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渤海 前期 北方民族 關係史

        권은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本論文對渤海前期國家的成長和與北方民族的關係進行了深層研究. 這期間在渤海史研究的對外關係領域的湧現出豐富的研究成果. 但是對外關係研究集中于和新羅・唐・日本的關係. 對從渤海建國直至滅亡建立了重要關係, 在探討渤海史的性質時不可遺漏的北方民族關係的研究還尚且不足. 而不明確這一關係的話, 將無法對渤海的對外關係整體進行有機的展望. 渤海的建國成功是與7世紀後期北方民族的興起及反唐活動相聯動的, 建國初期的成長與北方民族的連結也有重要的作用. 但在渤海和中國, 突厥及回紇的關係中, 在稱之爲遼西(契丹等)的緩衝地帶中, 因爲沒有直接受到這兩大勢力的壓力, 從而得以展開比較柔和的外交. 因此渤海前期大體上意圖在和北方民族的連結與友好中成長, 按照不同時期國際局勢的變化, 柔和應對. 本文第二章考察了渤海建國的過程. 7世紀後期隨著北方民族的全面興起和唐王朝在西北邊境軍事力量的集中, 對東北地區的統治弱化了. 趁此機會, 在東北地區也連續掀起了反唐獨立運動. 最終以696年爆發的契丹李盡忠之亂爲契機, 高句麗遺民和靺鞨人在東北地區挑起反唐戰爭, 建立渤海國. 第三章對8世紀初在與北方民族結成的所謂反唐聯隊爲背景的渤海的成長進行了探討. 在此過程中, 以振國(渤海)爲中心, 靺鞨諸部進行聯合, 在渤海掌握主導權的同時, 渤海和靺鞨的統稱“渤海靺鞨”出現了. 唐王朝在關注渤海成長的同時爲了通過渤海宣勞靺鞨諸部, 於713年派出“宣勞靺羯使”, 之後渤海拆散了靺鞨諸部的獨立性根基, 將之納入國家體系內進行了再整編. 第四章裏對武王即位後, 積極展開領土擴張, 同時黑水靺鞨與唐勾結這一過程進行了考察. 在此, 渤海的反抗強化了與北方民族的反唐聯隊, 這一過程中, 渤海對黑水討伐, 大門藝亡命于唐, 反唐戰爭爆發. 第五章中對8世紀中期北方民族的勢力再編和唐朝的地方分權化, 渤海征服南室韋・黑水靺鞨, 調整統治體制等進行了考察. 對外安定中和北方民族的關係是以經濟・文化交流爲中心展開的. 渤海遷都上京之後, 健全完善了帝國體制, 最終稱霸東北地區. 第六章中闡明了了進入780年代, 連結唐與回紇的貿易網由於該地區的動亂而陷入艱難境地, 而通過渤海的對外交易, 動搖了地方支配政策, 爲了促進對沿海地區靺鞨的服屬政策, 遷都東京. 雖然因文王之死引發了內部紛爭, 但遷都上京後, 迅速安定了局勢. 之後, 宣王即位, 對外擴張政策暫時告一段落, 連結唐與回紇的貿易網也漸趨穩定, 和北方民族的關係再次回到以經濟文化交流爲中心的軌道上來. 此關係一直保持到渤海亡國. 總體而言, 前期的北方民族關係大體上到8世紀前期爲止以政治, 軍事性的連結爲中心, 8世紀中期以後以北方民族的勢力再整合, 唐朝中央集權的弱化, 渤海的帝國體制確立等經濟・文化性關係爲中心而展開. 9世紀末10世紀初渤海滅亡期出現震盪, 在和北方民族的關係上, 渤海所擁有的交易網和影響力被契丹所蠶食, 結果渤海在國際上被孤立並最終亡國. 本論文以渤海興亡盛衰的動因來關注北方民族, 將渤海前期的成長和與北方民族的關係作爲同一脈絡來把握. 而且, 作爲博士學位論文, 初次對和北方民族的關係做通史性的整理, 對迄今爲止的渤海對外關係全貌進行研討, 在對尚且研究不足的和北方民族關係史進行復原上具有積極意義.

      • 高句麗와 北方民族의 관계 연구 : 鮮卑.契丹.柔然.突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선 淑明女子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2

        Koguryo(高句麗) was related to the various nations because of its location. Especially the relation of Koguryo and the northern nations appear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Koguryo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northeast Asia. The first northern nation related with Koguryo was Hsien-pei(鮮卑). Hsien-pei Mu-jung tribe(慕容部) and Koguryo crashed several times because their borderlines adjoined each other. King Michon(美川王) of Koguryo pressed Mu-jung tribe by driving the foreign expansion policy. But Mu-jung tribe was getting powerful and established the Earlier Yen(前燕). The Earlier Yen invaded Koguryo and was subsided its capital, and then took King kogugwon(故國原王)s mother. Koguryo had to bring a tribute to the Earlier Yen to be come back kings mother. After that time Koguryo had been powerful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system. Koguryo drove the foreign expansion policy again. Meanwhile in China, the Earlier Chin(前秦) unified the northern china. But a little later the Earlier Chin had been weak that the Earlier Chin fought against the East Chin(東晋) and was defeated. The northern china was divided again and Mu-jung tribe established the Later Yen(後燕). Koguryo and the Later Yen were hostile each other. These time the Kitan(契丹) located in the northwest of koguryo invaded Koguryo. But Kitan did not organize the unified political system and could not intimidate Koguryo strongly. Koguryo strengthened an attack against Kitan. Kitan was getting weak and a part of its tribes became the army of Koguryo. Koguryo made use Kitan army when the war was broken out. Meanwhile in China, the Northern Wei(北魏) unified the northern china again and was keeping up rivalry against Jou-jan(柔然) of the north. Koguryo united with Jou-jan to restrain the Northern Wei. Koguryo succeeded in the restraint policy against the Northern Wei and drove the southward expansion policy. Koguryo transfered its capital to Pyongyang(平壤) and invaded Hansong(漢城), the capital of Paekche(百濟) later. In 6th centur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northeast Asia had changed extensively. The northern Wei divided the east and the west. Jon-jan was getting weak by the intimidation of Tu-ch eh(突厥). Especially Tu-ch eh invaded Koguryo to prevent an alliance of Koguryo and Jou-jan. Koguryo also lost the area of the Han river by the allied forces of Paekche and Shilla(新羅). Koguryo could not deal with an invasion of Paekche and Shilla because of its internal trobles. In 555 Tu-ch eh was collapsed Jou-jan and appeared as a supreme ruler of the northern area. A little later Sui(隋) and Tang(唐) established the unified empire in turn in china. Sui and Tang, both of them endeavored to weaken Tu-ch eh. That was why Tu-ch eh intimidatided the security of the empire. As well Sui and Tang invaded Koguryo several times. But they could not defeated Koguryo because of the strong resistance of Koguryo. But Tang succeeded to weaken Tu-ch eh and then invaded Koguryo with Shilla later. At that time Koguryo could not unite with Tu-ch eh because Tu-ch eh was under Tang. Finally Koguryo was in an isolated situation and was collapsed. Koguryo was an advantageous post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the northeast Asis when Koguryo took the leadership in the relation with the northern nations. The other side Koguryo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when Koguryo lost the leadership. In this view point the relation of Koguryo and the northern nations has an important meaning in Koguryo history. 고구려는 지정학적인 특징 때문에 건국 초기부터 주변의 여러 민족과 접촉하며 발전하였다. 그 중에서도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는 고구려의 국내 정세와 동북아시아의 국제 정세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피해를 입기도 했으나 때로는 이들과 연계하여 중국 세력을 견제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鮮卑·契丹·柔然·突厥을 중심으로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구려가 가장 먼저 접촉한 북방민족은 선비였다. 『三國史記』의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와 선비가 처음으로 접촉한 시기는 기원전 9년이나 본격적인 접촉은 3세기경 선비 慕容部가 요서 지역에 진출하면서부터였다. 고구려와 국경을 접하고 있던 모용부는 날로 세력이 강대해지면서 고구려를 위협하였다. 고구려는 선비족 내에서 부족의 주도권 다툼이 일어나자 이를 이용하여 宇文部·段部와 연합세력을 형성하고 모용부를 견제하였다. 그러나 고구려의 견제 노력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모용부의 침입을 받았다. 그 후 고구려는 美川王의 대외팽창 정책으로 모용부와 충돌하게 되나 모용부가 前燕을 건국하고 고구려를 압박하자 고구려의 팽창정책은 위축되었다. 전연은 중원 평정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일련의 체제정비를 통해 착실히 국력을 축적하였다. 전연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에 앞서 고구려를 제압함으로써 후방의 불안 요인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드디어 전연은 고구려의 방어가 치중되어 있는 평탄한 北道 대신 험난한 南道를 택해 침입을 감행하였다. 고구려는 전연의 전략을 간파하지 못하고 북도의 방어에 치중하다 수도가 함락 당하고 故國原王이 피난 가는 참패를 당하였다. 더군다나 고구려는 왕의 어머니가 전연에 볼모로 잡혀가자 전연과의 관계에서 저자세를 보일 수밖에 없었다. 고구려는 왕의 어머니를 송환받기 위해 전연에 朝貢을 바치고 稱臣하였다. 그 후 고구려는 전연과의 전쟁에서 참패당한 것을 교훈 삼아 일련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력을 강화하는 데 노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는 중흥의 발판을 마련하고 廣開土王대를 거치면서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한편 중국에서는 前秦이 일시적으로 북중국을 통일하나 水戰에서 東晋에게 참패당하여 급격히 세력이 약화되자 북중국은 다시 분열되었다. 이 틈을 타 모용부는 後燕·西燕·南燕을 차례로 건국하였다. 그 중 고구려와 국경을 접하고 있던 後燕은 여러 차례 고구려와 공방전을 펼쳤지만 고구려에 밀려 점차 쇠퇴하였다. 이 시기 선비 우문부에서 갈라져 나온 거란이 처음으로 고구려의 변경을 침입하였다. 고구려가 契丹과 처음 접촉한 것은 소수림왕 8년(378년) 때이다. 중국 史書 중 거란에 대해 처음으로 기록한 책이 『魏書』이므로, 고구려가 중국보다 일찍 거란과 접촉했다고 할 수 있다. 거란에 대한 고구려의 반격은 광개토왕 때부터 이루어졌다. 광개토왕은 거란족의 일부인 稗黎를 치고 큰 전과를 올렸다. 그런데 선비와 달리 거란은 통일된 정치세력을 형성하고 있지 못해 주변 국가들의 침략의 대상이 되었다. 479년 고구려가 柔然과 공모해 地豆于 분할을 모의하였는데 그 와중에 고구려의 침입을 받은 거란의 8부 연맹체가 붕괴되었다. 고구려에게 쫓긴 거란은 大凌河 동쪽으로 옮겨가 정착하여 북위에 의탁하였다. 이후로도 고구려는 거란에 대한 공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이들을 附庸兵으로 활용하였다. 고구려의 입장에서 유목민인 거란은 잘 훈련된 騎兵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군사력 강화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고구려는 거란을 세력권 내에 두고 적절히 통제하여 지속적으로 말을 확보하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였을 것이다. 그런데 고구려의 거란에 대한 정책이 주로 거란을 군사적으로 이용하는 것이었던데 반해 柔然에 대한 정책은 이와 다른 것이었다. 북위의 북쪽에 자리잡은 유연은 거대한 유목제국을 형성하고 북위를 위협하는 세력이었다. 북위와 국경을 접하고 있던 고구려는 북위와 유연의 적대적 관계를 이용하여 유연과 連和함으로써 북위를 견제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이처럼 북위를 견제하려는 고구려의 정책은 유연의 이해와도 일치하는 것이어서 당시 동북아시아는 북위를 둘러싸고 고구려와 유연 그리고 南朝가 서로를 견제하며 세력균형 상태를 이루고 있었다. 4강 구도 속에서 전개된 국제정세는 고구려의 대외관계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였다. 서부 국경에서 안전을 확보한 고구려는 남진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平壤遷都를 단행하고 신라와 백제를 압박하였다. 또한 고구려는 물길이 북위와 연결하여 고구려를 압박하려고 하자 유연과 연계하여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였다. 즉 고구려는 물길과 북위의 연결 통로를 차단하기 위해 유연과 모의하여 지두우에 대한 분할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6세기에 들어와 동북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는 고구려의 대외관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북위가 동서로 분열되고 북방에서는 突厥이 부상하여 유연을 위협하였다. 이것은 4강 구도 속에 유지되어 오던 동북아시아의 국제 질서에 변화를 가져왔다. 고구려는 북위의 분열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지만 돌궐의 부상에 대해서는 주목하였다. 돌궐이 鐵勒을 격파하자 고구려는 신성과 백암성을 수리하고 서북방의 국경수비를 강화하였다. 『三國史記』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와 돌궐이 처음으로 접촉한 것은 551년이다. 그런데 돌궐이 유연을 격파한 해가 555년이므로 551년에 고구려를 침입하였다는 것은 연대에 문제가 있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고구려와 유연의 우호적인 관계를 잘 알고 있던 돌궐은 유연을 치기에 앞서 고구려와 유연의 연계를 경계했을 것이다. 때문에 돌궐은 유연을 본격적으로 치기에 앞서 고구려를 침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돌궐이 유연을 본격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한 것은 552년부터이므로 그 전 해인 551년에 고구려를 침입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돌궐은 고구려와 유연의 연계를 차단한 후에 유연에 대한 공략을 본격화하였다고 생각된다. 한편 중국 대륙에서 오랜 분열기를 마감하고 隋와 唐이 차례로 건국되자 동북아시아의 국제정세는 급변하였다. 수·당은 건국과 동시에 북방문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역대로 북방민족은 중국의 안전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북방민족에 대한 대책은 중요하였다. 수는 돌궐과 혼인관계를 통해 우호관계 유지에 힘쓰나 돌궐이 중국의 영향하에 놓이게 된 때는 당나라에 들어와서 이다. 당은 대규모의 토벌에 이어 羈 정책을 실시하여 돌궐세력을 약화시키고 지배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여세를 몰아 당은 고구려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였다. 이 전에도 고구려는 여러 차례 수와 당의 침략을 받았으나 막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침략자들을 물리치는 데 성공하였다. 오히려 수는 고구려에 대한 무리한 원정이 내부 반란을 야기시켜 멸망하였다. 그러나 연개소문 死後에 고구려의 지배층이 분열된 틈을 타서 신라와 연합군을 결성한 당이 침입하자 고구려는 힘없이 무너졌다. 과거 남북조 시기 고구려는 유연과 연계하여 북위를 적절히 견제함으로써 대외적으로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고 동북아시아 4강 구도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7세기의 국제 상황은 고구려에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북방의 돌궐은 이미 당의 지배하에 놓인 상태이고 고구려는 홀로 당에 맞서야 하는 상황이었다. 고구려는 돌궐과의 연계가 곤란해진 상황에서 백제마저 멸망하자 국제적으로 고립되었고 이것은 결국 고구려가 멸망한 한 요인이 되었다. 고구려의 대외관계에서 북방민족이 지니는 의미는 여러 가지로 볼 수 있다. 고구려와 선비의 관계를 보면 빈번한 전쟁으로 인해 고구려가 타격을 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고구려가 일련의 체제정비를 통해 중흥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고구려는 선비가 북중국에 진출하여 帝國을 건설하는 것을 보며 북방민족의 저력을 경험하였다. 이것은 이후 고구려가 북방민족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구려는 거란에 대해서는 그들의 군사력에 주목하여 附庸兵으로 활용하였고, 유연과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북위를 견제하였다. 이처럼 고구려는 북방민족과의 관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통해 국익을 확대하였고 동북아시아의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돌궐이 중국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자 고구려를 둘러싼 국제정세는 고구려에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돌궐과의 연계가 필요했지만 그것이 곤란해지자 對중국 관계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결국 고구려는 나당 연합군의 침입을 맞아 국제적으로 고립된 상황 속에서 내분까지 겹쳐 멸망하였다. 요컨대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는 고구려의 발전 뿐 아니라 멸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北方民族考 : 遊牧國家로부터 征服國家에로의 發展을 中心으로

        이영무 慶北大學校 大學院 1958 국내석사

        RANK : 248623

        Among the nomads in the northern part of China, Huns had the hegemony first and foremost, and they confronted dynasties in China (Chou, Ch'in, and Han dynasties). After Huns perished, (about 90 A.D.) tribes, who lived in way of semi-nomadic and semi-agricultural life in the mountaineous area to the northwest of China, had a chance to have an activity. Oppressing China, they finally drove away Tsin dynasty to south of the Yantze River, and they established sixteen kingdoms of Five Hus. Afterwards, there were active stages of Avars (about the end of the 4th century), Ephtalites (5-6 century), and Turks ((6-7 century). From the end of the 6th century to the 7th century, Chinese, who had been inactive for a long tine, regained the hegemony and they established a prosperous kingdom, Tang dynasty. They, oppressing Huns in the north-western parts of China, opened the route to Europe and held sway over even north-west Asia. After downfall of Tang dynasty, however, China was in confusion in so-called the ages of Five reigns and Ten kingdoms(五代十國) till Sung dynasty. Meanwhile, the nomads in the northern part regained their strength and conquered China again. For instance, Khitans occupied sixteen provinces of yuke(□□), Kins or the Nu¨chen Tartars occupied the northern parts of China; and the whole China was conquered by Mongols. The conquest by the northern tribes afforded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their social progress. In other words, they were developing and prosperous remarkably while they conquered and occupied the tillable region of China, but once their occupation was over, they returned to their original nomadic region and managed to live in the nomadic way of life. After the downfall of Liao and Kin dynasties, Khitans and the Nu¨chen Tartars followed such a way at the above mentioned, and the Tartars and Pelo (□□) were the same, after the down fall of the Mongols or Yuan empire. Among the northern tribes who conquered China were the Five Hus who established sixteen kingdoms north of China, and were Liao, Kin, and Yuan which conquered a part of the whole area of China. When these dynasties conquered and ruled China, the social structure was generally similar to one another in the heterogeneous social elements which consisted of both nomadic and tillable ones. The steps of social development, however, were remarkab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For instance, the social structure of the sixteen dynasties of Five Hus were still tribal societies of the clan system, though they conquered China by military force, they assimilated with China in the field of culture. We can find its typical example in Later Wei; they moved the capital to Loyang in Honan, had the faith of Buddhism, and adopted the divisional system of farming lands (□□□) as the Chinese people did. Thus they established a policy to follow Chinese system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they used Chinese language and clothes instead of their own ones. However, the fact that they believed in Buddhism which was originated in India, not in Confucianism originated in China, means that they confronted the Chinese culture. Nevertheless, since they had no self - consciousness, they were not able to create their own culture, such as establishment of their own letters. The enforcement of the divisional system of farming lands, from the point of political. view, involved an administrative significance that they adjusted conscription and tax collection from the numerous members of leading class and farmers in China soon after they occupied North China.. Considering from the point of social developing process, however, the Chinese society at that time was going to step into the mediaeval aristocracy after the old kingdoms perished, due to the growth of new leading class originated on the private ownership of lands since Ch' in and Han dynasty. And the enforcement of the divisional system of farming lands in Later Wei proves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establish their own system as a ruler, but only followed the old system of Han dynasty. This was a retrogression for the historical progress, and its stagnation was influencial very much over the Chinese society. However, Liao, Kin, and Yuan dynasties were much different from Later Wei. For instance, they conquered China by force, and they had a clear self-consciousness too. From the point of culture and thoughts, those of these ages were naturally different from that of Five Hun period. They made efforts to create their own culture such as to establish their own characters or letters. From the point of social structure, as they were busying to follow the way of Han dynasty, there were no characterized social organizations in the days of Five Hus. On the other hand, in Liaodynasty, they established the nomadic feudal system, reorganizing the tribal system (T'ai Tsu's reorganization of 18 tribal provinces and Sheng Tsung's (聖宗) reorganization of 34 tribal provinces. Kin dynasty reorganized Menan and Mukai (□□) system (a kind of tribal military and administrative system in order to display its efficient function on administrative and military activities. And Yuan dynasty established Ten thousand Houses and One hundred Houses system founded upon the One thousand Hoses system (□□□□□□) founded upon One thousand Housed system (千戶制) (a community which was able to enroll 1000 soldiers). According to the henchmen's servic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the king divided them these communities, and king made his kins or the meritorious warriors lords of the respective community, and then established a strong nomadic feudal kingdom. We could find the reason that made the development from tribal society to a nomadic feudal dynasties of these tribes (Liao, Kin, Yuan dynasties) were in their internal elements, but the more remarkable reason was the influence of Sung dynasty. In the Sung Dynasty, the lands division system was abolished, and a manor system was extremely developed. Also they abolished the conscription system and adopted a mercenary system. Reflecting upon the experiences of military officers' tyranny of Tang dynasty, from the begining of the Sung dynasty, they tried to weaken the military clique. Moreover, they established a strong imperial dictatorship or the political bureaucratic system, of government, overthrowing the old system of official appointment based upon the hereditary privileged class, and adopting the official appointment based upon the higher public service examination. The northern tribal dynasties were stimulated by the Sung dynasty contacting with it in many fields especially in political field. And they easily stepped up to forming the tribal feudal system frown their original tribal system, and such reorganization of strong social system enabled them establish imperialistic dynasties.

      • 동북아 태양신화의 문화사적 전개와 한국신화의 문화융합

        이창윤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33911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 태양신화의 전개를 통해 한국신화의 문화융합의 특성을 드러내는 데 있다. 동북아에는 태양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태도를 가진 신화가 전승된다. 하나는 태양을 숭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태양을 제압하는 것으로 이 신화는 동북아신화의 중심 위치를 차지하며 역사를 통해 전승된다, 물론 한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들의 신화의 전개는 한국신화의 형성에 영항을 주며, 그 기원을 추적하는 것은 한국신화의 기원과 연결된다. 본문에서는 태양을 숭배하는 전자를 숭양신화(崇陽神話), 제압하는 후자를 사양신화(射陽神話)로 명명하고 숭양신화는 농경문화, 사양신화는 수렵문화로부터 기원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 전승에서 사양신화는 아무르강, 몽골, 한반도, 산둥반도, 중국 남방까지 퉁구스족을 중심으로, 숭양신화는 산둥반도, 요하유역, 만주, 한반도 등 동이를 중심으로 전승되는데, 이 연구의 주된 관심은 이들 신화가 어떻게 한국신화에서 문화융합 현상을 일으키는가 하는 것이다. 한국신화의 진원지는 요하유역이다. 이곳은 지리적, 기후적으로 북방초원 유목문화, 시베리아 수렵문화, 중국의 농경문화 등이 교차하면서 문화교류가 활발했던 지역으로 이러한 환경적 조건에서 고조선을 비롯한 고대국가가 성립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러한 문화들이 문화융합 현상을 일으키며 한국신화의 특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한국신화를 둘러싼 동북아의 숭양신화, 사양신화, 천강신화, 난생신화 들을 분석하고 이들이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한국신화 속으로 유입되는가를 역사적 고증을 통해 고찰하였다. 먼저 숭양신화의 배경인 태양신 숭배 신앙을 중앙아시아의 청동기문화에서 찾았고, 이 신앙이 상(商)의 건국신화인 시조신화, 십일신화(十日神話)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상의 멸망과 유이민의 이동으로 숭양신화의 축은 산둥에서 요하유역으로 이동하였고, 이로부터 한국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 동명신화, 주몽신화가 형성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전개에서 고조선에서는 단군이 가진 천강신과 태양신의 양면성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실마리를 『삼국유사』, 『제왕운기』의 ‘부루’에 대한 기록에서 찾았다. 이를 바탕으로 천강신화 이면에 숭양신화의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을 추론하고 환웅, 단군, 부루의 연계성을 고조선 역사의 전개과정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 단군과 해모수의 겹침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을 주목한다. 그것은 고조선의 고토에서 전해졌던 고조선의 건국신화와 부여와 및 고구려의 건국신화 간의 교섭 및 영향관계에서 기인된 것이라 생각되며, 현전 고조선 신화에서 사라진 단군에 대한 서사를 해모수신화를 통해 추론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고조선의 출발은 요서지역이다. 기원전 10세기를 전후한 이 시기를 천강신화와 숭양신화의 공존기로 보고 천강신화는 북방초원 유목민으로부터 유래한 지배층의 신화로, 숭양신화는 상(商)의 농경제의에 바탕을 둔 기층의 신화로 보았다. 그러던 것이 기원전 6~5세기 고조선의 중심이 요동으로 이동하면서 두 신화소가 융합되어 단군을 중심으로 한 고조선 건국신화가 비로소 형성된다. 그러나 요동에서 고조선의 왕권이 강화됨에 따라 점차 천강신화와 숭양신화의 분리가 일어난다. 천강신의 위상이 강화됨에 따라 태양신의 농경의례가 차상위계층으로로 내려가며, 그러한 상태에서 연의 진개의 침입으로 고조선의 중심이 평양으로 이동하면서 요동에는 천강족이 빠져나간 동공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차상위에 있던 숭양신화가 부여와 고구려의 건국을 계기로 전면에 등장하게 되는데, 이것이 동명신화와 주몽신화이다. 그리고 해모수신화가 이 과정에 개입하면서 고조선 건국신화와 연결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의 태양신화는 고조선 건국신화에서 그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가 동명신화에서 비로소 표면에 부각되며, 주몽신화에 와서 영웅신화로서 완성된다. 본 논문의 중심은 요서지역에서 출발한 고조선이 어떻게 숭양신화의 신화소를 배태해서 역사적 계기를 통해 이를 부여, 고구려로 전달하여 백제까지 이르면서 한국신화의 중심 역할을 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파악하면 한국신화는 숭양신화에 사양 신화소가 융합되어 동명신화, 주몽신화의 두 축을 이루며, 주몽신화에는 난생신화소가 덧붙여지고, 다시 해모수신화가 등장하여 천강 신화소가 다시 덧붙여지면서 다양한 문화융합 현상을 일으킨다. 아울러 숭양신화와 천강신화는 서로 역학관계를 형성하여 그 속에서 한국의 창세신화에서 사양 신화소가 표면에서 사라지기도 하고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 모든 것을 문화융합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파악하였다. 동북아신화는 크게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숭양, 사양, 천강, 난생의 중심화소와 기아(棄兒), 근친상간, 홍수, 인간의 기원과 죽음, 은일(隱日), 도하(渡河), 부친탐색, 징치 등 주변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한국신화는 중심화소에서 혼착이 심한데, 본문에서는 그것을 ‘문화융합’으로 표현하였다. 그것은 동북아신화와는 다른 한국신화만이 가지는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의 부각으로 인해 한국신화에 대한 이해의 폭이 깊어졌으며, 그 규명은 동북아 태양신화의 문화사적 전개를 통해서 비로소 가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