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작성 선별검사도구,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ASQ)의 신뢰도 및 유용성 연구 : 16개월, 20개월 질문지를 대상으로

        문현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영 유아 발달평가도구인 ASQ 선별도구의 신뢰도 및 그 유용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ASQ는 4개월에서 48개월까지 11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는 부모작성형 선별도구로 이 연구에서는 16개월과 20개월용 질문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16·20개윌 ASQ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1) 내적 일치도는 어떠한가? 2) 검사 - 재검사 신뢰도는 어떠한가? 둘째, 16·20개월 ASQ의 유용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무작위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도에 거주하는 14개월부터 22개월유아 231명이고, 연구도구는 16개월, 20개월용 ASQ 질문지와 신상조사서 및 유용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분석을 위하여 신뢰도 여부는 내적 일치도의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질문지 사이의 일치정도를 상관관계로 분석하였으며, 질문지의 유용성 여부는 빈도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내적 일치도 분석은 개월별 내적 일치도와 질문지 영역간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는데, 5개 영역 중 20개월의 큰운동을 제외한 영역의 내적 일치도는 수용적이며, 질문지 영역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보다 더 효율적인 선별 체계로서의 기초 확립을 위해서는 소수의 몇 영역의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20개월의 큰운동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0.8이상의 높은 신뢰도 값이 나타나 가치가 있는 선별도구로서의 잠재성을 보여 주고 있다. 셋째, 유용성에 대한 검사는 ASQ 질문지를 작성하는 것이 유아의 초기 발달에 대한 부모의 지식이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 작성에 따른 소요시간 및 부모가 인지하는 질문지의 적절성에 대해 문항별 분석을 하였는데, 질문지 작성시간은 10분 내외로 나타났으며 부모와 이 질문지를 사용하는 관계자들은 질문지가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인식함으로 만족도를 나타냈다. 또한 질문지를 이해하고 답하는데 거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유용성을 더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ASQ selector which is used as the means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fant and child. The ASQ selector consists of 11 series from 4 month old infant old to 48 month and is the form which their parents should fill in.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questionnaires for 16 month and 20 month child and as follows; First, how much is the ASQ reliability of 16 month and 20 month? 1) How much is the degree of inner coincidence? 2) How much is the reliability of exam-reexam? Second, how much is the availability of ASQ for 16 month and 20 month?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children from 14 month child to 22 month sampled at random among children who lived in Kwangju city and Cheolla-Do. The means of the study were ASQ questionnaire for 16 month child and 20 month, inquiry sheet for a personal matter and availability questionnaire. The Cronbach’s Alpha which showed the degree of inner coincidence was used for reliability in analyzing the matter of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exam-reexam correl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coincidence between first questionnaire and second questionnaire and the avail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determined by analyzing data using the rate of frequency. The result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inner coincidence to find out the reliabil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nthly inner coinciden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questionnaire. The degree of inner coincidence of the areas except the large excercise for 20 month child among 5 areas was acceptab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questionnaire was positive in general and the further study for a few area was required to be established as more effective system of selection fundamentally. Second, the reliability of exam-reexam showed the high value over 0.8 in general in the other areas except the large excercise for 20 month child and the value showed potentiality which could be used as the valuable selection means. Third, the exam of availability was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filling in ASQ questionnaire had an effect on parents’ knowledge and attitude for an infant’s earl development. The time spent in filling in questionnaire and the appropriateness of questionnaire which parents recognized were analyzed by the question. Approximately 10 minutes was spent in filling in the questionnaire, and parents and participant using the questionnaire thought that the questionnaire was proper and satisfactory. It also was useful that they had littl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answering the questionnaire.

      • 부모작성 선별검사도구,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ASQ)의 신뢰도 및 유용성 연구 : 24개월, 30개월 질문지를 대상으로

        오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발달평가도구인 ASQ 질문지의 신뢰도 및 유용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ASQ는 4개월부터 48개월까지 11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는 부모작성형 선별도구로 이 연구에서는 24개월과 30개월용 질문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체는 다음과 같다. 첫째, 24개월, 30개월용 ASQ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질문지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1) 내적 일치도는 어떠한가? 2)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어떠한가? 둘째, 24개월, 30개월용 ASQ의 유용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유무와 관계없이 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에 거주하는 22개월부터 33개월 유아 256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고, 연구도구로는 ASQ 질문지 24개월, 30개월용과 개인신상조사서 및 유용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여부는 내적 일치도의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질문지 사이의 일치정도를 상관관계로 분석하였으며, 질문지의 유용성 여부는 빈도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내적 일치도 분석은 24개월의 문제해결 영역, 30개월의 작은 운동 영역과 문제해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영역에서 보통 이상의 내적 일치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지 영역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선별체계로서의 확립을 위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결과를 보면 첫 번째와 두 번째 질문지 사이의 일치정도가 높게 나타나 선별도구로서의 잠재성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유용성에 대한 검사는 ASQ 질문지 작성에 따른 소요시간은 평균 10분 내외로 나타났으며, 질문지를 이해하고 답하는데는 어려움을 겪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들이 질문지 작성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Ages & Stages Questionnaires(ASQ) as an evaluation tool for infant and early-childhood development. ASQ is a selective tool designed to be filled out by parents and consists of 11 series ranging from 4-month to 48-month infa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questionnaires for 24-month and 30-month infants. The assignments of this study can be listed as follows: First, how much reliable are the ASQs for 24-month and 30-month infants? 1) How much is the internal consistency? 2) How much is the test-retest reliability? Secondly, how much available are two ASQs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udy, total 256 infants with their age ranging from 22 to 33 months were sampled from infants in Gwangju Metropolitant City and Jeonnam·Jeonbuk Province, whether they had impediment or not. As a research tool, two ASQs for 24-month and 30-month infants, a personal information survey and an availability questionnaire were used respectively. To examine these assing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reliability of two ASQs by using a Cronbach’s Alpha of internal consistency. F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consistency between two ASQs in the level of their correlation. The availability of two ASQ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internal consistency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wo ASQs showed that there were internal consistencies beyond normal level in all areas except for the solution area of 24-month infants and the slight movement area and the solution area of 30-month infants. In genera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ective areas of ASQ. However, it is necessary to perform follow-up studies to establish those correlations as a formulated selective system. Secondly, the results of test-retest reliability showed that there were high consistencies between two ASQs, which unpiles the potential as a selective tool. Finally, the results of availability test showed that it took 10 minutes or less on average to fill out ASQ. Meanwhile, respondents had littl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answering given questionnaires, and showed very high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questionnaire survey.

      • 부모작성 선별검사도구,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ASQ)의 공인 타당도 연구 : 24개월, 30개월 질문지를 대상으로

        임인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발달 평가도구인 ASQ 질문지의 기준점과 공인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ASQ는 4개월부터 48개월까지 11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는 부모작성형 선별도구로 이 연구에서는 24개월과 30개월용 질문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Q 24개월과 30개월 질문지의 기준점(cutoff point)은 무엇인가? 둘째, ASQ 24개월과 30개월 질문지의 공인타당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유무와 관계없이 광주광역시, 전남에 거주하는 22개월부터 33개월 사이의 유아를 대상으로 기관의 교사 도움을 받거나 가정에 있는 유아를 직접 방문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24개월과 30개월용 각각 40명씩 총 80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인적사항 조사용 질문지, ASQ 24개월, 30개월 질문지와 DAYC, K-DD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Q의 24개월과 30개월의 기준점을 알아본 결과, 각 영역과 표준편차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나타냈으며, 24개월의 기준점에서 큰 운동이나 문제해결영역을 제외한 3개 영역 중에서는 개인-사회성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30개월의 기준점에서는 의사소통, 큰 운동, 작은 운동 영역에서 33.00이상의 점수로 나타났다. 둘째, ASQ의 공인타당도의 결과로는 24개월의 의사소통, 작은 운동, 개인-사회성 영역과 30개월에서의 5개 영역 모두 80% 이상의 타당도를 보였다. 하지만 24개월 ASQ의 큰 운동과 문제해결 영역에서 보다 효율적인 선별체계로서의 기초 확립을 위해서는 장애의 위험이 있거나 기준점의 경계선상에 있는 다양한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기준점과 공인타당도를 나타내는 후속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cutoff points and certified validity of ASQ(Ages & Stages Questionnaires) as an evaluation tool for infant and early-childhood development. ASQ is a selective tool designed to be filled out by parents and consists of 11 series ranging from 4-month to 48-month infa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questionnaires for 24-month and 30-month infants. The assignments of this study can be listed as follows: First, which are the cutoff points of 24-month and 30-month ASQ respectively? Secondly, how much is the certified validity of 24-month and 30-month ASQ respectively? In this study, total 80 infants(40 for 24-month ASQ and 40 for 30-month ASQ) with their age ranging from 22 to 33 months were sampled from infants in Gwangju Metropolitant City and Jeonnam Province, whether they had impediment or not.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helps from organizational instructors or by means of the direct visit to infants at home. As a research tool, personal information survey, 24-month and 30-month ASQ, DAYC and K-DDST were use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cutoff points of 24-month and 30-month ASQ showed that there were more or less differences depending upon each area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cutoff points of 24-month ASQ, personality-sociality area marked highest score of all three areas except for heavy movement area or solution area. For the cutoff points of 30-month ASQ, communication area, heavy or slight movement area marked a high score over 33.00 respectively. Secondly,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certified validity of ASQ showed that 3 areas in 24-month ASQ(such as communication, slight movement and personality-sociality) and all 5 areas in 30-month ASQ had high validity over 80% respective]y. Nevertheless, the cutoff points could not be illustrated only for general infants in two areas of 24-month ASQ such as heavy movement and solution. Moreover, the certified validity could not be easily illustrated as well in this case. For establishing a foundation as more efficient selection system, it is required to perform follow-up studies showing cutoff points and certified validity by sampling various infants who have potential risk of impediments or are located on the boundary of cutoff points.

      • 부모작성 선별검사도구,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ASQ)의 공인 타당도 연구

        문정숙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79

        선별도구의 특징은 쉽고, 빠르고, 많은 영유아에게 이용하므로 경제적이어야 한다. Age & Stages Questionnaires(ASQ) (Bricker, Mounts, Squires, 1995)는 미국에서 개발된 부모 작성형 평가 도구로서 날로 늘어나는 장애아나 장애 위험성이 있는 유아를 부모들이 자녀들의 발달을 모니터 하는데 유용하며 부모들이 빠른 시기에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다른 많은 번역된 도구와 마찬가지로 우리 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한 기준점 및 기타 기술적 연구가 되어있지 않아 기술적 연구의 필요성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ASQ의 36개월과 48개월 질문지에 대한 기준점과 공인 타당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6개월과 48개월 ASQ의 기준점(cutoff point)은 무엇인가? (1) 36개월 질문지의 기준점 점수는 무엇인가? (2) 48개월 질문지의 기준점 점수는 무엇인가? 2) 36개월과 48개월 ASQ의 공인 타당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시내 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36개월과 48개월의 유아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도움을 받아 '유아 및 가족 신상정보 기록지'를 가정으로 발송하여 회수된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의 참여의사를 확인한 후 36개월 40명과 48개월 40명씩 80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Age & Stages Questionnaires (ASQ), (서울 장애인 종합 복지관, 1996)와 Korean-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K-DDST), (이근, 1990)를 이용하였다.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통계 SAS 6.12와 ASQ의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동시측정도구로 K-DDST를 이용하여 각 영역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조합하여 사용하였으며 ASQ의 문제해결 영역은 K-DDST에서 비교할 수 있는 영역이 없어 K-DDST의 4개 영역 중에서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언어영역을 문제해결 영역과 비교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Q System의 타당도 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타당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믿을만한 선별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36개월과 48개월의 공인 타당도는 이 연구에서 ASQ의 36, 48개월의 질문지가 높은 타당도를 보여주고, 표준화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이 다양하지 못하여 36개월의 의사소통영역과 48개월의 작은운동 영역의 기준점이 나타낼 수 없었고 도구의 제한점은 K-DDST는 우리나라에서 표준화된 도구중의 하나이나 영역에 있어서 ASQ의 문제해결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없어 다른 표준화 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연구의 제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공헌점을 보면 제한적 이나마 우리 나라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기준점이 밝혀지고 타당한 평가도구로서의 초석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ASQ가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몇가지 제언을 덧붙이면 특수교육의 현장뿐만 아니라 발랄지체의 위험이 있는 유아들을 상대로 전국적으로 많은 대상을 표집하여 다양하게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질문지의 효율성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ASQ의 다른 질문지에 대한 다양한 형식과 구성에 적용되도록 계속적인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A screening test should be easy to use, be on a short-term basis, and be economical, as it's used for a lot of infant and young children. The Age & Stages Questionnaires(ASQ: Bricker, Mounts., and Squires, 1995) is a rating scale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that parents fill out. This test is designed for parents to check out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o find out if their children is actually disabled or vulnerable to any type of disability, as there are increasing children with handicap or disability. That is effective and economical, making it possible for parents to make an easy assessment on a short-term basis. Though its recent Korean version translated by the Seoul General Welfare Agency for the Disabled is in use, more researches are urgently required, since like a lot of other translated test instruments, there are few descriptive studies on its use for preschoolers in our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examine the cutoff poin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ASQ for month age 36 and 48.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he cutoff point of the ASQ for month age 36 and 48? 1) What is the cutoff point score of the ASQ for month age 36? 2) What is the cutoff point score of the ASQ for month age 48? 2. What i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ASQ for month age 36 and 48?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reschoolers of month age 36 and 48 who were attending a private kindergarten and a children's house in the city of Kwangju. The teachers at the two institutes helped me to ask the parents of the young children by mail to give personal information 011 their family members including young child. After their willingness to join the study was confirm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80 preschoolers were selected: 40 of month age 36 and 40 of month age 48.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ASQ by the Seoul General Welfare Agency for the Disabled(l996) and Lee Geun(1990) s Korean-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K-DDST). The latter was employed to test the concurrent validity. For data analysis, SAS 6.12 was utilized.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AS& for month age 36 and 48, it turned out highly valid in general. It was a good example of an economical and valid screening test to which parents give answer. Seco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descriptive researches on its use for the other month age groups(month age 4, 8, 12, 20, 24, and 30) to determine if it suits the situation in our country. Third, more researches are needed in the future regarding this study, as the cutoff points of month age 36's communication area. and month age 48's minor motor area weren't identified because all. the subjects made normal development. As discussed above, a larger, various range of young children, who are already committed to special education and vulnerable to any type of developmental retardation, should be selected from nationwide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SQ and encourage its right, effective use.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s for the other month age groups should be standardized for more successful application.

      • 선별검사 도구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우울을 측정하는 지식의 형성, 1993~2011 한국

        김민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27

        This paper examines how the knowledge of measuring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was formed in South Korea between 1993 and 2011.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value of depression prevalence rate, which is often cited in various depression studies and media articles. To this end,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screening tool for large-scale mental disorders epidemiologic study was developed and how this tool was applied in actual studies. Two contex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screening tool in South Korea. First, since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in 1995, the national mental heath policy put more emphasis on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than institutionalization-based psychiatric services.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policies with deinstitutionalization aim to detect mental disorders in the early phase to help people utilize mental health services. This transformation called for the need to survey mental disorder status in a national scale. The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was the first to be developed for this large-scale investigation. Second, in the early 2000s, South Korea was infamous for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OECD countries.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the Nationa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twice. The Nationa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made the task to screen potential depression patients as a high-risk suicide group crucial, pointing to depression as the cause of suicide. Screening tools are divided into two kinds, one for diagnosing depression and the othe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epressive symptoms. Although the tools to measure the degree of depressive symptoms cannot make clinical diagnosis by itself, its simplicity leads people to use the tool to diagnose depression online and offline in forms of media articles, epidemiologic surveys, and self-examination question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diagnosis in epidemiologic study is tentatively held only to identify risk groups and guide them to be given appropriate treatment. The diagnosis is not a formal diagnosis made by a clinical physician.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process of translating depression screening tool. In result, this paper shows that depression experienced by Koreans was not fully considered nor translated, but rather the questions in English were translated into Korean only on a linguistic level. After translati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can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how the cut-off score is placed. The cut-off score may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and even within the same country, it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epidemiologic study. Combining the discussion above, this paper argues that the knowledge of measuring depression is not solid. The diagnosis of depression and the measurement of depressive symptoms often confused, and the prevalence rate itself can be coordinated contingently on a specific temporal, social, and disciplinary context. "Why doesn't the suicide rate decrease as the number of patients treated for depression increases?" "Why do men commit suicide more than women, when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depression than men?" These questions are hard to answer. I believe that looking into the process of how these figures were produced will give us clues to solve these difficult problems before fully understanding what the value of depression prevalence means in Korean society. It is because the cause of these problems may be linked to the production of depression knowledge itself. In this regard, a critical analysis on the process of producing knowledge of depression is meaningful in that one can reflect on who we have been paying more attention to and who we have forgotten, and decide where to intervene. 본 논문은 1993년부터 2011년 사이 한국 사회에서 우울을 측정하는 지식이 형성된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규모 정신질환 역학조사를 위해 우울증 선별검사 도구가 개발된 배경과 적용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언론 기사를 비롯해 다양한 우울증 연구에 자주 인용되는 우울증 유병률 값의 형성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울증 선별검사 도구가 개발되는 데에 두 가지 맥락이 있었다고 보았다. 첫 번째는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 이후 한국의 정신보건정책이 수용 중심의 정책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 정책으로 전향한 것이다. 지역사회 정신보건정책은 탈원화(deinstitutionalization)와 함께 정신질환을 홍보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정신 의료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둔다. 이에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질환의 실태를 대규모로 조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대규모 조사에 앞서서 개발되어야 할 것이 우울증 선별검사 도구였다. 두 번째 맥락은 OECD 자살률 1위 국가라는 오명과 함께 한국 사회에서 자살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2000년대 초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 자살예방종합대책의 실시다. 자살예방종합대책은 자살의 원인으로서 우울증을 지목하면서 자살 고위험군으로서 잠재적인 우울증 환자를 선별해내는 일을 중요한 과제로 만들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염두에 두면서 우울증 선별검사 도구의 개발 과정을 분석하였다. 선별검사 도구는 우울증을 진단하는 도구와 우울감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나뉜다. 본 논문은 우울감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는 우울증상군을 가려내는 것으로 임상 진단과는 다름에도 불구하고, 우울감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가 우울증을 진단하는 도구보다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단순하여 역학조사를 포함해 언론 기사나 지역구 정신건강센터의 자가검진 테스트 문항 등에서 마치 우울증을 진단하는 도구처럼 혼동되어 쓰인다는 점을 보였다. 또한, 진단 도구라고 하더라도 역학조사에서 이루어지는 진단은 어디까지나 잠정적인(tentative) 것으로, 위험군을 가려내 치료로 인도하기 위함이지 임상 의사에 의해 내려지는 정식 진단이라고 볼 수 없다. 더불어 본 논문은 우울증 선별검사 도구가 번역되는 과정이 한국인이 경험하는 방식의 우울이 충분히 고려되었다기보다는 영어로 이루어진 문항이 한국어로 번역되는, 어의적인 차원의 번역에 그쳤다는 점도 보였다. 또 번역 이후 선별검사 결과 점수에서 몇 점까지를 우울증이라고 볼 것인지에 따라, 즉 최적절단점(cut-off score)을 어떻게 둘 것인지에 따라서 우울증 유병률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이 값은 국가마다 달라질 수 있고, 또 같은 국가 안에서도 역학조사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다양한 글에 문제없이 인용될 만큼 우울을 측정하는 지식이 객관성을 확보한 단단하고 고정된 지식이 아니며, 우울증의 진단과 우울 증상의 측정이 혼동되기도 하고, 유병률 자체가 목적에 맞게 조율되기도 하는 등 특정한 시공간적 배경과 연구 목적에 따라 구성되는 값이라는 점을 보였다. 우울증 유병률 값이 한국 사회에서 어떤 의미인지 해석하기 이전에 해당 수치가 생산된 과정을 들여다보는 것은 기존에 풀기 어려웠던 문제(우울증 치료 환자는 늘어나는데 어째서 자살률은 줄어들지 않는가?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에 취약한데 왜 남성이 더 많이 자살하는가? 등)의 실마리를 우울증 지식의 생산 그 자체에서 찾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를 통해 그동안 우리가 누구에게 더 주목해왔는지, 또 누구를 잊었는지를 성찰하고 어디서 개입할 수 있을지를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韓國語版 地域社會 痴매選別 檢査道具(CSID-K)의 開發

        정태길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33325

        목적 Community Screening Interview for Dementia(CSID)는 여러 인구집단에서 교육수준 및 문화적 차이에 관계없이 치매를 신뢰성 있게 선별할 수 있는 검사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지역사회 거주노인들에서 치매를 선별하기 위하여, 또 향후 한국어를 사용하는 세계 여러 지역 거주노인들을 대상으로 청문화적인 치매역학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선행작업으로서 '한국어판 지역사회 치매선별 검사도구(Korean version of CSID, 이하 CSID-K)'를 개발하는데 있다. 방법 국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치매 환자군 및 3개 대조군(우울증, 유학력, 무학력)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CSID-K를 적용하였고 인구학적 특징, 우울중의 존재여부 등을 평가하였으며 또 MMSE-K, GMS B3-K organicity를 이용한 인지기능 평가도 실행하였다. 결과 CSID-K의 반분 신뢰도(Guttmans' split half), 내적 일치도(Cronbach's α), 그리고 조사자간 신뢰도 및 검사-재검사(2주일) 신뢰도는 우수하였다. CSID-K 점수와 MMSE-K, GMS B3-K organicity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CSID-K 점수는 치매 환자군과 대조군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urve로 측정한 CSID-K의 치매선별 수행능력은 우수하였다. 그러나 최적 절단점수는 외국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결론 CSID-K는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이면서도 교육수준과 같은 피검자의 변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치매환자를 조기에 쉽고 정확히 발견할 수 있는 평가도구였다. 따라서 이 도구는 지역사회 뿐만 아니라 임상 실제에도 유용할 것으로 본다. Objectives Community Screening Interview for Dementia (CSID) is a reliable screening instrument for dementia, irrespective of educational level and cultural differences among various population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CSID (CSfD-K) ⅰ) for screening of dementia in community dwelling Korean elders, and ⅱ) as a pilot study for future cross-cultural epidemiological studies in world wide Korean speaking old people. Methods Study sample consisted of a dementia patient group and three control groups (depression, education, no education), each of them was composed of 30 community dwelling elders. CSID-K was administered,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measured b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and Korean version of Geriatric Mental State Schedule(GMS B3-K) organicity were investigated. Results Split half reliability (Guttmans'),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and interrater and test-retest (two weeks) reliabilities of the CSID-K were excellent. Scores on the CSID-K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MSE-K and GMS B3-K organicity. In addition, scores on the CSID-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ementia patient group and three control groups. Screening performance far dementia of the CSID-K estimated by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urve was excellent. However, optimal cut-off points were inconsistent with previous results from foreign studies. Conclusions CSID-K wa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screen dementia in Korean community dwelling old people. It could be used not only in community settings but also in clinical settings.

      • 장애 위험 영유아 발달 조기 선별도구 분석

        김도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개발되거나 표준화된 장애 위험 영유 아 조기 선별도구들의 전반적인 특징과 양호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와 부모가 적절한 선별도구를 선택하여 자녀의 발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영유아 발달 선별도구의 전반적 특징은 어떠 한가, 둘째, 영유아 발달 선별도구의 실시방법은 어떠한가, 셋째, 영유아 발달 선별도구의 평가 기준은 어떠한가, 넷째, 영유아 발달 선별도구의 양호도는 어 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주요 검색어를 사용하여 국내 학술 연구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문헌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위험 영유아 발달 선별도구의 전반적 특징은 대부분 외국에서 개 발된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대상연령은 주로 출생 직후부터 78개월 까지 다양하게 포함되었다. 전반적인 발달영역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도구가 각각 33.33%로 가장 많았다. 의사소통 및 사회정서 영역은 각각 13.33%, 자조 기술영역은 6.7%로 가장 적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위험 영유아 발달 선별도구의 실시방법은 부모작성형 설문지가 가 장 많이 사용되었고(61.11%), 교사 관찰과 전문가 평가도 중요한 방법으로 나타 났다(11.11%). 셋째, 장애 위험 영유아 발달 선별도구의 평가 기준은 대부분 부모 및 양육자 가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2점 또는 3점 척도로 설계되었다. 이는 평가의 효율 성을 높이기 위한 설계로 해석된다. 넷째, 장애 위험 영유아 발달 선별도구의 전반적인 양호도는 적절하였으나, 일부 선별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양호도를 평가 할 수 없었다. 본 연구결과, 장애 위험 영유아의 발달을 조기에 선별하고 개입하기 위한 선 별도구의 정보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장애 위험 영 유아 발달 조기 선별도구 개발과 유아 교육기관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용 지침 매뉴얼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침 매뉴 얼은 교사들이 장애 위험 영유아를 효과적으로 선별하고, 적절한 교육적 개입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adequacy of early screening tools for young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that have been developed or standardized in Korea over the past decade. Through this, we aim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o help teachers and parents select appropriate screening tools to more accurately assess and support the developmental status of their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screening tools? Second, what are the methods of administration for these screening tools? Third, what ar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se screening tools? Fourth, what is the adequacy of these screening t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lecting and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from domestic academic research databases using major keyword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screening tools for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were adaptations of tools originally developed abroad, with target ages ranging from birth to 78 months. The most common tools were those assessing overall development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each accounting for 33.33%.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areas each accounted for 13.33%, while self-help skills accounted for the smallest proportion at 6.7%. Second, the most common method of administr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screening tools for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was parent-completed questionnaires (61.11%), followed by teacher observations and expert evaluations (11.11%). Third,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se screening tools were mostly designed as 2-point or 3-point scales to facilitate easy assessment by parents and caregivers. This design is interpreted as an effort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evaluation. Fourth, while the overall adequacy of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screening tools for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was appropriate, some tools did not provide information on reliability and validity, making it impossible to assess their adequ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on screening tools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issues in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screening tools and the creation of guidelines and manuals for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childcare centers. Such manuals will provide teachers with concrete guidelines necessary for effectively screening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and providing appropriate educational interventions.

      • 알코올리즘 선별검사 도구들의 진단 효율 비교

        박병강 忠南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33278

        To compare the clinical usefulness of four alcoholism-screening tests frequently used in Korea such as MAST, NAST, AUDIT, CAST, 96 drinking males were given diagnostic interviews based on DSM-IV criteria and scores from four tests were obtained and analyzed. 1. Of 96 subjects, 52.1% were without drinking problems, 38.5% with alcohol abuse and 9.4% with alcohol dependence. 2. In terms of reliability of items in screening tests, four tests, four items in MAST were not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em-total correlation. 3. The appropriate cut-off value for screening tests to detect alcohol use disorders were above 15 points in AUDIT, above 5 points in MAST, above one item in NAST and above 2 ites in CAGE. 4. In terms of sensitivity for detection of alcohol use disorders, NAST was highest with 93.5%, and specificity, CAGE was highest with 90.0%. Considering the lowest sensitivity of 76.1% in CAGE and 76.0% of specificity in MAST, AUDIT and NAST were the most appropriate in screening alcohol abuse. 5. The appropriate standard values for screening alcohol dependence were above 26 points in AUDIT, above 13 points in MAST, above 5 items in NAST, and above 3 items in CAGE. 6. In screening alcohol dependence AUDIT had the highest sensitivity of 100.0%, and both AUDIT and NAST had the highest specificity of 94.3%,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of three screening tools except AUDIT were the same with the value of 88.9% and therefore AUDIT were the most appropriate in detecting alcohol dependenc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latively low specificity of 85.1% in CAGE.

      • 노인성난청 선별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홍하나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26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screening tool for presbycusis. The Korean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KHHIE) and audiometric tests were performed for 444 elderly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or sensorineural hearing losses aged 65-91 years. The PTA of 0.5, 1, 2 and 4 kHz was 47.41 dBHL at the better ear and the diagnostic criterion was 25 dBHL. A screening tool, hearing handicap index for screening presbycusis-10 items(HH1SP-10) was developed based o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item in the KHHIE. The best four items were also selected and named as the HHISP-4. The mean of the HHISP-10 was 16.05 and the mean of the HHISP-4 was 7.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between the HHISP-10 and HHISP-4 scores and the PTAs were r=0.74 and r=0.72 respectively. The sum of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HHISP-10 was the highest for the screening criterion of 8. The highest sum of the HHISP-4 was obtained at the screening criterion of 4. The test efficiency of the HHISP-4 was similar to those obtained from both the HHISP-10 and the KHHI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hort version, HHISP-4, be as useful as the longer versions, the HHISP-10 or the KHHIE, for screening presbycu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