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 : 195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지신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49

        「Surplus People」 , 「A Document of Secret Reason」, 「Living」, 「The Chapter of Being Unsolved」, 「Will of Foam」,「Smile」 and 「Victim」 based on existentialism of philosopher Soren Kierkegaard and Christianity. The analysis is classified into ‘reality anxiety and economic alienation of postwar’, ‘acceptance of fatalism resignation’, ‘moral depravity and immorality’ and ‘frustration and craving for human redemption’. In other words, desperate death has been analyzed because of reality anxiety and economic alienation of postwar through 「Living」. Son Chang-seop projected reality anxiety and portrayed economic alienation by reflecting his life as a refugee during the Korean War into the work through the Character Dongju. Dongju in the novel gives up easily and accepts his fate when he faces the difficulties, and he realizes that he cannot escape from life anxiety and trouble, and faces poverty and poor life through Soonhui’s death. It indicates the writer’s moaning to escape from helplessness of life originating from the tragedy of national division and pain·despair. Ultimately, Son Chang-seop considered despair and death as economic alienation in abnormal situation called by Soren Kierkegaard. The death by ‘acceptance of fatalism resignation’ has been researched through 「A Document of Secret Reason」. Son Chang-seop portrayed uncertainty and the limit of uncertain life through Seongyu’s death and Jeongsuk’s suicide, and illustrated resignation of life through anxiety, fear, anger, restlessness and weariness. This originates from anxiety of fatalism resignation by Soren Kierkegaard. The death in ‘moral depravity and immorality’ has been researched through 「Surplus People」, 「Sweeping Dream」, 「Living」, 「Will of Foam」, 「The Chapter of Being Unsolved」 and the problem is posed such as corruption of sexual ethics with ethics confusion because of postwar impact and woman commercialization of sex for survival. However, Son Chang-seop suggested the solution by recognizing ethic existence and proceeding as religious existence. In other words, Son Chang-seop expressed immorality and unethicality This thesis researched ‘death consciousness of existential humans’ in Son Chang-seop’s literary work that existentialism is reflected and how death consciousness in postwar novels is expressed. Characters in the short stories of Son Chang-seop decide to live esthetic existential life without eternity and establish eternal identity momentary pleasure but they realize ethical existential life to inevitably fail and perceive their sin and then they project religious·existential life that eternal existence and happiness is desired. Also, Son Chang-seop expressed various aspects of death in the short stories and suggested that god redemption is absolutely necessary to overcome ‘despair’ and ‘anxiety’. Under the premise, the short stories of Son Chang-seop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1950s including through ‘wife of Bongwoo’ in 「Surplus People」, ‘Chunja’ in 「Living」 and Gwangsoon in 「The Chapter of Being Unsolved」, and portrayed despair with defiance, advancing as religious existence through Youngshil in 「Will of Foam」. ‘Frustration and craving for human redemption’ has been researched through Youngshil’s death in 「Will of Foam」 and Son Chang-seop expressed the redemption of Christian views. In other words, Youngshil does not give up her dream of dying in church and goes on her knees toward church being dying. Her pathetic obsession like this and Jongbae’s behavior of ringing the bell for dead Youngshil and returning to mother´s warm breast, which indicates his pursuit for the true meaning of existence and possibility of human redemption. Eventually, it is projecting the redemption of Christian views through the work of Son Chang-seop. This study has interpreted the aspect of death in the short stories of Son Chang-seop based on the philosophy of Kierkegaard, a theistic existentialist. It has significance in that death in 「Will of Foam」 is interpreted as ‘redemption’. 본 논문은 실존 사상이 투영된 손창섭 작품에 나타난 ‘실존적 인간들의 죽음 의식’을 살펴보고, 전후 소설의 죽음 의식이 어떻게 표출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손창섭의 단편소설 작중인물들은 인간 존재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순간적인 향락에 젖은 채 영원을 알지 못하는 심미적 실존적인 삶, 도덕적 선을 삶의 원리로 삼고 자신의 존엄한 인격을 실현하였다. 이는 인간의 한계에 실패할 수밖에 없는 윤리적 실존적인 삶, 자신이 죄인이라는 것을 깨닫고, 영원한 존재와 행복을 바라보는 종교적 실존적인 삶을 투영하고 있다. 손창섭은 단편 소설에서 다양한 죽음의 양상을 표출하면서도 인물들의 ‘절망’과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신의 구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제하에 실존주의 철학자인 키르케고르의 실존 사상과 기독교의 죽음 이해를 근거로 1950년대 전후의 손창섭 단편 소설인 「잉여인간」, 「사연기」, 「생활적」, 「미해결의 장」, 「포말의 의지」, 「미소」, 「피해자」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작중 인물들의 죽음 의미를 ‘전후 현실 불안과 경제적 소외’, ‘체념적 운명론 수용’, ‘도덕적 타락과 비윤리성’, ‘좌절과 인간구원의 갈망’ 등 크게 넷 가지로 정리하였다. 즉 「생활적」을 통해 ‘전후 현실 불안과 경제적 소외’로 인한 절망적인 죽음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손창섭은 6·25 동란 피난민 삶인 자신의 모습을 작품 속에 동주를 통해 전후 현실의 불안한 모습을 투영하면서, 경제적 소외를 그리고 있다. 작품 속에 동주는 곤경에 직면하게 되자 쉽게 포기하고 체념하는 성격으로, 삶의 불안과 신음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러한 동주의 경제적 빈곤과 궁핍한 현실을 순이의 죽음을 통해 엿볼 수 있다. 또한, 전쟁과 분단의 아픔이 고통과 절망으로 무력감과 무기력한 삶의 테두리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작가의 신음으로, 결국 손창섭은 키르케고르가 일컫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절망과 죽음을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인 소외로 바라본 것이다. 「사연기」를 통해 ‘체념적 운명론 수용’으로 인한 죽음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손창섭은 성규의 죽음과 정숙의 자살을 통해 삶의 불확실성과 불안정한 삶의 한계상황을, 동식의 불안, 공포, 울분, 초조, 그리고 권태를 통해 체념적 삶을 통해 그리고 있다. 이는 키르케고르의 운명적 체념에서의 불안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잉여인간」, 「유실몽」, 「생활적」, 「포말의 의지」, 「미해결의 장」 등을 통해 ‘도덕적 타락과 비윤리성’ 에서의 죽음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손창섭은 생존의 방편으로 여인들의 성 상품화, 전후 사회의 충격에 의한 윤리 의식으로, 성 윤리의 타락 등을 문제로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손창섭은 윤리적 실존을 인식하고 종교적 실존으로 나아가는 모습으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즉, 손창섭은 「잉여인간」에서 ‘봉우 처’, 『생활적』에서 ‘춘자’, 「미해결의 장」의 광순 등을 통해 인간의 비윤리적이고 비도덕적인 행동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포말의 의지」의 영실을 통해서 윤리적인 실존을 인식하는 반항의 형태를 띠는 절망적인 모습이 표출되고, 종교적인 실존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인다. 「포말의 의지」 의 영실의 죽음을 통해서 ‘좌절과 인간구원의 갈망’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손창섭은 기독교적 구원 의식을 작품 속에 나타나고 있다. 즉 영실이가 목숨이 끊어지는 순간까지, 예배당에 가서 죽고 싶다는 최후의 소망을 포기하지 않았고, 예배당을 향해 무릎으로 기어간 눈물겨운 집착이, 죽은 영실을 위해 예배당의 종을 울려 포근한 어머니의 품안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해 주려는 종배의 행동 역시, 진정한 참 존재의 의미를 찾고, 인간 구원의 가능성 또한 열려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결국, 손창섭은 작품 속에 기독교적 구원의 의식을 투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손창섭 단편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을 유신론적 실존주의자 키르케고로의 실존 철학 바탕으로 문학을 해석했고, 「포말의 의지」 작품 속에 나타나는 죽음을 ‘구원의 의미’로 해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한국의 사회적 정황과 종교적 믿음체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신자유주의와 개신교 초대형교회를 중심으로

        유정인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99467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재 한국사회의 상황을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믿음체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교회의 믿음체계가 신자와 비신자 모두에게 설득력을 갖지 못하는 원인을 밝혀보려 하는 것이다. 종교의 세속화, 즉 종교의 약화는 종교인구가 줄고, 신자들의 종교성의 약해지며,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 교회는 신자들의 종교성이 강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세속화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교 등 교회의 주장과 행동을 믿음체계라 부를 수 있겠다. 믿음체계는 종교의 사회적 지식이다. 피터 버거에 따르면, 사회적 지식이란 인간의 물질적·정신적 활동이 외재화와 객체화 과정을 거쳐 내면화된 것이다. 이 지식은 세계관과 정체성과 사회적 역할을 규정해 준다. 이런 지식이 설득력을 유지하려면 설득력의 구조가 필요한 데, 설득력의 구조는 곧 사회 자체라고 한다. 교회의 믿음체계의 설득력은 사회에서 확인되는 것이다. 한국사회는 신자유주의 사회이다. 신자유주의가 내세우는 시장의 자유는 자본이 마음껏 이익을 추구하는 자유다. 생산성의 향상이나 공동의 복지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다. 부의 축적이 집중되는 과정에서 이익의 배분과 사회적 결정에서 배제되는 사람들의 비율은 80%에서 99%에 근접한다고 한다. 20:80의 사회에서 1:99의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한다. 한국 신자유주의의 특징은 불안정과 불안, 좌절, 그리고 양극화·이중화의 심화와 배제로 요약될 수 있다. 자본이나 자산은 생산이 아니라, 주식과 부동산 투자, 유통망의 통합을 통한 즉각적 이익실현을 위한 방향으로 사용된다. 소위 흙수저들에게 계층 상승 사다리는 끊어졌다. 사회의 양극화와 이중화는 더욱 깊어지고 절망한 절대 다수의 사람들은 사회적 결정에서 배제되어 간다. 이런 사회적 정황에서 한국 개신교는 어떤 믿음체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개신교계에 영향력이 큰 5 명의 초대형교회 목사들의 믿음체계를 분석한다. 신자유주의 도입 시기를 전후한 시간적 배경과, 교회가 있는 지역의 경제적 배경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설교를 위주로 믿음체계를 분석하였다. 한국 신자유주의의 특징을 종교사회학적 범주로 바꾸어 물질주의, 양극 화, 개인주의, 성장제일주의에 대한 믿음체계를 분석하였다. 신자유주의를 기준으로 간단히 요약한다면 여의도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는 신자유주의 이전의 산업발전시대를 배경으로 한 ‘번영의 복음’이다. 온누리교회의 하용조목사는 신자유주의의 믿음체계를 한국 개신교에 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광림교회의 김홍도목사, 명성교회의 김삼환목사, 사랑의교회의 오정현목사는 신자유주의의 흐름에 순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믿음체계는 신자유주의로 인해 희망을 잃고 불안해하며 좌절하고 배제되는 다수 대중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기 어려울 것이다. 사회적 정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믿음체계를 갖추지 못한다면 한국 교회의 주장은 다수 대중들에게 설득력을 갖지 못할 것이다. 개신교에 대한 사회적 신뢰는 계속 약해질 것이고, 사회적 영향력은 감소할 것이다.

      • 만 2세 유아 어머니의 우울 및 결혼만족도와 자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관계(애착, 관계좌절감)의 매개효과

        박미연 한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66765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s on anxiety/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sleeping problems of their two-year-old children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attachment and relational frustration. Subjects included 415 mother-child pairs participating in the Childhood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Cohort Study (COCOA)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The mothers consented to the research purpose and were administered with psychological assessment for their children between 2016 and 2019 when their children were two years old. Mental health of the mothers was measured by CES-D for depression and K-MSI for satisfaction with marriage. Problem behavior of the children was assessed by the K-CBCL1.5~5: anxious/depressed in the internalizing scale, aggressive behavior in the externalizing scale, and sleep problems in the others.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ental health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was checked by attachment and relational frustration, the sub-scales of the K-PRQ-P.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heck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Hypotheses were test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and relational frustration was verifi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hypotheses testing showed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affected attachment and relational frustration. Mothers’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ll affected internalizing problems (anxiety/depression), externalizing problems (aggressive behavior), and sleep problems. In addition, childcar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ttachment and relational frustration all affected anxiety/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sleep problems of the children. Second, in terms of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al frustration, its mediating effect was fully found between depression of mothers and anxiety/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sleep problems of the children. Its mediating effect was also fully verified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anxiety/dep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of the children whil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on sleep problems. Thir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no mediating effect was found between depression of the mothers and anxiety/depression of the children whil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on aggressive behavior and sleep problems of the children. Also, no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was found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anxiety/depression and sleep problems while only partial mediating effect existed on aggressive behavior of the children.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s the negative effect of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s and child-parent attachment and relational frustration on anxiety/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sleep problem of two-year-old infants on whom few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large samples in the child mental health research in Korea.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sign of preventive and treatment intervention, identification of causes and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young children in Korea. 본 연구는 어머니의 우울, 결혼만족도가 만 2세 유아의 불안/우울, 공격행동, 수면문제에 부모자녀관계의 애착, 관계좌절감이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질병관리본부의 소아호흡기알레르기질환 장기추적 코호트 (COCOA: Childhood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Cohort Study) 연구에 참여 중이고 연구 목적에 동의하여 2016년도부터 2019년도에 자녀의 만 2세 정신발달검사를 받은 어머니와 유아 415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의 심리적 요인을 측정하는 척도로 우울(CES-D), 결혼만족도(K-MSI)를 사용하였으며 만 2세 유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는 척도로 한국판 유아문제행동척도(K-CBCL1.5~5)하위 척도 중 내면화 척도에서는 불안/우울, 외현화 척도에서는 공격행동, 기타는 수면문제를 사용하였으며 모의 심리적 요인과 만 2세 유아 문제행동 사이에서의 양육 환경적 요인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한국판 유아용 부모자녀관계검사(K-PRQ-P) 하위척도 중 애착과 관계좌절감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및 주요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변수별 차이 분석을 실행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으로 차이 검증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애착과 관계좌절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모형에 대한 기본 가설검증 결과, 모 우울과 결혼만족이 양육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 시 모 우울과 결혼만족은 애착과 관계좌절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 우울과 결혼 만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 시 모 우울과 결혼 만족은 내재화 문제행동인 불안/ 우울과 외현화 문제행동인 공격 행동, 수면문제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과 관계 좌절감과 같은 양육 환경적 요인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 시에는 애착과 관계 좌절감이 유아의 문제행동인 불안/우울, 공격행동, 수면문제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좌절감 매개효과 검증 결과, 모 우울과 관계좌절감의 매개효과 결과에서는 유아의 불안/우울, 공격행동, 수면문제에 모두 완전 매개하였으며 모의 결혼만족과 관계좌절감의 매개효과 결과에서는 유아의 불안/우울, 공격행동은 완전 매개 하였으며 수면 문제는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애착과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모 우울과 애착과의 매개효과 결과에서는 유아의 불안/우울은 매개하지 않았으며 공격행동, 수면문제는 부분매개 하였다. 모의 결혼만족과 애착과의 매개효과 결과에서는 불안/우울, 수면문제는 매개하지 않았으며 공격행동에서만 부분 매개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영유아정신건강 연구 중 대단위 연구 표집이 적었던 만 2세 유아의 불안/우울, 공격행동, 수면문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으로 모의 우울과 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자녀관계에서 애착과 관계좌절감의 부정적 영향력 확인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본 결과가 국내 영유아 정신건강 문제 대한 예방적 및 치료적 개입 방법 구상, 원인 규명,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