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설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생활 시설과 그룹 홈 청소년을 대상으로

        김동희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ly korea has undergone major change. Socially and culturally the society has changed from large family to nuclear family, and due to the break up of Confucianism, the family is breaking up with running away and divorce, and the spreading of neo-capitalism the polarization has hardened so families are breaking up economically. So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need society's protection is rising, and the problem of social adaptability of adolescents that live in facility is rising.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finding a desirable way to help the adolescents adjust by comparing the group home and mass living facility and find the factors that effect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adolescents that live in facilities. For this a research was done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13 and 19), that lived in living facility and group home for more than six month and the result was following. First, in mental social adaptation, the youth in age of 15, 16 showed the highest drop in social adaptation. When seeing with the cause for being admitted, parent's divorce showed higher social adaptation than parent's death. When compared with period of staying, the longer the stay was, the higher the social adaptation was. In social support, the children with high support from the teachers and friends showed higher social adaptation. Second, in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when comparing reason of entrance, parent's divorce case showed higher noticeable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than those who's parent's passed away, and as the dwellers in a single room rose, their adaptability to social adaptation dropp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acilities, adolescent's in a group home showed noticeable higher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than those in living facilty. In social support the adolescents with high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showed higher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Third,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done to see the effect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the youth in facility, the characteristic of family, facility characteristic, and social support in the whole social adaptation, there were positive effect in period of stay and support from teacher, and negative effect in types of facility. So, the longer the period, the adolescents in group home show higher social adaptation than those in living facility, and the adolescents in facilities showed higher social adaptation when supported by teachers. Fourth, in mental social adaptability the period and support from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as to the number of meeting parents showed a noticeable negative effect. So the longer the period, the higher the support from the teacher the higher was the mental social adaptation, and the frequent the meet with parent, the higher was the drop. Five, in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there were negative effect factors in the survival of the parents, such as parents passed away, only mother living or not, the number of roommates, and types of facilities, and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support from a friend, a part of the social support, while the other factors showed no noticeable effect in adolescent's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In another words, higher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was shown with those whose parents, farther, was living, less roommates, and high support from friends, and group home living youth had better results than those in a living facility. Using the result as base, we propose following ways to improve adolescent's social adaptation. First, even though group homes showed higher social adaptability than mass living facility, the legal grounds for the vitalization of group home is very weak and the governmental support is hard to obtain unless the facility is governed by the government and is relying on the help from individuals for religious groups. Therefore, govermental support such as, improvement of the law grounds to ease the regulation of the installation and collaborating the local society for financial support, is urgent. Second, adolescents in facility show antinomy mental and action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separation from parents, reaction of the society, invaded privacy due to the mass living, and so on. To react properly to these mental state, professional counselor is needed and teachers should be educated in adolescent's counselling and right amount of intereference and help is needed to the parent's of the youth that live in facility. Third, the fact that behavioral social adaptation is highly effect by the support from a friend, a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the adolescent period, in order to increase the friend support, rather than protecting the privacy of those in the facility, program such as casually inviting the friends to the center for a natural relationship to blossom and contrarian thinking such as an active talking channel with the teacher is needed. Keyword: social adaptability, social support, living facility, group home, parents factor, facility factor 최근 들어 한국 사회는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다. 사회․문화적으로 전통적인 대가족 대신 핵가족 사회로 급격히 변화하였으며, 유교 관습의 해체로 인한 가출․이혼 등 가족 해체를 겪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신자유주의의 확산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의 양극화 현상으로 인하여 경제적 고통 속에서 해체되는 가정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의 적절한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과 청소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고, 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의 사회적응력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 대규모 생활 시설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그룹 홈과 대규모 생활 시설 간을 비교함으로써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활 시설과 그룹 홈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중․고등학생(13세 이상 19세 미만)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정서적 사회적응력에서는 시설 청소년의 연령별로 보면 15~16세 청소년의 경우가 정서적 사회적응력이 가장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입소 사유별로 보면 부모 이혼의 경우가 부모가 사망한 경우 보다 유의적으로 정서적 사회적응력이 높게 나왔다. 입소 기간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입소 기간이 길어질수록 정서적 사회적응력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보육 교사 지지와 친구 지지에서 지지가 높은 청소년이 낮은 청소년 보다 정서적 사회적응력이 높게 나왔다. 둘째,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는 입소 사유별로 보면 부모 이혼의 경우가 부모 사망의 경우 보다 행동적 사회적응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왔고, 한 방 거주자 수가 많을수록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 적응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설 유형의 경우 그룹 홈 청소년이 생활 시설 청소년 보다 행동적 사회적응력이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왔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보육 교사 지지와 친구 지지에서 지지가 높은 청소년이 낮은 청소년 보다 행동적 사회적응력이 높게 나왔다. 셋째, 시설 청소년의 개인 특성 요인, 가족 특성 요인, 시설 특성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이 사회적응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입소 기간과 보육 교사 지지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던 반면, 시설 유형에서는 부(-)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즉, 입소 기간이 길수록, 그룹 홈 청소년이 생활 시설 청소년 보다, 또 보육 교사 지지가 높을수록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 전체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정서적 사회적응력에서는 입소 기간과 보육 교사 지지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던 반면, 부모 만남 횟수에서는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즉, 입소 기간이 길수록, 보육 교사 지지가 높을수록 시설 청소년의 정서적 사회 적응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부모 만남이 빈번할수록 오히려 정서적 사회적응력이 유의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는 부모 생존 여부에서 부모 모두 안 계신 경우와 있는 경우, 엄마만 생존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한 방 거주자 수, 시설 유형에서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에서 친구 지지의 경우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는 반면, 기타 변인은 시설 청소년의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즉, 부모가 있을 경우 아빠가 있는 경우, 한 방 거주자 수가 적을수록, 그룹 홈 청소년이 생활 시설 청소년 보다, 또 친구의 지지가 높을수록 시설 청소년의 행동적 사회적응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그룹 홈이 대규모 생활 시설에 비해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응력이 높게 나왔지만, 그룹 홈 활성화를 위한 법적인 근거가 매우 미약하여 정부가 운영하는 일부 시범 그룹 홈을 제외하고는 중앙 정부나 지방 정부의 재정적․정책적 지원을 기대할 수 없고 개인이나 종교기관의 온정에만 기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그룹 홈의 법적 규정을 빨리 완비하여 설치 규제를 완화하고 지역 사회와의 연결을 통해 재정적 지원을 해주는 채널을 활성화하는 등 중앙 정부나 지방 정부의 과감한 지원이 시급하다. 둘째, 시설 청소년은 부모와의 별거, 주변의 시선, 집단생활로 인한 개인 사생활 침해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복잡하고 이율배반적인 심리와 행동 상태를 보이고 있다. 시설 청소년의 이런 심리적 상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문적인 심리 상담사를 배치하고, 보육 교사도 전문적인 청소년 심리 상담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하며, 시설 청소년의 부모에 대해서도 적절한 개입과 조언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시설 청소년의 행동적 사회적응력에서 친구의 지지가 중요한 것을 청소년기의 행동적 특징으로 볼 수 있는데, 친구의 지지를 높이기 위해 시설 청소년의 프라이버시를 숨기기보다는 시설 청소년의 친구들을 시설로 초대하여 자연스럽게 인간관계를 형성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 이를 위해 학교 교사와의 적극적인 대화 채널을 개발하는 역발상이 필요하다. 핵심어: 사회적응력, 사회적 지지, 생활 시설, 그룹 홈, 부모 요인, 시설 요인

      • 청소년활동과 학교교육 연계에 대한 지역 청소년의 인식연구 : 동두천시와 양주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노본 고려사이버대학교 융합정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동두천시 및 양주시 내 거주하는 지역 청소년(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각종 청소년활동 관련 지역 청소년의 인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역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경기도 동두천시와 양주시 중・고등학교 청소년 53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에는 SPSS 21.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들이 청소년활동 및 청소년수련시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정책과 각종 시설 및 기관이 정작 청소년들에게 제대로 인식되지 않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활동에 참여하는 계기는 학교와 또래 집단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활동 장소 및 시간 역시 학교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제까지 학교를 통한 청소년수련시설과의 연계 활동 경험이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향후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역 청소년활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들이 지역 청소년수련시설을 제대로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의 확충과 학교와 연계(협력)를 통한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수련시설의 가장 큰 장점은 체험형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능력이뛰어나므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들이 청소년활동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청소년활동’과 같은 비교과 과목 개설을 통한 학교와 청소년수련시설 간 연결고리 확보 및 연계(협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시설청소년의 성격유형과 충동성에 관한 연구

        박미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성격유형과 충동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시설청소년의 성격유형과 충동성과의 관계를 밝혀 자신을 올바로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허용된 방식으로 격응하며 성장해 갈 수 있도록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은 충동성 점수에서 차이가 있는가? 2.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은 성격유형에서 차이가 있는가? 3. 시설청소년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충동성 점수의 차이가 있는가? 4. 시설청소년들의 비행유형에 따른 충동성 점수의 차이가 있는가? 5. 시설청소년들의 성격유형과 충동성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지역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시설청소년들 148명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일반고등학교 및 중학교 학생들 148명을 선정하여 MBTI 검사와 충동섬 검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변량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의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해서 충동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MBTI에 나타난 성격유형을 보면 시설청소년들이 SP기질에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고, 선호도에서는 I보다 E에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N보다 S에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고, T보다 F에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J 보다 P에 많은 분포를 나타내였으며 성격유형에서는 ESFP와 ISFP에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셋째, 시설청소년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충동성 점수는 ESFP유형이 가장 높은 충동성 점수를 보였다. 넷째, 비행유형에 따른 충동성 결수는, 폭력집단이 가장 높은 충동성을 나타냈고, 노상강도 집단과 절도집단은 충동성 정도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격유형과 충동성과의 관계는, 선호도 경향에서는 E,S,F,P가 정적관게를 보였으며 I,N,T,J가 부적관계를 보였고, ESFP유형이 가장 높은 충동성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t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impulsiveness. And thereby help them to understand themselves correctly and adapt themselves in a socially admitted way. For this purpose, answers to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ought 1.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impulsiveness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and non juvenile delinquent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personality types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ts and non juvenile delinquent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impulsiveness of the juvenile delinquents depending on personality types? 4. Are there differences of impulsiveness the juvenile delinquents depending on types of delinquency? 5.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t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impulsiveness? As subjects of this study,148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placed under probation at Kyongki Probation Office and the same number of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s located in Kyongki area were selected. To obtain data were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Form GS(MBTI) and Barrette Impulsiveness Scale which can self-scored administrated to each participant.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the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uvenile delinquents scored tiger in their impulsiveness scale than non juvenile delinquents. Second, The Juvenile delinquents showed high rate in SP temperament, E·S·F·P preference and ESFP·ISFP in the disiribution of 16 personality types. Third, Juvenile delinquents with an ESFP personality type stowed the highest impulsiveness score. Fourth, The group of violence stowed the highest impulsiveness score, while the group of highwayman and the group of theft were no difference. Offish, The preference E·S·F·P related to psychological preference and impulsiveness positively and the preference I·N·T·J related to psychological preference and impulsiveness negatively. And the ESFP psychological type stowed the highest impulsiveness scores.

      • 청소년복지시설 이용에 따른 만족도 및 활성화 연구 : 서산시 및 당진군 중심으로

        이권미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청소년 복지시설 이용에 따른 만족도 및 활성화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특히,지역사회 청소년 복지시설의 일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청소년복지시설 만족도를 조사하여,우리지역 청소년들의 복지활성화 방안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이러한 연구목적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우리지역 청소년 복지시설의 일반현황은 어떠한가? 둘째,우리지역 청소년 복지시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우리지역 청소년 복지시설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산시와 당진군에 재학 중인 중 고등학생 594명이 연구대상자로 표집 되었다.이들은 중학생 279명(남 139명,여 140명)과 고등학생 280명(남 141명,여 13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총 문항 수는 1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일반적인 사항을 묻는 문항 6문항,청소년복지 만족도 8개 문항,청소년복지 활성화 문항 8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가 해당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담임교사의 협조를 얻어 설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고,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기간은 2007년 10월 1일부터 2007년 10월 8일까지 실시하였다. 청소년복지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중 고등학교 간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방법(X2)을 사용하였으며,청소년복지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OneWay-Anova)방법과 사후검증으로 Tukey분석방법 사용과 청소년복지 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청소년 복지에 대하여 중학생들 보다 고등학생들이 청소년 복지에 대하여 더 적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복지를 위한 시설(청소년상담실,청소년수련관 등)에 대하여 중학생들 보다 고등학생들이 청소년을 위한 시설이 더 많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복지시설의 이용여부와 시설에 대한 만족의 정도에 대해 중·고등학생 모두가 청소년복지시설과 시설이용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복지시설에 대한 홍보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청소년이 현재 가장 많이 고민하는 문제로는 학업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어려움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가장 심각한 청소년 문제로는 폭력 및 약물남용(술,담배,마약 등)을 가장 심각한 청소년 문제로 지적하였다. 다섯째, 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수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청소년 복지시설의 확대 설치’,‘청소년 거리축제’및 ‘청소년 GreenMoney제도’에 대한 필요성 ‘청소년 유해환경 감시관 운영’,‘청소년 비행 및예방활동 강화’및 ‘청소년가정 가정봉사원 파견’에 대한 필요성을 더 크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우리지역 청소년들이 다양한 사회체험 활동을 참여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므로 청소년들의 활발한 사회체험활동을 위한 다양한 시설확충이 필요하다. 둘째,지역사회 청소년들의 복지시설 이용 활성화 방안으로 적극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지고 청소년들이 이용 가능한 오후 6시 이후와 주말에 시설을 개방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청소년 지도자들이 촉진자로서 역할이 필요하고 지역사회의 자원간의 연계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청소년 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전문가,상담사,지도사의 배치가 시급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와 관심을 갖고 시행되어 온 청소년이 심신의 불완전한 상태를 극복하는 정상화를 지향하며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건전한 인격체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청소년 문제의 예방과 치료 및 청소년들의 욕구해결을 돕기 위한 지역사회 내 청소년복지시설 및 복지관의 역할의 중요성과 복지프로그램운영에 유의한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결론은 얻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use of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affects satisfaction and activation. Especially, this study would focus on status of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in our region and give alternatives to activate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To figure out this purpose specifically, we set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general status of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in our region? Second. How adolescences satisfied with their welfare facility? Third. How to activate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in our region? The study involve 594 students who are attending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in Seo-san Si and Dang-jin Gun. They include 294 middle school students (male:139, female:140) and high school students (male: 141, female: 139). Questionnaire for this research was self-produced which consists of 16 questions with 6 questions asking general status, 8 questions asking satisfaciton and 8 questions asking how to activate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To collect the data researcher visit school at first hand and distribute and collect the questionnaire with help from teacher in charge. This quesitonnaire had taken between Oct 1 and Oct 8, 2007. A methold of cross-sectional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general status of adolescents welfar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students. One way - ANOVA method was used to figure out satisfaction in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Tukey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after verification and frequency analysis method was used to find out activation on adolescents welfare. These ar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High school students are less interested in adolescents welfa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High school students think there are few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to use (Adolescent's Counseling Center, Adolescent Activity Facility and so 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ird.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needs to publicize their facility because both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do not know much about facility use and satisfaction. Fourth. Many adolescences are concerned about their schoolwork relatively and they point out violation and drugs abuse are the most serious problem. Fifth. To solve the adolescences' problem, adolescences indicate there are need of adolescent's festival,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expansion , adolescent's green money system and so on. These are suggestion from this study. First.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is needed because there are lack of facility which adolescences could experience various social activity. Second. To activate adolescents welfare facility on our region, active programs should be made and provided. Facility should be open after 6 pm and weekends. Teacher should promote these facility in order to operate efficiently and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y's resources. Third. There are need to arrange specialist, counselor, leader in order to manage program efficiently. This research suggest adolescents welfare facility's importance and information's significance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s problem and help fulfill their needs. A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February, 2008.

      • 시설청소년의 성장과 자아정체감에 대한연구

        김여환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靑少年期는 個人의 사회화(socialization)와 適應, 人生의 成敗가 달려있는 중요한 發達의 過渡期이다.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性的으로 成熟하고 가족으로부터 독립한 한 개인으로서의 존재를 구축하며,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대한 선택에 직면한다. 이러한 중요한 시기에 시설청소년은 일반 가정의 청소년과는 달리 시설병에 시달리고 있으며 18세가 되면 退所하게 된다는 위기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그들은 청소년으로서의 과제인 자아정체감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 이는 곧 자립과도 관련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시설청소년의 진정한 자립을 위해서는 시설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수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를 근거로 하여 自我正體感 向上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開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는 프로그램 開發에 대한 선행과제로서 시설청소년과 일반 가정청소년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자아정체감과 자아정체감의 하위수준인 自己存在 認識, 자기주장 훈련, 자기 받아들임, 安定感, 독특함, 目標指向, 對人關係, 對人役割 期待 등의 8가지 척도별로 나타난 자아정체감 수준을 비교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부천), 천안(都農統合)시 내에 소재한 育兒施設에 生活하면서 中·高等學校에 在學 중인 施設靑少年과, 천안시내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一般 家庭靑少年으로 삼았다. 男女는 비슷한 比率로 포함시키되, 年齡的으로 3년의 시간차를 두어,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高等學校는 人文界와 實業界(공고, 상고)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硏究 결과에 나온 施設靑少年의 自我正體感 特性은 다음과 같다. 시설청소년과 일반 가정청소년간의 자아정체감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個人的 特性에 있어서는 차이를 많이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아정체감 수준에 있어서는 그리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모든 대상을 全體的으로 보았을 때, 시설청소년의 경우 일반 가정청소년보다 [대인역할기대]와 [대인관계]가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쉽게 他人에게 의지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性別에 따라 보았을 때, 남자의 경우 일반 가정청소년에 비해 시설청소년이 他人에 대한 태도와 자신감에 대해 消極的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여자의 경우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年齡 및 系列에 있어서 중학생 2학년의 경우 시설청소년이 일반 가정청소년보다 對人에 대한 信賴度가 낮음을 볼 수 있고 이는 실업계 고등학생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으나 인문계 고등학생에게서는 찾아 볼 수 없었다. 地域에 따른 시설청소년과 일반 가정청소년의 차이를 보면 지역에 따른 시설청소년과 일반 가정청소년의 차이는 없지만, 都市/農村 모두 시설청소년이 일반 가정청소년보다 對人에 대한 信賴度가 낮음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分析 내용을 통하여 보면 施設靑少年들의 個人的 特性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였지만 자아정체감 수준은 일반 가정청소년에 비해 그리 큰 차이가 없었음은 肯定的으로 받아드릴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대상을 全體的으로 보았을 때 [대인역할기대]와 [대인관계]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여기에 대한 적절한 社會福祉 프로그램으로 [대인관계]에 대한 信賴感과 믿음을 심어주어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施設 運營에 있어서 청소년들이 마음을 터놓고 신뢰감을 가질 수 있는 상담교사나 전문사회복지사가 충원되어야 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시설의 재정상 상담교사의 고용이 어려울 경우에는 시설종사자나 보육사들에게 相談指導에 관한 지식과 기술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제공되어, 그들의 自立과 進路에 큰 역할을 하여 社會에 건전하고 健康한 構成員이 되도록 세심한 배려와 함께 人間的인 友愛로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야 할 것이다. Adolecency is an important transition period during which an individual learns to socialize, adjust to a social community, and become successful in life. During this period, adolecents in institutions suffer from institution-related diseases and show a great concern over leaving institution at the age of 18. Under such circumstances, they have much difficulty forming self-identity. Therefore, to help them to become independent, it is necessary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self-identity and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the awareness of self-identity. To this end, as a preliminary task to design the program, the present thesis conducted a study in which two groups of adolecents (adolecents in institution and adolecents in a normal family)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e study, overall sense of self-identity from both groups of subjects were measured, and, as a lower level concept of self-identity, the following were also evaluated: sense of self, self-assertiveness, self-acceptance, stability, uniqueness, goal-directedness,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terpersonal role expectation. Then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self-identity were compared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hown that despi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subject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much differences in the sense of self-identity. However, since adolecents in institution were found to get low scores in interpersonal role expec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n appropriate social welfare program is needed to help them build beliefs in others.

      •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백승훈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functions and roles of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ensuring that they can become spaces where adolescents can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rea and meeting the demands of youth. Content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wenty-eight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their establishment, operation, and projects were analyzed based on facility and local government websites, relevant press releases, and other sources. Moreover, to examine the functions and roles of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their differences from existing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future direction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practitioners currently or previously involved in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and three experts with relevant research experience. The data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utilizing the computer-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ATLAS.ti Version 23. The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ed in 4 themes, 20 categories, and 53 subcatego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necessity of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was confirmed, indicating the need for expanding youth activity facilities, differentiation from youth training facilities,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youth leisure activities, and easy scalability. Secondly,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spatial constraints, limitations in accommodating changing trends, and challenges in employee welfare. Thirdly, the functions and roles that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should perform were derived. It was emphasized that these facilities should have a comfortable and open space for the youth to freely express themselves, serve as spaces for rest and leisure, function as meeting places for daily interactions, operate youth-led spaces, and provide support through close relationships with leaders and safe care. Fourthly,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future directions and challenges were identified. To ensure the smooth independent operation of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specialize the facilities, differentiate operational methods, and establish a collaborative system with similar facilities. A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community awareness and pursu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consider comprehensive research or support measures that strengthen youth-centered functions and enable the measurement of changes in youth. This study comprehensively discussed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actitioners and experts,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small-scale youth activity faciliti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sample population regulations and appropriateness of terminology, and due to the qualitative nature of the study, generalization is challenging.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의 기능과 역할을 정립하고, 지역특성과 청소년의 수요를 반영하여 청소년이 다양한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시설이 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용분석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도권 내 28개 시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시설 홈페이지, 보도자료 등을 토대로 시설의 설립, 운영, 사업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의 기능과 역할, 기존 청소년수련시설과의 차별성, 향후 발전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청소년활동시설 종사자 12명,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전사하여 주제분석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질적연구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ATLAS.ti Version 23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주제, 20개의 범주, 53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필요성은 청소년활동시설 확대 필요, 청소년수련시설과의 차별성, 청소년활동 및 여가문화 접근성 향상, 용이한 확장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의 어려움과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소규모 청소년시설은 공간적 한계와 시대적 수용력의 제한, 열악한 종사자 처우가 시설의 어려움이자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이 수행해야 할 기능과 역할을 도출하였다.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은 편안하고 자유로운 공간적 분위기, 쉼과 여가의 공간이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또한, 일상의 만남 장소, 청소년주도적 공간 운영, 지도자와의 긴밀한 관계 형성을 통한 지원, 안전한 돌봄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발전방향과 과제를 확인하였다.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의 원활한 독립적 시설 운영을 위하여 시설의 특성화, 운영방식 차별화, 유사시설과의 연계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지역사회 인식 개선과 법적‧제도적 보완도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청소년 중심 기능을 강화하여 청소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종합적 연구나 지원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의 종사자와 관련 전문가의 경험을 토대로 시설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청소년수련시설과 소규모 청소년활동시설의 차별점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다만, 모집단 규정과 용어의 적절성에 한계가 있고, 질적연구라는 점에서 일반화하기 어렵기에 향후 지속해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전북지역 청소년수련시설 현황과 발전과제

        강진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Youth Facilities in Jeonbuk area and seek developing methods. So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youth-guides of 49 Youth Facilities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s who had used the Youth Facilities in Jeonbuk area. The questionnaire had two types. One for youth-guides is composed of total 28 items (2 item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3 items for working characteristics, 9 items for program operation and 4 items for the methods vitalizing the Youth Facilities). And the other for students is composed of total 25 items (5 item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20 items for participating reality, awareness and satisfaction in the Youth Facilities) and based on the responses for relevant items, I drew the opinions for satisfaction, awareness and vitalization methods individually, regarding the Youth Facilities.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the research questions to prepare the basis about the necessity of analyses of the status and problems of youth facilities by carrying out literature review about the concept, necessity, characteristics by type and status of them, examine the actual operation by doing analysis of them in Jeonbuk area and draw their problems and prepare the improvement to develop them based on them. First, how do adolescents and their leaders recognize the current youth facilities? Second, how do adolescents satisfy youth facilities? Third, how do adolescents' leaders recognize the problems of youth facilities? Forth, What is the important things to adolescents' leaders for utilizing youth facilities? The result that verified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on recognition of youth facilities has found as follow: As for adolescents, gender has the meaningful effect on using frequency and using hours, schools that they are in have the meaningful effect on recognition about the necessity of youth facilities, satisfaction about facilities and equipments, satisfaction about leaders and satisfaction about using hours. Grade has the meaningful effect on total using period of them and the residential area has the meaningful effect on using hours of them. As for the adolescents' leaders, gender and age have the meaningful effect on recognition about the using rate of them. The survey result of satisfaction about the youth facilities by adolescents is comparatively high.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facilities, equipments, program, leaders, using hours and using frequency but the partial minority of them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spaces to do their cultural experience or rest areas for them and hobby programs should be also done. As for the survey result of recognition about youth facilities by adolescents' leaders, recognition about operating level of youth facilities' programs is positive. They tend to evaluate that the competitiveness of the facilities that they work or the connecting level them to other facilities are comparatively high but the using rate of youth facilities by adolescents is high. On the other hand, expansion of budget or program development are urgent for the related activities of adolescent activities in the future. Finally, as for opinions about the plans to vitalize youth facilities of adolescents' leaders, it has found that the necessary elements to do them and the payment level of proper subsidy should be reasonable for conditions of practician's personal expenses. Based on these results, I try to sugg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to develop youth facilities. First, When youth facilities will be set up or programs will be developed, desire 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should be analyzed and specialized. Second, efforts to expand and diversify spaces of youth facilities generally are necessary and using hours or using frequency should be properly adjusted so that the adolescent can use the facilities whenever they want. Third, education or training for the adolescents' leaders should periodically conducted and their pay level should be suitably raised according to the current task levels or social situation. Forth, the good quality of programs, facilities and equipments should be prepared by doing the payment standards of subsidy about the realistic and proper youth facilities.

      • 청소년수련관의 면적배분에 관한 조사 연구 : 중·소규모 청소년수련관을 중심으로

        정승원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각 지자체별로 사회복지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시행 발전시키면서 많은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다. 청소년수련시설도 이 중 하나로서 많은 청년수련관이 건립되거나 계획되고 있지만, 변화하는 청소년의 욕구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간구성 시 대규모 청소년수련관의 면적배분방식을 답습하고 있어, 관련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리 않고 공간구성의 변화가 행하여져 일치용의 단기적인 전시과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욕구변화에 충족할 수 있는 중·소규모의 생활권청소년수련관의 공간구성의 분석을 통해 적합한 면적배분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수련관의 공간 구성과 주요 기능을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사례조사를 통하여 청소년수련관의 부문별 구성요소, 구성면적, 구성비율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용 행태 및 선호도 분석을 위해 관리자와 이용자 두 그룹으로 대상을 분리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면적제한 및 지역적 여건을 고려하여 두 가지 안으로 구분하였으며, 부분별 면적비는 다음과 같다. ·별도의 수영장과 체육관, 공연장시설을 갖춘 1안의 경우, 문화부문 25%, 교육 부문 17%, 체육부문 27%, 관리부문 5%, 공용부문 25烙의 면적배분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제한된 여건으로 수영장을 계획하지 못하고 체육관과 공연장을 겸한 2안의 경우, 문화부문 9%, 교육부문 25%, 체육부문 30%, 관리부문 8%, 공용부문 28%의 면적배분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문화부문의 면적비가 줄어든 이유는 공연장을 겸한 체육관을 체육부문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하면 유사지능의 그룹핑을 통해 경제적 공간구성이 가능하며, 문화부문, 교육부문, 체육부문은 전체 면적비의 64~69%로서 면적배분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로비부문과 휴게공간의 기능 강화로 인해 공용부문의 면적비는 25%~28%선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관리부문은 6%~8%의 공간 할애로 청소년이 수련관을 이용하는데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한다. 둘째, 이에 따른 공간 구성의 주요 지침은 다음과 같다. ·만남과 휴식의 기능에 전시기능을 더한 로비를 계획하고 부문별 연계성을 고려한 동선 계획 및 유사 기능별로의 그룹핑이 요구된다. ·다수의 동아리방 및 융통성 있는 프로그램실의 계획한다. ·청소년문화공간에 정보검색 이외의 게임이나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공간의 확대하고, 인터넷방송국 및 영상편집실을 계획하여 청소년들의 욕구를 해결한다. ·전체 영역과의 연계를 통해 통합 탈의실과 샤워실의 계획으로 다양한 수련거리를 위한 활동적 편의를 제공한다. ·독서실의 선호도반영 및 스낵바를 계획하여 변화하는 청소년의 욕구를 수용한다. In recent years, many municipal governments have planned and developed welfare programs for their communities. Many of these plans have included youth development facilities. However, many of these facilities have had problems keeping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tastes of young people. They have limited themselves from their full potential as appropriate youth development facilities by implementing the space ratio of bigger state facilities for their layout. This type of design leads these facilities to serve only short-term purposes. The following study will suggest much a more suitable space ratio for local youth development facilities, for middle to small-sized communities, as well as facilities that can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tastes of our youth. For this evaluation, we have examined key components of layout within these facilities, as well as their Purpose through Previous studies. We have assessed component elements, component areas, and component ratios within these facilities through case studies, We also have interviewed two different groups, a managing party and a using party to determine the usage and popularity of different areas in the facility. Lastly, we have gathered all of this information and present our findings below. First of all, we have divided our findings into two different scenarios according to limited space and local characteristics, The component ratios are as follows: ·For facilities with a swimming pool, a gymnasium and an auditorium: culture 25%, education 17%, athletic 27%, management 6%, public space 25% seems to be it balanced ratio. ·For facilities combining a gymnasium and an auditorium, but without a swimming pool due to various limitations: culture 9%, education 25%, athletic 30%, management 8%, public space 28% seems to be an appropriate ratio between spaces. The cultural component ratio has been reduced for these facilities because we considered a combined auditorium/gymnasium as part of the athletic component. ·If we gather the above information together, it appears that a grouping of spaces with similar purposes is possible and that the cultural component, the educational component, and the athletic component ratio combined should remain 64 ~ 69% of total space available. ·Lobby and resting areas' emphasis indicates that the public space ratio should be in the 25 ~ 28% range. ·A 6-8% management component of the space available will help a facility be user friendly. ·Second of all, the information above suggests that guidelines for the component ratio of youth development facilities should be as follows. ·A lobby that can serve multiple purposes, like a place for meetings, ratings, as well as exhibitions. ·Groupings of similar objectives or traffic plan according to its unity. ·Several multi-purpose rooms for clubs and other youth organizations. ·An expanded multimedia area for internet use or for computer game, as well as an incorporated Internet broadcast studio or a multimedia editing studio to accommodate youth's demands and interests. ·Central locker rooms with showers for easy access and utilization of many other programs offered. ·Flexible libraries and cafeterias that reflect their popularity and are capable of changing with youth interests and dem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