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태유아교육 실태에 대한 연구

        이경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육 실태가 어떠하며, 이는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 수강경험, 연수 참여경험, 실천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육의 목적 실현에 대한 실태에 있어, ‘아이행복세상 실현’을 실천하고 있는 유아교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사람공동체의 실현’, ‘생명공동체의 실현’순이었다. 둘째, 생태유아교육의 활동에 대한 실태에 있어, ‘먹을거리 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유아교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바깥놀이‘, ’텃밭가꾸기‘, ’세시풍속 활동‘ 생태미술 활동‘을 실천하는 유아교사가 비교적 많은데 비해, ’산책‘, ’노인?아동 상호작용 활동‘, ’명상‘, ’절제?절약 활동‘, ’손끝놀이‘ ’몸짓놀이‘를 실천하고 있는 유아교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대체로 교과 수강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들, 연수 참여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들, 실천기간이 1년 이상 또는 실천기간이 긴 유아교사들 일수록 상대적으로 생태유아교육 활동에 대한 실천을 더 많이 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셋째, 생태유아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실태에 있어, ‘교육방법’ 및 ‘교육계획 원리’와 ‘교사역할’에 대한 반영은 비교적 잘 적용되고 있으나, ‘일과운영’, ‘공간구성’, ‘교재?교구’, ‘부모교육 및 부모참여활동’에 대한 적용 실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대체로 연수 참여경험 있는 유아교사들, 실천기간이 1년 이상 또는 실천기간이 긴 유아교사들 일수록 상대적으로 생태유아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적용을 더 많이 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ir differences by the experiences in taking lectures or training courses, and by the period of practice o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How are the actual states of the practicing of the goals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o the goals have difference according as their experiences of taking lectures or training courses, and by the period of practice o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2. Which activities have been done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o the activities differ by teachers' experiences of taking lectures or training courses, and by the period of practice o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3.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utilized and do the methods have differences according as teachers' experiences of taking lectures or training courses, and by the period of practice o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4. How do preschool teachers make an eval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5.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at is the prerequisite for an active practice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 group of this study was 307 pre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78 member preschools of the 「(Corporate Juridical Person) Eco Early Childhood Communit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about actual conditions o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and the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and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tudy methods used in precedent studies. Data processing methods were calculation of frequency and percentage by item and χ^(2)-test for each item except the multitude answer ite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y preschool teachers'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 teachers put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happiness world' in practice i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ly. The next goal they pursue is 'the realization of human-community', and the last is 'the realization of life-community'. The teachers group having longer period of practice did mor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relatively active in practicing 'the realization of life-community'. 'The realization of human-community' was relatively active in the teachers group having the experiences of taking lectures and longer period of practice did mor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happiness world' was relatively active in the teachers group having the experiences of taking lectures or training courses, and over 1 year experience of practice. Second, the most common activi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an ecological food stuffs activity. Many preschool teachers were practicing an outdoor activity, kitchen gardening, an annual customs activity, an ecological art activity, but relatively fewer preschool teachers were practicing an elderly-child interaction activity, a meditation, a temperance?economy activity, a fingertips play, and a gesture pla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y preschool teachers' variables in every activity except a temperance?economy activity, a fingertips play, a gesture play, an ecological art activity. The teachers group having the experiences of taking lectures or training courses, and over 1 year experience of practice or longer period of practice did mor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rd, o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ducation methods, the planning principles and the reflection of teacher's role were well applied, but the operation of daily routine, the space organization,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parents education and participation were relatively poo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reschool teachers' variables in the education methods, the space organizati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teacher's role, and parents education and participation. The teachers group having the experiences of training courses, and over 1 year experience of practice or longer period of practice applied more the methods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Fourth, on the eval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chool teachers firstly considered their self-reflection prior to the evaluation of children. As the results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estimated children had a healthy body and a sound mind, teachers became constant learners to practic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s experienced the change of their family life by getting more opportunities of nature experience, and the community had an opportunity to go together with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Fifth, the greatest difficulty i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the lack of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the education program. Next, the conditions to practic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as facilities, natural environment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each preschool were poor very much. Parents' demand for study-centered education was also one of the difficulties. Preschool teachers indicated the need of and providing programs and materials were the urgent prerequisites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Next they suggested the necessity for parents educa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and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비교

        배경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nvironmental attitudes,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for the ecology education program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nagers,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to these, the participants the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ecology education programs, and the behavioral intentions were investigated. While 100 questionnaires to presidents, pre-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and 150 parents were surveyed for the statistics of this study, the received questionnaires were 76 questionnaires of the managers, 67 from pre-teachers, 67 from in-service questions teachers, and 124 from parents. The analyzed statistics for this research included percentage, factors, reliability, and ANOVA with SPSS 13.0 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der and birth pla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tatus, age, education, experience of learning, and application in terms of working perio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learning experience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working experienc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eco-early childhood in site application based on working period.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balance of nature and overcoming nature on environmental attitude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presidents, teachers(teachers and pre-teachers), and paren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unification education necessity and eco-education necessity among research respondents of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atisfaction not only unification education but also eco-education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presidents, teachers( teachers and pre-teachers), and parents. Fourth,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overall satisfaction, recommendation, development and effort of eco-education programs among four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reinforcement among the four group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consideration factors of choosing eco-education programs(moving distance, time, cost, information resources). The limitation and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only Daegu c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he managers, teachers(pre-teachers), and parents. It is necessary to do research with more and diverse regions` sampl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o empirical researches about the co-relationship of environmental attitude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four groups about eco education programs, overal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considering factors of eco-education experiences. It is recommended to investigate this study research goals based on those who visited certain eco-educational places including wetlands, caves, and botanic gardens.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 두개 교사집단(예비교사와 교사), 학부모의 모두 네 개 집단의 환경태도,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교육적 효과 그리고 체험시 고려사항을 조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행해졌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해 원장, 두 개 교사집단(예비교사와 교사)를 대상으로 각각 100부씩 그리고 학부모를 대상으로 150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 회수되어 사용된 표본 설문지는 원장 76부, 예비교사 92부, 교사 67부 그리고 학부모 124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SPSS 13.0 K를 사용하여 빈도, 요인, 신뢰도, 교차분석 그리고 일원분산분석(ANOVA)을 하였다. 본 연구는 네 집단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 두 개 교사집단(예비교사와 교사), 학부모의 환경태도,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교육적 효과 그리고 체험시 고려사항을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 예비교사, 교사의 소속기관별 인구통계적 특성과 종사자 집단별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 경험 그리고 근무경력별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 연수경험과 현장 적용정도에 대해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소속기관별 종사자의 성별, 출생지는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속기간별 종사자 유형, 종사자의 연령, 학력, 연수경험 그리고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의 현장적용은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수경험은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는 정도는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의 근무경력에 따른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 연수경험은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사자의 근무경력에 따른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 현장적용 정도는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태도에 대한 응답자 집단별(원장, 예비교사, 교사, 학부모) 환경에 대한 태도(자연과의 조화, 자연의 정복) 분석결과, 자연과의 조화에 대한 환경태도는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의 자연과의 조화에 대한 환경태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부모의 자연과의 조화에 대한 환경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의 정복에 대한 환경태도는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부모들의 자연의 정복에 대한 환경태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예비교사의 자연의 정복에 대한 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중요도)과 만족도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프로그램은 통합교육 내의 생태프로그램과 생태중심 유아교육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합교육 내의 생태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집단간 차이 분석결과, 전체적인 통합교육 내의 생태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 내의 생태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 분석결과 모든 항목에서 집단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통합교육 내의 생태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있어서 집단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족도는 학부모, 원장, 교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인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있어서 집단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분석결과,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만족에 있어서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 재실시에 대한 집단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의 추천의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노력에 대해서는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 활동시 고려사항에 대한 분석결과, 응답자 집단별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 활동시 고려사항(이동거리, 소요시간, 소요경비, 정보획득 수단)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이동거리, 소요시간, 소요경비, 정보획득 수단에 대한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지역적 한계성이다. 본 연구는 대구지 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서울, 부산과 인천의 유아교육기관으로 연구대상을 광범위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원장, 학부모 그리고 교사(예비교사와 교사)의 4개 집단간의 환경태도, 생태중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도와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교육효과 그리고 체험과 방문에 대한 인식만을 비교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특정 생태중심교육 프로그램 체험장 방문자들의 환경태도와 중요도,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원장, 학부모 그리고 교사(예비교사와 교사)의 네 개 집단간의 환경태도,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의 필요도와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교육효과 그리고 체험과 방문에 대한 인식, 일반적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았다. 특정 생태중심 교육프로그램 체험지를 방문한 네 개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박귀자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에 심각하게 거론되는 문제는 자연생태계의 파괴이다. 따라서 환경문제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인류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유아교육이 우리의 현실에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담당자인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생태유아교육의 인식 및 실천정도를 알아보고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데 따르는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이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수원시에 있는 18개의 어린이집 학부모와 25개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1월 30일부터 배부하여 2월 15일에 배부된 질문지를 회수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와 학부모의 교차분석을 통해 두 집단의 실제빈도를 분석하여 차이를 파악하고 질문지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여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은 잘 알지 못했지만 용어를 들어 본 사람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유아교육의 효과성에 대해서 조사대상자는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생태유아교육의 운영방향과 유아교육을 생태유아교육으로 방향 전환하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년기에 시골에 거주한 기간에 따라 자녀교육의 유익성에 차이를 나타냈는데,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학부모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학부모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원에서는 결과에서 보듯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태환경의 조성과 교사와 학부모의 생태유아교육 연수 등을 통한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미래를 짊어지고 나아갈 유아의 교육에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 프로그램 개발과 생태유아교육의 적극적인 홍보와 시행이 요구되며 생태환경조성의 어려움이 있다면 생태환경이 조성되어있지 않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대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In recent years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natural ecology is said to be serious. Therefore, the problem of protecting environment while having economic growth is an urgent problem awaiting solution. 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ry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and to introduce ecological education in preschool. Parent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is kind of education. For this study, written inquiries were passed out to parents of students in 18 children's houses and teachers of 25 children in Suwon. They were distributed on 30, Jan. and collected on 15, Feb. The analysis of data , which was done by using a SPSS 12.0 program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f practical frequency of two groups through cross analysis. Also in order to look into the adequacy and confidentiality, chisquare verification was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is term, preschool education on ecology is well known to many parents and teachers but they don't know what the ecological preschool education program is. Most of them think this education will be effective and they are positive in introducing ecology to pre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iod spent in the country in childhood, the usefulness of ecological education is different. Parents with over five years are more satisfied than under a year. For that reason, many questions need to be solved without delay. Special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ositive information are needed by people related to education. That is, teachers, parents and authorities. And if not made, the situation for ec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eschool education must consider a substitute.

      • 유아 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이장미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생태유아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생태유아교육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유아교사들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도 수준에 따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행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도의 경향성은 어떠한가? 2. 유아 교사의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도는 어떠한가? 3. 유아 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도에 따른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실행도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로부터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도가 경향성을 알아보기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은 3.72(SD=.55)로 다소 높은 편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생태유아교육 아동관(M=4.25, SD=.69), 교육관(M=3.80, SD=.71), 세계관(M=3.51, SD=.85), 발달관(M=3.32, SD=.7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생태유아교육의 전체 인식도 차이를 살펴본 바, 교사연령에 따른 환경조성 인식도에서 차이를 보였고(F=5.416, p<.01),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수 경험 유무에서 차이를 보였다(t=4.034, p<.001). 둘째, 교사들이 응답한 교육현장에서의 생태유아교육 실행도는 '보통이다' 보다 다소 높은 수준(M=3.21, SD=.72)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근무기관 유형(F=2.864, p<.05), 교사 연령(F=4.076, p<.05),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수경험 여부(F=3.345,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도 수준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 프로그램(F=14.034, p<.001) 및 모든 하위영역 프로그램들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U-si and G-si of Gyeionsangbook-Do. All teachers responded their perceptions and levels of practice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questionnaires individually. For data analyis, reliability test, frequency test, descriptive ananlysis, correlation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program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ean scores of perception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ppeared to slightly over the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age, teacher training education. Second, teachers' mean scores of levels of practice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appeared to slightly over the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s' practices in the field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ypes of education institutes that they work for, teacher age, teacher training educat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s' practices in the field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level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eco-early childhood.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developing teachers's levels of perception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practices of eco-early education at the educational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혜주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들어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태유아교육이 제대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아직 여러 가지 한계와 과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생태유아교육은 그 교육내용과 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단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회성 흥미 유발로 활용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프로그램 연구 또한 단일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생태유아교육은 영아기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생태유아교육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영아를 대상으로 하면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다양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여 이것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영아가 자신의 정서를 인식, 표현, 조절하고 적절하게 이용하며 타인의 정서를 인지하고 감정이입과 배려를 통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만 2세반 원아 20명이며, 영아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과 기존의 ‘표준보육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을 각각 8주간 실시하고, 그 후 두 집단이 정서 지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영아가 그렇지 않은 영아보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정서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서지능에서 동일한 집단으로 간주되던 두 집단이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영아가 표준보육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영아보다 정서지능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힌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영아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ecological stud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ctively made, but still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s not take place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everyday life and not a few cases that are devoted to the one-time curiosity and to induce an interest. In addition, the ecological education of the infant would be effective starting at infancy and toddlers should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programs that target even though, so fa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study was done primarily targeted to toddlers. Therefore, a single program, targeted at infants, but takes place in the ecology of everyday lif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study a little more diverse and there is a need to be active. In this study, a variety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had conducted to find out how it impacts on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y examined how infant recognizing his or her emotion, expressing, controlling and using it suitably and also they examined how it effects to recognize other’s emotions and ca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 empathy and considering. Research targets were 2years old children from K children’s home in Seoul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years old 10 children from H children’s home in Seoul as a comparison group. They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conducted with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nd existing standard of care process-centric program. An analysis of the material collected in this study. An infant who ha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showed high result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the infant who have its relationship with peers and teachers, caring relationships,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rough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before the Group carried out two group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fter conducting an experi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heightened emotion than an infant comparison groups can see tha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n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has revealed that in this study,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 the field of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o improve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programs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cological hope.

      • 어릴 적 생태경험이 생태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최숙현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사가 어린 시절 경험한 생태적 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해정도와 그 하위요인인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의 이해, 생태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생태유아교사의 역할을 이해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소재에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생태유아교사 154명이고, 이들을 대상으로 생태유아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어릴 적 생태경험을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을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를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정도를 묻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검사 도구는 SPSS를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T검정으로 나온 결과를 통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의 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리하고, 두 집단의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 생태유아교육과정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천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정도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사의 개인적 자질을 형성하는 교사 자신의 유아기에 어떤 형태의 놀이 경험을 가지고 있는가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의 이해 요인 중에서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유아교육과정 인식이나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천보다 좀 더 깊이 있는 이론적 지식과 풍부한 생태 경험을 통해 오랜 기간을 거쳐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교육기관의 구성원 중 교사보다 원장의 영향이 더 클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셋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교사는 체계적으로 미리 계획된 교육내용을 가르치고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과 함께 놀아 주고 돌보고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먹는 것, 자는 것, 입는 것, 놀이하는 것 등의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교육이 이루어진다. 즉, 생태유아교육과정은 수업보다는 삶을 통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교사가 어릴 적부터 몸과 삶으로 경험한 생태적 경험은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교육 프로그램은 강의나 교육을 통해 그 종류와 방법을 학습 할 수는 있으나, 생태프로그램은 교사와 아동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익숙한 습관과 몸에 베임으로 자연스럽게 다가가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은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어릴 적 생태 경험은 생태유아교육 교사로 근무함에 있어 생태유아교육의 전반적인 이해정도,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 생태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생태유아교사에게 생태적인 경험을 하며 자란 아이들이 생태유아교사가 되어 다시 우리 아이들과 자연 속에서 더불어 살아간다면, 이것이 진정한 ‘자연의 순환성’이며, 생태유아교육의 미래가 될 것이다.

      • 생태유아교육이 자연친회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손관숙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생태유아교육의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8주간 실시되었으며 효과검증을 위해서 실시 전과 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 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시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시 전과 후에 정서지능하위요소인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지능의 하위요소인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감정의 조절과 충동억제라는 부분이 단시간에 변화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기간을 조절한다면 변화되는 부분이라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생태유아교육 산책, 텃밭 가꾸기 활동을 유아들이 자연스런 일상생활의 일부로 느껴지는 교육계획이 되도록 도입하고 확장시켜서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체험활동으로써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 생태유아교육과 불교유아교육의 사상에 관한 연구

        김주영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Industrial civilization and capitalism that stress development and competition have affected child rearing as well, producing side effects that learning and knowledge-centered achievement are overly accentuated. Preschoolers are bound to start receiving education at an early age, and they are forced to develop their special talent at such an early age as well. Now it's desperately required to come up with a new educational paradigm that could take the initiativ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new educational paradigm.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lready been launched, and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philosophically based on Buddhism, the basis of Asian religion and the fundamental thought of time-honored cultural heritage. It's specifically meant to delve into the definition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ts view of life, developme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it, to look into the pivotal thought of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ts view of life, developme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in Buddhist kindergartens, and finally to compare the thoughts of the two sor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ook an ecology-centered view of life. That prized not only man but every living creature, and regarded man not as the lord of all creation but part of nature. That focused on taking after nature instead of taking advantage of it. In terms of a view of man, namely the way of looking at human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as now and here' was viewed as a starting point to iron out problem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modern society. And this approach was in pursuit of the kind of preschool education that could make preschoolers nature-friendly, enjoy play, childlike and exciting, strike a balance among reason, spirituality and sensitivity and take care of their body, mind and spirits. Second, as for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s view of man, man was believed to exist through mutual relationship as a living creature of the universe who transmigrates according to karma. That took a dependent origination to life which focused on life respect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very being that was mutually linked. In other words, that followed dependent origination that shed light on the past, present time and future at the same time without separating the present time from the other two. Buddhist education was built on life respect and nature friendliness, and nonpossession was accentuated.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houghts of the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wo approaches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at both of them were based on life respect. In terms of a view of man, namely the way of looking at human developmen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ttached importance to 'development as now and here' and the present time as a way to work through problem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whereas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looked at man according to dependent origination and eventually looked into the past, present time and future at the same time. As for a vie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sought after what makes preschoolers childlike, what strikes a balance among reason, spirituality and sensitivity, what makes young children exciting and cheerful and what takes care of their body, mind and spirit.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s vie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built on religious philosophy and pursued the development of the Buddha-nature of preschoolers. When the two approaches were compared in content and method, it's found that both of them sought after a thought of life and could contribute to redressing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was confronted with an extreme problem, which was dehumanization. Buddhist education was nature-friendly and based on the thought of life respect, and in that regard, that was the same as the relationship- oriented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stressed being together with nature. Buddhism's idea of nonpossession was in line with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s idea of moderation and frugality. The former's idea of Jihaenghapil was in line with the latter's emphasis of 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The latter's spirituality and meditation programs that dealt with matters about the mind and spirit could be regarded as one of sure ways to practice Jungjungmujinyeongi, one of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Besides,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s thought of Bulsalsaeng and Jariita was philosophically bound up with relationship-oriented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ecological and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ld be valuable educational thoughts that could get current preschool education out of crisis and create a new paradigm that leads to successful character and well-rounded education. In which way preschool education thought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ecological and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future, and a wide variety of relevan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epared. 산업문명과 자본주의의 개발과 경쟁의 논리는 자녀양육환경에도 그 영향을 미쳐 지나친 학습과 지식편중의 성취를 강조하는 폐해를 낳고 있으며, 유아들은 조기ㆍ특기교육의 열풍 속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에 바람직한 유아교육을 선도할 새로운 교육사상적 패러다임의 인식과 전환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으로 이미 유아교육학계에서 시행되고 있는 생태유아교육과 동양종교의 근간이며 장구한 우리의 전통문화사상인 불교에 그 사상적 기초를 두고 새로운 응용학문적 입장을 표방하고 있는 불교유아교육의 사상관을 함께 비교ㆍ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육의 정의와 생태유아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생명관, 발달관, 유아교육관 그리고 생태유아교육의 구체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불교유아교육의 핵심사상과 생명관, 발달관, 유아교육관을 알아보고, 아울러 불교유치원을 중심으로 실천되고 있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생태유아교육과 불교유아교육의 사상관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위에서 설정한 연구내용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인, 생태유아교육에서는 생태중심 생명관으로써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을 준중하고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 아니라 자연 만물의 일원으로서 자연을 이용하기보다는 자연 속에서 자연을 닮고자 하는 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생태유아교육에서 인간의 발달을 바라보는 시선으로서의 인간관은 ‘지금 여기로서의 발달’ 을 현대사회가 봉착한 유아교육의 문제 해결의 시발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른 유아교육관은 자연과 놀이, 아이다음을 되찾아주는 교육과 이성과 영성과 감성의 조화로운 교육, 몸과 마음과 영혼을 돌보는 ‘신명나는 아이’를 목적으로 생명의 결에 따라 살아가도록 유아들을 돌보는 것을 지향하는 가치관이다. 둘째 연구내용인 불교유아교육의 사상관에 관한 고찰 중에서 인간관을 살펴본바, 모든 인간은 업에 따라 윤회하는 우주생명체로서 인연에 따라 서로 관계를 맺음으로써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연기적 생명관으로서 모든 생명은 상호 관계하므로, 모든 존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생명존중의 사상이다. 다시 말해 불교유아교육에서는 현재라는 분절적 시각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함께 생각하는 총체적인 연기의 법칙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불교의 교육활동은 생명 존중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자연친화적 교육의 시각으로 그 교육방법이 설명될 수 있으며 아울러 불교적 무소유(無所有)의 실천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연구내용인 생태유아교육과 불교유아교육의 사상관을 비교·고찰한바, 우선 생태유아교육과 불교유아교육의 생명관에서의 공통점은 생명존중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발달을 바라보는 시선인 인간관을 비교하면, 생태유아교육에서는 ‘지금 여기로서의 발달’적 관점으로서 유아교육의 문제 해결의 시발점으로 현재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불교유아교육에서는 현재라는 분절적 시각뿐만 아니라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함께 생각하는 총제적인 연기의 법칙으로 인간을 이해함으로써 다소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관에서 생태유아교육관은 자연과 놀이, 아이다움을 되찾아주는 교육과 이성과 영성과 감성의 조화로운 교육, 몸과 마음과 영혼을 돌보는 ‘신명나는 아이’를 목적으로 생명의 결에 따라 살아가도록 유아들을 돌보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며, 불교유아교육의 교육관은 종교 철학적 사상기반을 가지고 유아의 불성을 개발시켜주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생태유아교육과 불교유아교육에서 표방하고 있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비교하여 본 바에서는, 인간성 상실이라는 극한의 문제에 봉착한 우리의 유아교육현실을 타파할 수 있는 생명사상으로서의 공통점이 확인되고 있다. 즉 불교의 교육활동은 생명 존중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자연친화적 교육의 시각으로 행해지는바 이는 생태유아교육에서의 자연의 터와 순환 속에서 함께 어우러짐을 강조하는 관계교육과 같다. 아울러 불교적 무소유(無所有)의 실천방법은 유아생태교육의 절제ㆍ절약프로그램과 그 뜻이 같으며, 실체적 삶의 교육으로 앎과 행동이 같아야한다는 앎 교육은 불교유아교육의 지행합일(知行合一)과 그 맥락을 같다. 생태유교육의 영성교육으로 마음과 영혼의 문제를 다루는 영혼살림을 위한 영성교육을 위한 명상프로그램은 불교유아교육의 실천방법인 중중무진연기(重重無盡緣起)의 좋은 실천적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불교유아교육의 불살생(不殺生),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실천방법은 생태유아교육의 관계교육과 그 사상적 연관성이 있다고 하겠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서 생태유아교육과 불교유아교육은 모두 현재의 위기적 유아교육의 현실을 벗어나 유아의 인성을 개발하고 전인교육을 이끄는 새로운 유아교육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가치있는 교육사상이다. 따라서 이후 생태유아교육과 불교유아교육에서 보다 다양한 유아기 교육사상을 정립하기 위한 교육철학적 담론과 함께 방법론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적극적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생태유아교육 실천과 관련된 보육교사의 특성과 인식

        김은주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경남지역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생태유아교육의 실천과 관련된 보육교사의 특성과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특성 변인과 보육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이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21명이었다. 보육교사의 특성 변인과 교사의 인식이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서 이소영(2008)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에 관한 질문지와 장하나(2004), 정수영(2004), 이경혜(2007)의 질문지를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 방법으로 조사된 설문지는 SPSS 1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교사의 특성변인 및 교사인식에 따른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집단을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 간에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교사 특성변인과 인식을 독립변인으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실천의 정도는 교사의 특성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태유아교육 운영, 활동, 환경의 실천정도는 교사가 근무하는 시설의 설립 유형, 근무 시설의 위치, 근무 시설의 생태유아교육 실시 여부, 교사의 학력, 생태유아교육 연수 참여 여부에 따라 실천의 정도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국공립 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이 민간이나 법인에 근무하는 교사들에 비해서, 중소도시에 위치한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읍면지역에 위치한 시설에 근무하는 교사들에 비해서 그리고 근무 시설이 생태유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하여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졸 이상 학력의 교사들과 생태유아교육 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 집단보다 생태유아교육의 운영, 활동, 환경의 실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생태유아교육 활동의 실천 정도에서는 교사 경력에 따른 실천의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이 7년 이상인 집단의 교사들이 경력이 3년 미만이거나 3∼7년 사이인 교사들에 비해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활동의 실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은 집단의 교사들이 인식정도가 낮은 집단의 교사들보다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을 많이 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생태유아교육의 운영에 대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의 특성 변인 중 학력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였다.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운영의 실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생태유아교육의 활동과 환경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공통적으로 근무 시설의 생태유아교육 실시 여부, 교사의 학력,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무시설에서 생태유아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교사들의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생태유아교육의 활동과 생태유아교육의 환경에 대한 실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