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국 낭만주의 시 텍스트를 활용한 영어교육과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정남수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effective way to integrate English education into character building by analyzing poems of English romanticism. First, the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students who have become more violent and self-centered than ever before due to the lack of proper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These chapters explain the usefulness of education in literature, especially in English romantic poetry. This study also provides basic concepts and objectives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literature. There are suggestions for methodologies and strategies for teaching English by using the four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combination with character building skills. For the detailed textu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William Wordsworth’s “The Daffodils,” William Blake’s “The Chimney Sweeper,” Samuel Taylor Coleridge’s “Frost at Midnight,” and John Keats’ “Ode to a Nightingale.” The conclusion emphasizes that teaching English poetry helps students to express their feelings through their imagination, and gives them chances to find out their inner world and understand other people better and more sympathetically.

      • 구성주의 문예학에 기초한 시 교수-학습 모형 개발

        김유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70

        The present study set a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developed a poetry teaching · learning model based on the heoretical background of Constructive Literary criticism(emprische literaturwissenschaft) as an applied science of constructivism containing literary system. This study assumed that, if Constructive Literary criticism(emprische literaturwissenschaft) is the bas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oetry, which is a branch of literature, should also contain all literary activities including creation, delivery, acceptance and processing of literature, and should consider the essential natures of poems such as emotionality, ambiguity and significance. Moreover, in order to correct shortcomings in teachers’ one · sided explanatory lecture, we developed a model in which learners can internalize their emotion and experience and express their thoughts to the maximum. This can be called ‘communication · oriented poetry teaching · learning model’ and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eps: teacher’s goal setting; meaning reflection; learners’ goal setting; meaning expression; and summary and assessment. The step of meaning reflection, which i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poems and having emotional experiences, is sub · divided into action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ction, and aesthetic communication action. If the outline of the text is understood, it should be followed by activities to find the dominant consciousness through careful reading and vicarious experience of the narrator’s experience. It is because aesthetic communication is impossible without understanding the text. After these steps, the learners take the steps of reading with appreciation, finding meaningful expressions and meaning expansion, and through these activities, they finish activities for the expression of meanings to the full. Then, the expression of meanings is done through writing. This step is for develop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power. The meanings of the model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repeatedly suggests reading applied only to the genre of poetry. Poem reading can help students who have thought that poems are difficult realize that 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poems basically start with ‘reading.’ Second, critical writing related to texts considered learners’ interest and motive, and by emphasizing cooperative exchange of opinions among learners, it helps them overcome the limitation of staying in narrow ideas and develop a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Third, because this model can activate students’ experience or background knowledge, the step of internalization is not in the result but in the process. Because readers are as important as writers, students may be able to experience the fusion of their inside with texts in steps such as experience recalling, finding meaningful expressions, reading with appreciation, etc.

      • 현대시 교육에서 독자의 해석 전략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학습 독자를 중심으로

        유보슬이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독자가 시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시 해석 전략의 활용 양상을 기술하고,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중등 시 교육 현장은 학습 독자의 해석 활동을 통해 시를 읽기보다는 교사의 해석이나 전문가의 해설에 의존해 시를 읽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른 텍스트보다 빈자리가 많고 독자의 적극적인 상상력이 필요한 시 텍스트의 특성상 시 교육에서는 독자의 능동적인 시 읽기 행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 독자는 나름대로의 시 해석 전략을 사용하여 시 텍스트의 의미를 스스로 생성하는 능동적인 존재라고 보고, 중등 현대시 교육에서 시 해석 전략의 개념과 그것이 작동하는 토대로서의 기저 범주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포적 용법의 언어로 이루어진 시 텍스트는 산문과는 다른 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읽어야 하며, 시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의 삶과 연관된 해석의 과정과 독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해석학과 독자반응 이론의 논의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 해석 전략이란 시를 독자 본위의 삶의 의미로 실현하기 위해 독자가 시 텍스트의 빈자리에 동원하는 의도적인 읽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학습 독자는 교실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시를 읽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은 그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으로 형성된다고 보고 해석 전략의 기저 범주로 문학 교육과 국어 교육을 포함하는 학교 교육의 경험과 독자의 경험, 가치관, 선이해, 기대지평, 자원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독자의 개인적 경험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과 구체적 활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시 해석 텍스트를 수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학습 독자가 사용하는 해석 전략을 크게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로 범주화하였다.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는 다시 ‘해석 대상의 지각’,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해석 대상의 지각은 시 텍스트의 다양한 의미 실현 자질들의 반복과 변주에 주목하여 중심 시어와 같은 해석의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은 제목이나 중심 제재와 관련 있는 독자의 경험, 선이해를 활용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예측하고 읽기 과정에서 자신의 예측을 확인하는 것이다.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은 시 텍스트의 부분과 전체에 압축된 의미를 풀어내어 독자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새로운 기술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은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와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으로 구분하였다.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는 시인에 대한 정보나 시대·사회적 배경을 활용해 주요 시어의 의미나 이면의 주제를 해석하는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은 읽고 있는 텍스트와 관련 있는 다른 텍스트를 끌어와 해석의 단서로 삼거나 학습 독자가 해석한 의미를 보다 정교하게 하거나 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다.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은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으로 구분하였다.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는 시 텍스트의 비유적 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유사한 속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험이나 세계 지식을 조회하고 두 대상 간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시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실현하거나 시 텍스트의 일부나 전체 구조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은 시어나 시구의 상징적 의미를 긍정-부정 중 하나로 해석하거나 이들의 관계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것으로 구분하여 뚜렷한 의미를 구조화하는 것이다.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은 시 텍스트의 다양한 빈자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독자가 지닌 경험이나 세계지식을 활용해 가능성이 높은 의미 가설을 세우고 이를 연역적으로 뒷받침하거나 가설을 중심으로 시 텍스트를 해설하는 것이다.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는 ‘작가와의 소통 시도’,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로 구분하였다. 작가와의 소통 시도는 텍스트에 드러나지 않는 작가의 목적이나 창작 의도를 파악하여 텍스트 이면의 작가와 소통하려는 시도를 통해 독자의 관점에서 시 텍스트의 의미를 새롭게 맥락화하는 것이다.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는 학습 독자 자신의 삶이나 독자가 속한 공동체나 사회에 유용하거나 깨달음을 줄 수 있는 가치를 구성하여 자기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내면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 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 텍스트를 읽기 위한 해석 전략의 다양성에 대해 열린 태도를 지니고, 해석 전략을 활용해 교실에서 소통 가능한 타당한 의미를 생성하며, 해석 전략을 매개로 이해와 표현 활동을 통합하고 연계하여 한 편의 시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와 감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는 학습 독자가 지각한 의미 자질들에 대해 질문을 생성하게 하여 의미 자질간의 관련성을 확보하고 독자 지평을 마련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구체화하도록 하고, 소집단 대화를 통해 실천된 해석 전략의 적절성을 동료 학습자와 함께 비교하고 평가하여 해석의 타당성을 제고하며, 시 해석 전략을 쓰기의 전략으로 변용하거나 해석의 과정과 결과를 바탕으로 비평문 쓰기를 통해 시 텍스트의 가치를 내면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 독자인 실제 학습 독자의 시 해석 텍스트를 분석하여 시 읽기 과정에 사용되는 시 해석 전략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시 교실에서 학습 독자의 해석 활동을 중시하여 능동적인 시 해석 교육을 구체화하였으며,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 독자의 위상과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pplication aspects of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used by the learning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texts, and to sugges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odern poetry education using interpretive strategies. This study considers the learning reader to be an active being who creates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by itself using their own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and theore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in modern poetry education and the underlying categories on which it operates. As a result,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can be said to be an intentional reading method that the reader mobilizes in the empty space of the poetry text to realize poetry as the meaning of a reader-oriented life. And, as the base category of interpretive strategies, the experience of school education including literatur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and the reader's personal experience were classified and examine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oetry interpretation texts from high school first grade read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pretive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Recognition of text semantic features and verbalizing', 'Utilization of reference materials outside the text', 'Application of internalized interpretation and structuring conventions', and ‘Thematic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unicative meaning’ First, 'Recognition of text semantic features and verbalizing' was further divided into ‘perception of interpretation target’, ‘prediction of meaning through title’, and ‘restatement of compressed meaning’ strategies. To the next, ‘Utilization of reference materials outside the text’ was divided into ‘reference of poets and times and social background’ and ‘use of intertextuality’. ‘Application of internalized interpretation and structuring conventions’ was divided into ‘analogism based on relevance’, ‘classification by dichotomous schema’, and ‘establishment of possible semantic hypotheses’. Finally, ‘Thematic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unicative meaning’ was divided into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artist’ and ‘internalization of community values’. In order for the reader's interpretive strategies to be performed effectively, it is have an open attitude toward the diversity of interpretive strategies for reading poetry texts, use the interpretive strategies to create a valid meaning that can be communicated in the classroom, and interpretive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link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hese educational contents, the learning readers create questions about the perceived semantic features, secure the relevance between the semantic features, establish the reader’s horizon to materialize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and To improve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pretive strategies with fellow learners, to transform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into a writing strategy, or to internalize the value of the poetry text through critical writing based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terpretation suggested.

      • 現代詩를 텍스트로 한 詩舞踊 硏究

        이해준 中央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32447

        이 연구는 `시무용`(poeticdance)의 가능성과 방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시무용`은 현대시의 시정신과 방법이 신체언어로 창작되어 무대 위에서 공연되는 무용을 지시하는 시적 예술양식을 지시하는 뜻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가능성의 무용 양식으로 창작을 시도하는 `시무용`은 시정신과 표현기법을 포괄하는 언어구조로서의 현대시를 신체언어로 무대화한 예술형식을 말한다. 연구자는 현대시가 `시무용`으로 창작될 경우를 상정하고, 그 구체적 방법을 탐구해볼 것이다. 특히, 현대시의 시정신과 은유나 상징, 알레고리와 같은 표현장치들을 무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려 한다. 무용은 무대장치. 미술. 음악. 조명. 의상 등의 연출 효과를 종합해서 예술 미학을 추구하는 공연예술이다. 그러므로, 원텍스트로서의 현대시가 지니는 은유나 상징과 같은 표현 장치와 시정신이 어떻게 무대 위에서 해석되고 형상화되어 `시무용`이 될 수 있는가를 밝혀보려는 것이 이 연구의 초점이다. 연구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1. 원텍스트 분석. 2. 안무 의도. 3. 무용대본 작성. 4. 안무 및 공연 상황. 5. 시무용 창작. 연구자가 텍스트로 선정한 현대시는 1. 윤동주의 「또 다른 고향」. 2. 이건청의 「인텔리겐치아」. 3. 감태준의 「흔들릴 때마다 한 잔」. 4. 김용범의 「S. 베게트의 겨울 나무 셋」등 4편의 작품이다. 이들 4편의 텍스트 시는 모두 현실 사회에서 현대인의 삶과 운명의 문제를 깊이 있게 통찰하고자 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현대시의 시정신과 방법이 무용언어로 창작되어 무대 위에서 공연되는 예술 양식으로서의 `시무용`의 가능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무용의 신체 언어는 무대장치. 음악. 미술. 조명. 대사 삽입 등의 방법을 통해 시정신을 구조화할 수 있으며, `시무용`은 새로운 가능성의 예술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무용은 무용수들의 연기, 연출 효과 등이 순간적으로 이뤄내는 인지효과를 창조해낼 수 있다. 안무 제작자는 이런 인지효과를 표현의도와 결합시킬 수 있는 다각적 능력을 지녀야 한다. 윤동주의 시 「또 다른 고향」에서의 분열된 시적 자아를 `백골`과 `눈물짖는 나`, `아름다운 혼`, `지조높은 개` 등으로 분리하여, 제각기 다른 무용수로 제시함으로써 텍스트 시의 내포를 선명하게 구체화할 수 있었다. 무용수들로 하여금 꺾임과 응축, 회복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내적 갈등을 구체화할 수도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동작을 각 장의 의도된 장치구조에 의해 반복, 제시하게 함으로써 상징성을 강화할 수 있었다. 또한, 밝음과 어둠, 단독 조명 효과 등을 통해 `어두운 방`과 `우주 공간`을 대립과 상호 조응의 공간으로 성찰할 수 있게 할 수 있었다. 현실과 타협하려 하고, 유혹에도 휘둘리기 쉬운 시적 자아를 지키고 견제하는 정신적 규범을 나타내는 `지조 높은 개`는 검은 정장을 입고 세퍼트 줄을 잡은 무용수로 구체화함으로써 전달성을 강화하였다.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은 단절과 고독의 근원에서 시적 화자가 꿈꾸는 이상의 공간이다. 이 이상의 공간을 형상화하기 위해 계단형 구조물 앞의 호리전트(Horizont)와 검정색 투명막을 설치하고, 막의 하강을 통해 단절과 고립의 공간과 이상적 공간을 분리 제시하였다. 검정색 투명막의 꼬마 전구 2000개에 불이 들어오면서 은하수의 느낌을 구체화하였고, 밝고 경쾌한 무용을 통해 시적 화자가 이상 공간에 이르렀음을 암시하였다. 이건청의 시「인텔리겐치아」에서 무대 후면과 좌우 3면 모두를 분리된 공간을 상징하는 박스형 앵글로 채우고, 전면 박스형 앵글 속에 설치된 대형 텔레비젼 모니터 20개가 보여주는 모니터 화면 효과를 통해 시적 화자가 느끼는 소외를 은유화하고 상징화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분리된 박스형 공간은 존재적 자아가 연기 공간인 무대로부터 떠나 자기를 성찰하는 격리된 공간이 되었다. 무대 전면에 설치된 채 한 번도 사용되지 않는 마이크는 말을 상실한 단독자의 단절을 구체화하기 위한 소품으로 설치되었다. 이 마이크는 말을 할 수 없는 인텔리겐치아의 좌절을 구체화해주는 상징이다. `남자 무용수가 신발을 벗는 것`, `벗어놓은 신발을 무대 밖으로 쓸어버리는 것`, `최초등장의 여자 무용수와 남자 무용수가 손짓과 섬세한 움직임을 통해 답답함과 지루함, 그리고 기다림을 나타내는 것`은 현실상황 속의 공포이며 소통 부재의 상황을 나타내 보여주는 방식일 수 있다. 소통 부재와 공포의 현실과 상호 배반하는 무용수들의 동작, 타악 음악, 텔레비젼 모니터의 철길 이미지, 무대 위에 배치된 선인장, `신발`, `빗자루`등은 시적 은유의 형상화 가능성을 보여준다. 감태준의 「흔들릴 때마다 한 잔」에서 소외된 도시 빈민의 삶과 좌절은 `흔들림`의 주점인 `포장 술집`으로 은유화시켰다. 이 무대 위의 포장마차에서 실제로 술안주를 굽고 몇 사람이 앉아 소주를 마시기도 한다. 그리고, 객석까지를 포장마차의 일부로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술집`을 현대 도시의 문제점이 토로되고 검증되는 리얼한 상징공간으로 만들 수 있었다. 대중가수 최희준의 가요 `하숙생`을 반복 사용함으로써 뿌리 없이 떠도는 뜨내기 도시 빈민의 삶을 은유화한다. 강한 빛의 잔상 속, 무대 중앙에는 남자 무용수가 떨어질 듯, 떨어질 듯 매달리기를 하는 춤동작, 혹은, 무너져 내리는 반복 동작, 켜지지 않는 성냥 등이 고난의 삶을 시각화해 보여준다. `반쯤 죽은 주모`와 `참새` 역의 여성 무용수는 서로를 들어올리고 혹은 두 명씩 짝이 되어 서로를 밟기도 하고 내던지기도 함으로써 고난의 정도를 심화할 수 있었다. 조명에 의해 무대에 그려진 뒷산은 도시 빈민들의 비애의 삶에 배경을 마련해주면서 이들의 삶을 전경화시킨다. 두 손을 치켜들고 항복의 모습으로 객석을 응시하던 최초등장 남자 무용수가 객석을 향해 이야기를 하게 함으로써 텍스트 시가 제시하는 도시 빈민의 고뇌를 일반화된 관심으로 확산시킨다. 김용범의 시 「S. 베게트의 겨울나무 셋」에서 불가해한 운명의 제시물로서의 빈 항아리 세 개와 빈 항아리에 담긴 사람은, 가지가 끊어진 세 그루의 나무에로 의미가 전이되고, 다시 항아리에 갇혀 목만 나온 세 사람을 통해 좌절의 깊이가 심화되게 되어 있다. 항아리에 갇혀 목만 나온 사람의 부조리한 운명은 천정에서 아주 조금씩 지속해서 쏟아져 내리는 모래, 어둠 속에서의 남자 무용수의 산소 용접, 이따금 들리는 단속적인 비명 등에 의해 지루하게 제시된다. 사무엘 베게트의 부조리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대사 "아무 일도 없는 하루다. 아, 지겹다."를 통해 운명의 불가해성과 이유도 모른 채 위압적 현실의 희생양이 될 수도 있는 현실의 예측 불가성이 구체화될 수 있었다. 무용수들의 부조화적인 춤동작, 한 번도 마주치지 않는 시선등을 통해 인간의 타자성이 은유화되게 배려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