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에 대한 연구

        안은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it-Style Stone Burial Chambers appeared during the Geumgwan Gaya 고고미술사학과 안 은 주 지 도 교 수 박 광 춘 수혈식석곽묘는 가야의 대표적인 매장시설로써 부장품과 함께 가야문화를 복원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초기 수혈식석곽묘를 통해 외래적 또는 내재적 요인으로 판단하였으나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의 과도기에 해당하는 석재충전식목곽묘를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양상으로 보고 외래적 또는 내재적인 요인으로 판단하였으며 수혈식석곽묘와 함께 출현기의 양상으로 파악하여 보고자 하였다. 수혈식석곽묘의 전개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김해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적인 속성을 통해 형식분류를 하였다. 출토유물을 통해 검증한 결과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적 형태와 유물조합상을 통해 4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은 금관가야의 김해지역에서 대형분보다 중소형분의 석재충전식목곽묘에서 나타나 초기 수혈식석곽묘로의 전환양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배경에는 당시 교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금관가야의 사회양상과 계층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동일한 금관가야문화권인 김해와 부산지역은 출현기의 석재충전식목곽묘와 초기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양상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동일한 문화권 내에서의 새로운 묘제의 도입시기와 교역과 교류의 대상의 차이에 따른 축조집단의 차이로 생각된다. 수혈식석곽묘의 출현 배경에는 당시 해안가에 입지한 유리한 조건에 따른 집단의 성장과 외부와 교류에 따른 외래계 묘제구조의 영향에 따라 석재충전식목곽묘와 초기 수혈식석곽묘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당시의 많은 목재소비에 따른 중요성과 목곽묘 전통과 관습을 유지하려는 상위 지배층의 권력에 의한 목재사용의 통제가 이루어져 중하위의 피지배계층들은 규제에 따른 해결책으로 묘제에 석재를 점차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목곽묘의 발전에 따라 충전부를 돌로 채우는 석재충전식목곽묘로 바뀌게 되었으며, 점차 석축의 형태로 변화하여 수혈식석곽묘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은 합천 옥전고분군과 고령 지산동고분군과 같은 타 가야지역과 비교하여도 가장 이른 시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은 가장 이른 출현시기와 전개양상, 출현배경에서 당시 사회배경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어 : 금관가야, 김해지역, 부산지역, 수혈식석곽묘, 석재충전식목곽묘, 축조구조, 출현, 교역, 계층

      • 5~6세기 아라가야 중·소형 수혈식석곽묘 연구

        배진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756

        5~6세기 아라가야 중·소형 수혈식석곽묘 연구 고고미술사학과 배 진 혁 지 도 교 수 김 재 현 과거의 함안 아라가야는 대형고분군인 말이산고분군과 남문외고분군 일 대를 중심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른 연구 경향도 대형 고분군인 말이산고분군과 남문외고분군에 치우쳐져 이외의 연구는 부족 한 상황이다. 따라서 아라가야의 중·소형 고분과 전반적인 사회계층연 구나 문화상 등을 연구하는데 제한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규모와 유물 의 조합양상을 통해 수혈식 석곽묘의 규모를 분류하여 중·소형에 해당 하는 수혈식석곽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분이 형성되는 지 역에 따라 가야읍과 군북면, 칠원읍 세 지역으로 구분하고, 수장묘인 대 형과 초대형이 확인되는 가야읍 일대를 중심집단 그 외 군북과 칠원 지 역을 주변집단으로 대별 하였다. 이후 5~6세기 함안 아라가야 내 각 집 단에서 조성되는 수혈식석곽묘의 속성인 규모, 벽석 축조수법, 바닥시설, 바닥시설 석재, 부장품, 유물의 조합양상, 유물의 부장 배치 등 속성을 분류 및 분석을 통해 집단별 수혈식석곽묘의 특성의 차이를 알 수 있었 다. 그리고 가시권 분석을 통해 묘역을 조성하는 범위 및 배치 등 집단 간의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주변집단의 수혈식석곽묘에서 확인되는 속성들은 중심집단과 공통적인 부분도 확인이 되지만, 각 집단마다 선호하는 양상들은 차이가 확인된다. 이는 통제력이 약해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개별 축조집단 이 선호하는 특성들을 존중해주는 패턴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함안 아라가야에서 확인되는 집단은 그들이 사용하는 고분군 과 관련하여 묘역을 조성하는 범위 및 배치 그리고 축조 방법은 각 지역 집단 간 사회적 관계에 대해 뚜렷한 경계를 가지나 아라가야라는 체제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 5-6세기 陜川.高靈지역 古墳文化 比較 硏究

        이세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743

        지금까지 합천․고령지역은 소위󰡐대가야계토기󰡑가 출토되고 있는 서부 경남의 다른 지역들과 함께 고령지역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대가야문화권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합천지역과 고령지역은 각 다라국과 가라국의 중심지로 비정되어 왔으며 합천지역의 옥전고분군과 고령지역의 지산동고분군은 각 지역에서 수장층의 분묘로 인정되어 왔다. 본 연구는 두지역의 중심고분군에서 고총의 고분이 축조되기 시작한 5세기~ 6세기를 중심연대로 설정하여 두 지역 고분문화의 비교를 통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기존의 대가야문화권에 대해서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분문화의 비교를 위해 묘제에 대해서 살펴보고, 부장유물은 토기와 철기, 장신구류로 각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묘제는 두지역이 공통적으로 수혈식석곽의 고총고분을 사용하는 시기로 중심묘제인 수혈식석곽에서의 속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부장유물에서 토기의 지역색을 찾아보았으며 공통적으로 출토되는 유형식에서는 각각의 속성으로 비교하였다. 철기는 철기의 용도에 따라 무기류, 무구류, 마구류로 세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장신구는 형태와 착용위치에 따라 관모와 이식, 경식, 팔찌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묘제는 옥전고분군이 목곽묘단계부터 고총의 횡혈식 석실 단계까지 가야시대 전반의 묘제가 축조되고 있는 반면에 지산동고분군은 수혈식석곽묘 단계에 집중 조영되고 고총고분에서 수혈식석곽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중심연대인 5~6세기는 두지역이 공통적으로 수혈식석곽을 중심묘제로 하는 고총고분을 집중 조성하는 시기이다. 공통적으로 수혈식석곽을 사용하고 있지만 두지역은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옥전고분군은 단곽분의 구조에 장단축비 4:1의 비율을 보이며 개석을 사용하지 않고 목개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지산동고분군은 다곽분의 구조에 수혈식석곽의 장단축비가 5:1정도로 세장하며 소형의 수혈식석곽에서는 판석의 수혈식석곽이 확인되고 대형수혈식석곽과의 면적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부장유물을 살펴보면 토기에 있어서 지산동고분은 대가야계토기라고 하는 유형식만 출토하고 있는 반면 옥전고분에서는 대가야계토기, 창녕계토기, 신라계토기가 재지계토기와 함께 출토되고 있어 토기문화의 다양성을 확인하였고, 철기는 종류와 수량 면에서 옥전고분군이 지산동고분군보다 풍부하며 특히 위신재라고 할 수 있는 환두대도와 의기성철기로 알려진 유자이기의 출토양상으로 옥전고분군은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교역권을 장악한 집단으로 보인다. 장신구에서도 옥전고분군은 지산동고분군보다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가 확인되며 재질면에서도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즉, 묘제와 출토유물로 살펴본 옥전고분군과 지산동고분군은 같은 시기에 공통의 문화를 영유한 부분도 있으나 서로 다른 고분문화를 영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옥전집단이 낙동강의 지류인 황강의 어귀에 위치하여 낙동강으로 진출이 고령지역보다 쉬웠으며 다량의 철기를 바탕으로 낙동강의 교역권을 차지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인접한 창녕과의 교류가 활발하였고 창녕을 매개로 신라의 유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령지역의 토기가 출토하는 것은 특정시기에만 집중적으로 확인되는데, 창녕지역과 마찬가지로 근접성에 의한 교류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두 집단의 비교에서 그쳤지만,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토기가 주변의 다른 지역에서 확인되었다고 하여 같은 문화권으로 상정하거나 지배관계로만 보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더 많은 자료의 검토를 통하여 대가야문화권의 재검토가 이루어 져야 한다.

      • 渤海 石築墓 硏究

        박규진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722

        Balhae was once an East Asian power that ruled over the immense territory, straddled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Manchuria, and Primorskij Krai(Maritime province of Siberia), since the country had been founded in A.D. 698 until it collapsed in A.D. 926. However, it has been little studied with the brief documents compared to other dynasties, and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of direct archaeological research because it does not belong to the current domai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understanding, though, has been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of archaeological data and the cooperative excavation in the Primorskij Krai.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This paper is a study of Balhae tombs, especially of the tombs made of stone. The qualiti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foundation tombs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and the purpose is to verify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m among Balhae tombs. The stone foundation tomb of Balhae is separated to coffin, outer coffin, and chamber according to the external features. They are divided again by the methods of construction and the structural analysis, to A type stone coffin burial(stone slab type) and B type stone coffin burial(mound type) for coffin, to vertical stone lined tomb for outer coffin, and to A type stone chamber tomb(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and B type stone chamber tomb(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gate) for chamber. The other type which is similar to A type stone chamber tomb in the shape, but was constructed in different methods is categorized as C type stone chamber tomb which has to lay the remains in state in the manner of vertical type because the height of burial chamber and tomb passage is low, and the tomb passage cannot be in use. Based on this form classificati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Balhae tombs are examined in this paper, that is, such as the methods of construction, tomb passage, burial chamber, ceiling stone, burial mound, and so on. In particular, the structural and regional differences of the stone chamber tombs have been identified. Judg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ructure of Balhae stone chamber tombs is not available for added burial except for A and B type stone chamber tombs. In the case of C type stone chamber tomb, the remains should be laid in state in the manner of vertical type because the height of burial chamber and tomb passage is low and the tomb passage cannot be in use. The context of unearthed skulls in each tomb shows that multi burial has been more found in C type stone chamber tomb than others. The assumption that several remains might have been laid in state is possible since the type is not available for added burial. In this sense, simultaneous-joint burial or sacrificial burial can come into consideration rather than added burial, although there has been an assumption that joint burial of family members was held in the manner of added burial. Given the distribution of each type, A type stone chamber tomb is the most significant burial type only found around the capital in the case of China. The number of the tombs is less than that distributed in Ham-gyeong province. The proportion of B and C type stone chamber tomb is higher, instead. Even though most of the tombs are A type stone chamber tomb in Ham-gyeong province, C type stone chamber tomb and vertical stone lined tomb are also found in the area. Its own grades of rank are shown by largeness of size or existence of mural tomb among the A type stone chamber tombs. In the overall distribution, A type is located around the capital of balhae and Ham-gyeong province, B type is found in Sangkyoung(上京), Joongkyoung(中京), namely, around the capital, even though the number is not that many. C type stone chamber tombs and vertical stone lined tombs, on the other hand,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central area, Ham-gyeong province, and the Primorskij Krai(Maritime Province of Siberia). Therefore, these types of tombs are the representatives most widely spread out in Balhae. At the conclusion, it can be also examined how the central culture of Balhae was spread out to other provinces through C type stone chamber tomb and vertical stone lined tomb, for instance, such as dachengzimuzang(大成子古墳群), located in Solbin-bu(率濱部), and chernyatino5 tombs. Solbin-bu(率濱部) was the area in which Malgal tribe(靺鞨族) resided and pit burials were built. The C type stone chamber tombs and vertical stone lined tombs found in this area, reflect how they were introduc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Balhae. In other words, the possible interpretation is that the burial types of tombs in the central area were transferred to other provinces. Keywords : Balhae, burial type, stone chamber tomb, regional characteristics, added burial,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gate, vertical stone lined tomb, stone coffin burial 발해는 698년 건국되어 926년 멸망할 때까지 228년간 한반도 북부와 만주 및 연해주를 아우르는 거대한 강역을 영위하던 동북아시아의 대국이었다. 하지만 소략한 문헌으로 다른 왕조에 비해 연구가 덜 되었고, 고고학적으로도 현재 대한민국의 영역 밖이라서 직접적인 연구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하지만 최근 고고학적 자료의 증가와 연해주지역의 발굴참여를 계기로 그 이해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본고는 발해고분의 구조에 관한 연구로, 발해고분 중 돌로 만들어진 고분, 즉 석축묘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그 특징과 지역성 등을 알아보고, 석축묘가 가지는 발해고분의 대표성을 확인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발해 석축묘는 크게 그 매장주체부의 특징에 따라서 관-곽-실로 구분이 되고 다시 축조방법 및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관의 경우 A형석관묘(판석형), B형석관묘(적석형), 곽의 경우 수혈식석곽분, 실의 경우 A형석실분(횡혈식), B형석실분(횡구식) 그리고 형태는 횡혈식석실분과 비슷하지만, 축조방법이 다르며, 묘실과 묘도의 높이가 낮고 실제로 묘도를 이용하지 못하여 A형석실분과 달리 수혈식으로 시신을 안치할 수밖에 없는 형식을 C형석실분으로 구분하였다. 위의 형식 분류를 기준으로 고분의 여러 가지 속성 즉 축조방법, 묘도, 묘실, 천정개석, 봉토 등을 고분의 형식별로 살펴보았는데, 특히 석실분의 경우 각각의 형식별로 구조적, 지역적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발해고분 중 석실분의 경우 구조적으로 A형과 B형석실분을 제외하고는 추가장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C형석실분의 경우 묘실과 묘도의 높이가 낮고 묘도 또한 실제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시신은 수혈식으로 안치되어야한다. 각 고분 내 인골 출토상황을 살펴보면, 다른 석실분보다 C형석실분에서 다인장의 사례를 많이 확인 할 수 있는데, 이 형식은 추가장이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러 명의 인골이 동시에 안치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서는 그간 가족성원간의 합장묘로 추가장이 이루어진 결과로 해석되어 왔지만, 앞의 사실을 살펴볼 때 추가장 보다는 합장 혹은 순장의 존재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석축묘의 각 유형별 분포양상을 봤을 때 A형석실분은 중국의 경우 왕도 근처에서만 확인이 되는 최상위묘제로 그 수는 함경도 일원의 A형석실분에 비해 분포비율이 낮다. 대신 중국경내의 경우 B형석실분과 C형석실분의 비중이 높다. 함경도 지역은 A형석실분이 대부분이고 여기에 C형석실분과 수혈식석곽분을 찾아볼 수 있다. 같은 A형석실분 안에서도 대형의 고분이나 벽화분의 존재를 통해 자체적인 위계차를 엿볼 수 있다. 각 형식별 종합적인 분포상황을 보면, A형의 경우 왕도근처와 함경도일원, B형의 경우 그 수가 많지 않으나 역시 상경이나 중경지역 즉 왕도 근처에서 확인가능하다. 반면 C형과 수혈식석곽분의 경우 중앙지역, 함경도지역, 연해주지역까지 널리 분포를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형의 묘제를 발해에서 가장 널리 퍼진 대표적인 묘제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형석실분과 수혈식석곽분을 통해서 발해의 중앙문화가 지방으로 파급되는 양상도 볼 수 있다. 솔빈부에 위치한 대성자고분군이나 체르냐찌노5고분군의 경우가 이 사례에 해당된다. 솔빈부는 말갈족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이곳은 전통적으로 토광묘가 조성되던 곳이다. 여기에서 발견된 C형석실분과 수혈식석곽분은 발해건국이후에 이곳으로 유입된 정황을 반영하고 이는 즉 중앙의 묘제가 지방으로 전해진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주제어 : 발해, 묘제, 고분, 석실분, 지역성, 추가장, 횡혈식, 횡구식, 수혈식석곽분, 석관묘

      • 舒川 鳳仙里遺蹟 竪穴式石槨墓에 관한 硏究

        장영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78

        This study focused on the stone-lined tombs found and verified in Seocheon Bongseon-Ri to infer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such tombs and to examine the group that constructed the stone-lined tombs of Bongseon-Ri relics in such situations.

      • 울산 중산동 신라고분 문화의 연구

        서용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울산 중산동 신라고분 문화의 연구 A Study on Silla Tomb Culture of Ulsan Jungsandong Area 고고미술사학과 서 용 하 지 도 교 수 박 광 춘 울산 중산동 유적은 울산지역에서 고분문화의 흐름을 살펴 볼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가 풍부한 유적으로 울산만을 통해 신라의 중심부로 들어가는 관문에 위치하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그 중요성은 일찍부터 강조되어 왔다. 특히 문헌사적 근거를 통해 울산지역은 이른시기에 경주에 복속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고고학적인 증거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명확한 해명이 어려웠다. 하지만 최근 경주 중심 고분의 발굴조사가 황성동 유적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짐으로써 자료의 축적이 증가되었고 이를 통해 두 지역간의 비교 연구가 비교적 용이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A.D. 2∼6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시기에 울산 중산동 유적의 고분문화를 살펴보고 경주분지와 태화강수계 이북의 울산지역의 묘제와 출토유물을 비교 검토하여 중산동 유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중산동 유적의 묘제 변화 양상과 특징을 입지, 매장주체부의 평면형태, 장단폭비, 상면시설, 유물부장양상 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출토유물 가운데 형식변화가 뚜렷하고 수량이 풍부한 고배, 노형기대, 중형호, 대부장경호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여 변화단계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산동 유적은 Ⅰ기에 평면형태가 방형에 가까운 장방형의 형태에 외부에 기둥구멍 자리가 있는 형태의 목곽묘가 대부광구호와 노형기대 1식과 동반하여 확인되며 Ⅱ기에는 세장방형이면서 대형의 동혈 주부곽식의 목곽묘가 등장하며 무개고배, 노형기대 2식, 대부직구호, 대부광구호 등과 동반한다. Ⅲ기에는 무개고배 2식과 노형기대 3식과 함께 새로운 기형으로 장경호가 등장하게 되며 대형의 적석목곽묘가 새로운 묘제로 등장하게 된다. Ⅳ기에는 새로운 기종으로 유개고배가 등장하며, Ⅴ기에는 목곽묘가 소멸하고 수혈식석곽묘와 대부장경호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Ⅵ기에는 적석목곽묘가 쇠퇴하고 석실묘가 등장한다. 이를 통해 경주지역과 포항지역을 비교・분석하면 동일한 속성을 가진 토기 문화권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산동 묘제의 변화양상은 두지역과 다른 특징을 보이며 수혈식석곽묘 단계에서 공통양상을 보이고 있다. 경주・포항지역의 경우 적석목곽묘의 규모가 중소형이 다수를 차지하며 Ⅴ기에 이르러 수혈식석곽묘가 집중적으로 조영되기 시작하면서 적석목곽묘가 소멸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당시 중산동 고분군의 지리적 특성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는데 중산동고분군이 위치한 지역은 남쪽에서 경주로 들어가는 주요 교통로에 해당하며 환경적으로는 당시 경주지역에서 사용하는 철의 주요 생산지였던 달천 광산이 위치고 있어서 경주지역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Ⅲ기와 Ⅳ기에는 대형의 적석목곽묘가 축조되는데 Ⅱ기 까지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와 농공구류, 토기 등이 부장되고 있지만 Ⅲ기에 접어들면서 위세품을 비롯한 각종 철기류의 부장 수량이 점점 축소되고 있는 점이 파악된다. 이러한 변화는 중산동 유적근처에 달천광산이 위치하여 재료의 활용이 용이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주지역의 세력강화로 인해 중산동 유적에 대한 통제가 있었지만 경주중심세력과 동일한 묘제를 공유하고 있음을 통해 경주와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근거로 판단된다. 주요어 : 울산 중산동 유적, 경주지역, 포항지역, 적석목곽묘, 수혈식석곽묘

      • 경주지역 5~6세기 수혈식석곽묘 연구

        정상민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6

        This article examined the present distribution of stone-lined pit burial (竪穴式石槨墓) in the area focusing on stone-lined pit burial in Gyeongju and the temporal and spatial aspects of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excavated relics of the historic sites Gyeongju is largely divided into the inland area and the east coast area according to geolog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stone-lined pit burial relics. And the inland area can again be divided into the center, the north, the west, the south, the southeast, and the southwest area. Most of relics are located in the entrance or corner of the major traffic routes and at the same time,by connecting big and small rivers to them. The concepts of stone-lined pit burial set by the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if face stones themselves are built systematically through the masonry techniques, Second, if parts of edges keep a series of angles (角) such as right angles or being no angle, Third, if capstones (蓋石) are checked or it's the face stone structures that capstones can be put on the top of face stones through the masonry technique even though they are not checked, Finally, Fourth, if stiffening stones are additionally installed to keep the solidity of face stones and it is judged that the stiffening stones' intention to keep the solidity of face stones is certain, the relics were finally judged to be stone-lined pit burial. The analytical subjects of the article are total 147 units. For the structures of the historic sites, the 5 structure attributes of the size, plane shapes, the existence and placement of burial chambers (副槨), the existence and installation forms of floor facilities, and masonry techniques of blocks of stone (石材) and flagstones (板石) were examined. Among them, the share of specific detailed attributes have found to be the biased aspect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ze, plane shape, burial chambers, blocks of stone, and flagstones. On the contrary, the classification of floor facilities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ructural aspects as the share of the 4 detailed attributes among the 5 attributes have found to be comparatively uniform. For the analysis on excavated relics, the aspects of the combination of relics and burial styles were largely examined. The excavated relics mostly consist of earthenware (土器) and small quantities of metals including wearing types of accessories, weapons (武器), harness (馬具), conveniences (利器), etc. have been checked. First, the aspects of the combination of relics could be classified into total 13 thing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cavated relics. And the aspects of burial styles of relics could finally be classified into total 12 detailed attributes according to positions of plane burial chambers and types of the relics and positions of burial chambers by type. Stone-lined pit burial in Gyeongju can be classified into 5 aspects of development (Appearance phase, development phase, prevalence phase I, prevalence phase II, and decline phase) according to chronology by the excavated relics, the distribution aspects by period, and frequency of historical sites. For stone-lined pit burial that began to appear in the ruins of Bonggil-ri in the east coast area in the appearance phase (The 1/4 quarter of the 5th century)에 , the limited quantity is just checked and for the distribution of the ruins, the limited aspect has found to be limited to the east coast area. In case of the development phase (The 2/4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distribution of the ruins was just checked in the east coast area like the previous phase. The characteristic aspects were not checked in the structure of the historical site or the contents of the excavated relics were not checked because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the quantity of the historical site and that of the previous phase. But, it can be judged that wearing types of accessories began to be buried from the development phase as the historical sites that gilt bronze ear ornaments (金銅製小鐶耳飾) and swords(大刀) are buried in the development phase are partially checked. The prevalence phase can be classified into the prevalence phase I (The 3/4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at the number of the ruins and historical sites drastical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previous phase and they spread and the prevalence phase II (The 4/4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at the general aspect is similar with that of the prevalence phase I (The 3/4 quarter of the 5th century) but the number of ruins has doubled and large-sized stone-lined pit burial increased and spreaded. First, in the prevalence phase I, stone-lined pit burial that had just been checked in the existing east coast area began to be done all the inland areas. This seems to be the somewhat radical and sudden aspect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previous phase. But this distribution aspect itself makes researchers estimate that the objects of the spread related to acceptance of tombs called stone-lined pit burials in the inland areas were not limited to certain areas. In the prevalence I, various detailed attributes by attribute began to appear in structural aspects of the historical sites. And starting this period, large-sized stone-lined pit burials began to appear from the southern area in Gyeongju. In the aspect of the excavated relics, metals as well as wearing types of accessories were buried in earnest and the combination of various relics and diverse burial aspects were also checked. The tendency that the aspect of the prevalence I comparatively continued as it is was shown in the prevalence II. But, the increase in the groups that accepted stone-lined pit burial and change in the perception can be presumed as the number of ruins by area nearly doubled when compared to the previous phase. In addition, the aspect that the large-sized stone-lined pit burial which had begun to appear from the previous phase got to be actively built was shown. Starting from the prevalence phase by comparing it with the previous phase, the causes that stone-lined pit burial were actively built in the several areas areas follows: First, complex causes including the structure of stone-lined pit burial that prepares certain interior space for buried persons only by building face stones through the masonry technique, guarantee of stable and eternal afterlife based on this, the popularization of stone-lined culture, and the limit of the burial system of the group to build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積石木槨墓), Second, the limit of using wood implemented by the top level of the Silla Dynasty at the state level. In addition, the biased aspect in the high occupancy rate about the specific detailed attributes checked in the structural classification of the historical sites, the aspect of adopting or rejecting (取捨選擇) from the viewpoint of autonomy by group or practicality, or unification of funerals (葬法) by groups of professional craftsmen, and the results accompanied with the national restrictions about the structure. But, it is thought to be high probability of the partial restrictions about the series of the structur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rather than the self-regulating atmosphere as the biased aspect of the occupancy rate was found to be very high and differentiation in the distribution was not checked. And this is judged that there is a ver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unification of funerals by the groups of professional craftsmen and it. In the decline phase (The 1/4 quarter of the 6th century), for the distribution, the ruins were checked in the 5 areas. But the quantity of the historical sites shows the aspect that they drastically decreased as 1/2 of the numerical values of the previous phase.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historical sites, the aspect of detailed attributes tends to decrease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previous phase. And large-sized stone-lined pit burial was found to be built in very few areas. Even after the decline phase, stone-lined pit burial was intermittently built. However, stone-lined pit burial in Gyeongju began to decrease in earnest from the decline phase. The burial system finally got to be replaced by horizontal entrance styles (橫口), annexed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橫穴式 石室墓), and cremation graves (火葬墓).

      • 金官加耶 古墳 硏究

        심재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4

        본고는 금관가야 고분을 검토하여 금관가야 고분의 특징 및 고분군에 반영된 계층 구조, 정치체의 성격 그리고 금관가야의 전환기 등 고분에 반영된 금관가야 사회의 일면을 규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전기도질토기단계 금관가야 고분의 연대는 대성동고분군의 토기를 기준으로 6단계로 설정하였고, 이곳 출토 외래계 유물을 토대로 Ⅰ단계는 3세기 4/4분기, Ⅵ단계는 5세기 1/4분기로 비정하였다. 대성동고분군은 철정과 갑주, 마구가 다량 부장되고, 금관가야의 마구들은 실용성마구로 토착화된다. 대성동고분군 출토 4세기대 중국․북방계 위세품과 왜계 위세품을 통해 중국․왜와의 교역을 금관가야 내 대성동집단이 독점했음을 알 수 있다. 금관가야의 목곽묘는 주곽과 부곽 간 바닥의 높이차가 있는 주부곽식묘가 특징이다. 바닥에 시상석이 깔리고 꺾쇠류가 있는 경우, 목곽 내 목관이 있고, 시상석 위에는 돗자리를 깔기도 한다. 수혈식석곽묘는 목곽묘 Ⅴ단계에 금관가야에서 가장 먼저 만들었다. 초기수혈식석곽묘는 목곽묘 축조 방법을 계승하고 있으며, 돌 쌓는 기술이 발달되어 있지 못하다. 대성동고분군은 입지의 우월성이 극대화되어 묘역 간 중복이 발생하였고, 대성동 2호부터 왕묘가 분리되어 구릉정상부에 별도로 조성되었다. 면적/유물 유형은 A~N급, 고분군의 위계는 1~6등급으로 나뉘고, 대성동고분군이 1등급, 복천동․양동리고분군이 2등급에 해당한다. 철정과 유자이기, 궐수문도자, 판상철모, 유견철부는 높은 위계성을 지니고 있다. 4세기대의 금관가야는 대성동집단을 정점으로 하는 계층적질서가 강한 사회이고, 다른 가야 각국과의 관계에서도 최정점에 있는 초기 고대국가였다. 금관가야 중심집단들은 순장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충전토형 순장묘는 대가야식순장묘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5세기 1/4분기에 수혈식석곽묘가 급증하고 5세기 2/4분기부터 복천동집단의 위계가 대성동집단보다 높아지는 점에서 이 시기는 금관가야의 전환기에 해당한다. 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