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 -일가정갈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현주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분석과 이들 관계에서 일가정갈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서비스산업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적인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기여 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울 및 5대 광역시와 경상북도에서 뷰티서비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20-50대 뷰티산업종사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PSS 28.0, AMOS 26, SPSS Macro 28.0을 이용 하였다. 실증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일가정갈등의 관계에서 일향유는 WFC(직장가정갈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일몰입과 일강박은 FWC(가정직장갈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일강박과 일향유는 가치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일몰입과 일강박은 소속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일몰입과 일향유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FWC(가정직장갈등)는 소속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WFC(직장가정갈등)는 삶의 질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은 일중독과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은 일몰입, 일강박, 일향유와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의 완화를 위해 근무환경 처우 개선 및 유연한 조직문화의 구축, 전문적인 교육의 확장 및 기회를 제공, 서비스 품질의 표준화의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뷰티산업종사자들이 최적의 근무환경에서 즐겁고 여유롭게 일하며, 일가 가정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시켜 조직몰입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aise the efficiency of beauty service industry management an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and verifying the mediator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he research investigated 400 beauty industry workers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Seoul, five major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used SPSS 28.0, AMOS 26, and SPSS Macro 28.0 for the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empirical testing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work-family conflict, work enjoy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FC, and work involvement and inner drive to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WC.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ner drive to work, and work enj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alue commitment, and work involvement and inner drive to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hip commitme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quality of life, work involvement and work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hom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W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hip commitment.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quality of life, WF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ixth, it was analyzed that the work-family conflict of beauty industry worker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Combining the results above, the work-family conflict of beauty industry workers was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involvement, inner drive to work, work enjoy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It is to present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treatment, the establishment of 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expansion, and provis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opportunity, and establishment of service quality standardization to alleviate the work-family conflict of the beauty industry workers. Through the improvement, the beauty industry workers will be able to engage in their optimum working environment pleasantly and comfortably and aim for an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by minimizing the conflict between work-family.

      • 情報通信産業 勤勞者의 葛藤에 關한 實證的 硏究

        권옥식 慶熙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32303

        한국정보통신산업은 국가 기간 통신망의 확보와 정보 통신분야의 기능을 주도하는 산업으로서, 기업들간에도 무한경쟁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1996년부터는 전면적인 국내업체들간의 경쟁과 함께 1998년에는 통신시장 개방을 대비하여야 하는 기로에 서 있다. 국내외적으로 급변하고 있는 정보통신시장과 WTO체제하에서의 개방과 경쟁은 통신시장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WTO 기본통신협상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 연합이 국내 통신 시장의 개방을 주요 공략 목표로 설정해 놓은 것과 함께 1998년에는 통신 시장 개방이 예정되어 있어, 통신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통신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통신 시장은 외국기업에 의해 잠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 1995년 한국통신(KT)의 노사 분규에서 보듯이 아직도 직장에 불만 중에 가장 큰 요인으로 승진, 승급 및 인사 제도, 직무에 대한 불만족으로 인한 이직 의도와 상.하간의 직무에 대한 갈등이 크며, 과다한 업무량도 그 원인이었다. 가설의 검증(Ⅰ)에서 보듯이 위의 갈등 요인들은 정보통신근로자의 직무 만족도 및 근로 의욕 저하를 초래하여 통신 인력의 외부 유출, 외국 경쟁 업체로의 이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임금 갈등의 발생 원인에 대한 이해는 앞으로의 직무 계층별 갈등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근로자들의 각 직급별 근무년수 장기화 및 승진 누락 등으로 근로자들이 승진, 승급에 대한 불안이 큼에 따라 조직 몰입이 약해지고 이직 성향이 커지게 되었고, 특히 중간관리층 이하의 근로자가 그 성향이 큼이 가설(Ⅱ)에서 검증되었다. 가설(Ⅲ)에서는 조직내 동료 및 상.하간의 관리 체계에 따른 갈등의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보통신근로자의 갈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고찰한 후 이에 따른 문제점의 도출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orean telecommunication industry, as a leader in setting up the nation's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in national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activities, has various participators competing harshly each other in it and from last year, 1996, is facing the high pressure of international demands to open our domestic market. Rapid changes in the information/telecommunication market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e present WTO's insistence for open market and free competition are bringing about many changes in Korean telecommunication market. Especially the US and EU nations. who are taking the lead in WTO's telecommunication negotiation process, have set one of their goals to make open Korean market. With the 1998 planned market opening, if the Korean telecommunication leaders fail to develop their competitiveness now our domestic telecommunication market willbe eroded by foreign companies soon. In spite fo this serious situation, we saw the Korean Telecom's labor dispute in 1995, whose main causes were the dissatisfation of its employees about the organization's promotion and other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the over-long interval between regular promotions and hierarchioal organization and also the overwork pressure, These conflicts are serious in terms of the employees' high separation rate to each other's competitors including foreign companies. Hypothesis I, suggests that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ast conflicts, for example, pay disputes, could provide us with clues to solve possible future conflicts. In hypothesis II, the study shows that the over-long interval between promotions, omissions from promotion lists and employees' overall job disstisfaction can make its employees feel less belonged to the organization and that there is a greater separation rate in the lower mid level employees. Hypothesis III shows the differences in the seriousness of labor conflicts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 of colleague relationships and hierarchic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labor conflicts in the Korean telecommunication industry and finding out the possible solutions for them by providing the positive evidences.

      • 노후산업단지의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 형성에 관한 연구 : 서울온수산업단지를 사례로

        정혜윤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287

        서울온수산업단지는 1971년 준공된 국내 제1호 민간산업단지로, 영등포공업인협회 주도로 서울시 구로구와 경기도 부천시 행정구역에 걸쳐 조성되었다. 준공 후 약 50년이 지난 현재, 서울온수산업단지 대부분의 건축물은 노후화되었고 행정구역별로 차별적인 경관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차별적인 경관과 건축물의 노후화를 발생시킨 요인을 규명하고, 서울온수산업단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업 집적의 정체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즉, 노후산업단지는 정말 ‘노후(老朽)한’ 산업단지인지, 물리적 시설이 노후화된 산업단지는 산업 및 기업 집적 측면에서도 노후화된 산업단지로 귀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질문을 제기하였다. 첫째, ‘서울온수산업단지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와 같은 경관이 나타나게 되었는가?’ 둘째, ‘서울온수산업단지의 건축물 노후화와 차별적·부분적 재생을 발생시킨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20년 이상이 경과되고 물리적으로 노후화된 산업단지는 클러스터로서의 산업단지 노후화로 귀결될 수 있는가?’ 넷째, ‘물리적 시설의 노후화에도 불구하고, 서울온수산업단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업 집적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이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약 50년 시기를 구분한 결과, 준공 후 20년이 경과된 1990년을 기점으로 산업단지의 생산성이 약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사업체당 종사자수가 꾸준히 감소하는 기업의 영세화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서울온수산업단지 전체 건축물의 평균 준공 후 경과년수는 39.4년으로 건축물의 노후화가 진행되었고, 행정구역별로는 서울 구로구 관할지역(42.5년)이 경기 부천시 관할지역(35.2년)보다 건축물의 노후화가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온수산업단지 건축물의 차별적 재생은 행정구역별로 상이한 토지이용규제와 산업단지 재생 거버넌스의 특성으로부터 발생하였다.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서울 구로구 관할지역은 1977년부터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는 등 규제가 끊임없이 강화되어 왔으며, 2008년과 2019년 추진되었던 재생사업이 무산되면서 현재까지 개발행위허가제한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반면, 경기 부천시 관할지역은 준공 후 현재까지 토지이용규제의 적용되지 않았고, 최근 개별 기업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센터를 포함한 신축 공장이 입지하면서 건축물의 재생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기존 이론에서 클러스터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외부 상호작용의 요인으로 간주되었던 정부의 정책과 규제(policy and regulatory regime)가 클러스터의 노후화와 산업단지의 재생 방향을 결정하는 직접적인 요인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산업단지 거버넌스 주체들의 복잡한 이해관계에서 나타난 산업단지에 대한 인식 차이는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재생 정책을 실패로 이끌었다. 이는 산업 및 혁신 공간으로서 산업단지의 사용가치와 부동산 자산으로서 산업단지의 교환가치의 대립으로 인한 산업공간의 부동산 갈등이 발생하면서 산업단지 시설의 노후화와 생산 공간의 비혁신성을 강화시키고 있다. 셋째, 서울온수산업단지의 건축물과 시설의 노후화에도 불구하고, 기계업종 중심의 도시산업 집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집적을 유발시키는 요인은 4가지로 도출되었다. 수도권 지역을 범위로 나타난 국지화된 기계업종 중심의 입주기업 거래 네트워크, 소필지화로 인한 소규모 공장이 출현하면서 서울시 내 개별입지하고 있던 영세한 도시기계 기업의 입주, 서울 내에서 소음 유발 공정이 허용되는 제조업 집적지라는 점, 고숙련 기술 인력의 확보가 가능한 서울 지역 내에 입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집적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집적은 ‘산업단지로서의 비혁신성’, ‘입주기업의 비혁신성’, ‘수도권 도시산업의 비혁신성’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산업단지로서의 비혁신성’은 생산과 혁신을 위한 공간과 부동산 자산으로서 공간 간 갈등으로 인하여 시설 노후화와 공간의 영세화가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산업단지의 생산 기능의 약화를 의미한다. ‘입주기업의 비혁신성’은 입주기업이 제한된 혁신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도권 도시산업의 비혁신성’은 기계업종 중심의 수도권 도시산업의 전반적인 쇠퇴와 맞물리면서 나타나는 산업단지의 산업 쇠퇴를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서울온수산업단지의 토지이용규제와 산업단지 재생 거버넌스, 부동산 갈등의 문제들은 산업 집적의 비혁신성을 발생시켰다. 즉,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정체성은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이다. 이는 산업 집적이 단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물리적 재생만으로는 기업과 산업 집적이 형성된 공간의 입지적 관성을 깰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도시 산업의 쇠퇴가 맞물리면서 산업단지 건축물의 노후화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는 도시산업의 슬럼 또는 도시산업 빈민지구로 전락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시의적 대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주요 학술적‧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단지의 노후화를 진단함에 있어서 물리적 시설 노후화를 강조하는 ‘노후산업단지’의 접근과 산업 및 기업의 집적 차원인 ‘산업 집적지와 클러스터’의 접근을 결합하여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라는 노후산업단지의 정체성을 도출한 점이다. 둘째, 산업단지의 노후화를 진단하는 세부 지표로 토지이용규제, 산업단지 재생 거버넌스, 입주기업의 거래 네트워크, 기업의 혁신성을 제시한 점이다. 셋째, 산업단지 재생을 위한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별 산업단지 특성에 기반한 질적 수준이 높은 재생 거버넌스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established in 1971 as the first private industrial complex in Korea, was developed across the administrative areas of Guro-gu, Seoul and Bucheon-si, Gyeonggi-do, under the leadership of the Yeongdeungpo Industrial Association. Approximately 50 years post-completion, most of the buildings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are showing signs of aging, with distinctive landscapes appearing across different administrative jurisdic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causing distinctive landscape and aging of buildings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and to examine the identity of industrial agglomeration occurring there. Specifically, it seeks to determine if an old industrial complex is truly ‘old’ or if an industrial complex with physically old infrastructure also concludes as an old industrial complex in terms of industrial and enterprise agglomeration.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suggests four key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process has led to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Second, ‘What factors have caused the deterioration and distinctive/partial regeneration of buildings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Third, ‘Can an industrial complex physically aged for over 20 years be regarded as an old industrial cluster?’ Fourth, ‘What is the identity of the agglomeration occurring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despite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faciliti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fter dividing the approximately 50-year period of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it was observed that, starting from 1990, 20 years after its completion, the productivity of the industrial complex began to decline, and the downsizing of businesses marked by a consist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es per company has been occurring. In addition, the average age of all buildings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since their completion is 39.4 years old, indicating ongoing building deterioration. In term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buildings in the area under the jurisdiction of Guro-gu in Seoul (42.5 years old) showed more advanced deterioration than those in the area under the jurisdiction of Bucheon-si in Gyeonggi-do (35.2 years old). Secondly, the distinctive regeneration of the buildings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was caused by variations in the regulations of land use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governance in different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area under the jurisdiction of Guro-gu in Seoul has faced ever-strengthening regulations since being designated as a development-restricted area in 1977, and the redevelopment projects initiated in 2008 and 2019 were discontinued, leading to ongoing restrictions on developmental activities. In contrast, the area under the jurisdiction of Bucheon-si in Gyeonggi-do has not been subjected to the restrictions of land use since its comple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factories, including knowledge industry centers centered on individual companies, is triggering a renewal of buildings. This is an example that shows how governmental policy and regulatory regime, traditionally considered indirect influences on clusters, serve as direct determinants of cluster deterioration and the direction of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Moreover, the differential perceptions of the industrial complex, stemming from the complex interests of the stakeholders in the industrial governance, have led to the failure of the regeneration policy for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This is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use value of the industrial complex as a space for industry and innovation and its exchange value as a real estate asset. This conflict has accelerated the deterioration of the facilities in the industrial complex and reinforced the lack of innovation in the space of the industrial complex. Thirdly, despite the deterioration of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 centered on the machinery industry is taking place. Four factors were identified as driving this agglomeration. These include: localized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network of residential companies in the machinery industry; small factories emerging due to plot subdivision, leading to the accommodation of small urban machinery businesses that were individually located in Seoul; the fact that it is a manufacturing cluster area where noise-generating processes are allowed within Seoul; and the availability of highly skilled technical personnel in the Seoul area. However, this agglomeration demonstrates characteristics of ‘non-innovativeness of the industrial complex’, ‘non-innovativeness of the residential companies’, and ‘non-innovativeness of metropolitan urban industries.’ The ‘non-innovativeness of the industrial complex’ refers to the weakening of the production func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due to conflicts between space for production and innovation and space as a real estate asset, resulting in facility deterioration and small scale of space. The ‘non-innovativeness of the residential companies’ indicates that residential companies possess limited innovative capacity. The ‘non-innovativeness of metropolitan urban industries’ signifies the industrial decline of the industrial complex, coinciding with the overall decline of metropolitan urban industries centered on the machinery industry. In conclusion, issues related to the regulations of land use, regeneration governance of the industrial complex, and real estate conflicts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have resulted in non-innovativeness of industrial agglomeration. In other words, the identity of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is that of a ‘non-innovative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 This implies that industrial agglomeration does not form in a short period, and physical regeneration alone cannot break the locational inertia of the space where businesses and industrial agglomeration have formed. However, if the deterioration of industrial complex buildings continues over a long period in tandem with the decline of urban industries, the ‘non-innovative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 has a high possibility of turning into urban industrial slums or poverty-stricken urban industrial districts. Therefore, timely alternatives are needed for this occasion. The major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n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this research combines the approach of ‘old industrial complexes,’ which emphasizes physical facility deterioration, with the approach of ‘industrial and corporate agglomerations,’ which focuses on the agglomeration dimension of industries and businesses, to derive the identity of ‘non-innovative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s.’ Secondly, it proposes the regulations of land use, regeneration governance of industrial complexes, trade networks of residential companies, and the innovativeness of companies as detailed indicators f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Thirdly, it highlights the need for high-quality regeneration govern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omplexes in each region in order to activate private investment for the regene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 한국마사회 장외발매소를 둘러싼 갈등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 Q방법론을 중심으로

        노현정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87

        최근 정부나 공공기관이 시행하는 사업에서 다양한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이해당사자들간의 심각한 갈등으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 합법 사행산업을 대표하는 경마에서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심각한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용산 장외발매소 이전 갈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건물 노후화로 안전사고가 우려되어 기존 장외발매소 인근에 위치한 건물을 매입하여 이전을 추진했으나, 지역주민의 반대로 운영이 중단되고 정치권 개입, 상호간의 법적 소송으로 비화되는 사태로까지 악화되고 말았다. 현재까지 사행산업 장외발매소 이전·설치와 관련된 사회적 갈등에 대한 연구는 없다시피한 실정으로 장외발매소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한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을 사용하여 한국마사회 용산 장외발매소 이전을 둘러싼 갈등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용산 장외발매소 이전에 대한 인식 유형을 조사하였다. 연구문제는 이해당사자들의 갈등 인식유형은 어떻게 유형화 될 수 있는가? 와 갈등 인식유형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갈등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분석결과 용산 장외발매소 갈등 인식 유형은 5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경마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라 장외발매소 운영여부, 용산 장외발매소 이전을 바라보는 관점, 갈등의 주요원인에 대한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경마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는 제 1유형과 제 4유형은 용산 장외발매소 이전이 법과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 적법한 행정행위임을 주장하며 용산 장외발매소 개장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이다. 제 1유형은 장외발매소 운영에 따른 부작용이 개선된다면 운영에 찬성한다는 입장으로 기본적으로 용산 장외발매소 운영의 긍정적 측면을 기대하며 개장을 바라고 있는 입장이다. 제 2유형과 제 5유형은 경마를 도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제 5유형은 경마를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제 2유형은 아이들 교육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특히 우려하며 도심에 설치하는 장외발매소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제 3유형은 경마에 대해서 특별히 거부감을 보이거나 긍정하지 않는 입장으로 장외발매소 운영에 따른 경제적?문화적 혜택에 집중하고 있는 유형이다. 또한 제 3유형은 용산 장외발매소 이전 갈등 원인에 대해 마사회와 반대대책위 양 측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중립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용산 장외발매소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주관적 태도는 찬성과 반대의 이분법적 구조가 아닌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용산 장외발매소 이전에 따른 갈등 해소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 째, 중립적 중재기구의 설치와 갈등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강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고 두 번째,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정보 공개가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단계에서의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용산 장외발매소 이전을 둘러싼 갈등 문제는 폐기물 처리시설이나 골프장 건설 사례에서와 같이 오염물질 발생이나 환경훼손과 같이 측정 가능한 부정적 영향 때문이 아니라, 경마와 장외발매소에 대한 갈등 당사자들의 가치관과 주관적 인식, 태도에서 비롯된 었기 때문에 가치관 대립에 의한 정의적 갈등(definitional conflict)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Q 방법론을 통해 이들의 내면적 인식과 생각을 측정해 유형화한 본 연구결과가 향후 장외발매소 신규 설치나 이전으로 인한 갈등 해소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대구 제3산업단지 재생사업의 추진과정과 공공갈등

        배현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15918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public conflicts of th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in Daegu, where th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due to the aging of the existing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present a plan for smooth opera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of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in Daegu and to further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oretical discussion and research trends were reviewed, and the history of Daegu 3rd Industrial Complex, Daegu 3r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was investigated and the solutio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in Daegu was constructed in March 1967 based on the Urban Planning Act in February 1965, and later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December 1968. At that time, the creation of a third industrial complex contributed to the economic revitalization of Daegu City and the systematization of land use. The main industry of the time was textile and clothing, which lasted until the 1980s. In the 1990s,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faced a period of stagnation as it was driven by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due to the relocation of the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began in the late 1980s. Second, public opinion was raised that the restructuring of the industrial complex was necessary for the entire aging industrial complex across the country as the background of the project to regenerate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in Daegu. In 2008, Daegu City tried to prepare an institutional system to regenerate the old industrial complex by revising the Industrial Location and Development Act to reorganize the general industrial area in order to reorganize the 3rd industrial complex and the Seo-gu industrial complex. Third, there is still conflict between related parties in the regeneration project of Daegu 3rd Industrial Complex. First, the conflict is difficult to proceed smoothly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management status of Daegu 3rd Industrial Complex. Second, there are many complaints from companies that moved in due to the lack of support systems necessary for th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Third, there is a gap between the goals of the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means, so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of the companies in which is located in industrial complex is halved. Fourth, it is the absence of a democratic governance system, including local residents. One way to resolve the conflicts arising from the restoration project of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in Daegu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and accumulation of related data. Second, by preparing necessary support systems in advance, various support measures necessary for the actual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should be prepared to resolve mutual distrust in negotiations with tenant companies. Third, instead of focusing on restructur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industrial complex by establishing a plan that combines the goals and means of the regeneration project, we should find various ways to reflect the opinions of each organiz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mocratic governance system, including local residents, to enhance the owner's responsibility of Daegu City, tenant companies, and local residents, in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s.

      • 건설산업의 불공정관행이 원·하도급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

        성한영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15903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Unfair-Trade between the general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on conflic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ung, Han Yo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eneral Management Major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Jun, I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ntractors’ unfair trade practices in construction industry have an impact on conflict between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and whether systemic organization management can play a moderating role in such relations or not. In doing this, the author reviews related articles, books and thesis in order to build a research framework.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dentifies four stages where unfair trade practices occur frequently – 1) when making or issuing a contract as a written order, 2) when making a decision of the subcontract price, 3) when reducing the price without justifiable reasons after the initial agreement, 4) when granting subcontract payment -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regard to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focuses on conflict between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For the study, the author makes use of quantitative survey research methodology. From March to April 2012, the survey subjected to executive directors or workplace managers was implemented. Using 165 collected data, the study used SPSS 19.0 statistical package and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with regard to the four stages of unfair trade practices, three stages such as deciding and reducing the subcontract price and granting the subcontract payment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impact on conflict. Second, regarding a moderating role of systemic organization management, it reduces conflict only when making a decision of the subcontract price. That is, systemic organization management in subcontract firms marginally functions in reducing conflict between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Interestingly, the larger the size of subcontractors is, the greater conflict between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is. This means that large subcontractors are willingness to resist or refuse to contractors’ unfair trade practices while small and medium sized subcontractors tend to be subordinate to large firms so that they are not able to have a mind to make a conflict against large contractor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order to generalize research findings, further study need to expand survey samples. Also, qualitative approach such as interview and workplace analysis is needed in order to take holistic perspective. 국문초록 건설산업의 불공정관행이 원·하도급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조직관리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성 한 영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일반경영전공 지도교수 전 인 요 약 본 연구는 건설업계의 원도급자의 불공정관행들이 원·하도급간 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하도급 기업의 체계적인 조직 관리가 이러한 갈등을 줄여줄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인과관계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중소 건설업체의 임원 및 현장소장들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165개 기업의 설문조사 내용을 SPSS 19.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원도급자의 하도급자에 대한 불공정관행은 크게 4가지(계약서 작성 및 교부과정에서의 불공정관행, 하도급대금 결정단계에서의 불공정관행, 하도급대금 감액단계에서의 불공정관행, 하도급대금 지급단계에서의 불공정관행)로 구분되었고, 이를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이후, 종속변수인 갈등과의 직접적인 관계와 체계적 조직 관리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도급자의 계약서 작성 및 교부과정에서의 불공정관행을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들(대금결정단계, 대금감액단계, 대금지급단계)에서 나타나는 불공정관행들이 원·하도급간 갈등을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하도급대금 결정단계에서의 불공정관행과 원·하도급간 갈등 관계에서 하도급 기업의 체계적인 조직관리는 갈등 수준을 낮추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단계에서는 하도급업체의 체계적 조직관리가 갈등을 낮출 것이라는 주장을 지지하지 못하였다. 흥미롭게도, 시공능력평가액이 높은 기업일수록 원도급자들과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원도급자들과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며, 원도급자들의 불공정관행들에 대해 대응하면서 기업을 운영하고자 하기 때문에 인지되는 갈등 수준이 더 높고 반면 중소 영세 건설업체들은 원·하도급 관계상 종속적인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원도급자들과 대립하기 보다는 순응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보다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대구·경북지역을 확대하여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 비교해보아야 할 것이며, 둘째 현장분석 및 인터뷰 등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위기를 맞고 있는 건설산업에서 원도급자의 불공정관행이 원·하도급 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하도급업체의 체계적 조직관리가 이러한 갈등을 낮추는데 미미하지만 기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