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황독주곡의 분석 연구 : 조주우 작곡<광개토대왕>에 기하여

        유경우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에서는 조주우 작곡 생황독주곡〈광개토대왕〉을 분석 연구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이 작품은 36관 생황과 32관 저음생황을 위한 독주곡으로 한국에서는 두 악기를 대상으로 하여 최초로 작곡, 연주된 곡이다. 따라서 작품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는 한국 음악의 창작부분이나 연주부분을 위해서도 시도 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작품이라고 본다. 이 작품은 쌍성주법(雙聲奏法)이 특징인 생황의 특성을 잘살려 작곡된 악곡으로 논자는 본고에서 작품의 음악적 구조를 고찰하여 연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의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인〈광개토대왕〉의 악장별로 선율구성안에 구성음, 리듬, 선율분석 한 후 화음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광개토대왕〉은 3악장으로 구성되어있고 전체 악장을 통하여 출현하고 있는 주요 구성 음들은 공통적으로 㑲, 黃, 太, 姑, 林의 5음으로 㑲이 주음이 되는 남려 계면조이다. 사용음역은 36관 생황은 亻姑 에 서 氵氵 姑 까지 음이고 대선율의 32관 저음 생황은 㣮(한옥타브 아래)에서 姑까지의 전 음역을 무리 없이 소화하여 자연스런 선율 진행과 다양한 음색 변화를 추구하였다고 본다. 둘째, 제 1악장은 3/4 박자, 주요리듬 󰁝♩,♩󰁝이고 제 2악장은 6/8박자, 주요리듬♩♪♩♪, 󰁗󰁜이며 제 3악장은 9/8 박자, 주요리듬󰁜󰁜󰁜의 리듬형이 중심음으로 이루며 전체적인 리듬의 특징은 당김음(syncopation)이 강조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주제 선율은 당연히 36관 생황 위주이고 독주선율과 반주선율은 대부분 대조적인 진행을 보인다. 36관 생황과 32관 저음 생황은 화성적 색채가 나타나는 선율진행을 하고 있다. 셋째, 악곡의 구성은 전체 악장이 3부분형식이고 선율진행은 1악장에서는 (A-B-A`Coda)으로 주제선율, 병진행, 순차진행, 동형진행, 정점(climax)으로 진행 하였고, 제 2, 3악장에서는 (A-B-A`)으로 주제선율, 사진행, 반진행, 유사진행, 동형진행이 출현하고 있다. 넷째, 이곡은 연주자의 기량과 즉흥성, 임의성에 따라 적응이 가능하도록 단음, 혹은 복합화성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주법들은 표현의 구체성과 긴장감 조성을 위한 안배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쌍성주법(雙聲奏法)의 적극 활용은 이 곡의 음량을 극적으로 확대 시키고 있다고 본다. 다섯째, 전곡을 통한 쌍성주법(雙聲奏法)은 화성진행 과 비 화성진행 으로 분석되며, 화성진행은 주로 주음에서, 비화성 진행은 주선율을 강조하기 위해서이고 주로 선행음, 전타음, 경과음, 계류음, 보조음, 이탈음이 출현하고 화성진행을 제외한 비화성진행의 출현횟수는 1악장 44회, 2악장 31회, 3악장 42회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생황독주곡〈광개토대왕〉은 전통 선율 음계구조의 바탕아래 적극적인 쌍성주법(雙聲奏法)의 인상적인 음악표현과 연주법을 기용하여 동서음악기법의 복합적 이미지를 살린 독창적인 작품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작품은 전통음악 분야에 있어 미래적 비젼을 제시하는 긍정적인 작품이라고 본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가 후속적으로 나오게 될 창작 생황독주곡 분야의 연주발전과 이론적 정립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nalyzed Cho, Ju-woo's Gwanggaeto the Great for Seanghwang solo. This music is for the solo performance of 36 pipes Seanghwang or 32 pipes bass Seanghwang, which was composed and performed for two instruments first in Korea.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try this music for the areas of composition and performance of Korean music that is demanded to be diversified. As this music was composed fittingly for Seanghwang characterized by Ssangseong stopping,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work. In this thesis, it is focusing on <Gwanggaeto the Great> ; scale, rhythm, and composition notes for each movement. And then, the method of this study on composition cho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wanggaeto the Great is composed of 3 movements, and major structural tones appearing commonly in all the movements are five tones (nam, hwang, tae, ko and lim), and nam is the tonic of the Namryo minor. The range used in 36 pipes Seanghwang is from inko to susuko, and in 32 pipes bass Seanghwang of contrapunctus the whole range from nam (one octave below) to ko is used smoothly. This shows that the music pursued natural process of melody and various changes of timbre. Second, Movement 1 is in three-four time and its main rhythm is ♩,♩, and Movement 2 is in six-eight time and its main rhythm is ♩♪♩♪, and Movement 3 is in eight-night time and its main rhythm ###, As a whole, the rhythm is characterized by emphasis on syncopation. The main melody is naturally for 36 pipes Seanghwang, and the solo melody and the accompaniment melody show contrastive process in most of the music. 36 pipes Seanghwang and 32 pipes bass Seanghwang have melody process showing harmonic color. Third, each movement of the music is composed of three parts, and the melody process is (A-B-A`Coda) in Movement 1, proceeding to the main melody, parallel process, serial process, sequence and climax, and is (A-B-A`) in Movement 2 and 3, showing the main melody, oblique motion, contrary motion, identical process and sequence. Fourth, for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performer's skill, spontaneity and arbitrariness, the music used monotone or compound harmony. These interpretations are considered arrangements for the specificity and tension of expression. In particular, the active use of Ssangseong stopping is expanding the volume of the music dramatically. Fifth, throughout the music, Ssangseong stopping is divided into harmonic process and non-harmonic process. Harmonic process uses mainly the tonic, and non-harmonic process, which is for emphasizing the main melody, uses mainly anticipation, appoggiature, passing tone, suspension, neighbouring tone and escape tone. Non-harmonic process appears 44 times in Movement 1, 31 in Movement 2, and 42 in Movement 3. In conclusion, Seanghwang solo music Gwanggaeto the Great was analyzed to be an original work that expresses the composite image of Eastern and Western musical techniques by adopting the impressive musical expressions and interpretations of active Ssangseong stopping based on traditional melody and scale structure. Accordingly, this music is considered a positive work presenting a future vision of traditional music. In addition,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refinement of perform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ories in creative Seanghwang solo music to be composed in the future.

      • 笙簧硏究 : 韓國·中國의 笙簧을 中心으로

        궈량 全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Based on the research of a Saenghwang(reed instrument) in Korea and China, it shows the history, structure and ways of manufacture, the process of change in china, condition of instruction, esthetic point of view, from analysi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research among Korea, China and Japan for researching Korean music. The results are represented below. First, In the history, a Saenghwang in china has influenced many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Taiwan, a few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nd Europe. After introduction of it, Korea has used it in the field of court music for vocal music, solo music, duet with danso and the ensemble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These days, a lot of music has been composed and played for the Saenghwang. Second, China has inherited methods to manufacture it. But Korea has depended heavily on imports from China. For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it in Korea, the methods to manufacture the instruments such as Saengmyo, Saengdu and Saenggak were introduced in Korea. Accordingly, the instruments suit for Korean tune should be manufactur ed directly. Third, It has satisfied the demanding and development for folk music in China and repeated improvements. National instrument in China has encountered a few problem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 It has to adjust to fast-changing times, keeping its originality with the scientific method in Western. These are critical problems that instrument experts and performers have to deal with. Fourth, There are around 40 institutions for the major of a Saeng hwang in China. They are run not only on a large scale but also by the public figures, establishing constructive basics for development and scientific education for diversifying its artistic aspects. Scientific education for diversifying its artistic aspects has the brilliant objectivity such as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strengthening its shape with standard, diversity and unity. They has had students acquire various music, providing a lot of data such as text book for score, video, music, literature theory, music exhibition, contest and discussion for research. Fifth, The spirits of a Saenghwang are harmony, virtue and purity. Sixth,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both are identical in the terms of ways to play because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China. A lot of school has been formed by performers throughout centuries. So there has been improvement in the technic. But there was a limit in the process in Korea because of various political situations. Both countries only have score in the case of old music and don’t play that music. Both countries have played that music only with various forms in the traditional songs for the instrument. In China, a lot of composers have made many solo songs. But in Korea, there have been a few songs since “wind direction” composed by Lee Jun Ho in 1997. Seventh, It has examined chord and tone with a Saenghwang made up 17 pipes in China and Korea for the comparative research. 17 Saenghwang consists of tetrachord and the perfect fifth in China. In a fundamental note, it is the perfect fifth until the second sound and tetrachord until the third sound. These are identical with Korean chord fundamentally. Keywords : Necessity for manufacturing aenghwang suitable in Korean music.

      • 17관 생황을 활용한 수업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 1인 1악기 창의적 체험 학습을 중심으로

        한승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에서는 1인 1악기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창의적인 체험 관련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들에게 1인 1악기 음악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생황이 학교 음악교육용 악기로서의 적합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인 1악기 음악교육에 있어서 생황이 얼마나 이에 적합하고 실현 가능한 악기인지를 분석한 결과, 생황은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첫째, 대표적인 전통 관악기인 단소와 소금에 비해 소리내기가 쉽고 다양한 음을 낼 수 있다. 둘째, 연습과 노력에 투자하는 시간에 비해 빠른 연주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민요와 동요, 전통 정악(正樂)곡과 새로운 창작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 연주가 가능하다. 넷째, 악기의 크기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고, 다른 전통악기에 비하여 구입비용도 저렴하다. 따라서 1인 1악기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악기로서 생황은 매우 적합한 악기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1인 1악기 생황 연주교육을 위해 초급, 중급, 고급, 심화단계의 4단계로 세분화하였고, 각 단계별 학습목표 및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재곡은 중학교 음악 교과서 수록곡과 창의적 체험활동에 적합한 곡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단계별 학습목표 및 수업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급단계에서는 생황의 역사와 구조 및 종류를 이해하고, 연주법과 연주 자세를 알아보며, 연습곡 연주를 통해 생황 운지법과 호흡법을 익히고 학생들이 생황에 관하여 흥미가 유발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중급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익숙하게 알고 있는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실린 동요와 우리나라 민요를 중심으로 제재곡을 구성하였고, 단성법 연주와 쌍성법 연주를 병행하여 화음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고급단계에서는 생황의 음색과 어울리는 창작곡을 연주해봄으로써 화음을 더욱 다채롭게 느껴보는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심화단계에서는 전통음악 가운데 정악(正樂)곡을 제재곡으로 연습한 후 단소와의 앙상블을 느낄 수 있는 생소병주(笙簫幷奏)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생황 연주를 위한 단계별 학습목표 및 수업지도안은 중학생들이 인지적(認知的)·정의적(正義的)·심동적(心動的) 기능을 두루 구비하도록 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있어서 새로운 1인1악기 교육으로 생황의 적합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ne-person one-instruments and to present a learning guide to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effectively utilize the tim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this way, Saenghwang tried to demonstrate its suitability as a musical instrument for school music education. It was analyzed that how Saenghwang is congenial and feasible in the one-person one-instrument music education is. As a result, the Saenghwang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it is easier to make sound and can express various sounds compared to Danso and Sogeum, which are representative traditional wind instruments. Second, there is a faster performance effect than time spent on practice and effort. Third, it can play various genres of music, including folk songs and agitation, traditional songs and new creative songs. Fourth, the instrument is small and light, making it easy to carry, and the cost of buying it is cheaper than other traditional instruments. Therefore, Saenghwang can be evaluated as a very suitable instrument for the one-person one-instrument music education.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stages: elementary, intermediate, advanced and in-depth stage. And then, the teaching goals and teaching guidelines were presented for each stage. Songs for class were selected from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songs suitable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 followings 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ep-by-step learning objectives and lesson guidanc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the history, structure, and type of Saenghwang were understood in the early stages, and recognized the way to play and the posture of performing. In addition, it was organized so that the students could learn how to rhyme or breathe and create interest in Saenghwang through the performance of a practice song. Second, in the mid-level, the songs were composed mainly of familiar agitation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Korean folk songs, and single voice performance and dual voice performance were combined to make people feel harmony. Third, in the advanced stage, the composition was composed of a more diverse sense of harmony by playing creative songs that matched the tone of the phoenix. Fourth, in-depth stage, classical musics among traditional music were practiced and then tried an ensemble with the Danso. The step-by-step learning goals and instructional guidance for performing cade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 new one-person one-instrument training was presen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o ensure that they have all the cognitive, righteous, and psychoactive functions.

      • 24관 생황과 12현 가야금을 위한 <Gravity> 분석 연구

        송지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6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2015년 ‘우주의 이미지를 통한 굉음(轟音)과 미음(微音)의 표현’을 주제로 작곡된 본인의 작품 ‘24관 생황과 12현 가야금을 위한 <Gravity>’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창작 동기 및 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악곡의 구조와 주법 등을 분석함으로써 곡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바를 제시하기 위한 작품 연구 논문이다. 본 곡은 우주가 가지고 있는 두 가지 대비되는 측면을 가지고 작곡된 곡이다. 첫 번째 측면은 우주의 역동적 측면으로 우주 공간 내에서 가지고 있는 엄청난 에너지와 행성의 생성·폭발 등을 통한 그 에너지의 움직임이다. 특히 폭발이라는 요소는 악곡 내에서 음악적 카타르시스와 연결시켜 표현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우주의 정적 측면으로 중력과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으로서 우주, 곧 완전한 무음의 세계이자 어떠한 추진 장치 없이는 부유(浮游)할 수밖에 없는 정지된 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가리킨다. 이 두 가지 소재는 서로 대비를 이루어 강조되기도 하고 때로는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점차 확대된다. 이미지의 진행에 따라 <Gravity>를 부분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ravity>의 악곡 구조는 [A] - [B] - [C] - [C′] - [B′] - [A′] 의 6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각 부분은 각각 다른 우주적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여 곡을 전개시켜 나가는데 [A]부분은 ‘부동성(不動性)’중에서 ‘무(無)의 세계’의 이미지를, [B]부분은 ‘부동성(不動性)’중에서 ‘부유(浮游)’에 대한 이미지를, [C]부분은 ‘역동성(力動性)·혼돈(Chaos)’의 이미지를, [C′]부분은 ‘역동성(力動性)·폭발(爆發)’의 이미지를, [B′]부분은 다시 ‘부동성(不動性)’중에서 ‘부유(浮游)’에 대한 이미지를, [A′]부분은 다시 ‘부동성(不動性)’중에서 ‘무(無)의 세계’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이러한 특정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생황의 특정한 주법을 각 부분별로 나누어 배치해 사용하였다. <Gravity>의 구조는 마치 A-B-C-B-A와 같은 구조를 띄어 곡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다시 처음의 이미지로 회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둘째, <Gravity>에서 나타난 생황의 주법을 살펴본 결과, 생황은 B♭부터 g″까지의 음역을 가지고 있으며 E♭M 스케일을 기본으로 사이사이에 반음이 포함돼있는 음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운지할 시에 음의 순서는 무작위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생황창작곡을 작곡할 시에는 각손 운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동시에 많은 음을 동시에 낼 경우에는 숨에 대한 고려도 필수적이다. 또한 생황의 관대 중 키(key)가 달리지 않아 직접 구멍을 막아 소리내야하는 6개의 관대에서는 구멍을 조금씩 막는 sliding 효과를 이용해 추성 혹은 자연스러운 포르타멘토 효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분석한 <Gravity>에서는 24관 생황에서 연주 가능한 주법이 각 부분별로 배치되어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24관 생황에서 낼 수 있는 모든 소리의 범주를 설정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실험한 곡이라고 하겠다. 셋째,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생황 중심의 소편성 중주곡에서는 국악기보다 양악기와 함께 편성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우리나라에서 연주되는 17관 생황, 24관 생황, 37관 생황의 연주 경향성을 살펴보면 그간 발표된 생황창작곡들은 대부분이 24관 생황을 위해 작곡된 곡이었으나 최근 3-4년 이내에 발표된 곡들은 24관 생황보다 37관 생황 창작곡이 더 우세한 수로 발표되고 있다. 본 고에서 분석한 송지섭 작곡의 <Gravity>의 경우는 24관 생황과 12현 가야금을 위한 2중주곡으로 현재까지 발표된 곡들 중에 생황과 가야금의 2중주로만 발표된 곡은 없었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산조가야금이 생황과 함께 연주된 창작곡의 선례는 찾아볼 수 없었으므로 <Gravity>의 분석 연구를 통해 생황 창작곡의 다양화 측면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볼 수 있다. 이처럼 24관 생황과 12현 가야금을 위한 2중주 <Gravity>는 역동성과 부동성의 2가지 우주적 이미지를 24관 생황과 12현 가야금이라는 두 악기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이 때 각 부분들은 박자와 속도 혹은 선율 진행방식을 통해 명확히 구분되어 구조가 분명하게 잘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다. 2000년대 이전까지 생·소병주등의 전통음악 연주에만 머물던 생황이 단지 전통음악 연주에서 벗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떠한 편성에도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편성으로 연주가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는 현재, 이 곡을 통하여 생황 창작곡의 다양화에 일면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고를 통하여 이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의 곡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연주법 고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水龍昑>의 생황선율과 다성주법 비교 연구 : 김태섭, 정재국의 연주를 중심으로

        김효영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759

        생황은 전통음악 중에서 유일한 화음 악기이며, 삼국시대부터 전해져 오는 악기로 조선시대에는 아악기로서 사용 되었을 뿐 아니라 민간사이에도 통용되었다. 이 생황 연주의 대표적인 곡이라 할 수 있는 <수룡음>을 당대 최고의 명인들인 김태섭, 정재국의 생황 연주를 비교하여 보았는데, 국립국악원에서 펴낸『한국음악』악보집중 제 4권에 수록되어있는 김기수 채보의 <수룡음>과 함께 비교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른 선율의 상이점과 전통화성 및 다성주법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선율비교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태섭과 정재국의 기본적인 선율 골격은『한국음악』에 수록되어 있는 김기수 채보의 수룡음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김태섭은 장식음을 자주 사용하여 생황이 단순한 화성 악기라는 인식을 벗어나게 하였고 3장 후반부, 4장 초반부 등에서 독자적인 선율을 연주하기도 하였다. 정재국은 연주는 김태섭의 연주에 비해 비교적 장식음의 사용이 적으나, 화려한 화성을 사용하였으며, 4장과 종지에서는 개성적인 선율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생황연주에서 두 음 이상이 동시에 나는 소리를 본 연구자는 다성주법이라 설명해 보았는데 두 음이 동시에 나도록 연주되는 기법을 2성주법,세 음이 동시에 나도록 연주되는 기법을 3성주법이라 하였다. 다성주법의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태섭과 정재국의 연주에선 이 다성주법의 쓰임이 전혀 다름을 알 수 있었다.김태섭은 2성주법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黃은 단성또는 8도 화성,太는 단성 또는 8도화성,仲은 4도화성 또는 8도화성,林은 8도 화성,無는 8도 화성으로 연주하였다 . 선율마다 규칙적인 화성을 적용하여 연주하되,강조된 선율일 때는 별도의 화성을 쓰기도 하였다.시김새는 주로 단성을 사용하였다 정재국은 선율에 따라 여러 종류의 화성을 2성주법과 3성주법을 병행 하여 사용했는데 2성 주법에서는 4도,5도,8도 화성을 고루 사용하였고,3성 주법에서는 4도+5도,5도+4도,8도+4도의 화성을 연주하였는데,선율진행에 따라,음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연주하였고,시김새 역시 단성과 2성,3성을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본고의 연구를 통해 생황 연주 <수룡음>이 비록 몇몇 연주자에 의해 전수되긴 했지만 정악이 가지고 있는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각 주자의 연주력과 방식에 따라 어떤 흐름의 차이를 가지는지 알 수 있었다. 생황이 앞으로 전통음악에서 제자리를 찾아나가기 위해 정간보의 발간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Saengwhang(笙簧) is a music instrument which could play two notes or more notes and handed from Tri-Kingdom period to Joseon dynasty. The instrument was used not only for the Court music but for folk music in Joseon dynasty. "Suryongeum" is a representative piece for the instrument. There were two recorded materials by the master musicians: Gim, Taesup and Chung, Jaeguk. I tried to analyse these pieces on their melodic structures, traditional harmony and multi-phonic skills compared with a music book written by Gim, Gisu.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basic melodic structures by two musicians are not quite different from the music book. In the piece played by Gim, Taesup, ornaments were used frequently and this skill makes this instrument versatile and he plays his own melody compare with the music book. In the piece played by Chung, Jaeguk, He plays less ornaments than Gim, Taesup and in the fourth chapter and at ending, he plays his own unique melody. In the performance by the Saegnhwang, there were unique skills that could make harmony. I call these ,"daseong jubeop", - multi-phonic skill. In multi-phonic skill, two musicians had some differences. Gim,Taesup used eseong jubeop (skill playing two note at the same time) principally. At a note “hwang(黃)”, this note was played alone or with octave high. At a note “Tae(太)”, this note was played alone or with octave high. At a note “Jung (仲)”, this note was played with perfect fourth or octave. At a note “Im(林)”, this note was played with octave. At mu(無), this note was played with octave. In the process of melody, he played this rule regularly, but at emphasized zone he used his own unique skill. And he used ornaments on mono-tone principally. Chung, Jaeguk used eseong jubeop or samseong jubeop (skill playing three note at the same time ) in daseong jubeop. In eseong jubeop, he used perfect fourth, perfect fifth and octave and in samseong jubeop, he used perfect fourth with perfect fifth, perfect fifth with perfect fourth and octave with perfect fourth. He used these skills by the process of melody and length. And ornaments were used in mono-tone, eseong jubeop or samseong jubeop. By this study, I can see that the melody and daseong jubeop of the Sangwhang were inherited by some musicians and were not quite different from the music book written by Gim, Gisu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more studies about Saengwhang.

      • 18세기 말~19세기 초 줄풍류 전문음악가 연구 : 유춘오악회와 북학파 풍류방을 중심으로

        길현주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07

        유춘오악회는 홍대용의 집 유춘오에서 열렸던 음악 모임이다. 이 악회는 현재까지 전승되는 줄풍류의 초기 형태로 여겨지며, 신분을 초월한 모임으로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여기 참여한 문인 비전문가들은 문집을 통해 자신 및 서로에 대한 기록을 풍부하게 남겼지만 전문음악가들에 대한 기록은 드물다. 또한 줄풍류가 문인음악 혹은 중인음악의 관점에서 주로 파악되다보니 상대적으로 전문음악가들의 존재는 간과되었다. 본 논문은 문집‧저술물‧고악보 등의 민간 문헌, 실록‧선생안‧의궤 등의 공적 문헌, 학계의 선행연구 등을 종합하여 유춘오악회 및 북학파 풍류방을 중심으로 활동한 전문음악가들의 행적을 규명하고 이들이 어떻게 주체적으로 또 전략적으로 활동했는지를 추적하고자 했다. 유춘오악회 및 북학파 풍류방과 인연을 맺었던 전문음악가들은 연익성, 박보완, 문명신 같은 장악원 음악가들이다. 연익성은 홍대용의 10대에서 40대까지를 함께 했던 금사(琴師)였다. 홍대용과 연익성은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한 집안의 자제와 충청도 지역의 악공으로서 충청도 수촌에서 처음 조우했다. 이후 연익성이 장악원에 들어가고 홍대용도 상경하며 이들의 인연은 30년간 이어진다. 그들은 신분 차이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평등한 ‘우정’을 나누었던 사이였다. 이후에 활동했던 박보완은 연익성과는 달리 대금과 생황 등 관악기에 능한 음악가였다. 그는 활발한 민간 활동의 자취를 남겼고 공적으로도 50년 이상 궁중의 각종 연향에서 (가)전악으로 활약했다. 박보완은 유춘오에서 양금을 접하고 그 유행 가능성을 내다보았으며, 중국 사행(使行) 때는 생황과 함께 양금의 연주법을 배워와서 민간 풍류방에 확산시킨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향악 전공 우방 악공 출신으로 민간에서 생황과 양금의 유행을 주도하였다. 박보완 이후에 활동한 생황 전문가 문명신 역시 양금으로 관심영역을 넓혔으며 『구라철사금자보』의 저본이 되는 최초의 양금자보인 『문명신양금자보』를 제작하였다. 그는 당악 전공 우방 악공 출신으로, 유춘오악회 이후 북학파 풍류방에서 활동한 인물로 보인다. 연익성, 박보완, 문명신의 행적은 조선후기 악회에서 활동하던 장악원 전문음악가들의 전략 양상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전 시대인 17세기 말~18세기 초에 활동했던 김성기와 한립은 거문고 전문가로서 문인 비전문가들의 미감에 맞춘 신성(新聲)을 짓고 악보를 만들어 가르쳤다. 18세기 후반 유춘오악회의 연익성 역시 이러한 전략의 연장선상에서 활동한 음악가였다. 그런데 18세기 말이 되면 청(淸) 문물의 활발한 유입을 배경으로 전문음악가들이 새로운 악기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적극적 역할을 수행한다. 생황 전문가 박보완은 민간 풍류방을 통해 양금을 접하고 청에서 연주법을 익혀와 우리 곡조에 맞추었으며, 문명신은 최초의 양금자보를 만들었다. 1828년에는 이들 가계에 의해 궁중에서 처음으로 양금이 연행된다. 장악원에는 이처럼 자신들의 전공 영역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영역으로 진출하고자 했던 우방 소속의 진취적 음악가 가계들이 있었으며, 이들의 관심사는 대체로 대금->생황->양금 순으로 움직인 것이 확인된다. 그러나 양금은 민간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궁중 도입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이는 양금이 1801년 신유사옥 때 풍속을 교란하는 사특한 악기로 여겨졌던 것과 관련된다. 유춘오악회와 북학파 풍류방에서 활동했던 전문음악가들은 변화하는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기존 악기에서 생황과 양금 등의 새로운 악기로 역량을 키우면서 그 유행을 선도하였고, 연주법과 악보 보급 등 비전문가들의 필요와 어려움을 해결하였다. 또한 이들은 유춘오악회와 북학파 풍류방의 악풍을 다른 민간 풍류방에 전파하는 한편, 궁중으로 새로운 악기인 양금을 들여오는 매개자로 활약했다.

      • 5인의 주자를 위한 실내악곡 <타키> 분석 연구

        한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5인의 주자를 위한 실내악곡 <타키>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작품개관 및 편성악기에 대하여 알아보고 악곡 구조를 살펴 이를 바탕으로 선율분석을 진행하여 악곡의 특징적 선율유형과 음악 양식을 도출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악곡은 한지윤에 의해 2018년 작곡된 작품으로, 38관 생황, 마두금, 피리, 25현 가야금, 대아쟁, 장구로 편성되어있다. 작품분석에 앞서 작품개요 및 편성 악기의 음역 및 조율법과 연주기법에 대해 살폈으며, 국내에 자료가 없는 38관 생황의 도해도와 화설(花舌)과 타음(打音) 등의 특수주법 및 마두금의 운지법과 특수주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악곡 구조는 3악장의 구조로, 1악장 [일출 sunrise], 2악장 [말의 입김 the breath of a horse], 3악장 [질주 galloping]의 각 부제를 지니며 조성, 박자, 빠르기를 달리하여 전개된다. 1악장 [일출 sunrise]는 F Aeolian mode선법으로, 박자는 4/4, 5/4, 2/4, 4/4 의 변박 진행, 빠르기는 tempo rubato로 구성된다. 2악장 [말의 입김 the breath of horse]는 C Aeolian mode선법으로, 박자는 4/4, 빠르기는 ♩=68로 구성된다. 3악장 [질주 galloping]은 B♭ Dorian mode, C Dorian mode선법으로 박자는 3+3+2/8, 4/4의 변박 진행, 빠르기는 ♪=266로 구성된다. 셋째, 전체 악곡의 선율 분석을 통해 각 단락의 특징적 선율 유형과 이에 따른 음악적 양식을 살핀 바, 1악장은 ⓐ상행 선율형, ⓑ하행 선율형, ⓒ동음 진행형, ⓓ혼합형의 선율형이 나타났다. 또한 몽골 성악 중 오르팅 도가 피리선율을 통해 기악화 되어 사용되었으며, 피리와 25현 가야금이 독립적인 선율로 진행하는 polyphony의 음악양식이 나타났다. 2악장은 ⓓ아르페지오, ⓔ유니즌 화음의 선율형이 나타났다. 또한 몽골 성악 중 후미의 하일라흐가 마두금 연주자의 가창으로 활용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악장 전반에 걸쳐 38관 생황, 25현 가야금, 대아쟁이 독립적인 선율로 진행하는 polyphony의 음악양식이 나타났다. 3악장은 ⓖ혼합박, ⓗ부점 혼합박, ⓘ투티, ⓙ2분박 8분음표 리듬형, ⓚ2분박 8분음표 리듬형2, ⓛ부분적 투티가 나타났다. 또한 2분박으로 이루어진 ♩+♩+♩+♩리듬형과 3분박과 2분박의 혼합박으로 이루어진 ♩.+♩.+♩ 리듬형이 혼재된 polyrhythm의 음악양식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5인의 주자를 위한 실내악곡 <타키>는 몽골의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이미지화 시켜 음악으로 나타내고자 작곡된 곡으로, 몽골의 마두금, 중국의 38관 생황, 한국의 피리, 25현 가야금, 대아쟁, 장구 등 동아시아 악기의 앙상블을 통해 국가 간의 음악적 교류를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국가 간의 음악적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해본다. This thesis analyses Jiyoun Han’s Takhi, a chamber music piece for a quintet which premiered in 2018.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the featured instruments and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melody of the piece are as follows. Firstly, This piece is composed by Jiyoun Han, featured 38-pipe sheng, morin khuur, piri, 25-string gayageum, and 10-string large ajaeng, and janggu. Prior to the analysis of the piece, will examine the register, tuning and the playing styles. In particular, the hwaseol and taeum playing styles of the Sheng, which are only conveyed in Chinese and for which there is no Korean source or illustration, were organised. Secondly, the structure of the piece features three movements. Each movement has subtitles; The first movement, “Sunrise”, The second movement, “The Breath of the Horse”, The third movement, “Galloping”. The first movement is in F Aeolian, the tempo is in tempo rubato, and the time signature shows a contrasting progression of 4/4, 5/4, 2/4, 4/4. The second movement is in C Aeolian, the tempo of ♩=68 and a time signature of 4/4 and the Third movement is in B♭ Dorian mode and C Dorian mode and the tempo is ♪=266, while the time signature shows a contrasting progression of 3+3+2/8, 4/4 . Thirdly, a melody analysis of the instrument responsible for the main melody of each movement was carried out, which showed that the style, musical material used, and the melody pattern appearing in each movement was different. The first movement features ⓐascending melody, ⓑdescending melody, ⓒhomophonic progression, and ⓓmixed melody format. Furthermore, a more thorough examination of the piri showed the instrumentalisation of Urtiin Duu, through the piri’s melody, can be seen. For the music style, a polyphony of independent piri and 25-string gayageum melodies appears after the 16th bar. The second movement shows a harmonic melody form of ⓓarpeggio and ⓔunison appears. Additionally, one can see that the khailakh of the khoomei style of Mongolian singing is used in the song of the morin khuur player. In the music style, a polyphony consisting of the independent melodies of the 38-pipe sheng, the 25-string gayageum, and the large ajaeng appears throughout the entire movement. The third movement features ⓖmixed metre, ⓗmixed dotted rhythm, ⓘtutti, ⓙtwo-eight time, ⓚtwo-eight time 2, and ⓛpartial tutti. The music style shows a blended polyrhythm of a ♩+♩+♩+♩ rhythm pattern formed of 2 time and a ♩.+♩.+♩ rhythm pattern consisting of a blended time signature of 3 and 2 time. In this way, the chamber music piece Takhi for a quintet seeks to imagine the natural beauty of Mongolia as well as its musical artistry and to reveal this beauty and artistry in each movement. Furthermore, through the ensemble of the Mongolian morin khuur, the Chinese 38-pipe sheng, the Korean piri, the 25-string gayageum, large ajaeng, and janggu, a new musical collaboration between the countries is presented. Thus, the piec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usical collaboration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