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연장 상주예술단체 지원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신지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공연장과 예술단체간의 공연예술 협력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전문공연예술단체의 안정적인 창작기반을 마련하고, 관객개발 및 공연장을 활성화하며 나아가 지역문화커뮤니티 활성화를 기여하고자 시행되고 있는 공연장 상주예술단체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중앙의 문화예술 관련기관은 문화예술 창조를 위해 예술가와 예술단체의 창작활동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예술단체의 열악한 창작환경을 개선하고자 2008년까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지원해오던 '공연예술단체 집중육성사업'을 2009년부터 ‘공연장 상주예술단체 지원제도’로 각 지역의 지역 협력형 사업으로 변환하여 지역문화재단에 이관해 시행하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이고 상징적인 지방자치권역이 라 할 수 있는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서울지역은 우리나라의 상주예술단체가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는 지역으로 지원사업의 다양한 사례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 중 하나이다. 현재 서울지역은 서울문화재단의 ‘공연장 상주예술단체 육성지원사업’을 기본으로 예술단체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며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진행은 공연장 상주예술단체의 선행연구를 검토 후 개념과 정의, 등장배경에 대하여 살펴보고 2015년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서울문화재단의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운영 현황을 정리해보았다. 덧붙여 서울지역 공연장별 상주예술단체 지원제도의 현황과 공연 장르별, 사업부문별 현황을 정리해 보고 서울지역 상주예술단체 우수운영사례에 대하여 분석해보았다. 그 후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시사점 및 개선과제를 도출해보았다. 서울지역의 경우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이 2015년 현재 21개 공연장과 33개 상주단체가 선정되어 각 분야별로 왕성한 활동 중에 있다. 지원분야별로는 공연예술창작활성화 13건, 지역문화커뮤니티활성화 20건이며 장르별로는 전통예술 7건, 음악 10건, 무용 4건, 연극 12건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전문가들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상주예술단체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공연장과 공연예술단체의 원활한 교류와 상호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공연장과 예술단체의 제도에 대한 상호 이해와 적응의 필요성, 연속 가능한 전문 인력의 공급, 사업 기간 확대 및 사업의 연결성, 지원 금액의 확대 등이 원활한 상주예술단체 제도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발전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논문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요약, 정리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공연장 상주예술단체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 및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에 있어 본 연구가 부족하나마 향후 상주예술단체의 지원제도에 대한 연구보고서와 다양한 외부 연구로 이어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pporting systems of performance halls for arts groups in an effort to give support to the joint programs for performing arts between performance halls and arts organizations. It's basically meant to furtherstable creative activities of professional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audience and the revitalization of performance halls, and ultimately to expedite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al communities. Currently, the national government organizations, related to arts and culture, encourage artists and arts groups to create and perform works of arts in order to foster new arts and culture, and eventually to improve the harsh environments of arts organizations. Specifically, the intensive promotion plan for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hat was funded by Arts Council Korea until 2008 was changed in 2009 into the supporting systems of performance halls for residential arts organizations. Now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in each region is responsible for this system as a collaborative local project. The geographic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region of Seoul that could b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and symbolic self- governing zone in our country. In Seoul, there are various cases that have supported residential arts organizations, and more assistance is being offered for arts groups. A good example is the promotion and support plan for residential arts organizations in performance halls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residential arts organizations in performance halls by analyzing related earlier studies, and to organize the actual cases of supporting these organizations including the promotion and support plan for residential organizations in performance halls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nd it's also meant to analyze the state of the supporting systems of performance halls for residential arts groups in Seoul and the genres of works of arts, and to give some suggestions on futur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analyzing earlier studies of residential arts organizations in performance halls, examining the concept,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the organizations, and summarizing the supporting plans for residential organizations in performance halls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which are currently executing in 2015. In addition, the study also organized the current state of the supporting systems of performance halls for residential arts groups in Seoul and categorized them by its genre and business unit. Furthermore, the study deducts implication and future challenges by hav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In Seoul, the promotion and support plan for residential groups in performance halls has been carried out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1 performance halls and 33 residential organizations that are selected in 2015 from diverse fields are supported. As for the areas to be supported, 13 cases are to dynamize the creation of performing arts, and 20 cases are to vitalize local cultural communities. Concerning the genres to be backed up, 7 cases are concerned with traditional arts, 10 cases are related to music,4 cases are about dance, and 12 cases are about theatre. As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e of the supporting systems and hav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it seems that smooth interchange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performance halls and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re basically required to ensure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residential arts groups. Regarding the right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arts organizations, mutual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between them and performance halls, supply of successively availabl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extension of business period and connectivity, and raise of supporting fund seem to be necessary. In the conclusion part, the study has been summarized in order and closed the study withproviding implications and proposals of residential arts organizations in performance hallsthat were discussed in the study. Although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supporting systems for residential arts organizations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efforts.

      • 공연장 상주단체육성 지원사업의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 경기문화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홍성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공연장 활성화, 예술단체의 안정적 창작기반 마련, 지역 문화 활성화를 마련하고자 시행되고 있는 ‘공연장 상주단체육성 지원사업’의 평가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공연장 상주단체육성 지원사업은 2004년 문화관광부 「공연예술진흥 기본계획」 중 ‘문화권의 신장’과 ‘문화 복지 시책 확대’의 핵심 정책 방향을 토대로 제시된 ‘예술인 상주제도’를 시작으로 볼 수 있으며, 2009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9년간 진행되어 온 지원사업이다. 이 사업은 9년간 진행되면서 다양한 성과를 드러낸 바 있다. 무엇보다도 공연장과 예술단체가 자발적으로 결합하여 지역 문화의 진흥을 이끌어 낸 점을 들 수 있겠다. 또한, 지역별 각각의 우수 예술단체들이 경쟁력 있는 활동으로 인해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정착되고 안정화되면서 그 지역의 브랜드가 되었다. 특히 안정적인 공연장을 기반으로 예술단체들이 창작 레퍼토리를 활발하게 개발하면서 국제 활동과 다른 지역 예술단체와 협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곧 이제까지의 소극적인 자세로 하드웨어 개방을 시도했던 관행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으로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지원사업이 진행된 9여 년 동안, 이에 대한 평가체계는 지역에 대한 상황과 환경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이와 관련하여 평가체계 개선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평가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지금까지 진행됐던 평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경기문화재단 공연장 상주단체육성 지원사업 예술단체 담당자로서 상주단체육성 지원사업을 직접 기획하고 추진해 온 바 있다. 따라서 본인의 경험과 경기문화재단의 사례를 집중적으로 활용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경기문화재단 상주단체육성 지원사업의 사업 현황을 토대로 평가체계 개선과 지원사업의 앞으로의 효율적인 평가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하였고, 이를 위해 전국 공연장 상주단체육성 지원사업의 현황 분석과 경기문화재단의 지원사업의 다양한 목표와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여러 쟁점을 취합하여 지금의 환경 변화에 맞게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방향으로 도출하였다. 1) 지역별 특성에 따른 평가 방법의 개발, 2) 예술단체별 장르와 목표에 부합하는 평가 지표 개발, 3) 신규-연속-협력, 단계별 평가 시행 제언, 4) 모니터링 제도를 통한 평가 운영 전문가 양성. 본 논문이 향후 이해 당사자 간의 전략적인 관계 형성과 외부 연구들로 이어지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propose evaluation system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ject for Nurturing and Supporting Resident Art Groups in Performing Arts”, which is implemented to promote the theater, form a stable creative foundation for art groups, and vitalize local culture. The “Project for Nurturing and Supporting Resident Groups in Performing Arts” began with the “Artist Residency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core policy direction of the enhancement of cultural rights and expansion of culture and welfare policy among the “Basic Plan for Performing Arts Promo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04. This support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past nine years, beginning with the pilot project in 2009. This project has produced various results over the last nine years. Most notably, the venues and the arts organizations voluntarily joined together to promote local culture. In addition, excellent arts groups in each region became a local brand as it settled and stabilized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competitive activities. In particular, arts groups conducted international activities and collaborated with other local arts groups while actively developing the creative repertoire based on stable theaters, which is noteworthy in that arts groups are attempting to combine software more aggressively, away from the practice of attempting to open hardware with a passive attitude. However, during the past nine years, the evaluation system has not been able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of the region. In this regard,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is need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valuation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in order to supplement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rom 2012 to 2016, I have been planning and promoting the resident group support project as the individual in charge of the “Project for Nurturing and Supporting Resident Groups in Performing Arts” at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As a result, I have applied my experience and case studies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o this research. This research aimed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and seek for efficient evaluation system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upport project, based on the present status of the “Project for Nurturing and Supporting Resident Groups in Performing Arts” at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atus of the “Project for Nurturing and Supporting Resident Groups in Performing Arts” throughout the nation, and various targets and operation cases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s support projects were analyzed, and various issues were collected. In conclusion, the following four directions were identified as means for improvement that fits the current environmental change: 1)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2)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in accordance with the genre and goal of each arts group, 3) proposition of phased evaluation (new–continuous–cooperation), and 4) nurturing experts in evaluation through a monitoring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strategic relations between stakeholders and lead to external studies.

      •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 운영현황 분석 연구 : -광주·인천·서울·경기문화재단을 중심으로-

        강지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정권의 문화정책 변화에 따른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의 사업 추진 배경과 전국 17개 시‧도 문화재단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광주·인천·서울·경기문화재단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 추진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경제의 성장을 이루며 국민들의 문화적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정권이 변화하며 문화정책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은 노무현 정부의 문화정책을 시작으로 작품의 질과 높은 완성도를 추구하며 선택과 집중이라는 원칙으로 문화정책 목표를 설정한 이명박 정권에 들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지역문화재단 주관 사업으로 이관 및 확대되었다. 둘째,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 한국문화예술위원회로 전환된 이후 2006년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의 모체라고 할 수 있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공연예술단체 집중육성 사업’을 포함한 ‘지역협력형 사업’이 신규도입 되었고, 2011년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으로 개칭되었다. 셋째,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지역에 이관되어 운영된 12년간의 사업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지역협력형 사업’이 지역문화재단으로 완전히 이관되어 사업의 안정기로 접어든 2012년∼2014년의 지원 및 예술단체의 선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2012년 이후 큰폭의 예산증액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상주 예술단체의 선정 수는 2010년∼2015년에 897개 단체가 선정된 것에 대비하여, 2016년∼2021년 845개 단체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주·인천·서울·경기문화재단의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의 공고문은 광주문화재단의 지원 제출요구 자료가 인천·서울·경기문화재단보다 많고, 공공 공연장과의 MOU협약체결 및 단체 활동경력증빙, 지역 소재지에 대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통분야 신진단체의 초기 지원장벽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광주·인천·서울·경기문화재단의 2010년∼2021년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의 선정현황은 서울, 경기, 인천, 광주 순으로 많은 예술단체를 선정하였으며, 경기·수도권으로 선정단체가 집중되었고, 광주문화재단의 선정률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광주·인천·서울·경기문화재단의 2010년∼2021년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의 지원현황은 서울, 경기, 인천, 광주 순으로 많은 민간경상보조금이 지원 되었으며, 예산이 경기·수도권으로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결과적으로, 2016년 이후 인천·서울·경기 지역보다 광주 지역 전통분야 선정률 급감의 원인은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의 민간경상보조금 감액 및 선정단체 수 축소와 기존 전통분야 선정단체의 지원사업 운영 부재로 인한 전통분야 신진예술단체의 역량강화 및 기획전문인력 육성의 어려움에 따른 선정률 감소라고 보여진다. 전통분야의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의 선정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과제로 전통분야 기성 예술단체의 지속적인 활동 추진과 창작작품 개발 및 문화예술행정 역량을 갖춘 인적 인프라 개발 노력을 통해 젊은 청년예술단체가 성장할 수 있도록 신진예술단체의 지역 내 활동경력을 제고와 기획전문인력으로서 육성될 수 있도록 역량강화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for pursuing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project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ultural policies of the government, as well as the operation status of 17 municipal and provincial cultural foundations. Results of making comparative analyses on promoting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support projects for the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 Gyeonggi, Incheon, Seoul, and Gyeonggi are as follows. First, Korea achieved economic growth since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 was a steady growth of cultural demand among citizens, and as the regimes chang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policies was recognized. The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Project’ started as the cultural policy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who set the cultural policy goals of select and focus while pursuing high quality and perfection of works, the project was moved and expanded as a project overseen by local cultural foundations by the Arts Council Korea. Second, since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Agency was transformed to Arts Council Korea, in 2006, the ‘Local Cooperative Project’ including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Focus Fostering Project’ of the Arts Council Korea, which can be viewed as the mother of the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Support Project’, was newly implemented, and it was renamed as the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Project’. Third, upon making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ject operated for 12 years since being transferred to local administrations from 2010 to 2021, the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Support Project’, support and selection rates for arts organizations were highest between 2012 and 2014 when the ‘Local Cooperative Project’ of the Arts Council Korea was completely transferred to being a local cultural foundation, and after 2012, there were no large increases in budgets. Meanwhile, compared to 897 organizations being selected as resident art organizations between 2010 and 2015, it was found that this number dropped to 845 organizations between 2016 and 2021. Fourth, for the announcements of the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Support Project’ of the Gwangju, Incheon, Seoul and Gyeonggi Foundations for Arts and Culture, more materials were requested for submission by the Gwangju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compared to that of Incheon, Seoul and Gyeonggi, and because of limitations such as MOUs with public concert halls, proof of organization activity experience, and local addresse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high barrier for initial support for new organizations in traditional sectors. Fifth, the status of selection of the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Support Project’ between 2010 and 2021 of Gwangju, Incheon, Seoul and Gyeonggi Foundations for Arts and Culture showed that the most arts organizations were selected in the order of Seoul, Gyeonggi, Incheon and Gwangju. Selected organizations were mainly concentrated in the Gyeonggi and capital region, and the selection rate of the Gwangju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was lowest. Sixth, the status of support for the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Support Project’ between 2010 and 2021 of Gwangju, Incheon, Seoul and Gyeonggi Foundations for Arts and Culture showed that ordinary private subsidies were supported most in the order of Seoul, Gyeonggi, Incheon and Gwangju, and it is evident that budget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the Gyeonggi and capital regions. In result, the reason for the sharp drop in selection rates in the traditional sector for Gwangju compared to Incheon, Seoul and Gyeonggi since 2016 was because the decreased ordinary private subsidies of the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and difficulties in strengthening the capacities of new arts organizations in the traditional sector, reduced number of selected organizations, and difficulties in fostering personnel specializing in planning because of the lack of operating support projects for organizations selected in the traditional sector. In order to increase the selection rate of ‘Concert Hall Resident Organization Fostering Support Projects’ in the traditional sector, continuous pursuit of activities of existing arts organizations in the traditional sector, development of creative works, and efforts to develop human infrastructure equipped with capacities in cultural arts administrations should be made to enhance local activity experience and foster planning experts for new arts organizations, which will help young arts organizations to grow.

      • 지역공연예술단체 상주단체지원정책에 대한 연구 : 인천시 예술단체를 중심으로

        김수연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research seeks into the culture organization support policy of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performing arts, and also concretely looks into the solution for the external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and the qualitative development and independence of sustainable performing arts. The support policy of local foundation in the past began with small cases, but the tendency to mainly focus on the distribution of policy brought about problems; therefore, the efforts to strengthen the community's ability, competitiveness and the base of stable creative activity through the concentration promotion business were suggested. In addition, post support policy was introduced for the complementation of review system and enhancement of qualitative support policy through the creative demands and inspiration of performing arts. The current promotion support business of theater resident organization, which began as a development support business through the partnership between the theater and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is currently finishing its fourth year. Previous preceding theses focused on the needs of introduction of resident organization and expectation of effect and the exploration of these needs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In addition, the research significantly offers an annual performance and the actual basis of art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active for four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heater resident organization promotion support business with Incheon as the center of the research. Furthermore, the research concentrated on the effective aspect and issues of the actual support system with management case of Incheon theater resident art organization as the center. The city of Incheon has implemented the theater resident organization promotion support business since 2010 through the Incheon Culture Foundation. At present, six theaters and seven resident organizations are selected and their involvement in their areas are fully active. They continuously develop at least one or more of creative work and repertoire and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qualitative culture and art through art education and a variety of businesses. They also work on the enhancement of organization's ability through contributing workshops or international exchange. However, annual renewal brings out difficulty in the long term plan of business due to its discontinuity in terms of the support system. Anxiety for unstable foundation creates distraction from creating work.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distribution of supporting fund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theater and the conflicts caused by inefficiency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have an efficient development of resident organization support business from now on, a certain period of pla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xclusive theater and a policy method that expands the local community into an art city through the networking between the local institutions are required.

      •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윤용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0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극장은 1950년 설립 이후 장르별 전속단체와 함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하여 꾸준하게 노력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문화정책의 변화에 부응하여 국립발레단 등 3개 전속단체를 법인화하여 독립시킨 후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체제를 변경하였다. 2010년도에는 국립극단도 법인화하면서 국립창극단 등 전통예술 장르 중심의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립극장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고 미래에도 공연예술부문의 대표 극장으로서 위상과 아울러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되었다. 국립극장이 설립된 이후 관료 중심의 유연하지 못한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효율성과 책임성에 중점을 둔 책임운영기관으로의 변경은 기존의 관료주의적 운영에 변화를 주어 경영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여전히 문화예술기관으로서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적잖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만족할만한 운영체제로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전속단체를 포함한 국립극장의 운영 전반에 걸쳐 심층적인 분석과 아울러, 해외의 주요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립극장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환경과의 교류와 수용으로 고객 우선과 미래 지향적인 입장에서 국립극장의 운영에 관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립극장의 다양한 환경변화를 감안하면서 연관성이 긴밀한 분야인 조직 운영, 공연 진흥사업과 프로그램, 예술감독과 전속단체 등을 분석하여 쟁점과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해외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쟁점과 비교 분석사항으로 SWOT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션과 개선전략을 설정하고 고객 지향의 장기적인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국립극장의 미션으로는 문화예술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 예술성 높은 작품 제작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민의 문화향수 증대를 위한 사업, 국내외 문화예술의 교류 협력사업, 공연예술 자료수집 및 연구기능 강화, 문화예술에 관한 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전략으로서는 극장과 전속단체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활성화, 작품의 창작과 연구 그리고 활발한 교류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공연예술 진흥을 위하여 정보화와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하고 풍부한 예술교육을 제안할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운영과 구조개선 그리고 극장과 전속단체의 관계 재설정과 함께 재정 체계의 경직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과 경영관리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극장장을 비롯한 직단원의 인사정책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립극장이라는 명칭을 공연예술분야를 포괄적으로 상징하는 것으로 변경과 함께 국립극장 무대에 올리는 공연예술 작품에 대하여 질적 수준을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진입로를 이설하는 방안과 함께 새로운 국립극장의 건립 방안도 검토하며, 문화예술 창작기관으로서 국민이 골고루 문화예술을 향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과 더불어 지역 국립극장이나 분관의 설립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장르별 전용 공연장으로 특성화와 함께 무대미술 제작 및 보관창고를 마련하며, 관객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을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접근성도 높여야 한다. 예술 창작의 지원을 위한 자문위원회의 개선방안이 있어야 하며, 민간 지원을 위하여 설립한 발전기금과 후원금에 대한 투명성과 객관성을 높임과 아울러, 후원회와 회원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로서 잠재적 능력과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인간을 형성할 수 있는 예술교육과 관객개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속단체의 기획 역량과 예술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레퍼토리시스템과 시즌 공연제 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국립극장 무대에 걸맞은 작품을 발굴하고 선정하기 위하여 레퍼토리개발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극장장과 예술감독의 역할과 책임성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간 역할의 범위를 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예술감독에게 제작과 공연에 관한 권한의 위임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예술적 성과와 정체성을 위해서는 극장장에게 운영과 프로그래밍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총감독으로서 경영부문과 예술부문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 복지를 위한 예술향수의 확대와 함께 공연 창작사업의 전문화를 위하여 프로그램의 선택과 집중, 홍보 마케팅 역량 강화, 해외 초청공연의 특성화라는 원칙을 제안할 수 있었다. 전속단체와 단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작품 제작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며 창작 중심의 예술조직으로 전환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