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걷고싶은 거리만들기 시범가로를 대상으로

        윤정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상업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한다는 것은 좁게는 보행자를 위한 물리적 환경의 개선이라는 효과와 넓게는 지역 상업환경의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는 복합적인 시너지 효과가 작용한다. 본 연구는 가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 상업활동의 어느정도의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보행환경개선사업이 가로특성에 맞게 상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압구정로와 홍릉길을 사례가로로 선정하여 보행환경개선사업 후의 가로의 물리적 변화를 분석하고, 사업이 실시된 지역의 상가점포주와 상가방문자들의 설문을 통해 매출액의 변화 및 심리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가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가 상업활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압구정로의 가로이미지는 번화하고 현대적인 상업가로 이미지로, 보행환경개선사업을 통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지만,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는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되어졌다. 압구정로의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면서 상업환경을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편의시설 및 문화시설을 확보하고, 노점상 및 불법주차 감소를 위해 힘쓰며, 안내표지판을 설치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로환경이 청결하고, 안전한 거리를 만들며, 홍보 및 이벤트 행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홍릉길은 정겹고 고풍스러운 이미지의 상업가로로,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고,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개선, 매출액, 방문객 증가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어진다. 홍릉길의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면서 상업환경을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차량감소를 유도하고 불법주차를 관리하며 도로횡단를 용이하게 하며 안내표지판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홍보 및 이벤트 행사와 함께 청결한 가로환경을 조성하고 편의시설, 휴게시설, 문화시설 등을 확충해야 한다. 각 대상가로에 대한 개별적인 계획과 동시에 건축물 외관 정비에 대한 행정기관의 지원 및 지역 특성에 맞는 가로공간 계획, 점포주들의 자발적인 참여 등이 더불어 이루어진다면 보행환경개선사업의 긍정적 효과가 더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보행가로환경의 물리적 요소를 도출하여 향후 보행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양택풍수이론을 적용한 제주지역의 환경색채 연구 : 주거.교육.상업환경을 중심으로

        고봉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70

        Ph. D. Thesis A Study on Environmental Colors According to Feng-Shui Theory in Jeju Island - Focusing on Residential, Educational and Commercial Environments - Go Bong-Sun Department of Family Residence Majoring in Environment Design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Park Chan-yong) Abstract This thesis tried to analyze the location of the residential, educational and commercial environment in Jeju region by applying the formal logic of Feng Shui and to present a win-win environmental and colorful design by comparing the shape and color of buildings. Noting the color and shape, the important factors of spatial design, the colorful environment is analyzed and an improvement plan is presented by applying the ObangJeongsaeknon and Ohaengnon of Feng Shui theory that the human residence and natural environment may be harmonious. The objectives of research were classified into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mmerci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ocation in Jeju regi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aken for objective was the settlement in Yeon-dong, Sinjeju-si,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12 day-care centers and the commercial environment was 13 luxury hotels located in Jeju-si and Seogwipo-si.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rst, a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ettlement in all quarters of Yeon-dong, Sinjeju-si, an alternative form of building was presented that can achiev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topography. As for the shape of building or roof, it took the body of Mok shape(▯) to the Eastward, as there is active earthly energy of Mok(木). It took the body of Geum shape(◗·◖) to the Westward, as there is active earthly energy of Geum(金). It took the body of Hwa shape(△) to the Southward, as there is active earthly energy of Hwa(火). It took the body of Su shape(▭) to the Northward, as there is active earthly energy of Su(水). The color design fit for the region was presented through color simulation by applying ObangJeongsaeknon. It was presented to design with colors nicely-paired with directions to be able to receive the earthly energy and vitality of the region ; blue to the Eastward, white to the Westward, red to the Southward and black to the Northward. Second, a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location and space of childcare centers were analyzed by applying directional topography, morphology and chromatology. It was proposed to prepare the shape of building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erms of Feng Shui considering the environment to be able to receive a good effect of the region. Colorful design should also be applied to the colors of inside and outside of building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direction of the region to be able to receive a good spirit. This attempt is in the same context with being under the influence of topography from the aspect of Feng Shui and also applied to the shape of the building and the environment of color inside. Lastly, as for the commercial environment, the location and space of 13 luxurious tourist hotels were analyzed in terms of Feng Shui. It was found out not to be the location to receive a good earthly energy. Most hotels considered only the tourists' convenience for access. Especially the color of the outer wall emphasiezed only the visual effect never considering in terms of Feng Shui. An environmental and colorful design was presented that can win-win together with the shape of building. Especially colorful design was presented to win-win with the shape of building as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is the passage of energy. In conclusion, if the locational environment in Feng Shui is regarded as same as being under the influence of topography, the win-win between the shape and color of a building is very important because that is able to provide the members with pleasant and healthy environment. This research might be available as a criteria for plan and design in the field of housing lot in Feng Shui. Key word ;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Commercial environment, Environmental Colors, Feng Shui

      • 한성부 일본인 거류지의 공간과 사회 : 1885년~1910년까지 도시환경변화의 성격과 의미

        이연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68

        1882년 외국인의 거주가 한성부에서 처음 허용된 이후 일본인들은 남산 북록 진고 개 일대에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인들은 한반도 내에서 일본의 영향력이 점차 강 화됨에 따라 그 거주영역을 점차 확장해 나갔으며, 한성부의 도시경관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일본인 거류지의 변화는 1894~95년의 청일전쟁과 1904년의 러일전쟁을 계기로 세 시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제 1기는 남산 위에 공사관을 건축하면서 본격적으로 거 류를 시작한 1885년부터 청일전쟁 이전까지의 1894년까지로서, 이 시기 거류지는 남 산 북록의 진고개 일대에 소규모의 일본인 집단 거주지를 마련한 것에 불과한 것이었 다. 제 2기는 1895년 청일전쟁 이후부터 1904년 러일전쟁 이전까지에 이르는 시기로, 거류지는 남대문로 방면으로 확장되었으며, 본격적으로 일본식 마을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마지막 시기인 제 3기는 1904년 러일전쟁 이후부터 1910년까지로, 거류지의 영역은 남촌 일대 전역 뿐 아니라 용산을 비롯한 성외지역으로까지 확대되었으며, 거 류지는 식민화의 전초기지로서 정주지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거류지 도시환경의 변화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로환경, 상업환경, 생활환경으로 나 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거류지 내 도로환경은 도로개수사업과 상하수도 구축사 업 등의 도로환경개선사업과 그리고 가로시설물들의 설치 등으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 었다. 거류지 도로환경 개선사업의 시행목적은 교통상의 편리와 위생 관리, 그리고 상 업의 활성화를 위한 것으로서, 1895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진 행되어 나름대로의 성과를 만들어 냈으나, 민간 차원에서 시행된 것이었기에 부분적 이고 임기응변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상업환경의 경우, 거류 초기에는 일본인 거류민들에게 생필품을 공급하기 위한 소 수의 상점들로 이루어진 것이 전부였으나, 점차 거류민 인구가 증가하고, 한일무역이 성장함에 따라 한국인과 서양인들도 주요 고객이 되면서 그 수가 대폭 증가하였고, 상점 자체가 대형화, 복합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거류초기 진고개 일대, 즉 본정 4~5 정목 일대와 수정 일대에만 설치되었던 일본인 상점들은 청일전쟁을 전후하여 남대문로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본격적으로 한성부 상계에 침투하기 시작하였으며, 본정 도로를 비롯한 거류지 주요 도로들의 양 옆에 일본식 상업건축인 마치야와 서양식 상 점들을 건축하고 광고와 장식 등을 더하여 독특한 일본식 상업가로환경을 구축하였 다. 도로환경과 상업환경이 도시의 선형요소인 가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거류지의 전체적인 성격과 분위기를 형성한 것은 생활환경의 구축에 의해서였다. 생 활환경은 자치, 행정, 의료, 교육 제도 등 도시 제도의 도입과 학교, 병원, 종교, 유흥 시설 등의 도시 시설들의 설립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생활환경 은 상당히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행정 및 교육과 위생 제도와 그 시설들에 서는 상당히 근대화가 진전된 모습을 발견할 수도 있으나, 거류민들의 일상적 의례들 과 생활, 특히 종교 문화나 유흥 문화 등에서는 에도 시대의 문화가 그대로 나타남으 로써 상당히 ‘일본적’인 모습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로환경, 상업환경, 생활환경의 구축으로 만들어진 거류지 도시환경은 외부적으로 는 같은 시기 일본과 한성부와 밀접한 영향관계에 놓여 있었다. 거류지에는 메이지유 신 이후의 근대화 양상과 함께 에도식 생활문화가 혼재하는 과도기적 일본의 모습들 이 그대로 나타났으며, 거류지의 도시변화는 한성부의 도시변화와 상호영향을 주고 받는 것이었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서양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일본인 거류지의 혼종 적인 도시환경은 국가 주도의 위로부터의 변화가 아니라 민간 주도의 아래로부터의 변화라는 특징을 가진다. 즉, 이 곳에서의 도시환경의 변화는 정치적인 식민지화가 시 작되기 이전에 일본인 거류민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생활을 위한 도시환경을 구축해 낸 것이었다. 그러나 통감부 설치 이후 이 지역의 도시변화의 성격이 식민지화와 결 합되게 되면서, 일본인 거류지의 도시변화는 1910년 이후 한성부의 근대식민도시화와 직접적으로 연관을 맺게 되었다. 이처럼 거류지의 도시 변화가 1910년 이후의 변화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 서 이 지역의 변화는 전통도시 한성부에서 식민도시 경성부로의 전이과정에서의 연결 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의미를 가진다. 비록 이 연구는 1910년 이전까지의 거류지 도시 변화 자체에만 치중하였지만, 앞으로는 1910년 이후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경진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사회 전반적인 스트레스와 코로나 블루로 인한 일상의 변화로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느끼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물질적 풍요로움을 누리더라도 다양한 질병과 정신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어 안정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심리적 행복에 관한 관심과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건강·휴식 등의 ‘힐링 코드와 치유’에 대해 도서뿐만 아니라 제품과 광고, TV 프로그램, 여행 패키지, 강연 등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한 곳에서 영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치유에 대한 욕구는 힐링 명소, 힐링 공간 등 다양한 공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현대인들의 ‘일상생활을 위한 여가 중심의 힐링프로그램 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기 때문에 일상에서의 여가를 즐기기 위한 대표적인 공간인 상업공간을 치유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며, 따라서 치유환경의 연구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초기 국내 치유 환경디자인의 연구 경향은 병원과 환자 관련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2009년 이후 사람 중심의 연구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공원·숲과 같은 휴식공간과 문화예술·주거단지·레저와 관련된 연구가 등장했지만, 상업공간에 관한 연구는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유환경 특성 중에서 주로 물리적 환경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경향으로 인해 상업공간에 치유환경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업공간의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 고찰과 상업공간의 치유환경 디자인 적용’에 의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를 바탕으로 상업공간을 상업적 수단뿐만 아니라 치유의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의 특성을 고찰하여 이를 적용한 디자인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갖는다. 연구의 흐름은 ‘문제의식-연구의 개념-디자인 특성 추출-사례분석-디자인 계획-결론’의 총 6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문제 제기와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의 차별화 방안을 모색한다. 2장의 개념구성 단계에서는 치유와 치유환경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개념을 파악하고 상업공간의 역할 변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3장의 디자인 특성 제시 단계에서는 치유환경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을 범주화하여 경험적 욕구 차원의 안정적 경험환경과 유희적 경험환경을 도출하였으며,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는 단계에서 전문가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견해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하였다. 4장의 사례분석 단계에서는 도출된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국내 상업공간을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의 공간적 범위는 몰링형(Malling) 상업공간 중 대형 상업공간에 해당하는 백화점, 아울렛, 복합쇼핑몰로 한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코로나19로 인해 힐링과 휴식에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한 2020년을 기준으로 국내 사례 5곳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5장의 디자인 계획 단계에서는 디자인 계획을 통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의 대입으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6장 결론 단계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과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이란, ‘상업공간에서 치유를 경험할 수 있도록 감정과 환경의 상호작용성을 고려한 디자인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함으로써 생기는 자극으로 치유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둘째,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은 총 2가지 경험적 욕구 차원인 ‘안정적 경험환경’과 ‘유희적 경험환경’를 도출하였으며, 세부항목을 중심으로 특성을 살펴보았다. 세부항목별로 안정적 경험환경의 ‘편리한 이용공간’, ‘편안한 휴식공간’, ‘쾌적한 공유공간’과 유희적 경험환경의 ‘예술적 감각공간’, ‘차별적 체험공간’, ‘사회문화적 공감공간’으로 구분하여 제시한 후, 세부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편리한 이용공간’은 연결성과 접근성, ‘편안한 휴식공간’은 안전성과 평안감, ‘쾌적한 공유공간’은 개방성과 자연 친화성, ‘예술적 감각공간’은 심미성, ‘차별적 체험공간’은 다양성과 비일상성, ‘사회문화적 공감공간’은 자율적 상호작용성과 능동적 상호작용성으로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이러한 이론적 고찰의 결론을 중심으로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의 특성을 적용한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 연출을 서초구에 위치한 ‘파미에스테이션(FAMILLE STATION)’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대상지를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디자인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평안감, 자연 친화성, 심미성, 다양성, 비일상성을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으며, 각 공간의 특성에 맞는 치유 디자인 특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상업공간에서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을 경험적 욕구 측면으로 접근하여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 특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상업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 관점에서 공간의 어떤 점에 치유를 느끼는지를 중심으로 접근하였으므로, 이용자의 욕구를 기반으로 상업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 계획을 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상업공간을 대상으로 한 치유환경 디자인뿐만이 아닌 각 공간의 특색을 살린 치유환경 디자인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中心商業地域의 小賣環境에 관한 硏究

        정기주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32319

        中心商業地域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의 小賣環境에 관한 硏究는 美國의 경우는 人口의 脫都市化趨勢로 인한 購買力 減退問題로 인하여, 韓國을 비롯한 그 밖의 나라에서는 높은 購買力의 效果的인 吸引問題로 인하여 학술적 및 실무적인 面에서 그 重要性이 强調되고 있다. 本 硏究의 目的은 CBD의 全般的인 小賣環境과 店鋪類型別 小賣環境의 考察을 통하여 店鋪經營者에게 유용한 마켓팅情報의 提供 및 未來의 變化方向을 豫測하는데 있다. 그리고, 中心商業地域의 空間機能上의 特質로 ① 양호한 접근도 ② 도시내의 최고지가지역 ③ 광범위한 상권임을 밝혔다. CBD의 小賣環境은 크게 經濟的 環境과 消費者環境으로 나누어 考察하였는 바,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經濟的 環境 미국의 CBD는 人口의 脫都市化傾向과 諸都市問題의 발생으로 그 경제적 환경이 점차 惡化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그 밖의 나라들의 經濟的環境은 아직 그러한 限界點에 이르지 않아, 점점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 CBD의 經濟的 環境의 主要特徵은 ① CBD 內 점포들이 점차 企業的 經營을 指向하며 ② 同類型·異種類型 店鋪間의 競爭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2. 消費者環境 기타지역과 비교해 볼 때 CBD의 소비자는 平均年齡이 더 젊고 敎育 및 所得水準도 더 높았다. 實證分析의 결과도 동일했다. 다음으로 각 점포유형의 소매환경을 考察해보면,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다. (1) 百貨店 外部의 巨視的인 經濟狀況은 代表的인 CBD 立地型店鋪인 百貨店의 經營에 不利하게 作用할 것으로 보이며, 專門店과의 競爭도 더욱 加速化 될 것으로 推論된다. 그리고, 美國의 百貨店 消費者는 平均年齡이 점점 고령화 되어가는 경향을 보이나, 우리나라 및 本 實證調査의 결과는 정반대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 末來의 百貨店 成長戰略에 있어서 가장 크게 고려하여야 할 要素는 「自動車」의 영향이라고 본다. (2) 專門店 전문점, 특히 고급전문점은 CBD의 代表的인 店鋪로서 組織力, 資本力 등의 諸面에 있어서 백화점보다 유리한 입장에 있다. 전문점의 고객은 매우 세련되어 있으며, 백화점의 고객보다 구매시 自信感이 높으며, 製品에 대한 지각된 危險은 낮고, 판매원의 專門的 知識을 상당히 요구하며, 입지적 편의는 별로 중요시 않는 등 그 특성에 있어 差異를 보였다. (3) 슈퍼 마켓 CBD의 슈퍼마켓은 백화점, 전문점에 비해 상권이 좁으며, 주요 경쟁대상은 在來市場과 傳統的 形態의 슈퍼마켓이며, 生存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經營革新이 必要하다. 이상의 硏究가 CBD의 店鋪 및 企業마켓팅관리자에게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CBD의 높은 購買力을 吸引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세련된 消費者의 欲求充足에 努力해야 하며, 둘째, 巨視的인 經濟的 環境이 店鋪經營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豫測하여야 하며, 세째, 각 유형의 점포는 그 주된 경쟁환경을 이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本 硏究의 限界點은 中心商業地域에 관한 小賣環境의 論述에 있어서 特定地域의 特殊한 小賣環境은 除外되었으며, 표본추출과정의 不可避한 誤差로 그 資料分析時 약간의 偏差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Recently studies on the environments of retailing in CBD are highly emphasized in marketing science because of purchasing power resulted from the so-called "Flight to the Suburbs" trend in America and the effective gravitation problems of sufficient purchasing power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useful marketing informations about retailing environments and to predict future change courses by investigating the functions of CBD comprehensively and by analyzing some store-types in detail. First of all in this study 1) the excellent accessibillity, 2) the highest landprice area, and 3) the most wide trade area were ident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functions in CBD. And the findings on the environments of the retailing in CBD were as follows: 1. Economic Environment Though the economic environment of CBD in America is now deteriorating because of various urban problems and the suburban flight of the population, other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not reached the situation but rather it's ameliorating. And the finaings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environment of CBD were as follows: 1) Stores in CBD were increasingly oriented the corporative management. 2) Competition in intertype and intertype was accelerating. 2. Consumer Environment Compared with the other areas, many literatures this subject suggested that consumers in CBD are younger in age, and higher in education and income level. And the empirical study showed the same results. (except the American situation) Nax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tailing environments of each type of stres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Department Store It seemed that macro-economic situations would not favorably affect the environments of the department store retailing and that competition with specialty store would be increasingly accelerating. And, according to the U.S. Census, department store consumers in America were aging year after year. But records of Korea and the empirical study in Kwang-ju City showed adverse results. And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planning future department store management strategy would be the effects of automobile on department store. 2. Specialty Store Specialty store is the typical type of store in CBD. It is superior to department store in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aspects. Generally speaking, specialty store customers were highly refined in every aspect, and compared with department store customers, they were higher in self-confidence and lower in perceived product risk, more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of salesperson, and ignored the locational convenience than that of department store relatively. 3. Supermarket Compared with department store and specialty store, the trade area of supermarket was more limited. And it would be necessary that supermarket in CBD be innovated to cope with the challenges from traditional supermarket. Som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nagers of stores in CBD should endeavor to meet the needs of highly refined consumers 2. The managers of CBD, stores must predict the effects on the environments of their store management which are resulted from macro-economic environments. 3. Every type of stores in CBD must recognize his main competitive environments. Finall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s follows: 1. In this study universial trends were studied without considering specific situations. 2. Some considerable deviations in interpretation could be occurred because of the errors which were resulted from the sampling process.

      • 상업가로활성화를 위한 보행환경요소 분석

        유승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9

        In the past, South Korea has taken lead on urban development that put rapid economic growth prior to everything, and developed automobile-oriented urban spaces with expansion of roads and parking spaces. Therefore, it led to urban spaces that lack street planning and inconvenient environment for pedestrian. However, in recent times, number of efforts to resolve existing urban issues and enhanc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urban regeneration increased, and efforts to form pleasant pedestrian environment and vitalize streets are tried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se efforts mainly take places in commercial streets, and it is to promote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and form commercial streets that consist many pedestrian activities. As a result, recent commercial streets transformed into spaces where citizens interact naturally and where pedestrian experience cultural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treets. Therefore, in order to form pedestrian oriented commercial street and deduct foundational research results for commercial street vitalization, this study judged that examining pedestrian environments of vitalized and unvitalized commercial streets is necessary.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terminants of pedestrian environment for commercial street vitalization, and it has following detailed objectives. First, it is to find different determinants of pedestrian environment when vitalized and unvitalized commercial streets are compared. Second, it is to find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commercial street vitalization, in terms of street form, accessibility, and types of lower level businesses.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t studied theoretical reviews on floating population and land values, which represent pedestrian environment and commercial street vitalization. Second, in order to select vitalized and unvitalized commercial streets, this study chose 10 potential sites located in station impact area that has many floating population. This study focused on station impact area, because commercial streets develop around station impact area, and this study also included not only the commercial areas, but also the neighborhood facilities due to land use issues. Then, this study selected Myeong-mul street and Bo-mun street as vitalized and unvitalized streets, evaluating on increase and decrease rate of floating population and land value. Lastly, it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n collected data. As a research result, first of all, different determinants of pedestrian environment between vitalized and unvitalized streets are deducted as entrance, lot area, building set-back, street width, and perchable space. Second, determinants that affect commercial street vitalization in terms of accessibility are deducted as street parking spaces, local integration, and connection. Third, the determinants in terms of lower-level businesses are deducted as clothing and miscellaneous goods, beauty shops, and vendors. Finally, variables that give positive impacts on street commercial vitalization are drawn as perchable space, lot area, and local integration, whereas variables that give negative impacts are drawn as beauty shops. 과거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우선으로 하는 물적·양적 도시개발을 주도하면서 도로 및 주차장 확충과 같은 자동차중심의 도시를 만들어왔다. 때문에 보행자를 위한 가로계획은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보행자가 불편한 도시공간을 만들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도시재생을 통한 기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면서 보행자환경을 증진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쾌적한 보행환경 조성 및 가로활성화를 위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상업가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해 상업가로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면서 이를 위해 상업가로에 보행이 많아지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업가로가 도시민들의 접촉이 자연스럽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로 변화하면서 보행자 문화의 소비 및 체험이 가능한 활동 등의 문화적인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친화적인 상업가로를 조성하기 위해 활성화 된 상업가로와 비활성화 된 상업가로의 보행환경을 살펴보는 것은 상업가로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가로활성화를 위한 보행환경요소는 무엇인지를 연구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세부적인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활성화 된 상업가로와 비활성화 된 상업가로의 보행환경을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나는 보행환경요소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상업가로의 보행환경요소 중에서 가로구성, 접근성 및 저층부업종 차원에서 어떠한 요소가 상업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 및 선행연구를 통해 상업가로를 구성하고 있는 보행환경과 상업가로활성화를 대표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유동인구 및 지가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활성화 된 상업가로와 비활성화 된 상업가로를 선정하기 위해 후보 대상지를 선정하였는데, 역세권 중심으로 상업이 발달한다는 점에서 서울시 내 도시철도역 중 용도지역상 상업지역뿐만 아닌 주거지역의 근린생활시설까지 포함하여 상업적인 성격이 강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역세권을 중심으로 10개의 상업가로를 선정하였다. 이후 유동인구 및 지가 증·감량이라는 준거를 활성화 된 상업가로와 비활성화 된 상업가로로 각각 명물길과 보문로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된 Data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두 개의 가로에서 나타나는 보행환경 차이점으로 가로구성에서는 출입구, 필지면적, 연면적, 건축물 후퇴, 보행로 폭, 앉을 수 있는 공간에서 차이가 났으며, 접근성에서는 가로변 주차공간, 국부통합도, 연결도, 통제도에서 차이가 났다. 그리고 저층부업종에서는 의류 및 잡화, 미용 및 화장, 길거리상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상업가로활성화에 미치는 변수에 대한 분석결과로는 앉을 수 있는 공간, 필지면적 및 국부통합도가 상업가로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업가로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미용 및 화장업종으로 나타났다.

      • 大規模 商業施設物의 環境特性과 길찾기 性能에 관한 硏究

        안은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32303

        건물의 대형화와 복합화의 과정에서 파생된 건축환경문제인 길찾기(wayfinding)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지도(cognitive map)와 관련한 인공건조환경의 역할에 대한 연구나 인지구조 자체를 밝히려는 시도가 시작된 지는 상당한 시간이 지났다. 1980년대 후반 국내에 소개된 이후 10여 년이 넘게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의한 공간구조분석과 같은 특정한 경향에 편중된 경향이 있으며, 주로 상업공간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대규모 지하상업공간 사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는 부족한 실정이다. 2003년 2월 18일 발생한 대구지하철 참사 이후의 여러 설문조사결과에서 그와 유사한 참사가 되풀이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대표적인 장소로 코엑스몰이 조사되었다. 실제로 한 일간지에서 코엑스몰을 대상으로 시행한 지하시설물 안전점검에서 많은 이용자들은 총 34개의 비상출구가 있음에도 쇼핑몰 구조가 미로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어 비상구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하에 위치하며 규모가 매우 큰 코엑스몰과 같은시설물의 계획에서 간과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한편 환경심리학에서는 시설환경과 인간행동간의 상호관계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상업건물에서는 매장의 물리적 환경이 인간의 행동, 더 나아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건축계획 분야에서는 상업건물의 물리적 환경이 소비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경영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까지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기존연구들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이슈들 중 환경특성(환경요소, 공간구조), 길찾기 그리고 구매의사간의 인과관계 이해를 주목적으로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1) 개념모델 제시와 (2) 개념모델 검증을 세부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부가적인 목적으로 공간구문론에 의한 건축내부공간의 연구가 공간구성의 특질에 무관하게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는지에 대한 탐색적 검증을 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대규모 상업시설물의 길찾기에 대한 문제를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통하여 개념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경특성과 길찾기 난이도간에는 「환경특성⇒인지도⇒길찾기 난이도⇒만족도⇒구매의사」선형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도움요청」, 「사인체계」는 인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의존도가 낮을수록 전반적인 공간구조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높아져 길찾기가 용이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별적 요소와 시각적 개방 - 내부바닥이나 기둥의 특징 등(색상, 형태, 마감재료), 시각적 개방감, 공간의 밝기」는 '지각된 건축적 차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지각된 공간간의 차별성의 인식정도는 인지도를 강화시켜 결국은 길찾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랜드마크 및 좌표체계」, 「경험이나 추측」은 길찾기 난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에 대한 의존도가 낮을수록 길찾기가 용이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상업시설의 경우 건축적인 요소보다는 점포명을 기억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용빈도가 높은 특정 점포를 의도적으로 특정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길찾기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4개의 사례대상에 대한 공간구문론에 의해 분석된 길찾기 난이도인 「인식도(intelligibility)」결과와 설문에 의한 「지각된 길찾기 난이도」의 분석결과는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공간구조의 특징에 의한 길찾기 난이도 판단은 어느 정도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 도시 상업가로의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경관 퉁합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 부산시 광복로 가로경관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박상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03

        오늘날 급속한 서구화 과정에서 자본주의의 성숙이 가져온 도시의 상업가로 의 환경은 획일적이고 일시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상업성에 치중한 나머지 이질적, 경쟁적 경관을 그 특색으로 하기에 가로경관개선사업을 통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혼란스러운 상업가로경관은 조화로움이 부족한 가로경관 디자인으로 인해 지역 상업가로로써의 특색이 부족한 실정이다.상업가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개별적인 특징이 강한 상가들을 전체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가로경관의 통일성을 확립하기 위한 통합디자인이 필요하다. 조화로운 형태의 디자인과 색채와 재료를 사용하여 보행환경을 개선하면 증가하는 보행인들로 인한 상권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걷고싶은 거리만들기’ 사업을 일환으로 한 시범가로 조성사업 중에서 서울시 시범가로와 자치구 1차 시범가로 중에서 상업ㆍ업무형 가로 4개 가로를 대상으로 통합디자인 요소를 관점으로 사례조사를 통한 문제점을 파악한 후에 통합디자인계획의 기준안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와 바탕을 마련한다.상업가로의 가로경관 개선사업 시 통합디자인계획 기준안을 제시하고, 가로경관에 통합디자인을 적용한 ‘부산시 광복로 가로경관개선 사업’의 통합디자인계획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가로경관의 통합을 위한 범위는 크게 가로경관의 배경의 통합과 조형물의 통합이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배경이란, 상업가로를 이루는 상가건물로 인해 형성되는 가로이며, 이 가로를 이용하는 보행자와 차량통행자들을 위한 보도와 차도이다. 조형물이란, 입체적형태의 가로구성요소로써 가로시설물과 환경조형물을 말한다.배경의 통합에는 보ㆍ차도의 색채계획, 보ㆍ차도의 재료계획, 보ㆍ차도의 평면형태계획을 제안했으며 조형물의 통합에는 가로시설물과 환경조형물의 색채계획, 가로시설물과 환경조형물의 재료계획, 가로시설물과 환경조형물의 입체형태계획을 제안하였다. 부산시 광복로 가로경관개선사업은 2008년 5월에 완공이 되어, 현재 보행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 광복로의 가로통합디자인 계획이 보행자들에게 주는 가로경관디자인 만족도와 가로경관 개선에 따른 상업가로의 환경변화, 그리고 가로경관 통합디자인계획에 관한 디자인 인식정도를 설문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본 연구의 결론으로써 제안하는 도심 상업의 보행환경개선을 위한 가로경관 통합디자인계획에 대한 요소는 다음과 같다.첫째, 보ㆍ차도의 색채는 도시의 기본배경색인 회색계통을 위주로 밝고 따뜻한 색이 바탕색이 되어야 하며 강조가 되어야 하는 부분은 회색계통과 잘 어울리는 파스텔톤의 색채배열이 적합하다.둘째, 보ㆍ차도의 포장재료는 전체적으로 일관된 재료를 사용하여 가로 경관의 통일성을 부여해야 하고 지속적인 부분적 보수가 용이하기 위해서는 생산량이 한정되지 않는 재료를 선정해야 한다.셋째, 보ㆍ차도의 평면형태는 곡선도로로 하여 차량의 속도완화로 인한 보행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넷째, 가로시설물과 환경조형물의 색채는 가로경관의 배경에서 뚜렷이 드러나는 포인트 컬러로 계획해야 한다.다섯째, 가로시설물과 환경조형물의 재료는 기능이 비슷한 시설물로 묶어서 재료를 통합해야 한다.여섯째, 가로시설물과 환경조형물의 입체형태는 가로시설물들간의 연속성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