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보안 관리 지표에 관한 연구

        김태준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보안 표준이 없기 때문에 실제 사례 중심으로 발표된 한국인터넷 진흥원의 스마트 공장 중요정보 유출방지 가이드와 국제 표준규격인 ISO/IEC27001의 통제항목에 개선 지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추후 스마트팩토리의 ISO/IEC27001 인증 시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미 ISO/IEC27001 인증을 받은 조직의 경우 쉽게 적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지표 개선안을 통해 이미 구축되어 있는 스마트팩토리의 보안 수준 향상 또는 신규 구축될 스마트팩토리의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SO/IEC27001 및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스마트공장 중요 정보 유출 가이드”를 기반으로 한 개선 보안 관리 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도출 된 개선 사항을 기반으로 보안 전문가를 대상으로 적합성 유무를 판단하고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팩토리 보안 관리 지표로 신규로 수립 된 16개 통제항목 등 126개의 항목에 대해 적합성 검증 결과 정보자산분류, 물리적 보안, 접근통제, 운영보안, 침해사고 관리 등 전체 항목에 대하여 매우 적합 및 적합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검증된 126개 통제항목을 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서 정보보호 관리 지표로 적용하게 될 경우 보다 안전한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UTAUT 확장 적용을 통한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정상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업 혁신을 통한 제조 경쟁력 강화는 각국의 국가적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소 제조기업 혁신의 방향으로 정부주도의 스마트팩토리 보급⋅확산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 공장의 스마트화 즉,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하여 스마트한 관찰능력과 제어 능력을 갖춰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맞춤형 고객 서비스 등 새로운 가치를 창출코자 하는 것이 스마트팩토리 보급⋅확산 노력의 취지이다. 2014년도부터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해온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화는 10인 이상 중소기업 약 30%에 해당하는 19,779사가 도입하고 있으나 도입기업의 약 75%가 중소기업의 정보화 일환으로 추진되어온 MES, ERP, SCM 등 공정 소프트웨어인 솔루션 도입에 그침으로써 스마트화 수준은 기초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진정한 스마트팩토리화를 통한 지능형, 자율형 공장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기초단계에서 상위단계로의 질적 고도화가 당면과제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미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Venkatesh et al.(2016)의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확장을 위한 기본틀’을 이론적 참고모델로 하여 연구자의 연구주제에 맞는 정보통신 신기술 수용의도에 대한 외생 영향요인을 추가하였다. 즉, Venkatesh et al. (2003)의 ‘통합기술수용이론’에서 정보기술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변수로 검증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외에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를 위한 ‘정부지원’과 중소기업 특성 요인으로서의 ‘경영자(CEO) 의지’, ‘재정능력’을 추가하여 고도화 수용의도에 대한 인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급사의 낮은 기술력이 수요기업의 스마트화 수준 고도화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공급사 기술력’을 독립변수로 추가하였다. 그리고 Venkatesh et al.(2011)의 ‘2단계 정보시스템 지속사용모델’에서 ‘만족도’가 정보시스템의 지속사용의도에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이 확인된 것을 토대로 ‘사용자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중소 제조기업의 정보화 실태조사(중소벤처기업부, 2018) 경험이 있는 조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였으며, 사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 일부를 조정한 후 온라인 조사방식을 통해 결측치 없이 총 390부를 회수하였다. 이를 SPSS 23을 이용하여 기업특성 빈도분석, 기술 통계량,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측정모델의 타당성과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 제안모델을 확정하고 연구가설의 경로분석과 사용자 만족도의 매개효과, 정부지원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정부지원, 경영자의 의지는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고도화 수용의도에 마이너스 회귀계수를 나타내어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며, 사회적 영향 역시 고도화 수용의도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고도화를 위한 정부지원, 경영자의 의지, 재정능력, 사용자 만족도는 고도화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팩토리 공급사의 낮은 기술력은 수요기업의 고도화 수용의도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자 만족도는 스마트팩토리 신기술 도입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정부지원, 경영자 의지와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수용의도 간에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정부지원 유형(정부지원형, 민간기업형)이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논문의 의의와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연구의 의의는 중소 제조기업이 당면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주 52시간 근무, 최저임금의 상승 등 경영여건 악화에 대비하고 제조 경쟁력 강화의 핵심요건인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Venkatesh et al(2003)의 통합기술수용이론을 확장 적용하여 기존 통합기술수용이론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외에 정부지원, 경영자 의지, 재정능력, 공급사 기술력을 새로운 독립변수로 추가하여 고도화 수용의도와의 인과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Venkatesh et al(2011)의 2단계 정보시스템 지속사용 모델에서의 사용자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은 고도화 수용의도에 직접적으로는 유의한 영향이 없으며, 이들 요인들은 사용자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고도화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공정 및 경영개선 성과에 대한 사내외 홍보와 신기술에 대한 충분한 교육기회 제공 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스마트팩토리 고도화를 위한 최고 경영자의 의지와 정부지원이 고도화에 가장 큰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스마트팩토리 공급사의 낮은 기술력이 수요기업 고도화의 장애요인중의 하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팩토리 수요기업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공급사의 기술력 향상 방안이 병행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스마트팩토리 보안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김병훈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4차 산업의 핵심인 사물인터넷(IoT)기술, 빅데이터 분석 기술, 클라우드 기술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에 제조 기술을 융합하여 생산 효율성을 최대화 시키는 스마트팩토리 산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팩토리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식별된 보안 위협을 대응하기 위한 보안 요구사항 및 보안 관리체계를 제시한다. 첨단 ICT 기술을 사용하는 스마트팩토리에서 공정 노하우, 제품 설계도, 영업비밀, 분석 자료, 연구개발 보고서 등 기업의 중요정보가 반드시 활용된다. 스마트팩토리에서 기업의 중요정보 보호를 위해 ICT 기술 도입 시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에 대해 인지해야 한다. 그러므로 스마트팩토리에서 중요정보 보호를 위한 정책 수립과 중요정보의 등급에 따른 보안 위협과 취약성 분석, 보안 감사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이다. 본 연구는 국제 표준인 IEC 62443과 국내 표준인 ISMS-P, KISA 스마트공장 중요정보 유출방지 가이드의 내용을 융합, 보완하여 스마트팩토리 보안 관리체계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보안 관리체계를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작성한 보안 관리체계가 스마트팩토리 보안에 참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생산시스템의 효율적 설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D社를 중심으로

        남석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8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machine tools, which are key elements in the field of machining, has grown remarkab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machines. As the performance and functions of machine tools develop rapidly, innovative changes are also being made in cutting tools that are incorporated as essential item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se processing machines, ancillary fields develop, and the information chang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field of machining manufacturing creates the 4th industry based on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leading to the Smart Factory, which is called the revolution in the manufacturing field, was created. Germany started by making the foundation, Japan in 2013, and Korea in 2010 can be said to be the first year. The smart factory production system is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e extent that the mechanical processing sector is the flower of the smart factory among the manufacturing sectors.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developments in machine tools and partial improvements or innovations in manufacturing methods, but there has been no change that completely changes the manufacturing production system. Company D has been operating a revolutionary manufacturing production system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duction system by incorporating the smart factory production system three years prior to the first year of Korea's smart factory (2010). One of the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smart factory production system machining manufacturing sector contributes to productivity, cost reduction and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mong these changes, the one that has an absolute impact on productivity is the efficiency of equipment.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facilities is greatly affect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Comparing the output in the existing production system with the output in the smart factory production system, the productivity is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and what accompanies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cost. On the other hand, when adequate machining efficiency is maintained, sufficient productivity is achieved, but when machine operation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machine failure or other reasons,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a cost increase factor. It is a smart factory production system, so it can be said to be a double-edged sword. . However, it is not easy to deploy and operate dedicated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personnel like large corpor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due to the size and content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e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lso introduce a smart factory production system,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should be operated as an essential management item, not work management by personnel (people). The production system changes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the management conscious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faces the realistic point that cannot be easily changed, and proposes a facility management plan for the smart factory production system through case analysis of company D.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지금까지 산업기계의 발달과 더불어 기계가공 분야에도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 공작기계의 발전이 눈부시게 성장해 왔다. 공작기계의 성능과 기능들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필수적인 사항으로 접목되는 절삭공구도 함께 혁신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공기계의 발전과 함께 부수적인 분야가 발전하면서 기계가공 제조분야에 제조공정의 정보화 변화가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를 기반으로 4차 산업을 이루어 내면서 제조분야의 혁명이라고 하는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독일이 기초를 만들어 시작이 되었고, 일본은 2013년, 한국은 2010년이 원년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팩토리 생산시스템은 제조분야 중에서도 기계가공부문이 스마트팩토리의 꽃이라 할 정도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 생각한다. 그동안 공작기계의 발전이나 제조방법의 부분적 개선이나 혁신들은 있어 왔지만, 제조생산시스템을 완전히 바꿔놓는 변화는 없었다. D사는 한국의 스마트팩토리 원년(2010년)보다 3년 앞서 스마트팩토리 생산시스템을 접목해오면서 기존의 생산시스템과는 완전히 다른 혁명적인 제조생산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생산시스템 기계가공 제조분야에 혁명적인 변화 중의 하나가 생산성과 원가절감 및 작업환경의 변화에 기여한다. 이러한 변화들 중에 생산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설비의 효율성이다. 생산설비의 효율은 설비관리 방법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기존의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량과 스마트팩토리 생산시스템에서의 생산량을 대비하면 약 3배가 넘게 생산성이 나타나며 생산성 향상과 함께 수반되는 것이 제조원가와 직결된다. 반면, 적정한 기계가공 효율을 유지할 때에는 충분한 생산성을 이루어 가지만, 기계고장이나 기타 사유로 기계가동효율이 낮아지면 오히려 원가상승 요인이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스마트팩토리 생산시스템이므로 양날의 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규모나 내용상 설비관리 효율화를 위하여 대기업처럼 설비보전관리 전담요원을 배치해서 운용하기가 쉬운 것은 아니다. 중소기업도 스마트팩토리 생산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인원(사람)에 의한 작업관리가 아니라, 설비관리의 효율화가 필수적인 관리항목으로 운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생산시스템은 4차 산업혁명으로 바뀌는데 제조 산업에 대한 관리의식은 쉽게 바꾸지 못하는 현실적인 점을 직시하고 D사의 사례 분석을 통한 스마트팩토리 생산시스템의 설비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NFC를 활용한 압출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현 연구

        임동진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제조업의 이슈 중 하나인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전 과정을 자동화•지능화하여, 최소의 비용 및 시간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미래형 공장이다. 공장 내 설비와 기계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수집•분석되어 공장 내 모든 상황들이 일목요연하게 보여지고, 이를 분석해 목적된 바에 따라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공장이다. 프로세스 산업군에 속하는 압출 산업에서도 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프로세스 산업군의 제품 특징은 대체적으로 대형화, 비정형화, 연속화된 생산공정을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압출회사인 K사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를 살펴본다. 먼저 스마트팩토리의 전체 구조와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제품코드체계 설계 및 구현, NFC를 통한 생산 실적자료 입력 방법 설계 및 구현, 외부 서버데이터를 활용한 EXCEL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 방법 구현 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통하여 사례기업은 업무처리 시간단축이라는 유의한 결과를 얻었고 결론적으로 업무 편리성이 증가되는 결론을 얻었다.

      • 대·중소 상생형 지원사업을 통한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대한 영향 평가 연구

        서홍일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스마트팩토리는 전통적인 제조기업의 노동집약적인 시대에서 자동화 시대를 거쳐 ICT를 활용한 CPS까지 결점을 줄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시스템이다. 스마트팩토리는 어느 일부만 완성이 된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닌 공장 내 모든 시설의 H/W 부분과 이를 오차 없이 가동하고 운영할 수 있는 S/W가 서로 유기적 관계를 유지해야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부지원정책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과 정부의지에 따라 지원 사업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 패밀리혁신활동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는 모기업과 모기업의 협력회사가 동반 성장 할 수 있는 어떠한 요인들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훈련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 중소기업 스스로 유지관리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양성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넷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그리고 교육훈련이 스마트팩토리와 경영성과 관계에서 매개효과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 하였다. 스마트팩토리 성공 구축요인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교육훈련 그리고 스마트팩토리 구축 기대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패밀리혁신활동에 참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메일로 설문을 발송한 후 표본 집단의 설문을 회수하여 정리를 하였고, 설문결과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이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그리고 교육훈련이 경영성과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영성과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매개효과인 스마트팩토리도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팩토리 구축지원 사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및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팩토리 확산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사업이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대기업의 스마트 제조기술 혁신 노하우를 공유하고 정부와 대기업이 함께 구축 비용을 지원하여 중소기업이 실질적인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업이므로 중소기업에서 많은 참여가 필요해 보인다. 연구의 한계점은 패밀리혁신활동은 모기업과 모기업의 협력사를 같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혁신활동이지만 아직까지 패밀리혁신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이 많지 않아 조사표본의 수가 충분하지 못해 심층적인 분석을 하지 못했다. 일부 중소기업은 스마트팩토리 도입은 시스템과 자동화가 우선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제조현장 기본 갖추기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인식시켜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른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사업의 중소기업 경영성과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를 통해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정부의 지원정책과 대기업의 상생경영 그리고 지속적인 인력양성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향후에는 스마트팩토리를 도입을 했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실패한 원인이 무엇이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의 무엇인지를 좀 더 집중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한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

        서창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th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perfectly fused has begun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enterprise optimization with the networking of whole industrial equipment and production processes. And also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es can be optimized efficiently and upgraded with a new dimension of flexibility and performance due to the transition to Smart Factory that the factory can manage its production, process control, process repair, work safety, etc. Although, many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Internet of things(IOT), Big Data, Cloud Computing, Wearable Computer, 3D printers, virtual reality equipment to support the Smart Factory, there is no suitable case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so far. So It is difficult to fully determine the concept of Smart Factory even though factory automation systems and various sensors have been supporting the industry, and it can be seen at introduction stage. Although Smart Factory requires a lot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systems, it can be considered as the main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f Smart Factory combined with the ICT and manufacturing industry, it can be a standard, autom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lso the expected change will bring to the consumer customized logistics process innovation. In this paper, a construction case of Smart Factory for an enterprise that is a precision processing company is introduced. The established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hop Floor) / POP(Point of Production) systems solved relating to all of the aforementioned requests and responds effectively, and it was showed visible results such as reduction of production time and defect rate, even though it is early stage of the Smart Factory. From these results, the concepts of Smart Factory can be seen quite positive to manufacturing enterprises.

      •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 및 경영성과 연구

        김기원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9년 11월 중국에서 최초 보고된 COVID-19는 사회의 변화뿐 아니라 제조업의 제조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 이후를 대비하는 기업들 사이에서 사무실 또는 생산 현장에서 비대면이라는 새로운 작업환경의 확산이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구축에 관한 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빅데이터, AI, 로보틱스, IOT, 사이버 물리 시스템 등을 활용해 생산공정 또는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더 효율적인 작업환경 구축하려는 노력이 잇따르고 있다. 5G 인터넷, 모바일 등 4차산업을 연결하는 핵심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서 스마트팩토리는 산업 간의 융합과 생산성에서 그만큼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기업과 도입하지 않은 기업과의 생산성의 격차도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혁신이 필요하며, 혁신은 4차 산업혁명을 통한 빠른 스마트팩토리 도입과 적용이라 하겠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인력, 자금, 설비, 인식 부족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대한 선행연구와 경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및 적용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 도입이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도출하여 중소기업에서 빠른 스마트팩토리 도입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서는 첫째, 기업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즉 기업에 적합한 목표을 설정하고 그 목표 달성을 위하여 미진한 부분 및 부족한 부분을 검토한 후에 그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보다 확실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둘째, CEO의 의지가 중요하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은 근로자로서는 새로운 업무이며, 구축하는 동안의 업무의 과중이 생기기 마련이다. 따라서 CEO는 스마트팩토리가 회사가 나아갈 방향이란 공감대를 모든 근로자와 공유하고 이끌어 나갈 의지가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팩토리 도입은 속도전, 장기전으로 가야 한다. 스마트팩토리는 2014년 시범 사업을 시작한 이후 2022년까지 3만 개의 보급을 목표로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지만 도입에 실패한 기업도 많이 생기고 있다. 이는 스마트팩토리 구축할 때 회사의 사정을 인식하지 못하고 과도하게 설계하여 구축에 오랜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구축 이후에는 시스템의 불안정, 운영인력의 부족, 시스템에 대한 교육 부재, 적용의 어려움 등이 생길 수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교육, 개선, 인력 수급 등으로 개선하여 나아가야 성공할 수 있다. 넷째, 스마트팩토리는 단계별로 구축을 목표로 하여야 한다. 기초단계의 스마트팩토리는 모든 자료를 데이터화 하는 과정과 같다. 단계가 높을수록 4차 산업혁명에서 보여주는 기반기술이 접목되어 자동화를 이룩할 수 있으며 이는 선도국과의 기술수준 차이 극복하는 방법이고 경쟁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계획하고 나가기를 바란다.

      •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와 전환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김현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제조업은 장기적인 경기침체와 인건비 및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인해 성장 한계에 봉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 강국들은 새로운 제조업 패러다임을 통한 생산효율 증대, 고객 맞춤 생산으로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김재성, 2017). 우리나라 제조업은 국가 경제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면서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고령화에 따른 노동 인력의 감소 및 중국, 인도 등 신흥국가의 제조업 기술력 발전 및 국내외 인건비 상승 등의 이유로 침체기가 지속 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고객 수요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제품 수명 주기가 짧아지면서 기업은 다양한 제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높은 품질 수준과 생산 효율성을 확보해야 생존이 가능한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지식재산권 침해, 지지부진한 공정혁신, 해외 생산품의 운송비용과 인건비 상승 등은 해외에 진출한 공장의 리쇼어링(Reshoring)을 확산시키고 있다(김재성, 2017). 많은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은 제조업 분야에서 가장 큰 변화와 성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중심에 제조업의 스마트 팩토리로의 변화는 필수불가결한 현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의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제조업과 ICT가 융합하는데 날개를 달아주어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와 위기를 극복하는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가 실현되면 공장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하는 데이터 기반의 공장 운영체계를 갖춤으로써,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을 찾아낼 수 있다. 고객의 니즈 또한 다양해지면서 다품종 대량 생산 시대의 도래에 맞춰 맞춤형 유연 생산체제의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 도입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제조업 패러다임으로 생산효율을 증대하고,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외 스마트 팩토리의 선진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스마트 팩토리 도입 기업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팩토리 지속사용의도와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PPM(Push-Pull Mooring) 모형 및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SSM :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과 기술수용모형(TAM :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의 통합 모형을 토대로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는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 중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123개의 표본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개의 표본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22개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PLS 구조방정식(SEM) 모형으로 분석한 주요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의 주요 선행변수인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은 용이성 인지와 유용성 인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에도 기술수용모형의 두 주요 신념변수인 용이성 인지와 유용성 인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특성요인인 CEO의 영향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학습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어링요인인 전환비용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용이성 인지, 유용성 인지, 파트너사의 영향, 전환비용, 지속사용의도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용이성 인지, 유용성 인지, 전환비용, 지속사용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파트너사의 영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