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화 유물 보존에 사용된 전통 천연 약재에 관한 연구

        조은혜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ade of organic materials such as papers or silks can be severely damaged by insects and germs. Therefore, in order to avoid such damages, currently fumigation is carried out as one of methods to kill the insects and germs, using ethylene oxide and Methyl bromide mixtures in a sealed environment. However, Methyl bromide is regulated as a hazardous substance and only allowed to be used for medical inspections in the developed countries since 2005 because it is a toxic substance and also one of pollutants to destruct a ozone layer. In the case of Korea, Methyl bromide will be entirely prohibited to use from 2015 and so the development of the substitute is urgently needed now. Therefore, insecticide, germicide or repellents to apply for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 repellents currently tend to increase their natural component parts. Traditionally, natural medicine stuff had been used to keep the paints and calligraphic works in safe from the insects and germs. This paper will review the fact of the traditional natural medicine stuff usage through old documents and confirmed the remaining medicine stuff. In addition, the natural medicine stuff has been reproduced based on the old documents and remaining stuff, and then tested to see whether they have the effects of biocide (repellents). The medicine stuff to care for books has been figured from 'Eui-guei', which tells about ceremonies, rules and examples for the Dynasty, related to 'Sil-rok' (authentic records), and the medicine stuff for paintings has been figured from another 'Eui-guei' related to 'Eo-jin; (portraits of kings). However, the ‘Eui-guei' of the records may only be limited to a Royal-family, and in the ’Eui-guei' of the portraits, only 'Eui-hyang' and 'Bu-young-hyang' (such like incenses or aroma) are just recorded to identify the stuff instead of using the specific name for each medicine stuff. Thus medical books such as 'Dong-eui-bo-gam' and 'Je-jung-sin-pyeon', at the time, are referred to in order to figure out which the medicine stuff are specifically meant to be. Also 'San-rim-gyeong-jei' and 'Gyu-hap-chong-seo' are referred to for the diversity of classes. Through the above books and documents, the types and quantity of the exact medicine stuff to be used to store paints and calligraphic works and even instructions/directions can be known. The records that show such applications of the medicines stuff usage go on for over 300 years and it proves that the traditional natural medicine stuff are indeed effective on repellents. Also, through the remaining medicine stuff in the storage box for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ome stuff have been identified and almost match with the types and proportions of the remaining medicine stuff after comparing the stuff with the records. Therefore, based on the objective and specific database, the medicine stuff have been restored accordingly and tested for the effects of repellents. After the tests, compared to the current method of the extraction from some of natural medicine stuff using alcohol or other types of solvent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medicine stuff, it is proved that using the natural medicine stuff themselves i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In addition, the medicine stuff are used for repellents rather than for insecticide or germicide, and have better properties as insect and germ repellents.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he conservation method of the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using the natural medicine suff is still effective through the scientific tests, and the possibility of the natural medicine stuff application can be introduced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s seen from the documents and tests, the natural medicine stuff replacing chemicals can be broadly applied to the conservation of the organic materials. 유기물인 종이, 비단 등으로 이루어진 서화 유물은 균과 충으로부터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는 이러한 생물학적 피해를 막기 위하여 밀폐된 공간이나 장소에서 기화성 약재인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와 메틸 브로마이드(Methly bromide)의 혼합가스를 사용하여 충·균류를 사멸시키는 훈증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메틸브로마이드는 인체에 유해할 뿐 아니라 오존층을 파괴하는 등의 환경오염물질로 규정되어 선진국의 경우 검역용을 제외하고는 2005년부터 이미 사용이 금지 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2015년 이후 사용이 전면 금지 되므로 이에 대한 대체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문화재에 적용 가능한 방충·방균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방충제의 경우에도 천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전통 천연 약재들을 이용하여 충과 균으로부터 서화류를 안전하게 보관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고문헌의 기록들을 통해 살펴보고, 아직까지 남아 있는 실제 약재들을 찾아 그 실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헌의 기록과 실제 약재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약재들을 재현하여 실제로 방충, 방균의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책 보관에 사용된 약재는 실록 편찬 관련 의궤를 통하여, 그림 보관에 사용된 약재는 어진 제작 관련 의궤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궤라는 자료는 왕실이라는 특정 계급에 국한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어진 제작 관련 의궤의 경우에는 정확한 약재명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의향’과 ‘부용향’이라 기록 되어 있으므로, 이것이 정확히 어떠한 약재를 칭하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당시의 의학서적인 『동의보감』과 『제중신편』을 조사하였으며, 계층의 다양성을 위하여 『산림경제』와 『규합총서』를 통해 알아보았다. 문헌들을 통해 서화류의 보관에 사용된 정확한 약재들의 종류와 양 그리고 사용법까지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약재 사용 기록은 300년이 넘는 오랜 시간 동안 계속 되는데, 이는 전통 천연 약재들이 실제 방균과 방충에 효과가 있었음을 뜻한다. 또한 실제 서화유물을 보관하는 상자 안에 지금까지 남아 있는 실제 약재들을 통해 그 실체들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록과 그 실체를 확인해 본 결과 그 약재의 종류와 약재들의 비율이 거의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들을 토대로 약재들을 재현하고 실제로 방균·방충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현대에는 어떤 천연 약재를 상품화하기 위하여 알코올이나 다른 용타?이용하여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보다는 천연 약재 그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약재들은 살균이나 살충 보다는 예방차원의 방충·방균을 위하여 사용되었고, 실제로 방충·방균의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예로부터 전통 천연 약재를 이용하여 서화유물을 보관, 보존하는 방법이 현재에 있어서도 유용한 것임을 과학적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지구환경을 고려한 전통 천연 약재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문헌과 실험을 통해 입증된 전통 천연 약재의 활용은 화학약품을 대신하여 유기물 문화재 보존에 크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종이에 발생한 Foxing 얼룩의 손상 특성과 보존 방법 연구

        조다영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Foxing, which manifests as small, circular spots of yellow, brown, or reddish-brown hues on paper-based materials like drawings, books, and printed matter, is an unwanted form of damage. This deterioration is prevalent across various papers, from ancient ones with profound historical and cultural importance to contemporary productions. It's not merely an aesthetic issue that diminishes their value; in severe cases, it can lead to structural damage, weakening the paper's strength. As a result, preservation efforts become necessary. This paper seeks to offer a foundational comprehension of foxing and its ongoing research trends by reviewing past studies from active overseas research. Additionally, it aims to propose conserv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tailored for addressing foxing issues in Korea. Despite extensive studies on foxing over time, its causative factors and formation processes remain unclear. In recent years, investigations have linked foxing to oxidation and discoloration phenomena. These common traits of foxing induce paper damage irrespective of its origin. Hence, this paper concentrates on elucidating the repercussions of foxing and furnishes practical directives for mitigating these effects through experimental methodologies. Experiments examining oxidation and discoloration revealed that foxing undergoes greater oxidation compared to the surrounding paper. Moreover, the discoloration observed in foxing can be influenced by the oxidation of cellulose. Using these findings as a foundation, we investigated preservation techniques aimed at alleviating oxidation and dis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 ancient writings and drawings were commonly crafted using paper or fabric as their primary materials, often involving a process known as lining, which includes affixing multiple layers of paper to the back. When these writings or drawings face damage, traditional methods and materials are employed to enhance their preservation. The experiment involved two types of samples. The first type encompassed foxing observed on each page resembling books or documents. The second type involved foxing found within pictures resembling traditionally lined paintings. To effectively address the primary issues of oxidation and discoloration caused by foxing on damaged paper, the main methods used in foxing treatment currently involve cleaning and bleaching. Therefore, in the experiments, we conducted treatment tests based on preservation methods such as wet cleaning, wet cleaning with suction, wet cleaning with bleaching, and standalone bleaching. Subsequently, degrad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and stability of these preservation techniques. In all experimental samples, both the acidity and the extent of discoloration in the foxing stains were effectively reduced. Discoloration was successfully removed using the traditional preservation method of washing treatment. Washing treatment with suction, alongside suction, proved more effective in removing discoloration from the cellulose structure. Washing treatment with bleaching and standalone bleaching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 more effective discoloration removal compared to samples treated solely with deionized water. While subsequent artificial degradation tests aiming to assess stability didn't exhibit significant alterations, both types of bleached samples showcased additional damage attributed to stains that weren't initially present. This wa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case of lining painting samples, which displayed further harm due to fresh stains on the replaced backing paper. Despite the considerable efficacy of bleaching compared to using deionized water alone, the conducted artificial degradation tests aimed to affirm result stability ended up causing additional damage due to previously non-existent stains, indicating the advisability of avoiding bleaching. Once foxing appears on paper, it becomes difficult to reverse. Hence, prioritiz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foxing before it manifests on paper surfaces is crucial. Additionally, continuous research is essential to develop methods for treating paper affected by foxing. 폭싱은 종이 표면에 황색, 갈색, 적갈색의 작고 동그란 반점 형태의 얼룩으로, 종이나 그림, 책, 인쇄물 등 종이 재료로 가공된 것에 나타나는 원치 않는 손상이다. 폭싱에 의한 손상은 오랜 역사적, 문화적 의미가 있는 고서화에서부터 현재 생산된 종이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폭싱에의해 그 가치가 저하되는 미적인 훼손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종이 강도저하와 같은 구조적인 훼손도 동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존 대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조사를 통해 폭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폭싱에대한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폭싱은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과 형성 과정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며, 최근에는 폭싱의 현상과 관련하여 폭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화와 변색은 종이에 손상을 유발하는 폭싱의 현상으로 다양한 폭싱의 원인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다. 그러므로 폭싱에 의해서 나타나는 종이의 손상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실험적인 접근으로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화와 변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폭싱은 주변의 종이에 비해서 더 산화되었으며 폭싱의 변색은 셀룰로오스의 산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산화와 변색을 완화하기 위한 보존 방법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의 서화는 종이나 비단의 바탕 재료를 사용하였고 이를 장황하기 위해 여러 겹의 종이를 배접지로 사용했다. 이러한 형태의 서화 샘플과 책과 같은 낱장의 종이 샘플 2가지 종류로 실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폭싱의 처리 방법인 세척과 표백을 기준으로 산화와 변색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 습식 클리닝, 석션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 표백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 표백의 방법으로 보존 방법을 적용한 뒤 이와 같은 방법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된 모든 샘플에서 폭싱의 얼룩 부분의 산성도와 변색 정도 모두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었다. 습식 클리닝은 전통적으로 변색 제거에 사용되는 보존 방법이며 석션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의 경우 셀룰로 오스 구조에서 변색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표백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과 표백은 탈이온수만 이용해 처리된 샘플에서 보이는효과 그 이상을 보여주었다.이후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인공 열화 실험에서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표백으로 처리된 2가지 종류의 샘플에서는 모두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얼룩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특히 서화 형태의 샘플의 경우 교체된 배접지에서도 새로운 얼룩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이 확인되었다.폭싱은 종이에 한번 생기면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종이에 폭싱이 나타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폭싱의 보존 방법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