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중학교 과학교과서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 생물영역을 중심으로

        채인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새로운 교육과정은 학교 과학교육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과학교육의 내용과 구성에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적 발달 수준에 따라 일관성 있는 연계성을 지녀야 한다. 본 연구에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개정방향에 따라 새롭게 편찬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생물분야의 학습내용과 단원을 중심으로 연계성을 분석하여 학교에서는 어느 정도의 내용을 교육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좀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지도와 운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를 첫째, 초등·중학교 교육목표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초등.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물영역 단원별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초등·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물영역 내용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물영역 학습내용을 살펴보고 초등·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물영역 학습내용의 연계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목표의 연계성은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중학교 교육목표는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점에는 연계되는 의미가 있다. 단원의 연계성에서 초등학교 식물 물질대사 단원은 3학년에 1단원, 4학년에 2단원, 5학년에 3단원, 이렇게 총 6단원으로 구성되어 중학교 8학년 1단원으로 구성되어있는 반면, 동물 물질대사 단원은 초등학교 6학년에 1단원으로 구성되어 중학교 7학년에 2단원으로 연계되어 있어 동물과 식물의 물질대사 단원은 균형 있는 연계를 위해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단원에 순서에 있어서 선행된 학습의 영향을 받는 단원의 경우 먼저 학습되어야 하는 내용이 학습 후에 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학습의 연계성을 위해 단원 구성을 부분적으로 개선 할 필요가 있었다. 교과서 내용의 연계성을 보면 식물의 구조와 물질대사 영역의 경우 많은 단원이 구성되어 있어 단계별로 중복 없이 발전된 연계성을 보이는 반면에 동물 영역은 초등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중학교에서 배운 내용의 많은 부분의 중복이 되었다. 또한 생물의 분류는 초등학교에서만 배우고 중학교에서는 전혀 연계되지 않았으며, 중학교의 자극과 반응, 유전과 진화에 관련한 내용은 처음 다루어지는 내용으로 초등학교 내용과 전혀 연계되는 내용이 없어 선수학습과 후속학습의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 advanc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tems and learning contents of new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must maintain the connection consistently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llectual development lev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nection of biology part in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focused on items and learning contents, in the 7th education course to find out the degree of the connection in the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and systemic learning guidance and teaching proces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analysed the followings by examining the biology textbooks. 1. The connection of the objects between the element school education and middle school education. 2. The connection of item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3. The connection of learning cont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nnection of the educational objects, the connection of objects betwee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middle school education was maintained well. The objects of elementary school lay emphasis on the training of basic skills for learning and living,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customs, and the objects of middle school lay emphasis on the training of the skills for learning and living and the qualification of democratic citizen based on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nnection of the items, there should be a reformation in metabolism of plant and metabolism of animal for the well-balanced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the items of metabolism of plant, there was one item in the 3th grade and two items in the 4th grade and three items in the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years and there was one item in middle school years. Therefore, total six items in elementary school years were connected to one item in middle school years. On the other hand, in the items of metabolism of animal, there was only one item in the 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year, and there were two items in the middle school years. Therefore, only one item in elementary school years was connected to two items in middle school years. Also, there should be some partial reformation in organization of items, because there was a case that some item which were affected by prior items are placed in front of them.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nnection of learning contents, there was well regulated connection in learning contents of structure and metabolism of plant by stages, because those parts consist of many proper items. In other hand, there were a lot of repetition in learning contents of metabolism of animal. Learning contents of taxonomy of plant item was dealt only in elementary school years. There are no connection in learning contents of stimulation and response, heredity and evolution, because they were dealt in middle school years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there is need for some preceding item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years and middle school years.

      • 한국, 일본, 중국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생물영역의 비교연구

        손화정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에서 배우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한 8종 과학 교과서와 일본에서 최근 출판된 3종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및 중국 과학교과서를 연구 자료로 하여 이 중 생물영역의 실험 및 관찰항목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통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보다 바람직한 중학교 과학교과서(생물영역)의 교육과정의 개선과 학생들의 창의성과 탐구적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학습내용 및 실험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 나라의 과학 교과서 중에서 생물영역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과학교과서는 학년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8종 교과서 모두 4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1, 2학년은 1단원씩, 3학년에서는 2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 교과서는 1분야와 2분야로 나뉘며, 1분야에는 물리, 화학영역으로, 2분야에서는 생물과 지구과학영역을 다루고 있었다. 중국 연변 초급중학교 교과서의 생물영역은 1권과 2권으로 나뉘고, 1권은 다시 상 ·하권으로 나뉘어 학년별로 학습하게 하였다. 2. 중국, 한국, 일본 교과서 순으로 개념과 내용의 설명에 많은 지면을 할애한 것으로 보아 중국과 한국 교과서가 일본 교과서보다 지식 위주의 학문 중심적임을 알 수 있었다. 3. 한국에서 사용되는 8종류의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 및 관찰의 내용과 주제는 거의 유사했으나 일본의 경우는 실험 및 관찰의 내용은 교과서마다 상이한 것으로 보아 교과서 별로 독창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한국, 중국,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생물영역의 수준의 강조도를 분석한 결과, 세 나라 모두 개체와 조직과 기관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주제의 강조도를 분석한 결과,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중학생의 수준에 적절하였다. 5. 실험·관찰에 사용되는 약품으로는 삼국 모두 취급상 폭발 및 유독성의 위험이 있는 시약은 거의 없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시약은 중국은 요드용액, 일본은 요오드액, 한국은 아세트산카민이었다. 재료생물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된 생물은 중국은 참개구리, 옥수수였고 일본은 봉선화, 유채였으며 한국은 양파가 많이 사용되었다. 실험에 가장 많이 사용된 기구는 중국은 핀세트였고 일본은 현미경 관찰용구였으며 한국은 현미경이 활용빈도가 높았다. The natural science education of three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Korea began with an introduction to the Western educational curriculum and methodology, and their viewpoints of education are similar.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8 kinds of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sixth curriculum in Korea, 3 kinds of science textbooks recently publish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Japan, and the science textbooks in China, and to investigate the field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bi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pply the teach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material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research and learning such as practice and experi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learning and experiment required in the change of curriculum of biology textbook suited to our actual conditions in scienc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rom this analytical study are as follows: 1. The Korean science textbooks are classified by grade, and all of them consist of 4 chapters. And chapter 1 is for the first graders, chapter 2 is for the second graders and chapters 3 and 4 are for the third graders. The Japanese science textbooks are classified into field 1 and field 2, and field 1 deals with physics and chemistry while field 2 treats biology and geological science. The field of biology in the textbook for elementary middle school in Yeon-byun, China is classified into book 1 and book 2, and book 1, in turn, is divided into Ⅰ and Ⅱ, which is used by grade. 2.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Chinese textbooks have the most number of pages related to theoretical concepts and explanatory contents, the Korean textbooks are the next and the Japanese textbooks have the least, it can be seen that our textbooks are more knowledge-oriented than the Japanese textbooks. 3. The contents and the topic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8 kinds of the Korean textbooks are similar, while their content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the Japanese textboo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is tells that the Japanese textbooks have their own peculiarity or originality. 4. It can be proved tha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standard of the biological section in th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f three countries and they lay a weight upon individual systems, textures and organs, and that as a result of analysis on its theme, they are proper for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so that they can learn centering upon the structures and the functions of organs. 5. As for reagents for experiments or observations, it can be seen that all the textbooks of three countries nearly deal with the dangerously poisonous reagents or explosive ones, and that the Chinese textbooks use mostly iodine, the Japanese textbooks use mostly urea and the Korean textbooks do acet acid carmine. In addition, it can be perceived that they use the common things as biological materials a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things are frogs and corns in the Chinese textbooks while the Japanese textbooks use a balsam and a rape most frequently and the Korean textbooks use onions extremely much. Moreover, it can be observed that a pincette is printed on the Chinese textbooks as the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has a high frequency in its use, an observing instrument is printed on the Japanese textbooks and a microscope is printed on the Korean textbooks.

      •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물영역의 비유 조사

        최주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과학자들이 새로운 과학 개념이나 이론의 설명 또는 새로운 가설의 설정을 위해 비유를 사용하는 것처럼 교육에 있어서도 학생들에게 추상적인 개념이나 어려운 개념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비유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물 영역에 사용된 비유를 조사하여 분류함으로써 학습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비유를 알리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물 영역에 사용된 비유를 수집하고 각 비유를 표현방식, 대응관계 설명정도, 비유물 설명의 한계 언급 여부에 따라 조사하였다. 생물 영역에 사용된 비유는 158개였고, 사용된 비유의 종류는 100가지였다. 생물 영역에 사용된 비유를 유형별로 조사한 결과 언어비유, 단순비유, 비유물 설명이 없는 경우, 비유한계 언급을 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다. 단원에 따라 교과종에 따라 비유 사용 빈도도 차이가 있었고, 각 단원별로 사용된 비유의 차이는 각 단원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물영역에서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오던 비유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새로운 비유 형태도 많이 사용되었다. 비유는 과학 지식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따라서 그림 비유, 부연 비유, 확장 비유, 비유물 설명이 있는 경우, 비유 한계 언급을 한 경우가 과학 학습에 효과적이다. Scientists for the setting up of new science concept or theory of new explanation hypothesis. The thing to use the comparison in the education is to explain difficult to students or the concept to be the abstract concept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nalogy domain to be used in biology area at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 place where it informs the effective analogy. From this research according to 7th education course which was use in biology area at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to be written the analogy to be used in analogy in limit referring yes or no expression method, confrontation explanation degree and analogy thing explanation. This analogy is to be used in biology area was 158 things, the type of analogy to be used was 100 kinds. The case which is not the result language analogy which shedding of blood investigates the analogy which is used in biology area especially, simplicity analogy and analogy thing explanation, it was used at the ratio where the case was used for high rate which dose ant do an analogy limit reference. It followed only in the unit and it followed analogy use frequency as well there was in subject and kind a difference. The difference of the analogy to be used for an each unit can see as the reason why the content is different. It was used for a long time from junior high school scientific textbook biology but the analogy which was plentifully used in new analogy form. Analogy does not understand scientific knowledge, there is a possibility of helping the gain and loss of the students. As a result the case with a picture analogy, expatiation analogy, expansible analogy, the analogical things of explanation and analogy limits referring one case is efficient at scientific study.

      • 학습환경변인이 초등학생의 생물영역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최장선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여러 가지 학습환경변인 중 어떤 변인이 생물영역의 학업성취도와 관련이 있고, 어떤 변인에 의해서 생물영역의 학업성취도가 더 많이 설명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후속연구자에 여러 시사점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선행연구를 통하여 학습환경 변인을 크게 교사변인, 학교변인, 학습전략변인, 가정변인으로 나누어 기존의 검사지를 재구성하였다. 이 검사지를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 환경 변인의 하위요소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생물영역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첫째, 거주지에 따라 교사변인, 학교변인, 학습전략변인의 획득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즉 아파트에 사는 학생이 위의 변인들에 더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학년에 따라 교사변인, 학습전략 변인에 차이가 있었는데 5학년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성에 따른 학습환경변인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습환경변인과 생물영역의 학업성취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하위요소인 학습전략변인과 교사변인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학교변인, 가정변인 순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특히, 아파트 거주자의 학습환경 변인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변인, 학교변인, 학습전략, 가정변인의 수준에 따른 생물영역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물 영역에서도 학습환경변인이 학업 성취도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넷째, 생물영역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학습환경변인의 하위요소로는 학습전략변인과 교사변인이었다. 즉,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 태도, 학습양식의 영향이 가장 크며, 다음으로 교사의 특성, 교사-학생의 상호작용, 학생에 대한 기대의 영향을 받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tudying factors can affect students' science and biology ability and what studying factors are affecting their ability. I divided the studying factors into teachers' factor, school environment, studying strategies and family factor, and then reorganized these factors. I researched and analyzed 209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using this test. Each sub factor of the 4 main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an upper group and lower group. I tested the differences in studying achievement between science and biology students, and was able to make a few conclusions. 1) The studying factors are related to the studying achievement of biology. Among the lower factors were the studying strategy and teacher factor that had the most influence. The next most influential was school environment and the least family factors. So studying factors are a very important variation of the studying achievement. 2) Students who live in an apartment got higher grades of studying factors and studying achievement than students who live in a house. That is, students who live in an apartment have been influenced by many factors. 3) The result differed depending on age. 5th grade students were more influenced by teacher factor and studying strategy. 4) Gender factor was not related to studying factors. Although girls got better grades than boys statistically it made little difference. 5) Among the lower factors, the most influential on achievement in biology was the studying strategy. The important studying factors are students' motivation for studying, attitude and way of stud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