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항목 개발

        이유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60

        현대 사회에 있어서 공공건축은 다각도에서 발전하고 있는 공공성(public)을 이해할 수 있는 자산이다. 특히 공공성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공공청사 또한 시대적 흐름을 표현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공공청사의 역사 또한 오래되지 않았으며 비교적 최근까지도 공공청사의 건축과 공간은 그 도시의 권위를 상징하는 표현 수단으로만 여겼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시민과 공공청사는 친근하고 긍정적인 관계보다는 다소 위압적인 상하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점차 국내에서도 지방자치 시대의 시작과 함께 도시민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현대 공공청사는 건축·공간적 측면에서 도시민과 ‘친밀한(intimacy)’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공공성을 기반으로 도시민과 ‘친구(the intimacy bond)’와 같은 가까운 상태 의미로서 ‘퍼블릭 인티머시(public intimacy)’의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에 연구자는 주목하였다. 퍼블릭 인티머시란 사회·심리학을 시작으로 건축·공간 측면으로 확장된 개념이자 사회적 가까움을 느끼고 이로써 도시민과 공공공간 혹은 공공건축 사이에서 지속 가능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공공청사가 다양한 시도를 통해 시민 중심의 공간을 마련하고자 하는 시대적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더 나아가 퍼블릭 인티머시 대입을 통한 체계화된 공간의 기초적 기틀을 제안하는 공간 평가항목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지방자치단체 청사 중 행정구역의 대표적인 특성을 보이며 다양한 시민문화공간 조성이 가능한 국내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시의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삼아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간평가 항목을 구성했다. 공간평가 항목은 퍼블릭 인티머시 공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5개(개방성, 장소성, 인지성, 접근성, 체험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더욱 실용적인 측면에서 공간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으로 구체화했다. 상위 항목은 본 연구의 목적과 같이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 예비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 평가를 체계화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퍼블릭 인티머시 공간 특성과 연결하기 위해 전문가 및 예비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도출했다. 하위 항목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국내 공공청사 관련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두고 상위 항목에 따라 재분류하여 평가 예비항목을 구성했다. 더 나아가 공간의 기초적 기틀을 마련하는 새로운 영역의 연구임에 따라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한 실증적 효과를 입증하여 최종 평가 예비항목을 추출했다. 실증분석은 공공청사 방문 및 사용 경험을 지닌 일반인 120명 대상으로 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5개의 상위 항목 중 유일하게 장소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와 같이 하위 항목 10개를 제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차 중요도 조사는 전문가 50명과 공공청사 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상관관계, 중요도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동일하게 1위 접근성, 2위 인지성을 나타냈으며, 3위에 대해 전문가는 개방성을, 일반인은 체험성을 더욱 중요시 여겼다. 더불어 하위 항목까지 중요도 분석을 살펴본 결과, 일반인의 의견을 참고하여 해당 공공청사의 개선 사항을 먼저 검증하고, 더욱 다양화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형성을 도모해야 한다. 2차 전문가 검증은 FGI 방식을 채택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한 결과, 전체적으로 상위 항목은 평균 4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며, 면접과 인터뷰에서 제안된 의견에 따라 해당 항목을 축소 및 보완하고, 일부 항목의 경우 이해도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용어를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4개 상위 항목(개방성, 인지성, 접근성, 체험성)과 26개의 하위 항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 평가항목의 진단과 활용을 위해 선정한 사례를 바탕으로 관리관계자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해당 사례는 체험성, 접근성, 인지성, 개방성 순으로 전체 항목에 대한 평균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사례의 특징에 따른 점수 차를 보이는 세부 항목 분석을 통해 사례의 긍정적인 평가 부분은 더욱 활성화하고 부정적인 평가 부분은 개선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대입을 통해 도시민과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건축·공간적 측면에서 기초적 기틀을 평가항목 개발로써 제안하였으며, 일련의 분석과 검증 과정을 통해 그 효과와 가치가 있음을 나타냈다. 한편, 본 연구는 퍼블릭 인티머시의 단어 혼용과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에 따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용어 정리와 개념, 공간적 접근 등 개념 구체화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또한 국내 공공청사의 적용 범위를 한정하고 있는 한계점을 지님에 따라, 공공청사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그에 따른 적용 필요 조건에 접근해 행정구역마다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항목을 구축하는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In today's society, public architecture is a value that we can us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ublic developing various angles. Especially, due to the changing of the paradigm about the nature of public, Public Buildings are showing the trend of the times. In Korea, however, the history of Public Buildings has not been long due to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even recently, the architecture and space of Public Buildings have been regarded as a means of expression symbolizing the authority of the city. According to the above rea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Buildings and citizens has formed an coercively hierarchy, rather than forming a close and friendly one. But Korea also tried to reorga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with the beginning of the era of local self-government. In this way, the Modern Public Building has been trying to form an "Intimacy" relationship with citizens in terms of aspects of architecture and space. Researchers started to place importance on this tren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Intimacy" as a familiar state as “the intimacy bond" with citizens is necessary based on the nature of public. Public Intimacy is a value that extends the concept of architecture and space, starting from sociology and psychology, and makes people feel close in social life. By doing so, It’s worthwhile to maintain a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nd Public Spaces or Public Buildings. As a result, this study focuses on reflecting the trend of today’s need on the Modern Public Buildings to revitalize citizen-centered spaces in various ways. Furthermore, It has been developed that the space Evaluation items to propose the organized spatial foundation of Public Building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ublic intimacy. This study covers Public Buildings which represent each city's culture and can create and vitalize a cultural space for citizens. And it consists of the space Evaluation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Public Buildings. There are five space Evaluation items (openness, placeness, recognition, accessibility, and experientiality) that are extracted by analysis of Public Intimacy space. In order to organize the foundation in the practical aspect of space, it was visualized divided into the top level items and subitems. The top level items are extracted by means of surveys conducted with experts and reserve experts so as to bridge from spac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timacy to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for Public Intimacy affording a basis for previous studies that systematized space evaluations. The subitems are made up of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p level items which are researched on the Guideline and Checklist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Eventually, the final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were drawn by Regression analysis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effect. Because this study is for a new area to introduce to organize the foundation of Public Intimacy.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120 members of citizen who visited Public Buildings. The analysis showed that “placeness” had no significant impact among the top five items, and the subtimes ten of were excluded. With the above result, the 1st Importance survey to analyze reliability, correlation, and importance was conducted with 50 members of expert and 100 members of citizen who used public buildings. In both groups, the first place is accessibility, the second is recognition, and the third is different. Experts put more importance on openness, on the other hand, citizens pick experientiality. After investigating the subitems about the importance, the following must be carried out to promote effective formation of Public Intimacy in Public Buildings. At first, the local self-government should check the improvement of Public Buildings by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citizens, and reflect the opinions of experts to create spaces for various people to use. The 2nd Expert Verificatio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by means of FGI(Focus Group Interview). Overall, the top level items received an average of more than 4 points. Some subitems were reduced and supplemented by the opinions of the interview, and some of the terms were modified to improve readability and understanding. Therefore, 4 top level items (openness, recognition, accessibility, and experientiality) and 26 subitems were organized. Next, one Public Building in Busan was selected as an example. This is to diagnose and utilize the space Evaluation item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5 government employees of Busan, that Public Building received a high rating of more than 4 points on average and got high scores in order of experientiality, accessibility, recognition, and opennes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was fou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which translates that the positive evaluation part should be promoted, and the negative one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Public Intimacy into Modern Public Buildings and developed Evaluation items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space in order to make to develop it with citizens. The effect and value of the Evaluation items were proved through the above analysis and verification processes. However, Public Intimacy still lacks data and needs to be kept researched. I hope it i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theory of Public Intimacy and space. And this study is limited Public Building models in Kore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Public Building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each local district. And then, Public Intimacy will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value for diverse urban spaces.

      • Die raumliche Kognition koreanischer Stadtbewohner : Beitrag zur Erforschung kulturraumspezifischer Wahrnehmungs - und Bewertungsmuster

        강경원 Christian - Albrechts Univ. zu Kiel 1988 해외박사

        RANK : 233279

        인간과 환경간의 관계에 관한 '행동지리'(behavioral geography)의 연구는 방법론과 분석기법상 많은 문제를 노정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주거환경과 관련한 공간인지연구를 함에 있어 기존의 臨床心理學的 관점을 탈피하고, 비교문화적 연구와 비판심리학적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한국 도시사회 속에서 주민이 가지는 환경에 대한 가치관, 거주장소에 대한 이미지, 거주욕구, 그리고 논리적 사고로부터 귀결되는 문제의식 등을 전통적 가치체계와 연관하여 파악하는데 있으며, 이와 같은 공간인지에 관한 사회(환경)심리학적 접근은 정책대안을 설정하는 데에도 이바지할 것이다. 연구지역으로는 대표적인 도시인 서울과 성장속도가 빨랐던 울산의 지역들을 각각 특성에 의해 유형별로 6 군데를 선정하였으며 추출된 표본은 총 572명에 달했다. 연구의 자료는 질문지, 직접 면담, 그림테스트, 寬容語, 주택선전용 소책자, 인지지도(Mental Maps), 語義 尺度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수집되었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頻度, 交叉分離, 距離集落,變異, 要因 分析 등의 계량적인 기법도 동원되었으나 이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직접 면담과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환경요소에 관한 주관적 의미를 해석하는 일에 중점이 주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체계 속에는 전통적인 환경관이 깊이 뿌리를 박고 있음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풍수지리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보이고 경제성장위주의 개발에서 탈피하여 환경과 더불은 삶의 조화를 모색하고 있다. 時間認知的 측면에서는 祖孫間의 一體에 관한 믿음을 근거로 하는 미래지향적 태도가 매우 강하다. 거주지에 대한 이미지를 보면, 도시지역에서의 '동네'는 '텃세공간'의 의미를 잃어가고 熟知하는 일상활동공간으로서의 의미가 부각된다. 그 범위의 결정인자는 집단의 동질성, 장소명, 자연지리적 경계, 인공구조물의 경계 등이다. 認知地圖上에 부각되는 주요공간요소는 물리적 형태와 특성을 반영하는 일종의 기억의 잔재(stereotype)로서 지역별로 크게 상이하며 형태상의 명료성, 실용성, 名聲, 美的 가치 등이 認知度를 높인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숙지하는 공간요소는 주민의 활동에 종속된다. 거주지의 공간선호와 욕구를 분석한 결과, 이상적 거주지의 공간적인 특성은 전통공간과 일맥상통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욕구는 현재의 도시거주환경에서부터 탈피를 내포하는 代案的 거주욕구를 반영하며 극심한 혼잡과 사회적 유대의 결여가 그 이유이다. 면담을 통해 주거와 관련된 공간요소의 주관적 의미를 파악했다. 전통공간요소의 중요성이 인식되었고 공간요소의 의미는 상징성과 실용적 가치가 일체화된 맥락속에서 이해될 수 있었다. 거주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은 사회공간적인 구조에 관한 이해, 미래의 기대수준, 내적욕구, 행동의 제약요소 등에 관한 종합적 사고의 결과라는 사실이 면담조사에 의해 밝혀졌다. 또한 문제의식은 단지 공간적인 것 뿐만 아니라 비공간적인 측면과 시간적 차원과의 연계 위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문제의식은 認知動態理論(Dissonanz-Theorie)의 가설과는 달리, 태도의 변화에 의해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해결되지 않는 한 상존한다. 지금까지의 국토 및 도시계획은 경제적 효율만을 중점적으로 강조하는 임시방편적, 적응적 성격을 갖는 반면, 심리적 차원과 생활의 질적 측면을 무시해 왔다. 삶의 공간으로서 도시거주환경의 불량은 단순히 사회비용의 증가를 통해 해결될 수 없고 국토전반에 걸친 정치적 권능 및 기능의 분산과 그에 따른 인구분산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제하에서만이 위에서 언급한 숨겨진 차원의 무시되는 환경심리적 가치가 주거환경계획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주민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생활의 질적 향상을 가져 올 것이다.

      • 시민의 문화적 권리와 아카이브

        김영란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4191

        본 논문은 1999년「공공기록물법」제정·공포 이후 오늘날 아카이브가 맞이한 새로운 국면에 주목하여 기존의 시민에 대한 관점과 시민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에 대해 재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즉 오늘날 중앙에서 지방으로, 공공영역에서 민간영역으로 외연을 확장하며 이전보다 더 많은 시민을 가까이에서 만나고, 그들의 삶과 맞닿으며 주요한 생활공간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 아카이브가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뿐만 아니라 자발적·주체적·창의적으로 기록활동을 펼치는 시민, 단체 등 각양각색의 시민을 마주해야 하는 즉 시민과의 관계 형성에 힘써야 하는 아카이브가 시민을 다르게 바라보고 새롭게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아카이브가 지향해야 할 시민에 대한 관점과 시민과 형성해야 할 관계의 상으로서 주권자 시민의 문화적 권리 개념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아카이브가 시민을 이용자라는 수동적 존재뿐만 아니라 주권자라는 능동적 행위자로서 바라보아야 함을, 시민과 제공자와 안내자라는 단편적 관계에서 벗어나 새롭게 관계를 맺어야 함을 제기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주권자 시민의 문화적 권리를 실현하는 공간으로 기능 및 서비스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향성 및 방안을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시론적 수준으로 모색 및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기조 아래 국내외 법령 및 선언을 토대로 주권자 시민의 문화적 권리 개념의 형성 및 전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노력, 그 종합적 정의와 특징 및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 관점에 입각하여 아카이브를 주권자 시민의 문화적 권리를 실현하는 공간으로서 정의하고, 그 모습을 문화적 기록공간이라는 용어로 개념화 및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지방아카이브를 중심으로 구현해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이에 법적·제도적 기반을 토대로 지속적·안정적으로 시민의 문화적 권리를 실현하고 있는 서울시가 설립 및 운영하는 서울기록원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문화적 기록공간으로서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서울기록원의 비전·정책, 서울기록화 사업,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분석하며 그 의의와 한계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아카이브가 문화적 기록공간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국내외 법령 및 선언 상 주권자 시민의 문화적 권리 개념을 명확히 인식 및 주체적으로 수용해야 함을, 이를 바탕으로 시민의 문화적 권리 개념과 이를 인정 및 보장하는 책무를 명문화하고 선언해야 함을,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지속적·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 및 운영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began with the need to reconsider the perspective of existing citizen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with citizens, paying attention to the new phase of the archive since the enactment and promulgation of the Public Records Act in 1999. In other words, the archives, which should expand from central to local, public to private, and meet more citizens closer than before, They must come into contact with their lives and establish themselves as a major living space, They say that not only citizens who use various types of records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archives, They say that archives that have to face various citizens, such as citizens, organizations, etc., who voluntarily, subjectively, and creatively record activities, should look at citizens differently and establish new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d the concept of cultural rights of sovereign citizens as an award for the perspective of citizens that the archive should aim for and the relationship that should be formed with citizens. Based on this, he suggested that the archive should see citizens not only as passive beings as users but also as active actors as sovereigns, and that a new relationship should be formed out of the fragmentary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providers, and guides. Ultimately, it argues that it should function and service as a space that realizes the cultural rights of sovereign citizens.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seek and suggest directions and measures to actually implement this at a poetic level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Under the above keynote,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cultural rights of sovereign citizen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laws and declarations, legal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realize them, and their comprehensive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addition,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archive was defined as a space that realizes the cultural rights of sovereign citizens, and its appearance was conceptualized and presented in the term cultural record space. And it raises the need to implement this centering on local archives. Accordingly, the Seoul Archive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continuously and stably realizes citizens' cultural rights based on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have been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cording space, the vision and policy of the Seoul Archives, the Seoul Recording Project, and the network program were analyzed to derive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based on them,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Based on this, the archive must clearly recognize and independently accept the concept of cultural rights of sovereign citizens under domestic and foreign laws and declarations in order to realize a cultural record space, Based on this, the concept of cultural rights of citizens and the responsibility to recognize and guarantee them must be stipulated and declared, It is suggested that an institutional found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to implement this in detail and to implement it continuously and stably.

      • 생태적 녹지운동단체에서 통합적 문화운동단체로 : ‘푸른길시민회의’에서 ‘(사)푸른길’로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이경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4191

        본 연구는 철도의 이설로 도시공간에 발생한 폐선부지를 푸른길공원으로 결정하도록 요구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푸른길공원을 완성하는 시민운동을 주도한 ‘푸른길운동’ 단체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도심의 철도가 폐선이 되고, 폐선부지가 녹지로 변화되는 공간의 사회질서와 합의된 사회적 의제를 살펴보며, 공간의 모습을 주도한 ‘푸른길운동’ 단체의 정체성 변화의 과정과 성격을 통해 조직의 정체성 변화가 갖는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정체성 변화의 과정은 ‘푸른길담론’의 형성 주체, 대립과정, 공간과 의제의 변화를 통해 고찰하였다. 1998년 도심철도의 폐선이 예상되는 가운데 광주시는 폐선부지의 활용방안을 경전철로 계획하고 이에 대응하여 광주환경운동연합과 지역주민, 전문가들은 푸른길로의 활용을 제안한다. 푸른길활용을 제안한 주체들은 광주시의 경전철 담론에 대응하기 위해 ‘푸른길시민회의’를 결성하고 사회운동의 다양한 전략을 통해 푸른길이 선택될 수 있도록 활동을 한다. 푸른길시민회의는 사회 담론으로써 푸른길을 확대하기 위해 주체별 활동을 전개한다. 주민들은 집회, 시위와 서명운동 등 집단행동을 통해 폐선부지의 경전철활용의 부당성을 알리고, 푸른길활용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한편,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시민사회단체와 공동으로 푸른길담론 확대를 위한 시민참여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함으로써 푸른길담론을 대중화시킨다. 또한 전문가들은 폐선부지 푸른길활용이 갖는 도시공간의 의미와 가치, 녹색교통의 필요성, 환경도시, 생태도시로의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푸른길담론의 전문성을 높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푸른길의 이미지들은 시민들이 쉽게 수용할 있게 대중화되어 푸른길담론은 확대되고 결국 광주시는 폐선부지의 푸른길활용을 수용하게 된다. 광주시에 의해 수용된 푸른길은 ‘푸른길공원’으로 제도화되며 공간의 제도화와 함께 푸른길운동의 주체들도 푸른길시민회의에서 푸른길운동본부로 조직을 확대, 재결성한다. 또한 푸른길운동본부는 광주시, 시민사회단체, 전문가들과 일상적이고 규칙적인 관계를 맺으며 시민운동의 제도화과정을 겪는다. 이후 푸른길운동본부는 푸른길100만그루헌수운동을 통해 도시공간에 대한 시민의 책임과 광주시와 파트너쉽을 갖게 되면서 정치적 위상을 강화하게 되며, 비엔날레 프로젝트 4와 푸른길기차의 운영경험은 녹지운동으로 전개된 푸른길운동이 문화운동으로 확대되는 계기가 된다. 또한 푸른길공원이라는 경계에 머무르지 않고 생태마을만들기, 문화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해 푸른길운동은 마을운동과 결합하게 되고 푸른길운동의 공간적 범위를 마을로 확대하게 된다. 푸른길운동본부의 푸른길100만그루 헌수운동과 마을운동, 주민운동, 문화운동의 경험은 푸른길공원의 조성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조직의 정체성과 푸른길운동의 원칙을 재수립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폐선부지 7.9km가 푸른길공원으로 조성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맞춰 푸른길운동본부는 (사)푸른길로 단체의 명칭을 변경하고 녹지운동에 기반한 문화운동단체로 정체성을 규정하게 된다. 푸른길운동은 폐선부지의 녹지조성을 요구하고, 푸른길공원 결정 후 푸른길100만그루 헌수운동을 통한 푸른길가꾸기활동이 전면에 부각되면서 표면적으로 녹지운동의 성격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푸른길운동은 행정에 의해 주어진 푸른길이 아닌, 시민에 의해 요구되고 제안되는 푸른길, 생태도시의 전화, 도시공간의 주체인 시민들의 도시공간의 변화에 참여 등을 통해 도시공간에 대한 가치 체계의 변화를 의식적으로 이끌어 왔다. 이는 푸른길운동이 궁극적으로 문화운동에 기반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폐선부지가 푸른길공원으로 결정되고 조성되는 14년의 기간 동안 민간단체는 푸른길시민회의에서 푸른길운동본부로 그리고 (사)푸른길로 단체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단체의 명칭은 푸른길운동의 정체성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정체성은 시대적, 공간적 조건과 연관되어 변화되었다. 푸른길운동이 정체성을 변화시키면서 스스로를 규정하며 강화시킬 수 있었던 것은 폐선부지에서 푸른길공원으로 변화되는 도시공간이라는 현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철도부지는 일상의 시민들의 삶이 공간과 구별되고 경계되어지면서 문화가 생성되고 발전할 수 없었던 반면, 폐선이 되고 만들어진 푸른길공원은 경계가 사라지고 일상의 삶이 소통되는 공간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도시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와 삶의 접목은 푸른길운동의 공간적, 정치적, 문화적 확대되는 바탕이 된다. 폐선부지가 푸른길공원으로 변화되는 과정은 광주시에 의해 주도되지만 푸른길공원의 정체성은 실제 현장에 참여한 다양한 주체들의 정체성이 반영되어 암묵적 합의가 만들어져 가고 있다. 본 논문은 도시공간의 변화와 푸른길운동을 펼치는 단체의 정체성 변화가 상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사)푸른길의 정체성과 담론의 변화가 도시공간이 갖고 있는 정체성을 변화시키고 발전시켜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께 하고 있으며, 도시공간과 단체의 정체성이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on the identity change of the ‘green way campaign’ group leading the activity to complete the green way park through the citizenry’s participation for deciding the land idle in the urban space caused by the relocation of the railroad as the green way park. The researcher aims to examine the social, cultural signification of the identity change of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 of the identity change of the ‘green way campaign’ group leading the space by examining the social subject which is agree on the social order of the space by the disconnected urban railroad and changed land idle. The process of this identity change will be considered through the main agent of formation of the ‘green way discourse’, the opponent-process, the change of the space and subject. When the disconnection of the urban railroad was expected in 1998, Gwangju planned the application of the land idle for the light railway transit, and the local resident, experts proposed the application plan which was respond to the green way to Gwangju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The main agents which proposed the practical use of green way organized the ‘green way citizenship’ for corresponding to the light railway transit discourse, and made it can be the green way through the various strategies of the social movement. The green way citizenship conducted the activity by the main agent for the expansion of the green way as the social discourse. The residents introduced the practical use of land idle and the iniquity of the light railway transit through the group activities such as the assembly, demonstration and signature-seeking campaign, and strengthened the legitimacy of the practical use of green way and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popularized the green way discourse by planning and execution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 for the green way discourse expansion jointly with the citizen association. In addition, the experts develop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green way discourse by suggesting the signification and value of urban space, the necessity of green traffic, environmental city, and the necessity of the conversion into the ecological city of the land idle practical use of green way through the discussion. Through this process, the images of the green way were popularized for the citizenry can accept easy, so Gwangju accepted the practical use of green way of the land idle. The green way accepted by Gwangju was institutionalized as the ‘green way park’, and the main agents of the green way campaign expanded and re-formed the organization from the green way citizenship into the green way campaign headquarters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pace. In addition, the green way campaign headquarters made the routine and regular relationships with Gwangju, citizen association and the experts for institutionalization. After that, the green way campaign headquarters had the responsibility of the citizen about the urban space and the partnership with Gwangju through the green way million trees planting campaign for strengthening the political phase, and the management of Biennale project 4 and the green way train became opportunity for the green way campaign as the green belt campaign can be expanded into the cultural movement. In addition, it was not limited for the boundary as the green way park but the green way campaign was combined with the campaign of village through the building eco-village, building culture village business, and the spatial scope of the green way campaign was expanded into the village. The green way million trees planting campaign and campaign of village by the green way campaign headquarters, the concerted action by the residents, and the experience of the cultural movement had process of the re-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principle of the green way campaign when the creation of the green way park completed. The green way campaign headquarters changed the name of the group into the green way corporation and regulated the identity into the cultural movement group based on the green belt campaign when the creation of 7.9km land idle completed into the green way park. The green way campaign demands the create green areas of the land idle, and all over the building activity of green way was magnified through the green way million trees planting campaign after determining the green way park, so the characteristic of the green belt campaign was magnified superficially. But the green way campaign has been leading the change of the value system about the urban space through the green way demanded and suggested by the citizen but the green way given by the administration, the ecological city, the citizenry’s participation to the change of the urban space as the main agent of the urban space etc. It showed that the green way campaign has been based on the cultural movement ultimately. For 14 years when the land idle was determined and created as the green way park, the private organization changed the name from the green way citizenship into the green way campaign headquarters and the green way corporation. The name of the group means the identity of the green way campaign, and this identity has changed by connecting to the temporal, spatial condition. The green way campaign regulated and enhanced itself by changing the identity and it shows that has the site as the urban space where changed from the land idle into the green way park. The railroad site changed into the space where the daily life can be communicated without the boundary because of that the daily life of the citizenry became distinguishable with the space in the boundary and the culture was created and developed. Through the interference and convergence of life of the citizenry about the urban space, the spatial, political, cultural expansion of the green way campaign can be possible. The process of the land idle change into the green way park was led by Gwangju, but the identity of the green way park reflected the identity of the various main agents by the participation in the actual field, so the tacit agreement was made.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the urban space and the change of the group identity which conducts the green way campaign. The discourse about the identity and change of the green way corporation takes the important role for changing and developing the identity of the urban space, and it shows that the identity of the urban space and group forms the interrelated close relationship.

      • 시민 주도적 참여를 통한 지역 문화예술공간 활성화 방안 : 대구예술발전소를 중심으로

        장태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67807

        The culture and arts space utilizing waste industrial facilities is a space that preserves the value of each industrial heritage, such as the historical context and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the local modern industrial heritage, while realizing the concept of new cultural production while making its functions sustainable as a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y. This is a different form from the existing concert hall and art museum, where artists become the main players to create a foundation for local art creation, expand cultural enjoyment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and experiment with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artists and local residents to practice the paradigm of regional regeneration through culture. However, as these spaces are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cultural policies and are carried out in a top-down manner of government-led government in terms of budget and operation, artists have only lived in a one-year residence, and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having governance opportunities, with little participation from local residents.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aim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utilization and the need for space revitalization by taking the initiative in the local culture and arts space.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was also conducted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Daegu Art Power Plant and expert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In response, the researchers organized the nature and role of the culture and arts space using the nation's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examined the need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industrial heritag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ltural and democratic ideology, and the new role as a community-based cultural and artistic space. In addition, the legal background for civic participation in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the concept of cultural governance, and its background were summarized to describe the structure and prospects of civic participation in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Among them, the Daegu Arts Power Plant was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and analyze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utline and the operation status and performance of the Daegu Arts Power Plant, which was transformed into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using Lunar New Year's Day in the event of the closure of the region, and interviewed officials and experts to draw up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Daegu Arts Power Plant. Daegu Art Power Plant, which is set to celebrate its 10th anniversary in 2023, was selected as a pilot project site for the 'Plan for the Creation of Culture and Arts Creation Belt Using Local Modern Industrial Heritage' in October 2008 and opened in March 2013 after remodeling in 2010. Under the mission of "Place of Cultural Platform for Citizens," the Daegu Art Power Plant has remodeled the annex warehouse of the early manufacturing window, which has the beauty of not only the Korean tobacco industry but also the overall industrial heritage, to create an art creation space in the underdeveloped old city center. As a result, the company has been expanding the infrastructure for experimental art creation an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both creative artists by preserving the local industrial heritage and supporting the creation of artist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sidency as well as urban regeneration. However, in order for the Daegu Art Power Plant to be sustainable as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in the region, a change in its operational structure is needed, and related policies are needed to become a space where local residents and citizens directly create and participate in culture, not a space where they enjoy culture temporarily. Accordingly, the researchers came up with various measures and new directions that could lead to citizen-led participation in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in areas such as the Daegu Arts Power Plant as follows: First, it proposed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Daegu Arts Power Plant. As a detailed measure, the cultural and artistic space was differentiated through the change of the operating entity, the re-establishment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Daegu Arts Power Plant,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the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were proposed. Second, it is to establish a policy of citizen-le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To this end, it wa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citizens' cultural governance capabilities and prepare a system for decision-making for citizens' participation. Third, the citizen-led particip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is Daegu Art Power Plant, it proposed a plan to participate in planning so that citizens can utilize the space with the main body instead of being requested by the operating body, and to develop a voluntary art network for citizens and a storytelling program for local industrial heritage. Fourth, he emphasized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Daegu Arts Power Plant.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so that the Daegu Arts Power Plant, which will soon mark the 10th anniversary of its opening, can operate with sustainability in the long term.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은 지역 근대산업유산의 역사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가치성 등 각각의 산업유산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보존하되, 문화예술시설로서 그 기능을 지속가능하게 만들면서 새로운 문화생산 개념을 실현하는 공간이다. 이는 기존의 공연장이나 미술관과는 다른 형태로, 예술가들이 주체가 되어 지역의 예술창작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주민의 문화향유기회를 확대하면서 예술가와 지역주민간의 참여와 협업을 실험함으로써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이라는 패러다임을 실천하는 곳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들이 대체로 중앙정부의 문화정책에 의해 주도되고, 예산과 운영에 있어서도 관 주도의 하향식(top-down)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예술가는 1년 단위의 레지던시로 기거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참여는 거의 주어지지 않는 등 거버넌스 기회를 갖기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은, 지역의 문화예술공간에 시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고 공간 활성화의 필요성을 살피면서 그에 따른 방안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사례연구와 실제 연구대상인 대구예술발전소 담당자 및 대구지역 문화예술분야 전문가와도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현재 우리나라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의 성격과 역할을 정리하고, 산업유산의 보존과 활용의 필요성, 문화민주주의 이념에 따른 공간 특성, 지역사회 기반 문화예술공간으로서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지역문화진흥에 따른 시민 참여가 이루어지기 위한 법적 배경과 문화거버넌스의 개념 및 그 배경을 정리하여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시민 참여의 구도와 전망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 가운데 대구예술발전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대구예술발전소가 지역의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으로서 탈바꿈하게 된 도시재생 사업개요와 대구예술발전소의 운영 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담당자 및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재 대구예술발전소의 쟁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23년 개관 10주년을 앞두고 있는 대구예술발전소는 2008년 10월 ‘지역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창작벨트 조성계획’의 시범사업대상지로 선정되어 2010년 리모델링 공사 후 2013년 3월에 개관하였다. ‘시민을 위한 문화플랫폼의 공간으로’라는 미션 아래 대구예술발전소는 우리나라 담배산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산업유산의 대표적인 공간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연초제조창 별관 창고를 리모델링하여 낙후된 구도심에 예술창조공간을 조성한 사례이다. 이로써 지역의 산업유산을 보존하고, 도시재생 효과는 물론 레지던시 운영을 통해 예술가의 창작을 지원하여 실험적 예술창작 인프라 확충과 창의적 작가 양성기반을 구축해왔다. 그러나 대구예술발전소가 지역의 문화예술공간으로서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운영구조의 변화가 필요하고, 일시적으로 문화를 향유하는 공간이 아닌 지속적인 연결과 함께 지역주민 및 시민이 직접 문화를 창조하고 참여하는 공간이 되기 위한 관련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대구예술발전소와 같은 지역의 문화예술공간의 활성화를 위해 시민 주도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과 새로운 방향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대구예술발전소의 운영 개선을 제안하였다. 그 세부 방안으로 운영주체 변화를 통한 문화예술 공간의 차별화, 대구예술발전소의 기능과 역할의 재정립, 전문인력 양성 및 조직운영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의 시민 주도적 참여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민의 문화거버넌스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시민 참여 의사 결정 체계를 마련할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시민 주도 참여 프로그램 개발이 되어야한다. 시민이 대구예술발전소를 통해 문화예술활동을 할 때 운영주체로부터 요청받는 것이 아닌, 주체성을 가지고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에 참여하고, 시민 자발적 예술네트워크 형성과 지역 산업유산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개발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넷째, 대구예술발전소 중장기 발전 방안 수립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곧 개관 10주년을 맞이하는 대구예술발전소가 장기적으로 지속성을 가지고 운영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발전 방안 수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역설적 공간으로써 퀴어문화축제 장

        정희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67791

        본 연구는 퀴어문화축제와 반퀴어 세력 그리고 공공기관의 관계를 분석하여, 역설적 공간으로써 퀴어문화축제 장이 가지는 복잡한 의미를 탐문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퀴어문화축제 장이라 함은 퀴어문화축제와 축제를 반대하는 반퀴어 세력 그리고 이 두 집단 사이를 중재하는 공공기관을 세 축으로 하여, 이들이 구성하는 물리적 공간과 담론적 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가 퀴어문화축제 장이라는 개념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퀴어문화축제와 반퀴어 세력, 공공기관이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간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퀴어문화축제와 반퀴어 세력 그리고 공공기관은 각각 서울광장과 대한문, 그리고 그 일대를 아우르는 넓은 범위의 공간에서 각기 다른 목적과 방식으로 공간을 이용한다. 이 때 공간을 이용하는 방식은 물리적 공간을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물리적 공간에 특정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화 방식으로도 이루어진다. 역설적 공간이란 상호 배타적으로 보이는 공간이 실제적으로는 동시에 점유되어질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이는 공간의 의미를 설명함에 있어, 이차원적 공간 인식에서는 포착할 수 없는 복잡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퀴어문화축제 장을 역설적 공간으로 분석한다는 것은, 퀴어문화축제 장을 구성하는 각 주체들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들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공간의 복잡한 의미를 탐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퀴어문화축제와 반퀴어 세력, 공공기관이 구획하는 경계와 영역, 그리고 퀴어문화축제 장의 핵심 장소인 서울광장이 가지는 상징성을 통해 역설적 공간으로써 퀴어문화축제 장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했다. 퀴어문화축제는 축제 참가자들의 안전과 소속감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광장에 경계와 영역을 구획한다. 반면 반퀴어 세력은 퀴어문화축제 개최를 막기 위해 대한민국 전체를 이성애규범적 공간으로 영역화한다. 이 두 집단 사이의 경계는 두 집단 사이의 충돌을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구획되는 공공기관의 경계 설정을 통해 더욱 명확해진다. 그러나 각 주체들이 설정하는 경계와 영역은 침입과 침투로 인해 불가능해진다. 각 주체들을 구분 짓고 분리시키기 위해 구획된 경계는 각 주체들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며, 분리된 영역을 하나의 의미로 묶어내는 역설적 효과를 낳는다. 또한 서울광장이 가지는 상징성은 시민권을 박탈당하지는 않지만 온전한 시민으로서 존재하기 힘든 퀴어의 역설적 위치성을 드러낸다. ‘시민의 공간’이라는 서울광장의 상징성은 퀴어문화축제가 서울광장에서 개최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이며 동시에 퀴어문화축제가 서울광장에서 개최되어야만 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서울광장의 상징성은 퀴어문화축제가 서울광장에서 개최되어서는 안 된다고 하는 반퀴어 세력의 주장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시민의 공간’이라는 서울광장의 상징성을 두고 두 집단의 의견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하는 서울시청은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에 판단의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 서울시청은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로 하여금 퀴어문화축제가 광장의 조성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심의하게 하여 중립적 위치를 고수하려 한다. 하지만 서울시청의 행정처리는 퀴어문화축제를 끊임없이 심의와 동의의 대상으로 만드는 것이며, 이는 끊임없이 존재를 의심받고 확인받는 퀴어의 위치성과도 연결된다. 본 연구는 역설적 공간으로써 퀴어문화축제 장이 가지는 다층적 의미를 분석하고, 이러한 다층적 의미가 개인들의 삶에 어떻게 기입되는지를 확인했다. 이로써 본 연구는 퀴어문화축제 장이 가지는 복잡한 관계와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간이 가지는 복잡한 의미가 담론적이고 해석적인 영역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실질적인 삶에 영향을 주는 근간이 됨을 논증했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e complex meaning of 'the field of the Korea Queer Culture Festival(KQCF)'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QCF, anti-queer group, and the public institutions(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police). Understanding the KQCF as 'the field' emphasize that the main agents of KQCF act in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lso, the concept of 'the field' makes us understand the space not only as the physical one but also as the discousive one where diverse meanings can conflict. Paradoxical space means the spaces which seem to be exclusive actually can be occupied at the same time. This explains the complex meaning of space which can not be captured in the dichotomous recognition of space. Using the concept of paradoxical space as the lens of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nts of the field of KQCF, and find the politicized, complex and paradoxical meaning of KQCF.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boundaries and territories constructed by each agent. KQCF organizes boundary and territory at the Seoul Plaza, where the festival takes place. By making boundary and territory around Seoul Plaza, KQCF tries to ensure the safety and sense of belonging to the festival participants. Anti-queer group doesn't make the rigid boundary around the Daehanmun where the anti-queer rally is held. Instead, anti-queer group territorializes the Seoul Plaza to make the whole space as heteronormative space. Public institutions construct the boundary between the KQCF and the anti-queer group to prevent the conflict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boundaries made by public institutions are subjective rather than objective. Also, the boundaries between the KQCF and anti-queer rally are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because of the infiltration or invasion of anti-queer folks. The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and territories reveal that the field of KQCF is not the exclusive space but complex overlapped space.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he symbolic meaning of Seoul Plaza. Seoul Plaza is one of the most symbolic places in South Korea. People think that the Seoul Plaza symbolizes the citizenship. The symbolic meaning of Seoul Plaza is the foundation of persistence for both KQCF and the anti-queer group. KQCF assert that the festival should be held in the Seoul Plaza because Seoul Plaza is the best place to show the existence of queer individuals. At the same time, anti-queer group insists that the KQCF should not be held in the Seoul Plaza because they think that the queer people are sexually and ethically corrupted beings. It means that the anti-queer group claims that the Seoul Plaza, a sacred citizen’s space, should not be spoiled by queers. This reminds us the incomplete and paradoxical position of queer individuals. Queer individuals have not deprived their citizenship because of their sexual orientations and/or gender identities. But queer individuals’citizenship is incomplete socially and culturally. The civil rights of queer people are always confirmed and suspected. The symbolic meaning of Seoul Plaza is connected to this incomplete and paradoxical position of queer individual. This study analyzed the multi-layered meaning of the field of KQCF as paradoxical space.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complex relationship and meaning of the field of the KQCF. Through this, this study argues that the meaning of space is not only the discursive one, but it is the important and actual foundation of people’s lives.

      • 서울 동북권 지역문화 활성화와 주민 참여를 위한 시민청의 역할 : 삼각산시민청 거버넌스 정책을 중심으로

        강서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3500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local residents’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governance for local culture vitalization, and to seek ways to enhance it. The research subject is Samgaksan Citizens Hall, and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hurdles of governance and to find ways to enhance it. The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studies on local culture policies, case studies looking at examples of governance for local culture vitalization, interviews with Citizens Hall staffs and surveys on local residents using Citizens Hall. Recently, ‘local culture’ has become an issue as a key agenda at home and abroad.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established in 2014, provided a policy mechanism to discover local culture based on the paradigm shift of local culture. As the awareness that local governments need to promote local culture vitalization policies based on cooperation with local residents and local culture conditions, 'governance' is becoming an essential element and is tried in various local culture vitalization-related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B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and outcomes of achieving governance is not yet eviden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obstacles that occur in the participatory process of local residents and to make efforts to solve them. Therefore, it is urgen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for achieving governance successfully as well as the necessity of it.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e Seoul Government established 'Samgaksan Citizens Hall', which represents the Northeastern region (Gangbuk-gu, Nowon-gu, Dobong-gu, Seongbuk-gu), which is relatively marginalized in terms of cultural policy, in line with the keynote of policy, 'Balanced Local Development through Realization of Local Culture Decentralization'. As the demand for citizens' expression rights and direct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creased steadily, a space for communication with citizens is made. Because the way in which citizens communicate between citizens or with government is not familiar to them, the Citizens Hall is utilized as a place to train governance through culture. Samgaksan Citizens Hall's governance currently consists of an advisory committee with advisory and approval roles, a joint operation group with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roles, and a citizen planning group with detailed program operation support roles. They encourage participation through governance in conjunction with the Grandma Fairy Tale Book, We like Samgaksan Citizens Hall in Saturday, Samgaksan Market, and so on. Based on these current states, this study reviewed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on 'local culture' and 'governanc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nd then conducted a visitor survey and interviews with the governance staffs to examine the status of Samgaksan Citizens Hall.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94 local residents using Citizens Hall. Two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Samgaksan Citizens Hall governance staffs. As a result, local residents who visited Samgaksan Citizens Hall had positive perception of Samgaksan Citizens Hall. They were highly willing to participate in governance.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governance was not high. The interviewed staffs emphasized the situation where residents do not understand governance well, and insisted that efforts are requir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nstant communication and find consensus in consideration of local residents' capacity gaps. 본 논문은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과정에서 주민 참여의 당위성과 효과를 살피면서 실질적으로 주민 참여에서 발생하는 장애 요소를 점검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삼각산시민청으로 한정하였으며, 이곳에서의 거버넌스 현황을 살펴보면서 장애 요소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 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지역문화 정책 관련 문헌 연구와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사례를 살펴보는 사례조사, 시민청을 이용하는 지역민 대상 설문조사와 시민청 업무 담당자 인터뷰 등으로 진행되었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지역문화’가 주요 키워드이자 의제로 쟁점이 되고 있다.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 제정을 통해 지역문화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를 기반으로 지역만의 고유문화를 지역 스스로 발굴할 수 있는 정책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주민과의 협력, 지역문화 여건에 따른 맞춤형 지역문화 활성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증가됨에 따라 각종 지역문화 활성화 관련 사업에서 ‘거버넌스’는 필수요소가 되고 있으며, 나름대로 거버넌스를 시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거버넌스를 이루기 위한 과정과 성과에 대한 효율성은 아직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 특히 주민 참여에 대한 과정에서 오는 장애 요소에 대한 인식과 주민의 거버넌스 이해도와 역량에 대한 파악은 현재 당면한 문제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거버넌스에 대한 당위성만이 아니라 이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한 구도를 세밀하게 살펴보는 일은 매우 절실하다. 이러한 구도에서 서울시는 ‘지역문화 분권 실현을 통한 지역 균형 발전’ 정책 기조에 맞춰, 상대적으로 문화 소외지역인 동북권(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성북구)을 대표하는 ‘삼각산시민청’을 설립하였다. 그동안 시민의 표현 권리와 직접 참여 기회 제공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증대됨에 따라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 것이다. 시민 간 또는 시민과 정부 간 의견을 교환하고 소통하는 방식에 익숙지 않다는 인식 아래, 문화를 통해 거버넌스를 훈련하는 곳으로 시민청을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삼각산시민청의 거버넌스는 자문 및 승인 역할의 운영자문위원회,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역할의 공동운영단, 프로그램 세부 운영지원 역할의 시민기획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찾아가는 시민청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할머니동화책, 토요일은 삼각산청이좋아, 삼각산살림장 등과 연계하여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와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관계를 살핀 후, 삼각산시민청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방문객 설문조사와 거버넌스 담당자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시민청 이용 시민 19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면담 조사는 삼각산시민청 거버넌스 담당자 2인과 두 차례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삼각산시민청을 방문하는 지역민은 삼각산시민청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거버넌스에 대한 참여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거버넌스의 이해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자 역시 주민이 거버넌스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을 강조하면서 지역주민의 역량 편차를 고려해야 하며, 끊임없이 소통할 기회를 제공하면서 합의점을 찾아가는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 활성화를 목표로 거버넌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삼각산시민청의 새로운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민이 거버넌스를 이해하고 참여 기회를 통해 자체 역량이 축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과보다 과정을 중요시하는 거버넌스인 만큼 눈에 띄는 결과보다는 지역민과의 협력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중시하면서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민은 지자체 정책을 견제하고 의견 제시 및 결정하는 역할도 담당하지만, 관이 생각하지 못하는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때도 있다. 이에 따라 이해관계자 간 조정과 협상을 위해서는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역민에게 주기적으로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지역 고유의 문화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삼각산시민청이 동북권에 생긴 이유는 지역적 간극을 해소하자는 의도가 있다는 점에서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지역의 고유문화 콘텐츠를 발굴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쿨이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류지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85871

        최근 복합문화공간은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융복합의 형태로 변모하였고, 특히 기업의 복합문화공간은 MZ세대를 중심으로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MZ세대의 소비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킴을 의미하며, 복합문화공간 브랜드의 소비자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현재 복합문화공간의 연구는 사례분석의 질적 연구가 주를 이루어 요인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이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제시 이론과 가치공동창출 이론을 중심으로 측정변수들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으며, 서비스 브랜드 관점으로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쿨이 브랜드 사랑, 자기-브랜드 연결, 브랜드 태도를 매개로 방문객의 고객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운영 중인 복합문화공간인 ‘하우스 도산(강남), 그라운드시소(서촌), 무신사 테라스(성수), LCDC 서울(성수)’ 4곳을 대상지로 하여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회수한 312부의 설문지 중 총 195부의 유효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8.0과 Smart PLS 4.0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기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고, 동일방법편의 검증을 통해 동일한 방법에 대한 측정의 오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복합문화공간 방문객의 자기-브랜드 연결과 옹호, 관용 행동,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 및 브랜드 태도와 피드백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모든 가설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쿨과 방문객의 피드백, 옹호, 도움, 관용의 고객시민행동간의 관계는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그 관계에서 브랜드 사랑과 자기-브랜드 연결, 브랜드 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학술적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쿨의 하위 요인을 도출하여 학제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사회적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기제시 이론의 관점에서 소비자 관점의 연구를 진행해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쿨이 소비자의 자기-브랜드 연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으며, 브랜드와 소비자의 연결 관계에 대한 효과성을 증명하였다. 셋째, 가치공동창출 이론을 기반으로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쿨과 피드백, 옹호, 도움, 관용의 고객시민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는 브랜드 쿨에 대한 소비자 행동의 범위를 확장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실무적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장기적인 소비자와의 관계 유지를 위해 복합문화공간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쿨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치 창출의 메커니즘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소비자의 호의적인 태도 형성을 위하여 복합문화공간만의 차별화된 특성으로 쿨의 요인을 강화한 브랜딩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복합문화공간의 경영 실무진 및 관리자는 복합문화공간의 서비스 개선 및 성과 향상을 위해 소비자와의 적극적인 상호 교류를 통해 공동의 가치를 창출할 필요성을 강조한 실무적 제언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효과적인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Recently, complex cultural spaces have transformed into new forms of convergence and hybridiz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consumer lifestyles. In particular,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brands by the Millennial and Generation Z (MZ) demographics. This signifies that the services provided by complex cultural spaces meet the consumption culture and identity needs of the MZ generation,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consumer marketing strategies for complex cultural space brands. However, current research on complex cultural spaces predominantly comprises qualitative case studies, with a scarcity of empirical studies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easured variables, focusing on self-presentation theory and value co-creation theory. It investigated how brand coolness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s influences visitor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mediators such as brand love, self-brand connection, and brand attitude from a service brand perspective. The study targeted four actively operated complex cultural spaces popular among the MZ generation: 'House Dosan (Gangnam), Ground Seesaw (Seochon), Musinsa Terrace (Seongsu), and LCDC Seoul (Seongsu).'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who had visited these locations, utilizing 195 valid responses out of 312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The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tested using SPSS 28.0 and Smart PLS 4.0, with hypotheses verified through the statistical progra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nalyzed using bootstrapping techniques, and the same method bias was assessed to analyze measurement errors from the same method. The study's findings indicate that, except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itors' self-brand connection and advocacy, tolerance behavior, brand attitude, and feedback, all other hypotheses had significant impacts.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coolness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s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s such as feedback, advocacy, helping, and tolerance were positively influenced, with mediating effects of brand love, self-brand connection, and brand attitude confirmed. The academic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dentified sub-factors of brand coolness in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s, providing interdisciplinary foundations. Second, it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impact of brand coolness on consumer self-brand conn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 presentation theory, elucidating the effectiveness of brand-consumer connections. Third,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coolness, feedback, advocacy, helping, and tolerance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s based on value co-creation theory, exten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consumer behavior concerning brand coolnes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maintain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complex cultural spaces should establish value creation mechanisms considering the coolness attributes identified in this study. Second, for fostering favorable consumer attitudes, branding strategies should enhance the cool factors with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unique to complex cultural spaces. Third, managers and administrators of complex cultural spaces are advised to emphasize active interactions with consumers to create mutual value for service improvemen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This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effective branding and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for complex cultural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