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참여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수봉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참여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활동영역, 시간, 만족도로 구분하여 각각의 경험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구분하여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 동구, 북구, 달서구에 소재한 고등학교 1~2학년 남녀 389명이다. 질문지를 이용하여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활용하였으며,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사후 개별 비교를 위해 LSD 검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중심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사회적 행동은 자원봉사활동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지도 활동, 일손돕기 활동, 위문 활동, 환경시설 보존활동, 지역사회 개발활동의 경험집단이 무경험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원봉사활동 유형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사후검증 결과 2가지 이상의 유형을 경험한 청소년이 1가지 유형만을 경험한 청소년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친사회적 행동은 자원봉사활동 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원봉사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친사회적 행동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친사회적 행동은 자원봉사활동의 내재적 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다. 즉,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의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참여 동기를 종합하여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은 내재적 동기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았다. 즉, 내재적 동기는 친사회적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만족도가 높은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친사회적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볼 때,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사회생활 속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이 주체가 되어 지역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원만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experience and motivation to volunteering on pro-social behavior. The experience was separated by the areas, hours,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 works and the motivation was separated by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389 the 1st and 2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donggu, bukgu, dalseogu of Daegu. For this research, they were driven to answer a questionnaire by themselv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 version 18.0, to obtain the result of Cronbach's α, analysis of variance, LSD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volunteering areas and the number of the type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s. Namely, those who had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volunteering areas such as teaching, helping hand, consolatory, preserving environment facility, and community development,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pro-social behavior than the other non-participants. In addition, pro-social behavior was higher among volunteering participants of two or more volunteering areas compared to those of one volunteering area. Second, the hours of volunteering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s. The more hours of volunteering, the scores of pro-social behaviors were higher. Third,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s. The higher the score of youth satisfaction, the scores of pro-social behaviors were higher. Fourth, their pro-social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intrinsic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but were not significant to extrinsic motivation. Hence, it's known that youth intrinsic motivation is more important than extrinsic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The higher the score of youth intrinsic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the scores of pro-social behaviors were higher. Fifth, adolescents'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had a strong impact on pro-social behavior and especially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was identified as the most powerful influencer on pro-social behavior.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dolescents volunteering can be training methods to improve their pro-social behaviors in the social living of the community living togeth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ir pro-social behaviors, which can form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s as a member of society, adolescents should have a concern about the community as a main figure and to active volunteering.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센티브제공이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천광역시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김혜선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자원봉사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정부에서 조직적, 체계적인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게 되면서 전국 248개 모든 지방자치단체에 자원봉사센터가 설치되었다. 자원봉사활동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새로운 자원봉사자를 발굴·모집하고 교육시켜 봉사자의 능력에 맞게 수요처에 연결해 줌과 아울러 관리해주고, 피드백 해주는 역할까지를 담당하게 되었다. 봉사자들의 욕구가 증가하고, 자원봉사활동의 질이 높아질수록 자원봉사자를 관리함에 있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이 요구되며, 최근 이슈가 되는 사항중 하나가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활동이 더욱 활성화 되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코자 했다. 조사방법은 인천에 소재한 11개의 자원봉사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고찰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인구사회학적요인을 투입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평균 월수입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자원봉사활동기간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있어서는 활동기간이 오래될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가 소속된 기관에서의 인센티브 지원 여부와 지속적인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물질적인 보상 중 대부분의 기관에서 보험가입을 해주고 있으며 일부기관에서는 활동비지원 및 물품격려금을 지급하고 있었으며, 물질적인 보상을 제공받는 자가 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사회적인 인정은 88.4%의 기관에서 자원봉사자들에게 격려나 칭찬의 사회적 인정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기관에서 여러가지 방법을 통한 봉사자들의 지지나 격려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자들은 기관장의 성의 표시, 지속적인 관심, 정부포상, 시간적립 인증제도 등이 봉사활동 지속에 있어 많은 영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피드백 제공 여부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피드백 제공이 봉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준다고 응답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도는 없었다. 한편, 봉사자의 명단을 공개하는 기관에 소속된 봉사자는 그렇지 않은 기관의 봉사자보다 봉사활동 지속에 있어 영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셋째, 자원봉사자의 활동만족도에 대한 응답은 자녀와 자기개발에 본보기가 되고, 여가시간을 보람있게 활용하여 대부분이 만족하였다. 넷째, 인센티브지원 만족도와 지속적인봉사활동과의 영향에 있어 물질적인 보상중 교육 및 연수비지원, 활동비지원이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인 인정과 피드백제공은 지속성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인센티브지원 만족도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비교 해보면, 인센티브만족에 대한 자원봉사활동만족 척도 5문항 모두 인센티브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큰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원봉사활동 참여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자원 봉사 인센티브 만족도를 통합적으로 투입 분석한 결과, 물질적인 보상만족(β=0.647 P<0.01), 사회적 인정 만족정도(β=0.508 P<0.01), 및 피드백 만족도(β=0.124 P<0.01) 등에 대해서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인센티브에 대한 만족도가 클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도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 인센티브지원이 지속적인 봉사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방안 및 개발해야 할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들이 원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하고, 다양한 인센티브 지원방법을 활용하여 개인차에 따른 욕구에 맞는 자원봉사 인센티브를 개별화하여 제공해야한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이 원하는 인센티브에 대한 정기적인 욕구조사가 필요하고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할 때는 인센티브의 양적인 측면보다는 질적 측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자원봉사 활동시 필요한 최소경비(재료비, 교통비, 식비)지원을 통해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않아도 봉사활동에 대한 의지로 참여한 봉사자의 부담을 줄여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하며, 공공시설(공영주차장, 문화회관 공연관람 등)이용료의 할인 또는 무료이용권 제공을 통해 자원봉사활동의 가치를 높이 인정해 주어야 한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및 지속화를 위해 계속적인 관심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활동에 대해 자긍심과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지지해주고, 자원봉사자간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장치(자원봉사기본법, 운영지침 또는 조례제정)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며, 자원봉사자 유형과 활동내용에 따른 객관적인 기준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 policy to support systematic voluntary activities through organizations, all of 248 local governments(si,gun,gu) throughout the country are running volunteer information centers. As routine tasks for running centers, they develop new volunteers, and offer them basic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help them to access to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within their abilities. And they manage the volunteers' activities and provide feedback services as well, paving the way for the volunteer activities to be continued systematically. When it comes to managing volunteers, systematic and professional supports are required as volunteers' desires are increasing and the quality of volunteering is upgrading. Accordingly, one of current issues in this regard is the 'supporting incentives' to volunte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roviding incentives to volunteers can affect on their volunteer activities, and then to find a way to encourage volunteering to be stimulated even more and being ever-lasted. I was able to implement a questionnaire to 155 volunteers who serve for 11 volunteer information centers in the City of Incheon. The result is summarized below;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inputting socio-demographic factors to the satisfaction degree of volunteering, a dependent variable,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average income and the satisfaction degree. As the period of participating volunteer activities was long, however, their satisfaction degree was long, as well, SECOND: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f incentive, if any, by pertinent organizations for which the respondents were serving on their continued service, most organizations provided insurance to their volunteers and some organizations paid fringe benefits, etc. And responders answered 'Yes' if those kinds of benefits can affect their continued services. Regarding the social recognition, also, 88.4% of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provided their volunteers with words of encouragement and praise. And volunteers answered 'Yes' if the expression of good faith, continued interests on their activities by heads of organizations, reward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accumulated time certification system, etc. can affect their continued services a lot. As far as providing feedbacks, volunteers generally answered positively, but there's no statistic significance. Volunteers who were serving for organizations which announce names of their volunteers answered 'Yes' if it affects their continued services, comparing others who serve for organizations which don't do that. THIRD: Regarding the answers of the satisfaction of their volunteer services, most of them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because the service can be a role model for their children and the self-development, as well as using their spare time effectively. FOUR: When it comes to the effect between the incentive satisfaction and the continued service, it turned out that training and education expenses support, fringe benefits among material rewards affected the continuation of their services. Meanwhile, the social recognition and the feedback off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inued service. Comparing the volunteering satisfaction to the incentive satisfaction, however, all of the five index questions of the volunteering satisfaction to the incentive satisfaction indicated that groups which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incentives showed more satisfaction on their services than others who didn't. In conclusion, the satisfaction of material rewards(β=0.647 P<0.01), the satisfaction degree of social recognition(β=0.508 P<0.01) and the feedback satisfaction(β=0.124 P<0.01) had a strong plus(+) correlation as a result of inputting the volunteering incentive satisfaction degree collectively to the volunteering satisfaction degree, a dependent variable. In short, the incentive support affected significantly to the continued volunteer service, based on the fact that the more volunteers satisfied with the incentive, the more satisfied with their volunteer services. The following is some suggestions, methods and factors to be developed for effective volunteer services accrued from this study. Firstly, it's critical to provide incentives that mostly wanted by volunteers and to furnish volunteers with individualized incentives by utilizing various incentive support methods, Accordingly, regular surveys on their desires for incentives are required, and the qualitative aspect should be considered sufficiently when providing various incentives than the quantitative aspect. Secondly, it's necessary to furnish volunteers with the better condition through supporting minimum expenses (material, transportation costs and food expenses) necessary for volunteer activities, though not being affluent economically, leading them to serve continuously, including recognizing the value of their services highly through providing them with discount or FOC tickets for public facilities, such as public parking lots, public peformances, etc. Thirdly, it's required to encourage volunteers to have pride and satisfaction on their services by providing continued interests and feedbacks for the stimulation and continu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s well as developing and providing various programs to facilitate friendships between volunteers, Fourthly, it's urgently required to have systematic devices (enacting basic volunteer service laws, operational guides or regulations) to provide volunteers with professional and systematic incentives. An objective standard chart is needed, as well.
自願奉仕活動 滿足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에 관한 硏究 : 서울特別市 江西歐 成人 自願奉仕者를 對象으로
이재민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의 활동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내어 자원봉사활동 현장에서 이를 활용함으로써 자원봉사자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원봉사자의 만족도는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기관이나 활동대상자에게도 중요하다. 따라서 자원봉사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봉사활동의 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해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기관에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강서구 자원봉사센터,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각 직능·사회단체, 동사무소, 시민단체 등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총 700명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여 645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에서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23부를 제외하고 622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자원봉사활동 내용관련 요인으로서 업무인식도, 업무적절성, 기대합치도와 자원봉사활동 관련 대인관계 요인으로서 담당직원과의 관계,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활동대상자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인 인구사회학적인 특성과 관리방법에 있어서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기간, 인정과 보상, 학력 등에서 봉사활동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형태와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에 있어서는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봉사활동 업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자원봉사활동 과정 전반에 걸쳐 자원봉사자와 관계를 가지는 담당직원의 태도 역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활동기관에서 함께 활동하는 동료 자원봉사자들과의 관계도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를 관리하고 있는 기관에서는 자원봉사활동영역이 다양화 되고 전문화 되어가는 현실을 직시 해 보았을 때 자원봉사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업무가 무엇인지 스스로 탐색할 기회를 갖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자원봉사자들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둘째, 직능·사회단체를 통하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성인 자원봉사자의 경우 자원봉사활동 대상기관이나 활동내용 등이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결정되고 있다. 이는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동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고 중도에 탈락하게 된 주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게 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자원봉사대상기관과 활동내용 등을 결정하는데 자원봉사자들을 참여시켜 개개인의 의사가 존중되고 자율성과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개인에게 주어지는 보상에서 개별성이 중요시 된다고 보여 진다. 예를 든다면 표창받기를 원하는 사람, 교통비 받기를 원하는 사람, 식사접대받기를 원하는 사람, 기타 감사의 편지 등 심리·정서적인 보상을 원하는 사람 등이 있다. 그렇지만 만족도에 있어서는 심리·정서적 지지를 원하는 사람들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자원봉사자들 간에 친목을 도모하는 것은 상호지지체계로서 소속감을 갖도록 해줌으로 봉사활동을 보다 즐겁고 흥겹게 수행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기관에서는 친목도모를 위해 자원봉사자 야유회, 간담회 기회를 제공해 주는 등 봉사자들이 심리적인 부담해소와 정서적인 지지를 위해 자원봉사자들 간에 친교집단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육에 있어서는 교육의 경험 유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교육내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자원봉사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훈련이 요구되며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기관은 기관의 실정에 맞는 자원봉사자 교육과 교재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단순히 이론을 설명해 주는 것 보다는 봉사활동의 사례나 실제를 현실적으로 말해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자원봉사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내용에 있어서 두 가지를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하나는 어느 기관에서나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원봉사 전반에 대한 일반화된 교육과 다른 하나는 자기 기관에 실정에 맞는 특수화된 교육을 말한다. 이 두 가지 교육내용을 균형 있게 제공할 수 있을 때 효과적인 자원봉사자 교육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다섯째, 자원봉사를 처음 시작하는 신규자원봉사자들은 본인의 꿈과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봉사활동에 참여하며 관리기관 및 시설, 담당직원, 활동대상자, 활동내용 등이 본인에게 잘 맞을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출발하지만 자원봉사활동이 지속되면서 관리적인 측면에서 교육이나 인정과 보상 등을 통하여 업무인식도, 기대합치도, 업무적절성을 높여주지 못하거나 대인관계에 있어서 관계형성이 좋지 않다면 만족도가 떨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자원봉사관리기관에서는 자원봉사를 조직의 목적달성을 위한 자원이나 수단의 개념으로만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자원봉사자들의 인격성장과 자아발전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을 통해서 자존감을 높일 수도 있고 인생의 참의미를 발견할 수도 있으며 새로운 경험과 기술을 습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활동대상자 입장만 고려해서 개발될 것이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의 입장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자원봉사자들은 활동기관의 직원들로부터 환대받지 못한다면 신바람 난 봉사활동을 하지 못할 것이며 그 만큼 처음 동기가 약화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finding the factors which are able to elevate service-volunteers'' satisfaction and making them join in the activities voluntarily as a most effective method with putting it into practice at the actual field.The degree of service-volunteer''s satisfaction is much important even to the beneficiaries of the service as well as to the institutes which are employing them.Accordingly, there is a necessity that the institutes should make all endeavors to meet volunteers'' desires and enhance their satisfaction. In order to gain such purpose, I made up questionnaires toward 700 persons who are conducting their service activities at the places of Kangseo-Gu Voluntary Service Center, Social Welfare Institutes, every professional and social organizations, ward-officers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got answers from 645 persons.Among them, I analyzed 622 cases finally with excluding 23 cases which are not corresponded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seen as below.As the independent variables, one of factors being concerned with the contents of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and influence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re are the scope of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activities, suitability of their services and the degree of expectant result, and on the other hand, as a factor of personnel relations, there is a relationship among official clerks, associates of service volunteers and the beneficiaries of service activities: all of them appear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ors.Also, in the aspect of social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a variable of control, and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at, it appeared that the service period, acknowledgement and rewards for service activities, educational ability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service activities, but the shape of participatio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have little influence statistically. Basing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below stated may be summarized.First, it is important for the adults'' volunteers to have a right attitude toward and acknowledgement on the service activities which they render, and even the attitude of the persons who have deep relationship with them in the all aspects affects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Also,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volunteers is much important for the satisfaction of their activities.Accordingly, from the situation that the sector of voluntary service becomes diversified and specialized, the institutes which are managing volunteers must help them research what kind of service they are able to render and it is suitable for themselves, and it is urgent to develop programs which can respond to their intellectual level and interests.Second, in case of adults'' volunte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service activities by mediation of functional and social organizations, the institutes to which they are belonged and the contents of the service are being decided regardless of their desires.This is an important reason which makes volunteers lose concerns about services and get rid of them midway.Accordingly, in order to elevate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ng in the course of deciding the institute they will work at and the contents of activities they will provide, their intentions should be respected and the independence for their service works should be secured.Also, for making them have an interest in it and a constant joining, I think it needs a systematic and scientifical management for them.Third, we should provide peculiar opportunity to each person in the rewards for their service activities.For example,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for rewards; some wants to be commended officially, to take transportation fees, to be entertained at meal and to have a mental and emotional rewards with receiving a gratitude letter. Among them, in evalua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it appeared that the persons who wanted a mental and emotional rewards were much more than the others.Thus, an institute which needs service-volunteers should make organize an amicable group among service-volunteers in order to lighten mental stress and give an emotional support, with providing the opportunity of going on a picnic and having free talking.Fourth, in the aspects of education, it is important the contents of education rather than the existence of educational experience.at the standpoint like this, it is indispensible to give them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as well 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and study materials which are proper to the actual situation of the institutes which needs volunteers'' assistance.Also, the contents of education may be said to need explaining the examples of service activities and realities rather than simple theory.For the effective education for voluntary service, the two points should be contained in the contents of education.It can be said that one is an ordinary education for the overall of service activities which can be put into practice by any kind of institute and the other is a specialized education which are proper for the institute.If the two are provided in balance, we can attain effective education for voluntary service activities.Fifth, the beginners of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are participating in it in order to realize their dreams and desires, under the expectation that institutes and facilities they are belonging to, chargeable officers there, beneficiaries of service rendered and the contents of activities will go well with them. But, while they are conducting their works, if they can''t obtain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works nor find any satisfaction or appropriateness of service activities, or can''t keep a good personnel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ill surely decrease.So, the institutes of managing service-volunteers must not take the activities as materials or vehicles for attainment of their aims.They should take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of volunteers'' personality and cultivation of themselves.Service-volunteers can have a chance of heightening self-confidence and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rendering service activities as well as a chance of acquiring new experience and technology.Accordingly, the program for service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ing not only the situation of beneficiaries but also service- volunteers fully.If they are not welcome from the institutes'' officers, we can''t anticipate their delightful service activities and their initial motivation will be weaken as much.
자원봉사센터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양숙 大田大學校 經營行政·社會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자원봉사 활동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가가 존재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흡한 틈새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국가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활동임은 이미 인식되고 있다. 실예로 1997년 IMF 경제 파탄 시 준비 없는 나라의 경제 한계를 온 국민이 헌신적으로 하나가 되어 어려움을 헤쳐 나갔으며, 2002년 한일 월드컵 대회 때에도 국민 모두가 동참하여 자원봉사 활동으로 그 무한한 힘을 보여 주었고, 올 2003년에도 태풍 '매미'의 수해복구 과정에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렇게 확산된 자원봉사 활동인구는 2002년 12월 갤럽조사결과에 의하면, 현재 국민의 70%가 자원봉사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고 79.9%는 기회가 주어지면 참여하겠다고 하였다. 확산된 국민 자원봉사 활동과 발맞추어 정부에서는 자원 봉사 정책을 추진하였고, 몇 개의 중앙부처로 하여금 봉사센터를 운영하게 하였다. 그 중 행정자치부에서는 시도별 자원봉사 센터 설립 운영을 독려하여, 현재 전국 222개소에 봉사자 1,343,693명이 등록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행정자치부의 자원봉사 활성화 추진 시책방향을 보면 참여 복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원봉사센터 내실화를 통한 자원봉사 활성화의 해로 잡고 ① 자원봉사 인프라의 구축확대, ② 자원봉사 활동의 지원강화, ③ 자원봉사 관리의 전문화·체계화를 추진하겠다고 하였다. 이런 중앙정부의 자원봉사 시책에 발맞춰 지방자치단체가 정한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시각과 활성화 추진계획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현재 대전광역시는 시와 5개 구청에 각기 자원봉사 센터와 협의회를 두고 자원봉사자 24,795명(남 10,755명, 여 14,040명)을 관리하고 있다. 1996년 대전광역시가 자원봉사 센터를 설립할 당시 자원봉사 활동의 제도화는 시대가 요구하는 사회적 시급한 과제임을 제시한 바 있다. 그 당시 자원봉사 활동의 활성화 방안으로 시민들이 자신의 동기나 요구에 맞는 다양한 봉사 활동을 펼 수 있게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와 관련되는 참여 의식을 고취시킨다는 취지로 기관과 시설의 연계된 수요처 개발을 할 것임을 홍보하였다. 또한 당시 자원 봉사자들의 참여동기를 보면 자기발전이나 자아실현, 또는 여가시간을 보람 있게 보내기 위해서였다. 8년 간 운영되어온 대전광역시청과 구청 봉사센터의 실태는 설립초기의 형태나 운영 취지 면에서 개선된 사항은 미비하였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운영도 적었다. 조사결과 100% 직영형태인 현 모형에서 지역실정에 맞는 운영 모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포털시스템 구축이 시급한데 포털시스템은 봉사자와 수요처의 현상파악과 연계에 도움이 되어 사회적인 자원봉사 활동의 홍보와 봉사인구의 저변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청과 각 구의 봉사센터간 네트워크가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각 센터의 특별화에 적용되어 봉사활동의 중복 활동을 막을 수 있고, 교육프로그램 운영 시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연계시킬 수 있다. 봉사센터 관리공무원의 전문성과 잦은 이동도 봉사센터의 활성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봉사자들이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가치는 자신의 봉사활동참여로 사회에 기여하면 좋겠다는 욕구를 지닌 것으로 나타난다. 자원봉사 활동의 저변확대를 위해 수시로 봉사활동 욕구나 활동가능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의 지속경험과 관계 맺기의 의미에 관한 연구
윤나래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학생이 사회봉사활동을 통해 경험하는 관계 맺기와 지속경험의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는 사회봉사활동의 인식 실태 및 활성화와 사회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두어 사회봉사활동을 포괄적으로 연구하였다. 그에 반해 본 연구는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독특한 경험을 중심으로 대학생이 맺는 관계와 사회봉사활동의 지속경험이 갖는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질적연구의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사회봉사활동 경험의 의미생산 주체를 대학생 사회봉사자라는 경험의 당사자에게 맞추고 당사자의 관점에서 관계 맺기와 지속경험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대학교 휴학 혹은 재학 중인 학생이며 최소 6개월 이상 사회봉사활동을 정기적으로 참여한 학생 6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2020년 2월 10일부터 2월 21일까지 10차례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심층면접의 자료 분석결과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사회봉사활동의 시작경험이다. 먼저 대학생들은 학교의 졸업 이수조건인 사회봉사활동 시간 이수, 취업을 위한 경험 쌓기,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사회복지 경험과 진로의 적합성 파악을 위해 사회봉사활동을 시작하였다. 또한 기관의 접근의 편리성, 전문성,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선호하는 사회봉사활동 기관을 선정하였으며 첫 감정은 의무적 참여, 새로운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막연함, 두려움 기대감 등의 감정을 경험하였다. 둘째,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서비스이용자, 관리자, 동료사회봉사자와의 어긋난 관계와 신뢰감 하락으로 인한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약화된 경험이었다. 셋째, 대학생 사회봉사자는 서비스이용자, 관리자, 동료사회봉사자와의 어긋난 관계와 잃어버린 신뢰감으로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의지가 약해졌지만, 이들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의지를 높이는 힘 또한 서비스이용자, 관리자, 동료사회봉사자와의 배려와, 관심, 전문성 등의 경험이었다. 넷째, 대학생 사회봉사자들은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고정관념과 부담스러운 활동에 대한 인식을 가졌으나 서비스이용자, 관리자, 동료사회봉사자와의 관계를 통해 책임감을 가지고 지속 참여에 대한 의지를 형성하였다. 특히 사회봉사활동이 갖는 가치를 깨닫고 사회의 일원으로써의 소속감을 가지고 일상생활에 대한 의미를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양적조사에서 밝혀내기 어려운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경험의 본질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였다. 대학생 사회봉사자 활동 경험을 통해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사회봉사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안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교회의 사회 봉사 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 대한예수교 장로회 고신교단을 중심으로
김길배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이 땅위에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는데 교회의 사회봉사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가난한 자와 고난받는 자에 대한 교회의 정신적·물질적 사랑은 그리스도의 사랑에 대한 실천을 통해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품으로 인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교회의 사회봉사 사업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한국교회가 그 같은 역할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개신교들이 참여하고 있는 “교회의 사회봉사” 실태와 사회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목회자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변수들에 걸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물론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은 교인간의 상호부조활동만이 아니라 교회 밖의 사람들 및 지역사회의 복지를 증진하는 보다 넓은 범위의 노력이 되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의 응답을 중심으로 교회환경, 목회자의 의식 그리고 사회봉사 참여에 대한 교인의 반응 등 3개 차원에 걸쳐 이들 차원을 구성하는 세부 사항들을 분석해 보았다.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을 보다 분석적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사회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을 보다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회의 사회봉사에 관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연구모형과 연구문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교회의 사회봉사활동 실태, 사회봉사 지출비용과 프로그램 실시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한예수교 장로회(고신) 교회 151명의 목사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는 부호화작업(coding)과 오류검토작업(error checking)을 거친 뒤 SPSS 통계 패키지(Ver 5.0)를 이용하여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교회의 사회봉사사업의 실태를 살펴보면, 첫째, 교회의 사회봉사참여에 대한 목회자의 태도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89.3%가 교회의 사회봉사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해 목회자의 95.3%가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교회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 보아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교회의 사회봉사 참여가 교회의 사명의 하나임을 자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교회가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회와 사회복지기관과의 관계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회 내에 사회복지전문가의 채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목회자는 77.8%로 나타난 것은 미래 한국교회에서 보다 전문적인 사회봉사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고 하겠다. 셋째, 교회의 사회봉사 참여에 대해 목회자(89,3%)에 비해 교인들의 찬성 비율(53.6%)은 상대적으로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교회의 사회봉사 참여에 대해 목회자와 교인들간의 차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회의 사회봉사 참여에 대한 목회자의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교인의 사회봉사 지향성 즉, 사회봉사에 대한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태도가 사회봉사의 정도와 범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따라서 사회봉사에 대한 교인들의 인식변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넷째, 교회의 전체 예산중에서 사회봉사를 지출하는 비율은 6%이하가 82.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사회봉사 지출비율이 매우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교회는 재정적인 측면에서 성도들에게 최소한의 헌금으로서 십일조를 강조하는 것처럼, 교회의 전체 예산 중에서 최소한 십일조는 사회봉사를 위해 힘써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회 내에 사회봉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교회는 80개 교회(53.0%)이며, 실시하는 교회의 프로그램의 평균수는 2.43개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 보아, 대부분의 교회가 사회봉사에 대해 소극적임을 알 수 있다. 여섯째, 현재 가장 많이 실시중인 프로그램은 노인들을 위한 경로잔치와 노인대학, 그리고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 분야가 가장 많았고, 앞으로 희망하는 프로그램도 노인, 아동, 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회 내에 노인, 아동,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교회의 사회봉사 지출비율과 사회봉사 프로그램 실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회의 사회봉사 지출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인들의 반응, 사회복지기관과의 협조관계, 그리고 사회복지전문가의 채용 필요성 등의 변수들이 교회의 사회봉사 지출 비율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회 예산 중에서 사회봉사 지출비율을 결정하는 요인은 목회자의 의식보다는 사회봉사에 지출하는 비용에 대한 교인의 반응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회의 사회봉사 프로그램 실시유무를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한 결과, 교회의 사회봉사 참여에 대한 교인의 반응과 사회복지기관과의 관계 등의 변인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 보아, 교회 내의 사회봉사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회의 사회봉사 참여에 대한 교인의 반응이 가장 큰 변수임을 알 수 있고, 사회복지기관과의 관계가 좋은 교회일수록 교회 내에 사회봉사프로그램을 운영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한국교회 사회봉사사업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를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회들 가운데 상당수가 교회 내에 풍부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자원을 사회봉사를 위해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회가 가진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이 요망된다. 둘째, 교회는 사회봉사를 실시함에 있어 여러 교회들과 혹은 사회복지기관이나 단체와 연합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교회의 여러 사업들 가운데서 무엇보다도 먼저 사회봉사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하며, 재정적인 측면에서도 전체 예산의 십일조는 사회봉사를 위해 사용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인들의 의식전환을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교인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진행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회 내에 사회봉사 활동을 전담하기 위한 전문가를 채용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실시를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신앙심 깊은 사회복지사를 채용하거나 교회사무원이나 전도사들에게 사회복지 교육을 시키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또한 교회 내에 자원봉사자를 두거나 사회복지기관에 단기간의 연수를 보내 교육을 받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문인력을 확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교회 사회봉사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회의 봉사활동은 인력의 전문화와 함께 영역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물론 재정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보다 체계적으로 사회봉사비를 사용할 방안을 마련할 시점이다. 따라서 교회의 특성, 위치한 장소, 교인의 반응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교회마다 가장 적합한 형태의 복지분야에 전력할 분야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사회봉사사업에 대한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모형들이 개발되어 개교회와 교단에 보급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靑少年 自願奉仕活動의 滿足度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에 관한 硏究
이영휘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자원봉사활동은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어 복지사회를 이루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자원봉사활동은 인간의 삶을 의미 있고 보람 있게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자원봉사활동은 인성과 도덕성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입시 위주로 왜곡된 우리의 교육현실에서는 학생들은 오로지 대학 진학을 위한 학업에만 전념할 뿐이며 사회에 참여하는 어떠한 기회도 가지지 못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이러한 황폐화된 교육현실을 교정할 수 있는 실천적인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해보고, 이를 가지고 효과적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개입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직무적절성, 직원의 태도 그리고 자원봉사자 교육이 청소년 자원봉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가정하였다.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본 연구의 종속변수이며, 직무만족도, 직원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태도, 그리고 자원봉사자 교육이 독립변수가 된다.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 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수거된 설문은 통계 처리되었으며, 주로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관계, t-test, ANOVA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성별, 연령, 종교)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원의 태도이며 다음으로 업무적절성이었다. 3. 반면에 자원봉사자 교육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효과적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들의 능력과 다양한 관심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자원봉사활동을 관리하는 직원은 자원봉사자에게 많은 관심과 배려를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3. 자원봉사자 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자원봉사의 숭고한 정신을 가르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Volunteer activities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promotion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for the better society. It can be the best way to make life more meaningful and better. Especially volunteer activity for young students has been assumed to give positive influence on growth of personality and sociality. But young students in korea are eager to be a college students during their school days without any experiences for social participation. Youth volunteer activity has become a practical alternatives to correct the impaired education system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factors influence the youth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 effective social work intervention models. Through literature study, I hypothesized that the factors were job appropriateness, the supervisor's attitude and education for volunteers, The satisfaction level of volunteer activities was decided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job appropriateness, the supervisor's attitude and education for volunteer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urvey are consisted 217 adolescents who are study in high school in Seoul Korea. The collected datum were analyzed by such statistical method as Pearson's correlation, frequency,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for Window.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dividual character(sex, age, religion) dose no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ies. 2. The conclusion of multi-regression is that the most powerful factor is the supervisor's attitude and the second factor is the job appropriateness. 3. But education for volunteers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on the youth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esented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voluntary activities of young students. 1. It is desirable to activate the volunteer's programs to think about their capacity and concerns. 2. Supervisors need to arrange volunteers with carefully. 3. Education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teach the spirit of volunteer activities to the young students. Thus, It is desirable to develop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노인의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거주 55세(고령자 고용촉진법 기준)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 및 생활만족에 관한 차이분석과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한 표본선정은 부산시 통계연보(2009)를 모집단으로 하여 유층표집과 집락표집을 하였다. 목표 표본 수는 1000명을 설정하였으며 유효한 표본 수는 865명이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t-test와 일원변량분석(Scheffe검증), 그리고 변인 간 상관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에서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으며, 가족관계적 특성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노인들이 없는 노인들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수입이 되는 일을 할수록, 가족의 한 달 수입이 많을수록,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 모두 참여하고 있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에서는 여가활동유형 중 건강․스포츠 활동이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여가활동 참여 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여가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에서는 자원봉사활동 유형 중 경로당, 요양원 방문 봉사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원봉사활동이 길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관련변인들의 변수 중에서는 성별, 연령, 건강상태, 생활수준, 현재 가족관계, 수입이 되는 일 유․무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 및 자원봉사활동 참여형태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여가 및 자원봉사활동 모두 참여하지 않는 노인보다는 여가활동에만 참여<자원봉사활동에만 참여<자원봉사활동과 여가활동 모두 참여하는 노인들의 순으로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세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가능하게 해 준다. 첫째, 노인을 소외되고 우울한 존재가 아닌 우리 사회의 역동적이고 유용한 인적 자원으로 여기는 인식전환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둘째, 고령사회의 문제를 예방․해결하고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인의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활성화시키는 정부차원의 다각적인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생활만족도가 낮거나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도가 낮은 여러 노인집단들을 여가활동, 자원봉사활동으로 유인하기 위한 노인기관 시설확충, 노인들의 요구가 반영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지도자 양성 및 교육 등이 요구된다. 넷째, 현재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지속적인 활동참여 유도와 동기 강화를 위해 명확한 활동목표 설정과 지속적 관리,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하다.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을 위한 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요인을 규명하여,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사회복지기관의 자원봉사관리과정에서 자원봉사활용이 보다 전문적이고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광주광역시의 자원봉사센터, 사회복지기관의 시설장 및 기관의 자원봉사관리자 80명과 사회복지기관 및 사회복지시설에 등록되어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188명(자원봉사관리자, 73명; 자원봉사자, 1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관리활동은, 프로그램기획 및 업무설계, 자원봉사자 선발 및 업무배치,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에서는 자원봉사관리담당 업무경력 3년 이상이 3년 미만 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관리활동은, 성별과 연령대에서 자원봉사활동 업무적합성에서 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일반적 성별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은, 6개월 이상 참여지속, 자원봉사활동 경력,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은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지속성과 자원봉사관리자의 상관관계 결과, 자원봉사관리자의 프로그램기획 및 업무설계나 자원봉사 홍보 및 모집, 자원봉사자 선발 및 업무배치,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 자원봉사자 지도감독 및 평가, 자원봉사자 인정 및 보상에 만족할수록 자원봉사관리활동의 지속성이 더 높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자원봉사자의 경우, 여자보다는 남자, 그리고 6개월 참여를 지속하거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가 높거나 자원봉사활동 기관 담당직원과의 관계나 동료 자원봉사자들과의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했을때, 자원봉사관리활동의 지속성이 더 높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지역의 확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수들을 동시에 고찰하여 비교․연구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가족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김애지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진주시민들의 가족자원봉사활동의 참여 실태를 설문지 법을 통해 파악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자원봉사자들은 자발적인 참여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물질적인 보상은 많이 원하고 있지 않으나 지속적인 전문적 원조 방법이나 기술교육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자원봉사자들의 성장발전과 자원봉사활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창의성이 부족했던 지금까지의 단순한 노력봉사 정도의 차원에 머물러 있는 봉사활동을 자원봉사단체의 자주적인 연구 활동 지원과 정형화된 연수 프로그램개발 등 가족자원봉사자의 자질향상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여 전문분야로의 활동을 확대시켜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고 가족자원봉사자들의 욕구도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자원봉사활동 참여단계에서부터 자신의 욕구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articipation reality of family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in the Jinju City area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suggest the activation proposals of family volunteerism. The following sums up the research findings with the subjects of Jinju citizens. Family volunteers tend to be spontaneous and don't want much material reward. What they want is consistent professional assistance or technical education. For more effects of this volunteerism and the qualitative growth of those volunteers, mere laboring service at present should be expanded into special areas of creative and professional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In particular, family volunteerism programs should be various enough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meet the needs of family voluntary service activity participants through the support of autonomous research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regular training programs. Therefore, a well-organized and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of family volunteer activities to reflect the desires of the volunteers from the stage of participation is undeniably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