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성보호의 기업내 제도화에 관한 연구 : 제조업 생산직 여성노동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정혜선 이화여자대학교 1995 국내박사

        RANK : 248780

        본 논문은 모성보호의 기업내 제도화의 내용과 과정, 그리고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토를 통해 모성보호의 기업내 제도화의 전체 과정과 그 기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개별 기업의 비용부담과 여성고용, 기업내 제도화와 노사관계, 여성노동자의 의식 등 이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해 보려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서 본 논문은 모성보호의 대상이 되는 여성노동자의 가장 다수가 취업하고 있는 제조업 생산직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기업내 제도화에 대한 연구는 모성보호의 단순한 실태조사나 모성보호정책의 내용분석에 비해, 모성보호가 기업내에 제도로서 정착되는 구체적인 과정과 그 과정이 이루어지는 기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접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의 실제 제도의 이용자인 여성노동자의 경험을 알 수 있다는 의의도 있다. 본 논문에서 설정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첫째, 모성보호의 기업내 제도화는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즉, 제도화의 시기, 내용, 형태 등은 구체적으로 어떠한가? 둘째, 모성보호의 기업내 제도화는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인가? 그리고 이 과정에는 어떤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가? 제조업 생산직의 경우 모성보호의 제도화가 이루어진 이용사업장의 수는 극히 소수였다. 이러한 사업장을 대상으로 모성보호의 제도화를 도입과 이용으로 구분하여, 그 시기와 내용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성보호의 도입은 모두 단체협약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나타났는데, 그 첫 도입시기는 87년 이후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제조업 생산직 여성노동자들이 모성보호조항을 이용하기 시작한 시기도 대부분 87년 이후였고, 특히 90년 이후에 이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단체협약에 도입된 모성보호조항의 내용 중에는 법 수준을 상회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동시에 법에 규정된 모성보호조항이 모두 도입되어 있는 것은 아니었다. 셋째, 이러한 모성보호조항을 이용한 사업장을 보면, 여성노동자들이 모든 조항을 다 이용하지는 않았다. 산전산후휴가조항만 모든 사업장에서 이용했고, 그 밖의 조항들은 전체 이용사업장 중 절반이하에서만 이용자가 있었고, 그 중에서도 가장 이용자가 적었던 법적 조항은 수유시간조항이었다. 이용자의 수를 조사한 결과, 가장 이용자가 많았던 조항은 산전산후휴가조항으로 사업장 당 평균 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이용자의 수와 사업장의 여성노동자의 수를 비교해보면 이용사업장의 생산직 여성 노동자들 중에도 결혼을 계기로 퇴직하는 경우가 많고 결혼 후 계속 취업을 하는 경우에도 산전산후휴가까지 이용하는 여성노동자는 소수였다. 다음으로 기업내에 모성보호가 제도화되는 도입과정과 이용과정을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아울러 검토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성보호의 기업내 도입과정은 노동조합이 단체협약체결과정에서 모성보호조항에 관한 요구안을 작성하고 이에 대해 노사간의 협상과정을 거쳐 단체협약을 체결하여 해당 기업의 단체협약에 모성보호조항이 도입되는 것이다. 즉, 모성보호의 기업내 도입과정은 노동조합과 경영측의 단체협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그런데 이때 일반적인 노동자들은 모성보호조항의 체결과정에서 큰 관심을 보이지 않으며 노동조합이 모성보호에 대한 단체협약 요구안을 작성할 때도 여성노동자의 요구에 의해 진행된 경우는 극히 소수에 불과했다. 노동조합이 이러한 요구안을 작성하는 데에는 노동운동단체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즉, 노동조합은 주로 노동운동단체들의 모범단협안 등을 참조하여 모성보호조항에 대한 요구안을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모성보호의 기업내 이용과정은 직접적으로는 여성노동자들이 단체협약상의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을 경영측에 신청하여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경영측은 이용 자체를 막는 것은 아니었다. 여성노동자들이 모성보호조항을 이용하는 데에는 노동조합의 교육이나 설득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업장의 단체협약이나 법의 모성보호조항을 알고 이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주변의 사례를 듣고 이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 외에 사업장의 조건이나 가족의 노동력 재생산의 조건 등이 이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노동조합은 개인적인 경로나 노동운동단체들의 교육을 통해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의 필요성 등을 알게 되며, 노조활동의 위축을 극복하기 위한 필요에서 여성노동자들에게 이를 이용하도록 이끈다. 임금이나 복지시설, 작업분위기 등 사업장의 환경조건이 양호하고 퇴직 후 재취업이 힘들 경우, 모성보호조항을 이용하며 계속 직장에 다니려는 욕구를 느끼게 된다. 그리고 가족내의 경제적 필요가 있고 출산 후 가족이나 친척 등이 자녀를 양육해줄 조건이 되는 경우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욕구는 커지게 된다. 아울러 여성노동자들 자신이 결혼이나 임신시의 취업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을 갖고 있는 경우도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을 제약하는 요인들도 공존하고 있다. 노동조합도 계속 취업에 필수적인 산전산후휴가의 이용에는 관심을 보이지만 여타의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경우가 있다. 또한 제조업 생산직 여성노동자들에게 장기근속의 유인이 주어지고 있지 않다는 접이 임신중의 계속 취업을 막게 되며, 작업의 상호연관성이 높은 등의 노동과정상의 요인이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에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여성노동자 자신이 임신시 취업을 부끄럽게 생각한다든지 주변 노동자들이 여성의 취업을 남성의 무능과 연결시켜 보거나 자녀양육의 책임이 일차적으로 어머니에게 있다고 보는 성별분업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모성보호의 기업내 제도화의 특징은 제도화가 진행된 이용사업장에서도 도입이나 이용이 된 것이 아니며, 이용사업장내에도 모성보호조항의 이용자는 소수였다. 또한 기업내에 제도화가 진행되는 과정에는 노동조합, 가족의 노동력 재생산조건, 사업장환경 요인, 여성노동자의 의식 등 다양한 요인들이 중층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내 제도화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한 결과, 우성 기업의 모성보호 비용부담과 여성고용의 관계는 현재 기업이 그 비용을 부담하고 있었지만 여성고용을 기피한다고 할만한 근거는 없었다. 또한 기업내 제도화와 노사관계를 검토한 결과 모성보호의 도입과정에서 모성보호조항은 노사간의 주요쟁점이 아니었고, 이용과정에서도 마찰이 별로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분석대상을 제조업 생산직의 경우로만 한정했고, 모성보호의 기업내 제도화가 진행된 이용사업장만을 검토했던 점 등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모성보호의 기업내 제도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의 구체적인 실증분석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고 거기에 연구가설을 제공해주는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contents and processes of firm-base institutionaliz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and factors influencing on that, and (2) to find our and fix the mechanism of such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focus is placed on women hand-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because they are the major objectives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in number. Methods are as follows; (1) extensive literature surveys to construct an analytical framework and to fix objective firms to be studied, (2) fact-finding surveys based on 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for union leaders, (3) collecting opinions and comments from women workers as users themselves through unstructured interview. Comparing to existing studies simply collecting phenomenal data or focusing on contents or codal items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this king of study is believed to have such merits as to find out (1) concrete process and mechanism of maternity policy institutionalization in target firms, and (2) concrete experiences and evaluations of target women workers as users themselves. In manufacturing industry, the cases of firms in which maternity protection policy is institutionalized are very few. ‘Institutionalization’ in this study means the whole process of introducing the codal items of maternity protection law(labour law) into collective agreements through bargaining between employer and union in a specific firm(including revising processes) and of it being used by target women workers themselv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roduction processes were without exception processes of making collective agreements through bargaining and in most of the cases under study the timing was since 1987 after which labour movements in Korea experienced extraordinary rising. The timing first users appeared was also since 1987, and in many cases it was since 1990 Second, in many cases the contents of introduction are over the law level, but, including those cases also, not all the law items are introduced. Third, not all the items introduced into collective agreements are used by target workers. Only maternity leave was used in all cases, and other items shows being used in under half of the cases. The item least used in nursing break. The number of users of maternity leave was 8 in average per individual firms. Comparing this to the number of all the target women workers in firm, it is very small. It is because many women workers are still quitting their career as workers at marriage, and even if they continue, pregnancy is another blockage. Findings from analysis of maternity protection institutionalization processes and influencing factors concerned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ing process in a specific firm is a process of collective bargarning by which collective agreements are made. The union leaders first prepare demandings, and at their request bargaining process starts between the union and management. But it was found that the rank-and-file in general showed little interest in the maternity matter, and there were few cases the target workers suggested their own demands to the union preparing demandings. So, union leaders in most cases made their demanding after reviewing collective agreements ‘models’ by other unions or labor movement organizations. Second, the using process of maternity protection items in a specific firm starts when users request it to management division concerned. In general, there had been no blockage against using from the management. For women workers to make up their mind to use such items, education or persuasion from unions played important roles. Women workers decide more easily when they are aware of the contents of collective agreements of maternity protection law. Hearings about similar cases in nearby firms before also do effect on them. In addition, working conditions or labor power reproduction conditions in the family of individual women workers are also important. Target workers more likely feel needs to use it in case they know that their firm provides them better conditions in wage, welfare facilities, working conditions etc. and it may be hard to come back after leave. When the family us economically in necessity of earnings of her, and when providings exist for other family members to nurse the baby instead, it becomes easier for her to decide to use maternity protection items. When women workers themselves have positive consciousness about keeping jobs in marriage or pregnancy, it also do effects. Unfavorable factors also exist. In many cases unions are concerned in maternity leave only and not in other items, because they only feel the necessity of making them keep their job for organizational needs. There being no incentive for women hand workers to keep their jobs long in manufacturing industry makes them forgive more easily. If the labor processes are highly interconnected, she experiences diffeculties to request leave. If she herself thinks it shameful working in pregnancy, or neighbouring persons show unfavourable attitudes to her, it also become more difficult for her to decide to go on. In some cases, workers around a user showed such attitudes thinking that it is a proof of her husband’s economic inability and/or that the responsibility of bringing up a baby is primarily in hands of its mother, which reflects the ideology of sexual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The results can simply be summarized as follows. Even in forms where institutionaliz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went on, contents of items introduced were limited and so too in the using process. Not all the items in law are introduced and being used, and the numbers of users are but a few. Various factors influences on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such as union attitudes and activities, familial conditions of labor power reproduction, working conditions in firms concerned, conciousness of women workers themselves and neighbouring persons etc. This study has some limits. Only manufacturing industry was examined, and firms where full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went on (where users exists) were researched. But there scarcely being pre-existing studies on firm0level institutionaliz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it could be an impetus on concrete analyses on the issue and provide and working hypothesis for forthcoming studies.

      • 한국 자동차산업 생산직노동자의 계급의식에 관한 연구 : 현대자동차, 대우자동차, 아시아자동차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강현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33

        본 논문은 한국 자동차산업 독점대기업 노동자계급의 객관적 제조건과 노동자 계급의식을 현대자동차, 대우자동차, 아시아자동차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현재의 지역적·전국적 차원에서의 노동운동이 자동차산업 노동자계급에 의해 주도되고 있고, 앞으로도 노동운동의 성격과 양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되므로 이들 사업장의 노동자 계급의식에 대한 분석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노동자 계급의식은 노동자투쟁의 산물이면서 동시에 노동운동의 발전방향과 그 수준을 규정하기 때문에 노동자 계급의식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은 중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산업 독점대기업 노동자 계급의식의 객관적 제조건은 노동운동의 출발점이며 노동자 계급의식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이다. 동일한 자동차산업이면서 세 사례대상 기업의 지역적 토대, 기업현황, 노동통제의 성격, 노동자 내부구성 등에서 차이가 있다. 자동차산업 사례대상기업의 노동자 계급의식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강한 불만을 가지고 상대적 박탈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노동자 계급의식은 노동자계급의 자생적 대중조직인 노동조합을 형성하는 기초가 되며, 이를 통해 노사화합의식에서 노자대립의식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노자대립의식은 국가권력에 대한 적대의식으로 발전하고, 노동법 개정·제도개선 요구 등 경제투쟁에서 정치투쟁으로의 결합양상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모순에 대한 의식, 노자대립의식, 국가권력에 대한 대립·갈등의식은 대안적 사회의식으로 변화·발전되지 않고 혼재되고 지체된 노동자 계급의식으로 존재한다. 둘째, 자동차산업 사례대상기업의 노동자 계급의식은 현대자동차 노동자계급이 가장 높은 의식수준을 보이고, 아시아자동차, 대우자동차 노동자계급 순으로 계급의식의 발전정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역적 토대나 지역적 노동운동의 발전양상이 개별기업의 노동운동에 직접적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잘 나타내 준다. 현대자동차 노동자 계급의식은 노사대립의식, 국가권력에 대한 대립의식이 대안적 사회, 미래사회상으로의 지향의식을 상대적으로 높게 가지고 있다. 아시아자동차 노동자 계급의식은 국가권력에 대한 대립의식, 노자 적대의식은 확고히 형성되어 있지만 미래사회상에 대한 인식은 뚜렷하지 못하다. 현대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 노동자 계급의식은 전반적으로 전투적이고 건강성을 담보하고 있으며 정치투쟁지향적인 발전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우자동차 노동자 계급의식은 현대자동차나 아시아자동차 노동자계급과는 달리 조합주의적이고 경제주의적인 의식을 형성하고 있는 데서 변혁적 계급의식으로의 성장이 지체되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분석결과, 한국 자동차산업 노동자 계급의식은 경제투쟁 중심에서 정치투쟁 중심으로 발전된 양상을 보이지만, 변혁적이고 과학적인 계급의식으로의 발전이 지체되고 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노동자 계급의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동조합 내의 민주주의가 실현되어야 하며, 동시에 이념적이고 조직적인 노동자 정치조직에 의해서 목적의식적으로 이끌어 올려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의 한계는 첫째, 자동차산업만을 사례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이들 사례기업의 하청업체와의 연관, 그에 따른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둘째, 자동차산업 독점대기업 노동자 계급의식을 객관적 토대의 규정성 속에서 총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지만 정치적 지형의 변화, 자본과 국가권력과의 구체적인 갈등의 상황 속에서 계급의식의 역동성을 분석하는 데는 미흡하였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노동자 계급의식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이 정립되고 계급의식 개념이 더욱 풍부화되고 세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condions and class consciouness of the labor at the korean monopolized automobile industry are analyzed case study of Hyundai, Daewoo, Asia automobile. These analyses of the class consciouness are important because the present regional and global labor movement are mainly led and the its future characteristics are expected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automobile industry labor class consciousness. Furthermore, the labor class consciousness is a product of labor strife and at the same time, decides the direction of the labor movement's development and the level of quality. Theref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es of the labor class consciousness are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objective conditions of the labor class consciousness at the monopolized automobile industry are the start point of the labor movement and are the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the labor movement, The labor class consciousness of the example automobile industry notifies relative deprivation with the dissatisfaction from strong social inequality. This labor class consciousness is a foundation of a spontaneous massive organization, a labor union through which labor-capital dispute becomes anti-governmental and changes from economical to the political dispute which demands revises of the labor laws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However, the consciousness of the social canflict, the labor-capital dispute, and the conflict and opposition to the government do not develop in to alternative solutions and exist disorderly in the labor class consciousness. Secondly, the labor of the Hyundai automobile shows the highest labor class consciousness and the Asia, the Daewoo are in the order. Th e result of these analyses shows that the regional foundation or degree of regional labor movement develoment are not directly decided by an individual company. The Hyundai labor has the relatively solid percept ion of a alternative and future society intended in the labor-capital dispute, struggle against the government, and the oppne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bor and capital. The labor class consciousness of the As is automobile does not exhibit a conception of the future society, alt hough the consciousness of the anti-government and the labor-capital dispute is firmly established. The labor consciousness of the Hyundai and politics oriented developments. In contrast to the Hyundai and the Asia case, the Daewoo labor has the limit of unionism and economic on ented consciousness which block development of the revolutionary class consciousness.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into revolutionary and scientific class consciousness of the labor class consciousness at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is obstruct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labor class consciousness, the democracy inside the union should be realized. At the same time. the labor consciousness should be raised to the purpose consciousness by ideological and organized labor politics group.

      • 事務職과 生産職勤勞者의 意識性向과 職務滿足度의 比較 硏究

        박병태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638

        The domestic labor-management dispute that once went so far to the brim of catastrophe in the wake of the June 29th Declaration of 1989 has generated its pervasive effect upon social and economic sectors in general as well as businesses and stability and improvement in labor-management relations has been highlighted as a major task in our economy. So far, the domestic labor-management relationships have been sustained and developed for mutuality by its own contention and reasoning power of both parties on one hand while the management pursue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rationality and the labor claimed such democraticism as fair distribution and respect for humanity on the other hand, from disparity in the sense of value. Accordingly, in order for both the labor and the management to maintain stabilized relationship, the positions of both parties must be honored simultaneously. In consideration of the advancing speed of our future industrialization of economy and the variation trend of social structure, the importance of labor-management relation in business will grow higher. Resorting to a short term and temporary expedient for the solution of problems arising out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will not be a fundamental measure. A concrete approach must be made, grasping the value of sense and the consciousness propensity of the labor. In this study, an attempt is made to assess whether the consciousness propensity of clerical workers and production laborers is positive or negative and further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 against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be of help to the formation of common perception and subsequent formation of wh olesome business atmosphere. For assessment of consciousness propensity, questions were made on the respondent's consciousness about superior employees, the successful caree. a sense of duty toward friends, self-sacrificing spirit, the pride as Korean citizen, the traditional customs, espirit de corps, and the affection toward one's office to determine whether one is positive of negative. The average awareness of the entire labor belonged to the middle level, and clerical workers possessed slightly more positive attitude than production laborers did In order to learn about level of job satisfaction, degree of satisfaction regarding wage, promotion, organization management, job itself. work hour, welfare and benefit and job site was surveyed to reveal general dissatisfaction. Production laborers expressed slightly higher consciousness of dissatisfaction as compared to clerical workers. In view of this result,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higher relative dissatisfaction on the part of production laborers as compared to clerical workers in our society.

      • 생산직 외국인노동자 유입 증가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스기모토, 마리아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2431

        생산직 외국인노동자들이 인력부족 직종을 채워주어 한국 경제에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한국인은 외국인노동자가 한국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그들의 유입증가에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는 경향이 있다. 현재 한국에서 60만 명이 넘는 외국인 노동자가 체류하고 있다. 경제성장에 따른 내국인의 3D업종 기피현상과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인하여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은 앞으로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생산직 외국인노동자 인구 증가에 따라 그들의 수용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한국 국민의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외국인노동자 유입증가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들이 아직 부족하며, 동시에 생산직 외국인노동자 증가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중 1,576명을 대상으로 한 2010년도 한국중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를 이용하였다. 기존 연구의 국한된 특성을 확대하여, 기존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현실갈등이론과 사회정체성이론에 초점을 두고, 이를 기반으로 생산직 외국인노동자에 유입 증가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살펴보려고 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과반수(67%)가 생산직 외국인노동자 증가를 바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산직 외국인노동자 유입증가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현실갈등 요인이 사회정체성 요인보다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직업이 자영업의 경우, 생산직 외국인노동자 유입증가에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일자리에 대한 경쟁에서 위협을 느끼는 사람일수록 생산직 외국인노동자 증가에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다는 결과를 통해 자신에게 이익이 됨에 따라 생산직 외국인노동자 유입증가에 대한 태도를 결정한다는 것을 밝혔다. Against the backdrop of the labor shortage problem with the declining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increase in the foreign worker population has become a major issue and accepting foreign workers is becoming a national neces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Korean attitudes toward acceptance of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I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effect of realistic conflict theory and social identity theory, which have been widely applied to understand the attitudes toward acceptance of immigrants in Western countries and South Korea.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the 2010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N=157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7% of Koreans disapprove of the increase of blue collar foreign workers. Second, the indicators of realistic conflict theor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nti-immigration attitudes, but the indicators of social identity theory a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migration attitudes. Finally, attitudes towards blue-collar foreign workers tend to be favorable with self-employed respondents and with decreases in perceived threat of losing jobs to blue-collar foreign workers. Our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realistic conflict theory over social identity theory for the explanation of immigration attitud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