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 사상의 비판적 고찰

        황세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A Critical Review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 in South Korea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drawing upon Western perspectives of nature such as monism and dualism, mechanistic views of nature in modernity, and the influences of Donghak and Won Buddhism based on Eastern Buddhist philosophy. The primary goal is to establish the groundwork for Christia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ovide directions for its development. The research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i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related to religion? 2. What is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of environmental education? 3. What is the background and ideology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4. What scholarly examinations can be conducted regarding the ideological underpinnings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framed within the context of a Christian worldview?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se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related to religion, conducted on 213 papers, with 173 domestic theses and 40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6 to the present, indicates a scarcity of research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more comprehensive studies addressing various subjects, foundational and practical research,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vestigations from a Christian viewpoint. Secondly, Warnings about environmental crise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began in the 1960s,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World Environment Day as a global initiative to address the severity of these issues. In contrast,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lagged significantly behind other countries in terms of timing.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ur country can be traced back to the year 2008 when content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was included in the UN conference held in Paris. Despite this, interest gradually began to emerge. Nevertheless, while striving for excessive industrial development without heeding warnings about the ecological crisis, our country faced the situation of driving change through national policies as financial support from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a governmental collaboration on climate change, was halted. Since 2021, our country has been undergoing rapid changes towards carbon neutrality. Thirdly, Western views on nature originated from a monistic perspective, perceiving nature as a singular organism, and evolved into a dualistic perspective where nature became the subject of human domination.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a mechanistic view, a human-centric dualism,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destruction of the Earth's ecological environment with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The Eastern perspective on nature, rooted in Buddhism, significantly shapes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perspective encompasses the panentheistic (Panentheism) ideas of Donghak and Won Buddhism, cyclical theories, and the life-respecting philosophy of non-killing. From a Christian standpoint, these ideologies pose challenges. Panentheism, for example, contradicts the notion of creationism. Additionally, the assertion in cyclical theories that salv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self-realization sharply contrasts with the Christian doctrine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In Christianity, salvation is not achieved through human efforts but entirely through the grace of God. The philosophy of non-killing, emphasizing respect for life, differs in meaning from the Christian understanding of God's love and care for life. In a worldview emphasizing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through respect for life, there is no acknowledgment of the existence of a Creator God. Conservation of the natural world within the order of creation can only be accomplished when we recognize our responsibility to care for and conserve nature through respect for life, rooted in God's love. Fourthly, In the research trends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studi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have been notably scarce. Additionally, there is almost no research related to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theological approach.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based on systematic theology to establish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hristia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imperativ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actively implement ecological educ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requiring teacher training.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a Christia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lens of a Christian worldview is essential. 본 연구는 서양의 자연관으로 일원론, 이원론과 근대의 기계론적 자연관, 동양의 불교 에 기초를 둔 동학과 원불교의 자연관에 영향을 받은 생명중심 교육사상에 기초한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을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하여 비판함으로써 기독교 생태유아교육의 정립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여 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 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종교관련 생태유아교육의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2) 생태교육의 역사와 철학적 배경은 어떠한가? 3)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배경과 사상은 어떠한가? 4)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 사상의 비판적 고찰은 어떠한가? 위에 설정된 연구문제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위한 종교관련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은 1996년부터 2023 년 현재까지 출간된 국내 학위논문 173편과 학술지 논문 40편, 총 213편의 논문을 대상 으로 시기, 대상, 내용, 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생태 유아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모든 대상과 기초 및 실천연구 그리고 양적, 질적 연구 등 전반적인 연구가 모두 미비하여 기독교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둘째, 미국 및 유럽에서는 1960년대 이후 환경위기에 대한 경고를 시작하여 그 심 각성을 계기로 세계지구의 날을 제정하여 변화를 주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생태유아 교육이 시기적으로 외국에 비해 많이 늦었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 생태유아교육이 유 입된 시기는 2008년 파리에서 개최된 UN회의에 지속 가능발전교육에 유아에 대한 내용 이 포함되면서 조금씩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생태환경 위기에 대한 경고를 무시한 채 과도한 산업발전을 이루려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의 협의체인 IPCC에 의해 재정지원이 막히면서 심각한 국면을 맞이하고 2021년부터 현재까지 탄소중립을 위한 급속 한 변화를 이루어가는 중이다. 셋째, 서양의 자연관은 자연을 하나의 유기체로 보는 일원론적 자연관으로부터 출 발하여 자연을 지배의 대상으로 보는 인간중심적 이원론적 자연관으로 발전하였고 과학 문명의 발달로 도구적 기계적 자연관이 형성됨으로써 지구생태 환경을 파괴하는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측면에 큰 영향을 준 동양의 자 연관은 불교에서 파생된 동학과 원불교의 범재신론적 사상과 윤회론, 불살생의 생명존중 사상이 있다. 이러한 사상들을 기독교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 범재신론은 창조론을 부정 하는 것이다. 또한 윤회론에서 주장하는 인간의 자기수행을 통한 구원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기독교의 구원론과는 매우 대치된다. 기독교에서의 구원은 인간 자신의 수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는 것이다. 불살생 의 생명존중사상은 하나님의 사랑과 돌보심의 생명존중 사상과는 다른 뜻이다. 인간과 자 연의 공생을 통한 생명존중을 강조하는 사상에는 창조주 하나님이 존재하지 않는다. 온 우주를 창조하시고 죽기까지 사랑하셔서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 구속사역을 이루신 하나 님의 사랑 안에서 이웃과 자연의 생명을 존중해야 한다. 하나님의 사랑을 통한 생명존중 으로 자연을 돌보고 보존하는 책임을 우리 모두가 인식할 때 비로소 창조질서 안에 있는 자연이 보존될 수 있다. 넷째,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연구동향에서 기독교적인 관점에서의 연구가 매우 저조하였다. 또한 신학적 접근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조직 신학을 기반으로 한 기독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기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유아교육 기관에서 기독교적인 관점에서의 생태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에 옮기는 것 이 매우 시급한 일이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기독교적 세계관을 통한 기독교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여야 한다.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혜주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들어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태유아교육이 제대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아직 여러 가지 한계와 과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생태유아교육은 그 교육내용과 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단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회성 흥미 유발로 활용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프로그램 연구 또한 단일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생태유아교육은 영아기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생태유아교육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영아를 대상으로 하면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다양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여 이것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영아가 자신의 정서를 인식, 표현, 조절하고 적절하게 이용하며 타인의 정서를 인지하고 감정이입과 배려를 통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만 2세반 원아 20명이며, 영아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과 기존의 ‘표준보육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을 각각 8주간 실시하고, 그 후 두 집단이 정서 지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영아가 그렇지 않은 영아보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정서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서지능에서 동일한 집단으로 간주되던 두 집단이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영아가 표준보육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영아보다 정서지능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힌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영아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ecological stud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ctively made, but still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s not take place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everyday life and not a few cases that are devoted to the one-time curiosity and to induce an interest. In addition, the ecological education of the infant would be effective starting at infancy and toddlers should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programs that target even though, so fa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study was done primarily targeted to toddlers. Therefore, a single program, targeted at infants, but takes place in the ecology of everyday lif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study a little more diverse and there is a need to be active. In this study, a variety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had conducted to find out how it impacts on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y examined how infant recognizing his or her emotion, expressing, controlling and using it suitably and also they examined how it effects to recognize other’s emotions and ca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 empathy and considering. Research targets were 2years old children from K children’s home in Seoul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years old 10 children from H children’s home in Seoul as a comparison group. They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conducted with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nd existing standard of care process-centric program. An analysis of the material collected in this study. An infant who ha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showed high result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the infant who have its relationship with peers and teachers, caring relationships,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rough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before the Group carried out two group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fter conducting an experi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heightened emotion than an infant comparison groups can see tha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n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has revealed that in this study,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 the field of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o improve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programs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cological hope.

      •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애정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표준보육과정이 운영되는 비교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를 통한 정서지능을 비교함으로써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은 유아 정서지능의 자기 정서이용 증 진에 효과가 있는가? 1-2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은 유아 정서지능의 타인정서 인식및 배려에 효과가 있는가? 1-3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은 유아 정서지능의 자기정서 인식및 표현에 효과가 있는가? 1-4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은 유아정서지능의 감정조절 및 총동억 제에 효과가 있는가? 1-5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은 유아정서지능의 교사와의 관계에 효 과가 있는가? 1-6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은 유아정서지능의 또래와의 관계 증진 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L어린이집 만 3세반에 재원중인 원아15명을 실험집단으로 N어린이집 만 3세반에 재원중인 원아15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집단이며, 비교집단은 표준보육과정 중심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정서의 이용은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자기정서의 이용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는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은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는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교사와의 관계는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교사와의 관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또래와의 관계는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또래와의 관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정서지능 전체는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정서지능이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사후검사에서는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정서지능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자기정서의 이용과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정서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은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어 : 숲체험 , 생태유아교육 , 유아의 정서지능

      •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박귀자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에 심각하게 거론되는 문제는 자연생태계의 파괴이다. 따라서 환경문제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인류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유아교육이 우리의 현실에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담당자인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생태유아교육의 인식 및 실천정도를 알아보고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데 따르는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이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수원시에 있는 18개의 어린이집 학부모와 25개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1월 30일부터 배부하여 2월 15일에 배부된 질문지를 회수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와 학부모의 교차분석을 통해 두 집단의 실제빈도를 분석하여 차이를 파악하고 질문지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여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은 잘 알지 못했지만 용어를 들어 본 사람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유아교육의 효과성에 대해서 조사대상자는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생태유아교육의 운영방향과 유아교육을 생태유아교육으로 방향 전환하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년기에 시골에 거주한 기간에 따라 자녀교육의 유익성에 차이를 나타냈는데,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학부모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학부모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원에서는 결과에서 보듯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태환경의 조성과 교사와 학부모의 생태유아교육 연수 등을 통한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미래를 짊어지고 나아갈 유아의 교육에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 프로그램 개발과 생태유아교육의 적극적인 홍보와 시행이 요구되며 생태환경조성의 어려움이 있다면 생태환경이 조성되어있지 않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대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In recent years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natural ecology is said to be serious. Therefore, the problem of protecting environment while having economic growth is an urgent problem awaiting solution. 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ry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and to introduce ecological education in preschool. Parent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is kind of education. For this study, written inquiries were passed out to parents of students in 18 children's houses and teachers of 25 children in Suwon. They were distributed on 30, Jan. and collected on 15, Feb. The analysis of data , which was done by using a SPSS 12.0 program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f practical frequency of two groups through cross analysis. Also in order to look into the adequacy and confidentiality, chisquare verification was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is term, preschool education on ecology is well known to many parents and teachers but they don't know what the ecological preschool education program is. Most of them think this education will be effective and they are positive in introducing ecology to pre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iod spent in the country in childhood, the usefulness of ecological education is different. Parents with over five years are more satisfied than under a year. For that reason, many questions need to be solved without delay. Special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ositive information are needed by people related to education. That is, teachers, parents and authorities. And if not made, the situation for ec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eschool education must consider a substitute.

      • 어릴 적 생태경험이 생태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최숙현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사가 어린 시절 경험한 생태적 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해정도와 그 하위요인인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의 이해, 생태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생태유아교사의 역할을 이해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소재에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생태유아교사 154명이고, 이들을 대상으로 생태유아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어릴 적 생태경험을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을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를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정도를 묻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검사 도구는 SPSS를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T검정으로 나온 결과를 통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의 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리하고, 두 집단의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 생태유아교육과정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천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정도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사의 개인적 자질을 형성하는 교사 자신의 유아기에 어떤 형태의 놀이 경험을 가지고 있는가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의 이해 요인 중에서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유아교육과정 인식이나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천보다 좀 더 깊이 있는 이론적 지식과 풍부한 생태 경험을 통해 오랜 기간을 거쳐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교육기관의 구성원 중 교사보다 원장의 영향이 더 클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셋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교사는 체계적으로 미리 계획된 교육내용을 가르치고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과 함께 놀아 주고 돌보고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먹는 것, 자는 것, 입는 것, 놀이하는 것 등의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교육이 이루어진다. 즉, 생태유아교육과정은 수업보다는 삶을 통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교사가 어릴 적부터 몸과 삶으로 경험한 생태적 경험은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교육 프로그램은 강의나 교육을 통해 그 종류와 방법을 학습 할 수는 있으나, 생태프로그램은 교사와 아동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익숙한 습관과 몸에 베임으로 자연스럽게 다가가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은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어릴 적 생태 경험은 생태유아교육 교사로 근무함에 있어 생태유아교육의 전반적인 이해정도,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 생태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생태유아교사에게 생태적인 경험을 하며 자란 아이들이 생태유아교사가 되어 다시 우리 아이들과 자연 속에서 더불어 살아간다면, 이것이 진정한 ‘자연의 순환성’이며, 생태유아교육의 미래가 될 것이다.

      • 생태유아교육이 자연친회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손관숙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생태유아교육의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8주간 실시되었으며 효과검증을 위해서 실시 전과 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 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시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시 전과 후에 정서지능하위요소인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지능의 하위요소인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감정의 조절과 충동억제라는 부분이 단시간에 변화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기간을 조절한다면 변화되는 부분이라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을 유아들이 자연스런 일상생활의 일부로 느껴지는 교육계획이 되도록 도입하고 확장시켜서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체험활동으로써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문주리 동양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문제를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의 구성은어떠한가? 연구문제 2.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의 효과는어떠한가?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및선행연구에서의 제안점 추출로 연구계획을 수립한 후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한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의 시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안은 전문가 협의를 통해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타당도, 교육현장적용 및 실천 가능성이 검토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최종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연과 놀이하며 아이답게자라게 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유아 스스로하는 놀이로써 사람과 자연이 하나되는 생명공동체의 구성원으로의 자기조절능력을 기른다, 둘째, 더불어 함께 하는 놀이로써 사람과 사람이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의 사회적 유능감을 키운다, 셋째, 즐거운 놀이로써 ‘지금여기’ 행복한 아이로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인다.’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손놀이, 몸표현, 신체놀이, 함께놀이, 예술표현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교수학습은 자발성의 원리, 놀이중심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에 따라 탐색하기, 체험하기, 표현하기의 과정이 순환적이며 연속적, 개방적체제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교사의 역할은 상호작용자 및 동기유발자, ‘지금 여기’ 교사 및 관찰자, 과정중심 평가자 및 자기계발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유아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사회적 유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1년 8월부터 11월까지 서울 S구에 위치한 B어린이집의 만4세10명, 만5세반 10명을 대상으로 총 12주 동안 월~금요일까지 반복설계를 적용하여 교사교육, 사전검사, 실험처치 실시, 사후검사, 결과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사회적 유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각각의 검사도구로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동양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심의 과정을 거쳐 승인을 받아 연구윤리성을 확보하였다.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점수 보다 유의미한 수준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력, 충동성감소, 주의집중력 모두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점수 보다 유의미한 수준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이해 모두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셋째, 유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점수 보다 유의미한 수준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모두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나타났으며 유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사회적 유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앞으로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통합적 밧줄놀이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생태유아교육의 자연친화통합과 생활통합에서 관계통합으로 확장됨으로써유아의 통합적이며 조화로운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아교육현장 곳곳에서 통합적 밧줄놀이가 활발하게 놀이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rope play programbased on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verify its effects. Inaccordance with such aims, the present study determined its researchproblems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How is the integrated rope play program based on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stituted?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rope playprogram so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integrated rope play program which laysits basis on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early version of thisstudy was developed firstly, by establishing research plans based on fieldstudy, studies on literature, and by extracting suggestions raised fromprevious research, and secondly, by a subsequent examination on previousresearch and relevant literature. Through consulatation to experts, the initalversion of the program so developed was examined of its aptness andvalidity, as well as of its applicability to education fields and itsrealizability, on the basis of which, after revision and supplements, theintegrated rope play program based on eco-centered early childhoodeducation have come to take its final present form. The purpose of the program so developed is to let children interact withnature and grow like childrens should. To achieve this purpose, theprogram set the following aims: First, as an ' autonomous play', it helpscultivate self-regulation required for a member of biotoic community, inwhich nature and men exist in harmony. Second, as a 'play with others',it cultivates social competence necessary for a member of a civic community, in which men coexist. Third, as a 'pleasant play', it helpsenhance children's sense of physical selfefficacy by feeling themselves as'happy here and now'.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program consists in'hand-play[Son-no-ri]', 'body-expression[Mom-pyo-hyeon]', 'physic al-pl ay[Sin-che-no-ri]','togethe r-pl ay[H am-kke-n o-ri]','artistic-expression[Ye-sulpyo-hyeon]'. Program teaching method wasdesigned in such a way, that children's process of expediting, expriencing,expressing grounded on the principles of autonomy, playcenteredness, andintegration can take place in a cyclical, continuous, and in an open manner. The role of the program educator has been selected in such a way, thathe/she is an interacter, motivator, a 'here and now' instructor andobserver, process-based evaluator as well as a self-development promoter. The evaluation of theprogram is constituted in child evaluation and program evaluation.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rope play program based on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the present study has put forth, anexperiment was undertaken, between August to November of 2021, the object of the experiment being ten four-year-old class children and tenfive-year-old class children in ‘B Day Care Center’ located in S-Gu, Seoul,to which a 12-week (Monday to Friday each week) iterative design hasbeen applied. The experiment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caretaker education, pre-inspection, execution of the experiment, post-inspection, and analysis of results. The inspection was conductedusing three different inspection tools, namely,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sense of social competence, sense of physical self-efficacy. A t-test was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analyze the inspection. During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it was approved of its researchethics through a review process by the Bioethics Committee at Dong Yang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grated rope play program based on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following effects: First,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children from the post-inspectionscored higher than that from pre-inspection by a significant margin. Theself-control ability scores, decrease of impulsion, concentration – whichar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bility –were meaningfully higher. Thisimplies a positive effect of the program on improvi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Second, children’s sense of social self-competence from the post-inspectionalso scored higher than from pre-inspection by a significant margin. The abilityto control emotions, emotional temperament, peer-relationship skill, social-ruleunderstanding – which are subfactors sense of social-competence – all scoredmeaningfully higher in post- than preinspection. This implies a positive effectof the program on enhancing a child’s sense of social-competence. Third, children’s sense of physical self-efficacy, as well as perceivedphysical abilities, the confidence of physical self-expression – which areits subfactors –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post-inspection than inpre-inspection. This implicates a positive effect of the program onfacilitating children’s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integrated rope play programbased on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ed to have positiveeffects on facilitating a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sense ofsocial-competence, sense of physical self-efficacy. This shows that theprogram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is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education fields, and proves of its effectiveness. I expect to see integratedrope play in many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in the coming future,for the sake of child’s integrative and harmonic growth, by activelymaking use of integrated rope play program grounded o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reby extending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from nature-friendly- and everyday-life-integration to relationintegration.

      •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천도 : 생태유아교육적 관점에 기반하여

        이가미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몇 년 사이 새로운 유아교육으로 실천되고 있는 생태유아교육에 기반 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도를 알아봄으로써 숲 체험 활동 중심의 생태유아교육의 방향과 필요성,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파악함으로써 더욱 많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원활한 생태유아교육의 적용을 하기 위함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천도는 어떠한가? 셋째,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천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숲 체험 활동 중심의 생태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224명이다. 유아교사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가 연구도구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서 이은숙(2006), 배경란(2006), 김태희(2008), 김영주(2009), 정현순(2010), 허은희(2011), 강명희(2011), 김현정(2013), 최현정(2016) 등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설문문항들을 새롭게 범주화하고, 문항 내용을 수정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 활동 개념에 대한 전체적인 인지도가 높은 편이고, 숲 체험 활동이란 숲에서 마음껏 뛰어 놀고 오감을 통해 자연만물과 교감하는 체험 중심 활동을 뜻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둘째, 숲 체험 활동 유아교사의 일반적인 역할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으며, 교사는 유아들의 요구에 대한 열린 마음을 지녀야 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숲 체험 활동 생태유아교육의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은 편이었으며, 숲 체험 활동은 유아의 자연스러운 놀이형태로 나타난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넷째, 숲 체험 활동 생태유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으며, 숲 활동을 위해 학급당 유아 수를 적정 인원으로 낮추어 조절해야 한다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실천도는 매우 높은 편이었으며, 숲이나 들, 개울 등의 산책활동을 통한 감각 교육과 자연과의 직접적 체험을 한다는 실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지도와 숲 체험 활동의 실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숲 체험 활동 개념과 교육방향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숲 체험 활동 실천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사의 학력, 경력, 숲 체험 활동 횟수, 숲 체험 교사 연수경험, 숲 체험 활동 연수시간이 높을수록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사의 충분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사 연수 및 숲 체험 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환경적인, 제도적인 요건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