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유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과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를 분석하여, 퇴소 후 안정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정책적으로는 퇴소 후 자립의 일환인 진로성숙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실천적으로는 진로성숙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개별적․단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시설청소년 가운데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 수준을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이 가장 높은 결과로 나타났고, 진로성숙의 하위요인 중 준비성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시설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성별, 학교급(연령), 성적은 시설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시설거주 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종속변수인 진로성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독립변수 및 통제변수를 살펴본 결과, 성별, 학교급(연령), 성적은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시설거주기간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은 진로성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입력된 모델1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입력된 모델2의 경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요인을 포함한 모델2가 회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성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지고 목표선택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 수준도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에 큰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시설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 수준이 높다는 연구결과는 시설청소년들이 진로관련 교육을 많이 받았다는 것에 기인하지만, 진로를 탐색 하는 수준 정도로 교육이 진행되므로 보다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이 성별과 학교급(연령)에 영향을 미치므로 연령별, 성별 특성에 맞춘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성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므로 학업에 관심을 갖고 성적을 높일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시설거주기간이 진로성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는 연구결과는 한 명의 선생님이 담당하는 청소년의 수가 많고, 이직이 잦은 것이 영향을 미치므로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개별적으로 전문적인 진로지도를 받을 수 있는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므로 진로성숙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요인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진로지도는 안정적인 자립을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추진․확대 되어야 하므로, 진로지도가 포함된 자립지원 프로그램이 제도화되고 정착화 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시설청소년의 진로지도는 아동양육시설만의 역할이 아니므로, 적성과 소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직업 및 취업에 전문성을 가진 유관기관과의 연계 등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신미자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 현황과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청소년들의 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의 이용 극대화와 합리적 운영에 기여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현황 을 조사 분석하였고,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청소년들은 수련시설이 자신의 관섬분야나 진로에 대한 산지식을 얻고 체험하는 곳으로서 지역에 대한 관심과 사회성 및 대인관계 면에서 도움을 주는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청소년들은 수련시설 장비나 공간이 노후화되고 청소년의 문화에 맞지 않아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청소년들은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의 활성을 위해서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청소년 요구에 맞는 시설의 보강,공간 확장 및 양적 확충,변화하는 청소년문화에 맞는 지속적인 프로그램 업데이트,홍보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 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평택시 청소년들의 통합적인 청소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청소년활동지원통합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청소년지도 인력자원의 과학적 관리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을 통해 수요자 요구에 맞는 인적 자원 서비스를 실행하고,인적 자원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 사회적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청소년 전문 인력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청소년활동종합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포털 사이트 운영 및 활성화를 통하여 청소년활동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 개선과 홍보활동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국제화도시라는 평택시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특성화된 청소년시설을 건립하고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업이 개발되어야 한다.

      • 청소년지도사 보수교육의 학습전이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수련시설을 중심으로

        이상화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청소년지도사 보수교육의 청소년수련시설유형에 따른 학습전이인식정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학습전이인식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전이요인을 조사하여 훈련프로그램개선을 위한 정보와 제안을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게 제공하며, 현장에서 학습전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은하(2006)의 “학습전이 진단도구”를 이용하여 조직 유형에 따른 학습전이 요인과, 학습전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ㆍ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3가지 유형의 청소년수련시설 위탁운영기관에 배포되었으며, 설문조사 기간은 2016년 10월 25일 ~ 11월 7일까지였고,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05부를 회수하였다. 응답이 누락된 4부를 제외한 201부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사 보수교육프로그램의 학습전이인식정도는 보통이상(3.40)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것은 청소년수련시설에서 학습전이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유형에 따라 학습전이인식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청소년수련원과 청소년수련관 및 청소년문화집 집단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특성요인(주체성, 준비도, 자기효능감, 경력개발기회, 전이기대)은 종속변인(학습전이인식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이와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박용영, 변숙영, 2006; 최창환, 2008; 김소나, 김은경, 박수영, 주영주, 2008; Libermann & Hoffmann, 2008)들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램특성요인(보수교육내용, 보수교육방법, 보수교육강사, 보수교육환경)은 학습전이인식정도 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투입한 프로그램특성요인 중 보수교육내용 변인만이 종속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고기순, 김민호, 2002; 김진모, 박용영, 2006; 곽대영, 이연택, 2006; Libermann & Hoffmann, 2008; 권성연, 김소나, 변숙영, 이수경, 2010)와 결과가 일치한다. 다섯째, 조직특성요인(상사태도, 동료태도, 보상정도, 혁신경영, 경쟁력강조, 교육훈련지원, 도전적 직무배치, 상호작용적 업무환경)은 학습전이인식정도 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투입한 조직특성요인 중 3가지 요인(동료태도, 교육훈련지원, 도전적 직무배치 변인)만이 종속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권성연, 김소나, 변숙영, 이수경, 2010; 공민영, 김진모, 2008; 최창환, 2008; 김진모, 박용영, 2006; 김대영, 배을규, 장민영, 2003)의 결과와 일치한다.

      •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협력을 위한 조직문화모형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 수도권 시설을 중심으로

        신경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협력을 위해 내부의 조직문화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협력에 적합한 조직문화모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cKinsey의 7S 모형(7S Model)의 조직문화 진단을 위한 기업구성요소 개념을 바탕으로 청소년수련시설 연계·협력에 필요한 세부 변인을 추출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서울·경기 수도권 소재 청소년수련시설 및 관련 단체에 배포하고, 회수된 138개 응답지를 대상으로 청소년수련시설의 내부 조직문화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답자 중 20∼30대의 고학력 종사자들은 청소년수련시설(단체)의 연계·협력에 관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면서도 실제로는 기관 내부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음을 지각하고 있었다. 2) 연계·협력과 관련해서는 경기도 지역이 매우 개방적인 분위기를 보였다. 총근무년수가 높을수록 시설(단체) 간 연계·협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시설장이나 연령이 높은 집단일수록 그리고 근무년수가 높을수록 정부 중심의 연계·협력을 위한 구조적 틀이 만들어지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3) 현재 대부분의 청소년수련시설이 독자적 형태로 위탁 운영을 하고 있지만 기관장의 의지나 시설 실무자의 노력에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연계·협력의 가능성은 매우 커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4) 청소년수련시설과 단체와의 연계활동을 위한 교육 참여 욕구에 있어서 서울 지역은 경기 지역에 비해 타 기관에 대한 연계·협력이 쉽지 않다고 응답한 반면, 청소년문화의집은 긍정적인 수준이었다. 5) 지역 내 청소년시설 간의 연계·협력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한 모형으로는 지역권역 중심형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프로그램 중심형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리고 청소년수련관 중심형은 지역이나 프로그램 중심형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6) 연계·협력에 대한 조직문화유형에서 시설장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판단을 하고 있었지만, 세부요소를 파악해 보았을 때 타 기관과의 연계·협력을 위한 운영규정이나 세부규정 등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으로써 통상적으로 보면 연계·협력에 대한 장기적 비전과 전략을 시급히 수행해야할 필요가 큼을 알 수 있었다. 7) 7S 조직문화 분석 결과, 각 집단별 연계·협력의 세부요인의 차이를 보면 실무자 그룹은 공유가치와 인적자원을 강조하였으나 시설장 그룹은 인적자원을 중요한 변인으로 제시하였다. 8) 향후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협력에 대한 방향으로는 협의체 구성, 온·오프라인 채널 구성, 권한이양을 전제로 한 조직 간 수평적 관계 유지, 행정기관의 예산 지원, 청소년특화시설 중심의 공동사업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협력에 대한 필요성은 어느 정도 지각하고 있었으나 이를 구체화하려는 평가지표의 개발, 정책에서의 수용 등을 고려하는 실제적인 노력 등이 정책부서에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협력에 대한 정책 및 행정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후속적 연구가 진행됨으로써 청소년을 위한 수련시설의 존재와 위상을 높이는 방안이 적극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협력의 연구 대상으로 서울 및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앞으로는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지역에 따른 편차와 강조점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노력이 배가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청소년수련시설의 홍보 시스템이 통합되어 서울·경기 수도권의 청소년수련시설이 지역권역별로 묶여 홍보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작업에는 정부의 청소년행정체계 내에서의 지원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다섯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수탁과 관련된 청소년단체들의 인식 전환은 청소년수련시설 간 연계·협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각급의 다양한 청소년단체 소속의 청소년수련관 단위별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도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서 발전되는 지역 내 청소년들의 성장과 더 나아가서 지역의 발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유연한 자세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n inside organization culture for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 facilities and to provide the researchers with the model of the organization culture to be suitable to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s on the basis of them hence. This study for them made up the questionnaire which is extracted a detailed major transformative cause to meet the needs of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youth center facilities on the basis of concept of enterprise structure factors in order to make one’s diagnosis of organizational cultures with McKinsey's 7S Models. The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relevant organization and youth centers in Gyungki, Seoul and the metropolitan region, so that this researcher analysed the inside organizational culture of youth center facilities to make 138 response papers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an object of this study. To sum up, the main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1) While the employees of a high educational career in 20's-30's of the respondents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matter for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 facilities(groups), they have actually perceived a limitation because of an internal cause in the institutions. 2) In connection with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m, it has showed a very open-hearted atmosphere in Gyungki-do region. The higher the employees is in the total length of their service. they have positively set the higher value on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youth center facilities(groups) and the higher the head of an facilities or a group is in their age. they have desired to make the structural frame for linkage and cooperation centering around the government. 3) In the majority of case at present the youth center facilities are running in a fashion unique to themselves by a contracted operation but the possibility for an active linkage and cooperation would be greater in accordance with will of the head of an institutional organ or effort of the worker of institutions. 4) For an educational participative desire of a linkage activity with other organizations and youth center facilities,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Seoul region was no easy matter to make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the other institutions as compared to Kyungki-do region but showed a positive levels for the youth cultural houses. 5) As a desirable model to form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s within the region, they have preferred that of the regional-centered formation, secondly, program-centered formation, and then the youth training institution-centered formation showed a lower level than the regional-centered formation or program-centered formation. 6) For the organizational cultural type for linkage and cooperation, while the heads of institutions have a positive judgment, as grasp the detailed factors, we could usually know that it is necessary to do performance a long-run vision and strategy for linkage and cooperation at once because it did not furnish a detailed provision or an operational rule for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7) In the analytic resul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by McKinsey's 7S Models to find the difference among the detailed factors of linkage and cooperation by groups, the working-level groups stressed the common values and human resources but the head-level groups of the institutions presented human resources as its major transformative cause. 8) As the direction for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 facilities hence, they presented to make the development for a joint business of the juvenile specialization institution-centered, support of the budget by an administrative organ. maintaining a horizontal relations among organization to set a transfer of power forth as a premise, structure of on & off line channel, and a formation of a conference body. The researcher proposes as in the following in order to make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 facilit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y have a certain degree of perception for necessity, however the policy makers of the post have to consider an actual effort to accept the development and policy of an appraisal standard index in order to concrete them. Second, the following study has to be proceed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policy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for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 facilities, so a plan in order that they could heighten the valuable position and existence of the youth center facilities has to be considered positively. Third, This thesis has mainly made Gyungki region and Seoul an object of study for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 facilities, however the following researchers in the future will have to redouble their exertions to analyze declination and emphasis in accordance with regions through nationwide extension systematically. Fourth, the P.R. system of the youth center facilities has to be unified and perform the public relations of the youth center facilities in Kyungki, Seoul and Metropolitan by regions. We could say that a support within an administrative system for youth is a prerequisite to such a work project. Fifth, the new cognitive significance which the youth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trust system of the youth center facilities will be awakened to is namely the heart of a question of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youth center facilities. Of course, it is important that the youth center facilities belong in various youth organizations improve quality for programs by units. But, first of all, we should take the things more flexibly, that is, a community development as well as a youth growth with the region to develop through relevant programs should furthermore take precedence over the others.

      • 소년보호 1호 처분 수탁기관인 청소년회복지원시설의 집행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 대전가정법원 소년보호재판 실무를 바탕으로

        김성식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사회 내 처우로서 소년법 제32조 제1항 제1호 보호처분인 보호자를 대신하여 대안가정으로서 소년에 대한 감호를 집행하는 청소년회복지원시설의 현황과 보호처분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운영상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보호자 대신 소년을 감호하는 청소년회복지원시설은 사회 내 처우의 일종으로 인격주의, 개별주의, 협력주의 등 소년보호이념을 충실히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시설로서 시설 내 처우인 소년보호 6호 처분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 충족시킬 수 없는 가정적, 정서적, 자율적 돌봄이 가능하다. 다만 사회 내 처우의 한계로서 자율성이 보장된 만큼 무단이탈의 우려가 크고, 앞으로 효율적인 보호처분 집행을 위한 체계적인 운영지침이나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안정적인 예산을 확보하고 무단이탈 방지를 위하여 보호관찰 등 보조적 사회 내 처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보호소년의 복리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실제로 소년을 감호하는 청소년회복지원시설 운영 신병인수 위탁보호위원에 보호자의 친권을 위임받아 소년에 대한 법률상 대리권을 행사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해야 한다. 청소년회복지원시설 운영에 관하여 위와 같은 개선방안을 적극 모색하여 청소년회복지원시설의 전국적 확대를 위한 역할모델을 마련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the assisting institute for juvenile rehabilitation support facility as an alternative family on behalf of the parent trusted by Juvenile law Article 32 (1). In addition, various problems in operation are discussed in association with many improvement measur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1st juvenile protective disposition. the assisting institute for juvenile rehabilitation support facility, which protects the youths instead of their guardians, is a kind of new social treatment that can faithfully realize the youth protection ideology such as personalism, individualism and cooperation by way of emotional sensitive caring and autonomous practice which can not be met by in-facility treatment like 6th juvenile protective disposition. However, there is a great concern about unauthorized departure as social treatment and systematic operation guide, program for efficient enforcement of protection measures, securing stable budge are quite needed. So in order to preclude unauthorized departure, it is desirable to make active use of supplementary social treatment such as probation and order for taking tutoring course. Furthermore, by means of ensuring the maximum benefit of the protected youth, the assisting institute for juvenile rehabilitation support facility actually supervising the youth must be entrusted with the custody rights of the guardians and legislative grounds for exercising the legal authority for the juveniles are to be secured. In this way, we can discover many improvement measures and prepare a role model for expanding the assisting institute for juvenile rehabilitation support facility nationwide.

      • 제주도 청소년수련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김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주도 청소년수련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제주도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수련시설에서의 경험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도 청소년수련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10명을 표집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 중 근거이론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자료를 문장 또는 문구로 범주화한 결과 개방코딩 과정을 거쳐 85개의 개념, 3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6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다.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은 ‘업무분장 모호’, ‘근로조건의 열악’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표류하는 직업정체감’이며 이러한 중심 현상에 대처하는 방식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자기 성장 의지 실현’, ‘관계 향상’, ‘소극적 적응’, ‘개혁과 통합’, ‘개선 방향 제시’이었다. 현상에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패러다임 전체의 배경이 되는 맥락적 조건은 ‘행정지원체계 간의 업무 부조화’, ‘업무 역할에 대한 부적응’, ‘직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억제하거나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업무한계체험’, ‘동기화’, ‘변화 알아차리기’이었다. 마지막으로 이에 따른 결과는 ‘신뢰받는 경험’과 ‘직업 부적응’으로 드러났다. 범주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결 짓는 과정 분석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청소년수련시설의 근무경험을 살펴 본 결과 탐색 단계, 적응 단계, 자각 단계, 변화시도의 단계 그리고 재정립 단계의 5단계로 정리되었다. 근거이론 분석의 마지막 단계인 선택코딩에서 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수련시설에서의 경험에서 드러난 핵심범주는 ‘변화와 자기 성장에 대한 희망을 갖고 청소년과 함께 가기’로 드러났다. 이 핵심 범주의 속성을 토대로 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수련시설에서의 경험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그 유형은 ‘변화지향형’, ‘수용지향형’, ‘현실만족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심현상인 ‘표류하는 직업정체감’과 핵심 범주인 ‘변화와 자기 성장에 대한 희망을 갖고 청소년과 함께 가기’에 대한 의미와 시사점을 선행 연구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자리 창출 사업으로 시작한 청소년지도사의 경험을 깊이 있게 들여다봄으로써 청소년지도사에 대한 전체적인 안목을 강화하였고 제주도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흐름을 확인하였으며 청소년지도사들의 청소년수련시설생활의 전반적인 경험을 정리하여 전체적인 지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제주도 청소년지도사를 둘러싼 제도 및 조직 이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제도의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는 ‘청소년수련시설의 경험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향후 청소년수련시설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유호석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논문요약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시설보호는 중요한 대리적 서비스인데, 시설보호청소년은 발달단계에서의 문제뿐만 아니라 취약한 가정환경에 노출되어 다양한 부적응의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청소년의 적응문제와 관련된 여러 영역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학교적응이다. 청소년기의 올바른 학교적응은 성인기의 안정적인 사회적응의 밑바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는 여러 수준의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련해서는 생태학적 관점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주요한 생태체계 요인으로 개인요인으로 애착과 우울, 가족요인으로 가족지지, 시설요인으로 시설선생님지지와 시설아동지지와 시설환경, 지역사회요인으로 교사지지와 친구지지와 봉사자․후원자지지를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런 모든 요인이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해서 개인․가족․시설․지역사회 수준의 여러 요인이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대전, 세종, 청주, 대구에 위치하고 있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중·고등학생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애착과 우울은 보통 수준보다 다소 낮았고, 가족지지는 보통 수준보다 다소 낮았다. 시설선생님지지는 보통 수준보다 매우 높았고, 시설아동지지는 보통 수준이었고, 시설환경은 보통 수준보다 높았다. 교사지지와 친구지지와 봉사자․후원자지지는 보통 수준보다 높았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학교적응은 보통 수준보다 낮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성과 시설거주 기간에 따라 학교적응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애착, 우울, 시설선생님지지, 시설아동지지, 시설환경, 교사지지, 친구지지, 봉사자․후원자지지와 학교적응 사이에는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자의 애착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시설선생님지지가 높을수록, 시설아동지지가 높을수록, 시설환경이 높을수록,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봉사자/후원자지지가 높을수록 각각 학교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애착, 우울, 시설선생님지지, 시설아동지지는 학교적응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자의 애착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시설선생님지지가 높을수록, 시설아동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조사대상자의 가족지지, 시설환경,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학교적응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차이 분석에서 조사대상자의 성에 따라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증진하려는 프로그램에서는 여자 시설보호청소년에게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차이 분석에서 조사대상자의 시설거주 기간에 따라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증진하려는 프로그램에서는 5년 이상~10년 미만의 시설보호청소년에게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에서 애착과 우울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려는 프로그램에서는 애착을 증진하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에서 시설선생님지지와 시설아동지지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려는 프로그램에서는 시설선생님지지와 시설아동지지를 증진하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시설환경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려는 프로그램에서는 시설환경을 개선하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본 연구의 상관관계분석에서 교사지지와 친구지지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려는 프로그램에서는 교사지지와 친구지지를 증진하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그 이외의 지역에 위치한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에게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지역에 위치한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도 포함시켜 학교적응에 대해서 조사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시설보호청소년, 학교적응, 생태학적 관점

      • 청소년수련관 운영실태분석과 개선방안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김제원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주5일 근무제와 주5일 수업제 시행으로 학교교육은 교육전반에 걸친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청소년육성현장에도 그 근거기반과 형태등에 있어서 불가피하게 변화를 모색해야 할 상황이며, 더욱이 학생층의 참여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청소년수련활동의 실정을 볼 때 그 존립기반과 운영형태 등의 구조적 변화가 예상된다. 그 동안 청소년수련관이 주 고객인 청소년들을 외면하는 형식적인 시설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서 청소년들의 다양한 체험활동 욕구를 수용하는 제기능을 다하는 것이 청소년수련관의 당면 과제 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지역 청소년수련관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대안을 탐색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구지역의 5개 청소년수련관에서 운영을 대표하는 대표자(관장 혹은 실무책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와 문헌자료조사를 병행실시 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지역청소년수련관의 일반적인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수련관운영의 중요한 요인인 인력구조, 프로그램, 재무구조로 구분하여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지역 청소년수련관의 인력구조는 정규직 비율이 80%이며 비정규직 비율이 20%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지도사의 고용형태나 임금 수준은 열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수련관의 프로그램운영은 청소년대상 프로그램비율이 35.7%이며 청소년 이용율은 전체 이용자의 49.2%수준으로 청소년전용시설이라는 용도에 맞지 않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한 현상은 청소년이 청소년수련관을 이용하기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고 수탁기관의 수익성 프로그램 편성이 현실적으로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셋째, 청소년수련관 재무구조의 세입구조 일반적 특징은 사업수입과 보조금이 총세입의 90.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수영장이 있는 청소년수련관은 수영장 수입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렇게 수영장 유무에 따라 수입구조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수영장 시설 유무가 보조금 지원의 주요기준으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대구지역 청소년수련관 운영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력구조의 안정을 위한 개선대안으로는 첫째, 청소년지도사의 처우를 개선하여 안정된 생활환경 속에서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둘째, 청소년지도사의 신분보장, 임금 권한을 규정하는 법안이나 제도를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대구지역 청소년수련시설 협회를 설립하여 종사자들의 근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양질의 프로그램운영을 위한 개선 대안은 첫째, 청소년의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프로그램 욕구조사를 선행하고 둘째, 욕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오후, 주말 등 청소년이용이 가능한 시간대별로 청소년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하며 셋째, 지역의 교육청, 관내학교의 학사일정을 파악하여 분석하고 프로그램에 적용해야 한다. 넷째, 상담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특기적성활동, 여가활동, 문화활동, 체험활동, 캠프활동 등 목적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지도자 및 필요한 장비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이러한 목적사업에 소요되는 사업비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전액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수련관의 재무구조안정을 위한 대안으로는 첫째, 보다 명확한 보조금지급 기준을 마련하고 집행해야하며 둘째, 청소년수련관 건립을 위한 시설투자 보다 양질의 프로그램운영을 위한 예산의 편성과 지원을 해야 하며 셋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수련관의 예산집행의 합리성과 공정성을 보다 면밀히 지도, 감독, 평가하며 넷째, 대구지역 수련관의 동일한 회계기준을 마련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투명한 재정관리를 해야 한다. Enforcement of five-day workweek and five-day school system gives notice of rapid change over the entire education. Youth upbringing field also has to grope for change regarding its basis and type. Moreover considering the reality of youth training activity that depends greatly on students' participation, structural change is expected in its basis of existence and pattern of operation. The impending task of youth training center should be doing its own work to accept the youngsters' desire of various experiential activity, getting out of the disgrace that the center is just a formal facility turn away the youngsters, its main custom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plan of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reality of youth training center in Daegu and seeking an alternative. For that purpose, in-depth interview survey and document survey were carried out side by side towards representatives of 5 youth centers in Daegu(Director or responsible person of practical affairs). Through the survey, the general situation of operation of youth centers in Daegu was grasped, and the categories like personnel structure, program and financial structure,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operation of center, were analyz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analysis ; First, the personnel structure of youth centers in Daegu showed that the rate of full-time worker is 80% and the rate of irregular worker is 20%. The type of employment or the wage of youth guider was poor. Secondly, as for the programs operated in youth centers, the rate of program for youngsters was 35.7%, the rate of youth users was 49.2% of the total users. This is unfit for the use as facility only for youngsters and severe. It is because there is temporal and spatial limit for youngsters to use the center, and it is inevitable to organize profitable program of assignment agency in actuality. Lastly, as for the revenue out of the financial structure of youth centers, generally revenue from business and subsidy takes most of the total revenue, 90.9%, and centers that have a swimming pool highly depended on the revenue from the swimming pool. The reason that revenu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wimming pool is that the swimming pool becomes an important standard of subsidy support. Based on above results, following plan of improvement is presented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youth centers in Daegu ; Alternatives of improvement for stable personnel structure are ; First, the labor conditions of youth guider should be improved to promote their professionality in stable environment of living. Second, laws or systems need to be enacted that stipulate and guarantee the status and wage of youth guider. Third, youth training facility association in Daegu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of the employees. Alternatives of improvement for operating programs of good quality are ; First, survey of desire for program should be preceded to grasp youngsters' various desires. Seco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of desire, youngster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to the hours available for them, for example, afternoons or weekends. Third, the schooling schedule of the local office of education or schools should be grasped, analyzed and applied to programs. Fourth, programs able to support objective businesses like counselling activity, club activity, volunteer activity, specialty/aptitude activity, leisure activity, cultural activity, experiential activity and camp activity, leaders and necessary equipments should be prepared. Fifth,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should fully support the expense needed for such objective business. Alternatives of improvement for stable financial structure are ; First, a clearer standard of subsidy payment should be prepared and executed. Second, estimates should be drawn up and supported for operation of programs of good quality rather than for equipment investment for establishment of youth training center. Thir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directs, supervises and evaluates the rationality and impartiality of the execution of the estimate. Fourth, the same standard of accounts of training centers in Daegu should be prepared to manage the finance more objectively and clearly.

      •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로

        주성숙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들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이용하기 편리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을 선정, 충북, 세종, 충남의 세 지역의 청소년시설 중 30개 시설을 선정하였다. 현재 그 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 279명과 선정된 기관에서 최근 6개월 내에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 중인 청소년 3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지도하는 청소년지도사가 인식하는 만족도에 대하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온라인 방식과 우편발송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58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가설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두 채택 되었다. 둘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관계에서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변인 간 모두 양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의 자아인식은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직무자체와 동료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상관관계에서는 투명한 관계성이 프로그램 만족 ,시설 만족, 지도자 만족 모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직무자체와 보수가 시설 만족과 지도자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는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작용에 관한 정확한 검증을 위해 Sobel-test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는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은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적 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의 영향력 보다는 청소년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가 훨씬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과 많은 상호작용을 하며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여 효과를 밝혔다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와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에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차후 청소년시설 대표가 갖는 진정성 리더십 뿐 만 아니라 중간관리자를 포함한 영향력 집단이 갖는 진정성 리더십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 한다.

      • 사회적 지지가 시설보호 청소년들의 학교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신동헌 가톨릭대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설보호 청소년의 학교 중도 탈락과 관련 중도 탈락의 원인을 찾아보고, 학교 재학생과 중도 탈락생 두 집단의 사회적 지지를 비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시설보호 청소년의 학교 중도 탈락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남녀 중고생 100명과 직업보도시설과 교호시설, 청소년 쉼터 및 상담소에 거주하는 남녀 중고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설보호 청소년의 학교 중도 탈락은 학교 요인이 가장 컸으며, 친구와 가족 요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보호 청소년중 학교 재학생과 중퇴생 두 집단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기능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 모두 낮았고, 하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는 평가적 지지가 높고 물질적 지지는 낮았으며, 타인지지가 높고 가족지지는 낮게 나와 가족과의 단절이 심함을 볼 수 있었다. T검증 결과 재학생과 중퇴생 두 집단의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없었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고려한 F검증 결과에서도 연령과 입소시기 두 가지 변인 외에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비교 분석 결과 본 연구자가 의도한 두 집단의 뚜렷한 차이는 발견하진 못했지만 시설보호 청소년의 중도탈락 원인을 일반 청소년과 비교하여 보았다는 점과 시설보호 청소년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나름대로의 시도가 있었다는데 본 연구의 가치를 두고 싶다. 비록 본 연구자가 보고자 했던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시설보호 청소년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 중퇴 요인과 관련 시설보호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학습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 재학생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집단지도 프로그램의 진행이 학교 중도 탈락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시설보호 청소년의 학교 중도 탈락 예방을 위해서는 가족과 유대감 형성이 필요하고 가족연계프로그램의 개발이 뒤따라야 한다. 넷째, 시설보호 청소년들의 학교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 지지원의 개발과 연결이 필요하다. 다섯째, 시설보호 청소년중 학교 중퇴생들을 위한 사회 적응과 자립을 준비할 수 있는 완충지대 모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ason why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leave school midway, compare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between enrolled students and those leaving school midway, and then prevent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from leaving school midway.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the subjects of 100 men & wome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the juvenile care center, and 100 men & wome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the vocational school, correctional institution, juveniles' rest center and counselling cent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ndicated that the reason why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leave school midway was affected most largely by school factor, and affected little by friend and family factor. The social support that the enrolled students and the students leaving midway among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recognize was indicated as low in both functional aspect and structural aspect, and as a result we looked it into by sub-field, the evaluative support was high and the materialistic support was low, and others' support was high and family support was low, and thereby we could see that they have serious sense of alienation from their family. As a result of T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 enrolled students group and the students group leaving midway, and also the F Test result considering socio-population variables showed that it did not affect social support, except only two variable, age and entering time. As a result we compared and analyzed two groups, we could not find the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hich the writer intended, but, even if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leaving school midway is a serious problem, it has not been discussed. However,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that first, it compared the reason why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leave school midway with that of general students, and second, it tried its own attempt to prevent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from leaving school midway. Though this study did not find the distinct difference, the writer would like to make several suggestions to prevent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from leaving school midway,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rst, in regard with the factor to leave school midwa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juveniles' adaptation to school and learning improvement is required. Second, the progression of group-guiding program to improve the enrolled students' self-respect may help prevent them from the leaving school midway. Third, to prevent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from leaving school midway, the formation of ties with family is required,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connection program should be followed. Fourth, the various social support resources and connection are required to prevent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from leaving school midway. Fifth, the buffer zone model program for them is required, which can make the juveniles in protection institutions leaving school midway adapt themselves to society and prepare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