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김석일 중앙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체지방, 외모, 건강,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과 심리적 안녕감(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 환경지배력)이 성, 연령, 기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어떠한 인과관계를 나타내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참여자의 측정과정에서 특정의 병력이 있거나, 병인을 소유한 자는 대상에서 제외시켰으며, 연구에 참여한 이들 대부분은 중류층의 가정에서 양호한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이 기초조사 결과 밝혀졌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스포츠센타, 근린시설, 문화센타 등에서 운동하는 사람들을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6.38세 (SD = 10.55)로 나타났으며, 운동참여 기간에 따라 크게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단기=1년 미만; 장기=1-10년). 남자가 572명, 여자는 612명이었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376명, 30대가 349명, 40대가 459명으로 총 1184명이었다. 한국판 PSDQ 척도와 PWBS 척도에 대한 전반적인 윤곽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문항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질문지의 요인타당도와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일련의 통계절차에 따라 규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과 제언을 도출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 요인에 대한 성 x 연령 x 기간의 MANOVA 결과는 건강과 자기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건강의 사후검증 결과는 20대의 단기와 장기 집단은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을 높이 지각하고 있었으며, 30대의 단기집단은 여성이 남성들보다, 장기집단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40대 단기집단의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을 높이 지각하였다. 자기존중감의 사후검증 결과, 남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기존중감에 대한 지각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여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성 x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는 체지방, 건강, 신체활동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성 x 기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체지방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또한 남성, 20대, 장기집단이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높다는 프로파일을 보여주었다.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성 x 연령 x 기간의 MANOVA 결과는 ‘성’의 주효과는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에서 유의성이 나타났고, ‘연령’의 주효과는 개인적 성장에서, 그리고 ‘기간’의 주효과는 자아수용과 개인적 성장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사후검증 결과 성별에 따른 긍정적 대인관계의 개념은 여자가 높았고, 자율성은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개인적 성장의 개념은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참여기간에 따른 자아수용은 장기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개인적 성장은 단기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나아가,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단계적 판별분석은 자율성,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 환경지배력을 유의성 있게 구별해 주었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개인적 성장, 환경지배력, 자율성, 자아수용이 연령을 구별해 주었으며, 기간에 따라서는 개인적 성장, 자율성, 자아수용이 기간을 변별해 주었으며, 집단별 사례의 정확분류비율은 각각 57%, 47%, 71%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성, 연령, 기간에 따라 단계적 회귀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 연령, 기간에 따라 신체전반과 자기존중감은 자아수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30, 40대의 체지방, 건강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2. 성, 연령, 기간에 따라 자기존중감은 긍정적 대인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30대의 근력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3. 남녀와 30대, 40대, 그리고 장기집단은 모두 자기존중감과 신체전반이 삶의 목적에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20대의 건강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20대의 경우 자기존중감 다음으로 신체활동과 외모가 영향을 미쳤으며, 단기집단은 자기존중감 다음으로 지구력과 유연성이 삶의 목적에 영향을 미쳤다. 4. 40대를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자기존중감은 개인적 성장에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 남성은 건강과 근력에서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은 외모와 신체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0대는 건강과 외모가 영향을 미쳤으며, 단기집단은 외모 와 근력, 장기는 신체전반과 건강이 영향을 미쳤다. 5. 성, 연령, 기간에 따라 신체전반은 자율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단기집단은 유능감만이 자율성에 영향을 미쳤다. 6. 성, 기간의 모든 집단에서 자기존중감, 건강은 환경지배력에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의 유연성, 20대의 유능감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PSDQ의 자기존중감 요인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의 회귀식에 모두 투입됨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PSDQ-PWBS 모델의 통합적 경로분석은 양호한 회귀계수(P=.49)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성, 연령, 기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지각 정도에 따라 전반적인 심리적 안녕감의 가치를 다차원적으로 예측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신체개념의 하위요인들이 신체적 자기-개념을 결정하고, 신체적 자기-개념이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중재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운동참여 상황에서 신체활동과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대학 팀 스포츠 선수들의 정신력 조사와 정신력 훈련 프로그램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윤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roup contact sports and noncontact sports which were classified by Shurr & Ashly(1982) using Loehr(1982)''''''''s Mental Toughness Test based on the type of sports, compare the mental toughness of athletes in the university team sports, and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mental toughnes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factors(the recent records, level of technique and intensity of training).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pply Mental Training Program(MTP) for 8 weeks to the university team sports athletes,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satisf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male athletes who were studying in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s of 2004 were subjected as population for the experiment in <Research 1>. Subsequently,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Rugby, ice hockey, and volleyball, baseball were the items of the experiment as the contact sports, and noncontact sports. there were total 396 male athletes, from 4 universities playing Rugby, 5 universities playing ice hockey, 4 universities playing volleyball, and 4 universities playing baseball. In <Research 2>, the total 40 male athletes, 20 playing ice hockey and 20 playing basketball,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and 20 athletes were evenly designated to the MTP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TP applied for 8 weeks on the psychology of the athletes,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1(CSAI-2) was used which inspects cognitive anxiety, physical anxiety, state confidence, interpretation of the cognitive anxiety symptoms, and interpretation of the physical anxiety symptoms.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experiment and analysis of this study.The conclusions of <Research 1> were, first, the noncontact sports athletes were shown with higher self-confidence, arousal control, attention control, visualization and imagery control, motivation, positive energy and attitude control as sub-factors, than those of the contact sports athlet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ntal toughness of the athlet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mental toughness of the athletes based on the recent records, it was found out that the group which won a victory from the sports competition had higher all 7 sub-factors,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mental toughness of the athletes based on the intensity of train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hown in the motivation and attitude control. The athletes in a group who considered the training ''''''''very intensive'''''''' had the lowest motivation and attitude control.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mental toughness of the athletes based on the level of technique, the highest group had higher all 7 sub-factors,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The conclusions of <Research 2> were, first, in the MTP group that underwent mental training program for 8 weeks, the cognitive anxiety decreased in the post-experiment period. Meanwhile, the cognitive anxiety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Second, in the MTP group, physical anxiety decreased in the post-experiment period. Meanwhile, the physical anxiety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ird, in the MTP group, state confidence increased in the post-experiment period. Meanwhile, the state confidence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ourth, it was found out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cognitive anxiety symptoms of the MTP group changed positively in the post-experiment period. Meanwhile, the cognitive anxiety symptoms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lso the interpretation of the physical anxiety symptoms of the MTP group changed positively in the post-experiment period. Meanwhile, the physical anxiety symptoms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Loehr(1982)의 정신력 검사지(Mental Toughness Test)를 사용하여 Shurr & Ashly(1982)가 운동 유형에 따라 구분한 접촉 스포츠(contact sports)와 비접촉 스포츠(Non-contact sports)로 나누어서 대학 팀 스포츠 선수들의 정신력을 비교하고, 선수들의 배경변인(최근성적, 훈련강도, 기술수준)에 따라 정신력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대학 팀 선수들을 대상으로 8주간 정신력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1>에서는 2004년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인 팀 스포츠 남자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종목은 접촉 스포츠로는 아이스하키 5개, 럭비 4개, 비접촉 스포츠로는 야구 4개, 배구 4개 대학에 총 396명이다. 그리고 <연구 2>에서는 대학 팀 스포츠 남자 선수들 중 아이스하키 20명, 농구 20명으로 총 40명의 선수들 선정하여 정신력 훈련프로그램 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아이스하키 10명, 농구 10명) 할당하였다. 8주간 정신력 훈련 프로그램이 선수들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쟁불안검사지(CSAI-2 : 인지적 불안 강도, 신체적 불안 강도, 상태자신감, 인지적 불안 증상해석, 신체적 불안 증상해석)를 사용하였다.본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연구 1>의 결론은 첫째, 접촉 스포츠와 비접촉 스포츠 선수들의 정신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접촉 스포츠 선수들이 자신감, 각성수준, 주의조절, 시각 및 심상, 동기수준, 긍정적 에너지, 태도조절의 7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최근성적에 따른 분석 결과 7가지 모든 정신력 하위요인에서 우승한 집단이 다른 집단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훈련강도에 따른 결과 ‘동기수준’과 ‘태도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신의 팀 훈련강도가 ‘아주 강하다’라고 느끼는 선수 집단이 ‘동기수준’과 ‘태도조절’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수준에 따른 결과 7가지 모든 정신력 하위수준에서 상위기술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연구 2>의 결론은 첫째, 8주간 정신력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사후시기에서 인지적․신체적 불안 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은 사후시기에서 상태 자신감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은 사후시기에서 인지적․신체적 불안 증상 해석이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경쟁상태불안이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혜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프로 및 아마추어 남녀 댄스스포츠선수들의 경쟁불안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03년 4월 27일 제 3회 동아일보사 사장배 전국 댄스스포츠 선수권대회와 7월 13일 제 5회 에메랄드 볼 선수권대회에 참가한 프로 및 아마추어 남 · 여 댄스스포츠선수 232명을 대상으로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 얻었다. 1. 경쟁상태불안 요인 중 인지불안 정도는 프로선수보다는 아마추어선수가, 여자선수보다는 남자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수준간(프로, 아마추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2. 신체불안은 역시 인지불안 요인과 마찬가지로 프로 댄스스포츠 선수보다는 아마추어 댄스스포츠 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불안 요인과는 반대로 남자보다는 여자 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불안에서도 기능수준간(프로, 아마추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3. 자신감 요인에서는 프로선수가 아마추어선수보다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보다는 남자 선수가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수준(프로, 아마추어)과 성별에 따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4. 댄스스포츠선수들의 경력에 따른 경쟁상태불안 요인(인지불안, 신체불안, 자신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 중 인지불안과 신체불안 요인은 운동 경력이 낮을수록 인지불안과 신체불안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감 요인에서는 경력이 많을수록 자신감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itive anxiety factors of both amateur and professional male/ female dance sport player's competitive anxiety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32 amateur, professional male/female dance sport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3rd National Dance Sport Championship for the President's Medal of Dong-A Ilbo held in Apr 27, 2003 and the 5th Emerald Ball Championship Contest held in Apr 27, 2003. Based on the research procedure and data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1.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gnitive anxiety,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factors, was higher for amateur players and male players than it was for professional players and female player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functions (professional and amateur)(p<.05). 2.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hysical anxiety, like the cognitive anxiety factor, was higher for amateur dance sport players than it was for professional dance sport players. Unlike the cognitive anxiety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hysical anxiety was higher for female players than it was for male play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anxiety between the levels of functions(p<.05) 3.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elf-confidence was higher for professional dance sport players than it was for amateur dance sport players. A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elf-confidence was higher for male players than it was for female play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anxiety according to the level of functions and gender(p<.05). 4.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factors(cognitive anxiety, physical anxiety and self-confidence) according to dance sport players' career(p<.05). Among other things,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ir career of sports was,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was and the more career they had, the higher level of self-confidence they had.

      • 댄스스포츠 참가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천은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의 과정에서 매우 다양한 사회, 심리적 요인들이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댄스스포츠 참가와 주관적 행복감에 관계하는 여러 요인들의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을 기초로 연구 가설과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 변인으로는 배경변인으로 사회인구학적요인, 독립변인으로는 댄스스포츠 참가, 매개 변인으로는 자아효능감과 스트레스, 그리고 종속 변인으로는 주관적 행복감을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대전, 충청도 지역의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성인 202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비교 집단으로 댄스스포츠 비참가자 250명, 총 452명을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댄스스포츠 참가의 여부 즉, 댄스스포츠 참가와 여가활동 참가를 비교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댄스스포츠 참가가 배경적 특성 변인과 자아효능감,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이용한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적 특성 중 건강정도와 직업에 따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하고 직업이 낮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정도와 댄스스포츠 참가 기간이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댄스스포츠를 얼마나 심도 있게 참가하고 이를 좀더 긍정적으로 지각하느냐에 따라 높은 자아효능감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참가는 스트레스 통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건강정도와 참가 시간, 일반적 효능감, 사회적 효능감에 따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하고 참가 시간이 많을수록 일반적, 사회적 효능감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아졌다. 다섯째, 스트레스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는 주관적 행복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 결정요인이 되는 생활 경험을 통해 행복과 불행감에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다. 여섯째, 배경적 특성중 건강정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댄스스포츠 참가는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댄스스포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여전히 불건전한 오락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곱째, 댄스스포츠 참가는 자아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에는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자아효능감을 통하여 주관적 행복감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 댄스스포츠 참여 유무에 따른 인식과 가치관의 차이

        오수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 참여자들과 댄스스포츠를 접해보지 못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가치관을 알아보고 댄스스포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발전 방안 제시 및 많은 사람들의 적극적인 댄스스포츠 참여를 도모하여 인식 향상 및 가치관을 개선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인식과 가치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댄스스포츠 참여자들과 댄스스포츠 참여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목적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을 사용하여 32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수거된 320부의 설문지 중 연구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부적절한 설문지 23부를 제외하고 참여집단(participating group) 173명, 비참여집단(non-participating group) 124명, 총 29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Window용 SPSS 25.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 값의 유의 수준은 α= .05로 하였고, 유의 수준에 대한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가지고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댄스스포츠 인식, 가치관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댄스스포츠 참여 및 비참여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댄스스포츠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연령에 따른 자기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 참여 및 비참여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댄스스포츠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참여유무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3개의 하위요인(자기인식, 사회문화적인식, 가치인식) 모두 참여 집단의 평균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댄스스포츠 참여유무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참여 집단의 평균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values of participants in Dance Sports as well as the ordinary people who have no experience on Dance Sports, and suggest a development plan to positive recognition and values on Dance Sports and encourage more people to join Dance Sports by improving the recognition and values. With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and value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320 people by purposeful sampling among participants in Dance Sports as well as the ordinary persons who have no experience on Dance Sports living in Seoul. 297 questionnaires(173 from participation group and 124 from non-participating group) were used in the study and the other 23 questionnaires were deemed inappropriate for the study. Analysis of data collected was performed via SPSS 25.0 for Window. Specific statistics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al values was α=.05 and Scheffe analysis was conducted for follow-up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level. The study produced partially significant result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cognition and values on Dance Sports, based on the foregoing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group and non-participating group had an effect on recognition on Dance Spor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co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group and non-participating group had an effect on values on Dance Spor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Third,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by the participation status showed higher mean in participating group, but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3 sub-factors(self recognition, social-cultural recognition and values recognition). Fourth, the difference in the values by the participation status showed higher mean in participating group, but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 노인의 레져 스포츠 활동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최성애 경기대학교 1998 국내박사

        RANK : 248655

        최근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인 행복감과 생활만족에 대한 관심이 복지차원에서 집중되는 추세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노인의 레져 스포츠 활동 참여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노인의 행복추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노인의 레져 스포츠 활동 참여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변인을 설정하고 가설적 모형을 구성한 다음, 이들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을 모집단으로 하고 표집방식은 유층집락무선 표집법(stratified clus-terrandom sampling)으로 대상을 추출하였다. 레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남여노인 824명의 응답내용을 최종 원자료로 분석하였는데 참여대상의 연령은 60대 517명, 70대 297명, 80대 10명이었다. 본 연구의 설정된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은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관련요인의 차원에서 건강,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소득수준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은 스포츠 활동 참여여부와 참여정도이며 매개변인은 자긍심이고,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은 행복감의 정적정서와 부적정서 그리고 생활만족을 종속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설정된 가설의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자긍심, 정적, 부적정서, 생활 만족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긍심의 차이는 성별, 용돈만족, 교육수준, 건강만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나 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적정서의 차이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정적정서의 체험이 높고 용돈사용 및 건강 만족도가 클수록 정적정서의 느낌을 더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육수준과 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적정서는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높고, 용돈사용 만족과 배우자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교육수준과 건강만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만족의 차이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 보다 높고, 건강만족과 용돈만족이 클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참여 유무에 따른 자긍심, 주관적 안녕감(정적정서, 부적 정서, 생활만족)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스포츠 참여 노인이 비참여 노인보다 자긍심이 더 높고 주관적 안녕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참여정도가 자긍심, 주관적 안녕감(정적정서, 부적정서,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스포츠 참여정도 즉, 참여빈도, 참여지속시간, 참여기간의 자긍심 및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참여빈도만이 자긍심에 영향을 미칠 뿐 지속시간과 참여기간은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의 정서에 대한 영향력은 정적정서의 경우 참여빈도, 참여기간, 운동지속시간 순으로 영향력을 보인 반면, 부적정서에는 스포츠 참여 정도의 모든 변인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참여빈도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긍심은 주관적 안녕감(정적정서, 부적정서, 생활만족)에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자긍심(self-esteem)이 높을수록 정적정서를 많이 느끼고, 부적정서를 적게 느끼며 생활만족은 높게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참여정도와 자긍심, 주관적 안녕감(정적정서, 부적정서, 생활만족)간에는 부분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스포츠 참여정도는 자긍심과의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포츠 참여정도 중에서 참여빈도만이 주관적 안녕감의 생활만족과 정적정서에 인과관계가 있음을 보여준 반면, 참여기간과 참여지속시간은 정적정서에만 영향을 미칠 뿐, 부적정서와 생활만족에는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긍심과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게 나타남으로서 자긍심이 매개변인으로서 적절하게 작용하여 레져 스포츠 활동 참여정도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형성하며 또한, 스포츠 활동 참여정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간접적인 인과관계 측면에서 다소 다르지만 참여빈도가 참여지속시간과 참여기간에 비해 노인의 정적정서의 체험을 많이 갖게 하는 반면 부적 정서의 느낌을 적게하여 행복감을 높게 느끼게 하는데 영향력이 크며, 아울러 생환만족을 크게 갖도록 함으로서 주관적 안녕감을 높게 갖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간주된다. The subjective well-being is a person's own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 of how his/her life is go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sports activ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old. In particular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which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based on exploring self-esteem, happiness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participation style of leisure sports activity among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824 elder males and females who participate and not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they was selected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the elderly aged 65 or above who dwell in Kyonggi Do and Seoul. Th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in this study consisted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s happiness which emphasize the emotional component of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which emphasize cognitive judgments of life. The survey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self-esteem Scale(SES)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Yeong Suk-Youk(1994),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s(PANAS) developed by Watson, Clark & Tellgen(1988)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Ju Sung-Lee(1991), and the scal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ade by Choe-Sung Je(1986).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this study were ANCOVA,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d study were as the follows : First,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 males and females who participate and not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were partial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educational experience, satisfaction of spending money, satisfaction of health, spouse existence. Second,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 males and females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were higher than that of non-participant in leisure sports activity. Third,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 males and females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were partial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participation style of leisure sports activity such as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duration, participation time. Fourth, The higher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The higher presence of frequent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the lower relative absence of negative affect. Fifth, There existed partially significant casual relationship the participation style of leisure sports activity,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 males and females. In sum, participation of leisure sports activity for the old is a strong predictor of the subjective well-being, but based on weaker casual connection between participation style of leisure sports activity and the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The future research is a much needed complement to the antecedent study of leisure sports activity to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 빅데이터를 통해 본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의 향배

        구본재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4

        본 연구는 경기력 관련 뉴스에 나타나는 경기력 의제를 탐색하고, 탐색한 경기력 의제의 연도별 추이 특성 분석을 통해 경기력 논의 틀을 구축하며, 구축한 경기력 논의 틀로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 향배를 논의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 탐색, 경기력 의제 탐색, 경기력 논의 틀 구축 및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 향배의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성인 사이클 선수 8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귀납적 내용분석한 결과 사이클 경기력 심리요인은 정서 조절, 신뢰 자본, 인지 조절, 동기부여, 지도자 소통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종목의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과 맥을 같이하며, 운동 수행능력 중심적 접근으로 해석된다. 경기력 의제를 탐색하기 위해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경기력 관련 뉴스 88,354건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python을 활용한 LDA알고리즘 토픽모델링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경기력 의제는 경기력 발휘 결과, 인프라 조성 및 지원, 경기력 형성 과정, 도덕적 이슈, 사회적 환경 변화, 스포츠 가십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기력 의제를 통해 확인한 결과, 경기력과 선수 평가는 선수 내적자원과 외적환경의 상호작용 그리고 사회문화적 맥락의 반영되는 다각적 개념이다. 경기력 의제의 연도별 기사 비율 추이에 기반하여 경기력 논의 틀을 구축하고, 구축한 경기력 논의 틀을 통해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의 향배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력 의제의 연도별 기사 비율을 회귀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수준 충족 여부와 회귀식 기울기 방향에 따라 경기력 의제를 Hot, Warm, Cool, Cold 등으로 범주화 하였고, 범주별 특성을 통해 경기력 논의 틀을 지속 가능한 금메달의 가치, 도덕지능 및 평판의 강조, 기 구축된 스포츠 인프라의 활용, 첨단과학기술 도입과 스포츠 범주의 변화 등으로 구축하였다. 구축한 경기력 논의 틀로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의 향배를 일반지능 및 다중지능, 도덕지능, 성공지능, 인공지능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최근까지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은 운동 수행능력 강조 측면에서 일반지능 및 다중지능의 맥락으로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 결과나 현장 및 학계의 논의 방향을 감안하면 향후 사이클 경기력 영향 심리요인은 사회문화적 바람직성, 환경적 맥락 안에서 성공을 위한 방법적 지식, 첨단과학기술의 적용 및 활용과 스포츠 영역의 확장 등의 측면에서 도덕지능, 성공지능, 인공지능의 맥락으로 논의가 진행될 개연성이 있다. 본 연구가 스포츠심리학 연구에 빅데이터 도입을 위한 초석이 되고, 거시적 관점에서 사이클 경기력 이해 증진을 통해 사이클, 나아가 스포츠계의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erformance topics appearing in news on performance and to set up a performance discussion structure by assessing the annual transition of the explored performance topics, and lastly to discuss the tendency of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ycling performance through the discussion structure priorly set up.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 exploring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ycling performance - exploring performance topics - setting up the performance discussion structure - the tendency of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ycling performance.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ycling performance, an ope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82 adult cyclists, and Inductive Content Analyses conducted on the acquired data revealed the following psychological factors : Emotion control, Trust capital, Cognitive control, Motivation, Communications with the coach.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s of other sports and are interpreted as a sport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BIG KINDS was utilized to collect 88,354 news related to performance and to explore performance topi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ython, and the results were acquired through LDA algorithm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s showed performance topics to be : "Performance results", "Infrastructure composition and support", "Processes through which performances were formed", "Moral issues", "Changes in social issues", and "Sports Gossips". These performance topics are in line with the argument that performance and athlete evaluation are a multidimensional concept which incorporate sociocultural contex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n athlete's internal resources and his or her external environment. Based on the annual transition of articles on performance topics, a structure to discuss performance was set up and utilized to discuss the tendency of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ycling performance. To achieve this goal,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annual percentages of news on performance, an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meaningfulness and the inclination of the regression function, performance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Hot, Warm, Cool and Cold. Using these categories, performance discussion structures were set up into "Sustainable Value of gold medal", "Emphasis on moral intelligen-ce and reputation", "Utilizing Pre-existing sports infrastructure", "Introducing new technology and changes in sport categories". Based on the structures set up, tendencies of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ycling performance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general intelligence, multi-intelligence, moral intelligence, success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conclude, prior discussions on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ycling performance we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general intelligence and multi-intelligenc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discussion trends of the academic society and in the fields, it is expectable that future discussions regarding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ycling performance will b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 sociocultural acceptability, procedual knowledge to succeed within the environmental context,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technology, and moral intelligence, success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sports territories. It is looked forward that this study serves as a groundstone to introducing big data to the academic fields of sports psychology, and contributes to developments not only in cycling but also in sports by advancing the understanding of cycling performance.

      • 노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웰니스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신조황 경성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6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dentify the effect of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wellness and subjective happines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wellness and subjective happi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survey was conducted of 402 senior citizens over the age of sixty living in Busan and using the academy of continuing education, elderly school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t shows following results by analysing the data with SPSS/PC+ 14.0 Version and AMOS 5.0 program. 1)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ellness and subjective happiness in accordance with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lder women join sports leisure activities more often. On the other hand, elderly female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are likely to take part in non-sports leisure activities. Non-working elderly females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both sports leisure activities and non-sports activities than working elderly ones Men have more leisure time but spend less time in duration. Elderly men have frequent leisure activities and spend longer time on them. Also, Elderly males who have higher level of education use more time for leisure activities but spend less time in duration. Senior citizens with no spouses and no economic involvement tend to spend more time on leisure activities. They als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more often if they have enough allowance. I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wellness, women have higher intellectual and psychological health but they have lower social and emotional welfare. The older they grow, the higher they maintain physical ability but the lower they have social health. Elderly females possess higher state of social welfare if they hav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Spouseless seniors have higher intellectual welfare but lower social and emotional health than those who have spouses. Working males have higher social health than non-working ones. Also, elderly men with generous money have a higher state of social welfare.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happiness, seniors feel higher level of subject happiness if they are older, more educated and have more allowance. 2)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and wellness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have a partly meaningful influence on wellness. The elderly who spend considerable time on enjoying sports leisure activities have higher physical, intellectual,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welfare but seniors who participate in non-sports activities have higher intellectual health but lower physical one. Also, seniors who tend to spend leisure time often have higher intellectual,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longer they spend time on leisure activities, the more they are physically healthy. However, they have lower social health and high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f they spend more time on leisure activities. 3)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subjective happiness Subjective happiness increases if seniors frequently participate in sports leisure activities longer in duration 4) the wellness of senior citizens and subjective happiness Senior citizens having high physical,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wellness obtain more subjective happiness. 5)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ellness and subjective happiness There is interrelative association among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ellness and subjective happiness. Seniors who join sports leisure activities are more likely to have healthy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ness, which leads to increase subjective happiness. Also, the more frequent users of leisure time have healthy state of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ness and feel higher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웰니스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평생교육원, 노인학교,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PC+ 14.0 Version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참여, 웰니스, 주관적 행복감에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참여는 여자가 연령이 높을수록, 스포츠형 여가활동에 학력이 높을수록, 비스포츠형 여가활동에 많이 참가하였고, 경제활동 비참여가 참여 보다 스포츠형과 비스포츠형 여가활동 모두에 많이 참가하였다. 남자는 여가활동 시간이 길었고 여가활동 기간은 짧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여가활동 빈도가 높았고 기간이 길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여가활동 시간은 길었고 기간이 짧았다. 배우자가 없는 노인과 경제활동 비참여가 여가활동 기간이 길었으며, 용돈이 많을수록 여가활동 시간이 길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웰니스는 여자가 지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이 높았고 사회적 건강과 정서적 건강이 낮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이 높았고 사회적 건강이 낮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건강이 높았다.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배우자가 있는 노인보다 지적 건강이 높았고 사회적 건강과 정서적 건강이 낮았다. 경제활동 참여가 비참여 보다 사회적 건강이 높았으며, 용돈이 많을수록 사회적 건강이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연령이 많고 학력이 높으며 용돈이 많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은 높았다. 2)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웰니스에서 여가활동참여는 웰니스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스포츠형 여가활동에 많이 참가할수록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이 높았고, 비스포츠형 여가활동에 많이 참가할수록 지적 건강이 높았으나 신체적 건강이 낮았다. 또한, 여가활동 빈도가 높을수록 지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이 높았고, 여가활동 시간이 길수록 신체적 건강이 높았다. 여가활동 기간은 길수록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이 높았으나 사회적 건강이 낮았다. 3)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주관적 행복감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포츠형 여가활동에 많이 참가할수록, 여가활동 빈도가 높았고 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다. 4) 노인의 웰니스와 주관적 행복감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다. 5)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웰니스 및 주관적 행복감에서 여가활동참여, 웰니스, 주관적 행복감은 인과적 관계가 있었으며 스포츠형 여가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건강의 웰니스 지수가 증가되었고, 여가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정신적, 지적 건강의 웰니스 지수가 높아져 주관적 행복감이 높아졌다.

      • 축구 팀 감독에 대한 신뢰와 성적과의 관계

        김흥만 연세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ach and team performance of High school soccer team. Research questions were (a) are there differences in trust for their coaches between successful and less successful teams? (b) Are there differences in trust constructs such as ability, benevolence, and integrity? This study utilized a survey developed by Mayer and Davis (1999) which was used when they examine the employee trust for top management. 256 soccer players completed a survey of trust for their coach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rust in their coach has a effect on team performance. Successful team revealed high level trust for their coaches. Specifically, successful team showed high level of trust in coaches'' ability and integrity dimension, but low in benevolence dimen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initial evidence that trust in coach is critical to team effectiveness in High School soccer games.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상황에서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조직행동에서 나타난 신뢰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스포츠에서 상위팀과 하위팀 지도자에 대한 신뢰 및 신뢰형성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두 가지 연구과제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1. 상위팀과 하위팀간에 지도자에 대한 신뢰에 차이가 있는가? 2. 상위팀과 하위팀간에 신뢰형성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258명의 고등학교 축구 선수 들을 대상으로 Mayer 와 Davis(1999)가 개발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감독에 대한 신롸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팀 선수 들은 하위팀 선수들보다 감독에 대한 높은 신뢰를 나타냈다. 신뢰의 구성 요인 중 상위팀 선수들은 하위 팀 선수들보다 감독의 능력과 도덕성 요인을 중요하다고 믿었다. 하위 팀 선수들에게 감독의 인간미는 중요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포츠 영역에서 자주 언급 되었던 감독에 대한 신뢰와 팀 성적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 운동선수들의 스포츠 정신력 분석 : A Case of Korean Athletes

        김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mensions of sport mental power, 'chung-sinn-ryuk,' among athletes in Korea. A total of 160 players (104 males and 56 females) in track and field, swimming, basketball, soccer, and baseball responded to open-ended questions designed to assess dimensions of mental power. Athletes reported their experiences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felt before, during, and after competition to maintain and/or enhance their mental power.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lements of sport mental power. Specifically, 1650 meaningful responses were categorized into higher-order themes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resulting in 6 major dimensions. They include (a) yearning to win, (b) self-control, (c) self-confidence, (d) fighting instinct and perseverance, (e) psych-up, and (f) concentration. The dimension of yearning to win was most frequently reported by the players (38.30%), followed by self-control (18.30%), self-confidence (9.58%), and fighting instinct and perseverance (13.82%). For example, self-control and self-confidence were more frequently reported before competition than other times. Fighting instinct and perseverance and psych-up were more salient during competition, especially right before competition ends. These findings (a) suggest that sport mental power represents both mental energy and technique that help players achieve athletic excellence, and (b) demonstrated that the culturally-unique concept of mental power can be developed and serve as the knowledge base for culturally appropriate mental train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