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병원 간호사의 비판적사고성향, 셀프리더십 및 임상수행능력

        이선화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중소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및 임상수행능력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및 임상수행 능력정도를 파악하고 변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인천, 경기지역의 300병상 미만의 급성기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2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비판적 사고성향은 윤진(2004)이 개발한 27개 문항 설문지를, 셀프리더십은 Houghton & Neck (2002)개발한 RSLQ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aire)를, 임상수행능력은 김미원(2006)이 개발하고 정은향(2015)이 이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3.0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와 Sheffe’s test를 수행하였다. 중소병원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중소병원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소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만점에 평균 3.55점, 셀프리더십은 5점 만점에 평균 3.58점, 임상수행능력은 4점 만점에 평균 3.11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소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F=7.565, p=.001)과 결혼상태(t=-2.388, p=.018), 임상경력(F=3.522, p=.001), 현 부서경력(F=5.443, p=.001), 리더십 교육경험(t=2.780, p=.006)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은 결혼상태(t=-2.472, p=.014), 직위(F=3.028, p=.030), 근무부서(F=2.260, p=.039), 근무형태(F=3.863, p=.022), 리더십교육경험(t=-2.582, p=.010), 이직의도(t=-2.582, p=.01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소병원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연령(F=3.634, p=.028), 학력(F=5.951, p=.003), 월수입(F=10.229, p<.001), 직위(F=6.391, p<.001), 현 부서경력(F=3.217, p=.024), 근무형태(F=3.625, p=.028), 비판적 사고성향 교육경험(t=3.512, p=.001), 리더십 교육경험(t=3.51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중소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연령(r=.238, p=.001), 현부서 경력(r=226, p=.001), 셀프리더십(r=.621, p<001)와 순 상관관계가 있었고, 셀프리더십과 현부서 경력(r=.143, p=.032)과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수행능력은 연령 (r=.176, p=.008), 월수입(r=.267, p<.001), 현부서 경력( r=.172, p=.009), 비판적 사고성향(r=.475, p<001), 셀프리더십(r=.422, p<001)과 순 상관관계를 가졌다. 6. 중소병원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비판적 사고성향(β=.325, p<.001), 월수입(β=.243, p<.001), 셀프리더십(β=.224,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1.7%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비판적 사고성향과 셀프리더십을 올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전문직 간호사로서 적절한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 뉴스 비판적 읽기 교육이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성정은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with special focus on fake news discern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To conduct the study described above,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Does news critical reading education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function? 2. Does news critical reading education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verify and examin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divided critical thinking into two concepts: critical thinking fun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on critical reading education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In addition, a critical reading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was developed by selecting fake news as educational material. The program was applied to 10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for a total of 10 sessions, after which, any change in the patterns comprising their critical thinking fun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analyz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function.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and four subfactors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this kind of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bility to make arguments/assessments based on reasonable and sufficient grounds and on students’ ability to examine an issue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particular,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ehaviors such as checking grounds, pursuing reasonable accuracy, fairness, independence of thinking, and self-regulation of thin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led to the below conclusions, as follows: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fun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rom this result, it can be surmised that the program is an effective reading education program which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enhance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ies. In addition,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is a good and appropriate form of reading education for students living in the digital age to read news critically and grow as wise digital prosumers through their discernment of fake new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with special focus on fake news discern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To conduct the study described above,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Does news critical reading education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function? 2. Does news critical reading education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verify and examin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divided critical thinking into two concepts: critical thinking fun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on critical reading education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In addition, a critical reading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was developed by selecting fake news as educational material. The program was applied to 10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for a total of 10 sessions, after which, any change in the patterns comprising their critical thinking fun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analyz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function.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and four subfactors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this kind of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bility to make arguments/assessments based on reasonable and sufficient grounds and on students’ ability to examine an issue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particular,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ehaviors such as checking grounds, pursuing reasonable accuracy, fairness, independence of thinking, and self-regulation of thin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led to the below conclusions, as follows: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fun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rom this result, it can be surmised that the program is an effective reading education program which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enhance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ies. In addition,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ake news discernment is a good and appropriate form of reading education for students living in the digital age to read news critically and grow as wise digital prosumers through their discernment of fake news. 본 연구는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하는 뉴스 비판적 읽기 교육이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뉴스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뉴스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를 비판적 사고기능과 사고성향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짜뉴스를 학습 자료로 선정하여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경상남도 지역 10명의 중학생에게 총 10차시에 걸쳐 교육한 후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기능과 비판적 사고성향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4가지 하위요인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타당하고 충분한 근거를 들어 주장·평가하기와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근거 확인·합리적 정확성 추구와 사고의 공정성 및 독립성, 사고의 자기규제성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기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도움을 주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은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수많은 뉴스를 비판적으로 읽고, 뉴스의 진위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여 현명한 생비자(生費者)로 성장하는데 기여하는 문제해결중심 의 독서교육으로써 적합하다. 본 연구는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하는 뉴스 비판적 읽기 교육이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뉴스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뉴스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를 비판적 사고기능과 사고성향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짜뉴스를 학습 자료로 선정하여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경상남도 지역 10명의 중학생에게 총 10차시에 걸쳐 교육한 후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기능과 비판적 사고성향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4가지 하위요인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타당하고 충분한 근거를 들어 주장·평가하기와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근거 확인·합리적 정확성 추구와 사고의 공정성 및 독립성, 사고의 자기규제성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기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도움을 주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짜뉴스 판별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은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수많은 뉴스를 비판적으로 읽고, 뉴스의 진위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여 현명한 생비자(生費者)로 성장하는데 기여하는 문제해결중심 의 독서교육으로써 적합하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치료적의사소통능력, 비판적사고성향, 회복탄력성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이효선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치료적의사소통능력, 비판적사고 성향, 회복탄력성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상관성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3개의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6개월이상 경력을 가진 간호사 165명이었으며, 일반적 특성, 치료적의사소통능력, 비판적사고성향, 회복탄력성, 인간중심간호에 관한 도구로 구성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5월 1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치료적의사소통능력은 4.33±0.61점, 비판적사고성향은 3.64±0.37점, 회복탄력성은 2.52±0.57점, 인간중심간호는 3.36±0.52점이었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료적 의사소통능력, 비판적사고성향, 회복탄력성, 인간중심간호에 차이가 있었다. 치료적의사소통에서는 주관적 경제적 수준(t=2.91, p=.004), 인간중심간호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t=2.09,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판적사고성향에서는 연령(F=4.28, p=.016), 담당 환자수(t=2.13, p=.035), 주관적 건강상태(F=5.15,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회복탄력성에서는 주관적 경제적 수준(t=2.28, p=0.24), 주관적 건강상태(F=18.07, p<.001), 인간중심간호에 대한 교육받은 경험(t=2.41, p=.01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간중심간호는 성별(t=-2.30, p=0.02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는 치료적의사소통능력(r=.69, p<.001), 비판적사고성향(r=.54, p<.001), 회복탄력성(r=.4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에 관한 영향요인은 성별(여자)(β=.16, p=.004), 치료적의사소통능력(β=.53, p<.001), 비판적사고성향(β=.23, p=.002)이었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52.9%이었다(F=44.93, p<.001).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를 높이기 위해 간호사의 성별을 구분하여 중재할 필요가 있고, 치료적 의사소통 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을 높이기 위해 조직차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근무 환경 및 복지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인간중심간호에 대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치료적의사소통능력, 비판적사고성향의 변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회복탄력성과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주요어 : 치료적 의사소통능력, 비판적사고성향, 회복탄력성, 인간중심간호, 중환자실 간호사 This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interplay between therapeutic communication competencies, critical thinking propensities, resilience, and human-centered nursing within the specific domain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ing. The primary objective is to furnish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argeted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human-centric nursing practices within the ICU setting.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comprised 165 nurses with over six months of experience in the intensive care units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City D. Data were gather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ools assess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on person-centered nurs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11th to June 30th, 2023.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nalysis utilizing the SPSS/WIN 27.0 program. Various statistical methods were employed, including frequency and percentage calculation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omputations, t-tests,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1)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y was 4.33±0.61 poi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64±0.37 points, resilience was 2.52±0.57 points, and person-centered nursing was 3.36±0.52 points. 2)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and person-centered nur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therapeutic communication,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t=2.91, p=.004), experience with training in person-centered nursing(t=2.09, p=.038), and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ge(F=4.28, p=.016), number of patients in charge(t=2.13, p=.035), subjective health status(F=5.15, p=.007), and in resilience, subjective economic level(t=2.28, p=0.24) and subjective health status(F=18.07, p<.001), educated experience in person-centered nursing(t=2.41, p=. 017). Person-centered nurs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t=-2.30, p=0.023). 3)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y of intensive care nurses in person-centered nursing(r=.69,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r=.54, p<.001), resilience(r=.40, p<.001). 4) Factors influencing person-centered care of intensive care nurses are gender(female)(β=.16, p=.004),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y(β=.53,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β=.23, p=.002)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52.9%(F=44.93, p<.001). In order to enhance person-centered nursing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it is imperative to tailor interventions based on the nurses' gender. Additionally, sustained organizational attention and improvement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are crucial for elevating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y and foster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en implement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person-centered nursing, it is essential to take into account the variables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concerted efforts are required to enhance resilience among ICU nurses. This necessitates incorporating considerations for resilience i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person-centered nursing practices. Key words: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Person-Centered Nursing among Intensive Care Nurses, ICU Nurse

      • 시뮬레이션 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

        조현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5

        Purpose Recently, the nursing environment requires nurses to have a high level of knowledge and technique, as well as self-leadership, Goal commitment to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for the problem solving. Insufficient practicum opportunities for nursing students lead to decrease clinical competence; and for this reason, high functioning simulator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practicum. However, the results of simulation vary depending on self-leadership, goal commitment and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stud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lf-leadership, goal commitment, and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 a simulation practicum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Method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60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the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from four nursing universities, who have experience in a simulation practicum between 30 and 60 hours. Mean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invented by Houghton and Neck(2002), and revised by Shin, the goal commitment invented by Klein et al.(2001), the critical thinking developed by Yoon(2004), and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of D'Zurilla and Nezu(1995) translated by Choi(2002)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was 124.74±27.74, goal commitment was 18.44±2.70,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96.32±15.70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as 165.92±29.34.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s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significant variables included religion, major satisfaction, goal commitmen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41%(R2=.429, F=23.174, p<.01). Self-leadership was found to be a mediating variable of goal commit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total effect of goal commitment on problem solving ability was .474, of which the direct effect was .365 and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self-leadership was .109.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various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simulation practicum. Programs, a method to increase commitment needs to be considered by setting a goal in a self-directed manner. furthermore, its effect will be higher if self-leadership is included. In additi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tudent nurses can be enhanced if their critical thinking is developed by critical curiosity about the points or questions obtained from the simulation practicum. This study has contributed as the basic data that may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Purpose 최근 간호환경은 간호사에게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 뿐 간호 문제해결을 위해 셀프리더십과 간호 업무의 몰입과 비판적 사고를 요구하고 있다. 간호학생의 불충 분한 실습교육은 임상실무 능력저하를 가져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기능 시뮬 레이터를 이용한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실습 시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목표몰입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따라 시뮬레이션 실습의 결과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 중 시뮬레이션 실습을 경험한 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목표몰입,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하여 진행된 연구이다. Methodes 간호학생 중 시뮬레이션 실습을 30시간이상 60시간이하를 경험한 3,4학년을 대상 으로 4개의 학교에서 26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Houghton과 Neck(2002)이 고안한 셀프리더십(Revised Self-Leadership Quewtionnaire)을 신용국이 보완한 도구, Klein et a.(2001)이 고안한 목표몰입, 윤 진(2004)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D'Zurilla와 Nezu(1995)이 개정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를 최이순(2002)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mediating Regression을 하였다. Results 연구결과는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은 124.74±27.74점, 목표몰입은 18.44±2.70 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96.32±15.70점, 문제해결능력은 165.92±29.34점으로 나타 났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변수는 목표몰입, 비판적 사고성향, 종교, 전공만족도였으며 설명력은 41%로 나타났다(R2=.429, F=23.174, p<.01). 목표 몰입과 문제해결능력에 셀프리더십은 매개변수로 나타나며 목표몰입이 문제해결능 력에 미치는 총 효과는 .474이며, 그중 직접효과는 .365이고,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109이었다. Conclusion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다양한 프로그 램으로 개발해야 한다. 이때 자기 주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여 몰입도가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간구해야 하며, 셀프리더십을 포함한다면 그 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이 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하여 얻어진 논점이나 의문점에 대해서는 비판적 호 기심을 갖도록 하여, 비판적인 사고성향도 키워주는 것이 간호사의 문제해결능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올 것이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기여하였다고 본다.

      •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이 간호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김솔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i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mong domestic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nursing practice readiness.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fourth grade nursing student who i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six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and is about to graduate. The subject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voluntaril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23, and 20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earch tool, the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E, J. Choi et al. (2019) was used to measure the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measured using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J. Yoon (2004). To measure nursing practice readiness, we used a tool developed by Casey et al. (2011) that was modified and adapted by T. H. Lee et al. (2022) to suit the Korean situ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ursing students'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 score was 3.17 out of 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ore was 3.88 out of 5, and nursing practice readiness score was 3.18 out of 4.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verage grades(F=4.07, p=.019) and satisfaction of nursing department(F=4.15, p=.017).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nursing practice read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nursing department(F=6.20, p=.002)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F=-3.33, p=.001). 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readiness and predictors, there was a correlation with nursing informatics core competence (r=.49,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65, p<.001). 6.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54, p<.001),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β=.20, p=.001), satisfaction of nursing department (β=.13, p=.013), and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 (β=.14, p=.031) wer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nursing students' nursing practice readin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9.0% (F=48.65, p<.001).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actice readines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이 간호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실무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6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면서 졸업예정인 4학년 간호대학생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2023년 09월 01일부터 09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203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 중 간호정보핵심역량 측정도구는 최은주, 김옥현과 정종필(2019)이 개발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비판적사고성향은 윤진(2004)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실무준비도는 Casey 등(2011)이 개발한 도구를 이태화, 지윤정과 윤예슬(2022)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한국어로 수정·번안한 한국어판 간호실무준비도 측정도구(The Korean Version of Readiness for Practice Survey; K-RP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IBM Corp.,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 점수는 4점 만점에 3.17점, 비판적사고성향 점수는 5점 만점에 3.88점, 간호실무준비도 점수는 4점 만점에 3.18점이었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정보핵심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사고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적(F=4.07, p=.019)과 전공만족도(F=4.15, p=.01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실무준비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공만족도(F=6.20, p=.002)와 임상실습경험(F=-3.3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간호실무준비도와 예측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간호정보핵심역량(r=.49, p<.001)과 비판적사고성향(r=.6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준비도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비판적사고성향(β=.54, p<.001), 임상실습경험(β=.20, p<.001), 전공만족도(β=.13, p=.013), 간호정보핵심역량(β=.14, p=.03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0%이었다(F=48.65,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 비판적사고성향, 전공만족도 및 임상실습경험은 간호실무준비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점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간호정보핵심역량, 비판적사고성향, 전공만족도 및 임상실습경험을 교과과정에 반영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준비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실무준비 수준을 높여 졸업 후 임상 현장에서 보다 원활한 적응을 돕고, 간호업무 수행 능력과 업무만족도 향상에 기여하여 이직률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직무만족도 관계연구

        김진이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95

        Introduction: In the contemporary healthcare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rapidly changing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increasing knowledge, the nurse needs to make a prompt and accurate judgement and effective decision.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s essential for nurses who experience the stress due to this environment in order to feel job satisfaction.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mprovement of clinical ability. Method: The subjects were 134 nurses who work hospital in Seoul.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 2006 to January 30, 2007.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CCTDI(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made by Facione & Facione(1992), and modified by Hwang(1997) and a tool for job satisfaction developed by Slavitt(1978), interpreted by Kim(1992), and modified by Kim(2003). This questionnaire survey consists of 8 questions about general specification, 50 questions abou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39 questions about job satisfaction;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97. Crohnbach's alpha coefficien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80 and .84, respectively. The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using SPSS program. Results: 1.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198.99 with an item mean score of 3.96. The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highly found according to inquisitiveness(M=4.31, SD=.40), analyticity(M=4.10, SD=.48), systematicity(M=3.94, SD=.46), critical thinking self confidence(M=3.92, SD=.47), maturity(M=3.88, SD=.42), open-mindness(M=3.81, SD=.46), and truth seeking(M=3.78, SD=.42). The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120.71 with an item mean score of 3.08. The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highly found according to professional status(M=3.68, SD=.48), interaction(M=3.51, SD=.45), doctor-nurse relationship(M=3.13, SD=.64), autonomy(M=2.95, SD=.44), salary(M=2.94, SD=.62), task requirements(M=2.71, SD=.39), and administration(M=2.63, SD=.52). 2.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be very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groups: age(F=4.17, p=.008), educational background(F=7.62, p=.001), nursing experience(F=3.39, p=.037), position(F=6.83, p=.002).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be very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groups: age(F=4.11, p=.008), marital status(t=2.21, p=.029), nursing experience(F=3.15, p=.046), position(F=7.93, p=.001). 3. Significant correlation results showed tha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r=.191, p=.027).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quisitiveness of subscale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founded(r=.302, p=.000).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osition'(r=.381, p=.000) and 'interaction'(r=.252, p=.003) of subscale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founded. In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resonable salary and professional status of a nurse were preceded. Nursing education and nursing administration need to encourage continuous inquisitiveness.

      •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조지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nd implement an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and then examine the impact 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When modern people acquire information in their daily lives, they mainly use search functions in digital-based environments through on-line and mobile. However, as the digital environment develops, on-line platforms often use recommended algorithms that analyze users' tastes, so readers often encounter articles or videos from one position. As a result, teenagers and other readers are at increased risk of being trapped in filter bubbles. In that case, users can be blocked from accessing inform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ir thoughts, which can lead to a confirmation bias that only they are right, and social conflicts can intensify social conflicts. In this situation, recognition of diversity has become an important value of this era. Meanwhile,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have become more common in intertextual situations in which learners follow links and read texts than in situations in which they read single text. By observing a series of situations, this paper focused on intertextuality. Therefore, this researcher actively considered the intertextual reading situ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currently facing. In addition, in order to acquire the value of diversity,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new reading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expand learners' perspectives to understand by listening to peopl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contents of the study established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a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tertextuality is organiz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it evaluates the impa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after implementing an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s analysis are six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two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living in Sejong City as of March 2023,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In this program, the first study was operated a total of 8 times, 120 minutes once a week, and the second study was operated a total of 2 times, 120 minutes twice a week. Records of recording and recording the course, students' activity, students' response logs, teachers' reflection logs, critical thinking functions, critical thinking pre- and post-testing and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analyze changes in students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educational program composition and operation case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digital preference environment changes, a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was devised so that text given in various forms could be read and various values could be acquired. The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re principle of polymorphism, the main concept of intertextuality. In order for learners to expand their perspectives through a set of polygenic texts, the main activity was to weave and read texts containing multiple posi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critical thinking improved in qualitative data analysis, and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lso improved. Quantitative data analysis did not produce meaningful results, but the average tended to ris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can be concluded that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problems from various perspectives" among critical thinking functions, which are cognitive aspects of critical thinking. Second, it can be concluded that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inking habits" and "motivation" among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which are defining aspec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Third, the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designed with polygenicity as the main principle, extends from simple activities of comparing and contrasting two texts, and includes writing that reads the text in detail and synthesizes one's position. Since we observed that the expa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spectives occurred in this proces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textuality-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Program is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한 뒤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인은 일상생활에서 정보를 습득할 때 주로 온라인, 모바일을 통한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 검색 기능을 활용한다. 하지만 디지털 환경이 발달할수록 온라인 플랫폼은 이용자의 취향을 분석한 추천 알고리즘을 활용함으로써 독자는 한 가지 입장의 글이나 동영상을 접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청소년을 비롯한 독자들은 필터버블에 갇힐 위험이 커진다. 그렇게 되면 이용자는 자신의 생각과 다른 정보를 접할 기회가 차단될 수 있어 자신만이 옳다는 확증편향에 빠질 수 있고 이로 인한 사회 갈등이 심화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다양성 인정은 이 시대의 중요한 가치가 되었다. 한편 디지털은 텍스트 환경을 학습자가 단일 텍스트를 읽기보다 링크를 따라가며 여러 텍스트를 연결하며 읽는 상호텍스트적 환경으로 변화시켰다. 일련의 상황들을 관찰하면서 본고는 상호텍스트성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중학생들이 현재 마주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상호텍스트적 읽기 상황을 적극적으로 고려했다. 또한 학습자가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습득하기 위해 종이, 인터넷, 동영상 등 여러 형태로 접하게 되는 입장이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 관점의 확대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내용을 설정했다. 첫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Close Reading)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둘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Close Reading) 교육 프로그램 실행한 후 비판적 사고력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세종시 거주 2023년 3월 기준 중학교 3학년 6명, 중학교 2학년 2명의 학생이다. 본 프로그램은 1차 연구는 주 1회 120분씩 총 8회 운영되었으며, 2차 연구는 주 2회 120분씩 총 2회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다. 수업 과정을 녹화, 녹음한 기록, 학생들의 활동지, 학생들의 반응 일지와 교사의 성찰 일지, 비판적 사고 기능, 비판적 사고 성향 사전․사후 검사와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나타난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이상의 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디지털 기호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주어지는 텍스트를 읽어 내고 다양한 가치를 습득할 수 있도록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구성의 핵심 원리는 상호텍스트성의 주요 개념인 다성성이다. 학습자가 다성성이 구현된 텍스트 세트를 통해 관점의 확대를 이룰 수 있도록 여러 입장이 포함된 텍스트 엮어 읽기를 주요 활동으로 삼았다. 둘째,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질적 자료 분석에서 비판적 사고 기능이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고, 비판적 사고 성향도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다. 양적 자료 분석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지만 평균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은 비판적 사고력의 인지적 측면인 비판적 사고 기능 중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둘째,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은 비판적 사고력의 정의적 측면인 비판적 사고 성향 중 ‘사고 습관’과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셋째, 다성성을 주요 원리로 하여 구성된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 프로그램은 두 가지 텍스트를 놓고 비교, 대조하는 단순 활동에서 확장되어 텍스트를 자세히 읽고 자신의 입장을 종합하는 글쓰기를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중학생의 관점 확대가 일어난 것을 관찰하였으므로 상호텍스트성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관점 확대에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 응급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

        장미래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 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수도권 소재 상급 종합병원 2곳 및 종합병원 1곳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경력 1년 이상의 응급실 간호사 11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14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셀프리더십은 Manz(1983)가 개발한 도구를 김한성(2002)이 수정 ·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비판적 사고성향은 윤진(2004)이 개발한 도구를,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Jekins(1985)가 개발한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in Nursing Scale(CDMNS)을 백미경(2004)이 번안하고 오인숙(2015)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은 5점 만점에 평균 3.52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구성요소는 ‘자기보상’ 3.90점, ‘자기기대’ 3.62점, ‘목표설정’ 3.51점, ‘리허설’ 3.43점, ‘자기비판’ 3.34점, ‘건설적 사고’ 3.33점 순으로 나타났다. 2. 응급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 만점에 평균 3.47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구성요소는 ‘지적공정성’ 3.79점, ‘객관성’ 3.79점, ‘자신감’ 3.57점, ‘지적열정/호기심’ 3.51점, ‘체계성’ 3.28점, ‘건전한 회의성’ 3.23점, ‘신중성’ 3.15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22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구성요소는 ‘결론의 평가와 재평가’ 3.34점, ‘정보에 대한 조사와 새로운 정보에 대한 일치화’ 3.33점,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 3.22점, ‘대안과 선택의 조사’ 2.97점 순으로 나타났다. 4.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근무형태(t=-2.06, p=.042)와 간호직 만족도(F=4.12, p=.019)에서 임상 의사결정능력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외, 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 학력, 총 임상경력, 응급실 경력, 직위에 따른 임상 의사결정능력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5. 응급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양의 상관관계(r=.487, p<.001)가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도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551, p<.001). 6.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반적 특성인 근무형태, 간호직 만족도는 임상 의사결정능력을 9.4%(F=3.66, p=.015) 설명하였고,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추가 투입한 결과 임상 의사결정능력을 36.7%(F=12.06, p<.001) 설명하여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 의사결정능력을 27.3%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이 중 비판적 사고성향만이 임상 의사결정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β=.39, p=.001). 본 연구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임상 의사결정능력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임상 의사결정능력의 중요 영향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응급실의 특수한 근무환경을 고려하여 응급실 간호사에게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과 교육을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 증진을 위한 연구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이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미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이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 문제해결능력과 임상실습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과 추천의도, 문제해결능력과 추천의도, 임상실습만족도와 추천의도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방법은 분석 목적에 따라 Windows용 SPSS 20.0과 AMOS 20.0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Cronbach's ?,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등 이었다. 모든 통계분석은 유의수준 p<0.05에서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8월부터 10월까지 전국 8개 대학교 320명 중 대상으로 일부 누락된 15명을 제외한 총 305명을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사고성향(p<.001, =.485), 문제해결능력(p<.001, =.229)이 임상실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비판적 사고성향(p<.01), 임상실습만족도(p<.001, =.522)로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상실습만족도가 추천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박진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 A convenience sample of 560 registered nurses was obtained from 5 general hospitals. These data was collect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February 27 to March 16, 2008.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developed by Kwon, et al(2006) and Standardized Nurse Performance Appraisal Tool developed by Park, et al(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117.92 with an item mean score of 3.37. Open-mindedness was the highest with an mean score of 3.64, while creativity was the lowest with an mean score of 3.06. 2. The total mean score of clinical competency was 225.54 with an item mean score of 4.10. nursing provide was highest with an mean score 4.16, whil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as the lowest with an mean score 4.02. 3.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age(F=11.648, p=.000), marital status(F=8.417, p=.004), educational background(F=11.034, p=.000), clinical career(F=7.975, p=.000), working status(t=-3.728. p=.000), position(t=-3.584. p=.000), education experience about critical thinking(t=3.821, p=.000), education hour about critical thinking (F=3.589, p=.015). 4. clinical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competency according to age(F=24.838, p=.000), marital status(F=31.927, p=.000), educational background(F=13.664, p=.000), clinical career(F=28.588, p=.000), working status(t=-3.387. p=.001), position(t=-3.897. p=.000). 5.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was founded(r=.415, p=.000). 6. Prudence, intellectual integrity,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clinical competency(R2= .678). In conclusion,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Prudence, intellectual integrity,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fluence clinical competency. <Key words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competency> 건강관리체계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의 범주도 다양해지면서 간호사들은 예상 밖의 상황에서도 능숙하고 다차원적인 간호제공과 혁신적인 실무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아울러 많은 문제에 직면하게 되므로, 간호사들의 자율성이 증대되었고, 신속한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간호실무가 발전되어 감에 따라 비판적 사고는 간호사들에게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임상실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경험적으로는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간호사가 임상수행능력이 높다는 의견이 있으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본 간호사 대상의 연구가 미비하여,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을 조사하고 이들과의 관계와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강화시켜 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임상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강릉, 부산에 위치한 5개 종합병원의 간호사 560명을 임의표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08년 2월 27일부터 3월 16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권인수 등(2006)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와 박성애 등(2007)이 개발한 간호사 임상수행능력 평가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 에서 얻어진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alpha 계수는 비판적 사고성향 .898, 임상수행능력 .967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상관계수,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판적 사고성향의 평균은 117.92점, 평균평점은 3.37점 이었다. 하위 영역별 평점은 개방성 3.64점으로 가장 높았고, 탐구성, 지적통합, 진실추구, 신중성, 객관성, 도전성, 창의성 순이었다. 2. 임상수행능력의 평균은 225.54점, 평균 평점은 4.10점 이었다. 하위 영역별 평점은 간호제공기능 4.16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지원기능, 간호사의 능력 및 태도,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기능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 36세 이상 군이 다른 연령 군에 비해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으며, 학력은 석사재학 이상이, 임상경력은 10년 이상이, 비판적 사고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없는 간호사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은 연령 36세 이상 군이 다른 연령 군에 비해 임상수행능력이 높았으며, 학력은 RN-BSN 재학․졸업이, 임상경력은 10년 이상인 간호사가 임상수행능력이 높았다. 5.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15, p=.000).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영역 중 신중성과 지적통합, 연령, 학력이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영역 중 신중성 이었으며, 지적통합, 연령, 학력의 네 개 변수로써 임상수행능력의 67.8% (R2= .678)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연령, 학력, 임상경력 등이 높은 간호사가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은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영역 중 신중성과 지적통합, 연령, 학력에 의해 67.8% 설명되었으며, 신중성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수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연구의 결과가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이 양의 상관관계로 밝혀져 비판적 사고성향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한 점, 둘째,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영역 중 신중성과 지적통합, 연령, 학력으로 규명한 점, 셋째, 실무에서 임상수행능력 향상과 비판적 사고성향 증진을 위해 간호사들이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과 계속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 점에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강화시켜 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2. 실무에서 간호사들이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근무여건을 조성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계속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