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에 이용하는 풀가사리의 기능성 연구

        임인경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서화문화재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뿐 아니라 제작에 사용된 재료, 양식 등 다양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귀중한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현재 전래된 서화문화재는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수축과 팽창, 수분의 영향에 의한 곰팡이 및 유해생물에 의해 소멸되어 박리, 박락, 균열 등의 상태로 훼손되어져 있다. 훼손된 서화문화재의 보존처리작업에는 화면보호조치 작업이 우선적으로 행하여지며 작업에 사용된 접착제는 가역성의 문제이외에도 문제점이 발생되면 원형 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택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접착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로부터 접착제나 식용 및 한약제 등 실생활에 다방면으로 사용된 풀가사리의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에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소맥전분 풀의 제작기법과 접착제로서 활용법 등과 풀가사리를 이용한 접착제의 가공방법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소맥전분 풀과 풀가사리 접착제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장, 단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풀가사리와 소맥전분의 pH와 염도 측정 결과 풀가사리는 염도 0∼0.2%, pH6.29∼6.61, 소맥전분은 염도 0%, pH5.15∼6.05가 측정 되었다. 풀가사리는 염도가 측정되는 반면, 중성을 띄고 있었고, 소맥전분의 경우 약산성을 띄나 염도는 측정되지 않았다. 풀가사리와 소맥전분과의 접착력 비교실험결과 풀가사리(냉수가공)의 측정값(N/25mm)이 0.82∼2.55, 풀가사리(온수가공) 1.17∼2.79, 소맥전분은 2.10∼3.85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접착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풀가사리로 제작된 접착제는 같은 농도의 소맥전분 풀보다 접착력이 약하며, 온수가공으로 제작된 풀가사리 접착제가 접착력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풀가사리와 소맥전분과의 가역성 비교를 위한 세척 후 접착력 변화 측정값(N/25mm)은 풀가사리(냉수가공) 0.12∼0.66, 풀가사리(온수가공) 0.70∼2.51, 소맥전분 2.03∼3.38이 나타나 소맥전분 < 풀가사리(온수가공) < 풀가사리(냉수가공)의 순으로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맥전분과 온수가공한 풀가사리 접착제의 경우 세척 후에도 접착력이 남아있는 반면 냉수가공한 풀가사리의 경우 물에 쉽게 씻겨나가 서화문화재보존처리에 완전한 제거를 전제로 한 임시적인 접착에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연도 측정결과 동일 농도의 조건에서 저장탄성율(MPa)이 풀가사리(냉수가공) 5127∼6674, 풀가사리(온수가공) 5436∼7138, 소맥전분 6685∼8011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측정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측정값은 유연도와 반비례함으로 비슷한 농도에서는 소맥전분보다 풀가사리가 유연도가 좋으며, 냉수가공한 풀가사리가 가장 유연도가 낫다고 할 수 있었다. 미생물 열화실험 결과 풀가사리(온수가공) < 풀가사리(냉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변화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소맥전분의 경우 곰팡이의 생육이 활발하였으나 풀가사리의 경우 곰팡이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았고, 온수가공으로 제작한 풀가사리 접착제는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백색도 측정결과 소맥전분 <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의 순으로 측정값의 변화가 나타났다. 소맥전분풀이 원래의 색에 비해 적은 변화 값이 도출되었고, 풀가사리는 냉수가공한 풀가사리보다 온수가공한 풀가사리의 경우 더 진한 색을 띄고 있음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풀가사리 중 시판되는 한 가지만을 선택하여 전체를 대신한 부족함과 검출된 물성에 대한 보다 세분된 분석을 진행하지 못한 실험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한 재료는 가역성이 있다 할지라도 잔류되는 물질이 주변 환경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진행하지 못하였다. 풀가사리 접착제가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재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세부적인 열화관련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valuable legacy including versatile materials, not only age circumstances but also used materials and patterns. Currently inherited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composed of organic substances when influenc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contract and expand as long time passes by. It is in deteriorating condition showing desquamation, exfoliation and cracks, becoming extinct by noxious organisms and fungus influenced by moisture. For damaged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nservation handling works, screen protection measure is conducted preferentially and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election since glue used in operation can not be restored to original figure when problems other than reversibility issue arise. This paper recognizes significance of such glues and we centered our research on applicability review of Gloiopeltis tenax used as glue, food and medicinal herbs in various practical lives of peopl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we compared and organized glue manufacture process utilizing Gloiopeltis tenax against conventionally used wheat starch glue manufacture technique and utilization of this as glue. Also we came up with good and bad sides of wheat starch glue and Gloiopeltis tenax glue after mutual comparison analysis. According to pH salinity measurement results of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salinity of Gloiopeltis tenax was 0~0.2%, pH 6.29~6.61, and salinity of wheat starch was 0%, pH 5.15~6.05. while salinity of Gloiopeltis tenax was measurable, it was neutral and for wheat starch salinity level was unmeasurable though it showed slight acidity. For the comparative experiment of adhesion strength of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the measured value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N/25mm) was 0.82~2.55, 1.17~2.79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2.10~3.85 for wheat starch. Consequently adhesion strength was in the following order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 warm water process) < wheat starch. Through this experiment, we came to know Gloiopeltis tenax adhesives have less adhesion strength than wheat starch of same concentration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showed higher adhesive quality. Adhesive strength variation measurement after cleaning for reversibility comparison between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was 0.12~0.66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0.70~2.51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2.03~3.38 for wheat starch, indicating higher variation gap in the following order: whear starch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Some adhesive strength could be found after cleaning in the case of wheat starch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However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proved to be applicable for temporary adhesion , being able to be easily washed to provide complete removal of the adhesion as pre-requisite for preservation process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flexibility measurement, under same concentration condition, storage modulus (MPa)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was 5127~6674, 5436~7138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6685~8011 for wheat starch. Consequently the measurement result was in the following orde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 wheat starch. Measurement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flexibility. So under similar concentration condition, Gloiopeltis tenax is more flexible than wheat starch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ranked highest in flexibility. Micro organism degradation experiment results was in the following order with the latter showing more variation: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wheat starch. In case of wheat starch, fungus growth and development was brisk. However In Gloiopeltis tenax case, no fungus was detected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maintained most balanced. For whiteness index measurement, the result was in the following order: wheat starch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Compared with the original color, wheat starch showed less variation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showed darker colors in comparison with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This paper had experimental limitations, being unable to conduct more departmentalized analysis on the detected property of the matter and selecting only one Gloiopeltis tenax out of various Gloiopeltis tenax currently in use to represent all Gloiopeltis tenax adhesives. Also even if the materials used for preservation process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hows reversibility, we failed to conduct stability issue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sidues. For utilization of Gloiopeltis tenax as preservation process material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ore detailed heat-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upplementally.

      • 종이에 발생한 Foxing 얼룩의 손상 특성과 보존 방법 연구

        조다영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Foxing, which manifests as small, circular spots of yellow, brown, or reddish-brown hues on paper-based materials like drawings, books, and printed matter, is an unwanted form of damage. This deterioration is prevalent across various papers, from ancient ones with profound historical and cultural importance to contemporary productions. It's not merely an aesthetic issue that diminishes their value; in severe cases, it can lead to structural damage, weakening the paper's strength. As a result, preservation efforts become necessary. This paper seeks to offer a foundational comprehension of foxing and its ongoing research trends by reviewing past studies from active overseas research. Additionally, it aims to propose conserv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tailored for addressing foxing issues in Korea. Despite extensive studies on foxing over time, its causative factors and formation processes remain unclear. In recent years, investigations have linked foxing to oxidation and discoloration phenomena. These common traits of foxing induce paper damage irrespective of its origin. Hence, this paper concentrates on elucidating the repercussions of foxing and furnishes practical directives for mitigating these effects through experimental methodologies. Experiments examining oxidation and discoloration revealed that foxing undergoes greater oxidation compared to the surrounding paper. Moreover, the discoloration observed in foxing can be influenced by the oxidation of cellulose. Using these findings as a foundation, we investigated preservation techniques aimed at alleviating oxidation and dis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 ancient writings and drawings were commonly crafted using paper or fabric as their primary materials, often involving a process known as lining, which includes affixing multiple layers of paper to the back. When these writings or drawings face damage, traditional methods and materials are employed to enhance their preservation. The experiment involved two types of samples. The first type encompassed foxing observed on each page resembling books or documents. The second type involved foxing found within pictures resembling traditionally lined paintings. To effectively address the primary issues of oxidation and discoloration caused by foxing on damaged paper, the main methods used in foxing treatment currently involve cleaning and bleaching. Therefore, in the experiments, we conducted treatment tests based on preservation methods such as wet cleaning, wet cleaning with suction, wet cleaning with bleaching, and standalone bleaching. Subsequently, degrad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and stability of these preservation techniques. In all experimental samples, both the acidity and the extent of discoloration in the foxing stains were effectively reduced. Discoloration was successfully removed using the traditional preservation method of washing treatment. Washing treatment with suction, alongside suction, proved more effective in removing discoloration from the cellulose structure. Washing treatment with bleaching and standalone bleaching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 more effective discoloration removal compared to samples treated solely with deionized water. While subsequent artificial degradation tests aiming to assess stability didn't exhibit significant alterations, both types of bleached samples showcased additional damage attributed to stains that weren't initially present. This wa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case of lining painting samples, which displayed further harm due to fresh stains on the replaced backing paper. Despite the considerable efficacy of bleaching compared to using deionized water alone, the conducted artificial degradation tests aimed to affirm result stability ended up causing additional damage due to previously non-existent stains, indicating the advisability of avoiding bleaching. Once foxing appears on paper, it becomes difficult to reverse. Hence, prioritiz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foxing before it manifests on paper surfaces is crucial. Additionally, continuous research is essential to develop methods for treating paper affected by foxing. 폭싱은 종이 표면에 황색, 갈색, 적갈색의 작고 동그란 반점 형태의 얼룩으로, 종이나 그림, 책, 인쇄물 등 종이 재료로 가공된 것에 나타나는 원치 않는 손상이다. 폭싱에 의한 손상은 오랜 역사적, 문화적 의미가 있는 고서화에서부터 현재 생산된 종이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폭싱에의해 그 가치가 저하되는 미적인 훼손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종이 강도저하와 같은 구조적인 훼손도 동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존 대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조사를 통해 폭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폭싱에대한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폭싱은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과 형성 과정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며, 최근에는 폭싱의 현상과 관련하여 폭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화와 변색은 종이에 손상을 유발하는 폭싱의 현상으로 다양한 폭싱의 원인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다. 그러므로 폭싱에 의해서 나타나는 종이의 손상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실험적인 접근으로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화와 변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폭싱은 주변의 종이에 비해서 더 산화되었으며 폭싱의 변색은 셀룰로오스의 산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산화와 변색을 완화하기 위한 보존 방법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의 서화는 종이나 비단의 바탕 재료를 사용하였고 이를 장황하기 위해 여러 겹의 종이를 배접지로 사용했다. 이러한 형태의 서화 샘플과 책과 같은 낱장의 종이 샘플 2가지 종류로 실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폭싱의 처리 방법인 세척과 표백을 기준으로 산화와 변색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 습식 클리닝, 석션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 표백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 표백의 방법으로 보존 방법을 적용한 뒤 이와 같은 방법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된 모든 샘플에서 폭싱의 얼룩 부분의 산성도와 변색 정도 모두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었다. 습식 클리닝은 전통적으로 변색 제거에 사용되는 보존 방법이며 석션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의 경우 셀룰로 오스 구조에서 변색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표백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과 표백은 탈이온수만 이용해 처리된 샘플에서 보이는효과 그 이상을 보여주었다.이후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인공 열화 실험에서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표백으로 처리된 2가지 종류의 샘플에서는 모두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얼룩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특히 서화 형태의 샘플의 경우 교체된 배접지에서도 새로운 얼룩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이 확인되었다.폭싱은 종이에 한번 생기면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종이에 폭싱이 나타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폭싱의 보존 방법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서화류 페이싱처리를 위한 천연접착제 연구

        오명진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A natural adhesive, such as Funori is used for facing processing in calligraphy and painting conservation to preserve the relic's surface and make it easier to remove the previous lining paper. The disadvantage of using Funori, a viscous Japanese seaweed grass that is now dependent on importation, is that it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after use owing to viscosity. Research was conducted to address Funori's shortcomings and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domestic materials’ natural adhesives could be applied. Phys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 tests of the natural adhesive were conducted to analyze its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physically and chemically for use as a natural adhesive. Among the experimental materials made domestically, considering reversibility, solubility, secondary damage, and accessibility of the materials, domestic Gloiopeltis tenax (Turner) J. Agardh, Seaweed furcata, wheat starch glue, and Ceylon mos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s. The remaining samples had pH values close to neutral as a result of the physical property test, with the exception of the wheat starch glue, which had a value that was close to acidic. This was determined to indicate that the wheat starch glue had been acidified during the fermenting process. The salinity measurement revealed an average 0.05% change between the salinity before and after washing, confirming that the dried sample's salinity was lowered after washing and bleaching. Among the samples, Funori had the highest salinity measured at 0.13, and all the domestic materials had trace amounts of salinity that were less than 0.1%.,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se factors would not affect the relics. The viscosity measurement confirmed that the overall viscosity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with Funori having the highest observed viscosity among them. It has been confirmed that as Ceylon moss solidifies, it transitions to a low-viscosity state that is difficult to measure. Despite the assessment of adhesive strength revealing that Funori had the highest adhesive strength,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discernible difference between Funori and domestic materials. All of the measured values showed low adhes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made the adhesive suitable for face processing, whose removal should be made easy.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was still undissolved after removing the facing from the surface observation under a microscop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sample residue increased with viscosity. The artificial heat deterioration experiment confirmed that yellowing progressed in the following order: Funori, Bulgeunggasari, Gloiopeltis tenax (Turner) J. Agardh, and wheat starch glue when observed with the naked eye. Contamination and yellowing were found in the specimen facing process using Funori, as well as contamination in both the absorbent paper and rayon paper removal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mens removed with absorbent paper showed less yellowing than the specimens removed with rayon paper. The overall L* value of the specimen was reduced as a result of detecting chromaticity, and it was quantitatively confirmed that the chroma a* value decreased when the chroma b* value increased, and the specimen darkened and yellowed. The Korean paper and silk specimens, which were joined using Funori and removed with rayon paper, were shown to have the highest color difference values. In this research, domestic moss Gloiopeltis tenax (Turner) J. Agardh, Seaweed furcata, wheat starch glue, and Ceylon moss were used to test the properties of natural adhesives and application test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domestic alternative materials of Funori among natural adhesives used for facing treatment of calligraphy and painting cultural assets. The experiment confirmed that the reversibility and solubility of Funori, which were considered its advantages, could be substituted for domestic materials, and the effect on the relics is less than that of Funori in pH measurement, sali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tests. The advantages of domestic materials are that they are less expensive than Funori and have less of an impact on relics. However, the disadvantages are that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are fairly cumbersome, and their viscosity and adhesion values were measured lowered than that of Funori.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several additional studies, such as storage period and manufacturing process, are required for the restor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domestic materials identified in the experiment. It is hoped that such related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his area to increase the usage and utility of domestic materials. 서화 문화재 보존처리에서 유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구 배접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노리와 같은 천연접착제를 사용하여 페이싱 처리한다. 후노리는 일본산 해초풀로 현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사용 후 점성으로 인해 전량 제거되지 못하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후노리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내산 재료의 천연접착제 적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천연접착제로 활용하기 위한 효율성과 적합성 여부 확인을 위해 천연접착제의 물성 실험과 적용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재료는 국내산 재료 중 가역성, 용해도, 2차 손상 여부, 접근성이 우수한 재료를 고려하여 국내산 참풀가사리와 불등풀가사리, 소맥전분풀, 우뭇가사리를 선정한 후 실험하였다. 물성 실험 결과, pH 측정에서는 소맥전분풀을 제외한 나머지 시료에서 중성에 가까운 값이 측정되었고, 소맥전분풀은 산성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풀을 삭히는 과정에서 산성화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염도 측정에서는 세척 전과 후의 염도 차이가 평균 0.05%로 나타나 건조 시료를 세척, 표백하는 과정에서 염도가 낮아졌음이 확인된다. 시료 중에서는 후노리의 염도가 0.13%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국내산 재료의 경우 모두 0.1% 미만의 극미량으로 측정되며 유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점도 측정에서는 후노리의 점도 값이 제일 높게 측정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도는 감소되는 것을 확인했다. 우뭇가사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고체화되면서 측정이 어려운 저점도 상태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접착력 측정은 후노리의 접착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지만 국내산 재료와의 차이가 크지 않음이 확인되며, 측정값 모두 높지 않은 접착력을 보이며 제거가 쉬워야 할 페이싱 처리용 접착제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적용 실험 결과, 현미경 표면 관찰에서는 페이싱 제거 후 용해되지 않고 잔류한 접착제가 관찰되며, 점도가 높은 시료일수록 잔류하는 정도가 많아지는 것이 확인된다. 인공 열화 실험 결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후노리, 불등풀가사리, 참풀가사리, 소맥전분풀 순으로 황변화가 진행되는 것이 확인됐고, 시편 중 후노리를 사용하여 페이싱 처리한 시편에서 오염과 황변 현상이 심하게 관찰되었으며, 오염은 흡수지 제거와 레이온지 제거 방법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레이온지로 제거한 시편보다 흡수지로 제거한 시편의 황변 현상이 적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도 관찰 결과, 시편의 전체적인 L*값은 감소하고 채도 중 a*값은 감소, b*값은 증가하며 시편이 전체적으로 어두워지고 황변 현상이 일어난 것이 확인된다. 그중 레이온지 제거 방법을 사용하고 후노리로 페이싱한 한지 시편과 비단 시편에서 가장 많은 색차 값이 나타났는데, 이는 후노리가 국내산 재료들 보다 유물의 표면색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화 문화재 페이싱 처리에 사용하는 천연접착제 중 후노리의 국내산 대체 재료의 적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국내산 참풀가사리와 불등풀가사리, 소맥전분풀, 우뭇가사리를 사용하여 천연접착제 물성 실험과 적용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후노리의 장점으로 꼽히던 가역성과 용해도는 국내산 재료로도 대체할 수 있으며 pH 측정과 염도 측정, 적용 실험에서도 국내산 재료가 후노리보다 유물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확인된다. 국내산 재료의 경우 후노리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유물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이 장점이지만 제조과정이 다소 번거로우며, 점도와 접착력 측정에서 후노리보다 낮은 값을 보인 점이 아쉬운 점이다. 때문에 국내산 풀가사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험에서 확인된 국내산 재료의 단점을 보완하고 전통 재료의 복원과 상용화를 위한 여러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 국내산 재료의 사용과 활용성이 높아지기를 바란다.

      • 동아시아 붓의 제작 기법 변화와 전승양상

        박창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1963

        문자가 만들어지고 발전하면서 인류의 역사가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후대(後代)에 인류의 경험과 이야기가 전해질 수 있었다. 이는 지식과 문화의 전달로 이어졌으며, 인류의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인류의 문자와 문화가 점점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편리하게 기록할 수 있는 도구를 원했으며, 이에 기록하고 표현할 수 있는 도구인 붓을 제작하여 점점 개선시키고 발전시켜 왔다. 동아시아에서는 이렇게 만들어진 붓을 이용하여 인류의 문화와 역사를 기록했다. 문화와 역사를 기록하게 되면서, 붓은 단순히 기록 도구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의 의식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역할이 확장되었다. 사람들이 정신적 요소, 지혜 등을 기록하게 되고,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붓은 각국의 학문·예술의 발전과 깊은 관계를 가지게 되었고, 각 문화를 다채롭고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데 역할을 했다. 이에 붓은 단순하게 기록 도구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정신문화와 상징적인 의미까지 나타내게 되었다. 붓은 서화 도구로서 유구한 역사가 있다. 붓이 나오기까지 복잡하면서도 오랜 과정이 있었으며, 이는 인류가 숱한 시도를 통해 얻어낸 문명의 성과이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붓은 민족 문화 가운데서 나타나는 요구에 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개선되어 왔다. 이러한 붓의 변화는 예술 작품과 기록물들을 좀 더 섬세하게 표현이 가능하도록 만들었고, 발전된 예술품을 남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붓의 발전의 역사를 통해 다채로운 문화의 변화와 시대별 기록물들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는 붓을 주제로 하여, 그 역사와 변화 그리고 전승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역사적으로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가까운 지리적인 조건으로 인하여 다양한 교류를 했다. 이에 붓 제작 기법도 전승되어 각국에서 붓이 만들어졌을 것이다. 현재 각국의 붓은 유사한 기법으로 만들어지고, 형태도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세히 제작 과정과 내부를 살펴보면 각국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또한 다양한 서화(書畫) 문화의 발전은 서체(書體)․회화(繪畫)별로 적합한 붓의 형태가 만들어지도록 영향을 주었고, 이에 서체․회화별로 각각 다른 형태의 붓이 제작되었다. 붓은 필기도구로 사용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문인들과 선비들의 정신문화가 깃들어 있는 인류 문화 표현의 매개체이기 때문에 붓은 사람들에게 특별한 감정이 들게 하며, 이는 개인적인 의식들과 밀접하게 이어지도록 만들어주었다. 이러한 붓 문화와 인식은 자연스럽게 민속 문화에 스며들어, 사람들의 요구에 맞춰 제작되었으며, 개량되고 발전된 기법이 전승되게 만들었다. 붓을 제작할 때 역사적으로 많은 종류의 동물 털이 사용되어 왔다. 중국의 경우에는 고대(古代)부터 토끼털(兎毫)을 사용하여 가장 먼저 붓을 만들어왔으며, 이후 염소털(羊毛), 족제비털(黃毛), 사슴털(鹿毛), 너구리털(狸毛), 고양이털(狸毛), 돼지털(豬毛), 말털(馬毛), 쥐수염(鼠須), 닭털(鷄毛) 등 다양한 종류의 동물 털을 사용해서 붓이 제작되었다. 이는 한국과 일본에도 전파되고 영향을 주어 동아시아 3개국은 비슷한 재료를 사용하여 붓을 만들어 오게 되었다. 붓의 제작 기법에는 가장 원시적(原始的)인 곤찰식(捆紮式), 납입식(纳入式), 심납식(深纳式), 협납식(夹纳式) 기법 등이 있으며, 이 기법들은 시대를 거치면서 점점 더 발전하여, 피주법(披柱法), 전지법(缠纸法), 산탁법(散卓法) 등으로 개량되고 전승되었다. 근현대의 동아시아 3개국의 붓 제작 기법은 모두 산탁법(散卓法)을 기본으로 하여 발전하고 전승되고 있다. 세부 기법을 살펴보면, 한국은 건식(乾式) 제작 기법인 양모필(羊毛筆) 기법을 중심으로 전승하고 있지만, 물을 사용하여 일본의 제작 기법과 유사하게 제작하는 황모필(黃毛筆) 기법도 있다. 중국은 대부분 습식(濕式) 제작 기법을 사용하여 여러 형태의 붓을 만들고 있으며, 일본은 건식(乾式)․습식(濕式) 복합적 제작 기법인 네리마제(練り混ぜ, 반죽 혼합하기) 기법을 중심으로 전승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전승이 끊긴 종이를 감아 붓촉을 만드는 마키후데(卷筆) 기법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기도 하다. 필장들은 우수한 붓 제작 기법을 사사하기 위하여 한 지역으로 모이기 시작하였으며, 협업하여 붓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이에 각국에서는 붓공예 마을이 형성되기도 했다. 중국의 경우에는 쉬안청(宣城)과 후저우(湖州) 지역의 붓이, 일본은 나라(奈良), 쿠마노(熊野) 지역 등의 붓의 유명했다. 한국은 1930년대 이후에 광주광역시의 진다리 지역과 서울특별시의 인사동 지역이 붓공예 마을로 형성되기도 했다. 이러한 붓공예 마을들에서는 다양한 붓의 정신문화와 신앙, 축제 등도 전승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다양한 붓과 관련된 신앙과 축제를 진행하고 있으며, 붓 문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은 아쉽게도 이러한 붓 문화가 전승되고 있지 않다. 붓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붓의 수요를 늘리고 전승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붓 시장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정신적 가치에 집중하고 정신적이고 내재적인 민속 문화를 발전시키고 전승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오늘날 다양한 현대 문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붓을 사용하는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서 붓의 전승도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또한 붓의 전승 활동은 각국의 민속 문화와 더불어 다양한 물질적인 요구와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도 관련이 있다. 사람들의 생계 수단 방식이기도 하며, 예술 문화의 표현에 중간적인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붓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요구에 따라 정밀하고 단단하게 정형화되어 제작을 진행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붓 판매의 현대적인 개성을 살리고 새로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측면도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 빠른 적응력도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오늘날 붓공예의 전승 환경 특징을 연구하고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합리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고대부터 이어져 왔던 전통적 요소와 새로운 현대 문화적 요소 사이의 균형이 필요한 때이다. 최근에 전통적인 예술 문화의 바람이 다시금 활성화되면서 붓에 대한 수요도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각국의 전통적인 기법을 전승하고 있는 필장들은 어떻게 변화하고 전승해가야 할지 모르고 있는 상황이다. 단순한 붓의 전승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붓 문화의 발전과 새로운 분야와의 융합을 시도하여 붓공예 분야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노력도 필요한 것이다. 붓은 역사적으로 항상 변화하며 적응해왔다. 이에 오늘날에도 붓에 대한 재인식과 새로운 도전으로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현대 사회에서 붓공예 분야의 적응과 변화․발전에서 이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 장황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 족자와 병풍을 중심으로

        조원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1946

        본 연구는 사료 및 선행 연구를 통해 장황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족자와 병풍 제작의 기법·기술 특성에 주목하여 구체적인 시각자료와 제작기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오랜 기간 참여 관찰하여 상세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시연자와 함께 자료를 검토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장황 제작기법의 보편적 사항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족자와 병풍은 제작 목적과 쓰임새에 차이를 두고 사용되었다. 족자는 대개 본지, 변아, 상·하회장, 상·하축, 원환, 끈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작품의 둘레를 꾸며 걸어 감상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병풍은 대개 발이 있는 틀, 본지, 변아, 상·하회장, 둘레띠, 거죽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바탕체를 제작한 후 외면과 내면을 꾸며 세워 감상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연자를 통해 살펴본 제작기법과 개별적 특징에 관한 연구자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족자와 병풍은 보편적 제작기법을 공유하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그 안에 독자적인 기술이 담겨있는 경우가 있다. 공정 내 순서, 치수를 내는 기준과 방식 등에서 차이가 관찰되었고, 시연자의 기술은 오랜 시간 쌓은 경험에서 우러나온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결과물이 크게 다르지 않다면, 이는 방식의 차이 정도로 볼 수 있으며 기술자들이 보유한 개별적 기술은 수용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의도와 원리를 파악한 후 적용 및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장황은 대상에 따라 제작방법과 기술을 유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술자는 적절한 판단을 통해 재료와 기법을 선택하고, 그 특성에 맞춰 접근해야 한다. 장황에 사용되는 재료와 도구의 물리적 특성 및 상관관계를 정확히 터득하고, 각 공정과 공정 간 유기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완성도 높은 장황물을 제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서화(書畫) 유물 보존처리 시 각 과정에 관한 적합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한국 장황 문화 및 기술을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이어가는 것이 올바른 전통 계승의 방법이라고 생각하며, 이번 연구를 통해 장황 문화와 기술에 관한 세밀하고 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ransition in Korean Mounting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previous researches while suggesting the specific visual sources and making process by focusing technical feature of making hanging scrolls and folding screens among domestic Korean Mounting cultures. For the research, the writer collected detailed information by conducting long period of observation and examined the materials with a demonstrator to have objectivit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general features of Korean Mounting making technique that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We figured out that hanging scrolls and folding screens were used with different purposes and uses, respectively: Mostly, hanging scrolls consist of an artwork and four pieces of fabrics surrounding the artwork, upper/lower fabrics, upper/lower wooden bars, decoration, string. Generally, hanging scrolls are made to appreciate the beauty of artworks, in hanging position by decorating four edges of artworks with fabrics. In general, folding screens are consist of wooden frames with legs, artworks and four pieces of fabrics surrounding artworks in addition to upper/lower fabrics, fabrics the edge of frame and cover fabrics. Before decorations with fabrics for each artwork, wooden frames should be made first. Like hanging scrolls, the purpose of folding screens is to be appreciated outer and inner which are decorated in standing position. The writer’s view of the making proces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examined with the demonstrator is as follows.  On one hand, there is a general making process for hanging scrolls and folding screens, while unique techniques are as well, on the other hand. For instance, there were differences found in order of making processes, standard and methods of dimensioning. Additionally, the demonstrator’s skill is considered as an efficient method based on the technology that he has polished for decades. Consequently, since we can apply various making processes and skills to Korean mounting product depending on its object, technicians’ appropriate decision is required when choosing materials and techniques according to its features. Individual skills of technicians should be accepted with the best understanding of its principle and intention, and we are in the need of various applications and developments of those skill sets.   Understanding its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ach process and correlation between materials and tools is helpful to make perfection of manufacturing Korean Mounting. Furthermore, it can be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relic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rganizing and systematizing the curren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echnology of Korean Mounting would be the right way to inherit tra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etailed and scientific study on Korean mounting cultures and skills through the research.

      • 일제강점기 문화재 반출과 조선인의 대응

        박진이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15886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조선에서 실시한 문화재 관련 정책과 이 과정에서 조선의 문화재가 일본으로 반출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제에 의해 조선의 문화재가 피해를 입는 상황에 대해 조선인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하였는가에 대해서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선총독부는 문화재 관련 정책의 일환으로 관련 법령을 제정하여 조선의 문화재를 그들의 통제 아래 두고자 하였다. 1916년부터는 5개년에 걸친 고적조사사업을 실시하였는데 그 목적은 한반도의 타율성론, 임나일본부설과 같은 식민지배를 정당화할 수 있는 이론과 관련된 고고학적 증거를 찾아내는 것이었다. 때문에 조사가 특정지역에 집중되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조사 과정 중에 발굴된 문화재들을 학술조사라는 명목으로 일본으로 반출시키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 전반에 거쳐 일제는 수많은 조선의 문화재를 일본으로 반출하였다. 문화재 반출은 통감부나 조선총독부의 공권력 개입뿐만 아니라 일본인 개인의 도굴이나 밀거래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졌다. 이들은 당시 문화재의 이동이 법적으로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몰래 반출해갔다. 일본인들이 반출해간 문화재는 고적조사 중 발견된 발굴품, 그리고 석조유물, 건조물, 도자, 서적 등 그 유형이 매우 다양하며 현재까지 파악된 반출 수량은 약 6만 7천점에 이른다. 당시 조선인들 사이에서는 이와 같은 일제의 문화재 약탈에 대하여 대항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당시 조선인들은 일본인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무분별한 고분 도굴이나 문화재 반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관리되지 못하고 쇠락해가는 문화재에 대해 안타까워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조선인들이 문화재를 수집하여 수리하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이 시기에 문화재를 지키고자 노력했던 인물로는 간송 전형필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형필은 일본으로부터 귀중한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재산을 투자하여 수많은 문화재를 수집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집한 문화재들을 보호하기 위해 ‘보화각’이라는 사립박물관을 개관하기도 하였다. 전형필과 비슷한 문화재 수장가들로는 오세창, 손재형, 이병직 등이 있다. 오세창은 전형필의 스승으로 미술 관련 서적들을 집필하였고 손재형은 일본인에게 넘어간 김정희의 작품 「세한도」를 직접 일본으로 건너가 찾아왔다. 이병직 역시 막대한 재산을 바탕으로 다량의 가치있는 문화재를 수집하여 보관하였다. 또한 조선의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결성된 단체들도 있었다. ‘화양소제고적보존회’는 대전지역 최초의 민간에 의해 설립된 문화재보존단체였다. 이들은 우암 송시열과 관련된 문화재들을 수집하고 보호하고자 하였다. 개성지역에서는 ‘개성보승회’가 결성되어 지역의 문화재를 보존하고 알리고자 하였다. 직접적인 문화재 보호 활동 외에도 민족문화를 수호하기 위해 노력한 단체도 있다. 황씨 사형제로 알려진 황종하, 황성하, 황경하, 황용하는 형제가 모두 조선의 전통회화를 계승하였다. 황씨 사형제가 결성한 ‘송도서화연구회’는 미술교육과 전람회 개최를 통해 후학을 양성하고 일반인들에게 미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일제강점기동안 일본인에 의한 문화재 약탈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졌으나 이에 대응하여 문화재를 지켜야 한다고 인식한 조선인들이 있었다. 일반인부터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여러 인물과 단체들이 조선의 문화재와 민족문화를 수호하고자 노력하였다. This thesis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ultural asset-related policy implemented by Japan in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to examine the cases that Joseon's cultural assets were taken out of Joseon to Japan during this process. Also, it was apprehended how Joseon people recognized and reacted to the situation that Joseon's cultural assets were damaged by Japanes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enacted the relevant ordinances as part of the cultural asset-related policy to put Joseon's cultural assets under their control. Also, they enforced the historic spot investigation throughout 5 years in 1916. The goal of the historic spot investigation was to find the archeological evidence related to the theory that could justify the colonial dominance such as heteronomy theory of Korean peninsula and the theory of Imnailbonbu. Therefore, the survey was concentrated on a certain region. In addition, they brought the excavated cultural assets during the survey to Japan under the pretext of academic survey. Japan brought a number of Joseon cultural assets to Japan throughout the overall Japanese colonial era. The transfer of cultural assets was done not only by the governmental authority such as the residency-general or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t also by individual Japanese. Although the transfer of cultural assets were legally prohibited at that time, they took them out of Joseon in secret. The cultural assets Japanese brought included finds discovered during the historic survey, stone relics, construction, pottery, and books. Their types are very various and the amount of the items which were taken out of Joseon is approximately 67,000. At that time, Joseon people tried to resist the cultural asset plunder by Japan. Joseon had a negative awareness against indiscriminate tumulus theft and cultural asset transfer done by Japanese. Also, they felt sorry for their cultural assets that were not managed but deteriorated. It was possible to find cases that Joseon people collected and repaired degenerated cultural assets based on this awareness. Particularly, Jeon Hyeongpil i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tried to keep the cultural assets during this time. Jeon invested his property and collected a number of cultural assets to protect valuable cultural assets from Japan. In addition, he opened a private museum named ‘Bohwagak’ to protect collected cultural assets. The cultural asset collectors such as Jeon include Oh Sechang, Son Jaehyeong, and Lee Byeongjik. Oh is a teacher of Jeon who wrote the art-related books, Son went to Japan to retrieve [Sehando], a work by Kim Jeonghee which was transferred to Japan. Lee Byeongjik also collected a lot of cultural assets. Also, some groups were organized to keep the Joseon's cultural assets. 'Hwayang Soje ruins preservation society' was the first civil cultural asset preservation group in Daejeon. They tried to collect and protect cultural assets related to Song Siyeol. ‘Gaeseong Boseunghoi’ was organized in Gaeseong to preserve and inform the local cultural assets. Particularly, collecting Goryeo porcelain was their main goal. Besides the direct cultural asset protective activity, there was a group which tried to protect the national culture. Hwang Jongha, Hwang Seongha, Hwang Kyeongha, and Hwang Yongha known as Hwang brothers succeeded to the Joseon's traditional paintings. Songdo painting research society organized by Hwang brothers trained younger students and aroused general people's interest in the art through the art education and exhibit holding. Like this, Japanese plundered the cultural assets indiscriminate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re were Joseon people who tried to keep their cultural assets and fight against them. Several figures and organizations from general people to specialists tried to protect the Joseon's cultural assets and national culture.

      • 서화 유물 보존에 사용된 전통 천연 약재에 관한 연구

        조은혜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99487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ade of organic materials such as papers or silks can be severely damaged by insects and germs. Therefore, in order to avoid such damages, currently fumigation is carried out as one of methods to kill the insects and germs, using ethylene oxide and Methyl bromide mixtures in a sealed environment. However, Methyl bromide is regulated as a hazardous substance and only allowed to be used for medical inspections in the developed countries since 2005 because it is a toxic substance and also one of pollutants to destruct a ozone layer. In the case of Korea, Methyl bromide will be entirely prohibited to use from 2015 and so the development of the substitute is urgently needed now. Therefore, insecticide, germicide or repellents to apply for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 repellents currently tend to increase their natural component parts. Traditionally, natural medicine stuff had been used to keep the paints and calligraphic works in safe from the insects and germs. This paper will review the fact of the traditional natural medicine stuff usage through old documents and confirmed the remaining medicine stuff. In addition, the natural medicine stuff has been reproduced based on the old documents and remaining stuff, and then tested to see whether they have the effects of biocide (repellents). The medicine stuff to care for books has been figured from 'Eui-guei', which tells about ceremonies, rules and examples for the Dynasty, related to 'Sil-rok' (authentic records), and the medicine stuff for paintings has been figured from another 'Eui-guei' related to 'Eo-jin; (portraits of kings). However, the ‘Eui-guei' of the records may only be limited to a Royal-family, and in the ’Eui-guei' of the portraits, only 'Eui-hyang' and 'Bu-young-hyang' (such like incenses or aroma) are just recorded to identify the stuff instead of using the specific name for each medicine stuff. Thus medical books such as 'Dong-eui-bo-gam' and 'Je-jung-sin-pyeon', at the time, are referred to in order to figure out which the medicine stuff are specifically meant to be. Also 'San-rim-gyeong-jei' and 'Gyu-hap-chong-seo' are referred to for the diversity of classes. Through the above books and documents, the types and quantity of the exact medicine stuff to be used to store paints and calligraphic works and even instructions/directions can be known. The records that show such applications of the medicines stuff usage go on for over 300 years and it proves that the traditional natural medicine stuff are indeed effective on repellents. Also, through the remaining medicine stuff in the storage box for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ome stuff have been identified and almost match with the types and proportions of the remaining medicine stuff after comparing the stuff with the records. Therefore, based on the objective and specific database, the medicine stuff have been restored accordingly and tested for the effects of repellents. After the tests, compared to the current method of the extraction from some of natural medicine stuff using alcohol or other types of solvent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medicine stuff, it is proved that using the natural medicine stuff themselves i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In addition, the medicine stuff are used for repellents rather than for insecticide or germicide, and have better properties as insect and germ repellents.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he conservation method of the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using the natural medicine suff is still effective through the scientific tests, and the possibility of the natural medicine stuff application can be introduced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s seen from the documents and tests, the natural medicine stuff replacing chemicals can be broadly applied to the conservation of the organic materials. 유기물인 종이, 비단 등으로 이루어진 서화 유물은 균과 충으로부터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는 이러한 생물학적 피해를 막기 위하여 밀폐된 공간이나 장소에서 기화성 약재인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와 메틸 브로마이드(Methly bromide)의 혼합가스를 사용하여 충·균류를 사멸시키는 훈증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메틸브로마이드는 인체에 유해할 뿐 아니라 오존층을 파괴하는 등의 환경오염물질로 규정되어 선진국의 경우 검역용을 제외하고는 2005년부터 이미 사용이 금지 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2015년 이후 사용이 전면 금지 되므로 이에 대한 대체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문화재에 적용 가능한 방충·방균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방충제의 경우에도 천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전통 천연 약재들을 이용하여 충과 균으로부터 서화류를 안전하게 보관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고문헌의 기록들을 통해 살펴보고, 아직까지 남아 있는 실제 약재들을 찾아 그 실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헌의 기록과 실제 약재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약재들을 재현하여 실제로 방충, 방균의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책 보관에 사용된 약재는 실록 편찬 관련 의궤를 통하여, 그림 보관에 사용된 약재는 어진 제작 관련 의궤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궤라는 자료는 왕실이라는 특정 계급에 국한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어진 제작 관련 의궤의 경우에는 정확한 약재명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의향’과 ‘부용향’이라 기록 되어 있으므로, 이것이 정확히 어떠한 약재를 칭하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당시의 의학서적인 『동의보감』과 『제중신편』을 조사하였으며, 계층의 다양성을 위하여 『산림경제』와 『규합총서』를 통해 알아보았다. 문헌들을 통해 서화류의 보관에 사용된 정확한 약재들의 종류와 양 그리고 사용법까지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약재 사용 기록은 300년이 넘는 오랜 시간 동안 계속 되는데, 이는 전통 천연 약재들이 실제 방균과 방충에 효과가 있었음을 뜻한다. 또한 실제 서화유물을 보관하는 상자 안에 지금까지 남아 있는 실제 약재들을 통해 그 실체들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록과 그 실체를 확인해 본 결과 그 약재의 종류와 약재들의 비율이 거의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들을 토대로 약재들을 재현하고 실제로 방균·방충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현대에는 어떤 천연 약재를 상품화하기 위하여 알코올이나 다른 용타?이용하여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보다는 천연 약재 그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약재들은 살균이나 살충 보다는 예방차원의 방충·방균을 위하여 사용되었고, 실제로 방충·방균의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예로부터 전통 천연 약재를 이용하여 서화유물을 보관, 보존하는 방법이 현재에 있어서도 유용한 것임을 과학적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지구환경을 고려한 전통 천연 약재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문헌과 실험을 통해 입증된 전통 천연 약재의 활용은 화학약품을 대신하여 유기물 문화재 보존에 크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장황(粧황) 재료로서의 수직명주 제작기술 보전 방안 연구

        임상호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103

        As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normally done on thin and easily broken materials like rice paper or silk, people mounted them in order to keep and appreciate such artworks. The purpose of ‘Janghwang (roughly, to mount pictures and works of arts, 粧䌙)’ works was to decorate calligraphy and picture in a beautiful and sturdy manner, so that craftsman was very cautious about selecting any required materials for the works. Although paper and silk are given a lot of weight as materials needed to do ‘Janghwang’ works,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aterials with a focus on silk fabrics, and especially investigated conserv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kills and techniques of Myeongju (hand-woven, processed silk, 明紬), the only material needed for ‘Janghwang’ works even today. According to the archive records relating to kings and queens’ portraits, and distinguished services for the state where silk fabrics that used in ‘Janghwang’ works are recorded in a detailed manner, it is noticeable that a variety of silk fabrics, ranging from the unprocessed raw silk that was used as the canvas for painting, the silk fabric woven with boiled spun silk yarn which was used in the reverse side of the frame, various silk fabrics woven by different method of weaving called Ju (紬), Dan (緞), and Neung (綾) which were used in finishing the border edging of screen or scroll or other works to the silk cloth to use for wrapping gifts or else, were utilized. These silk fabrics were produced by specialized craftsmen, and they were subdivided into their weaving jobs: the craftsman of weaving raw silk in plain weave, the craftsman of weaving silk in twill weave, and the craftsman of weaving cloths. Such job divisions can also be confirmed in the currently existing ‘Janghwang’ works for calligraphy and picture. Meanwhile, however, today those craftsmen that produced the silk fabrics used in ‘Janghwang’ works as mentioned above, and weaving skills and techniques thereof were vanished, so then the author could not find any silk fabrics produced by hand weaving for ‘Janghwang’ works locally any longer. ‘Pyogu’ is another word that carries the same meaning as ‘Janghwang, and these two word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The concept of ‘Pyogu (表具)’ was introduced from the time of Japanese forced occupation, and the silk fabrics which were used for ‘Janghwang’ works has had to get through many processes of change. Vanishing of demands for the high quality materials for ‘Janghwang’ works which had been used traditionally were resulted in the change of circumstance inasmuch as ‘Janghwang’ had to be changed into ’Pyogu’, and thus the quality of silk fabrics that used in ‘Pyogu’ jobs were degraded from high quality patterned silk to coarse polyester fabric. It is thought that the reason for such change was the consumers who perceived ‘Pyogu’ simply as the job to decorate calligraphy and picture, and that the interests of framing shops that had to save time and expenses to fit into desires of such consumers were matched. Degradation in quality of silk fabrics, which had been used in ‘Janghwang’ works, provoked the changes of other materials including glue, etc. This resulted in a saving in time making the job process simple, but such degradation inflicted serious damages on calligraphies and pictures. As a result, this brought about a shortening effect on the period of preservation. Facing reality of prevailing low-cost ‘Pyogu’ jobs, people, centering on those experts who work for museum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y, began to show interests in silk fabrics that used in traditional ‘Janghwang’ works. At the moment, the silk fabrics being used in ‘Janghwang’ works by these institutions are not hand woven silk fabrics as it was in the past, however, they use machine woven silk which are most close to the state of the silk that discovered in the subject relics. Meanwhile, however, machine woven silk fabrics are not able to compete with the hand woven silk fabrics by the craftsman in terms of its ‘beauty’ and of emotional feeling that derives from some irregular weaving works. And thus interests in the hand woven silk fabrics that create a good harmony with relics after completion of ‘Janghwang’ works, and that will be able to give people a feeling close to ‘Janghwang’ work as in the past becomes larger. Up until now, the silk fabrics produced by hand weaving is only Myeongju (processed silk, 明紬), which is plain cloth. Hand woven silk is the silk fabric which is produced by human hands involving every single process from raising silkworms and harvesting cocoons to producing raw silk by spun silk yarn. Current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designated the weaving skills and techniques of hand woven silk fabrics only inherited in Bonri 2-ri Yongam-myeon Seognju-gun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87, and other than this, hand woven silk fabrics are now producing at Dusan-ri Yangbuk-myeon Gyeongju-si wher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hand woven silk have been passed down to those villagers in a group, although the weaving skill has not been yet designat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residents of this village keep alive the weaving skills passed down from their ancestors, and each member of village produces 2 to 8 pil of Myeongju a year. However, the price range of their hand woven silk fabrics is so high that the reality is they haven’t yet discovered any other way to use their hand woven silk fabrics than for the purpose of shroud which a high quality funeral costume. Likewise, it is urgent to develop new demands for the villages where silk weaving skills have been passed down in order to reinforce their self-sustainability and stable inheritance of the production of hand woven silk. In th 서화(書畵)는 종이나 비단과 같이 얇고 약한 재질에 그려졌으므로 이를 감상하고 보관하기 위해 장황(粧䌙)을 하였다. 장황은 서화를 튼튼하고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 목적이므로 필요한 재료 선택에 매우 신중하였다. 장황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재료는 종이와 비단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 중 비단직물을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오늘날에도 장황 재료로 사용되는 유일한 수직(手織)비단인 명주(明紬)의 제작기술 보전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장황에 사용된 비단직물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어진 및 녹훈 관련 의궤에 따르면, 화본(畵本)에 쓰인 생초(生綃), 후배(後背)에 쓰인 숙초(熟綃), 회장(回裝)에 쓰인 주(紬)·단(緞)·능(綾), 궤를 감싸는 보자기에 쓰인 주(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비단직물이 사용되었다. 이런 비단 직물들은 전문 장인(匠人)들이 생산하였는데, 평직(平織)인 생사를 짜는 초장(綃匠)․능직(綾織)과 수자직(繻子織) 비단을 짜는 능라장(綾羅匠)․ 천을 짜는 방직장(紡織匠)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현 존하는 서화(書畵)의 장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앞서 장황에 사용되었던 비단직물을 생산하였던 장인과 그 제직기술이 사라져 더 이상 수직(手織)으로 생산되는 장황 재료를 국내에서는 찾아 볼수 없다. 장황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표구’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개념으로 사용되는 비단직물은 많은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장황’에서 ‘표구’로 바뀐 환경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고급 장황 재료를 수요할 곳이 없어졌고, 표구에 사용된 비단도 고급 문양비단에서 저급 폴리에스테르에 이르기까지 질적 저하를 거치면서 변화하였다. 이렇게 된 것은 표구에 대한 인식이 단순히 서화를 꾸미는 작업으로 여기는 소비자와 이런 소비자의 욕구에 맞춰 시간과 경비를 절약해야하는 표구사의 이해관계가 맞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장황에 쓰이는 비단직물의 저급화는 접착제 등 다른 재료의 변화까지 영향을 미쳤고 작업공정이 간단해 지면서 시간까지 단축시켰지만, 서화에는 심각한 손상을 주게 되어 보존 연한의 단축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저가의 ‘표구’가 성행하는 현실에서 박물관과 전문보존처리기관을 중심으로 전통 장황에 사용된 비단직물에 관심을 가지면서 재료 사용에 있어 ‘표구’와는 차별화를 이루었다. 현재 이들 기관에서 장황에 사용되는 비단직물은 과거처럼 수직비단을 사용하 지는 못하지만 대상유물의 상태에 가장 근접한 기계직 비단을 사용하고있다. 그러나 기계직 비단은 장인의 손에 의해 제작된 수직비단과 같은 ‘아름다움’과 다소 불규칙적인 제직상태가 주는 감성적인 느낌을 채워주지는 못하고 있으므로, 장황이 완료된 후 유물과의 조화, 과거의 장황에 가까운 느낌 등을 줄 수 있는 수직비단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오늘날까지 수직으로 생산되는 비단직물은 평직물(平織物)인 명주(明紬)가 유일하다. 수직명주는 누에고치를 사육하여 익명주로 만들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사람의 손을 거쳐 생산되는 견직물이다. 현재 문화재청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제87호로 성주군 용암면 본리2리의 수직명주 제직기술을 유일하게 지정하였고, 이외에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마을 구성원들에 의해 집단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경주시 양북면 두산리에서 수직명주가 생산되고 있다. 이들 지역은 선대로부터 전승되어온 기 술을 이어가고 있는 곳으로 개인당 매년 2∼8필의 명주를 생산하고 있지만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어 고급 상장례 복식인 수의(壽衣) 외에는 다른 활용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처럼 수직명주 전승지에서는 자생력 강화와 안정적 전승을 위하여 새로운 수요처 확보가 절실하고, 박물관과 전문보존처리기관에서는 전통 장황에 사용되어 온 수직명주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장황 재료로서의 수직명주를 생산한다면 전통기술을 대대로 지켜온 전승자들에게 자긍심과 함께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전승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관련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대상기관 모두에서 수직명주를 구입하여 장황에 사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황 재료라는 외부조건에 맞는 수직명주의 생산을 위해서는 도제식 전수교육을 통한 전통 제직기술의 전달, 안정적 명주 생산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양잠과 제직의 분업은 반드시 필요한 선행과제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