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사회적지원이 공공기관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혜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논문은 콜센터 상담사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사, 사회적지원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이다. 콜센터 산업은 점점 성장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높은 이직률과 우수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많은 지자체의 지원과 산업의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상담사들이 콜센터를 떠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밝혀 기업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인력관리를 도모하고 상담사들의 입장에서는 좋은 근무환경을 제공받게 함이 목적이다. 또한 지금까지 대부분의 선행논문에서는 직무만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만을 밝혔지만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원이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에 조절변수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기업 내부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회 전반적인 해결 과제는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자보다 기혼자의 직무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별로는 1년 미만과 6년-9년이 다른 경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3년-5년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업무 적응이 끝나 기업에 이익을 줄 수 있는 시기에 이직을 하게 되면 기업입장에서는 교육 등 투자비용 대비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중․장기 근속자가 없어짐으로써 신입사원과 장기 근속자를 이어줄 매개체가 없어져 경력별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를 선발할 때에도 적당한 인재가 없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렇듯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채용 후 교육 등 수많은 투자를 통해 회사의 이익을 낼 수 있는 시점에 있는 중․장기 근속자의 만족도 향상과 이직률 방지를 위해 고민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적지원에 대한 인식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콜센터는 고객접점에 있는 채널이기 때문에 고객들의 반응에 더욱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 그 접점 채널에 있는 상담사들이 사회적지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느끼지 않도록 기업과 업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적지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블랙고객으로부터 내부 고객인 상담사를 보호할 수 있는 기업차원에서의 방안과 콜센터를 악의적으로 이용하는 일부 고객들에 대한 처벌, 상담사의 인권을 존중받을 수 있는 법적 제도가 동시에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직무자체, 동료․상사와의 관계, 보상․승진, 근무환경에 대해 만족할수록 이직의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료․상사와의 관계, 보상․승진,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이직의사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지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가 하는 일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는 감정은 본인이 하는 일에 대한 자부심과 책임감을 갖게 하여 일의 능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담사들이 사회적지원에 대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등의 체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직무만족도를 높여 이직률을 관리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기업 내부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상담사를 바라보는 주위의 동료, 가족, 친구 더 나아가 고객과 사회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상담사들이 느끼는 사회적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다면 콜센터의 안정적인 인력관리를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사회적지원 , 콜센터 , 상담사, 직무만족 , 이직의사

      •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 및 회복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손형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and further more the moderating role of recovery in this mediation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burnout-job satisfaction. To this end, 1,147 employe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to the survey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sing SPSS 22.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with burnout a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recovery behavior. Seco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burnout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Thir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covery behaviour on burnout were identified.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recovery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burnout-job satisfaction were demonstrated. Burnout served as a parameter to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recovery behaviour control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burnout, which has a controlled mediated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and reflection of the level of recovery behaviour in the design of burnout reduction programs to enhance task satisfaction.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Key words :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Burnout, Recovery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소진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회복행동이 사회적 지원과 소진 사이의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여, 사회적 지원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회복행동을 통한 소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14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사회적 지원과 직무만족, 소진, 회복행동의 관계성을 측정하고,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사회적 지원은 소진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 직무만족과 회복행동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원과 직무만족 사이에 소진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소진을 설명하는데 있어, 사회적 지원과 회복행동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소진이 매개변수 역할을 하고, 사회적 지원과 소진의 관계를 회복행동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소진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설계에서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회복행동 수준의 반영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사회적 지원, 직무만족, 소진, 회복행동

      •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리더십 유형을 중심으로

        최두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831

        In order to survive in a competitive, rapidly changing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the organization is seeking various measures such as improving technology and marketing. In human services, attention is also increasingly focused on the measures of securing and retaining, and of preventing drains of talented people who have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have a sense of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employees who provide services at customer contacts must interact with customers at all times, and should face customers in a courteous manner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services. However, there is a case they do not take proper attitudes and this situation causes imbalance between the employee and the customer, and are exposed to the stress. Employees who provide services at customer contact experience intense job stress through this process, and ultimately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s are managed through internal factors such as personality type and self-efficacy, extern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and control, to reduce job stress. In particular, the social support - an external factor - may be referred to a factor that draws the interests of researchers in recent years as a factor affecting job satisfaction as well as relieving job stres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d investigated whether leadership style plays a role as a control variable, with business line and size controlled, in order to demonstrate empirically how the social support impacts on job performance by weakening the negative impact on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 effect on job stress, so job stress decreased as social support increa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ship style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mong leadership styles, play roles as control variables. Seco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o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ocial suppor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ship style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servant leadership, among leadership styles, plays a role as a control variable. Thir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so it was found that job performanc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ocial suppor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style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job performance,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mong leadership styles, played roles as control variables. Fourth, job stress had a nega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so job performance decreased as job stress increa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adership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performance, only servant leadership, among the leadership styles, played a role as a control variable. Fifth,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so job performance increased as job satisfaction increa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leadership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mong the leadership styles, played roles as the controlling variables. 조직에서는 경쟁이 치열하고 급변하고 있는 정치ㆍ사회ㆍ경제ㆍ환경 등에서 생존하기 위해 기술력 향상이나 마케팅 활용 등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인적 서비스도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직업의식이 투철한 인재의 확보 및 유지방안과 유출 방지방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가고 있다. 특히, 고객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종사원의 경우 항상 고객과 상호작용을 해야 하며, 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예의바른 태도로 고객을 대해야 한다. 하지만 예의바른 태도를 취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종사원과 고객 사이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어 스트레스에 노출되게 된다. 고객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원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강도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직무성과 및 이직의도와 같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직에서는 이와 같은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성격유형 및 자기효능감과 같은 내적요인과 사회적 지원 및 통제소재 등과 같은 외적요인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특히 외적 요인인 사회적 지원은 직무스트레스를 해소시켜줄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에 연구자들에 의해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약화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여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기업업종, 기업규모를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서 리더십 유형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첫째, 사회적 지원이 직무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사회적 지원이 커질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지원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리더십 유형 중에서 거래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사회적 지원이 커질수록 직무만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리더십 유형 중에서 서번트 리더십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원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사회적 지원이 커질수록 직무성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지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리더십 유형 중에서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직무 스트레스가 커질수록 직무성과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리더십 유형 중에서 서번트 리더십만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직무만족이 커질수록 직무성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리더십 유형 중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개인 특성이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공군 조직을 대상으로

        노경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0

        최근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지만, 경영학적 관점에서 이 두 변수의 관계를 연구한 실증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실증 연구하고자 한다. 사회적 지원은 안정적인 대인 관계를 통해서 얻거나 얻는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스트레스 사건에 대응하는 것을 돕는 다양한 형태의 자원을 말한다. 사회적 지원을 원천별, 기능별로 구분한 것은 특정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적 지원이 누구에 의해 제공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스트레스-지원 특정가설’에 입각한 것이다. 임파워먼트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Spreitzer(1995)의 연구 결과에 따라 역할 수행능력, 자기 결단력, 역할 영향력, 역할 중요성의 통합된 개념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조절 변수로 자기 효능감과 소속 집단이라는 개인 특성 변수가 이용된다. 자기 효능감은 자신이 어떠한 목표를 성취하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이나 판단으로 본 연구에서는 특히, 폭넓은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자기 효능감을 이용한다. 소속 집단은 군 조직의 인적 구성 집단들을 말하는 것으로 장교,하사관,군무원,사병 집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조직을 대상으로 원천별, 기능 유형별 사회적 지원이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둘째,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개인 특성, 구체적으로 자기 효능감과 소속 집단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다. 셋째, 실증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 사이의 긍정적인 영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0년 10월 5일부터 동년 10월 20일까지 대구, 수원, 군산에 위치한 공군 부대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439부(88%) 가운데 중심화 경향이 강하거나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이 누락된 78부를 제외한 361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에는 SPSS10.0프로그램이 이용되었다. 다음은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첫째, 조직 구성원이 원천별, 기능 유형별 사회적 지원을 높이 지각할수록 조직 구성원의 임파워먼트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천별, 기능유형별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원천별, 기능 유형별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 있어 소속 집단간에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지원이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이 약화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만 하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실제적인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 과정에 대한 실증적인 후행 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 다른 성격의 조직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원과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실증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much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But there are almost no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 of these two variables from the managerial point of view. The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empirically with military personnel. This study considers two forms of social support offered by subjects (supervisor, co-worker) related to individual’s job - informational-instrumental support, affective- self-esteem support - as a independent variable. The social support is defined as resources of various forms which a individual receives or perceives being received through the stabl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elp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And classifying the social support forms by sources and functions is based on ‘the stress-support specific hypothesis’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depends on source and functional form of the social support in the specific stressful situation. Because empowerment has multidimensional construct, it is defined as a motivational process composed of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impact and meaning in accordance with Spreitzer’s study resul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is, self-efficacy and one’s group are used as moderator. The self-efficacy is the confidence or judgment that a individual can put into action successfully for some purpose, Especially the general self-efficacy is used in this study which is applicable to more various circumstances. One’s group represents a personnel group unit of military organization, and it is consist of commissioned officer, noncommissioned officer, private and civilian attached to the military. The main objective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st, it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classified by source and functional form on empowerment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Two, it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one’s group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Third, it is to suggest the ways to increase the positiv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For the practical analysis, researcher chose conveniently 3 air bases located in Daegu., Suwon and Kunsan and distributed 500 questionnaires from October, 5 to October, 20, 2000. In the 439(88%) questionnaires returned, 78 questionnaires were discarded for strong central tendency and poor answer. Therefore a total of 361 questionnaires was used to establish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10.0 ver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is proved that the more a individual perceives the social support classified by source and functional form, the higher it’s empowerment becomes. Second, the self-efficacy shows partially significant nega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Thir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parative groups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itive effect of social support or empowerment was confirmed empirically. But it is remarkable that the self-efficacy acted as a weakening factor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For these results to have more substantial value, more systematic empirical studies about the process which the self-efficacy affect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are necessary. And the same studies with other organizations are needed for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results.

      • 교회노인의 사회적 지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광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0

        현대 사회구조 속에서 교회가 노인을 위한 지원체계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더불어 교회가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매개체가 되리라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회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성인자녀와 노부모와의 관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히 비공식적 지원체계들 가운데 교회의 지원이 노후적응에 유익하다는 점을 인식하여 교회노인의 사회적 지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라는 주제로 조사연구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위해 교회를 통한 지원체계로서의 가능성을 갖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교회노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교회노인의 일반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교회의 사회적 지원 가운데 구조적 특성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넷째, 교회의 사회적 지원 가운데 기능적 특성으로서 (1) 도구적 지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정서적 지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다섯째, 교회가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한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인은 경기도 수원, 용인 지역을 중심으로 8개의 주요 교회에서 60세 이상의 교회노인 1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해 직접 면접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그리고 측정도구로는 독립변수로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11문항과 사회적 지원으로서 구조적 특성 3문항, 기능적 특성 12문항이고, 종속변수로는 생활만족도에 관한 8문항으로 생활만족도는 리커트 5점 측도로 측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1년 1월 20일부터~2월 25일 사이이다. 그리고 자료분석에는 SPSS 7.5 for Win dow s를 사용하여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신뢰도분석 측정과 요인분석을 한 후에, 조사자료를 토대로 기술분석에서는 빈도분석(fr equency an alysis), 백분율, 평균을 구하였고, 추리통계 부분은 T-test, ANOVA-test,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회노인의 일반적 특성 조사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노인보다 여자노인이 3배나 많았고, 고령으로 갈수록 여성노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높은 연령층의 교인들이 상대적으로 수가 적었으며, 교육정도는 교회에 다니는 노인들의 약 70%이상이 초등학교 이하의 교육수준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건강상태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노인들은 건강이 별로 좋지 않았고, 절반의 노인들이 배우자가 없이 노후생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제형편은 약 30%의 노인은 경제적인 여유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형편이 좋지 않은 노인은 40.5%인것을 볼 때 교회의 노인들 중 약 절반이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 노후생활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수입출처는 “자녀들이 도와준다”가 48.3%로 가장 많았고, 정부의 생활 보조금을 받는 노인은 11.7%로 가장 수치가 낮았다. 경제적 측면은 노인에게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월수입과 월 용돈을 비교하여 본 결과, 60대 노인들의 가구 평균 월수입이 165만원이며, 평균 월 용돈은 28만 7천원으로 7,80대 노인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볼 때 60대의 노인들이 아직은 경제력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보인다. 가족구성원에 있어서 교회노인의 59.4%는 가족들과 함께 살고 있으며, 부부만이 사는 노인 20.0%, 혼자 사는 노인 20.0%로 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노인은 40%이다. 2) 교회노인의 일반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하다”집단이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건강상태가 좋아야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있으며, 노인의 수입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는, “자녀들이 도와준다”와 정부에서 생활보조금을 받는다 의집단은 부정적 생활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연령과의 관계를 볼 때, 연령이 고령이 될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수입이 적은 사람일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을 얻지 못하며, 월 용돈은 노인들의 용돈이 최소한 월 10만원 이상을 유지해야 만족한 생활을 할 수 있다. 이와 맥락을 같이하여 볼 때 경제형편이 여유가 있는 집단일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의지는 노인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적음을 알 수 있고, 프로그램 활발하게 참여할수록 생활만족도가 향상되어 교회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3) 교회노인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먼저 구조적 특성에 있어서, 교회에서 친하게 만나는 친구가 많을수록, 친구들과의 만남 회수가 많을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으며, 교회와의 거리는 부정적, '긍정적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별로 큰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한 이유는 대부분의 교회에서 차량운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기능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도구적 지원A (일상적 지원)는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노인에게 일상적인 지원이 향상 될수록 “긍정적 생활만족도”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정적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도구적 지원B(경제적 지원)는 “긍정적, 부정적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어느 쪽과도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정서적 지원은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교회노인에게는 정서적지원이 향상 될수록 '긍정적 생활만족도' 역시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정적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원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정서지원이 향상 될수록 “부정적 생활만족도”는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에게 정서적 지원은 생활만족을 높이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사람들은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였으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고, 노인들의 경제형편에 있어서는 수입과 용돈이 여유가 있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낮은 연령으로 갈수록 생활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고, 노인복지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가진 응답자들에게서 생활만족도는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회에서 친하게 만나는 친구의 수와 만남의 회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으며,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도구적 지원(일상적 지원), 정서적 지원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회노인의 사회적 지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교회에서는 노인들을 위한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높이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더욱 많이 개발함으로서 노인들이 가까운 친구들과 자주 만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더 나아가 배우자의 사망 등 노후 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아통합을 꾀하고 의미 있는 인생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2. 노인들은 교회로부터 필요한 지원을 제공받음에 있어서 자신에게 필요한 지원을 주도적으로 선택, 요청하지 못하고 교회에서 제공하는 지원을 수동적으로 받고만 있었다. 따라서 교회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회지원체계를 더욱 강화하여,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위한 적극적인 생계지원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며, 노인의 욕구를 반영하여 생활비, 용돈 등 실질적인 현금 지원에 관한 방안을 구체화시키되 교회지원체계의 무조건적인 지원보다는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통한 노인들의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노인들 스스로가 참여하여 그 노력에 대한 결과로 주어지는 교회지원체계를 강구하여 적용해 나갈 때 더욱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노인복지의 지원방법이 될 것이다. 3. 도구적 지원보다는 정서적 지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를 볼 때 교회에서는 더욱더 노인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관심과 사랑을 가지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관계를 유지시켜 노후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교회의 체계적, 지속적인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노인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회의 노인을 위한 지원관리는, 소외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구조 속에서 가족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기능으로 그 역할이 조정되어 교회 속에서 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지원의 수혜 범위가 낮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낮은 반면에 수혜 범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조사된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수혜 범위를 넓히는데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회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회지원체계를 더욱 강화하며, 노인은 물론 교회지도자들과 일반교인들을 대상으로 한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modern social structure, church could possibly work as one of the available support systems for the elderly. Moreover, church could be a means to raise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o it would be worth doing to find out the Cristian elderly's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 as, accordingly, to examine the im pact of the social support for the Christian elderly on their life satisfaction, as among inform al support systems, support from church is useful for the elderly's adjustment to old age. Researches of this approach might pave the way for church contribution to the elderly in commun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First,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enior citizens. Second, find out how Christian elderly's living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ir own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examine the effect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urch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s. Fourth, figure out how the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s is influenced by the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one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church social support. Fifth, consider how church could rai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0 Christians over the age 60 selected from eight churches in the region of Suwon and Yongin, Kyonggi Province. The interview was held with each of them,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SPSS 7.5 for Windows was utilized, an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 re conducted, and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were all calculate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Elderly. By gender, the female old people were three times as many as the male people. The percentage of female elderly got higher with age. By age group, the older Christians wre relatively less in number, and more than 70% of them just receive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health state, most of them were not in good health, and half of them spent their old age without spouse. Concerning economic situation, approximately 30% were well off, but half of them had economic difficulties. For sources of income, 48.3% were assisted by children, and 11.7%, the lowest percentage, were subsidized from the government. Regarding family structure, 59.4% lived with their families under the same roof, and 20.0% were only with their spouse. 20.0% lived alone. So 40% didn't live with their families. 2) The Impa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Those who had a spouse expressed more life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became better when they were in better health or had enough income or allow ances. By age, the less old people were more pleased with their lives, and those who were quite willing to join the elderly -welfare program were more pleased with their lives. 3) The Influence of Christian Elderly's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n Live Satisfaction. Those who had more close friends and met them more often expressed more life satisfaction. For social support, those who were given more instrum ental and emotional support were more contented with their live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Christian elderly's life satisfaction could increase by social support: 1. Church should provide extended aid for the elderly-welfare program. New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help them to attain self-integration and find their lives worth living. 2. The church support system should be more reinforced. The livelihood-aid program should be prepared to facilitate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e ways to provide practical aid, such as living expenses or allow ances, should be studied in consideration of their needs. But the welfar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change the m nd-set of the senior citizen population, instead of offering unconditional aid. 3. Rather than instrum ental support, emotional support had more influence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o church needs to keep a good relationship with senior citizens with love, so that they could be peaceful emotionally and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old age. 4. More system atic, sustained so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rom church. In conclusion, those who had less benefit from social support expressed poorer life satisfaction, but the more they benefited from social support, the m 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life. This indicated there is a need to enlarge the beneficiary of social support. To raise Christian elderly's life satisfaction, church support system should be more strengthened, and it would be practically more effective when elderly -welfare program is targeted at not only senior citizens but church leaders and Christians of different age groups.

      • 아동의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

        김은숙 목포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관계망의 사회적 지원을 성과 연령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관계망의 사회적 지원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성과 연령에 따라 사회적 지원은 차이가 있는가? 2) 아동의 성과 연령에 따라 사회적 역량은 차이가 있는가? 3) 사회적 지원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목포시내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 남녀아동 187명, 중학교 2학년 남녀아동 220명, 고등학교 2학년 남녀아동 16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사회관계망에 따른 사회적 지원을 측정하기 위해 Furman과 Buhrmester(1985)의 관계망 검사(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 NRI)를 번안한 김수민(1988)의 척도를 아동의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표집된 자료는 SPSS PC+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을 구하였으며 two-way ANOVA, correlation 분석을 하여 집단간 차이를 본 후, Schef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분석을 하여 추후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⑴ 아동의 성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과 선생님의 사회적 지원에서 차이를 보였다. 아동의 연령에 따라서는 어머니, 아버지, 동성친구, 이성친구, 조부모, 선생님의 사회적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아동의 성과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동성친구와 선생님의 사회적 지원에서 그 효과가 있었다. ⑵ 아동의 성에 따른 차이는 사회적 역량의 하위변인 개방성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사교성, 책임감, 개방성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⑶ 관계망의 사회적 지원은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β=0.12), 동성친구의 사회적 지원(β=0.24), 선생님의 사회적 지원(β=0.12)이 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독립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은 19.2%였다.

      • 영아의 발달 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윤다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발달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영아관련 변인으로서 영아의 발달수준을, 사회적 환경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원을 선정하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관련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 양육 스트레스를 선정하여, 각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여 각 변인들 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30개월 미만의 영아와 그의 부모 1,778 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한 한국아동패널 조사자료 3차(2010)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아의 발달수준과 사회적 지원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의 발달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영아의 발달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영아의 발달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영아의 발달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4. 영아의 발달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구하였다. 영아의 발달수준,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SPSS 18.0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발달수준, 사회적 지원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변인 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연구 모형경로의 유의성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아의 발달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는 사회적 지원변인 중 정서적 지원이 가장 설명력이 컸고, 도구적 지원, 영아 발달수준 변인 중 의사소통, 정보적 지원의 순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사회적 지원 변인 중 도구적 지원이 가장 설명력이 컸고, 사교적 지원, 영아 발달수준 변인 중 의사소통의 순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사회적 지원 변인 중 도구적 지원이 가장 설명력이 컸고, 정서적 지원, 영아 발달수준 변인 중 의사소통, 사교적 지원, 정보적 지원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사회적 지원변인 중 정서적 지원이 가장 설명력이 컸고, 영아 발달수준 변인 중 의사소통, 도구적 지원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사회적 지원의 각 하위변인은 순서의 차이를 두고 대체적으로 영향력을 나타내었지만 영아의 발달수준의 각 하위변인 중에서는 의사소통만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상공인의 개인적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자본 및 경영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재수 위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2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how the personal factors of small business owners affect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social capital and management strateg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increase their survival rate. For this purpose, the independent variable, personal factors, consists of five variables, including personal experience, management competenc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usiness effectiveness, and digital competence; the primary parameter, social capital, consists of two latent variables, including network and social support; the secondary parameter, management strategy, consists of four latent variables, including differentiation strategy, collaboration strategy, location strategy, and smart strategy; and the outcome variable, management performance, consists of two latent variables,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a total of 13 variables are designed into one integrated research model. A survey of 382 small business owners in Daegu and Gyeongbuk was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easibility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s, and path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analysis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pecific indirect effects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were condu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personal factors of small business own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capital variables. First, we analyzed whether personal factors affect networks, and found that small business owners' personal experience, business effectiveness, and digital competence significantly affect networks, but management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Next, we analyzed whether personal factors affect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 that management competence and digital compet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but personal experienc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effectiveness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Second, we checked whether social capital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strategy variables. Both network and social suppor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ifferentiation strategy, collaboration strategy, location strategy, and smart strategy. Social capital has been mentioned a lot in previous studies and most of th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is study, all th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study. Third, we checked whether management strategy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variables. Differentiation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mart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only, collaboration strategy and location strategy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Fourth,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of personal factors (personal experience, management competenc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usiness effectiveness, and digital competence), which are exogenous variables, is as follows. Personal experience and digital competence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ith a significance probability of 5% or less. Management competence and business effectivenes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ce between 0.053 and 0.063. Howev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found to have non-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is the first study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on management performance with social capital and management strateg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ers studying small businesses. Second, in the direct effect test, we found that personal experience, business effectiveness, and digital compet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twork.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small business owners should build a win-win growth model through local-based networks to enhance their self-sustainability. Third, we found that management competence and digital compet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Accordingly, the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support is needed to enhance th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digital capabilities of small businesses. In order to enhance management capabilities, activating new business startup academies, fostering local creators in conjunction with local universities, and establishing an apprenticeship system that transfers technology from senior small business owners can be alternatives to enhance management capabilities, while strengthening digital capabilities and advancing smart strategies can help small businesses respond to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s and lay the foundation for growth. Fourth,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rs, the scop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s presented as a combination of corporate criteria (6.53 million) and business criteria (3.29 million).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number of small businesses based on corporate entities (as of 2019). The reason for presenting the scope of small businesses based on businesses is to minimize confusion for information users by maintaining administrative uniformity and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various statistics, and to include industries such as telecommunications sales, couriers, and delivery services, which are excluded from the business standard, in the statistics. In addition, sole proprietors and self-employed persons are judged to need maintenance for consistency of information. The limitations and future challeng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mall businesses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and the results may not be generalizable.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diverse and in-depth research by region, industry, and type of small busines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businesses and increase their survival rate, it is necessary to study individual factors in more detail. In particular, digital capabilities and smart strategies are important factors for small businesses to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it is important for support organizations to create conditions for them to transform into smart small businesses. Third, when collecting data on business performance (financial and non-financial), we relied on the memories of small business owners through questionnaires to collect data and conduct research. In future studies, it is believed that the level of research can be improved if data can be collected through computerized systems such as POS systems and accounting programs.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개인적요인이 사회적자본 및 경영전략을 통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여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인 개인적요인 변수는 개인경험, 경영역량, 심리특성, 사업효능감, 디지털역량 등 5개 변수로 구성하고, 1차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 변수는 네트워크와 사회적지원 등 2개의 잠재변수로, 또한 2차 매개변수인 경영전략 변수는 차별전략, 협업전략, 입지전략, 스마트전략 등으로 4개의 잠재변수로, 결과 변수인 경영성과 변수는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로 2개의 잠재변수로 구성하여 총 13개 변수를 하나의 통합적 연구모형으로 설계하였다. 대구·경북지역에 소상공인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성분석 등을 통해 변수들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델에 대한 경로분석 및 다중매개효과분석, 팬텀변수를 사용한 특정간접효과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의 개인적요인 변수가 사회적자본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우선 개인적요인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소상공인의 개인경험, 사업효능감, 디지털역량은 네트워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영역량, 심리특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개인적요인이 사회적지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경영역량, 디지털역량은 사회적지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경험, 심리특성, 사업효능감은 사회적지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자본 변수가 경영전략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네트워크와 사회적지원은 모두 차별화전략, 협업전략, 입지전략, 스마트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자본은 선행연구에서도 많은 언급이 있었으며 대부분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모든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보여 연구의 당위성을 찾았다고 하겠다. 셋째, 경영전략 변수는 경영성과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차별화전략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전략은 재무성과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협업전략과 입지전략은 모두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무성과는 비재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생변수인 개인적요인(개인경험, 경영역량, 심리특성, 사업효능감, 디지털역량)의 간접효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개인경험과 디지털역량의 유의확률은 5% 이하로 경영성과인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역량과 사업효능감은 유의확률이 0.053 ~ 0.063 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심리특성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유의하지 않는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영위하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개인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사회적 자본과 경영전략을 매개변수로 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처음 시도한 연구이다. 이는 소상공인을 연구하는 연구자에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직접효과 검증에서 개인경험, 사업효능감, 디지털역량은 네트워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소상공인은 지역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상생성장모델을 구축하여 자생력을 높여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경영역량, 디지털역량이 사회적지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소상공인의 경영역량과 디지털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경영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신사업창업사관학교 활성화, 지역대학과 연계한 로컬크리에이터 양성, 선배 소상공인으로부터 기술을 전수하는 도제교육 시스템 구축 등이 경영역량을 강화하는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디지털역량 교육 강화와 스마트전략 고도화를 통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고 성장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선행연구자에 따라 소상공인 범위를 기업체 기준(653만개)과 사업체 기준(329만개)으로 혼용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체 기준으로 제시하였다(2019년 기준). 소상공인의 범위를 기업체 기준으로 제시한 이유는 행정의 통일성을 유지하여 각종 통계의 신뢰성을 높이는 등 정보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특히 사업체 기준에서 제외된 통신판매업, 택배, 배달서비스업 등의 업종도 통계에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사업자, 자영업자 등도 정보의 일관성을 위해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자료조사를 진행하여 얻은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지역별, 업종별, 형태별 등 다양하고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향상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을 더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디지털 역량, 스마트 전략 등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소상공인이 편승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지원 기관은 스마트 소상공인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경영성과(재무성과, 비재무성과)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때 설문을 통해 소상공인의 기억에 의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POS 시스템이나 회계프로그램 등 전산 시스템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면 연구의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