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職務不安定性이 情緖的 組織沒入과 感情枯渴에 미치는 影響 : 組織公正性의 調節效果를 中心으로

        YAN MENG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내 기업들에 종사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2020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40일간에 직접방문과 E-Mail을 통하여 총 800명에게 실시하였다. 이중 수집되거나 회신된 703부에서 불성실한 설문지와 오류나 설문항목의 누락이 있는 70부를 제외하고 유효표본수 633부를 가지고 직무불안정성, 정서적 조직몰입 및 감정고갈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정서적 조직몰입이 직무불안정성과 종업원들의 감정고갈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직무불안정성과 정서적 조직몰입 사이에서 그리고 직무불안정성과 감정고갈 사이에서 조직공정성이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 직무불안정성의 인식은 감정고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직무불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감정고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는 조직의 내적, 외적 환경변화에 따른 조직의 변화에 대하여 종업원들은 직무의 불안정성을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인식은 감정고갈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종업원의 감정고갈이 조직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함으로 경영자들은 종업원들의 직무불안정성을 감소 내지는 해소시키는 방안의 구축과 종업원들의 직무안정성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가설 2 직무불안정성의 인식은 종업원들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종업원들이 직무불안정성을 인식할 때 정서적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직무상실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은 종업원들이 충성 또는 일체감을 가질 대상인 현재의 조직과 분리를 의미하므로 정서적 몰입의 감소는 당연한 결과로 판단된다. 셋째, 가설 3 정서적 조직몰입은 종업원들의 감정고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종업원들의 정서적 조직몰입은 감정고갈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어 채택되었다. 넷째, 가설 4 정서적 조직몰입은 직무불안정성과 들의 감정고갈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직무불안정성과 감정고갈 사이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섯째, 가설 5 직무불안정성과 종업원들의 정서적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은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조직공정성은 직무불안정성이 종업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 직무불안정성을 인식하고 정서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조직공정성이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가설 6 직무불안정성과 종업원들의 감정고갈 간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은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직무불안정성이 감정고갈에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이 분배, 절차 및 상호작용 등의 공정성에 대하여 이 공정하다고 인식할 경우 직무불안정성이 종업원의 무기력한 상태인 감정고갈을 완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급격한 환경변화로부터 조직경쟁력을 확보하고 종업원들의 공헌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와는 다르게 다양한 형태로 조직의 변화가 일반화되는 상황은 종업원들 관점에서는 자신의 직무불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항상 존재하므로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운영에 긍정적인 정서적 조직몰입을 훼손하지 않고 부정적인 감정고갈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왜냐하면 정서적 조직몰입은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조직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으므로 직무불안정성이 종업원의 조직에 대한 애착이나 일체감을 감소시키지 않아야 하며, 인적자원관리의 기본 이념이 인간존중에 있으므로 직무불안정성으로 인한 종업원의 감정적 고갈 상태를 완화하거나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지닌 한계점은 첫째, 횡단면적 실증연구의 한계점으로 인하여 명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즉, 모든 변수를 일정한 시점에서 측정한 후 분석하였기 때문에 설문 응답자들의 사회적 편향이나 일관성 유지 동기 등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연구변수의 측정방법을 종단연구 혹은 질적 연구방법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자기보고식으로 응답한 설문을 측정한 결과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사회적 바람직성 편의(social desirability bias) 등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 값을 측정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시간과 비용의 제약상 표본 편의적 추출법을 적용하였다. 즉, 연구의 대상이 중소기업 규모의 기업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검증결과를 폭넓게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단위 규모의 기업과 산업으로 대상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 직무불안정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

        박정아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rotean career attitudes. Based on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cast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a level difference betwee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es. Second, we researched whether job Insecur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ts sub variables (caree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rd, we verified whether protean career attitude has a mediating effect on job Insecurity,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variable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we conducted a survey of those employed at a private company from October 16th to November 8th, 2017 through online, e - mail, social media, etc. A total of 246 copies were returned, 236 of which were actually used for this study except for two copies with incomplete questions and eight copies with different subj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ample are presented through basic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Secon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and to confirm internal consistency. Thir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calcul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skewness and kurtosis values of the measured variables and we verifi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gender per study variable. Fourt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Fifth,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groups. Finall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rotean career attitude, Baron and Kenny (1986)'s method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der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elf-directedness of protean career attitude was the only variable that male showed a higher value than female. Second, job Insecu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ts sub-variables (caree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which it had the biggest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lower the Insecurity perceived by an individual, the higher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that the individual feels. Third, we examined whether protean career attitude has a mediating effect on job Insecurity and sub-variable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rotean career attitude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job Insecurity,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the lower the job Insecurity, the more they try to have protean career attitude and improved protean attitude ma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ts sub-variables (caree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perception of the private company employees' subjective career succes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showing the lower the job Insecurity, the higher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it has once again been confirmed that job stability is important for employees' subjective career success, employment pos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ecure, improve, and regulate systems and laws regarding layoffs due to restructuring and/ or M&As to reduce job Insecurity and risk of job loss. Also, it needs to comply with such systems and laws at an organizational leve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leaders should strive to improve organizational operations and systems to reduce job Insecurity by changing organizational policies or reorganizing their organization, rather than taking job instabilities of their employees as a personal problem. Second, it has been newly confirmed that protean career attitude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ts sub-variables (caree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us, organizations and the society need to support employees both organizationally and socially to reduce job Insecurity and improve their protean career attitude. It is necessary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and foster organizational and social culture so that individuals can develop their skills, and provide job-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and motivational programs for new skills required in step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s. 본 연구는 사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불안정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수립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종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연구변인들 간에 수준차이가 존재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둘째, 직무불안정성은 주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들인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프로틴 경력태도는 직무불안정성과 주관적 경력성공,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사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7년 10월 16일부터 11월 8일까지 온라인, 이메일, SNS 등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46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문항의 답을 완료하지 않은 2부와 연구대상이 상이한 8부를 제외하여 실제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236부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기초통계와 빈도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두 번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및 내적일관성 확인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세 번째, 측정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값 등을 산출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각 연구 변인별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네 번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 번째, 집단 간 수준차이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고, 마지막으로 직무불안정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를 확인하고 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거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에 남녀 성별차이는 프로틴 경력태도의 자기주도성만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불안정성은 주관적 경럭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직무만족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인이 직무 불안정성을 낮게 느낄수록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게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불안정성과 주관적 경력성공,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틴 경력태도는 직무불안정성과 주관적 경력성공,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직무만족의 사이에서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 불안정성을 적게 느낄수록 프로틴 경력태도를 가지려 할 수 있으며, 높아진 프로틴 경력태도는 다시 주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직무만족 모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기업 종사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불안정이 낮을수록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게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직장인의 주관적 경력성공, 직무만족,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을 위해서는 직무안정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연구결과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차원으로 고용불안정 감소, 직무상실에 대한 위험 감소를 위하여 구조조정, M&A에 따른 정리해고 등에 대한 제도적, 법적으로 미진하거나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보안, 개선, 규제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 차원에서는 이러한 제도와 법률을 준수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경영자와 조직 리더는 구성원들의 직무불안정성을 개인적인 문제로 당연시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이고 일관성 있는 인사정책, 구성원들의 수용성을 고려한 조직 변화 등 직무불안정성을 낮추기 위한 조직 운영과 제도 개선을 노력해야한다. 둘째, 프로틴 경력태도는 직무불안정성과 주관적 경력성공,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경력만족, 고용가능성과 직무만족 사이 모두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난다는 새로운 경로를 실증하였다. 따라서 조직과 사회는 직무불안정성 감소에 대한 노력과 함께 근로자들이 프로틴 경력태도의 증가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조직과 사회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개인이 능력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과 조직, 사회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직무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제공,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기능, 기술 습득에 대한 학습과 학습 동기부여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

      • (The) effect on postural stability and muscular strength applied instability resistance training

        박성진 Korea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계단 오르내리기, 걷기, 달리기 그리고 여가시간을 이용해 여러 가지 운동을 접하게 된다. 이러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신체가 필히 요구된다. 이러한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전략을 이용한 중력중심과 기저면의 정렬을 회복하기 위해 점진적인 활성화를 통한 자세 안정화와 근수축을 통한 운동수행능력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세 안정화와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불안정성 저항 훈련이 최적의 운동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8주간 3가지 강도에 따른 불안정성 저항 훈련의 적용 전·후 하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자세 안정화 및 운동 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훈련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2. 연구방법 29명의 연구대상자들을 ZRT: Zero percent Resistanace Training, TRT: Thirty percent Resistanace Training, FRT: Fifty percent Resistanace Training 이렇게 3집단으로 나누어 불안정성 저항 훈련 적용 전, 후 각각 등속성 근기능 검사, 정적·동적 균형 검사, 순발력 검사, 민첩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8주간 불안정성 저항훈련 적용 전·후 집단 간 운동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을 산출하고, 반복 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사용하였으며, 처치 전·후와 그룹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후검증(post-hoc)으로 LSD 방법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0(IBM, USA)을 이용하여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3. 결과 및 논의 본 연구의 결과 total work값이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감소된 값을 나타내는 것은 스쿼트와 같이 무거운 부하를 들어 올리거나 몸통에 갑작스러운 부하가 가해질 때, 몸통 주변의 근육들은 척추의 자세와 안정성 및 압박을 줄이기 위해 동시 활성화(co-activation)되며 (Cholewicki & VanViet, 2002), 또한 균형을 유지하는 코어 근육을 향상시켜 관절이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와 하지 근육의 근활성화를 가져 온다고 하였다(Saeterbakken & Fimland, 2013), 2005년 Kenneth & David 의하면 불안정한 스쿼트 운동 시 복부 안정화 근이 스미스 머신 보다 더 높은 근활성도를 보여 자세 안정화 역할에 기인하였다고 사료된다. 몸통 근육의 동시 활성화는 팔과 다리의 움직임을 지탱할 수 있는 기저면을 만들어 더 높은 근력과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Cholewicki et al., 2002). 자세 안정화에 있어 균형 능력은 다양한 체력과 함께 신경학적 지각을 통합하는 복합적인 운동조절능력이며, 신체안정성, 기술의 정확성에 관여하며 운동수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Riemann & Guskiewicx, 2000). 우리 인체에서 기립 자세를 유지하는 중추신경계는 지지면과 접하고 있는 발과 관절이 움직임을 인식하는 체성감각체계와 하지와 몸통 근육 사이에서 수축성 활동을 결정하는 근육협응작용(muscle coordination)에 의해 결정 되어 진다. 특히 근육의 협응은 자세 안정화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kendall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균형 능력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전·후·좌·우의 4방향에서 동적균형능력을 알아보는 Bass 검사와 정적균형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Romberg 검사를 실시하였다. Bass 검사 결과 3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지만 Romberg 검사 결과에서는 오른발 지지의 경우 TRT, FRT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왼발 지지의 경우 FRT집단의 경우 측정 시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자세나 관절의 위치를 유지하는 자세유지 근육이 역할을 하고 나면 더 큰 근육인 주동근들이 수축하면서 관절의 움직임이 일어난다(Gray, 2003). 이러한 자세유지 근육의 협응력 향상은 움직임이 일어나는 첫 단계로써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닫힌 힘 사슬 운동의 한 형태인 스쿼트 동작에서 보수 볼 위에서 행해지는 불안정성 저항이 근육 협응력의 활성화를 통해 균형능력을 향상 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불안정성 운동이 균형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목관절 주변의 근육을 비롯한 조직에 자극을 주어 근력증가, 고유수용성 감각 향상과 가동성 등을 향상시켜 대학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균형능력 강화에 그 효과가 우수하다는 연구와 일치한다(Smith et al., 2015). 하지의 운동기능이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요구되는 동작이 하지의 움직임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며, 하지의 운동기능과 각각의 스포츠에서 요구되는 기량과의 상관성은 매우 높다(Joseph et al., 2014). 하지의 운동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측정방법의 하나인 사이드스텝 테스트는 150cm 간격의 평행선을 자신의 체중 부하로 일정시간 동안 좌·우 왕복 이동한 횟수를 기록으로 하는 검사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측정하는 평가방법으로 오래전부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Suzuki et al., 2014). 민첩성을 보기 위한 사이드스텝 측정결과 FRT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ZRT, TRT집단에서는 측정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방추 일차신경종말의 흥분과 알파운동신경의 활성화를 통해 유발된 근수축 기전에 효율성의 증가를 통해 민첩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Ahlborg et al., 2006). 또한 사이드 스텝의 기록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체간을 중심으로 외발지지 후 반대발은 COG를 벗어난 지점까지 뻗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작 특성상 균형능력의 향상과 함께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Hooker, 2004). 하지만 FRT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점을 고려할 때 이를 근거로 불안정성 저항 훈련의 효과를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순발력을 보기 위한 제자리 멀리뛰기 측정결과 TRT, FRT집단에서는 측정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자리 멀리뛰기 기록이 훈련 중재 전·후로 향상 됐다는 것은 하지의 신장반사와 관절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탄성에너지와 펌반사의 순간적인 근력 발휘능력이 향상되었다고 간주 할 수 있다.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 29명을 대상으로 불안정성 저항 훈련 적용 강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8주간 훈련을 적용한 후, 자세 안정화와 운동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저항 훈련 적용 전·후 집단 간 hip joint의 isokinetic 검사에서 peak torque(60°/sec) of right hip flexors 수치는 TRT,FRT 집단에서, peak torque deficit(60°/sec) of right and left flexors는 TRT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저항 훈련 적용 전·후 집단 간 knee joint의 isokinetic 검사에서 peak torque(60°) of left knee flexors 수치는 TRT, FRT 집단에서, total work(60°/sec) of right knee extenxors 수치는 FRT 집단에서, total work(60°/sec) of left knee extenxors 수치는 FRT 집단에서, total work (60°/sec) of left knee flexors 수치는 ZRT, TRT, FRT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저항 훈련 적용 전·후 집단 간 ankle joint의 isokinetic 검사에서 peak torque(60°) of left ankle plantarflexors 수치는 FTR 집단에서, peak torque(60°) of left ankle dorsiflexors 수치는 TRT 집단에서, total work(60°/sec) of left ankle plantarflexors 수치는TRT 집단에서, total work(60°/sec) of left ankle dorsiflexors 수치는 FRT 집단에서, total work(120°/sec) of left ankle plantarflexors 수치는 FRT 집단에서, total work(120°/sec) of left ankle dorsiflexors 수치는 TRT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저항 훈련 적용 전·후 집단 간 balance 검사에서 right foot support 수치는 TRT,FRT 집단에서, left foot support 수치는 FRT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저항 훈련 적용 전·후 집단 간 agility 검사는 ZRT, TRT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저항 훈련 적용 전·후 집단 간 power 검사는 TRT, FRT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불안정성 저항 훈련 적용 전·후 세 집단에서 등속성 장비를 이용한 검사결과 일정한 근육 능력에 대한 패턴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불안정성의 운동의 특성으로 인해 발목 전략 보다는 엉덩이 전략을 이용하였고, 자세 안정화를 위한 균형능력과 운동 수행을 위한 민첩성과 파워 능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일상생활을 위한 자세 안정화와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결론을 내려 보았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성 저항 훈련 집단을 지면의 불안정성 정도와 중량 이렇게 두 가지 종류의 강도에 따라 구분하였다. 8주 동안 가장 고중량 훈련 집단인 FRT집단에서조차 peak torque value를 포함한 근력 변인들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 불안정성 운동에 대한 적응이 되지 않은 대상자들을 선정함으로써 1RM의 50% 이상 강도에서 저항 훈련을 진행 할 수가 없었다. 그로 인해 불안정성 저항 훈련이 자세 안정화와 운동 수행력에는 도움이 되었으나, 근력적인 측면에서의 부족함으로 인해 근력 능력의 향상을 위한 운동 방법으로 권장되기에 부족해 보인다. 따라서, 다음 연구에서는 불안정성에 대한 근신경적 적응을 마친 대상자들을 적용해 1RM에 70% 이상의 강도에서 훈련을 진행한다면 근력의 발달과 자세 안정화 및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과 더불어 근력을 발달시키는 최적의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for the present effective train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postural stabilization and ability to execute exercise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ffect of 8 weeks of instability resistance training in accordance with various intensities on the exercise functions of lower limbs prior to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raining to male university stud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le students at the K university in Sejong Metropolitan City without defects in physical structure and orthopedic disorders. Only those with voluntary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urposes and intents of the research were selected. This study was executed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3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1RM of squatting movement, which is a resistance exercise. Resistance training for each of the groups was executed over a period of 8 weeks, 3 times a week and 35 minutes for each training session. 1. Before and after applying resistance training, in the isokinetic test of hip join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groups as follows: the value of peak torque(60°/sec) of right hip flexors in TRT, FRT groups, the value of peak torque deficit(60°/sec) of right and left flexors in TRT group. 2. Before and after applying resistance training, in the isokinetic test of knee join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groups as follows: the value of peak torque(60°/sec) of left knee flexors in TRT, FRT groups, the value of total work(60°/sec) of left knee extenxors in FRT group, total work(60°/sec) of left flexors in ZRT, TRT, FRT groupS. 3. Before and after applying resistance training, in the isokinetic test of ankle join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groups as follows: the value of peak torque(60°) of left ankle plantarflexors in FRT, group, the value of peak torque(60°) of left ankle dorsiflexors, total work(60°/sec) of left ankle plantarflexors & total work(120°/sec) of left ankle dorsiflexors in TRT group, the value of total work(60°/sec) of left ankle plantarflexors in TRT group, the value of total work(60°/sec) of left ankle dorsiflexors & total work(120°/sec) of left ankle plantarflexors in FRT group. 4. Before and after applying resistance training, in the blalnce test of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groups as follows: the value of right foot support in TRT, FRT groups, the value of left foot support in FRT group. 5. Before and after applying resistance training, in the agility test of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groups as follows: the value of agility in ZRT, TRT groups. 6. Before and after applying resistance training, in the power test of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groups as follows: the value of power in TRT, FRT groups. As a result of using isokinetic equipment in 3 groups before and after applying instability resistance training, we could not find a pattern of certain muscle ability. However, this training seems to be effective for stabilization of posture and exercise capacity for daily life,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balance ability for posture stabilization, agility and strength for exercise performance. In this study, 2 criteria were used to classify target groups : the degree of unstable ground and weight. Even the FRT, the most intensely trained group for 8 weeks, did not show improved results in strength variables including peak torque value. Because we selected subjects who were not adapted to the instability exercise, resistance training could not be carried out at more than 50% intensity of 1RM. As a result, although instability resistance training is helpful for postural stabiliza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it is not recommended as exercise method to improve muscle strength because it is lacking in muscle strength. Therefore, in the next study, if we apply subjects who had completed adjustment in muscle-neurological ways, and conduct training at more than 70% intensity of 1RM, this can be expected as an optimal program that will help developing muscle strength, posture stabiliza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improvement.

      • 만성발목불안정성, 코퍼, 건강한 그룹 간의 시각 제한 및 비 예측 섭동에 따른 자세제어

        김세희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Ankle injuries occur most frequently during daily life and exercise, and the loss of function and repeated injuries due to injuries are associated with the early onset of osteoarthritis and joint impairment in old age. Lateral ankle sprain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ankle injuries, progress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a chronic residual symptom that includes recurrence of the ankle injury, unstable feeling in the ankle joint, pain, swelling, and loss of function 12 months after the injury. He suffered an ankle sprain, but was divided into coper with the same functions as a healthy person. Chronic ankle instability is highly dependent on vision due to a decrease in somatosensory during postural adjustment. However, in previous studies on sensory reloading, As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under the two conditions of eyes open (EO) and eyes closed (EC), there was a limit to sensory re-weighting through the step-by-step adjustment of visual information. However,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stroboscopic vision (SV) technology that can provide intermittent visu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visual feedback between the eyes closed state (EC) and the eyes open state (EO). It is possible to reload the senses through the step-by-step adjustment of visual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visual condition (EO, SV, EC) on dynamic postural control (Time to stabilization; TTS) under random perturbation conditions between CAI , Coper, and Healthy groups. Let's take a look at the impact. 발목 부상은 일상생활과 운동 중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며 부상으로 인한 기능 감소와 반복된 부상은 골관절염의 조기 발병과 노년의 관절 장애와 관련이 있다. 발목 부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측발목염좌는 부상 후 12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발목 부상의 재발, 발목 관절의 불안정한 느낌, 통증, 부종 및 기능 상실 등을 포함하는 만성 잔류 증상인 만성발목불안정성으로 진행 되거나 발목 염좌를 당했지만 건강한 사람과 같은 기능을 가진 코퍼로 나뉘게 된다. 만성발목불안정성은 자세 조절 시 체성 감각의 저하로 시각에 많이 의존 하게 되는데 시각적 피드백을 단계적으로 방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눈을 뜨거나(eyes open, EO) 눈을 감는(eyes close, EC) 두 가지 조건에서만 연구가 수행됨에 따라 시각 정보의 단계적 조절을 통한 감각 재 가중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간헐적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트로보스코픽 비전(stroboscopic vision, SV) 기술의 발전으로 눈은 감은 상태와 눈을 뜬 상태의 중간 단계의 시각적 피드백 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시각 정보의 단계적 조절을 통한 감각 재가중이 가능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발목불안정성, 코퍼, 건강한 그룹 간 무작위 섭동 조건에서의 시각 컨디션(EO, SV, EC)이 동적 균형 제어(자세 회복 시간: time to stabilization, TT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중국의 항공사 지상직 근로자가 인식한 직무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리더신뢰의 조절효과

        지세남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Discussion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around the world and numerous industrial studies are under way. The aviation industry is one of the most advanced and precise industries, including air transport, airports, safety and security, navigation support and maintenanc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een as a phenomenon in which the real world and virtual space converge around people. It is called the "digital technology revolution" 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robots and bio. In particular, the aviation industry can be cited as the most influential industr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utilization rate of customers using airplane boarding procedures using mobile phones and others is steadily increasing. Unde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irlines are providing smart servi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customized services that are believed to pas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develop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expect to replace the work of many airport ground workers in physical and intellectual areas, and many workers who have not acquired and adapted to new technologies will also be expected to lose their jobs. Therefore, airline ground workers may be called job insecurity. Job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work-related general health outcomes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psychological pain (anxiety and depression) physical health complaints. It is also related to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workplace and organization, such as decreased job satisfaction, impersonation, and decreased emotional organizational immersion. Tension induced by job insecurity may also affect turnover. Job insecurity leads to negative consequences by reducing workers' sense of control over their work, so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some control and thereby increase control to curb negative consequences. The study seeks to examine the ground workers of Chinese airlines how the job insecurity they perceive affects the degree of turnover. I also want to explain this process with an individual's perceived control. Furthermore,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 of controlling trust in leaders in the process of job insecurity affecting the sense of control. We would like to reveal the change in control and turnover depending on the level of job insecurity perceived by airport ground worker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role of perceived control in the process of job insecurity perceived by airport ground workers in the process of turnover and verify the mediated effects. To verify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differ depending on their attitude toward the leader, we would like to verify the adjustment effect of trust in leade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up a survey of ground workers working at Shanghai Pudong International Airport and Hangzhou Xiaoshan International Airport. A total of 22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ose surveyed. Among them, 20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99 questionnaires were eventually used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those that answered insincerely with the same score from the analysis. A total of five hypotheses were set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All the hypotheses set during this study were supported, and in summary, they are as follows. First, job insecu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insecurity had an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Third, there was a negative effect between the perceived control and the intention turnover. Fourth, perceived control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trust in leader had a moderating effect (-) between job insecurity and perceived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airport management.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수많은 산업의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항공 산업은 그중에 하나로 항공운송, 공항, 안전 및 보안, 항행지원, 정비 등이 고도화와 정밀화된 최첨단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사람 중심으로 현실세계와 가상공간이 융합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인공지능, 빅 데이터, 로봇, 바이오 등이 주도하는 ‘디지털기술혁명’으로 불린다.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 항공 산업을 꼽을 수 있으며,실제로 휴대폰 등을 사용하여 비행기 탑승수속을 이용하는 고객의 이용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하에 항공사들은AI(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서비스, 빅 데이터를 통한다양한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발전한 인공지능과 로봇은 육체적·지식적인 부분에서 많은 공항 지상직 근로자의 일을 대체될 것이라는 예상을 할 것이며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고 적응하지 못한 많은 근로자들은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도 예상될 것이다. 따라서 항공사 지상직 근로자 들이 직무불안정성이 발생한다고 불 수 있을 것이다. 직무 불안정성은 정서적 고갈, 심리적 고통 (불안 및 우울 증상) 신체적 건강 불만과 같은 일과 관련된 일반적인 건강 결과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직무 만족도 저하, 비인격화, 정서적 조직 몰입 감소와 같은 직장과 조직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관련이 있다. 직무 불안정성을 커지면 유발한 정서는 이직에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직무 불안정성은 근로자들의 일에 대한 통제감을 감소시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 하다,따라서 어떠한 조절 효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서 통제감을 증가 시켜 부정적인 결과를 억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연구는 중국 항공사의 지상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직무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어떻게 영항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런 과정을 개인이 지각한 통제감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직무불안정성이 통제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공항 지상직 근로자가 인식한 직무 불안정성의 수준에 따른 통제감과 이직의도의 변화를 밝히고자 한다. 공항 지상직 근로자가 인식한 직무 불안정성이 이직의도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지각한 통제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리더에 대한 태도에 따라 조직구성원이 인식한 직무불안정성의 부정적인 효과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하고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에 근무하고 있는 지상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225부의 설문지를 공항 지상직 근로자 에게 배포하였다. 209부의 설문지를 회수했다. 불성실하게 작성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남은 총 199부의 설문지를 통해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5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중에 설정한 모든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 첫 번째, 직무 불안정성이 이직의도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직무 불안정성이 지각된 통제감과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지각된 통제감과 이직의도 사이의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 번째, 지각된 통제감은 직무 불안정성과 이직의도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리더 신뢰는 직무 불안정성과 지각된 통제감 사이에(-)에 조절효과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공항 관리층에게 효과있는 인적자원 관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노동 및 주거불안정과 임차불안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주택 임대료 인상 요구에 대한 임차인 대응을 중심으로

        조유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주택임대시장에서의 임대료와 지속거주의 불안정성은 매해 가중되고 있으며, 점점 더 많은 임차가구들이 임차형태로부터 오는 불안감을 체감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주택정책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주택정책이 임차가구의 외재적 요인을 고려한 정책에 의존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은 주택가격 및 공급량 조절처럼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이 직접적으로 주거불안정성을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만으로는 시장 불안정성을 완화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시장 내 불확실성에 기인한 심리적 편의(bias)처럼 눈에 보이지 않지만 행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점을 고려한 임차인의 주거의사결정 논의가 이루어져야, 주택임대시장 불안정성 완화의 실마리를 찾아나갈 수 있다. 하지만 주택임대시장 내 행위자의 행태연구 중 이러한 요인을 다룬 실증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주택임대시장 내 수요자인 주택임차인 관점에서 주택임대시장의 불안정성을 바라보며, 상황의 불확실성에 기인한 심리적인 편의가 그들의 의사결정에 반영된다는 점에 기반을 둔다. 심리적 편의 중에서도 특히 주택임대시장 내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체감이 보편화되는 심리요인인 임차인의 불안감 분석에 연구의 방점이 있다. 연구의 목적은 임차가구 및 주택 특성과 지역 요인이 임차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불안감이 매개가 되어 주거불안 가중 상황에서 임차인의 주거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경로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행동의사결정론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임차불안감을 중심으로 임대료 인상 요구에 따른 임차인 대응을 분석하고, 기존 실증적 논의에서 부족했던 임차인의 의사결정에서 주택임차인 불안감과 노동불안정의 관계에 대해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소득변동성에 민감하거나 취약한 집단(비정규직 가구주)일수록 임차불안감을 체감할 확률이 높아지지만, 임차가구의 소득수준은 소득변동성에 비해 임차불안감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불안감이라는 감정이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높을수록 심화되는 감정이라는 것을 재확인하고, 임차불안감 또한 실제 경제적 수준보다는 소득상태의 불안정성과 더 깊은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 외에도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할수록, 현 주택에 거주한 기간이 길수록 임차불안감을 느낄 확률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공공임대주택 공급정책이나 계약갱신 요구권 개정 등의 정책이 임차인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어서 임차불안감이 임차인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임차불안감을 주요 변수로 하여 임대료 인상 요구에 따른 임차인 대응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대료를 추가 지불하면 불확실성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임차불안감(재계약 거부 불안감, 전월세 전환 및 임대료 인상에 대한 불안감)을 많이 느낄수록 현 임대료 대비 지속거주를 위한 임대료 추가지불의사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변동성의 취약도를 보여주는 가구주 비정규직 여부는 지속거주를 위한 임대료 추가지불의사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편, 임차가구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지속거주를 위한 임대료 추가지불의사비율이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소득변동성 대비 소득수준이 임대료 인상요구에 대응한 임차인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위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임차인의 소득변동성 취약도가 임차불안감을 매개하여 지속거주를 위한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는 인과경로를 확인하는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득변동성이 지속거주를 위한 추가지불의사비율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소득변동성에 취약한 집단일수록 재계약 거부 불안감과 전월세 전환 및 임대료 인상 불안감을 매개로 하여 지속거주를 위한 추가지불의사비율이 높아지는 간접영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택임대시장에서 불안감이라는 감정이 불확실성 그리고 변동성과 연관이 깊다는 것을 잘 나타내준다. 그리고 이것은 소득수준이 높지 않더라도 일정 소득을 정기적으로 얻는 임차가구는 소득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낮기 때문에 임차불안감을 느낄 확률이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임차가구의 소득변동성 취약도와 반대로 소득수준은 지속거주를 위한 추가지불의사금액 비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임차불안감을 통한 간접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경제학에서 말하는 경제적 합리성만으로는 임차인의 의사결정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소득수준과 같이 경제적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만 미치는 요인만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득변동성과 같이 임차불안감을 매개해야 나타나는 간접효과를 지닌 요인의 영향이 함께 어우러져서 임차인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세 가지 모형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가구의 소득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지속거주 불확실성에 기인한 임차불안감이 가중되어 지속거주를 위한 임차인의 임대료 추가지불의사비율이 높아진다. 이때 높아진 지불의사가 시장에 반영되어 임대료가 상승하면 다시 임차불안감이 가중되고 임대료 추가지불의사와 실제 임대료가 재상승하여 주거불안정성이 가중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임차인의 의사결정에서 임차불안감 논의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실증 데이터를 통해 검증한 실천적 기여가 있다. 임대료 상승과 단기간 주거이동이 지속되는 주요 원인에는 임대주택 공급 불안정이 있겠지만, 그 외에도 소비자의 감정요인인 임차불안감이 임차인의 경제적 대응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주택임대시장 내 임차인에 관한 학술적 논의에서 임차불안감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해져야 할 필요성과, 주택임대시장의 불안정성 완화 정책을 펼 때 임차불안감을 체감하는 집단 특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소득변동성과 임차인의 지속거주를 위한 경제적 의사결정 사이의 관계에서 임차불안감의 기제를 발견함으로써 개인의 감정요인인 불안감에 초점을 두어 노동불안정성 논의를 주거영역으로 확장을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instability of rent and residence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more and more rental households are feeling anxiety from the form of rent.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numerous housing policies to solve this problem, but policies that focus on controlling prices and supply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or targets with obvious problems have little effect on resolving instability. The lack of effectiveness shows that response to external phenomena such as housing price and supply control has limitations in alleviating market instability. Because invisible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bias caused by uncertainty in the market, also affect the actor's decision-making. Discussions on tenants' residential decisions should take plac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so that they can find a clue to easing instability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dealing with these factors in studying actors' behavior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bases on the housing instability from the housing tenant's perspective and roots that psychological bias caused by uncertainty reflects in their decision-making. Among the psychological bias,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tenants' anxiety, which is a psychological factor that becomes more common as the uncertainty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increases. To be specif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rented households and houses and regional factors on tenants' anxiety and to identify the causal path that affects tenants' housing decisions in the face of their rising anxiety. Based on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tenant's response to the rent increase request based on the behavioral decision-making perspective. It also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tenants' anxiety and labor instability in the tenant's decision-making, which was insufficient in previous discus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groups vulnerable to income variability (householders who are temporary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housing anxiety. However, rental households' income level does no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housing anxiety compared to income variability. These results reaffirm that anxiety is an emotion that intensifies with higher variability and shows that tenants' anxiety is also more related to the instability of income status than to tenant's income level. Besides, it confirms that the longer they have lived in the same house, the less likely they are to feel anxiety. People living in public housing also show a lower probability of feeling anxiety comparing those living in private hous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policies, such as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or guaranteeing contract renewal on the same terms as before, positively impact tenants' psychological stability. Nex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nant's response to rent increase requests were examined using tenants' anxiety as a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 As a result, when tenants got the rent increase request, the more they feel the anxiety related to the situation expected not to be happened by paying additional rents, the higher the ratio of willingness to pay to current rent for continuing their residence. Whether or not the householder is a non-regular worker, which shows the vulnerability of income vari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atio of willingness to pay to current rent for their continuous residence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income level of renter households, the higher the ratio of willingness to pay to current rent for continuous resid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income level compared to the income variability directly influences the tenant's economic decision-making to rent increase request. The last analysis identifies the causal path in which the vulnerability of tenants' income variability mediates tenants' anxiety and leads to decision-making for continuing residence. As a result, it appears that income variability had no direct effect on the ratio of willingness to pay to current rent for continuous residence. However, it proves that the more vulnerable to income variability is, the higher the indirect effect of increasing the ratio of willingness to pay for continuous residence through the anxiety of refusal to renew contracts and the anxiety of conversion from monthly rent to Jeonse(long-term rent with lump-sum deposit) or rent increa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xiety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is deeply related to uncertainty and variability. Even if the income level is not high, renters who regularly earn a certain amount of income can be less likely to feel anxious about rent because of lower uncertainty on their income. On the other hand, contrary to the vulnerability of income variability in renter households, the income level directly affects the ratio of additional payments for continuous residence but does not indirectly affect tenants' anxiety.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fully explain the tenant's decision-making only with economic rationality. This is because decision-making is performed not only by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economic decision-making, such as income level, but also by factors that have indirect effects, such as income variability, which only appear when they mediate tenants' anxiety. Summing up the three models' results, the higher the household's income instability, the higher the tenant's rent willingness to pay for continuous residence, mediating tenants' anxiety caused by the uncertainty of continuous residence. At this time, if rent is rising since the increased willingness to pay affects the market, tenants' anxiety will increase again, and the rent willingness to pay and actual rent will rise again, leading to a vicious cycle of increased housing instability. This study has practical contributions that have empirically verifi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iscussing tenants' anxiety in tenant's decision making. The reason why rents rise and short-term residential movements increase may be objectively unstable in the rental housing supply. However, it also proves that tenants' anxiety, an emotional factor of consumers, acts as a factor determining tenants' economic response. This result suggests that further academic discussions on tenants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need to be more active in research on rental insecur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groups' characteristics vulnerable to tenants' anxiety when implementing policies to alleviate the housing rental market's insta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discussion of labor instability into a discussion of housing insecurity through individual emotional factors, anxiety by discovering the mechanism of tenants'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variability and their economic decision-making for continuous residence.

      • 청년 임차가구의 주거불안정성 지수개발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전지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사회적 불평등이 주택부문에서 재생산되며 주거불안을 겪고 있는 청년 임차가구를 대상으로 주거불안정성 문제에 대한 주요 지표를 선 정하고, 선정된 지표를 통합하는 지수를 작성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주 거불안정성지수에 가구주 특성, 주택 특성 등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자 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확대된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노동시장은 유연해졌고 불안정한 노동은 보편화되었다. 노동시장의 변화는 주택시장의 변화에 영향을 미쳐 주거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OECD 국가 중에 서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편으로 유명한 우리나라 청년이 겪는 고용과 주 거불안정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청년은 장기 고용의 불확실성 속에서 스스로 능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일을 배워 가야 하는 중첩된 불안의 처지 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자산 축적이 어려운 청년은 공간적 소외와 배제에 가장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 주거불안정성은 고용위기와 사회위기가 지속되며 불안정 고용으로 청년 저임금자가 증가하여 주거비 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주거시 설과 주거서비스가 더 열악한 주택으로 이동하며 점유안정성이 약화하는 것을 말한다. 청년 임차가구의 주거불안정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 하여 주거비 부담, 점유안정성, 주택 품질, 주거필수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등 4가지 주요 지표를 선정했다.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 터를 사용하여 주거불안정성의 주요 지표 4가지를 측정했고 이를 하나의 지수로 통합했다. 네개의 지표를 한 지수로 통합하기 위한 가중치는 다기 준 의사결정 기법인 AHP 분석을 적용해 산출했다. 이를 통해 청년 임차가 구가 겪고 있는 주거불안정성 문제를 동일가중치로 적용한 지수보다 정확 하게 측정했다는 점이 본 연구가 학술적으로 기여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주거불안정성지수에 청년층 임차가구의 가구주 특성과 주택 특성 변 수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불안정성 정도 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통된 기준이 있어야 하나 정형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UN 주거권의 7가지 조건과 주거안정 관련 주요 지표를 비교분석했다. 검토 결과, 주거비 부담, 점유안정성, 물리적인 주택시설의 품질과 적절성, 주거필수서비스에 대한 접근용이성 4가지를 선정했다. 둘째, 주거불안정성의 주요 지표를 하나의 통합지수로 작성하기 위해 AHP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부여했다. 분석 결과, 주거비 부담(42%), 점유 안정성(32%), 주택품질과 시설(15%), 주거필수서비스에 대한 접근 용이성 (11%)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청년 임차가구 대상으로 주거불안정성지수를 작성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했다. 성별, 가구원수, 비정규직, 소득, 거주지역, 점유형태, 주택내 위치 등 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근로형태별로는 비정규직의 주거불안정성이 정규직보다 크게 나타 났다. 이는 노동시장 유연화와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근속근무가 어려워지 면서 청년층의 비정규직 비율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노 동 불안정성은 소득 변동성 확대로 나타나고, 주거 임차료 상승으로 RIR이 커지면서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이 확대되게 된다. 이러한 노동 변동성 증 가와 주거비 부담 증가는 주거불안정성을 느끼는 가구가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다섯째, 점유형태는 월세나 연세 등의 비전세 가구가 주거불안정성이 나 타났다. 이들은 전세가구에 비해 계약기간 종료 후 재계약 불안감, 퇴거를 요구받게 될 수 있는 불안감 등이 커 주거불안정성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청년층의 주거불안정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주거불안정성지수 는 개개인의 주거 불안정 상태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이는 개인의 주거복지 배분 측면에서 제각기 느끼고 있는 것을 정량적으로 측정 하여 청년층 대상 복지정책 관련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기존 복지정책 에서 배제되어 있던 청년층에 필요한 주거복지 정책이 무엇인지 정책 방향 을 정하는데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주거불안정성지수, 청년 임차가구, 주거비부담능력, 주거환 경, 주택품질, 주거서비스 접근성

      • 불안정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고용과 소득에 대한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석진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은 사람에게 가장 궁극적인 목표일 것이다. 삶의 만족도가 행복에 대한 기준이 되었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고 많아졌다. 더욱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어졌고 삶의 만족도를 추구하기 위해 불안정한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정성 경험에 대한 요인을 고용과 소득 측면에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불안정성이라는 요인은 급변하는 현대 사회의 변동성을 잘 반영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자리 및 소득 측면에서 불안정성에 대한 경험의 정도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일자리 및 소득 측면에서의 요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19세 이상부터 만 64세까지의 전국의 성인남녀이다. 2018년에 실시한 ‘자유와 안정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사용하여 684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 및 소득에 대한 불안정성 경험이 삶의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위 요인 중에서는 월평균 가구 소득, 학력, 배우자 유무, 건강, 자율성에 대한 요인이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령 요인이 삶의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배우자 유무, 건강, 자율성에 대한 요인이 삶의 만족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일자리에 대한 요인인 종사상지위 중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안정적인 종사상 지위를 기준으로 불안정한 종사상 지위는 삶의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종사상지위보다 불안정성에 대한 경험이 강한 요인이었다. 셋째, 소득에 대한 요인 중 월평균 가구소득 요인이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소득과 삶의 만족이 정적인 영향관계일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월평균 개인소득과 주택 가격은 유의미한 요인이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절대적인 소득이 반드시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넷째, 소득에 따라 중간층 이상 집단과 저소득 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일자리 및 소득에 대한 불안정성 경험이 삶의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간층 이상 집단에서 불안정성 경험 요인의 유의성을 확인한 것은 삶의 만족에 대한 정책 측면에서 불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안정성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소득에 상관없이 누구나 불안정성이라는 변동성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저소득 집단을 중심으로 펼쳐진 정책에서 벗어나 중간층 이상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소득집단에 따라 불안정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소득보장의 확대를 위해 소득대체율을 50%까지 보장되도록 해야 하며 점차적으로 증가되어야 한다. 또한 실업부조 및 실업급여 지원과 함께 재취업을 위한 훈련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security experience affect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job and incom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regarding life satisfaction, insecurity experience has been overlooked. However, insecurity experience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person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job factors have been consider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insecurity experience on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groups are divided into upper middle-class group and lower income group according to family income. Data used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via a survey of perception about freedom and security by LAB2050 in 2018. The sample is composed of 684 people from 19 years old to 64 years ol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TATA 14. As a result, insecurity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nsecurity experience in terms of job and income has an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amount of income and job status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However, it was family income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 income, family income, and housing price. Moreover,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insecurity experience depends on income, two groups are divided into upper middle-class group and lower income group according to family income.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out that people with higher incomes can be influenced by insecurity experience. In other words, people with higher incomes are not able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because of insecurity experience.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 of policies can be illustrated as follows. First, upper middle-class should be considered to implement policies such as unemployment benefits in labor market. Second, employment and training programs have to provide benefits if job seekers who were on high incomes suffer from insecurity experience. They also have to help job seekers who were on low incomes.

      • 청년 불안정성의 궤적과 유형

        박나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사회구조적 변화에 기인한 청년 불안정성을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그 양상을 종단적인 궤적으로 파악하고 유형화하여 실증 분석함으로써 심각해지는 청년 위기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청년 불안정성은 ‘청년기 보편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용, 소득, 부채와 관련된 안전성이나 안정성의 결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청년패널조사(YP) 자료를 토대로 집단중심 다중추세분석을 통해 청년 불안정성에 대한 7년간의 궤적과 유형을 도출한 결과, 동태적 특성과 집단 내부의 이질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이 경험하는 불안정성의 궤적과 유형은 연령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변화 양상에 따라 상이한 6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초기에 모든 불안정성이 안정 상태로 감소하는 약 10%를 제외하면, 모든 청년은 일정 수준 불안정성을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청년기 불안정성은 만23세에서 만28세에 집중되고 있으며, 만29세에는 전반적인 불안정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시장 이행기간의 장기화, 노동소득분배율의 악화, 이중노동시장 등의 구조적 요인의 변화에 기인한다. 둘째, 청년 내부의 이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성과 학력, 계층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 고졸, 하위 계층의 청년일수록 불안정한 궤적 유형이 더 많이 관측되었다. 청년의 불안정성이 보편화된 만큼 취약계층의 상황은 더욱 악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년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본적인 고용 불안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중노동시장이나 제도적 이중구조화 문제를 중·장기적 관점에서 해결해야 하며, 기존 고용지원 위주의 일자리 정책의 실효성을 재평가하여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득 불안정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노동소득분배 악화에 대한 대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판단 하에, 청년기본소득이나 자본소득 분배의 확장 방안 등을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취약계층 청년을 고려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는 여성 청년이 경험하는 불합리한 현실에 대한 정책적 보완과 고졸, 하위 계층 청년을 위한 실제적인 진로 탐색의 기회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청년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정책 간에 상보성을 고려하여 세밀하게 설계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청년패널 자료에 기반하여 청년 불안정성을 총체적으로 정의하고 분석하여, 학문적 외연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종단적 궤적을 파악하여 유형화하고, 정책의 개입 시기를 모색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실제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 평균이 갖는 함정을 극복하기 위해 청년 집단 내부의 이질성을 구체화한 점도 다른 연구의 의의로 간주할 수 있다. 청년 불안정성은 보편적 현상이면서 특수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청년 전체를 대상으로 하면서 취약 집단을 배려하는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정책 형성의 초석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lassify the aspects of youth precariousness based on the longitudinal trajectory to present a policy direction to overcome the youth problems. Youth precariousness can be defined as ‘a lack of security or stability related to employment, income, and debt that can occur universally among young people’. As a result of a Group-based Multi-Trajectory Analysis based on the Youth Panel(YP) data, it was possible to captur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youth precariousness and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group. The analysis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rajectories and typologies of precariousness experienced by young people were classified into 6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 changing patterns. All young adults experienced some level of instability, except for about 10%, where all precariousness initially declined to a steady state. In particular, youth precariousness is concentrated from 23 to 28 years of age, and overall instability level is found to ease at the age of 29. Secondly, the more unstable trajectory types were observed in women, high school graduates, and younger people. As the youth precariousness became more common, the situation of vulnerable groups has even worsened. The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dual labor market or the institutional dual structure problem in order to cope with the fundamental problem of employment instability.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employment-centered job related policy should also be reevaluated. Second, it is essential to find ways to expand the distribution of youth basic income or capital income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income instability and worsening labor income distribu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provide policy supplements to the unequal reality experienced by female youth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ractical career exploration for high school graduates and lower-class youth.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e patterns of youth precariousness based on representative youth panel data. The longitudinal trajectory was identified and categorized to provide a practical basis for policy improvement. One of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bodied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youth groups. Although youth instability is a universal phenomenon, it also has a special character,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olicy that considers entire youth as well as a policy targeting the vulnerable groups.

      • 결혼 불안정성과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이병일 단국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6

        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생활의 부정적인 변화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결혼 불안정성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는 것, 즉 결혼 불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자녀가 한명 이상이고 부부가 함께 동거중인 결혼 생활 5년 이상인 30대와 40대 연령의 기혼 남·여 224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6가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혼 불안정성 모형에서 가정한 관련변인들의 경로와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MOS(Analysis of Moment Analysis) Version 5.0을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론변수간의 경로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최대 우도법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서 카이제곱 (χ2)검증 및 다중 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 불안정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인접변인으로 결혼 불만족과 부정적 정서가 확인되었으며, 결혼 불만족을 매개하여 결혼 불안정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원격변인으로 부부갈등 및 부정적 갈등대처행동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부부갈등은 부정적인 정서에 의해서, 부정적 갈등대처행동은 자기존중감과 부정적인 정서에 의해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보다는 여자의 경우에 낮은 자기존중감과 부정적인 정서가 결혼 불안정성을 더 잘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30~40대 기혼 남·여의 결혼 불안정성을 감소시키고 결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의 방법은 부부갈등을 줄이고 부부갈등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것, 그리고 자신의 정서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바람직한 접근이 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주제어 : 결혼 불안정성, 결혼 불만족, 부정적 정서, 부부갈등, 부정적 갈등대처행동, 자기 존중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d confirm a structural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of marital unstability to its related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9 men and 145 women who were married for more than five years. Each subject had at least one child. Their age ranged from 30's to 40's. Average age was 39.3. They were interviewed using 6 kinds of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path and goodness-of-fit of the model were tested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processed with AMOS(Analysis of Moment Analysis) Version 5.0. The estimation of pathway was tested by means of maximum likelihood and the sex difference of the model was tested using χ2 and multi-group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rital dissatisfaction and negative affects were revealed as proximal variables directly explaining marital unstability, whereas, marital conflicts and negative coping behaviors were revealed as distal variables indirectly explaining marital unstability, which was mediated by marital dis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s was revealed to be explained by negative affects, and negative coping behaviors was revealed to be explained by self-esteem and negative affects. Second, low self-esteem and negative affects were revealed to predict and explain marital unstability better in men than in women. In the e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 marital unstability, marital dissatisfaction, marital conflicts, negative coping behaviors, self-esteem, negative a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