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에 따른 삶만족도

        김종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과 삶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 삶만족도 질문지를 실시하여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에 따른 삶만족도를 알아본 후 우울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차로 사회적 지지가 삶 만족도를 10% 예언하였고, 이를 전제로 사회 활동이 18% 추가로 더 예언하여 전체적으로 28%의 예언력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일차적 지지(가족, 형제), 이차적 지지(이웃, 친구 지지)는 삶만족도에 대한 예언력이 유의한 반면 삼차적 지지(전문가의 지지)는 삶만족에 대한 예언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 활동의 하위요인인 지역활동, 경제활동, 여가활동, 정치활동 모두 삶만족도를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삶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지만, 삶만족도와 사회활동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핵심용어 : 삶만족도,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 우울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also examin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group of 282 senior citizens who visited the elderly community center and general social community center in Daegu.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ocial support has 10% predictability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social activity additionally has 18% predictability. Secondly, among the sub-dimensions of social support, first factors(family support) and secondary factors(neighbor’s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ability for life satisfaction but the third factors(expert’s support) did not. Thirdly, all of the sub-dimensions of social activity showed the predictability. Fourthly,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with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correlation of social act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lso was discussed. Key terms :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ocial activity, depression

      • 재가노인의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강미란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1

        현대에 이르러 의학의 발달 및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평균수명의 연장과 노년기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성공적인 노화의 지표로써는 삶의 만족도가 중요하며, 최근에 와서 삶의 만족도의 주요관련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가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만족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M시와 C시 소재의 1개 사회복지관과 2개소 경로당 및 1개 지역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노인들 중 65세 이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를 수락한 200명 이었으나, 연구에 부적절한 자료를 제외한 최종 160명을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의 도구로, 건강증진행위는 최영희, 김순이(1997)가 일반가정 노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도구로 측정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Neugarten 등(1961)에 의해 처음 개발된 노인의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 Index Z)를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이창은(2000)이 번역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7월 1일에서 동년 7월 31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해당기관 기관장에게 전화와 면접을 통해 허락을 받은 후, 연구대상자에게 동의를 받은 후, 훈련된 연구보조원과 연구자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읽어준 후 답을 작성하게 한 후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 평점과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t-test, ANOVA와 Scheffe's test 그리고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정도는 평균 48.8±9.98(도구범위 : 20-60), 평균평점 2.44±0.05(척도범위 : 1-3)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정도가 가장 높았던 영역은 평가적 지지 영역(2.50±0.51)이었고, 가장 낮았던 영역은 도구적 지지 영역(2.37±0.58)이었다. 2.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평균 108.66±1.20(도구범위 : 43-132), 평균평점 3.29±0.49(척도범위 : 1-4)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정도가 가장 높았던 영역은 신체 영역(3.34±0.50)이었고, 가장 낮았던 영역은 영적 영역(3.15±0.71)이었다. 3.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평균 29.10±5.54(도구범위 : 16-42), 평균평점 2.08±0.40(척도범위 : 1-3)으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영역은 현실만족감 영역(2.12±0.46)이었고, 가장 낮았던 영역은 자아성취감 영역(2.05±0.59)이었다. 4.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정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 정도는 성별(t=-4.850, p= .000), 학력(F=2.296, p= .048), 결혼상태(F=3.495, p= .033), 용돈(F=2.714, p= .032), 주 생활비(F=6.268 ,p= .000), 질병(t=-2.211, p= .02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성별에서는 여자노인이 남자노인 보다, 질병유무에서는 있다가 없다 보다, 결혼 상태에 있어서 사별이 배우자 동거보다, 주 생활비에 있어서는 가족의 지원이 정부보조금이나 기타보다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분석한 결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성별(t=-3.266, p= .001), 결혼상태(F=4.304, p= .015), 주 생활비(F=3.351, p= .021), 건강상태(F=3.530, p= .009), 동거자(F=3.024, p= .03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성별에서는 여자노인이 남자노인 보다, 결혼 상태에 있어서 사별이 배우자와 동거보다, 지각된 건강상태에 있어서는 좋은 편이다가 약간 나쁘다 보다, 동거자에 있어서는 자녀와 동거가 노인 부부 보다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학력(F=2.359, p= .043), 건강상태(F=2.664, p= .035), 여가활동(F=3.199, p= .01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력에 있어서는 초졸이 글자 모름 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정도와 삶의 만족도는 r= .27(p= .001)로 약한 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삶의 만족도는 r= .33(p= .000)로 약한 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정도와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관계는 r= .57(p= .000)로 중간정도의 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관계있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 강화와 건강증진행위를 잘 할 수 있도록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the modern age, as standard of life by med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is improved the concern about th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 span and the life in elderly people is increasing. As an index of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is important, and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main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e out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0persons who were older than 65 attending one social welfare center, two halls for the aged or one local church in M-city and C-city, Gyeongsangnam-do.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 Ji-Won(1985),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developed by Choi & Kim(1997), and 'life satisfaction scale', the korean-version of life satisfaction Index Z which was developed by Neugarten and others(1961) and translated in Korean by Lee(2000). Data was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1 to July 31, 200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WIN 12.0 program, frequently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minimum, t-test, ANOVA &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showed 48.8±9.98(tool range : 20-60) and mean score 2.44±0.05(tool range : 1-3). Of the domains of social support, the evaluative support domain had the highest mean point(2.50±0.51) and the domain of instrumental support had lowest mean point(2.37±0.58). 2. The mea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subjects showed 108.66±1.20(tool range : 43-132) and mean point 3.29±0.49(tool range : 1-4). Of the domain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physical domain had the highest mean point(3.34±0.50), spiritual domain had lowest mean score(3.15±0.71). 3. The mean of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showed 29.10±5.54(tool range : 16-42) and mean point 2.08±0.40(tool range : 1-3). Of the domains of life satisfaction, the reality-satisfaction domain had highest mean point(2.12±0.46), and self-achievement domain had the lowest mean point(2.05±0.59). 4. The mean poin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t=-4.850, p= .000), educational background(F=2.296, p= .048), marital status(F=3.495, p= .033), allowance(F=2.714, p= .032), the main cost of living(F=6.268 ,p= .000), and disease(t=-2.211, p= .028). 5. The mean poin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t=-3.266, p= .001), marital status(F=4.304, p= .015), the main cost of living(F=3.351, p= .021), health status(F=3.530, p= .009), person(s) living together(F=3.024, p= .031). 6. The mean point of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F=2.359, p= .043), health status(F=2.664, p= .035), activities for leisure (F=3.199, p= .015). 7.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slightly positive correlation(r= .27, p= .001), and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slightly positive correlation(r= .33, p= .000), and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showed a middle-leveled positive correlation(r= .57(p= .000). In conclusion, the higher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people,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they had, and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higher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y showed. Therefore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ocial support. An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lso as it was found several variables was related to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it is needed to consider these variables in developing the program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e life satisfaction.

      • 노인복지서비스 이용현황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김영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의사결정트리 모형을 적용하여 순차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복지서비스 이용을 밝히는데 있다.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노인복지서비스 유형으로 한국복지패널에서 측정한 기초연금 지원, 의료비 지원, 노인급식, 물품지원, 가정봉사 서비스, 식사배달서비스, 방문가정간호, 간병, 목욕서비스, 주야간보호서비스, 노인일자리사업, 사회교육서비스 등 12가지 유형의 노인복지서비스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대학교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동으로 조사하는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의 2017년 12차년도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서비스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기초연금을 지원받은 경우는 전체 노인의 72.9%로 나왔고, 의료비 지원을 받는 경험이 있는 85.5%, 노인급식은 19.0%, 물품지원의 경우 18.4%, 노인 일자리사업 서비스는 9.9%, 가정봉사서비스는 7.1%, 식사배달서비스는 2.3%로 나왔다. 이에 반해 방문가정간호서비스는 0.5%, 간병서비스는 0.1%, 목욕서비스는 0.8%, 주야간 보호서비스는 0.4%, 사회교육서비스는 0.1%로 이용 비율이 매우 낮았다. 둘째,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정리한 결과 가족관계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직업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는 ‘보통이다’ 보다는 높게 나왔다. 이에 반해 건강만족도는 평균 2.73, 가족수입 만족도는 평균 2.90으로 ‘보통이다’ 보다 낮은 평점을 받았다. 셋째, 노인복지서비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인복지서비스이용 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온 반면 삶의 만족도와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노인의 복지서비스를 투입변수로 한 의사결정 트리 모형을 적용한 결과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잘 분별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는 기초연금수령 여부로 나왔다. 또 기초연금을 수령하지 않는 상위 30% 노인 계층에서는 의료비 지원 여부가, 기초연금을 수령하는 하위 70% 노인층에서는 그 다음 삶의 만족도를 잘 판별하는 서비스는 물품지원서비스로 나왔다. 다음으로 급식서비스 여부, 가정봉사 서비스 여부, 의료비지원, 일자리상담 서비스 등이 삶의 만족도를 잘 판별하는 복지서비스로 나왔다. 이에 반해 식사배달서비스, 방문가정간호서비스, 간병서비스, 목욕서비스, 주야간 보호서비스, 사회교육서비스 등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판별하기는 좋지 않은 서비스 변인으로 나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use of welfare servic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y applying a decision tree model. The types of welfare servic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re set up as 10 types of welfare services, including basic pension support, medical expenses support, senior citizens' meals supply, household support service, home service, door-to-door care, nursing, bath service, day and night cate, senior job support, and social education service.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survey conducted jointly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sed for the 12th year of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using welfare services for senior citizens, 72.9% of senior citizens received basic pension support, 19.5% of senior citizens, 18.4% of senior citizens received medical support, 9.9% of job support for senior citizens, 7.1% of home service services, and 2.3% of meal delivery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visiting care services, nursing services, bathing services day and night care services 0.4%, and social education services are very low. Second, the result of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s lives showed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social networking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normal'. On the other hand, health satisfaction level was 2.73 on average and family income level was 2.90 on average, which was lower than 'normal'. Third,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elfare service use of the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indicated that most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welfare service use for the elderly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while mos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use of th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were negatively correlated. Fourth, as a result of applying a decision tree model showed that the status of receiving the basic pension can best be identified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of the elderly. In addition, while medical expense support was the next welfare service that determined life satisfaction of top 30 percent of senior citizens, household service was the next important welfare service determining life satisfaction of the bottom 70 percent of senior citizens who receive basic pensions. On the other hand, meal delivery services, door-to-door home care services, nursing services, bath services, day and night protection services, and social education services are not good service factors to determin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낙관성과 억압적 대처가 소아청소년암 환자 보호자의 삶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성기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2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암 환자 보호자의 삶 만족도와 우울에 낙관성과 억압적 대처가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낙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 있어서 대처전략의 효과가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억압적 대처가 낙관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암센터의 소아청소년클리닉을 내원한 외래환자와 입원환자의 보호자 56명, 비교집단으로 서울 소재 암 환자와 가족 관련 자조모임과 시민단체의 프로그램에 참가한 성인암 보호자 14명, 서울 소재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자녀를 둔 보호자 5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질적 낙관성을 측정하는 낙관성 척도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LOT-R),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mpacti of Event Scale-Revised: IES-R), 간병부담척도(Burden Interviews: BI)와 억압적 대처 집단 선별을 위하여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MCSDS), 명백 불안 척도 (Taylor Manifest Anxiety Scale: TMAS)를 사용하였고, 심리적 적응의 지표로 우울 증상 측정에 Beck 우울증 척도-II (Beck Depression Index-II: BDI-II ), 삶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삶 만족도 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암환자 보호자의 우울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억압적 대처, 사건충격, 간병부담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소아암 보호자에 있어서는 낙관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또한, 소아암 보호자의 우울에 낙관성과 억압적 대처가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소아청소년암 보호자, 낙관성, 억압적 대처, 삶 만족도

      •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경희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7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make plans for the welfare interventions that promote social adaptation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ultimately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lif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social supportive transac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dependent on their places of living - in facilities nursing homes, homeless facilites and in community with their family - and their satisfaction, and compares the sub-domains of social supportive transaction, that is, daily emotional social support; problem-oriented emotional social support; social companionship; daily instrumental social support, and; problem-oriented instrumental social support. Second, it considers the quality of life in the mentally disabled dependent on their places of living - in facilities nursing homes, homeless facilites and in community with their family - and their satisfaction, and also examines the degrees of satisfaction in each sub-domains: family or relative relations; ego-sense and general life; friends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living environm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economic ability to provide themselves foods and clothes; leisure activities, and; job and daily routines. Third, it analyze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ly disabled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determines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sub-domains of social support on the sub-concepts of life satisfaction. Fourth, it prepares the basis of welfare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ir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are 234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living in facilities nursing homes, homeless facilites and in community with their famil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Data was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m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support were religion and the diagnosed dis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ly disabled between those living in the comm in facilities nursing homes or homeless facilites. Second,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was the possession of relig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ces of living and the quality of life were considered in 8 sub-domains,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sub-domain of living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ir quality of life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when they had more social supportive transactions and more social supportive satisfaction. Fourth, the causality of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ir quality of life was determined. As a result, their quality of life was influenced most by the daily instrumental social support satisfaction, and then the problem-oriented instrumental social support satisfaction, and problem -oriented emotional social support transaction followed it. As above, it was revealed that the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ly disabled had a big influence on the quality of their life. Among the various types of social support, the interventions concerning the daily instrumental social support, problem-oriented instrumental social support, and problem-oriented emotional social support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mentally disabled persons.

      •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청원군을 중심으로

        성정애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2

        As the brilliant development in medicine and science, the populations of aged people have increased with the huge amount and incredibly fast speed.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aged people, it is reasonable that the society of social welfare care for the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and health issues of aged people. Not only care for the health issues the society should make sure that aged people is taken care as they are satisfied their lif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lan to raise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of aged people and especially for the people in rural communities. Most of aged people in rural communities contain farm and work really hard to maintain their job. Also aged people who lives alone are keep increasing as time passes. Their financial support, however, is very weak.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 that raises the satisfaction of life of the aged people. This study includes the survey from the aged people (above 60 years old) in Cheong-Won, Chung-Cheon-Buk-Do. There were two hundred fifty three aged people helped for making the surveys. The survey contains the questions of family issues, state of health, financial state, sports activity and any relationship. The analysis of the survey was done by SPSS 11.0 for Windows program. The survey was done from 20th March 2006 to 23rd April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a bit of higher percentage for the male that they are having higher quality of life than female aged people. The survey shows that satisfaction of life is deeply related to the family circumstances. More often the aged people meet their children, higher the satisfaction can be found. Also people who are having good relationship with spouse or mates show great satisfaction of life and of course bad relationship with spouse or mates shows lower satisfaction of life. In fac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of correlation is found with the number of disease that these aged people have.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state and satisfaction of life shows also deeply related, as people who have main income source shows higher satisfaction of life. Also for the aged people who enjoys their social life seems that they are more satisfy with their life than aged people who are not enjoying their social life. The social life means in survey is talking to neighbors, friends or meet their children and grandchildren. More independence is the person, friendlier in enjoying the leisure sports also helps aged people to have better satisfaction of life.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helps the satisfaction of life in old age is having a family. Also the high financial condition, having a religion and satisfying job helps aged people to have better satisfaction of life. Last but least another factor that helps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the aged people is that the position of themselves in the family. The aged people are really sensitive, whether the family members still respect them or not. They want to be decision maker in the family as the head of the fami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there are some discussions as following.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the aged people living alone is very low. The aged people should look for second marriage and make opposite sex friends as it will help for them to feel more satisfy about their life. Since the worth of having a relationship is very important, government should help them for starting a good relationship by making them meet together with parties or some special events. Also leisure activity and outdoor sports must be provided for the aged people. The aged people in rural community need to be taken care for their health issues. In a rural community, preservation of health system is very weak and there are very less. In fact, aged people in rural community most of them are working very hard to managing the farmland. An aged people really work endless and with the full might. What if these aged people get sick? What can the small rural community can do? It is necessary that government and social welfare community making sure that these aged people get proper check up at least once in a year. Also once in a while their house can be checked whether electricity is working well or heater system is ready or water supply is perfect.

      • 세대별 일자리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중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19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는 가운데 직업인으로서 현실적인 삶을 사는 개인에게 있어 일자리만족 없이 행복한 삶을 영위한다는 것은 힘든 일일 것이다. 그리고 서로 다른 사회, 문화, 경제적 배경을 살아온 세대 간에는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다르고 일과 삶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의 양상도 서로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세대의 관점에서 일자리만족과 삶의 만족도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일자리만족에 대하여 보다 명확한 구분을 시도하고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심리변인으로 통제소재를 선정하여 삶의 만족도의 예측요인으로서 일자리만족과 통제소재의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세대 간에 서로 동질적인지 이질적인지 알아봄으로서 세대별 특징을 고려한 일자리와 삶의 만족 증진방안에 대해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된 일자리를 가지고 있는 정규직 근로자 3017명(베이비붐 412명, X세대 1156명, 에코세대 1448명)을 대상으로 SPSSWIN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측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별로 일자리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일자리만족의 하위변인 중 직무만족과 주된 일자리 만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일가치 만족에 있어 X세대의 만족도가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세대별로 일자리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먼저 일가치 만족에 있어서는 베이비붐세대는 결혼상태, 임금, 직종, 기업규모가, X세대의 경우 학력, 결혼상태와 건강상태, 임금, 직종, 법정복지, 에코세대는 학력, 결혼상태, 종교, 임금, 법정복지, 기업규모, 직무적합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베이비붐세대는 결혼상태, 건강상태, 임금, 직종, 법정복지, 기업복지, 직무적합도, 기업규모가 영향을 미쳤으며, X세대는 학력, 결혼상태, 건강상태, 종교, 임금, 법정복지, 직무적합도가, 에코세대의 경우 성별, 결혼상태와 건강상태, 종교, 임금, 직종, 법정복지, 직무적합도, 기업규모 등이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주된 일자리 만족에 있어서는 베이비붐세대는 건강상태, 임금, 직종, 법정복지가 영향을 끼친 반면 X세대는 성별과 학력, 건강상태, 임금, 주당근로시간, 법정복지가 영향을 미쳤고 에코세대는 성별, 학력, 건강상태, 종교, 임금, 주당근로시간, 법정복지, 기업복지, 직무적합도 기업규모 등 투입변수 중 직종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대별로 일자리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세대별로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일자리만족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세대별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있어 X세대, 에코세대, 베이비붐세대 순으로 평균값이 높았으며 사후검증 결과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일자리만족의 하위변인 중 일가치 만족은 베이비붐, X, 에코세대 모두에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X세대와 에코세대에서는 추가적으로 주된 일자리 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통제소재 중 내적통제소재는 세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외적통제소재에 있어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내적통제소재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외적통제소재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통제소재는 일자리만족과 삶의 만족도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통제소재는 5년 후의 삶의 만족도를 추측하는데 있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는 내적통제소재와 외적통제소재가 모두 영향을 미쳤지만 에코세대의 경우 내적통제소재만이 영향을 끼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삶의 만족에 있어 일자리만족과 통제소재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대별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구성원들이 주관적으로 부여하는 일의 가치와 의미를 제고할 수 있도록 사회적, 정서적, 제도적 뒷받침이 중요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세대 간 연구와 더불어 인간의 총체적 삶의 관점에서 일자리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짐으로서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한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노인의 연령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의학적 노화와 심리사회적 및 경제적 요인의 조건부효과

        배주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319

        The Effect of Age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Conditional Effects of Psychosocial and Economic Factors with Biomedical Aging Bae, Joo Chan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Pai 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yung-Duk Cho) In old age, there are objective changes such as physical and cognitive decline, as well as subjective changes that attempt to integrate one's life by looking back through life. The biomedical aging was set as a measure of objective change and the psychosocial factor was set as a measure of subjective change to explore how these two factors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economic factor tha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as also observ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31 out of 6,488 respondents of the 8th survey of the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surveyed in 2020 and published in 2022.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construct a research model. All the research variables were operatively defined by combining the responses of the Korea Aging Research Panel Survey. The skewness and kurtosis of the research variables were calculated to confirm the normality of the variables, The t-tests, ANOVA & M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control variables. In additi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operatively defined latent variables were verified,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at multicollinearity was to be no problem. After verify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se research variable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conditional effect using the PROCESS macro program, and Hayes Model 4, 2, 14, 59, 76, and 65 were used for this purpose. When the biomedical aging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psychosocial factor and the economic factor were used as moderating variables in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and gender, education level, residence area, religious status, and marital statu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biomedical aging was confirmed. The direct effect was positively significant(β=.115) so a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effect was negatively significant(β=-.153) so as to reduce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resultant total effect was negatively significant(β=-.038) so as to reduce the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psychosocial factor showed moderating effect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β=.0626) in the process of the biomedical aging to reduce the life satisfaction(β=-.1711). In addition, the conditional total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 on the life satisfaction was also positive, and this positive conditional total effect was found to be reduced as the level of the economic factor increased. Third, the economic factor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to reduce the life satisfaction(β=-.0489) in the process of the ag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β=.1471), and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to reduce the biomedical aging(β=-.0240) in the process of the age to promote the biomedical aging(β=.4404), and also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β=.0657) in the process of the biomedical aging to reduce the life satisfaction(β=-.1711). As a result, the conditional total effect of the economic factor on the life satisfaction was negative, and this negative conditional total effect was found to be increased as the level of the psychosocial factor increased. Fourth, the positive conditional total effect of the psychosocial fact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tended to decrese with the increase of the level of the economic factor. And the negative conditional total effect of the economic factor reducing the life satisfaction tended to be amplified with the increase of the level of the economic factor,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psychosocial factor, the stronger this amplified decline effect. Thus, in terms of total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ditional effect of the psychosocial factor was more efficient than the conditional effect of the economic factor. The life satisfaction decreased with the age in the elderly because of experiencing the biomedical aging. In this process, the psychosocial support along with the economic support is a necessary condition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sychosocial support is more efficient than the economic support.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successful aging through the subjective psychosocial factor in the objective aging phenomenon. In this study, among the hierarchical components of Rowe & Kahn's successful aging, avoiding disease/disability and maintaining physical/cognitive functions were defined as the objective factor for aging, and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defined as the subjective factor that could be controlled psychosocially. The concept of this subjective factor was based on the SOC concept of Boltes & Boltes, and Fernandez (2019), who reconstructed Rowe & Kahn's successful aging components into subjective and objective aspects, was also applied. This study is expected to evaluate as a new application in that it analyzed the successful aging component itself into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factors, while Fernandez suggested that each successful aging component included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factors. The limitations fac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the second data of the pannel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this study results. Second, in a realistic situation where age stratification is clear, cross-sectional studies are also meaningful, but longitudinal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essential aging process of humans in terms of lifetime development. Third, the gender composition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was 69.0% for women and 31.0% for men, and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sults of female bias were found. Fourth, considering the deepening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biomedic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he conditional effects of the psychosocial factor and the economic factor by age group were not explored. Fifth, while the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is one of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it was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normality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tuation in Korea, where life satisfaction decreases with age,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sychosocial factor and the economic factor as a way to improve this situatio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establishing follow-up studies and coping the strategics for the elderly problems. Key words: life satisfaction, biomedical aging, psychosocial factors, economic factors, conditional effects, successful aging, SOC theory, PROCESS macro, Hayes model 노인의 연령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의학적 노화와 심리사회적 및 경제적 요인의 조건부효과 배 주 찬 지도교수 : 조 경 덕 배재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노년기에는 신체적 및 인지적 쇠퇴라는 객관적 변화와 더불어 일생을 회고하며 자신의 삶을 통합하려고 시도하는 주관적 변화가 나타난다. 객관적 변화의 척도로 생물의학적 노화를 설정하고, 주관적 변화의 척도로 심리사회적 요인을 설정하여, 이 두 요인이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또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인의 영향도 함께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20년도에 조사하고 2022년도에 발표한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한국고용정보원, 2022b) 제8차 조사의 응답자 6,488명 중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4,131명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결과를 검토하고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변수들은 모두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응답을 조합하여 조작적으로 정의하였으며, 연구변수들의 왜도와 첨도를 산출하여 변수들의 정규성을 확인하였고, 검정과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통제변수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조작적으로 정의한 잠재변수들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중공선성도 문제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연구변수들의 적절성을 검증하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건부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Hayes Model 4번, 2번, 14번, 59번, 76번, 65번을 활용하였다. 연령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생물의학적 노화가 매개역할을 할 때 직접 및 간접 경로에 심리사회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을 조절변수로 투입하고,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종교유무, 혼인상태를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생물의학적 노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직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고(β=.115). 간접효과는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β=-.153). 따라서 총효과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β=-.038). 둘째, 심리사회적 요인은 생물의학적 노화가 삶의 만족도를 저하하는 과정에서(β=-.1711)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는 조절작용을 보였다(β=.0626).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의 조건부 총효과도 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정적 방향으로 나타난 심리사회적 요인의 조건부 총효과는 경제적 요인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요인은 연령이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β=.1471) 삶의 만족도를 저하하는 조절작용을 보였고(β=-.0489), 연령이 생물의학적 노화를 촉진하는 과정에서(β=.4404) 생물의학적 노화를 둔화시키는 조절작용을 보였으며(β=-.0240), 또한 생물의학적 노화가 삶의 만족도를 저하하는 과정에서(β=-.1711)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는 조절작용을 보였다(β=.0657). 결과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대한 경제적 요인의 조건부 총효과는 부적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으로 나타난 경제적 요인의 조건부 총효과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조건부 총효과는 경제적 요인 수준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저하하는 경제적 요인의 조건부 총효과는 경제적 요인 수준의 증가에 따라 증폭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적 요인 수준이 높을수록 이 증폭된 저하 효과는 강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총효과 측면에서 심리사회적 요인의 조건부효과가 경제적 요인의 조건부효과보다 더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객관적 노화현상에 주관적 심리사회적 요소를 개입시켜 성공적 노화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Rowe & Kahn의 성공적 노화의 위계적 구성요소 중에서 질병・장애의 회피와 신체적・인지적 기능 유지를 노화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요소로 보고, 적극적 사회활동 참여는 심리사회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주관적인 요소로 보았다. 이 주관적인 요소의 구상은 Boltes & Boltes의 SOC 개념에 기반하였으며, Rowe & Kahn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를 주관적 요소와 객관적 요소로 재구성한 Fernandez(2019)의 통합적 개념도 응용하였다. 다만 Fernandez는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마다 주관적인 요인과 객관적인 요인을 모두 포함한다고 제안했지만,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자체를 주관적 요인과 객관적 요인으로 구분해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응용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한 한계점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가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2차 자료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 둘째, 연령의 계층화가 뚜렷한 현실적 상황에서 횡단연구도 의의가 있지만, 전 생애발달 측면에서 인간의 본질적인 노화과정을 탐색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점, 셋째, 본 연구대상자의 성별 구성은 여자 69.0%, 남자 31.0%로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아 여자 편향의 결과가 나왔을 개연성이 존재한다는 점, 넷째, 생물의학적으로나 경제적 및 문화적으로 연령 계층 간 차이가 심화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연령집단 별로 심리사회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의 조건부효과를 탐색하지 못했다는 점, 다섯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자녀관계 만족도도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규성 문제로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한국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탐색하고,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심리사회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으며, 본 연구 결과가 후속 연구와 노인 문제 대처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GON NARANGEREL 개신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A Study on the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TGON NARANGERE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Reformed Graduate University Recently, as the numbe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Korea,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academic, cultural adaptation, identity confusion, etc. are occurring.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re expecte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acculturation compared to other adolescents and to show a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find ways to solve it. To achieve this,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multicultural youth, then looked at the concepts of life satisfac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and related theories. In addition, research hypotheses and models were establish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using the 6th data (2016)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establish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In this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1310 patients, excluding cases treated as missing and non-response. The result of this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of acculturation stress was -.077, which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Aculturation stress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ill' was supported. The implications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the need for measures to reduce acculturation stress, expansion of cultural adaptation programs for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valorization of social roles for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uggested. Key words: life satisfaction, acculturation stress, multicultural family, culture, youth 최근 한국에 다문화 가족 청소년의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청소년들의 학업, 문화적응, 정체성 혼란 등의 사회적 문제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다문화 배경을 가진 청소년들은 다른 청소년기에 비해 문화적응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삶의 만족도 역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과 정의를 먼저 살펴보고, 삶의 만족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개념과 관련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며 연구가설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6차 자료(2016년)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결측 및 무응답 처리된 케이스를 제외하고 모두 1310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표준화 계수는 -.077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본 연구의 연구가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문화적응 프로그램 확대,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위한 사회적 역할의 가치화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삶의 만족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다문화가정, 문화, 청소년

      •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임소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이해와 삶의 만족도와 유산상속가능성, 자녀관계만족도, 우울감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령화패널조사(KLoSA)의 1차 자료부터 5차 자료를 이용하여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들의 궤적을 파악하고, 관련 변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변인들의 시간적 변화와 관련성을 추정할 수 있도록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조건모형 분석을 통해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들의 잠재성장모형을 구축한다. 둘째,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삶의 만족도 변인과 관련 변인들 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다. 셋째, 유산상속가능성과 삶의 만족도 간 자녀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변수들의 직・간접효과를 살펴보고, Sobel-test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들은 변화궤적을 보였다. 둘째, 유산상속가능성과 자녀관계만족도,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산상속가능성은 유산상속가능성과 삶의 만족도 간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타 연구와 비교했을 때,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변인들을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둔다. 더불어, 중・노년을 위한 정책을 구축함에 있어 가족 관련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s the longitudinal relation among the understanding of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life satisfaction, possibility of inheritanc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depression. Primary to the 5th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had used to figure out the trac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and examined the influence variables which causes to life satisfaction. Latent Growth Model has been used to estimate the temporal variation and relevance of the variables. Analysis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construct the Latent Growth Model of the life satisfaction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the analysis of unconditional model. Second, using the constructed model, analyze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mong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and related variables. Thir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Sobel-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possibility of inherita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procedures are as follow. First, life satisfaction and related variables showed trajectory of change. Second, possibility of inheritance,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children, and depression showed longitudinal effect in life satisfaction. Third,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ossibility of inheritanc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compared to other relating studies, since it revealed the relation to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and its' related variables longitudinally.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in depth of discussion among the related field experts are requested when constructing the policy for middle-aged and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