 낮은 실제자기 수준에 의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이 우울에 대한 자기불일치 이론, 인지적 왜곡 이론 및 완벽주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시사점들이 언급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test self-discrepancy theory assumed that self-discrepancy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is related to depression (Higgins, 1987). Furth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ctual self and ideal self which are components to measure self-discrepancy to depression. Three hundred and thirteen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elf-discrepancy, the level of actual self, the level of ideal self by the Higgins' seleves questionnaire and Hoge & McCarthy's scale. And depression was measured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Depression Adjectives Check List, Hopelessness Depression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ed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self-discrepancy than the nondepressed group. Second, the depressed group showed lower level of actual self than the nondepressed group, but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s on the level of ideal self. Third, hiea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level of actual self most accountable for depression. The level of ideal self accounted very small variances for depression and self-discrepancy did not accout any more significantly. And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alysis showed that self discrepancy was mostly related to the level of actual self.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elf-discrepancy theory, cognitive distortion theory and the view of perfectionism.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 문법교육에서 실제성의 구인 분석과 측정 연구 : 교과서의 텍스트 판단을 중심으로

        신희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언어교육에서 논의되어 온 실제성(authenticity)의 개념을 종합하여 살피고 문법교육적 관점을 바탕으로 실제성의 구인을 추출한 후, 문법 교과서에서의 측정 준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법교육에서의 실제성은 그 실현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실제성을 여러 주요 원리의 하나로 언급할 뿐 문법교육적 관점에서 그 개념 자체에 천착한 종합적인 연구가 없었다. 둘째, 실제성의 실현에 있어 구체적인 구인이나 준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실제적 텍스트를 활용할 것을 촉구하면서도 실제적 텍스트를 판단할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구체적 실현을 어렵게 하였다. 실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준거가 마련될 때 비로소 문법교육에서 실제성의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 방향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 실제성을 의사소통 기능 향상만을 위한 개념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문법교육에서 실제성의 활용은 도입한다면 의사소통 기능뿐 아니라 지식 교육에 있어 학습자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문법교육의 목표가 의사소통 기능 향상이 전부가 아니라는 점에서 명확히 지적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먼저 실제성 논의의 변천을 살폈다. 실제성은 실제적 텍스트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하여 텍스트뿐 아니라 학습자 활동이나 교실 환경 등의 실제성을 논의하는 방향으로 작용 차원을 확장해 왔다. 또한 언어교육의 측면에서 실제적 텍스트를 근간으로 한 실제성이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도움을 주고 학습자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해 왔다. 다음으로 문법교육에서의 실제성 담론을 살핌으로써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진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간 논의되었던 실제성의 구인을 문법교육적 관점에서 추출했고 다시 문법 교과서에서 이러한 구인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준거를 마련하였다. 그간 실제적 텍스트의 기준으로 어느 하나만 고려되었던 실재성과 전형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제적 텍스트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텍스트 실제성과 관련한 구인으로 다양성과 의사소통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 실제성 역시 고려하기 위하여 맥락성과 상호작용성을 구인으로 제시하였다. 이 중 실재성과 전형성의 경우, 교과서가 언어 자료의 출처를 명확히 표시하지 않고 있으며, 언어 자료의 전형적 자질에 대해 충분한 기준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본고의 측정에서는 활용할 수 없었다. 나머지 다양성, 의사소통성, 맥락성, 상호작용성에 한해 <독서와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측정의 실제를 예시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의 개선 방향을 간략하게나마 도출할 수 있었다. 문법 교과서에서 실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재 텍스트이든 가상 텍스트이든 학습자가 해당 텍스트의 의사소통적 목적을 헤아릴 수 있는 텍스트를 선택해야 한다. 둘째, 보다 다양한 텍스트가 제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단어 단위의 언어 자료 비율을 낮추고 문장 단위 이상의 언어 자료 비율을 높여야 한다. 셋째, 학습 활동에서 학습자들이 일상적 경험과 상황 및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가 교과서에 주어진 텍스트를 그대로 이해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텍스트를 직접 찾아오거나 또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벗어나 직접 텍스트를 생산해 보는 활동이 장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수록하는 텍스트의 출처를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핵심어: 실제성, 실제적 텍스트, 텍스트 실제성, 학습자 실제성, 문법교육, 문법 교과서, 실제성 작용 차원, 실제성 구인, 실제성 측정 준거

      • 초등 안전교육의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 효과분석

        신형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safety awareness and learning motivation for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afety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s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effective in improving the safety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s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effective in improving the mo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earn safety education?" Research contents and procedures for solving research problems can b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necessity of a constructivism approach in elementary safety education was revealed, and as a specific strategy to promote this, a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itable for safety education was explored. Second, after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among constructivism-based safety education, a method for designing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model was finally derived. Third, after designing classes based on the derived model and verifying the prior homogeneity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ntrol group applied general lecture-style safet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applying general lecture safety educ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sub-area of safety awarenes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practice and safety policy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Second,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for learning safety education between group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sub-area of safety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of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wo conclusions could be draw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it can be said that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safety awareness. In particular, it is interpreted that the improvement in safety awareness is due to th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safety policies and safety practices, which are sub-areas. Second, in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i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safety education. In this point, it is interpreted that the improvement of safety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is due to all areas of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From the above,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learners' safety awareness and learning motivation for safety education. However, since the experimental period is short-term, limited content, and research on learner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a more mid- to long-term approach, various contents, and the effects applied to learners. In addition, sufficient development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evaluation tools that can establish a knowledge system of safety education and measure its level.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안전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이 학습자의 안전인식도와 안전교육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초등학생의 안전인식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와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초등학생의 안전교육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안전교육에서 구성주의적 접근의 필요성을 밝히고, 이를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써 안전교육에 적합한 구성주의 교수학습환경을 구축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둘째, 구성주의에 입각한 안전교육 중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의 가능성을 검토해본 후,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 모형 설계 방안을 모색하고, 최종적으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한 모형을 토대로 수업을 설계하고,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한 후, 실험집단은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일반 강의식 안전교육을 적용하여 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일반 강의식 안전교육을 적용한 통제집단 간에는 안전인식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안전인식도의 하위영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안전 실천도와 안전정책 이해 및 평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단 간 안전교육 학습동기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안전교육 학습동기의 하위영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든 영역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안전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안전인식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안전인식도의 향상은 하위영역인 안전 실천도와 안전정책 이해 및 평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초등학교 안전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안전교육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교육 학습동기의 향상은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든 영역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에서 볼 때, 초등학교 안전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안전인식도와 안전교육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기간이 중단기적이고, 안전교육 중 일부 내용만을 다루었으며 한정된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임에 따라 중장기적인 접근과 다양한 내용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안전교육의 지식체계를 정립하고 그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강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자의식과 자기침묵이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 우울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자의식과 자기침묵이라는 매개변인의 효과적인 개입을 통해 우울을 예방 및 방지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301명, 2학년 47명, 3학년 1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자기 질문지, 우울 척도, 자의식 척도, 자기침묵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척도 하위 변인에 대한 기술 통계치와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변인들(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자의식, 자기침묵, 우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또한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자의식, 자기침묵,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자의식, 자기침묵 간에는 유의미한 낮은 정도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높을수록 자의식과 자기침묵이 높아진다. 자의식과 자기침묵은 우울과 유의미한 낮은 정도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자의식, 자기침묵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개 효과 검증에서 자의식과 자기침묵이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실제-이상 자기불일치는 우울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자의식과 자기침묵을 통해서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의식과 자기침묵이 매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실제-이상 자기불일치로 불편함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지도할 때, 학생들의 자의식과 자기침묵 변인을 효과적으로 개입시킴으로써 학생들의 우울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자의식의 정도를 낮추고 자기침묵을 낮추기 위한 개별적이고 맞춤적인 상담 및 전략 프로그램 등의 적극적인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요어: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우울, 자의식, 자기침묵, 매개 효과

      • 실제적 학습 기반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전미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the authentic learning-based free semester system. The researcher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is intended to improve instructional methods in an innovative manner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by mov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models. To support this system, the researchers sought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teachers. In doing so, this study utilized elements constituting the authentic learning environment. The reason that the authentic learning environment was used is that the elements constituting this environment are closely affected by the goal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under the free semester system. With these goals in mind, this study identified the elements of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authentic learning-based free semester system, by means of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Then,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model were developed by applying these elements. To verify the model’s validity, it was reviewed by experts three times and evaluated once in terms of its usability. First, the parent components required i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the authentic learning-based free semester system comprise “authentic context,” “authentic objectives,” “authentic tasks,” “authentic activities,” and “authentic assessment.” The sub-components comprise “students’ interest and career exploration,” “re-configuration of the curriculum,” “activity-centered class objectives and tasks (problems),” “student-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This study also extracted four external factors that can support the authentic learning-based free semester system; these are: “support for teaching training and promotion of the teaching community,” “promotion of the inter-school network,” “promotion of the network between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and “promotion of the network between the school, par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econd, design principles were extracted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the authentic learning-based free semester system. Based on five components, 11 design principles and 18 design activities were identified. Reflecting the extracte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the authentic learning-based free semester system was developed. The final model is structured into a circular and repetitive flow with a focus on “analysis and design” activities. The model in this study comprises eight stages according to the flow of “analysis of authentic instructional context,” “setting of authentic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tasks,” “learner-oriented authentic instructional method design,” and “process-oriented authentic assessment design.” The “analysis of authentic instructional context” involves analyzing students’ interest and career exploration, analyzing instructional content, and re-constitution; and “setting of authentic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tasks,” involves students’ activity-centered objective setting and students’ activity-centered task setting. The stage of “learner-oriented authentic instructional method design” involves student-oriented instructional model setting, student-oriented instructional method, and supportive tool design. Finally, “process-oriented authentic assessment design” involves students’ activity process-oriented assessment criteria design, process-oriented assessment method, and supportive tool design. The results were reached after a discussion that focused on the uniqueness of the existing free semester system classes and a comparison with the authentic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and proposals were made in terms of methodology and further studies to be conducted later. It is hoped that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the authentic learning-based free semester system develop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to provide support in resolv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with instructional desig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적 학습 기반의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자유학기제 수업이 기존의 교사중심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 중심으로 수업방법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려고 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용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모형 개발을 위해 실제적 학습 환경 구성요소를 활용하였다. 실제적 학습 환경을 활용한 이유는 실제적 학습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자유학기제 수업 환경이 추구하는 목적과 밀접한 영향 관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헌연구 및 조사연구를 통해 실제적 학습 기반의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구성요소를 반영하여 수업설계 원리 및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형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3회 전문가 검토와 1회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먼저 실제적 학습 기반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시 요구되는 상위 구성요소는 ‘실제적 맥락’, ‘실제적 목표’, ‘실제적 과제’, ‘실제적 활동’, ‘실제적 평가’로 이루어져 있다. 하위 구성요소는 ‘학습자 흥미 및 진로탐색’, ‘교육과정 재구성’, ‘활동 중심 수업목표 및 과제(문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 ‘과정중심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적 학습 기반의 자유학기제 수업을 지원해줄 수 있는 외부 환경 요인으로 ‘교사 연수 지원 및 학습 공동체 활성화’, ‘학교 및 학교 간 네트워크 활성화’, ‘학교 및 지역사회 간 네트워크 활성화’, ‘학교와 학부모 및 교육기관 네트워크 활성화’ 구성요소가 추가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둘째, 실제적 학습 기반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모형 개발을 위해 설계 원리를 도출하였다. 5개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11개의 설계원리와 18개의 설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도출된 수업설계원리를 반영하여 실제적 학습 기반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최종 모형은 ‘분석과 설계’ 활동에 초점을 맞춰 순환적·반복적 흐름으로 구조화 되어있다. 본 연구의 모형은 ‘실제적 수업맥락 분석’, ‘실제적 학습목표 및 과제 설정’, ‘학습자 중심 실제적 수업방법 설계’, ‘과정중심 실제적 평가 설계’의 흐름에 따라 총 8개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실제적 수업맥락 분석’ 단계는 학습자 흥미 및 진로 분석, 수업 내용 분석 및 재구성 요소가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적 학습목표 및 과제설정’ 단계는 학습자 활동 중심 목표설정, 학습자 활동 중심 과제 설정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 실제적 수업방법 설계’ 단계는 학습자 중심 수업모형 설정,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 및 지원도구 설계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과정중심 실제적 평가 설계’ 단계는 학습자 활동 과정중심 평가기준 설계, 과정중심 평가방법 및 지원도구 설계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 자유학기제 수업의 특수성 및 실제적 학습 수업모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방법론상 및 추후 후속연구에 관해서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실제적 학습 기반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모형이 교육현장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수업 설계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의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 효과분석

        이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및 현업적용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와‘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현업적용지각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수행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세 가지 이다. 첫째, 연구를 통해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이 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의 다양한 모형과 효과에 대해 검토 후, 이를 토대로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 적합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 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모형을 토대로 수업을 설계한 후, 사전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집단은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기존 강의식 교수학습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셋째, 두 집단의 문제해결능력, 현업적용지각 평가점수를 토대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이 문제해결능력 및 현업적용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문제해결능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문제해결능력 향상 효과가 있었다. 특히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제인식, 실행, 성찰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현업적용지각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두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현업적용지각 향상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볼 때,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기업 지식활동가 양성교육에서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과 현업적용지각 향상에 효과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단기간 동안 한정된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효과를 명확히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제해결능력 측정 도구, 현업적용 측정 기간, 학습활동 진행 방식을 정교화하는 후속연구도 요청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wareness of on-the-job application in education to foster corporate knowledge activis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s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s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awareness of on-the-job application?'. The three research procedure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on education to foster corporate knowledge activists were reviewed and an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examin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a suitabl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corporate knowledge activists was derived. Second, after constructing programs based on the derived learning environment,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was implemen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by the existing learning environment. And two groups were verified homogeneous in nature regard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wareness of on-the-job application in advance of the program. Third, evaluation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s on enha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wareness of on-the-job applicat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a group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was more effective than another group. E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 recognition,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among the subdomains of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of on-the-job application between two groups. Two conclusions can be draw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to improve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to improve learners' awareness of on-the-job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wareness of on-the-job application. However, given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limited learners for a short period of tim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various topics and learners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s. In addi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further studies with more refined assessment tool to measure problem solving ability, measurement period for on-the-job application, and learning activity method.

      • 실제 자료와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OVER의 비교 연구

        강승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전치사 OVER의 다양한 의미와 용법들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치사의 학습의 한 단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을 위하여 먼저 OVER의 기본적 의미를 논의하고 원어민의 저서나 TV 프로그램 대사(script)와 같은 실제 자료에 나타난 다양한 의미와 용법 및 사용빈도를 분석했다. 교육영어(pedagogic English)와 실제영어(authentic English)에 나타난 OVER의 의미와 용법 및 사용빈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현행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제점을 직시하고자 했다. 교과서 평가의 이유는 효율적인 교수학습의 적용에 있다. 또한, 차기 교과과정 개편 때, 개선 사항을 지적해 낼 수 있는 요인도 된다. 따라서 실제 자료에서는 OVER의 쓰임이 문맥(context)마다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생생한 자료가 될 수 있어서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적용할수록 학습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실제 자료는 또한 교과서 평가의 기준뿐 아니라 보조 교재로 활용할 수 있다. 분석을 위해 우선 의미부터 살펴보는데, 전치사 OVER의 기본 의미는 X가 Y의 위에 있다는 공간적 개념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원형적인 의미가 다양한 문맥 속에서 확장을 하는데, 학습자가 각각의 문맥 속에서 전치사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 인지적인 전략을 활용해야 한다. 즉, 복잡하고 다양한 문맥 속에서 범주화 작업은 전치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따라서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크게 OVER뒤에 목적어가 있을 때는 전치사적 용법, 없을 시엔 부사적 용법으로 크게 나눈다. 이와 같은 분류는 의미적인 측면과는 상관이 없다. 그리고 각각의 전치사적 혹은 부사적 용법은 공간적 용법, 시간적 용법, 그리고 추상적 용법으로 나뉘어 진다. 위의 세 가지 분류는 다시 세세한 용법으로 나누기로 한다. 위의 기본 의미는 실제 자료분석의 기준으로 적용토록 한다. 실제 자료는 일반 서적과 같은 문어적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원천과 시트콤과 같이 원어민이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구어적인 것을 비슷한 비중으로 수집한다. 기본의미에 따라 실제 자료에서 수집한 예문에서 여러 가지 의미의 분포와 비율을 파악한다. 교과서의 수집 범위는 현재 고등학교 2, 3 학년생이 사용하는 6차 교과서와 1학년부터 새로이 적용되는 7차 교과서를 포함한다. 이것도 실제 예문처럼 OVER의 기본 의미를 토대로 분류를 하며 의미의 분포와 비율을 파악한다. 앞서 분석된 실제 자료에서 나온 OVER의 의미에 대한 분포와 비율은 교과서에서 나온 그것의 비교 기준이 된다. 비교 분석 결과 OVER의 쓰임이 실제 자료와 교과서간에 커다란 격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한 가지 차이점을 뚜렷이 보이고 있었다. 실제 자료의 담화상 문맥에서 선적 이동을 나타내는 공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용법이 상당히 많이쓰이고 있는 반면, 우리 나라 교과서에서는 읽기의 자료에서 ‘이상’이란 의미의 추상적 의미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상 위의 추상적인 의미는 실제 자료에서 빈도가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읽기보다는 담화상의 문맥에서 전치사의 용법을 많이 노출하는 것이개선할 점이다. 물론 짧은 시간 내에 작은 규모의 조사를 행하여서 무리가 있음은 인정하나, 전치사 OVER에 대한 일종의 표본 조사와 같은 것임을 바라고 논문의 실제 자료가 교과서와 병행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었음을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meaning and use of the preposition OVER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basic meaning of the preposition OVER, the corpus found in authentic materials like social science books and scripts of a TV program is analysed. These procedures are eventually to be the means to assess the textbooks. The textbook evaluation may help us improve the effective English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the result of assessment may be reflected in the next revision of curriculum (the 8th curriculum). The more authentic data an English class has, the more effective it can be because the vivid everyday English collected from authentic materials gives students spontaneous interest and important motivation. The authentic materials can be not only the instruments that measure how the English textbooks are organised, and they can also be the textbook aids themselves. The first procedure of this study shows the 33 different kinds of meanings of the preposition OVER. The prototypical meaning of the preposition OVER is related to the spatial concept, and then it expands its meanings to the realm of abstract ones. The basic meaning and the abstract ones are closely related semantically. Therefore,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preposition adequately, we need the cognitive strategy which requires the students ability to categorize them. The division into prepositional and advervial categories of OVER is syntactic, but nothing to do with the various meanings of OVER. Each prepositional and adverbial form is divided into three conspicuously different categories; space, time, and abstract meanings. According to the contexts, th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s may be demonstrated. The study on the meanings and use of the preposition OVER is directly applied to the analysis of authentic materials. The corpus data of authentic materials have different uses according to the context depending upon their use in written expressions or colloquial expressions. Therefore, the ratio between the written and colloquial expressions in this study are half and half. The most frequent patterns in the authentic texts are chosen as the standards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present high school English texts. Finally, 27 different high school English texts are analysed in terms of the result of the former results. The scope of data is extensive, because the first graders and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are under different curriculum systems. The 7th revised textbooks are newly applied to the first graders with the new educational objective and approach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the authentic texts and school textbooks. Nevertheless, the most frequent meaning pattern is different in these two types of texts. In authentic texts the most frequent one is spatial relationship representing linear movement. It is frequent in colloquial expressions. In contrast the school textbooks have many abstract uses with the meaning of ‘more than'. It is more often in written expressions. In conclusion, the meaning and use of OVER in the context of dialogues are more required in the high school English text books. I expect that teachers will provide their students with the appropriate context with the authentic materials. This will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English prepositions better.

      • 초등 경제교육의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 효과분석

        강가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초등 경제교육에서 ICT를 활용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이 학습자의 경제이해력과 경제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ICT 활용 실제문제기반학습이 경제이해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와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학습이 올바른 경제태도 형성에 효과가 있는가?’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세 가지였다. 첫째, 다양한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의 모형과 효과에 대해 검토한 후, 초등 경제교육에 적합한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 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모형을 토대로 수업을 설계한 후, 사전 동질성을 확인한 두 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집단은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기존 강의식 교수학습을 적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셋째, 두 집단에 대한 경제이해력 검사와 경제태도 검사를 통해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초등 경제교육에서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경제이해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제이해력 하위 영역 차이 분석 결과, 개념과 원리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경제태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제에 대한 인식과 경제의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두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초등 경제교육에서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경제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 경제교육에서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학습자의 경제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볼 때,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은 초등 경제교육에서 학습자의 경제이해력과 경제태도 함양에 효과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 결과는 대체로 네 가지 한계를 지닌다. 첫째, 이 연구 결과는 특정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ICT 활용 실제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한 수업을 수행한 결과이므로 연구 결과를 다른 학교 및 다른 학년에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다른 학습 환경에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제한된 시간에 교육이 진행됐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사회과 경제영역 전 과정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충분한 시수 확보를 전제로 다른 경제단원에 대해서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검사 도구의 한계로 학습자의 정밀한 경제이해력 향상도 측정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학년에 따라 경제이해력을 심층적이고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ICT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활용 능력이 연구설계에 반영되지 않았기에 ICT 활용 능력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반영하여 타당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ICT in the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on learners’ economic understanding and attitud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set up: ‘Is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elementary school economic instruction using ICT effective for enhancing economic understanding?’ and ‘Is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elementary school economic instruction using ICT effective in forming the right economic attitudes?’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e following three procedures were used: First, after examining the diverse models and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 environment, the this study deduced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model for the elementary economic instruction using the ICT. Second, the study designed an elementary instruction based on the model induced, and thereby, organized two groups whose homogeneity had been verified before the test and divided them equally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nd then, applied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ICT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was subject to the conventional instruction. Third, the study verified two groups’ economy understanding levels and attitudes thereb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ICT on their economic understanding and economic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as found som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f economic understanding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sub-areas of economic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m in the areas of economic concepts and principles. Second, the economic attitude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areas of economic attitudes,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ception and consciousness of econom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two-fold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ICT would be effective in elementary learners’ economic understanding. Second,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ICT wa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economic attitudes. As discussed above,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ICT may well be effective in terms of elementary learners’ economic understanding and their economic attitudes. Nevertheless, this study was limited in the following 4 aspects: First,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lementary 4th graders attending the same school, it would be limited in terms of generalizing its results for other schools and graders. Accordingly, it is deemed necessary to use a larger sample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Second,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limited period, its results may not well be generalized for all the areas of economic understanding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apply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o other area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by extending the period of study. Third, due to the limited research tools, learners’ economic understanding could not well be measured precisely.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 scale of measurement allowing for an in-depth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of elementary students’ economic understanding. Fourth, since students’ uses of the ICT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s was not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ould verify students’ability of using the ICT by testing their homogeneity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