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의 화자 유형 연구

        김화성 목포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현대시의 화자 문제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화자 유형을 분류하였다. 문학 작품이 작가의 표현 방식의 하나라고 한다면 그것은 언어에 의한 담화의 일종이다. 시가 담화의 하나라면 여기에는 반드시 말하는 자와 말의 내용과 말을 듣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논자는 화자 유형의 분류 기준을 화자와 화제와 청자를 축으로 놓으려한다. 그 결과 화자의 축에서 화자가 어떠한 인물인가를 드러내는 존재성의 문제가 우선 대두되고, 화제의 축에서 화자가 대상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하는 인식성의 문제가 필연적으로 제기된다. 그 다음 청자의 축에서 화자가 대상을 인식할 때 어느 방향에 더 많은 초점이 모아져 전달되는가 하는 전달성의 문제가 불가피하게 설정된다. 먼저 살펴 볼 화자의 존재성은 화자가 어떤 존재이냐에 따라서 경험적 화자와 허구적 화자와 사실적 화자로 대별한다. 시적 화자가 실제의 시인과 동일시되는 인물로 내비칠 경우 시인의 내면적 세계가 그대로 드러난 경험적 화자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실제 시인과는 전혀 다른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화자를 대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시인의 의도에 의해 창조된 허구적 화자로 가정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경험적 화자와 허구적 화자가 결합되어 간접 경험화된 화자이거나 화자의 내적 자아가 사회의 현실에 참여하여 현실 인식의 시를 낳는 사실적 화자가 있다. 다음으로 제기된 화자의 인식성은 화자가 대상을 인식할 때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크게 주체적 화자와 객체적 화자로 구분한다. 화자가 대상을 놓고 거기에서 느끼는 감정을 주관적으로 시화하는 방법과 화자가 대상의 입장에서 객체가 되어 사물의 내면과 실상을 의인화해서 표현하는 방법으로 나눈다. 이어서 화자와 청자의 전달성에 의한 분류의 근거를 살펴보았다. 시적화자가 주제를 전달하고자 할 때 전달 방향이 어느 쪽에 더 기울어져 있느냐에 따라, 화자 지향적 화자, 화제 지향적 화자, 청자 지향적 화자로 갈래를 상징한다. 이러한 기준은 모든 시가 지니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성질이다. 그리고 모든 시는 세 가지 관점을 동시에 같이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시에 연결되어 있는 세 가지 유형을 묶어서 화자 유형의 구조를 파악한다. 첫째, 경험적 추제 화자는 시인이 사물이나 현상을 인식할 때 주체적인 입장에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감정이나 정서를 말하는 경우다. 둘째, 허구적 주체 화자는 시인 자신의 실제의 인격과는 구별되도록 창조된 가상적이고 허구적인 인물이 발언하는 경우다. 셋째, 사실적 주체 화자는 시인이 주위의 일상에서 보고 듣고 느끼는 가운데에서도 개인적 상황이 아닌 사회적 상황과 결부된 시적 주제를 서술하는 화자를 말한다. 넷째, 경험적 객체 화자는 화자가 실제 시인이지만, 화자는 숨고 화자를 대신해서 상직적 주체물이 시인의 경험적인 이야기를 대신 말한다. 다섯째, 허구적 객체 화자는 시인의 목소리가 배제되고 시의 표면의 발언자로서 허구적 화자가 등장한다. 이 허구적 화자는 시 전체를 지배하는 1인칭 주체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관찰의 대상이 되는 3인칭의 인물로서 제시되는 객관화된 탈이다. 여섯째, 사실적 객체 화자는 시인의 사사로운 진술이 아니라 사회와 시대를 향한 간절한 소망의 노래가 새롭게 창조된 화자의 목소리로 말한다. 화자의 주체가 사물이든 사람이든 주체의 개성을 충분히 살리면서 상징적으로 전달된다.

      • 학습자 중심의 중학교 낭송 교육방안 연구

        이수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에서는 현재 중학교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시 낭송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이론을 적용한 학습자 중심의 시 낭송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시 낭송 교육은 운율 교육과 관련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시 텍스트를 수용하고 작품을 내면화함으로써 문학 교육의 의의를 갖는다. 그러므로 시 낭송 교육은 시 교육에서 시의 실제적인 면과 구체적인 학습의 첫 번째 단계라고 볼 수 있으며, 시 교육의 출발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의 시 낭송 교육은 묵독이나 교사의 시범 낭독으로 진행하거나 이마저도 지나치는 경우가 있어 학습자의 주체적인 시 감상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독자의 주체적 감상과 텍스트와 독자 간의 상호 작용을 바탕으로 한 수용이론을 수용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시 낭송 교육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학습자 혼자 시 텍스트 속에 숨은 의미만 쫓는 것이 아니라 작가와의 의사소통으로 의미를 생성해 가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실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으로 시 낭송 교육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제 Ⅱ장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7~9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제시된 시 낭송 교육의 현황을 검토하고 현재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시낭송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시 낭송 교육 방안 모색에 앞서 학습자 중심의 수용이론과 시 낭송 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시 텍스트를 토대로 운율 형성 요소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다음, 중학교 시 낭송 교육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시 낭송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체적 접근 단계(기대 지평의 형성)→ 부분적 접근 단계(기대 지평의 전환)→ 종합적 접근 단계(기대 지평의 재조정)→발전적 접근 단계(기대 지평의 수평적, 수직적 확대와 심화)’ 로 정하고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정호승의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이형기의 「낙화」를 텍스트로 삼아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시낭송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현재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시 낭송 교육 및 실태를 파악하여, 학습자 중심의 시 낭송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수업 모형이 학습자 스스로 시 운율을 찾아보고 낭송함으로써 시 낭송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필요성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현대의 물 상상력과 나르스의 언어 : 윤동주와 기형도 를 중심으로

        이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1930∼40년대 일제 암흑기의 대표적 시인으로 평가받는 윤동주와 1980년대 등장해 전세대 시인들과 변별되는 1990년대 새로운 시적 지평을 여는 단초가 된 것으로 평가받는 기형도 시를 중심으로 두 시인의 물질적 상상력이 시의 언어와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윤동주와 기형도는 어려운 시대를 살다 일찍이 생을 마친 단명(短命)의 시인들로 각각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와 『입 속의 검은 잎』 이라는 유고 시집 한 권씩을 남겼으며, 특히 그들 시세계를 관통하는 물질적 상상력에 있어 적지 않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시인들이다. 이 논문은 이에 이들 시의 물 상상력이 나르시스의 언어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 시대를 뛰어넘어 두 시인이 겹쳐지는 지점을 밝혀내는 데 주력하였다. 바슐라르에 의하면 물질적 상상력이란 하나의 식물에 결부되는 물이나 공기와 같이 인간 삶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물질에 대한 명상이며, 그것은 열린 상상력을 이끌어낸다. 시적 이미지는 하나의 물질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시인의 시세계를 관통하고 있는 물질적 상상력의 세계를 밝혀내는 일은, 시인의 의식과 시세계를 잇는 내밀한 연결의 고리를 풀기 위해 가장 가까이 다가가는 방법이 될 것이다. 먼저 윤동주와 기형도 시의 물 상상력이 어떻게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각각 살펴볼 때, 윤동주 시의 물은 무겁다. 윤동주의 물은 '우물'로부터 출발한다. 그 우물은 시 「自畵像」에서와 같이 시인의 자아가 눈을 뜨고 거기에 갇혀 있는 자아와 거기를 떠나려는 자아가 각축을 벌이는, 바슐라르에 따르면 많은 반영과 그림자를 지닌 무거운 물이다. 우물에서 비롯된 무거움은 존재 내부의 슬픔과 영원한 갈증을 싣고 육체 밖으로 쏟아져 내리는 '눈물'의 무거움으로 이어지며, 종국에는 이 모든 무거움을 지고 가라앉는 물로의 '침전'을 통해 우수와 고뇌로 무겁게 하강하는 시인의 혼을 보여준다. 반면 기형도 시의 물 상상력은 가벼움을 지향한다. 윤동주가 우물 혹은 거울을 통한 직접적 자기응시라면, 기형도는 '유리창 너머' 혹은 '자막' 속에서 타자화된 자기를 봄으로써 직접적 자기응시가 주는 무거움으로부터 한발 물러서는 거리를 취한다. 그렇기에 윤동주의 눈물도 그에게 와서는 존재 내부의 발로가 아닌 존재 외부 장치로서의 '비'로 변하는 것이다. 즉 윤동주의 눈물이 슬픔의 직접성이자 내면성이라면, 기형도의 비는 슬픔의 외적 치환인 것이다. 이러한 무거움에의 기피 내지 거부가 윤동주의 하강운동을 기형도에 있어서는 구름의 변신과 해체라는 물의 '부유'를 통한 상승운동으로 바꿔 놓는다. 이렇듯 두 시인의 물 상상력은 무거움으로 치닫거나 가벼움으로 달아나며 끊임없는 대비를 보이지만 침전이나 부유 모두 물의 본래 흐름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볼 때, 두 시인의 물 상상력이 다 같이 향하는 곳은 죽음이자 소멸이다. 여기에 두 시인의 물 상상력이 합쳐지는 지점이 있다. 죽음이고 소멸인 두 시인의 물 상상력의 발원은 투명성 상실과 전망 부재의 안개, 가혹함과 일깨움으로서의 바람, 길과 시간에 대한 무상한 인식 등 세계 인식의 비극성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른바 안개와 바람의 시대라 명명할 수 있는 이들 시인이 처했던 시대적 질곡에서도 찾아질 수 있다. 같은 발원에서 갈라져 나온 두 시인의 물 상상력이 가고 있는 곳은 죽음이다. 왜냐하면 바슐라르가 의문을 제기한 대로 물은 긴 여행이며 미지의 곳을 향한 새로운 여행, 그리고 그 긴 여행의 종착지는 죽음이기 때문이다. 죽음이란 대항해자인 것이다. 윤동주와 기형도의 물 상상력의 긴 여정이 죽음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이들 시인이 자기유폐의 나르시스이기를 택하였으며, 죽음으로써만이 성취되는 우주적 나르시스를 꿈꾸었던 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how a poet's material imagination is intertwined with poetic language based on the work of two poets: Yun, Dong-ju and Gee, Hyung-do; the former is known for his work representing the dark,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30s through 1940s and the latter, who debuted in the 1980s, is regarded as the one who initiated a new perspective on poetry in the 1990s by his distinctive work contrasting with other poets in previous generations. The two poets had something in common; both died young after having been through hard times and left posthumous works: "The Sky, Wind, Star and a Poem" and "Black Leaves in the Mouth"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y are similar in terms of material imagination which penetrates through their world of poetry. First of all, regarding comparison of water imagery between the two, imagery of water from Yun, Dong-ju appears dark and heavy. At the outset, water starts with a 'well'. The well signifies the heaviness of a battle between the self being enclosed in the well and the other self trying to get out when the poet's self begins to awake, as in his poem A Self-Portrait ; that is, heavy water full of reflections and shadows according to Bachelard. Heaviness which is derived from the well continues to appear in the form of 'tears' running on the surface of a physical body, loaded with existential inward sadness and endless thirst, and finally, through 'precipitation' of water with the existential heaviness, the descending poet's spirit is revealed by melancholy and agony. On the other hand, water imagery from Gee, Hyung-do is geared to express lightness. As opposed to direct self-reflection through a well or mirror in Yun, Dong-ju, Gee, Hyung-do attempts to set a distance from the heaviness of direct self- reflection by looking at the self 'through the window' or 'on screen' as if he saw another person. In this respect, tears in Yun, Dong-ju transform into' rain' as an outward instrument rather than inward expression of existence. In other words, while tears in fun are directness and inwardness of sadness, rain in Gee is outward transposition of sadness. Avoidance or rejection of the heaviness lets the descending movement of Yun change to ascending movement of Gee through floating on water by transformation and scattering of clouds. The water imagery of both poets is seemingly in contrast with images of heaviness and lightness; however, in light of the tendency of digression from natural flow, both precipitation and floating express the same thing, a death and extinction. The two poets' imagery comes to meet at this point. Contrasting water imagery of the two poets from the same source converges on death. This is because, as Bachelard questioned, water signifies a long, new journey to an unknown place, and the destination of the journey is death. Death is the great navigator. The reason why the two poets' long journeys of water imagery ended with death is that they chose to be a narcissist enclosed in self, dreaming of a universal narcissist which can only be achieved by death.

      • 액션러닝을 통한 현대 교육 방안 연구 : 정호승 인의 작품을 예하여

        송예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personality education class with the theme or the contemporary poem "Even the Grass Leaf Has the Scar". For this study, action learning was used to embody a personality education encompassing individuals, human relationship and community. The action learning is assumed for the group activities, while an introspective learning is designed to solve the actual problems. The learners would appreciate the contemporary poems and thereupon, apply their themes to cultivate their personality through the action learning activities. The researcher reviewed various preceding studies regard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Only a few preceding studies associated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ith the action learning, and no preceding studies researched into the contemporary poems for the action learning. Thu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use the action learning to suggest a pedagogic for the contemporary poems 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2015 Amendment National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stressed, and thus, the researcher judged that it would be possible under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to realize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lass because the personality core competence and the criteria for the academic achievemen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addition, the contemporary poems as the material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are closely and timely related with learners' ordinary life, and therefore, the middle schoolers could well understand and apply them to cultivate their expressive competence as well as beautiful personality through diversified metaphoric expressions of the poems. Jeong Ho Seung's poems have their own unique emotions stirring learners' emotion, and further, they could well motivate the learners to not only introspect on themselves and be concerned with their community, and therefore, they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cultivate the personalit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personality core competences suggested by 2015 Amendment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scholars' suggested personality virtue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conditions of the contemporary poem education in reference to the core personality competences suggested by 2015 Amendment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examined the conditions of the contemporary poem education in reference to 2015 Amendment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textbooks cover individuals' internal dimension and person-to-person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but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at the dimension of individual vs community is poor. Thus, 5 textbooks carrying Jeong Ho Seung's poems were reviewed critical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at the level of community fell short, and thu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omplement them to design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is study suggested an action learning class with the theme 'Jeong Ho Seung's "Even the Grass Leaf Has the Scar". Thus, the researcher adjusted the action learning procedures to the contemporary poem class, and then, designed a 4-session class for the middle school 2nd grader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designed specifically to exp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All in all,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used Jeong Ho Seung's contemporary poem "Even the Grass Leaf Has the Scar" to desig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contemporary poems. Through such class, the students are expected not only to learn about the contemporary poems not only cognitively but also to experience through practices and internalize the personality thereof. Key words: education of the contemporary poems, action learning, middle school education, Jeong Ho Seung, personality education 국문 요약 액션러닝을 통한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 정호승 시인의 작품을 예시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시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를 제재로 하여 인성교육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다. 개인, 대인관계, 공동체를 아우를 수 있는 인성교육을 구현하기 위하여 액션러닝을 활용하였다. 액션러닝은 모둠활동으로 이루어지며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성찰학습이 이루어진다. 학습자는 현대시를 감상하고, 현대시의 주제를 적용하여 액션러닝 활동을 통하여 실천하며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 국어 교과와 인성교육과 관련지은 연구들을 검토하였을 때 인성교육의 요소를 검토하거나 성취기준을 검토하는 논문은 있었으나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분석하여 인성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는 연구는 현저히 적었다. 또한 정호승의 시를 인성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검토한 연구 역시 적었다. 또한 국어 교과와 액션러닝을 연계한 연구들도 미비하였으며 현대시 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액션러닝을 활용하여 현대시 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인성 교육적인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국어 과목을 정의한 내용에 인성교육이 강조되어 있었으며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핵심 역량과 중학교 국어의 문학 성취기준이 인성교육과 밀접함을 통해 국어 교과 내에서 인성교육의 실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인성교육 제재로서 현대시는 시기적으로 학습자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여 이해와 적용에 용이하고, 시의 다양한 비유적인 표현들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표현능력을 기르고 아름다운 인성을 기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현대시 교수·학습 목표와 그 방향 역시 인성교육과도 밀접하여 현대시를 제재로 인성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정호승의 시는 학습자의 정서를 유발하는 특유의 감성이 있는 시이고, 자기 성찰뿐만 아니라 타인과 공동체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이는 인성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에 활용할 만하였다. 인성 및 인성교육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며 인성과 인성교육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또한 학자들이 제시한 인성 덕목들과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성 핵심 역량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성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하여 2015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구현된 현대시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대시 본문이 수록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개인 내적 차원, 개인 대 개인 차원의 인성 교육적 활동은 많았으나 개인 대 공동체 차원의 인성 교육적 활동이 부족함을 발견하였다. 한편 현대시 작품 중에서도 정호승 시의 교육 현황과 관련하여 정호승의 시가 수록된 5종의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모두 공동체적인 차원의 활동은 부족함을 발견하였고, 이를 보완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호승의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를 제재로 하여 액션러닝 수업을 제안하였다. 액션러닝의 절차를 현대시 수업에 맞게 적용하여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4차시 수업을 설계하였다. 교수·학습 방안을 공동체적 측면으로 인성교육을 확장했다는 점과 정호승의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를 제재로 하여 현대시를 통한 인성교육의 교수·학습방안을 구체적으로 설계하여 정호승의 작품과 같은 가치를 지닌 작품들에 적용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현대시를 인지적으로만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을 통한 경험을 쌓고, 인성을 체화할 수 있다. 주제어: 현대시 교육, 액션러닝, 중등교육, 정호승, 인성 교육

      • 한국 현대에 나타난 비동일적 학으로서의 추(醜) 연구 : 이상·김수영·김지하를 중심으로

        최서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thesis defines the impulse to create newness by destroying beauty as “the impulse of the ugliness,” and aims to understand the poetics of ugliness through this. Recently, there has been a need to systematize and recognize the writings that destroyed the phrases scattered in Korean modern poetry texts, and the bizarre images overflowing in poetry, using the aesthetic concept, the ugliness, as a resource. Although several pioneering achievements have been submitted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it is problematic in that an integrated framework for the poetics of ugliness has not been proposed, and it can be limited to material analysis by focusing on the phenomena of ugliness in the text. In this thesis, I focused on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previous study, which aimed to establish the aesthetic recognition standard to judge the ugly phenomena represented in the text, and analyzed the process of subjectivity centering on the impulse of the ugliness to understand the poetics of the ugliness. To this end, while looking at the uglin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aesthetic experience, in order to recognize the structure of negativity embedded in the ugliness, I reviewed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ugliness in Western aesthetics. Before the 19th century, the ugliness was recognized as a secondary to beauty, and was not treated as a subject of aesthetics. It is Karl Rosenkrants who has organized the ugliness into an aesthetic concept. His discussion has limitations in that he perceived ugliness as subordinate to beauty, but it is important in that aesthetics established ugliness as essential. Adorno argued that beauty came from ugliness and established ugliness as autonomous. Adorno submitted the ugliness as a non-identity, and explored the aesthetic principle by which a new aesthetic could be created. However, Adorno's theory is problematic in that it limits the discussion of practical ways to expand the concept of aesthetics as aesthetic practice by defin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beauty and ugliness as aphori. Adorno's argument is complemented by Nietzsche's “Dionysus”. Nietzsche's discussion of the Dionysian is worth noting in that it provided a framework for recognizing the aesthetics of ugliness as non-identity as an attack of destruction and creation. The aesthetic discussion of such a uglines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tructure of the negativity of the ugliness is 'contradiction'. Ugliness denied beauty, but because it is an aesthetic concept. That is, since negative and positive coexist in the negative of the ugliness, the aesthetic experience due to the impulse of the weight can be recognized as a process of destruction and creation. In the process of subjectivization, the problems of destruction and cre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innovation of the subject. The subject's innovation is driven by the death drive. Death drive seeks to become a qualitatively new being by destroying itself through the medium of death. The structure of destruction and creation built into the death drive coincides with the impulse of the ugliness. Therefore, the impulse of the ugliness can be recognized when analyzing the subjective process driven by the death drive. This thesis focuses on the process of subjectivity that appears in the texts of Lee Sang, Kim Suyoung, and Kim Jiha, and compares and analyzes each unique process of producing new literature by denying the existing order, and based on this, understands the poetics of ugliness. They accepted the construction of a new world as a matter of subject transformation. Through the self-revolution of the subject who lived in the real world, he or she tried to create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new world. So ugly to them meant both (1) reality and (2) self bound to that reality. Such desire leads to denial and dissolution of the existing (literary) tradition. Therefore, in their texts, a process to establish a new poetics appears by renewing oneself. It was driven by the urge to preoccupy the future with innovation.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is thesis, their poetic poetics have not been completed as a new beauty.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breaking and wrapping” remains unfinished. In their incompleteness, they can understand their poetic poetics as non-identical poetics. Therefore, their poetics indicate that the planning of the modern aesthetic revolution to carry out the revolution as a literary innovation using subject innovation as a methodology reveals the impossibility of the aesthetic revolution, and exposes the limitations embedded in the idea of such aesthetic revolution do. However, their non-identical poetics which disagrees with both existing and new ideas, paradoxically provides a wealth of new clues to dissolve and re-understand those ideas. 본 논문은 기존의 미(美)를 파괴함으로써 새로움을 생성하고자 하는 충동을 ‘추(醜)에 대한 충동’으로 규정하고, 이를 통해 추(醜)의 시학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2000년대 이후 김민정 · 김행숙 · 장석원 · 황병승 등 일군의 젊은 시인들이 생산한 시 로 인하여 한국 시의 지형도가 변화되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들의 시에 나타난 환상의 세계에 거주하는 자폐적인 주체, 어법을 파괴한 글쓰기, 시에 범람하는 기괴한 이미지 등은 기존의 시의 논리로는 해명되지 않았다. 그들의 시의 문학사적 의미를 규 명하기 위하여, 최근 미학적 개념인 추(醜)를 방법론으로 삼아 시를 체계적으로 인식해 야 할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여러 선구적인 업적이 제출되었지만, 추의 시학에 대한 통합적인 틀이 제안되지 않았고, 텍스트에 나타난 추의 현상들에 집중함으로써 소재적 분석에 그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논문 은 텍스트에 표상된 추한 현상에 대한 미학적 판별 기준을 마련하고자 했던 선행 연구 의 문제의식에 비판적 거리를 두고, 추의 시학을 이해하기 위해 추에 대한 충동을 중심 으로 이상·김수영·김지하의 텍스트에 나타난 주체화 과정을 분석했다. 미적 경험의 관점에서 추에 내장된 부정성의 구조를 인식하기 위하여 서양 미학에서 추의 위상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검토하였다. 19세기 이전까지 추는 미에 부차적인 것 으로 인식되었으며, 미학의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추를 미학적 개념 으로 체계화한 것은 카를 로젠크란츠이다. 그의 논의는 추를 미에 종속된 것으로 인식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미학에서 추를 필수적인 것으로 정립했다는 점에서 중요 하다. 아도르노는 추에서 미가 나왔음을 주장하며 추를 자율적인 것으로 정립했다. 아도 르노는 추를 비동일적인 것으로 제출하고, 추로써 새로운 미학이 생성될 수 있는 미학 적 원리를 탐색했다. 하지만 아도르노의 이론은 미와 추의 대립 관계를 아포리로 규정 함으로써 미 개념이 확장될 수 있는 실천적 방법에 대한 논의를 제한했다는 점에서 문 제적이다. 이러한 아도르노의 논의는 니체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에 의해 보완된다. 니 체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에 대한 논의는 비동일적인 것으로서의 추의 미학을 파괴와 생 성의 공속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주목에 값한다. 그러한 추에 대한 미학적 논의는 추의 부정성의 구조가 ‘모순’이라는 점에 근거한다. 추는 미를 부정하지만, ‘미학’의 규준을 준용하는 미학적 개념이기 때문이다. 즉, 추의 부정성에는 부정과 긍정이 공존하므로, 추의 충동으로 인한 미적 경험을 파괴와 생성의 과정으로 인식할 수 있다. 주체화 과정에서 파괴와 생성의 문제는 주체의 혁신으로 재 현된다. 주체의 혁신은 죽음 충동에 의해 추동된다. 죽음 충동은 죽음을 매개로 자신을 파괴함으로써 질적으로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려는 주체화 과정을 추동한다. 죽음 충동 에 내장된 파괴와 생성의 구조는 추의 충동과 동일하다. 본 논문은 이상·김수영·김지하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주체화 과정을 중심으로, 기존 질 서를 부정함으로써 새로운 문학을 생산하고자 하는 각자의 독특한 과정을 비교 분석했 다. 이상 · 김수영 · 김지하는 새로운 세계의 건설을 주체 변혁의 문제로서 접수했다. 즉, 현실 세계에 몸담은 주체의 자기 혁명을 통해서 새로운 세계의 건설 가능성을 마련 하고자 했다. 따라서 그들에게 추한 것은 (1) 현실과 (2) 그 현실에 구속된 자신 모두를 의미했다. 그러한 욕망은 기존의 (문학) 전통에 대한 부정, 해체를 낳는다. 그러한 주체 의 변혁은 기존의 문학적 전통에서 이탈하여 ‘단독성’을 내장한, 비동일적 주체가 되는 일을 의미했다. 이상·김수영·김지하의 텍스트에서는 자기 자신을 쇄신함으로써 새로운 시학을 정립하 고자 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그것은 혁신으로써 미래를 선취하고자 하는 추에 대한 충 동에 의해 추동되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그들의 그러한 추의 시 학은 새로운 미로서 완성되지 않았다. 바꿔 말하면, ‘단절과 감싸기’의 과정이 종결되지 않은 채 미완성의 양태로서 남아 있다. 완성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들의 추의 시학은 비동일적 시학이다. 이상·김수영·김지하의 추의 시학은 문학적 혁신으로써 혁명을 수행 하고자 하는 현대의 미학 혁명의 기획이 불/가능함을 나타내고, 그러한 미학적 혁명의 관념에 내장된 한계를 노출한다. 그들의 비동일적 추의 시학은 역설적으로 그러한 관념 을 해체하여 (재)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실마리를 풍부하게 제공한다.

      •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에 대한 아동의 이해, 태도 및 반응

        김지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Children's Response to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and their Change in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Poetry Kim Jiyoung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ung Kayo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ading poetry picture books on children's poetry comprehension ability and attitude toward poetry and the reaction pattern of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reading poetry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poetry picture book as ‘books(Jung Jeong Soon, 2008; Go Ji Un, 2010) that interaction between writing and painting should be done very organically’ and picture books that poetry and painting build meaning together.,Poetry picture books are a branch of a verse picture book and a picture book is composed of a poem. The unfolding aspect of a picture book can be a poem or a poem.,Therefore, in the picture book of poetry, the unique form of poetry disappears (Hyun Eun-ja and Kim Se-hee, 2005). The overall harmony of poetry is very wide and the appreciation of poetry can be felt.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n children's comprehension of poetry picture book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n children's appreciation of poetry? Third, what is the response of children in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The method of this study follows the mixed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To examine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n children's poetry comprehension ability and attitude toward poetry, 44 third graders of T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S and P elementary school in Namyangju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The children's reaction in the picture books of poetry and poetry was observed by selective observation of 4 out of 22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icture books reading activities.,The four children were interested in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actively responded to them and actively expressed their opinions, which became the subject of selective analysis.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poetry picture books.,Reading poetry and picture books together, and expressing appreciation of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again in activity sheets or freely describing them in free description sheets.,This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response by freely describing the response pattern of the child based on the response-centered education theory.,The children's reactions were recorded, videos were taken, activity sheets and free technical sheets were collected, and after the class, they shared personal stories abou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tivity sheet and free technical sheet.,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responses of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are based on the categories of literary responses of Purves and Rippere(1968), Purves and Beach(1972), Odell and Cooper(1976), and the categories of poetic responses of Jin Seon-hee(2006) and Kim Hyo-rim(2009), and the responses shown in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re analyzed as follows: 'feeling pleasure in reading poetry through poetry picture books', 'expaning emotional empathy for poetry with poetry picture books' The responses were examined in six categories: 'evaluating and reading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interactively reading with peer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and 'attitude toward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The picture books for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eight of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the method of selecting good poems suggested by Shin Hun-jae and Jeong Sun-hee (2004) in the theory of poetry education and the conditions of good picture books suggested by Hyun Eun-ja, Byun Yun-hee, Kang Eun-jin, Shim Hyang-bun (2004) and Perry Noddleman (2011).,The eight volumes were set up: "My Brother", "My Teacher's Sweets", "Yeongi's Vinyl Umbrella", "Claus", "Junchi City", "Cheongyangjang", "White Eye" and "Jujube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n children's poetry comprehension ability? The reading activities of poetry picture books improved the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poetry.,If you look at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poetry by question, you can say about the atmosphere of poetry, you can say what the mind of the person in the poem is, you can say impressive parts in poetry, you can recite poetry by utilizing the feeling of poetry, you can express the image of poetry by drawing, You can express the feeling of poetry with words.,The post-sco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e-score of 'I can change one part of the poem into my feeling'. 2) Reading activities of poetry picture books improved attitude toward poetry.,When looking at the attitude toward poetry by ques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score compared to the previous score in 'I am interested in poetry', 'I read and read with interest in poetry', and 'I can find and evaluate good poetry'. 3) What is the children's reaction to th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f poetry? The children's reactions were as follows. First, I felt the pleasure of reading poetry through poetry picture books, and it was confirmed that I could understand unfamiliar poetic words or poetic circumstances through paintings and enjoy poetry more happily. Second, the emotional empathy was expanded through the reading activities of poetry picture books.,The picture of the picture book of the poem helped to lead the reaction related to the empathy of the children, and the children experienced the complex emotions of the same object through the image and showed the pattern of various changes in emotions. Third, children responded to the reading of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through reading activities of poetry picture books.,The evaluations performed by children include evaluation of poetry, evaluation of the whole picture book of poetry, and evaluation of the artist.,Children started with a simple feeling while evaluating poetry picture books, and showed various critical readings such as empathy and judgment of value for objects. Fourth, children who read poetry picture books interacted with their peers and read them through reading activities of poetry picture books. Fifth, children who read poetry picture books showed a respons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As the poetry becomes a picture book, the children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ation of the genre of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through the response of recognizing how the poetry and the series are arranged on the unfolding surface of poetry picture books. Sixth, children were able to know their attitude toward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through reading poetry picture books.,The author responded with an evaluative perspective on poetry picture books and compared the original interpretation of the painter in poetry picture books with his own appreciation of poetr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esponses, children could read poetry and pictures dynamically through reading poetry picture books and enjoy the pleasure of images in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The pleasure of image helped to understand one poem and further to provide positive appreciation attitude to criticize and enjoy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n their poetry comprehension ability and attitude toward poetry and their responses.,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to suggest the role of poetry picture books in elementary poetry education, an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reading method of poetry picture books.,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on various teaching methods using poetry picture books are needed.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시에 대한 아동의 이해, 태도 및 반응 김 지 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지도교수 정 가 윤 이 연구의 목적은 시 그림책 읽기활동이 아동의 시 이해능력과 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대한 초등 3학년 아동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 그림책의 개념을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이 매우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그림책(정정순, 2008; 고지운, 2010)’으로, 시와 그림이 함께 의미를 구축해 가는 그림책으로 정의하였다. 시 그림책은 운문 그림책의 한 갈래로 시 한 편을 그림책으로 구성한 매체이다. 이때 그림책의 펼쳐진 면은 시의 한 연이 될 수도 있고 시의 한 행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 그림책에서는 시의 외관상 독특한 형태는 사라진다(현은자·김세희, 2005). 시 전체의 화화성이 매우 폭이 넓어지고 핍진된 감상을 느낄 수 있다. 그림책의 다양한 장르에 대한 반응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시 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탐색한 연구는 드물다(현은자 외, 2018). 시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김민정(2017)의 논문은 ‘다시 말하기 방법’으로 다양한 장르 중에 시 그림책 장르를 이해하는지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시 그림책에 대한 전체적인 반응을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시 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탐색하기 위해서 시 그림책 읽기방법을 제시하였다. 시 그림책의 읽기방법은 심향분(2013)과 김미혜(2013)가 제안한 방법을 기초로 하여 1단계 반응준비하기(흥미유발), 2단계 반응형성하기(시 읽기), 3단계 반응 명료화하기(시 그림책 함께 읽기), 4단계 반응심화하기(시와 시 그림책 다시 읽기), 5단계 반응정리 및 평가로 제시하고 반응 중심 이론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시 그림책 읽기활동이 아동의 시 이해능력과 시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따라 아동의 시와 시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시 그림책 읽기활동이 아동의 시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시 그림책 읽기활동이 아동의 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아동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방법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한 혼합연구의 방식을 따랐다. 시 그림책 읽기활동이 아동의 시 이해능력과 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을 서울시에 소재한 T 초등학교와 남양주시에 소재한 S와 P초등학교 3학년 44명을 선정하였다. 시와 시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반응은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한 실험집단 22명 중 4명을 선택적 관찰을 하였다. 4명의 아동은 시와 시 그림책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하게 반응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데 능동적인 반응을 보여서 선택적 분석 대상이 되었다. 연구대상자에게는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진행하였다. 시 읽기와 시 그림책 함께 읽기, 시와 시 그림책 다시 읽기에 대한 감상을 반응지에 표현하거나 자유기술지에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이는 반응중심교육이론을 근거로 아동의 반응 양상을 자유롭게 기술하여 그 반응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었다. 아동의 반응은 녹음하고 동영상을 찍고 수업에 활용한 활동지와 자유기술지를 모았으며 수업이 끝난 후 활동지와 자유기술지에 기술한 내용과 관련하여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누었다. 시와 시 그림책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로 Purves와 Rippere(1968), Purves와 Beach(1972), Odell과 Cooper(1976)의 문학 반응의 범주와 진선희(2006), 김효림(2009)의 시적 반응 범주를 토대로 반응을 분석하고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반응을 ‘시 그림책을 통해 시를 읽는 즐거움 느끼기’ ‘시 그림책으로 시에 대한 정서적 공감 확장하기’, ‘시와 시 그림책 평가하며 읽기 ’, ‘또래와 상호작용하며 읽기’ , ‘시와 시 그림책의 특성 이해하기’, ‘시와 시 그림책에 대한 태도 ’ 등 크게 여섯 가지 항목으로 반응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 시 그림책은 신헌재와 정선희(2004)가 시 교육 이론에서 제시한 좋은 시를 고르는 방법과 현은자, 변윤희, 강은진, 심향분(2004)과 페리 노들먼(2011)이 제시한 좋은 그림책의 조건을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시 그림책 중에서 8권을 선정하였다. 8권은 『내 동생』,『선생님 과자』,『영이의 비닐우산』,『쨍아』,『준치가시』,『청양장』,『흰 눈』,『대추 한 알』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시 그림책 읽기활동이 아동의 시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한 아동들은 시 이해능력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 이해능력을 문항별로 살펴보면 ‘시에 분위기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시에 나오는 인물의 마음이 어떠한지 말할 수 있다', ‘시에서 인상적인 부분을 말할 수 있다’ '시에 느낌을 살려 낭송할 수 있다' '시에 대한 이미지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시에 대한 느낌을 낱말로 표현할 수 있다.' '시에 한 부분을 나의 느낌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가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문제 2) 시 그림책 읽기활동이 아동의 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한 아동들은 시에 대한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에 대한 태도를 문항별로 살펴보면 '시에 흥미를 느낀다', '시에 관심을 가지고 찾아 읽는다', '좋은 시를 찾아 평가할 수 있다'가 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문제 3)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아동의 반응은 어떠한가? 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 그림책을 통해 시를 읽는 즐거움을 느꼈다. 시 그림책을 읽으면서 생소한 시어나 시적 정황을 그림을 통해 이해하고 시를 더 즐겁게 향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 정서적 공감을 확장하였다. 시 그림책의 그림은 아동들의 공감(empathy)과 관련된 반응을 이끄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아동들은 동일 대상에 대한 복합적인 정서들을 이미지를 통해 경험하며 감정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 시와 시 그림책을 평가하며 읽는 반응을 보였다. 아동들이 수행한 평가는 시에 대한 평가, 시 그림책 전체에 대한 평가, 작가에 대한 평가 등을 포함한다. 아동들은 시 그림책을 평가하면서 단순한 느낌으로 시작해 공감, 대상에 대한 가치 판단 등 다양한 비판적 읽기 모습을 보였다. 넷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 또래와 상호작용하며 읽는 반응을 보였다. 시 그림아동들은 반응을 교류하며 이해의 폭을 심화하였다. 다섯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 시와 시 그림책의 특성을 이해하는 반응을 보였다. 시가 시 그림책이 되면서 시의 행과 연이 시 그림책의 펼친면에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인식하는 반응을 통해 아동은 시와 시 그림책의 장르의 특징과 변용에 대해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아동은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 시와 시 그림책에 대한 태도를 알 수 있었다. 시 그림책에 대한 평가적 안목을 가지고 반응하였고, 시 그림책에 담긴 그림작가의 독창적 해석을 시에 대한 자신의 감상과 비교하면서 분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반응을 통해 아동들은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서 시와 그림을 역동적으로 읽으며, 시와 시 그림책에 담긴 이미지가 주는 즐거움을 즐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미지의 즐거움은 한 편의 시를 이해하는 능력에 도움이 되었으며, 나아가 시와 시 그림책을 비평하며 즐기는 긍정적 감상태도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상에 서술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은 시를 읽는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시는 운문의 형태를 지니고 있지만 시 또한 문학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고(kuiper, 2011), 시에 등장하는 인물, 사건이나 상황, 전체를 아우르는 줄거리가 있고,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가 담겨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를 이해하는 것은 시를 이해하는 능력과 연결되며, 시 그림책에서는 시에 담긴 구성요소들이 그림과 연결됨으로써 더욱더 명료하게 표출된다(Galda, Liang와 Cullinan, 2006). 아동들은 시 그림책을 통해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고 나아가 시 감상의 즐거운 경험을 하였다. 시 속 공간이나 시어는 시 그림책의 그림 이미지를 통해 더욱 뚜렷하게 표출된다(Hill와 McCabe, 1995).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 아동들은 시에 나타난 낯선 시어와 공간, 대상을 시 그림책의 그림을 통해 이해하고 공감하면서 시의 세계에 더 오랫동안 머무르며 시와 시 그림책을 감상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시 그림책은 아동들이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김미혜, 2013; 김도남, 2003)와 맥을 같이 한다고 사료된다. 둘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은 시에 대한 정서적 공감을 높힌다. 시어의 이미지는 시 그림책의 글 텍스트로서 배경을 이루고 있는 이미지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더욱 명료하게 내면화될 수 있다(Gibson, 2015). 아동들은 시 읽기에서 떠올린 이미지를 시 그림책의 그림과 비교하면서 이미지의 명료화와 나아가 공감하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시의 구성요소들이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는(정정순, 2008; 조용훈, 2011; 장혜미, 2009)연구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시 그림책으로 아동들은 시에 대한 정서적 공감을 경험하고 시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시에 등장하는 화자의 마음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떠올리고 공감할 수 있는 경험은 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시 감상교육에 시와 관련된 그림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줄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 아동들은 시와 시 그림책의 그림을 더 깊이 읽는 경험을 마련하게 한다. 이러한 경험은 시에 담긴 다양한 정서를 더욱 뚜렷하게 인식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irsh, 2010). 동생에 대한 속상함과 사랑, 선생님에 대한 분노와 억울함, 거지 할아버지에 대한 관심과 배려, 쨍아의 죽음에 대한 느낌, 준치가시의 부러움과 아픔, 청양장에 온 사람들과 동물들이 주는 즐거움, 봄꽃의 아룸다움과 하얗고 아름다운 것에 대한 심미감, 대추 한 알 속에 담긴 시련과 기다림 등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였다. 이러한 시에 대한 이해는 아동들이 시를 읽고 난 후 자신의 경험과 삶을 견주며 시를 더 깊이 이해하는 경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 아동들은 또래와의 교류를 통해 시와 시 그림책 읽기의 다양한 반응을 경험하고 나아가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한 편의 시와 시 그림책의 그림을 상호작용하며 시의 세계와 나아가 시 그림책에 집중하였다. 아동들은 시와 시 그림책을 적극적으로 읽은 능동적 독자였다고 사료된다. 다섯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은 시와 시 그림책에 오래 머무르도록 하였다. 시 그림책의 이미지 연결되어 아동들에게 더 쉽게 공감하게 하고 때로는 자신이 생각했던 이미지와 상반된 경우 비판적 사고를 이끌게 하였다(조용훈, 2011; 송여주, 2013). 이는 김경진(2013)의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학년별 시적 공감 양상연구에서 저학년에서는 시 텍스트의 일부분에 대한 이해에 그치거나 단순한 시어의 파악에 머무르는 경향이 많았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또한, 시 그림책에는 음악적 속성이 담겨 있고(Heald, 2008), 이러한 속성은 개인에게 개인으로 확산되어 집단적 차원의 참여를 유도(Diamonstein, 1997) 하게 한다. 시어와 연결된 시 그림책의 그림은 시의 음악적 속성에 대한 감흥이 고조되도록 하는 데 기여하여(Bailes와 Till, 2016), 아동이 시를 즐길 수 있게 하였다고 사료된다. 여섯째, 시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해서 아동은 시와 시 그림책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갖는지 알 수 있었다. 아동들은 시와 시 그림책을 견주며 각각의 다른 장르를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었다. 시 그림책은 아동이 시의 세계를 즐기고 시를 이해하는데 훌륭한 비계 역할을 하였다(김미혜, 2013; 이향근, 2013). 이러한 시 그림책의 경험은 아동이 시를 감상하는데 재미있는 경험을 하게 하며 나아가 이것 또한 시를 즐겨 읽는 긍정적 태도 마련에 도움을 주었다(김미혜, 2013). 이러한 반응의 특징을 통해 아동들은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서 시와 그림을 역동적으로 읽으며, 시와 시 그림책에 담긴 이미지가 주는 즐거움을 즐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미지의 즐거움은 한 편의 시를 이해하는 능력에 도움이 되었으며, 나아가 시와 시 그림책을 평가하며 즐기는 긍정적 감상태도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시 이해능력과 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반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시 교육에서 시 그림책의 역할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써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시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 그림책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창작 과정에서 현대 운율 지도 방안 연구

        조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장에서 시 창작 지도를 하다 보면 시는 짧은 글, 시는 특별한 사람이 쓰는 것 등 학습자들이 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잘못된 인식들을 마주하게 된다. 또, 막상 시 창작 시간이 되면 학습자들은 깊은 고민 없이 시의 맛이 사라진 시를 작품으로 내놓곤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따라 본 연구자는 시 창작의 방법으로서 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운율에 집중하게 되었으며, 초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내재율의 다양한 양상을 지도하여 시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창작 하도록 하는 교수학습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시 창작을 위한 현대시 운율의 개념을 살펴보고 초등 운율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 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 셋째, 지도 방안에 따라 지도를 계획하고 지도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현대시가 따르고 있는 내재율은 시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고 시의 내면에 존재하는 주관적, 정서적 운율을 뜻한다. 내재율의 형식으로 일상어에 가까운 소리를 낼수록, 시인의 내부세계를 충족하기에 적당한 형식이 된다. 사람들은 시를 읽을 때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질서, 즉 운율을 찾아가며 읽으며, 그 질서에 의해서 쾌감을 느끼고 깊은 인상을 느낀다. 따라서 내재율을 얻기 위해서는 그 자유시의 조직에 참여하는 모든 요소들을 어느 정도 질서화해야 한다. 운율 요소들이 질서화 되어 나타나는 내재율의 양상을 음운의 반복, 어휘의 반복, 통사구조의 반복, 행과 연의 반복, 이미지의 반복, 이미지의 순환으로 정리하였으며 구체적인 시와 함께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지도과정을 구체화하였다. 지도 과정은 감상 글 제시-운율 찾기-운율 씨앗 만들기-시 쓰기-수정하기-낭송하기-평가하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감상 글 제시 단계는 운율의 기초 개념을 이해한 뒤 내재율의 시를 감상하는 단계이다. 감상 글은 내재율이 드러나는 시로, 앞서 논의한 현대시 내재율의 양상의 유형, 즉 음운의 반복, 어휘의 반복, 통사구조의 반복, 행과 연의 반복, 이미지의 반복의 양상의 전형성을 보여주는 6개의 시들로 각각 선정하였다. 그리고 운율 찾기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제시된 시를 읽고 시의 어떤 부분에서 운율이 느껴지는 지 찾아보는 단계이다. 운율 씨앗 만들기 단계에서는 운율 요소들을 환기하며 운율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표현들을 필요한 전략들과 함께 만들어보는 단계이다. 시 쓰기 단계는 감상 글을 개작해보는 단계로 앞의 운율 씨앗 만들기 단계와 넘나들 수 있다. 수정하기 단계에서는 자신이 쓴 시를 동료학습자들과 공유하고 고쳐 써보는 단계이다. 그리고 낭송하기 단계에서는 고쳐 쓴 시를 낭송하며, 평가하기 단계에서는 동료학습자들과 상호 평가한다. 서울시 노원구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의 1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두 달간 실제로 수업을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도 내용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 안, 학습 결과물을 같이 제시하였으며 지도 효과는 학습자에게 실시한 설문지와 실험 전·후의 작품 및 참여자 소감문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 지도 방안을 실제로 적용하고 분석한 결과는 첫째,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 지도가 학습자의 시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내재율에 대한 지도를 통해 운율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시 창작 활동에 자신감과 흥미가 생겼고, 이것이 시에 대한 인식 자체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둘째, 학습자들의 운율에 대한 이해의 폭이 확장되었다는 점이다. 학습자들은 지도를 통해서 운율이 이야기와 구별되는 시의 특성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운율이 시의 분위기 형성에 기여하고, 시의 주제와 시어의 의미를 더욱 강화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학습자들의 시 창작 능력을 향상되었다. 지도를 통해서 내재율의 요소가 무엇인지 학습하고, 감상 글을 통해서 그것을 질서화 하는 방법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보다 완성도 있는 작품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넷째, 학습자들의 자아 인식 능력도 향상되었다. 현대시의 운율 지도는 기존의 운율 규칙을 넘어서 자신의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끄집어내도록 돕는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면밀히 살피고, 그것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다섯째, 학습자들의 작품 속에서 지도과정에서 아직 지도하지 않은 운율 양상도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의식하지 않았지만, 자연스럽게 운율적 언어로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내재율의 양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본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지도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그 목적 또한 상상력을 고취시키고, 긍정적으로 자아를 인식하는 방향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을 지도함을 통해, 현대시에 대한 운율에 대해 인식하고 경험을 시로 형상화 할 수 있도록 지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용과 창작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문학의 수용만 이루어졌을 때보다 수용과 창작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학습자 안에서 깊이 있는 수용과 내면화가 이루어진다. 셋째, 학년 수준에 맞는 지도 전략과 위계화 필요하다. 후속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학년에 맞는 내재율의 양상 지도 내용의 위계화가가 이루어지를 기대해본다. 넷째, 학습자들의 의식하지 않고 나타나는 운율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도 과정에서 보았을 때, 지도하지 않았음에도 지도하지 않은 운율 양상을 보여주는 학습자들의 작품을 볼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인식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운율 양상에 대해서 활발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 한국 현대 가곡에 나타난 와 음악의 관계성 연구

        김혜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 시를 가사로 하여 만들어진 음악의 한 장르인 한국 예술가곡의 분석과 창작음악을 하는 작곡가들에게 시가 어떠한 영감과 영향을 주고 있는지, 또한 한국가곡의 맥을 잘 이어나갈 수 있는 정체성을 찾아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과 미래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1885년 기독교의 복음전파와 함께 찬송가의 유입은 한국에 서양음악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1900년대에 들어와서는 창작창가로 발전되었고 한국 예술가곡의 시작이 되었다. 이미 한국가곡의 역사는 약100여년이라는 적지 않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가곡의 역사적 배경인 찬송가의 유입과 더불어 창가 형식이 나타나고, 한국예술가곡의 시작과 발전에 대해살펴본 후, 6.25 한국 전쟁과 8.15 광복 전후로 하여 가곡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지 각 시대별 특징을 살펴보며, 대표작곡가와 작품을 조사하였다. 제1기에서는 한국 가곡 역사 속에서 중요한 인물인 작곡가 김동진과 많은 작곡가들에게 애용된 시인 이은상의 시 중에서 <가고파>의 작품 분석과 제2기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작곡가인 김순애와 사랑과 인간애를 존귀하는 한국여류시인 김남조 시인의 <그대 있음에>를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제3기에서는 민속음악과 전통 국악을 현대음악과의 조화로 가곡에 접목 시켜 다양한 음악적 기법을 보여준 작곡가 이종구의 전래민요를 가곡화한 <상주 함창 맑은 물에>를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 한국 예술가곡은 우리 언어와 특색에 맞추어 시대에 따른 한국인의 정서와 감성의 변화에 따라 가곡의 음악형식이 정립되었고, 새로운 장르와 융합하여 점차 확장 되어 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을 준비하면서 한국 예술가곡의 뿌리와 한국인의 시대적 상황과 한(恨), 발자취, 민족성을 엿봄으로 시와 음악의 아름다운 조합으로 탄생되는 가곡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할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이었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한국가곡은 대중들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실정에 안타까운 마음을 이루 말할 수가 없다. 이를 위해서 현대시의 발굴과 작곡가들의 자유로운 사상과 아이디어, 새로운 화성의 도입을 접목하여 한국가곡의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새 방향을 찾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며,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한국 예술가곡의 올바른 이해와 발전에 편승하고자 한다.

      • 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계선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러 가지 정서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자신의 환경에 적응하는데 중요한 인간능력으로서의 정서지능이 교육적 노력에 의해서 증진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학생들의 정서지능을 증진시키는 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이고, 가설은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중학생에 비하여 정서지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C중학교 1학년 2학급 66명이다. 1학년 4개 학급에 정서지능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평균이 비슷한 두 학급을 선정하여 이들 중 한 반은 실험집단, 다른 한 반은 통제집단으로 각각 33명씩 배치하였다. 시치료 프로그램은 Hynes와 Hynes-Berry(1994; 한국 어린이 문학 교육학회, 2001 재인용)가 제안한 독서 치료 과정인 인식(recognition), 고찰(examination), 병치(juxtaposition), 자기적용(Application to Self)의 4단계를 토대로 만든 한국 독서치료 학회(2003)의 질문 유형과 차재량(2007)의 시치료 단계별 주요 활동을 기초로 하여, 중학생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자가 연구 취지에 맞게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재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이 투입된 시기는 2008년 3월31일부터 2008년 7월 14일까지, 16주 14회기이다. 1회기는 정서지능 사전검사를 14회기는 정서지능 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점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문용린(1999)이 제작한 청소년용 정서지능 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사전 및 사후 정서지능 검사 점수)는 주어진 가설에 따라 SPSSWIN(ver.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처치 전 실험·통제집단 간 정서지능에서 동질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점수에 대한 평균차 검증(t-test)를 수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처치 이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수집된 사후점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공분산 분석(ANCOVA)를 수행하였다. 평균차 검증 및 공분산 분석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미성 판단은 α=.05의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통제집단 간 정서지능 사후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 요소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etry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obtain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pos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goes the poetrytherapy would have improved emotional intelligenc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in two different classes in C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Busan, who were divided into a 33-member experimental group and a 33-member control group. The poetrytherapy was implemented in 14 sess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16 weeks.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data, this study used emotional intelligence test for the use of students developed by Moon Yong Lin(1999).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12.0 version) statistics program.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oetrytherapy, before and after, emotional intelligence test was conducted twice, it was implemented to see it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test, analyses of covariance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hypothese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poetrytherapy was implemented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it wasn't.

      • 노달리타스 실현을 위한 사목신학적 고찰

        황다빈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oday’s Catholic Church is called upon to practice ‘synodality.’ The synodality that the church wants to live is understood as “a journey that God’s people walk together.” The process of this journey for realizing synodality can be seen in the current church as it is preparing for the 16th Synod of Bishops in 2023. Currently, the Catholic Church is walking a synodal journey from the bottom up at the local individual church level. Synodality is about all the activities of the church as it carries out and fulfills its mission and essence, making towards its destination. In this respect, all pastoral care of the church is synodal. The church has a missionary mission to build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For the pastoral activity of the church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gather opinions from the people of God and go through a series of discernment processes, followed by a decision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for the mission. In order to live out the mission and essence of the church, its pastoral care must be synodal. The church must practice Trinitarian communion and emptiness of self, and it must also bring a communal and universal renewal to the whole member, not just to a specific class. In particular, the involve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faithful will be the main measure to evaluate how effectively this journey is carried out in the spirit of synodality. The reason is that a church that walks together with the people of God is a church in which they all participate. In addition, the church requires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within the boundary that encouraging the laity to participate should not lead to substitutionism, such as secularism. To implement this successfully, formation and education are needed for all members. All the people of God should be able to discern and be aware of the mission and essence of the church. The church also must be reborn as a community that listens attentively in the spirit of humility. A community that listens in the spirit of humility is not a biased community that only listens to one side. This suggests that the church must walk its own path and walk together in its own place within the hierarchical division, avoiding indifferentism and secularism. The parish community is the smallest administrative institution of the church where the people of God can be formed to cooperate in activities and mission of the church, and participate practically on this journey. Furthermore, the parish community lies within the communion of the universal church and the individual church, and it plays a role of a field hospital that bears witness to Christian communion on this earth. In order to perform this role properly,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the active interest and consideration of the pastors to listen and discern and their will to walk together, and the active cooperation of the lay faithful. Although all the organizations and members of the church must make an effort to listen and discern, the parish community is especially responsible for this effort as it is the place where the lay faithful, the majority of the people of God, live. The parish community that lives in synodality will become a community that makes communion under the light of the Gospel and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Based on that communion, it will accomplish its mission and become the light and salt of the earth. In this sense, taking interest and consideration for the parish community is necessary all the more on this church's journey to practice synodality. The church already has had and lived the institutions, traditions, and ecclesial spirit that can practice synodality. However, when the essential values and components of the church were confused with other relative values and lost its upper hand in disorder, and when only certain ones were emphasized, the church lost its ecclesiastical identity. The church was most ecclesiastical when active participation from all hierarchical levels took place. The authority of the church is for service, and when the church lowers itself in service, it acts as one that walks together and one that listens. Synodality helps us to live the life of this church. This spirit is not to create a new church, but to live the church ‘new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