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효과적인 중국어 수업방안 및 지도방법 연구

        임하영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1

        효과적인 중국어 수업방안 연구 임 하 영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 전공 지 도 교 수 장 수 열 본 논문은 중국어에 대한 교육열은 나날이 높아져 가는 데 반해, 중국어에 대한 다양한 수업방안 및 지도방법에 관한 자료는 부족하기에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쓰여 졌다. 물론 현재 다양한 중국어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다른 과목에 비해 수업 시수가 적은 과목의 특성상 교재 내용과 관련 없는 방안들을 실제 수업 시간에 활용하기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연령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각 영역을 중심으로 실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국어 수업방안 및 지도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우선 우리나라의 현재 중국어 교육 현황을 알아보았으며, 제7차 교육과정 및 개정 교육과정, 다양한 외국어 교수법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수업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기본 배경으로 삼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미취학 아동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중국어를 학습하고 있다. 학습자의 수치를 조사해본 결과 중국어 학습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어 선택 비율도 다른 외국어에 비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중국어의 정규 교육은 중학생 혹은 고등학생부터 시작되지만, 실제로는 이미 그 이전에 선행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규 교육에서 제시된 중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았고, 더불어 선행 학습으로 이루어지는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육의 수업 내용을 알아보았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과 교육과정은 2009년 현재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수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빠르면 2010년부터는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수업이 진행된다. 반면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과 교육과정은 법령에 의해 특별히 제정되어 있지는 않았으며, 사설 교육기관에서 출판된 여러 교재들을 활용해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연령대가 중국어를 학습하고, 이에 대한 여러 노력도 기울여지고는 있지만, 수능이 중심이 되는 우리나라 교육에서 중국어 수업의 실질적인 수업 시수는 많이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한 교수법의 제시와 이론 나열은 실제 수업에는 활용할 수 없거나, 활용을 위해 교사가 다시 연구를 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 맞춰 다양한 교수법과 수업방안을 실제 수업 내용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동일한 주제로 각기 다른 연령을 대상으로 제시된 수업 지도안에서는, 아무리 동일한 내용이라 할지라도 그 대상에 따라 교수 방안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시된 영역별 수업방안에서도, 각 영역별 동일한 수업방안이 아닌 각기 다른 방안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효과적인 중국어 수업방안은 물론 각 교사의 재량과 노력에 달려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만이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이 발전되고, 좀 더 다양한 수업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중국어, 연령별, 교육과정, 수업 지도안, 수업방안, 지도방법

      • 감상수업을 연계한 창작영역 수업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김헵시바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음악 교과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올바른 감성교육과 창의력 신장을 위하여 감상, 가창, 연주 등 다양한 영역으로 돕고 있다. 특히 ‘창작 영역’은 창의성 발달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으며 1963년에 정립된 제2차 음악과 교육과정에 ‘창의적인 표현 능력’이라는 개념이 부각되기 시작한 것을 기점으로 2007년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창의적인 표현 능력’ 또는 ‘창조적인 표현 능력’ 이란 표어로 창의성이 강조되고 있다. ‘창작’ 영역은 주관적, 심미적인 영역이고 과정과 결과를 수치로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제 수업 내용을 보면 가사 바꾸기, 네 마디 작곡하기 등으로 창작을 유도하긴 하나 교육 내용과 체계적인 학습 방안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창작 영역의 수업 방안을 연구 하던 중 감상 영역과의 통합이 창작 수업에 더 큰 효과를 준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고 감상 유형의 다양성을 발견했다. 본 논문은 1차시 리듬, 2차시 화음, 3차시 비화성음, 4차시 형식을 갖춘 창작의 학습을 통하여 ‘두 도막 형식의 작곡’이라는 정확한 목적을 두고 학생들이 직접 창작할 수 있도록 방안을 연구했으며 음악 감상의 다양한 유형 즉 반복적 감상, 곡의 배경을 알고 하는 감상, 곡에 대한 이론적 학습 후 감상, 표현을 통한 감상의 극대화, 특정 부분의 감상 및 토론을 통한 감상의 극대화, 연주 발표를 통한 감상의 극대화를 창작 수업에 적용하여 감상영역과 창작영역을 통합하는 수업 방안을 마련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창작 수업 방안이 제시되고 창의성발달을 도모하며 그동안 배운 음악적 지식을 활용하여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길 바라고, 지속적인 감상 수업과 창작 영역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바이다.

      • ICT를 활용한 음악교과 수업 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홍연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6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21세기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정보에 대한 활용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얼마나 그 지식을 상황에 맞게 잘 활용할 수 있는가를 더 중요시한다. 학교 현장에서는 주입식, 암기식 학습 방법을 지양하고 개인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고 다양한 ICT(정보 통신 기술)를 활용하여 보다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능력을 계발시키도록 하고 있다 ICT는 정보 통신 기술을 의미하며 ICT를 활용한 교육은 정보 통신 기술을 도구로 활용하여 수업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ICT 활용 교육은 컴퓨터를 보조로 하여 교과의 학습 목표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성된 학습 과정을 제시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의 교육 방법으로 이를 음악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교육적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 첫째, 실음을 위주로 하는 교육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어 학교에 많은 악기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다양한 음색을 경험할 수 있다. 둘째, 교과서보다는 컴퓨터에 친근한 청소년들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보다 긍정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보다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끌어 갈 수 있어 학생 스스로 음악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넷째, 음악교과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학생의 경우도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게 하여 개인의 음악적 성취도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음악 수업을 통해 개인 스스로의 정보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우며 개인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 연구는 이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ICT를 활용한 교육을 음악교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음악에서의 각 영역들인 가창, 기악, 창작, 감상에 대한 통합적인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ICT 활용 교육의 가치를 높이고자 음악국내, 외 교육 및 음악과 음악교육, ICT와 ICT 교육에 대한 전문 서적과 정기 간행물, 인터넷자료, 학회 자료, 연구 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문헌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2학년 음악과의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수업 방안을 작성하여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특히, 빠르게 발달하고 있는 ICT의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교수·학습에서 효과적인 유형들을 통해 수업안을 고안하고, 실제 수업에서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ICT 활용 방법은 ICT 기술 자체나 특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한정된 방법이 아닌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에서의 정보 탐색하기, 정보 분석하기, 정보 안내하기, 웹 토론하기, 협력 연구하기, 전문가와 교류하기, 웹 펜팔하기 , 정보 만들기를 음악과 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얻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교수·학습 방법에서 제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들을 모색하고 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중학교 2학년 음악과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ICT 활용 방안을 마련하여 학교 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음악 수업에 대한 학습 능력과 집중도를 높이고 다양한 음원에 대한 경험과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게 하는데 있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보다 흥미있는 음악수업을 이루고자 하는데 있다. ICT는 시간이 지날수록 빠르게 발전할 것이며 이에 따라 교육 현장도 빠르게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과 도구들에 대한 교사의 능력과 수용, 비판의 자세가 전제 되어 선택되어 질때 이상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해 보다 많은 교수·학습 방안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current changing 21st Century demands students the ability to use various information. Application the already acquired knowledge is more important rather than how much knowledge one acquires. The efforts have been made to strengthen and enrich the individua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nlighten the positive learning capacity by adopting the various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while giving up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indoctrination and simple memorization. The education in ICT will bring the following effects. First, a large number of students could have more direct contacts with the various color of sound. Second, it will attract students who are more familiar to computer rather than textbook. Third, it provides mo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tudent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nd tastes. Fourth, it will enable students approaching to the targeted level of the class. Finally, ITC will enhance individual student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capacity by providing opportunity to enlarge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through music class. This thesis provides the effective way of teaching in the various areas in music such as vocal, instrument, compose, and listening by applying ICT. The literature review comprises all kinds of music education literatures, academic literatures and periodicals on ICT and ICT education, materials on the internet, research reports and various other elements. This thesis is providing integra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music class eight grade of age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ICT, the various ways of applying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instruction, web discussing, cooperative research, communication with experts, exchanging letters on the web, and information making those are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o the music class. The goal of this thesis also lies in the enhancement of the students learning capacity and concentration on the music class. This will also bring students direct contact of various source of sound and positive attitude to music. Besides, this will make students more interested in music. In ICT environment, ideal education will require teachers receptivity and open mindedness to the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quipments and criticism. In order to take a full advantage of suing ICT in music education it is highly suggested that music teache should be more open-minded toward the use of ICT in teaching musics and also participated in the various insercvic trading to furter there ministrs in using ICT in music education.

      • 팝아트를 활용한 초등학교 미술과 수업방안 연구 : 고학년을 중심으로

        이은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6

        Rapid change in today's society is more accelerated than ever before. Mass medi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rapid change. People in a modern society consume popular cultural products produced by mass media and are affected by public image. Modern society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Natural environments have been replaced with artificial and our lives are surrounded by various images of mass media. These mass media are common to students, affecting their values, attitudes and confidence. Students accept mass media and adapt to rapid social changes. Unfortunately, however, art education field hasn't respond to rapidly changing requirements of students and society. Accordingly, advanced art education must be pursued to reflect modern society's environment and express students' unique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leverages pop art reflecting popular culture on arts to research art education methods and apply this technique to high-grade students. In Chapter II, relationship between pop art and popular culture and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pop art are examined through document analysis, and then based on the result, characteristics of pop art are examined. In Chapter III, educational significance is examined through effects of popular cultur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sis of pop art in art education, In Chapter IV, art and education methods using pop art are actually dealt with. Direction of instruction and teaching-learning models are suggested. Besides, materials and works of pop art with high educational value appropriate for educational development of hig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re carefully selected and composed as teaching-learning contents. Education based on pop art is mainly composed of three parts: understanding, appreciating and expressing. A total of 6 educational methods are suggested. For each educational method, there is a main part, but the artistic experience, the appreciation and the expression are appropriately integrated. Let us examine the three pain parts: understanding, appreciating and expressing. Firstly, for understanding, questions such as 'what is expressed, and how does it expressed?', and 'what materials are used?' are suggested. Through works of pop art expressing popular and common subjects with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and materials, students' view towards materials and techniques is expanded and various choices are available. Secondly, for appreciating, 'painter story' allows students to appreciate works of pop art more deeply through Andy Warhol's works and artistic-centering appreciating activities. 'things around us' is intended to help students develop new view towards common objects around us by appreciating works of pop art employing common objects around us. Thirdly, for expressing, 'harmony in objects' enables students to express objects in daily lives to develop new point of view. Moreover, 'like artist' allows students to envisage like artists after appreciating works of pop art, and then to proceed with detailed plan through discussion. Popular subjects and new techniques, and various expression materials of pop art can help students expand their thoughts about arts and develop flexible attitude toward arts. After receiving art education using pop art, students can change their view from stark thought that art is only representation of fact to flexible thought that art is around our daily lives. In addition, their preference and confidence in relation to art activities increas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ing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too broad to be performed in current art education. Therefore, some of them must be carefully selected and applied based on current class situation. Any insufficient par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compensated in future study. 현대 사회는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 되어 가고 있으며, 이 변화의 중심에는 대중매체가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현대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대중매체들이 생산해 내는 대중 문화상품을 소비하고 대중적 이미지에 영향을 받으며 살아간다. 현대 사회의 삶의 환경은 과거에 비해 크게 변화되었다. 도시에는 인공물이 자연환경을 대신하고 있고, 수많은 대중매체의 이미지들이 현대인들의 삶을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대중문화는 학생들이 살아가는 일상적인 환경이 되어 그들의 가치와 태도 그리고 신념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학생들은 이러한 대중문화를 흡수하며 급격한 사회변화에 적응해 가는데 반해, 미술 교육현장에서는 빠르게 변해가는 사회와 학생들의 요구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현대 사회의 환경을 미술 안으로 수용하고, 그들의 세대와 요구에 맞는 문화를 표현할 수 있는 미술교육이 모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문화를 미술에 과감히 수용한 팝아트를 활용하여 미술과 수업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고학년 학생들에게 실제로 적용하여 보았다. 수업방안의 연구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팝아트와 대중문화의 관계, 팝아트의 출현 배경 그리고 전개를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팝아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대중문화가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과 미술교육과정에 나타난 팝아트의 분석을 통해 팝아트의 미술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팝아트를 활용한 미술과 수업방안과 실제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지도의 방향과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발달 단계에 적합하고 교육적 가치가 높은 제재와 팝아트 작품들을 선별하여 교수·학습내용을 구성하였다. 팝아트를 활용한 수업방안은 크게 이해, 감상, 표현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여 총 6개의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수업 안은 주가 되는 영역은 있으나 미적체험·표현·감상활동을 적절히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첫 번째 이해활동 영역의 ‘무엇을 어떻게 표현할까?’와 ‘어떤 재료를 사용할까?’ 는 팝아트의 대중적이고 일상적 주제를 다양한 표현기법과 재료로 표현한 작품을 통해 학생들의 재료와 기법에 대한 사고가 확장되고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감상활동 영역 ‘화가 이야기’는 앤디워홀의 작품과 작가중심의 감상활동을 통해 팝아트 작품을 좀 더 심도 있게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에서는 주변에서 흔히 보는 것들을 작품의 소재로 삼은 팝아트 작품 감상을 통해 일상 오브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도록 수업을 진행하였다. 세 번째 표현활동 영역 ‘사물들의 하모니’는 생활 속의 오브제를 활용한 표현활동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고, ‘나도 작가처럼’에서는 팝아트 작품 감상 후 자신들도 작가의 입장에서 구상 활동을 하고 토의를 거쳐 작품을 구체적으로 계획해 나가도록 수업을 진행하였다. 팝아트의 대중적인 소재와 신선한 기법 그리고 다양한 표현재료는 학생들에게 미술에 대한 확장된 사고와 유연한 태도를 심어줄 수 있었다. 팝아트를 활용한 미술 수업 후 학생들은 미술이 사실의 재현이라는 경직된 사고에서 벗어나 미술이 삶 속에 함께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미술활동에 대한 호감과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성과라 하겠다. 본 연구자가 제시한 수업 방안은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안에서 지도되기에는 그 양이 방대하므로 학급의 상황과 실정에 맞게 선별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 본 연구에서 미흡한 점은 후속연구에서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 중학교 기술·가정에서 PDIE모형을 적용한 수송기술영역 수업방안 연구 : 수송기술 영역 중 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엄보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에서 PDIE모형을 적용한 수송기술영역 수업방안을 마련하고 이의 효과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증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학교 기술·가정 수송기술 영역의 표준, 발명, 지속가능성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실천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활용 변수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STEAM 교육, 수업설계방법, 교수·학습방법, 교육평가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의 분석을 위해 연구문제, 연구모형, 가설 설정을 하고, 설문지 작성 및 자료 수집과 PDIE 모형을 적용한 수송기술영역 STEAM 수업설계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실증분석을 위한 신뢰성 및 타당성검정을 토대로 PDIE 모형을 적용한 수송기술영역 STEAM 수업설계 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송기술영역 STEAM 교육과정 적용은 직업기초능력 변화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수송기술영역 STEAM 교육과정 적용은 창의적 사고에 대한 변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수송기술영역 STEAM 교육과정 적용은 자기관리적 역량에 대한 변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수송기술영역 STEAM 교육과정 적용은 수송 기술영역에 대한 관심과 흥미 정도에 대한 변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섯째, 수송기술영역 STEAM 교육과정 적용은 적용능력에 대한 변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섯째, 수송기술영역 STEAM 교육과정 적용은 수업만족도에 대한 변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요 결론을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은 융합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필수적인 교육 흐름이며, 중학교 기술·가정의 수송기술영역 수업방안 등에 적용하여 학생의 흥미 증진과 융합적 사고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하였다. 둘째, STEAM 교육을 적용한 중학교 기술·가정의 수송기술영역 수업방안과 같이, 특정 영역의 체험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발적인 수업 설계와 체험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경험과 관찰을 포함하여 수업지도안을 구성하면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욕구를 고취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셋째, 과정적 측면에서 중학교 기술·가정의 수송기술영역 수업방안에서 수송수단의 프레임, 구동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등 수송 수단이 갖추어야 할 기본 요소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무엇보다 절차적 사고 능력배양과 일상생활에서의 사례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육과정에 편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넷째, 일선 학교현장에서 STEAM 프로그램이 개발하고 수업 현장에 적용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무엇보다 중학교 기술·가정의 수송기술영역 교육과정 재구성과 자료와 수업 준비의 부담 등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수업 현장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가 삶의 과정에서 접하는 수송기술의 문제를 창의적이고 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 탐색과 평가를 실천할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 lesson plan for transport technology applying the PDIE model was prepared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 effect was analyzed by performing pre-post ver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ough this, it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experience and practice on inventions, standard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ransport technology.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first,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variables used for this study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STEAM education, lesson design method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evaluation methods were examined.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for research analysis were established, questionnaire composition and data collection, and a STEAM lesson design in the transport technology area applied with the PDIE model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STEAM instructional design in the transport technology area applying the PDIE model was tested based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achieved. The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TEAM curriculum in the transport technology fiel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change in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TEAM curriculum in the transport technology are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change in creative thinki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TEAM curriculum in the transport technology fiel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change in self-management competency. Fourth,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TEAM curriculum in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are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egree of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area. Fifth,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TEAM curriculum in the transport technology fiel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application ability. Sixth,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TEAM curriculum in the transport technology are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change in class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STEAM education is an essential educational flow that can foster convergence talent, and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student interest and cultivate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by applying it to classe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ransportation technology. Second, like the class plan for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ransport technology to which STEAM education is applied, students learn by composing the instructional plan including experience and observation so that students can be connected to voluntary class design and experience through the experience of a specific area. It was determined that the desire for Third, in terms of process, it was judged that various teaching materials to understand the basic elements of transportation such as frame, driving device, steering device, and braking device of transportation means are needed in the lesson plan for transportation technology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above all else, there was a need to actively reflect cases in everyday life to which procedural thinking can be applied and organize it in the curriculum. Fourth,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e STEAM program at the front-line school field and applying it to the classroom. Most of all, I experienced the burden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transport technology fields and preparing materials and classes. This suggested the need to come up with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 classroom.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that explores, realizes, and evaluates ideas so that learners can creatively and integratively solve the problems of transportation technology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life.

      •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움직이는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지도방안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유해종 부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5

        Toda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messenger and social network service media, adolescents are actively using online face-to-face communication methods. Middle school students form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peer groups, and it is an important period during which a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psychological self-formation takes place, which is the basis for adul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is social phenomenon,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s and abilities is gradually emerging. Against this background, the researcher judg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Emoticons are used as the main tools for such non-verbal communication, and have a function of effectively conveying emotions and situation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in language with a short time and simple use, and intended to be used in a familiar way in lif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method for teaching emoticon design in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art education field, emoticons are mainly treated as a sub-classification of animation, and their importance as a visual image, which is a means of communica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this study, in order to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psychosocial self-formation, this study sought an emoticon design instructional plan by utilizing the elements of the school's internal environment. Above all, the animation and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emoticons were examined, and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fiv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were analyzed, and the instructional guidance was presented with emphasis on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and curriculum were explored, and the meaning of emoticon-related content was identified in fiv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the emoticon-related content between each textbook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extbooks, emoticons were handled in animation, in the visual image area, and the definition, type, and production method of animation, which is the principle of moving emoticons, were rather poorly written, so the teacher produced classes. I was able to have some difficulty in doing it.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cooperative learning, making our class emoticons and using our school symbols. In the first lesson, the lesson plan explained emoticons, animations and characters, and presented various patterns. In the 2nd and 3rd expressive activities, explanations and production activities of emoticon production methods were planned, and in the 4th time, 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and discussion about the results of each group were proposed. The evaluation of the clas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effectiveness in communication of completed works by teams and how much coopera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ms has been made using the team evaluation sheet. Based on this, expectations for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emoticon design instruction plan are as follows. First, the domain of art concept dissolved in life will be expanded through emoticon production activities. Second, in the emoticon design class of students, the friends and schools around them become the subject of emoticons. Through this, you will experience the enhancement of your friend's feelings and a sense of belonging to the school, 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you will share various ideas and help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ird, it reminds the importance of visual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experience of making emoticons that students use everyday. You will realize that the emoticon you used without consciousness was a visual expression activity, and you will be able to get rid of fear of art and become familiar with art subjects. Fourth, students will newly recognize emoticons, one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tools, and will help develop visual literacy. The ability to criticize various visual information will be improved by forming the ability to newly interpret various visual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socio-cultural factors. Lastly, I tried to verify the teaching guidance of this thesis by demonstrating the actual class, but due to the influence of Corona 19, the period of student training was shortened to 2 weeks, and the class was demonstrated and the questionnaire about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demonstration remained limited. To supplement this, the communication ability test tool, which was intended to be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the demonstration, was attached as a separate appendix.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experience students' experience of art and art through the emoticon design class, and that art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life will be utilized and activat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this sense, this study's emoticon design lesson plan is intend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sented an effective art education plan that can be applied to real lif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promote their personality by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with creative and free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오늘날 모바일 메신저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미디어의 급격한 발달로 청소년들은 온라인 상에서 비대면 의사소통 방법을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다. 중학생은 또래집단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통해 대인관계를 형성하며 사회심리적인 자아형성이라는 발달과업을 이루어내는 중요한 시기이며 이는 성인기의 대인관계의 바탕이 된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으로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과 능력의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자는 미술교육의 영역에서도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모티콘은 이러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주된 도구로 사용되고 있고, 짧은 시간과 간편한 사용으로 언어로 나타내기 어려운 감정과 상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생활 속에서 친숙하게 이용되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지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I장에서 이론적 근거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기의 대인관계 발달과 디지털미디어 환경, 애니메이션의 정의 및 종류, 연구자가 설정한 이모티콘의 개념 및 분류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였고, 다양한 이모티콘의 기능을 활용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밝혔다. III장에서는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중학교 교과서를 함께 분석하여 필요성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고 현행 교과서들의 애니메이션이나 이모티콘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여 ‘움직이는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 시행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IV장에서는 II장과 III장의 고찰을 바탕으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수업지도 방안으로 애니메이션의 원리 이해, 이모티콘 디자인 계획안 및 이모티콘 제작, 작품 발표 및 감상을 연계하여 4차시로 구성된 2개의 수업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지도안은 또래집단과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우리 반 이모티콘 만들기’ 수업지도안을 설계했다. 모둠별 활동을 통해 또래 친구의 감정과 재미있는 표현을 관찰하고 효과적인 표현을 하는 활동을 통해 상호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두 번째 지도안은 우리학교 상징을 이용한 캐릭터 이모티콘 수업지도안을 설계했다. 학교의 상징에 대해 생각해보고 학교의 개성을 반영하여 캐릭터 이모티콘을 만드는 모둠별 활동을 통하여 또래집단의 소속감과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이모티콘의 제작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실제 수업을 통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지는 못하였으나 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하여 친숙하게 사용되고 있는 이모티콘을 이용한 수업지도 방안을 연구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주변세계를 미적으로 인식하고 시각적으로 소통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생 미술지도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표현으로 소통능력을 향상시켜 전인적 인격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디자인 수업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미술과 교육을 중심으로

        이영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4

        교육에서 특히 예술교육은 학생들에게 자발성과 독창적인 표현력을 길러주기 때문에 창조성과 개성신장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예술교육에서 미술 교과에 포함되어 있는 디자인 교육은 창의적인 인간 육성이라는 측면에서 미적 경험을 부과하는 교육적 목적과 함께 사회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보다 편하고 안정된 삶을 살려는 인간의 욕구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디자인 교육에 있어 지적 능력이 개발되기 시작하는 미래의 주역들에게 일반화된 규칙을 주입시키는 것 보다는 자유로운 표현능력과 창조성을 자연스럽게 발전시키는 학습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조성과 자유로운 사고는 '만들고 행하는' 디자인 학습에서 개발되어질 수 있으며 중등학교의 일반교육과정에서 디자인 교육이 새롭게 체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현 디자인 학습에서는 디자인 교육이 흥미 위주로 다루어져 디자인 기초 교육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디자인 사고 과정에서의 아이디어 표출화 전개가 개념과 모방에 치우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그러한 교육은 디자인 과정에서 얻어지는 디자인적 사고, 즉 단계적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중학생들의 디자인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하여 디자인 방법론에 준거한 '디자인 프로세스' 가 디자인적 사고능력과 창의력을 체계적으로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 보고,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수업방안을 모색하여, 바람직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주안점으로 하여, 제 Ⅰ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그에 따른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제 Ⅱ 장에서는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념을 정리하고 디자인적 사고방법 그리고 디자인 프로세스가 지니는 교육적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 Ⅲ 장에서는 현행 중학교 교육과정 중 디자인교육의 목적과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디자인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Ⅳ 장에서는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디자인 프로세스를 디자인 수업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를 고찰해보고 그에 따른 수업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Ⅴ 장에서는 본 논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결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디자인 교육은 단순히 꾸미고 만드는 결과 위주의 교육이 되어서는 안된다. 2)디자인교육은 창조성 개발에 기초한 사고 기법의 훈련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3)디자인 교육은 탐구적인 과정중심의 학습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디자인 교육의 목적과 특성에 부합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세스'에 입각한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수업은 스스로 문제를 찾고 탐구하는 능동적 구체적인 활동으로 문제에 자발적으로 뛰어들고 해결하려는 자율성을 존중하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 주며 분석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디자인 수업의 효과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디자인 수업에 있어 체계적인 수업지도방안을 제안함으로서 디자인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개인의 완성은 물론, 미래사회에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길러 나가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하려는 데 있다. As the art education is set to rise the spontaneity and the original expression power to the students in the education in particular,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improvement of the originality and the personality. In such an art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the creative human raising,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education whose fine arts curricular are included is placed depending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level and the human desire that is set to make a comfortable and stable living, along with the educative objectives imposed by the aesthetic experiences. It would be desirable to adopt the learning methods set to develop in a natural way the free expression ability and the creativity rather than making cram the generalized rules to leaders of future or which the intellectual ability begins t o be developed in the design education. The creativity and free thinking is set to be developed in the learning of design such as 'making' and 'doing', and there is a reason here why design education should be adopted freshly and systematically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a of the middle schools. In the current design learning, the design education is not well carried out as it is desired in terns of the basic education dimension as it is focused too much on interest or zest mainly. This is attributable to a reason why the development of making expressing some ideas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s prejudiced to the concept and imitation. Accordingly, such an education is not set to raise design thinking that is ready to get to access on the design process namely the step-by-step creative thinking and the creative problem solution 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order to give a real help in the design learning to the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we herewith propose the ways and methods for desirable design education set to improve more effectively design-oriented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based on design methods by groping for a solution of learning methods for which design process is adopted, Accordingly this thesis treats with such major subjects. In the chapter I , the need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have been mentioned, and its research methods are set up herewith. In the chapter Ⅱ in order to help understand regarding design process, we have set out the design concept and in this connection have reviewed the education values and needs for which design oriented thinking methods and design process are involved. In the chapter Ⅲ, I have presented the directions of the design education headed fo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design education objectives and the current situation among the current middle school education curricula. In the chapter Ⅳ, we have reviewed how to apply the design process to the design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design process theory and we herewith propose some learning guidance and ways concerned about this. In the chapter Ⅴ, the conclusions are presented as follow through this thesis. The contents of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design education should not be focused just only to the results which are set to just 'decorate 'simply and 'make' something. 2) Laying emphasis on the training of thinking techniques set to develop the creativity should carry out the design education, 3) The design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basis of an investigation oriented process learning 4) In order to respond to the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education, we hereby would propose some learning models based on "design process". Design process applied learning is an effective design learning way by having analytic access to the analytic to a self control learning as a positive and concrete activity set to look for and get into spontaneously the problems to solve. As seen in the above, this study aims at removing any Iack in raising the temperament and ability set to play a major role in the future society, not t o mention the completion of the individual of the design educated students by proposing systematic leaning guidance methods in the design learning.

      • 중학교 혼성학급의 효율적인 체육 수업방안 연구 : 고양·파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승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4

        본 논문은 산업사회와 정보화 사회의 급변하는 사회 구조속에서의 교육분야 또한 많은 변화중 현재 전국적으로 특히, 경기도내 중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남녀공학 학교내 현직 교사들의 혼성 체육수업에 대한 의식과 현재 수업내용의 현황 조사, 혼성반 수업의 특성에 맞게 규칙 및 시설 수정 소요, 혼성 체육수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체육 수업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자각하며 필자는 가능한 많은 지역과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려 하였으나 많은 제한점으로 경기도내에 위치한 고양시와 파주시를 연구대상으로 5점 Likert식 평정척도법과 오지선다형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가지고 SPSS 1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도구를 가지고 현직 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혼성 체육수업에 대한 의식 조사결과 혼성수업으로 인해 학생들의 예절바른 행동, 이성에 대한 이해 증진, 개성의 위축에 미치는 영향, 혼성수업의 필요성, 지적영역의 수업효율성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둘째, 수업내용의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론과 실기수업 구성의 비율에서 응답자의 다수가 실기 비율이 높다고 답하였으며, 혼성반 특성에 맞게 이론 수업의 내용을 따로 구성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필요성에 대해 느끼지 못하였다. 또한 현재 혼성반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종목은 구기, 체조, 육상, 무용, 수영 순 이었다. 셋째, 혼성반 수업의 특성에 맞게 규칙 및 시설 수정의 필요성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여 경기규칙 및 시설의 수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넷째, 혼성 체육수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중 문제점으로는 남녀 학생의 체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교사의 평가의 어려움, 남녀 신체능력의 차이, 용구부족 등 이었다. 이에 대한 개선사항으로 시설부분은 체육과 건립과 성차에 따른 실기종목 지도, 체육교사 지도방법 개선, 학교별 남녀교사의 적절한 배치 등으로 응답하였다. 요컨데, 지금까지 내용으로 보아 중학교 혼성 학급의 효율적인 체육수업 방안으로 몇가지를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정책 당국의 교육과정 입안시에 남녀혼성 체육수업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과서 내에 세세하고 현실적인 내용을 게제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교사들의 수업연구를 도와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경험의 일선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남녀 학생이 서로를 의식하지 않고 자신이 가진 실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공평하고 획기적인 교사들의 평가 방법 개선이 필요하며, 학교 주변 시설(체육관, 스포츠 센타 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당국의 실질적인 노력, 그리고 가정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올바른 행동방식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는 사고를 길러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보완한다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교수 방법과 수업도구를 개발하고 중학교에 대한 국한적인 연구보다는 초 · 중 · 고등학교를 총체적으로 조사하여 비교한다면 조금 더 나은 혼성 학급의 효율적인 체육수업 방안이 마련 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efficient physical education class as related to coeducational middle school in Kyonggi-Province. The subjects are selected by two different area in Kyonggi-province, Koyang-si and Paju-si.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 research was used as th instrument.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from the research developed Kang, hak-joo(1994) which is about coeducational physical education. And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with the Cronbach'α.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a total of 200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data from the questionnare were analyzed by SPSS 11.0. The ANOVA was also made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coed class, etc.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earch method and processes, and n the basis of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As the result of sense research on coed physical class, coed class is very useful to improvement of class efficiency. 2. In consequence of research on class contents, most of respondents think the rate of practice is high. 3. Over the half of respondents think the revision of rules and facilities is not necessary. 4. The point at issue is the understanding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physical education. Som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for coed physical class is required. 2.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 evaluation. La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ider practical questionnaire that suits the coeducational circumstances of Korea.

      •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자 중심의 향토사 수업 방안 : 진주 지역을 중심으로

        김경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83

        "History" is "historical knowledge interpreted from the past" as well as "historical facts". So learning history, we should know not only historical facts but also historical knowledge interpreted from the past and the process of pursuing the knowledge. To induce historical knowledge from the past, we should be interested in history and have the way of thinking historically, which is called "historical recognition",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n achieving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take part in history investigation in class more actively. That is, "learner-centered learning" is needed in order to approach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n this thesis, I want to study "local history learning" in two terms, which are "learner-centered learning" and "computer-used history learning" focused so much nowadays. In the end with these two terms, I'd like to investigate "learner-centered local history class using computers". There have been so many research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history education by using computers. But in these researches, computers have been used only for presenting some material aiding textbook or repeating some facts. To make best use of educational functions of comput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functions of media of computers, and to plan the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s and the features of history education, which strengthen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mputers. Meanwhile, the educational function of computers means 'hypertext function' and 'interactive environment function'. First, 'hypertext function' gradually helps the rise of thinking ― it is called "the recognition process of thinking"― according to the stream of learners' thinking. So students themselves can train the process of searching, analysing, interpreting the information and then producing new historical knowledge. Second, the other educational function of computers is 'interactive environment function', which means learners can interact one another beyond time and space, constructing interactive surrounding on Web. This function enables students to exchange much information, converse each other and discuss freely, avoiding closed and authoritative learning environment. With this function, students can present historical interpretation freely.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maturity of their thinking and the objectiveness of history interpretation can be naturally examined. "Local history learning" is one of methods which have been researched so actively these days. In fact, "local history learning"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to, in that students can accumulate the pre-experiences to perform history research process and approach history itself by investigating their local history, But most of all, there are two reasons that local history learning is considered suitable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First, "local history learning" enables students to accumulate pre-experiences for history class and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from data collection to learning. Second, "local history learning" gives students who don't develop abstract learning ability both the development of recognition ability and the effects of affectionate experience through learning material and familiar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local history learning" gives students love for their local town, and deeper understanding about local histo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history learning and to approach the purpose of historical education of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by adding "computer-used history learning" to "learner-centered learning" about "local history learning". Above all, I examined theoretically how the history class using computers and local history learning can be learner-centered learning and then reconstructed local history materials used in actual teaching. I also presented teaching layout and actual teaching plan, using educational function of computers. I hope my little effort can give some help in "local history learning" and "computer-used history class". ‘역사’란 ‘과거의 사실’ 뿐 아니라 ‘과거에서 읽어 낸 사실’까지도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역사를 배울 때는 ‘과거의 사실’과 과거의 사실에서 해석해 낸 ‘역사적 지식’과 그 지식을 이끌어 내는 과정까지도 배워야 한다. 과거의 흔적에서 역사적 지식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역사에 관심을 갖고 역사적으로 사고하는 태도와 능력이 필요한데, 이것을 ‘역사의식’이라 부르며 역사 교육의 목적이 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탐구하는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역사 교육의 목적에 보다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그래서 최근 중요성이 논의되고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역사 학습’과 ‘향토사 학습’을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두 학습 방안을 접목시켜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자 중심의 향토사 수업 방안’으로 모색해 보고자 한다. 컴퓨터를 이용한 역사 수업의 효용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대부분이 컴퓨터를 단순히 텍스트의 내용을 보조해 주는 자료 제시나 반복 학습용으로 이용하는 도구로만 이용하고 있을 뿐이었다. 컴퓨터의 교육적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매체적 기능을 이해하고 그 기능의 특성과 역사 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할 때 컴퓨터의 교육적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컴퓨터의 교육적 기능으로 들 수 있는 것은 ‘하이퍼텍스트 기능’과 ‘상호환경’기능이다. 하이퍼텍스트 기능은 학습자의 사고의 흐름에 따라 단계적으로 사고의 상승 (이것을 사고의 인지적 과정이라 부른다)을 도와준다. 학생 스스로가 하이퍼텍스트 기능에 따라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하고 해석해서 새로운 역사 지식을 생산해 내는 훈련을 쌓게 되며 독창적 역사 해석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컴퓨터의 교육적 기능은 상호작용 기능인데 이것은 웹상에 상호작용환경을 구축해 놓고 학습의 주체들끼리 시 · 공간을 초월하여 교류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이 기능으로 학생들은 폐쇄적이고 권위적인 학습 공간을 벗어나 개방적인 환경 속에서 수많은 정보를 교환하고 대화하며 토론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자유로운 역사적 해석을 발표할 수 있으며 사고의 성숙을 가져올 수 있다. 향토사 학습도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역사 학습의 한 방안이다. 향토사 학습은 학생들이 자기 고장의 역사를 직접 탐구함으로써 역사 연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선행 경험을 축적하여 역사 그 자체에 접근할 수 있는 학습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향토사 학습은 다음의 두 가지 이유로 ‘학습자 중심 학습’의 훌륭한 학습방안이라 여겨진다. 첫째, 향토사 학습은 학생들에게 역사 수업을 위한 선행 경험을 쌓게 하고, 자료 수집에서부터 학습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의 주도적인 수업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둘째, 향토사 학습은 추상적 학습 능력이 미발달한 학생들에게 구체적 학습 자료와 친숙한 학습 환경의 조성으로 인지적 능력의 발달과 정의적 체험의 효과를 동시에 가져온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컴퓨터를 이용한 역사 수업과 향토사 학습을 ‘학습자 중심 학습’ 방안으로 접목시켜 역사 의식의 함양이라는 역사 교육의 목표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어떻게 역사 수업의 효용성을 기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컴퓨터를 이용한 역사 수업과 향토사 학습이 어떻게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향토사 자료를 수업에 이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한 다음 컴퓨터의 기능을 이용하여 수업 설계와 실제 수업 계획까지 구상하여 보았다. 이 작은 노력이 향토사 학습과 컴퓨터를 이용한 역사수업에 한 보탬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 pestalozzi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가창수업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전주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가창은 음악교육이 이루어지는데 있어서 다른 음악영역의 활동에 비해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음악적 활동일 뿐만 아니라 대중가요의 발달로 인해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접하는 기회가 많은 영역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학교 음악교육은 언어·수학·외국어 등의 주요과목으로 편향된 수업시수와 비교과 과목을 등한시 하는 교육풍토로 인해 외면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학교 음악교육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며 흥미로운 가창 학습지도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효율적인 가창 학습지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18세기말부터 19세기 신인문주의의 대표적인 교육학자 J. H. Pestalozzi가 제시한 학습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신인문주의 교육사조와 음악교육사상, 2015 개정 교육과정, 가창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 가창수업의 효율적인 학습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자면 첫째, 교육학자 Pestalozzi의 학습이론 적용을 위해 생애와 교육사상 그리고 음악교육원리를 고찰하였으며, 둘째, Pestalozzi의 교육사상에 영향을 준 신인문주의 시대의 교육사조와 교육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새롭게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넷째, 가창학습지도방안의 중요성과 방법을 신체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자세하게 모색하였으며, 그에 따른 효율적인 가창 학습지도방안을 함축하여 제시하였다. 다섯째, 앞서 제시한 이론적 배경과 페스탈로치의 학습이론(참여와 감각, 체계적인 훈련, 소리모방, 가사의 교련)을 적용하여 작곡가와 작사가를 분석제시 하였으며, 악곡에 대한 완벽한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악곡의 이해를 제시하였다. 또한 올바른 가창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제재곡마다 그 곡의 특징에 따른 가창 시 유의할 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본 연구의 가창 학습지도방안을 실제 중학교 3학년 수업에 적용한다면, 2020년부터 시행될 2015개정 음악 중등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가창 학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ed to other areas of music education, singing seems to be an activity to which student’s approach is relatively ease and familiar as well as an area in which students have firsthand interest and many opportunities of contact due to the development of popular music. However, school music education in these days cannot attract people’s attention because lesson hour is biased to such major subjects as Korean language, math and foreign languages and educational culture neglects extracurricular subjects.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efficient and interesting teaching plan for singing in school music education, thus making students take interest in it. In order to examine an efficient teaching plan for the singing lesson of middle school third-year students, this study looked into neo-humanist trend of education and idea of music education, revised curriculum in 2015 and the importance and method of singing, based on representative neo-humanist educator J. H. Pestalozzi’s learning theory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detailed procedures: First, in order to apply educator Pestalozzi’s learning theory, his life, educational idea and music education philosophy were examined. Second, The educational trend and idea in the age of neo-humanism, which had much influence on Pestalozzi’s educational idea, were looked into. Third, revised curriculum in 2015 was analyzed and then a teaching plan was worked out. Fourth, the importance and method of teaching plan for singing were closely examined in physical/cognitive aspects, thus presenting an efficient teaching plan for singing implicitly. Fifth, by applying theoretical backgrounds, examined above, and Pestalozzi’s learning theory (participation and sense, systematic training, voice imitation and lyrics drill), composers and lyricist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e understanding of music, thus trying to understand songs completely. In addition, in order for teachers to carry out a correct teaching of singing, attention remarks for every thematic song were presen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ngs. In conclusion, if this study’s teaching plan for singing is applied to the singing lesson for middle school third-year students, it will provide much help to a systematic singing lesson and satisfy the secondary music education requirements of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at will be operated in 20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