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대복리시설별 만족도가 공동주택 주거만족 및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강현숙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부대복리시설은 공동주택 거주자에게 양질의 주거환경과 주거가치를 주는 주요한 공간이다. 현재 주택시장은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었으며, 주택의 70%이상이 공동주택이다. 공동주택 구매자들은 양적인 공급의 시기와는 다른 주거가치를 반영한 주거환경을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급자는 구매자들의 주거환경 욕구를 이해하고 주거만족과 구매의사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부대복리시설 설치를 통한 차별화를 마케팅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부대복리시설들이 주거만족과 구매의사를 높이는 실효성이 있는지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이후 공동주택 공급 마케팅을 위하여 다양하게 건설된 부대복리시설들이 거주자에게 주거만족도와 구매의사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대복리시설별 만족도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옥외공간, 건강·운동시설, 교육·보육시설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거주자에게는 주거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시설로 나타났다. 주거만족도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주거만족도는 아파트 구매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주거만족이 높을수록 공동주택 구매의사는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부대복리시설별 만족도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건강·운동시설, 문화·커뮤니티시설, 옥외공간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분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설인 것을 알 수 있다. 교육·보육시설은 주거만족에만 유의한 영향을, 문화·커뮤니티시설은 구매의사에만 유의성이 있는 차이점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차이는 실제 거주자에게 주거만족도를 높이는 시설은 교육·보육시설이지만, 문화·커뮤니티시설은 구매 시 고려하는 선호시설로 주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변화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분석 결과에서와 같이, 주거만족도와 구매의사에 영향을 주는 부대복리시설들을 설치하여 구매자의 주거만족도와 분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Residential facilities are an important space that provides high-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 and values to the residents of apartment. In the current housing market, housing supply rate has exceeded 100% and more than 70% of houses are apartment housing. Buyers of apartment housing are demand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reflects residential valu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eriod of quantitative housing supply. Understanding buyers’ desir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suppliers are focusing on the installation of various service facilities in order to increas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as a marketing strategy based on differenti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those service facilities are actually effective in rais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various service faciliti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for the marketing purpose of apartment housing since 2000 have affecte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residents. The result of this analytic study is presented below.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each service facili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utdoor space, health and exercise facilities and education and childcare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y were identified as importation facilities that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purchase intention,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an apartment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i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ing ri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each service facility on purchase intention, health and exercise facilities, culture and community facilities and outdoor spa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indicates that they were facilities to boost housing sales. Education and child care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hile cultural and community facil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urchase intention. This difference indicates a change in consumers’ view on housing that education and childcare facilities increas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actual residents, but the preferred facilities when purchasing an apartment were culture and community facilities. As indicated in the analysis result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struction of service facilities that affect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can increas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housing sales.

      • 共同住宅團地 附帶福利施設의 住居滿足度에 關한 硏究

        강중구 亞洲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내 부대복리시설의 배치 유형에 따른 주민만족도와 이용도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주민 만족도와 이용도의 관계를 검증하고, 향후 단지계획 과정에서 주민의 의사가 반영된 계획 개념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문헌 자료를 통해 부대복리시설의 계획 기준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현행 기준을 검토하였다. 2)사례 연구를 통해 부대복리시설의 배치 유형을 분석하고 현장 답사를 통해 근린생활시설, 관리사무소, 휴게시설,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이용실태 및 기본조사를 실시하였다. 3)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배치유형에 따른 주민 만족도, 이용도, 선호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비교분석 하였다. 4)현행 법규 및 기존의 계획 지침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주민 만족도와 이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획개념을 정립하였다. 조사대상 시설은 단지내에서 사회적인 활동이 일어나고 이용거리가 만족도의 주요 요인으로 밝혀진 근린생활시설, 관리사무소, 휴게시설, 주민공동시설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린생활시설은 출입구집중형>내부집중형>분산형>외부집중형의 순서로 만족도와 이용도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이용도도 높아지는 상관관계를 가진다. 주동으로부터 근린생활시설의 거리는 150m 내외가 적당하고 50m내외인 경우는 오히려 만족도가 낮게 조사되었으며 200m 이상 떨어져 있을 때 만족도 떨어지는 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2)관리사무소는 단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에 대해 만족하고 선호하나 이용도는 전체적으로 매우 낮았다. 위치에 대한 만족도와 이용도는 상관관계가 없으나 관리사무소주변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비교해 볼 때 관리사무소를 단지의 중심적인 공간으로 인식하고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3) 휴게시설은 배치유형에 따라 위치만족도와 이용도를 비교해보면 만족도가 높은 유형이 이용도도 높다고 단정 할 수 없으나 만족도와 이용도의 상관관계에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이웃을 만나는 횟수를 제외한 이용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위치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 요소임은 확인 할 수 있다. 주보행동선과 연결되지 않은 사례는 만족도와 이용도가 모두 낮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4)주민공동시설은 만족도가 높은 단지가 이용도 역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이용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음영향과 주변시설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부대복리시설의 배치유형에 따라 만족도와 이용도를 주민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비교분석 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연구의 한계로 지적되고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된 배치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검증하고 부대복리시설의 적정 배치개념을 연구한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사례와 연구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치개념을 일반화시키고 배치계획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계획 개념을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양적인 배치기준에서 질적인 배치기준의 정립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ning concept about the positioning of community facilities, (reflected a resident s intention on the site planning), to verify a correlation between resident's satisfaction and use. The results were drawn by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and use and an analysis of their rel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 of four main parts. 1) The first part is to examine the standard for planning and tendency of treatises through the preceding documents. 2) The second part is to classify the site planning patterns of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the location type in the block and to perform a fact-finding survey 3) The third part is to research resident's satisfaction, use, preferring loca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on by these type, while perform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the use. 4) The last part is to suggest the planning concept to improve the resident's satisfaction and use as compared with the law in force. A survey then followed using questions constructed from the satisfaction, use, and preference. Four multi-family housing were selected from Bun-dang in order to control on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study of 53 samples with over 500 residents, sold before 1996.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56 residents dwelling and 72 merchants running business in these 4 selected housing environmen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In the case of commercial facilities, the satisfaction of the type located in entrance is higher than the others, the use too. As compared the satisfaction with the use, the higher the resident's satisfaction increase, the more heavily they use them. The proper distance (utility distance) is about 150m and in the case of 200m and over, the satisfaction decreases suddenly. 2. In the case of management office, residents satisfy with and prefer to the center in the block. There is not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use but in a series of case (in the action around the this facility) this space is recognized as central space. 3. In the case of resting place, it cannot correct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the residents have with facilities, the more heavily they use them. But the use increases with the resident's satisfaction. So it is believed that the satisfaction is important factor in this case. And it is confirmed that a sample away main circulation has a low satisfaction and use. 4. In the case of communal facilities, the type of high satisfaction has the high use. The use increases with the resident s satisfaction and they are satisfied with the center in the block. It is defined that a noise and surrounding facilities affect a resident s satisfaction. Though the scope of this study somewhat boar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use by planning patterns pointed out as scopes of the study and additional works, to study the planning concept about the positioning of community facilities. It is clear that further examination of planning concept will be required before a generalization of this finding and a concrete application, because there are the limits such as an object of study and the approach of study in definite. And it is need to change quantities standards to qualities standards.

      • 몽골 울란바토르시 아파트 부대복리시설별 거주만족도에 관한 연구

        바야르사이큰 나드미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 울란바토르시 아파트 거주민들이 보다 더 쾌적하고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몽골 울란바토르시 내 아파트의 부대복리시설의 활성화 방안 및 외부공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주거환경, 부대복리시설, 주거만족도 등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립하고, 설문조사는 몽골 울란바토르시 중심부에 위치한 6개 구의 아파트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대복리시설 8가지(주차장, 관리사무소, 조경시설, 어린이놀이터, 경로당, 근린생활시설, 주민운동시설, 보육시설)로 조사했으며, 부대복리시설의 필요도, 만족도, 불만족이유, 면적크기, 거주자 의견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 단지에 부대복리 시설들이 필요하지만 현재 있는 부대복리시설은 주민들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대복리시설 불만족이유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면적이 적거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었다. 셋째, 부대복리시설의 면적을 크게 하고 성능을 지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아파트 건설 및 조성, 분양할 때 거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부대복리시설들을 설치함으로써 몽골 울란바토르시 아파트 부대복리시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몽골 울란바토르시 아파트의 주거의 질과 거주민들의 삶의 질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의 부대복리시설 관련 법령을 참조하여 몽골 사정에 맞게끔 수정 반영해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by seeking ways to activate the auxiliary service facilities of apartments in Ulaanbaatar, Mongolia, and ways to improve the outer space so that residents of Ulaanbaatar City, Mongolia, can live a more pleasant and safer life.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and survey were conducted. First, the concept was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uxiliary welfare facilities, and housing satisfact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of six district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central Ulaanbaatar, Mongolia. Eight sub-commercial(Parking Garage, Management Office, Landscaping Facilities, Children Playground, Senior Center, Nearby Living Facilities, Residents' Sports Facility, Nursery Facilities) facilities were surveyed, and the survey was analyzed, consisting of questions such as the necessity, satisfaction level, reason for dissatisfaction, size and opinions of residents. In summary, the results, it showed that while auxiliary welfare facilities are needed at apartment complexes, the present facilities are not to the liking of residents. As for reasons of dissatisfaction with auxiliary welfare facilities, it was generally found that the area was small or had low performance, and that the area of auxiliary welfare facilities needed to be large and performance oriented. It is believed that by installing auxiliary service facilities that reflect the opinions of residents when building, building and selling apartments in the fut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apartment units in Ulaanbaatar City, Mongolia, can be improved. As a result,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of Ulaanbaatar City apartments in Mongolia will improve.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reflect the situation in Mongolia, referring to Korea's law on auxiliary service facilities.

      • 아파트단지 내 부대복리시설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서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권오성 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우리나라의 주택정책은 수시로 변화하고 있으며, 무주택 국민을 위해 주택의 양적 공급과 주택부족난 해소에 중점을 두어왔다. 이에 따라 대지 활용도가 높은 주택을 건설할 수 있는 아파트는 매우 유효한 주택정책의 수단이었으며, 일반 주택에 비하여 환금성과 매각수익이 높은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통계청 주택보급률 발표에 의하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이 104.8%에 이르고 있어 신규 주택의 공급뿐만 아니라 거주자의 주거 가치를 고려한 생활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19년 기준 전체 주택 수 1812만7000호 중 공동주택의 수는 1399만6000호로 전체의 77.2%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파트 수는 1128만7000호로 공동주택의 80.6%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이슈화인 아파트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대복리시설의 만족도와 이용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아파트 거주자의 부대복리시설 이용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적으로 500세대에서 1000세대 이상 아파트가 밀집되어있는 서울 서남부지역인 강서구, 서대문구, 양천구를 선정하고, 선정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아파트단지 내 부대복리시설 이용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실내운동공과 교육공간 이용 만족도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며 그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 거주자의 부대복리시설 이용 시 실내운동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시설관리와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아파트단지 내 부대복리시설 설치 시 실외운동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대복리시설을 활성화하고 거주자의 이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시설관리 집중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부대복리시설을 단지 중심부에 배치하여 이용도를 향상시키고,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여야한다. 넷째, 실내운동공간을 아파트 거주자가 부담 없이 이용하는데 이용 빈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지 내 중앙으로 배치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파트단지 내의 부대복리시설 이용 활성화를 위해 합리적인 시설물과 함께 관련법규의 정비도 필요하며, 향후에는 인접한 단지간의 중복되는 시설과 공유화에 대한 체계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참고자료로서 활용되길 기대한다. Korea's housing policy is constantly changing, and the focus has been on the quantitative supply of housing for the homeless and resolving the housing shortage. As a result, apartments that can build houses with high land utilization were a very effective housing policy tool, and the demand for apartments with higher cash flow and sales revenues compared to general houses was inevitably increasing. Therefore,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the housing supply rate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housing supply rate in Korea reached 104.8% as of 2019,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not only the supply of new housing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considering the housing value of residents. In addition, as of 2019, of the total number of housing units of 18,127,000, the number of apartment houses was 13,996,000, or 77.2% of the total, and the number of apartments was 11,287,000, or 80.6% of the apartment housing. Therefore, in this study, in a situation where interest in welfare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is increa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of welfare facilities can be identified, and the use of welfare facilities can be activated by apartment dwellers. I wanted to consider a plan. For this purpose, Gangseo-gu, Seodaemun-gu, and Yangcheon-gu, which are region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Seoul where apartments of 500 to 1000 households or more are densely concentrated, were select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sidents of the selected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indoor sportsmen and educational space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welfare facilities in the apartment complex, and the pla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facilities and provide services that anyone can use conveni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exercise space when the apartment residents use the supplementary welfare facilities. Second,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facility management in order to activate the rest of the welfare facilities except for the outdoor exercise space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when installing the supplementary welfare facilities in the apartment complex. Third, by arranging ancillary welfare facilities in the center of the complex, usability should be improved and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the indoor exercise space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omplex in order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use by residents of the apartment without burden.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levant laws along with reasonable facilities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welfare facilitie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to seek systematic development plans for overlapping facilities and sharedization between adjacent complexes. do.

      • 공동주택 부대복리시설의 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삭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6

        매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공동주택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택 양식으로 자리매김 하였고, 공동주택 입주민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부대 복리시설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부대복리시설의 위치가 이용률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부대복리시설의 배치 특성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는 실정이므로, 공동주택마다 각기 다른 배치유형이 적용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대복리시설의 배치 특성에 대해 평면배치유형과 입면배치유형으로 분류하여 전문가와 입주민들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평면배치유형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전문가와 입주민들에 대해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부대복리시설의 위치에 대한 의견을 확인하였다. 전문가와 입주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평면배치유형은 ‘중앙집중형’으로, 입면배치유형은 ‘지상층배치형’으로 조사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평면배치유형의 만족도는 ‘중앙집중형’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단지 계획 시, 위 결과와 전문가 및 입주민들의 면담 결과를 참조하여 반영한다면 보다 높은 부대복리시설 이용 만족도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Apartment housing, which continues to increase every year,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housing style in Korea,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facilities for community activities of residents of apartment housing is gradually increasing. Although the loc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affect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there is no clear regulation on the nature of the arrangement of community facilities, so different arrangement types are applied to each apartment housing.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ment of community facilities were classified into plane arrangement types and elevation arrangements types to investigate preferences for experts and residents, and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plane arrangement types. In addition, interviews with experts and resident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ir opinions on the location of the community facilities. The most preferred type of plane layout for experts and residents was 'centralized type', the type of elevation layout was 'ground floor layout typ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type of plane layout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found to be the 'centralized type'. When planning an apartment housing, it is expecte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community facilities will come out if the above results and interview results of experts and residents are referenced and reflected.

      •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 계획방안 연구

        윤여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6

        최근 아파트 주거문화의 가장 큰 트렌드로 자리매김한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은 일정 규모 이상의 공동주택단지에서는 법적기준 면적 이상의 시설 설치가 필요하며, 현행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커뮤니티센터 및 시설계획’ 평가항목에는 주민공동시설을 법적기준 대비 세대당 0.5~1㎥ 이상을 초과 계획하여야 1급으로 평가되며, 주택성능등급 인정제도의 ‘생활환경 평가’ 부문에서는 주민공동시설이 기준 면적 대비 1.2배 이상인 경우에 1등급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이 친환경인증이나 성능등급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중소규모 단지에서도 상당한 면적의 부대복리시설을 계획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입주민 요구사항을 반영한 커뮤니티공간이 조성될 수 있도록 부대복리시설의 배치, 입주자의 주거특성 및 수요에 대응한 부대복리시설의 설계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6년 이후 입주한 수도권 주요 단지를 대상으로 주택공급유형에 따라 4개 유형(공공분양, 민간분양, 공공임대, 국민임대)으로 구분하여, 총 10개 단지를 선정하여 단지별로 10부씩 모두 1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2012년 8.10~8.20 기간 중 단지를 방문하여 부대복리시설 이용실태 및 거주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행 부대복리시설 설치기준에 대한 법적기준의 적절성 여부 및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부대복리시설 계획방안 도출을 위해 건축사, 주택관리사, 발주기관(LH) 등 3개 그룹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을 법정시설, 건강레저시설, 교육복지시설, 문화편의시설 등 4개 항목 25개 시설로 구분하여 리커트 5점 척도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대복리시설 중 이용활용도가 높은 것은 분양단지에서는 휘트니스, 사우나 등 건강시설, 임대단지에서는 어린이놀이터, 휴게시설 등 법정시설로 조사됐다. 설치 요구도가 높은 시설로 분양단지에서는 주민카페, 공용 세탁실 등 건강 및 문화시설, 임대단지에서는 휘트니스, 독서실(공부방) 등 건강 및 교육시설로 조사됐다. 부대복리시설의 배치형식으로는 단지 중앙에 집중배치형을 가장 선호(63%)하고, 부대복리시설의 특징에 따라 독립된 형태로 단지 곳곳에 배치시키는 분산배치형을 선호(22%)하였다. 주거동 지하공간 활용에 대하여 과반수 거주자들이 찬성의견(51%)을 보였지만, 반대의견(39%)도 많아, 지하에 공용시설을 설치할 경우 채광 및 환기 등에 따른 철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현행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부대복리시설 설치기준에 대한 적합여부에 대한 전문가 의견은 대체로 적절하다(65%)는 의견이 많았지만, 관리사무소 면적은 근무 인원수에 비해 다소 협소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관리소의 면적기준은 실제 관리소 근무인원 등을 고려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행 세대수에 따른 부대복리시설의 법상 면적기준은 단위주택의 규모 및 주택유형에 따라 기준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임대주택은 기초생활 향상과 사회적 지원을 위한 공간 및 프로그램과 연계된 시설이, 분양주택은 여가․취미활성화를 위한 부대복리시설의 계획이 요구된다.

      • 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공동주택단지 부대복리시설 연구 : 어린이 놀이터를 중심으로

        백기웅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6

        우리나라의 대표적 주거형태는 아파트로 불리는 공동주택단지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급속한 고령화와 한 가정의 세대 수 감소는 다양한 노인 문제를 일으키고, 아동은 가정에서 세대 간 갈등해결과정을 포함한 다양한 소통방법을 획득하기 어려워졌다. 노인과 아동의 교류는 상호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해와 존경을 이끌어 낸다. 공동주택단지의 옥외공간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이웃을 만날 수 있는 공간으로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커뮤니티 촉진을 위해 부대복리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의 다양한 활동, 옥외공간과의 유기적 관계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까닭에 옥외공간은 부대복리시설들과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실정이다. 공동주택단지의 대표적 놀이지정 장소인 어린이 놀이터는 노인과 아이의 인구비율이 역전되고, 세대 교류의 사회적 편익이 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획일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놀이터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통한 세대 교류 활성화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대교류와 옥외공간의 개념과 역할, 부대복리시설, 어린이 놀이터를 조사했다. 교류 활성화를 위한 놀이 공간은 중간적·거시적 공간범위에서 자주적·간접 교류를 유도하고, 거주자의 선택적·사회적 옥외활동 빈도수를 끌어올릴 수 있어야 한다. 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각 공간 디자인 요소 도출을 위해 2016-2018년도 준공 단지와 1998-2003년도 준공 단지를 방문하여 최신 놀이터 동향과 재 조성된 놀이터 현황을 파악해 문제점을 기술했다. 또 2018년 행정안전부 선정 우수 어린이 놀이터 2곳과 어린이 특화 놀이 길을 조성한 공동주택단지, 일본의 노유 복합시설을 조사했다. 제안한 놀이 공간은 노인의 신체·생리적 요구와 아동의 놀이 활동을 지원하는 활동적 공간(Activity space),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공적 공간(Public space), 자연을 조망하는 커뮤니티 기능의 정적 공간(Static space)으로 분류했다. 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터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건축, 공간, 시설이 복합된 형태를 가지며, 각 공간과 동선의 유기적 연결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옥외공간과 부대복리시설의 기능적 단절로부터 탈피해야 한다. 둘째, 옥외공간의 자연을 사용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조성해야한다. 셋째, 다양한 서비스 접점을 제공하여 세대 간 접촉을 유발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의 최신 어린이 놀이터와 재 조성된 놀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세대 교류 촉진을 위한 다양한 터치 포인트를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도출했다. 이와 함께 옥외공간의 가능성 있는 공간과 시설들을 개선하고, 보행동선과 부대복리시설간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주거의 총체적 경험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고령화에 대비한 아파트 부대복리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윤아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5

        As apartments become established as a representative housing type, the problems regarding the public nature of apartment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and common service facilities with physical space possessing public characteristics that can strengthen the community within apartment complexes are receiving attention. Also, because Korea’s unprecedented aging population is resulting in the aging residents of apartments, the demand for an apartment complex environment as residential space for the elderly, especially common service facilities is increasing as well. However, existing apartments’ common service facilities have in many cases been designed without considering the elderly, thu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approach and use the facilities, and expanding beyond that, to contribute to society and form their community.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tain basic data for planning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apartments that can respond to the ageing of the apartment constituents, and examine and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inside the most recent apartment complexes, as well as their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residents.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First, in order to discover the current condition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the most recent apartment complexes, eight complexes were used as subjects and their main common service facilities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facilities related to the community life of the elderly within the complex and specialized facilities aimed at the elderly were lacking in terms of their types, and their installment ratio to each household. In order to respond to the ageing of the apartment constitu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obtain quality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inside the complex, along with a plan that will make the existing facilities promote their use by the elderly.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usage situation of the main common service facilities using the elderly residing in the target complexes as subjects show that the usage of most facilities are low, and elderly community halls were used most widely as gathering space. In particular, the elderly tended to concentrate on using the elderly community halls as the facility for gathering space more as they became older, and it showed a need for a plan that would make it possible for the elderly to have various interchanges among the households within the complex by allowing the elderly residents to easily use not only the elderly community halls but other facilities as well. 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satisfaction level showed that the elderly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general common service facilities. Also, the general satisfaction level of the relatively young elderly people regarding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was shown to be low, which confirmed that the demand and expectation of the elderly for facility quality is gradually increasing.Fourth,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most needed by the elderly residents were shown to be resting facilities and the elderly community halls, and the relatively young elderly people showed more need for interior exercise facilities. Furthermore, it was judged through survey results that the types of facilities the elderly need and want to use within the complexes will become more diversified, and there is also a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elderly during the planning stage for facilities other than the elderly community halls.Fifth,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associating with neighbors through common service facilities and the level of interchange, the higher the level of usage for most facilities wa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change within the complex, the more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were judged to contribute to the interchanges within the complex.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activation of interchanges within the complex can be planned through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Accordingly, the activation of interchanges within the complex for the elderly can be hoped for through the planning,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as a more comfortable and pleasant space for the elderly.This paper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housing form in Korea, so that it could respond to the ageing of the apartment constituents that is coming soon. For this, literature studies were conducted, as well as on-site examinations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of apartments, and surveys with the elderly residents, and thus the current condition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their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m could be discover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terchanges among the elderly residents could be activated through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the complex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triangulate a detailed plan for common service facilities planning of apartments that can respond to the coming ageing of the apartment constituents. In order to do this, future research must be conducted on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well as on the satisfaction level, preferences, and need of the elderly residents regarding the specific planning directions and detailed elements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아파트가 대표적인 주거 유형으로 자리 잡아감에 따라 공동주택으로서의 공공성에 대한 문제가 점차 부각되면서 단지내 공동체를 강화시켜줄 수 있는 물리적인 공간으로서 공적인 성격을 지닌 부대복리시설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는 아파트 구성원들의 고령화로 이어지고 있어, 고령자의 주거공간으로서 단지환경 특히 공유공간인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아파트의 부대복리시설은 고령자를 고려하지 않고 계획한 경우가 많아, 고령자의 접근과 이용을 힘들게 하며, 더 나아가 고령자의 사회 참여 및 공동체 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구성원의 고령화에 대응할 수 있는 아파트 부대복리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근 아파트의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의 현황과 함께 고령 거주자의 이용실태와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최근 아파트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8개 단지를 대상으로 주요 부대복리시설의 설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령자의 단지 내 공동체 생활과 관련이 있는 시설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특화된 시설은 시설의 유형도, 세대 당 설치비율도 낮아, 아파트 구성원들의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령자의 단지 내 생활을 위한 시설의 양적인 확보와 함께 기존의 시설이 고령자의 이용을 지원해줄 수 있도록 계획할 필요가 있다.둘째, 조사대상 단지에 거주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주요 부대복리시설의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시설에 대해 이용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류장소로서는 노인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교류장소로 사용하는 시설이 노인정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정 이외의 시설에 대해서도 고령 거주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지 내에서 다양한 세대 간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계획할 필요가 있다.셋째, 만족도 조사결과, 부대복리시설 전반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젊은 고령자의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고령자들의 시설 수준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넷째, 고령 거주자에게 가장 필요한 부대복리시설은 휴게시설과 노인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젊은 고령자가 실내 운동시설을 더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조사결과를 통해 앞으로 고령 거주자가 단지 내에서 필요로 하고, 이용하고자 하는 시설의 종류도 다양화될 것으로 판단되어, 노인정 이외의 시설 계획 시에도 고령자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다섯째, 부대복리시설을 통해 이웃을 사귀는 비율이 높고, 교류수준이 높을수록 대부분의 시설에 대한 이용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단지 내 교류수준이 높을수록 부대복리시설이 단지 내 교류에 기여한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대복리시설을 통한 단지 내 교류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가 사용하기에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시설을 계획하고 유지, 관리하는 것을 통해 고령 거주자의 단지 내 교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유형인 아파트의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이 앞으로 다가올 아파트 구성원의 고령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아파트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현장 조사와 고령주민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부대복리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을 통해 고령주민의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아파트 구성원의 고령화에 대응할 수 있는 아파트 부대복리시설의 계획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추후에 고령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부대복리시설의 구체적인 계획 방향과 세부 요소에 대한 고령 거주자의 만족도와 선호도, 필요도에 대한 연구를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공동주택 적주성 지표에 관한 연구 : 부대복리시설의 통합 지표화를 중심으로

        성기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2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livability criteria method in housing estates focused on integrated criteria with community faciliti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ty facilities as livability space and to supplement the weak point of livability criteria for them. Since Open Space and Community Facilities are recently recognized as concept of real livability space in planning housing estates complex, their importance is emphasized. However, criteria is not sufficiently established for specific livability space. Thus, this dissertation commences with the sense of issue that criteria related to community facilities as livability space should be supplemented. Based on this sense of issue, the present situation of livability criteria in housing estates was investigated above all. The limit in the present situation of livability criteria in overall housing estates was drawn by checking the process of change in each criteria, the range of the scale of such change and the cause of such change. Then, the complex where dwellers actually resided after completion was mainly surveyed by interview for the real situation of use to intensively grasp community facilities that commenced with the sense of issue. The planned contents, grasping the requirement of actual dwellers, qualitative problem in the operation or space, etc were checked to stress the necessity of livability criteria method related to community facilities which were to improve livability. The part that should be improved was found in the above investigation of present situation of livability criteria. First, the total floor area including the area of pilotis is to be utilized so as to calculate the open space. Namely, as shown in the case of this study, the 'total floor area available ground area' including pilotis may acquire the expanded net Open Space by 0.01%. Seco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calculation of criteria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households. In the case of Paju Unjeong and Gwangmyung Chulsan with many households, the space ratio of community facilities per household is ranked at the 9th and 8th place respectively. Although installation over the minimum value is required at present if the standard of community facilities is above 500 households, it may be desirable to convert and apply community facilities as area per household rather than converting it as absolute area which is not related to the scale of housing estates complex in consideration of residents' quality of life. While the livability of housing estates can be judged by generalizing the above mentioned criteria, it is essential to select integrated criteria that includes all open space in the complex instead of calculating criteria only with open space. The specif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xpand livable open space including balcony and pilotis. The ratio where they are added to net open space is 29.6% if covered open space-1 (non-expanded balcony) is added to net open space, 10.65% if covered open space-2 (expanded balcony) is also included, 1.40% if covered open space-3 (pilotis ) is also included and 1.60% if covered open space-4 (community facilities) is also included. Second, it is required to utilize livability space including community facilities, namely, N-open space, N-open space ratio, N-open space per household including community facilities must be utilized as new criteria. In conclusion, in order to prepare the livability criteria method for community facilities, this dissertation suggests the ‘integrated criteria’ that includes all open space in the complex such as livability open space that includes balcony and pilotis and livability space that includes community facilities by getting out of the limit to calculate criteria mainly on the basis of open space. This study intends to be the basic materials to prepare guideline or inducement method to calculate livability criteria as such ‘integrated criteria. 본 연구는 생활가능공간으로 부대복리시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을 위한 적주성 지표가 미약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부대복리시설의 통합 지표화’를 중심으로 공동주택의 적주성 지표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수행한 연구이다. 최근 공동주택 단지계획시 외부공간과 부대복리시설이 ‘실질적인 생활가능공간의 개념’으로 인식이 전환되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생활가능공간에 대한 지표 설정은 부족한 실정 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활가능공간으로서 부대복리시설과 관련된 지표화가 보완되어야 한다는 문제 인식을 가지고 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 인식을 바탕으로 먼저 공동주택 적주성 지표 현황부터 조사하였다.현황조사를 통하여 각종 지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 변화의 규모 범위가 어느 정도 되는지, 그 변화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여 전체적인 공동주택 적주성 지표 현황의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문제 인식을 가지고 출발한 부대복리시설을 집중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준공 후 실제 거주하고 있는 단지를 중심으로 이용실태와 인터뷰 조사를 하였다. 계획된 내용과 실제 거주자들의 요구 파악, 운영상 또는 공간의 질적인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적주성 향상을 위한 부대복리시설과 관련된 적주성 지표화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적주성 지표 현황조사 결과 개선되어져야 할 부분이 발견되었다. 첫째, 외부공간 산정시 필로티 면적을 포함한 ‘지상 활용 연면적’을 활용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사례에서 보듯이 ‘필로티’를 포함한 ‘지상 활용 연면적’은 확장된 순 외부공간을 0.01%로 정도 더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세대수에 따른 지표 산정 개선이 요구된다. 세대수가 많은 파주운정과 광명철산의 경우 세대당 부대복리시설의 공간비는 각각 9위와 8위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는 부대복리시설기준이 500세대 이상인 경우 최소치 이상 설치하게 되어 있으나, 주민들의 생활의 질을 고려해보면 부대복리시설은 공동주택단지 규모와는 무관한 절대적 면적으로 환산하기 보다는, 세대당 면적으로 환산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공동주택의 적주성은 이상에서 언급한 여러 지표의 종합에 의해 판단이 가능하겠으나,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공간만으로 지표를 산정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단지 내, 외부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지표 선정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코니, 필로티를 포함한 생활가능 외부공간 확장이다. 이들을 순 외부공간에 합산되는 비율을 보면, 순 외부공간에 복개 외부공간-1(비확장 발코니)이 더하여지면 29.6%, 복개 외부공간-2(확장 발코니)까지 포함되면 10.65%, 복개 외부공간-3(필로티)까지 포함되면 1.40%, 복개 외부공간-4(부대복리시설)까지 포함하면 1.60% 각각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부대복리시설을 포함하는 생활가능공간 즉, 부대복리시설을 포함한 N-총외부공간, N-총외부공간비, N-세대당 총외부공간 등을 새로운 지표로 활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부대복리시설 적주성 지표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외부공간 위주로 지표를 산정하는 한계를 벗어나 ‘발코니, 필로티를 포함하는 생활가능 외부공간’과 ‘부대복리시설을 포함한 생활가능공간’등 단지 내, 외부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지표’를 제안하다. 이러한 ‘통합지표’로 적주성 지표를 산정하는데 가이드라인 또는 유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화 하고자 한다.

      • 접근성에 기반한 수도권의 행복주택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 연구 : 공간구문론을 중심으로

        이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derive the installation status and accessibility of additional community facilities for over 1,000 household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value of accessibility, which is a physical element of an auxiliary community facilities, using Space Syntax. The main motiv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esign plan of the subsidiary community facilities in the future as basic data by presenting the design direction of the subsidiary facilities in terms of accessibility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ppy housing is a public rental housing that was promoted to young generations; newcomers, newlyweds and college students, with the intention of supplying houses cheaper than surrounding market prices by using convenient and direct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housing anxiety of young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gration, the better accessibility of apartment complexes is, the hypothesis is that if the accessibility of additional facilities is high, the complex will be activated. To verify this hypothesis, this paper quantitatively deals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olidation degree of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degree of consolidation of such complex. As a result, a positive (+) correlation was deri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additional community facilities, th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the complex. This study focuses on the accessibility of the subsidiary community facilities of the happy housing, a public rental housing that is supplied mainly by the youth.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appy housing complex was designed to suit newly married couples. However,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lack of additional community facilities that can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class, excluding children-related facilities. The lower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learning support center for young people compared to the facilities related to children among the auxiliary community facilities means that the accessibility of the facilities for young people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overall ranking of each facility was listed to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each facili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ldren-related facilities, senior citizen centers, and management offices installed in the existing public rental houses were samely installed in highly accessible places in happy housing. It was also confirmed that although the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subsidiary community facilities for happy housing was relaxed compared to public rental housing was applied, there still was a lack of differentiated facilities except for children's facilities.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installation status of additional community facilities for each complex was also install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installation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cessibility of additional community facilities for each complex, the ranking of accessibility per senior citizen center is high. According to the legal installation standard, the senior citizen center installation area i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total households per complex. In this regard, the complex with a high proportion of young people in a small area, such as a happy housing, needs to change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the senior citizen center.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quantitatively analyzed accessibility to additional community facilit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happy housing in the metropolitan area.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differentiation and uniqueness of research in this study compared to many prior studies using space syntax theory since space syntax has been used as a methodology for complex planning in a situation that is concentrated in architecture.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1,000세대 이상의 행복주택을 대상으로 부대복리시설의 설치현황과 그에 따른 접근성을 정량적으로 도출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논문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부대복리시설의 물리적 요소인 접근성의 값을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접근성 측면에서의 부대복리시설의 설계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행복주택 부대복리시설의 설계계획을 기초자료로 제시하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동기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행복주택은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대학생 등 젊은 계층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직주근접이 가능한 부지를 활용하여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려는 의도에서 추진된 공공임대주택이다. 공동주택에서 부대복리시설의 활성화는 통합도가 높을 경우 공간과의 접근성이 좋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부대복리시설의 접근성이 높으면 단지가 활성화 된다는 가설에 의해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부대복리시설의 통합도와 단지 통합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 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도출했다. 부대복리시설의 통합도가 높을수록 단지의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 계층을 중심으로 공급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 부대복리시설의 접근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 행복주택 단지가 입주대상자 중 신혼부부에게 적합하게 설계가 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하지만, 어린이관련 시설을 제외한 청년 계층의 특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부대복리시설이 제공되지 못한 것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부대복리시설 중 어린이관련 시설 대비 학습지원센터의 통합도가 낮은 것은 청년들을 위한 시설의 접근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별 접근성 분석을 위해 전체 시설별 통합도 순위를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 공공임대주택에서 설치된 어린이관련 시설, 경로당, 관리사무소가 접근성이 좋은 곳에 설치되었음을 확인했다. 행복주택이 공공임대주택 대비 완화된 부대복리시설 설치 기준이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시설을 제외한 차별화된 시설이 부족한 것도 확인했다. 단지별 부대복리시설의 설치현황 또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법적 설치기준에만 따라 부대복리시설이 설치된 것도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실이다. 단지별 부대복리시설의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경로당의 접근성 순위가 높다. 경로당은 법적 설치 기준상 세대수에 맞춰 설치면적을 산정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설치 면적을 차지했다. 이러한 점에서 행복주택처럼 젊은 계층의 비율이 높고 소형면적 위주의 단지는 법적 설치시설인 경로당을 입주계층에 맞게 공급기준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의 행복주택의 활성화를 위해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특히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많은 선행연구가 건축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에서 단지계획을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과 독창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