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공동체 의식 매개효과

        한영남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내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에서 활동하는 2024년 1월 기준 20세 이상 성인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방법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2024년 4월 17일부터 5월 14일까지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기기입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38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작성된 36부를 제외한 344부의 설문지를 SPSS 2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결혼상태와 연평균 자원봉사활동 횟수, 연평균 자원봉사활동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은 출신지역,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인 중 신뢰와 네트워크는 출신지역, 규범은 연령, 출신지역, 결혼상태, 연평균 자원봉사활동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동체 의식은 출신지역, 공동체 의식의 하위변인 중 구성원의식, 욕구의 통합과 충족, 정서적 연계는 출신지역, 상호영향의식은 출신지역과 결혼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공동체 의식의 모든 하위변인에도 정(+)적 영향을 미쳤다.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사회적 자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자본의 모든 하위변인에도 정(+)적 영향을 미쳤다.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가족 단위의 자원봉사활동과 제주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 특색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식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사회적 자본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제언을 통해 프로그램 및 정책적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의 교육적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점숙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소년기는 가족의 영향과 만나는 사람과의 관계, 사회적인 활동 등을 통해서 자아가 강해지고 뚜렷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청소년기의 특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적인 요인, 가정적인 요인, 봉사활동요인 등이 자원봉사의 교육적 효과성, 즉 사회적 책임감, 자아정체성, 그리고 봉사지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의 자원봉사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개인적인 요인이나 가정적인 요인, 봉사활동 요인 들이 실제적으로 청소년기의 사회적 책임감, 자아정체성, 봉사지속성을 결정짓는 결정요인으로 적용되는지에 대해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남구와 서울시 도봉구에 거주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총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고 292부를 수거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으며,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교육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밝혀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검증하였다. 첫째, 청소년봉사활동요인은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책임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 사회적 책임성에 동기요인, 봉사의 질 요인, 교육의 적합성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활동이 봉사의 목적에 적합하였는지, 능력과 적성에 맞추어 적절하게 업무배치를 하였는지, 또한 자원봉사 활동에 만족하는지 정도가 청소년들에게 사회적 책임성을 심어주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무언가 이루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 사회적 책임성 형성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사료되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안내와 적절한 봉사활동량도 사회적 책임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소년봉사활동요인은 자원봉사활동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자아정체성에 동기요인, 봉사의 질 요인, 교육의 적합성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활동이 봉사의 목적에 적합하였는지, 능력과 적성에 맞추어 적절하게 업무배치를 하였는지, 또한 자원봉사활동에 만족하는지 정도가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무언가 이루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 자아정체성형성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사료된다.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안내와 적절한 봉사활동량도 자아정체성을 찾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청소년봉사활동요인은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봉사의 지속성에 동기요인, 봉사의 질 요인, 교육의 적합성요인, 평가보상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활동이 봉사의 목적에 적합하였는지, 능력과 적성에 맞추어 적절하게 업무배치를 하였는지, 또한 자원봉사활동에 만족하는지 정도가 청소년들이 의무적인 봉사활동이 아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할 것인지에 대한 지속성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무언가 이루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 또한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사료되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안내와 적절한 봉사활동량도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평가보상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경비를 제공받는 것보다 칭찬과 같은 보상을 받은 청소년들이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봉사활동요인 중 동기요인과 봉사의 질 요인, 교육의 적합성요인은 교육적 효과성 요인 중 사회적 책임성과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평가보상요인은 교육적 효과성요인 중 지속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다양한 연령층의 자원봉사활동의 참여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사회참여의 기회가 제한되어, 전인적 인성 발달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하여 자원봉사활동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유익한 경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겠다. 향후 앞으로도 청소년뿐만 아니라 자원봉사활동은 조기에 아주어린 아이들부터 자원봉사를 할 수 있도록 연령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를 확대시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It can be said that adolescence is the period that the self of the youth becomes strong and clear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family, their relationship to others, social behavior and the like. Based on this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this study presented the revitalization plan to perform voluntary service activity in the home or the local community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home and voluntary service activity factors of the youth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ary service, namely, social responsibility, self-identity, and service continuity. Especial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empirical rationale for whether the individual, home and voluntary service activity factors of the youth were actually applied as the determinants of social responsibility, self-identity, and service continuity in adolescence. This study distributed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to young people living in Nam-gu, Incheon and Dobong-gu, Seoul and made an empirical analysis of 292 collected questionnaires. To make clear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young people's voluntary service activity, this study set and tested the following hypotheses. First, an attempt was made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service activity factor of the youth would have an effect on social responsibi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or,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appropriateness factors had an effect on social responsibility.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degree that voluntary service activity was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service, that job was placed to fit their ability and aptitude and they felt satisfied with voluntary service activ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implanting social responsibility into the youth. And it is thought that the young people participating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with a motive of achieving something through it were greatly influenced in form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guidanc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the amount of proper service activity had a great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Second, an attempt was made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service activity factor of the youth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elf-identity of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or,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appropriateness factors had an effect on self-identity,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that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was appropriate to the purpose of service, that job was properly placed to fit their ability and aptitude and that they felt satisfied with voluntary service activ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elf-identity of the youth. And it is thought that the young people participating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with a motive of achieving something through it were greatly influenced in forming their self-ident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guidanc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the amount of proper service activity had a great effect on the discovery of self-identity.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service activity factor of the youth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or, service quality, educational appropriateness and assessment reward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service.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that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was appropriate to the purpose of service, that job was properly placed to fit their ability and aptitude and that they felt satisfied with voluntary service activ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as to whether they could continue to participate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not obligatory service activity. self-identity of the youth. And it is thought that the young people participating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with a motive of achieving something through it were greatly influenced in sustaining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guidanc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the amount of proper service activity had a great effect on the sustainabiity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young people receiving the reward such as praise rather than provided with the minimum expenses in relation to assessment reward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sustainability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rvice activity factors of the youth such as the motivator,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appropriateness had an effect on such educ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as social responsibility and self-ident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assessment reward factor had an effect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factor such as sustainability. The participation of diverse age groups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is increasing. But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the Korean young people are limited in an opportunity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in the development of whole-man humanity,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m to engage in diverse and profitable experiential learning as well as voluntary service activity.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ge-suited program, expand their participation in it and study for them to experience it in the future so that younger children as well as the youth may engage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 지역사회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권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at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of the individual participants of 207 volunteers registered at the ‘Mapo-gu Volunteer Center’.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composed of self-reporting type with the three sections of the respondent’s general features, volunteer activity features, and social capital measure- ment. In order to analyze the completed questionn- aires, SPSS 12.0 was used to perform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ummary, the research results of the effects of the personal features and volunteer activity features of volunteers on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imes and duration of volunteer work and the extent of education and knowledge regarding volunteering as well as the interest and overall motivation in volunteering.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activities on trust formation showed that there is a higher formation of trust in people with higher awareness of class. Also, when there is a higher interest and motivation in volunteering, there is a higher formation of trust.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activities on social network formation showed that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employment factor, ie. whether the individual is employed, and social network formation. In particular, being employed had a positive effect on network formation. Also, having a higher motivation in volunteer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network formation.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volunteer activities characteristics on the formation of social norms showed that higher interest and motivation in volunteer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a social norm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depending on the volunte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nature of volunteer activities, they may contribute positively in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following measures for social capital formation are necessary.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policies to continuously maintain volunteer activities. Thus, in order to strengthen motivation of volunteers to continue volunteer service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and systematic policies on volunteer services such as ‘plans’ so that volunteers can learn, inspect and manage matters for their selves, ‘develop programs’ for the diversification ofparticipatinggroups,andoffering ‘acknowledgements’ forvolunteers who participated diligently in volunteer activities. Second, there needs to be an establishment of an attractive policy to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a higher education background to volunteer. There must be development in a wide range of volunteer activities that allow these highly educated individuals to take part in local community activities. Also, there needs to be a 'volunteer matching system' with expertise to be set in place. Third, there needs to be a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for unemployed volunteers. There should be support measures such as fre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at use 'volunteer mileage' in order to induce unemployed volunteers to continue volunteering in their community. Fourth, there must be development in the economic activities support area that connects long-term volunteers to the available job opportunities in the local area. Regarding job opportunities, there should be a system that connects volunteers to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businesses or employment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local government. Lastly, there must be an attempt to professionalize the groups of volunteer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seniors over 60 and women are highly active in volunteer activities. Especially since we are moving towards an aging societ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eed for social capital formation by the group of people who are preparing for life after retirement by using the know-how, capabilities, and techniques they have gained thus far. Participation and networking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greatly aid people in finding jobs or adjust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lace of employm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in volunteer fields specialized for women to aid women who are trying to restart their career as a step prior to their re-entry in the workforce. That is, there should be studies to consider specific measures to connect volunteers to potential job opportunities through volunteer work by specializing volunteer areas for women and senior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마포구 자원봉사센터"에 등록된 자원봉사자 207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이 개인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자원봉사활동 특성, 사회적 자본측정 등 3부분으로 구성된, 자기보고 형식의 설문지로 조사 실시하였다. 조사된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2.0을 사용하여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특성 및 자원봉사활동의 특성이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개인 특성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유무에서 사회적자본과 상관을 보였고, 자원봉사활동 특성에서는 활동 기간 및 횟수에 따라 자원봉사 관련 교육과 지식정도, 자원봉사에 대한 관심, 태도전반에 높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개인적 특성 및 자원봉사활동의 특성이 신뢰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는 개인적 특성 중 계층 인식이 높을수록 신뢰 형성이 높아지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심과 태도가 높을수록 신뢰 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개인적 특성 및 자원봉사활동 특성이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 중 직업유무는 네트워크 형성과 상관이 있으며 특히 직업이 있는 경우 네트워크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네트워크 구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개인적 특성 및 자원봉사활동 특성이 사회적 규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심과 태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규범 형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자원봉사자 개인의 일반적 특성 및 자원봉사활동 특성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자원봉사 활성화를 통하여 사회적자본 형성을 제고하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첫째, 자원봉사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장기간 자원봉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에 대한 동기부여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자들이 스스로 배우고, 점검·관리할 수 있는 ‘계획’, 참여계층의 다양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열심히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인정’ 등을 수반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자원봉사관련 정책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학력자에 대한 자원봉사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한 흡인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고학력자들을 지역사회 활동에 끌어들일 수 있는 특성을 살린 다양한 자원봉사활동분야 개발이 필요하며 전문성을 활용한 자원봉사 매칭 시스템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업이 없는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전문훈련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들에게는 자원봉사 마일리지 등을 이용한 무료 교육훈련지원 등 지속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장기간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에 대해 지역의 일자리와 연계한 경제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의 일자리와 관련하여서는 사회적기업이나 커뮤니티 비즈니스, 지방정부의 일자리지원 사업과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의 그룹별 전문화를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연구결과 60세 이상의 고령자층과 여성 집단의 자원봉사활동이 적극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시대적 필요성에 의해 퇴직이후 제 2의 삶을 준비하는 집단이 가지고 있는 노하우, 역량, 기술 등을 활용한 사회적자본 형성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꾸준한 자원봉사활동 등 지역사회 참여와 네트워크는 향후에 직장을 가지거나 직장 내 조직문화에 적응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경력단절 여성의 사회 재참여 전단계로서의 사회참여 방안으로 여성들을 위한 전문적인 자원봉사 활동 분야가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즉, 노인과 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을 대상자 특성에 맞도록 전문화하여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고용과 연계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일반계 고등학교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 경상남도 김해시를 중심으로

        이제경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일반계 고등학교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 경상남도 김해시를 중심으로 -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이 제 경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들이 자아를 발견하고 자신의 삶의 의미와 보람을 스스로 찾으려는 강한 내면적 욕구를 해소하는 장으로서 봉사정신의 함양과 더불어 공동체 의식을 일깨워 조화와 협력, 상호 부조정신, 사회 연대의식 등을 고취시킴으로써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또한 지역사회에서의 체험학습을 통하여 개인적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회 참여의 기회가 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는데, 김해시 지역에서의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및 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현제 자원봉사의 경험을 가진 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현황을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김해시에 소재하는 남녀공학 일반계 고등학교 6개 학교를 임의적으로 선정하여 1, 2, 3학년 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360부가 배포되었고 이 중에서 326부가 회수되어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 처리는 ‘SPSS for windows 17.0’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 방법은 고등학생들의 배경변인(성별, 학년, 가정의 경제형편)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대안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 χ2 검정’과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청소년의 대다수가 보람을 느낀다고 하였으며 필요성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수업 및 학원 수강으로 인한 여유 시간의 부족함과 정보 제공이나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자원봉사활동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하고 있다. 둘째, 자원봉사 교육 내용에서는 실제 활동 터전에서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그리고 자원봉사에 대한 기초 교육을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의 정보는 학교나 담임교사로부터 얻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봉사기관과 학교의 연계가 매우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의 시수에 대한 것은 ‘적당하다’가 ‘너무 많다’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자원봉사활동의 적절한 시간은 방학기간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자원봉사를 하는 이유에서는 ‘내신 점수 때문에 한다’고 대답한 학생수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자원봉사가 활성화 되려면?’ 에서는 ‘보충수업 및 야간자습의 폐지’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자원봉사활동 활성화에는 어떤 노력이 필요 한가’라는 물음에는 ‘봉사활동 참여 분야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이 많았고, ‘학생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전환’도 높게 나왔다. 넷째, ‘청소년 자원봉사 참여 희망활동’으로 ‘해외 구호활동’에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는 평소에 경험 하지 못한 새로운 활동에의 참여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다섯째, 성별에 대한 차이 분석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원봉사의 필요성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 봉사 후의 보람에서도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 및 방안을 종합적인 측면에서 강구해 보겠다. 첫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과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학생들이 자원봉사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학교나 자원봉사 전문기관이 봉사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과 제반 여건에 대한 사항을 사전에 인지시켜 기관이나 학생들 모두에게 뜻있는 봉사가 되게 해야 한다. 학생들이 내신점수 때문에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경우가 대다수였으므로 자원봉사활동이 형식적으로 흐를 수 있다. 그러므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게 하고 학생들에게 친절과 배려로 잘 적응하도록 협조하여 자발적인 봉사학습이 되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흥미와 보람을 가지고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활동분야나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바람직한 청소년의 육성을 위하여 자원봉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학생들의 입시위주 교육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원만한 대인관계 개선과 사회성 함양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 공동체 의식의 회복과 함께 바람직한 민주시민의 훈련의 장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이 활성화 되도록 하기 위해 연계적인 조직망으로의 교육과 전문적인 자원봉사의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학교 당국 또는 봉사활동 관련기관에서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교육을 일반교사와 종사자들이 전문가들에게 받아야 한다. 또한, 전문 사회복지사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운영하는 방법도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셋째, 청소년이 자원봉사활동을 함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은 빈곤 가정의 어린이 문제, 노인 문제, 환경오염 문제, 질병 문제, 지역갈등 등을 인식하고 그 해결을 돕는 활동이 될 수 있다. 넷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종합적인 연계 자원봉사활동 체계를 가지고 활동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별도의 체계만을 가지고 그 활동을 수행할 때와 종합적인 연계 활동체계를 통해 하는 활동과는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자원봉사 체계의 연속선상에서 입체적인 연계성을 확립하고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학생들에게 정보제공이나 활동장소, 배치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각 학교가 처해 있는 지역사회의 특성이나 학교의 실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바람직한 청소년 활동인 자원봉사가 학생들로 하여금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성과 책임감, 자질과 능력을 갖춘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초석이 되며, 건전한 청소년을 양성해 가는 바람직한 대안으로 자리매김을 할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교과 과목으로 정하여 학습활동과 동일시하는 제도의 확립이 요구된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누적 시간제로 관리하여 일정 시간이 되면 대학 입학과 취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준다. 셋째, 청소년 봉사활동에 관한 기본 교육을 강화시켜 간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중요성, 자세, 태도, 평가 등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켜 가야 한다. 넷째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동기 유발과 자발적 참여 촉진을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해 가야한다.

      •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구로구 성인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최용진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구로구 성인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의 참여 실태를 조사하여 자원봉사와 관련된 자원봉사자 활동내용, 대인관계, 관리 및 보상 요인들이 실제 활동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위해 구로구 자원봉사센터,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각 봉사단체, 동 주민센터 등에서 봉사활동하고 있는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된 241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 활동내용과 관련한 특성을 살펴보면, 자원봉사자들이 느끼는 만족도는 대체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업무에서의 인식도는 봉사경력이 오래될수록, 그리고 학습(교육)과 기술, 의료분야 봉사자들이 높으며, 이러한 자원봉사자들의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와 관련해서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각각의 대상자들과 관계를 잘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담당직원과의 관계 특성을 살펴보면, 연령상 60대 이상의 자원봉사자들이 담당직원과의 관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는 40대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대상자와의 관계는 경력이 높을수록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자들의 관리와 보상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연령별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상과 관련해서는 2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원봉사 지속성을 위한 중요요소는 모든 일반적인 요소(성별, 연령, 학력 등)에 상관없이 자원봉사를 계속하도록 하는 것은 물질적인 보상이나 지원보다도 자원봉사활동 그 자체에 대한 만족감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각 주요 변수들 간 상관관계는 대체로 정적인 관계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자원봉사 만족도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관리 및 보상체계에 대한 만족이 높고, 업무인식을 잘하고, 업무적절성에 대한 만족이 높으며, 담당직원, 동료, 활동대상자와의 관계가 좋은 집단은 현재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만족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설정한 모형에 따른 회귀분석을 통해 각 모형에서의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활동내용과 관련된 업무인식과 업무적절성은 모두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인관계에서 각각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력이 있었고, 관리 및 보상체계 또한 자원봉사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원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대해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에게 있어서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봉사활동 업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자원봉사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업무가 무엇인지 스스로 탐색할 기회를 갖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자원봉사자들의 수준과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둘째, 활동대상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자원봉사자는 5년 이상의 자원봉사경력이 있는 사람들이었다. 자원봉사자를 관리하고 연결하는 기관에서는 대인 자원봉사활동 분야에 자원봉사경력이 많은 자원봉사자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만족도에 있어서 가장 높은 연령대는 40대였다. 특히 자원봉사자간의 협력과 융화가 요구되는 자원봉사분야는 적절한 연령대를 고려하여 배치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동을 지속하도록 하고 봉사활동에 대한 만족을 최대한 많이 가질 수 있도록, 자원봉사자 관리기관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의 관심과 자질, 연령 등을 충분히 감안하여 배치하고 관리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 그 자체에 대한 만족감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고 본다.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Volunteer Works : Focusing on adult volunteers of Guro-gu in Seoul Choi, Yong 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finding how the factors, such as what they worked, their relationships, management and reward programs which are related with volunteers influencing satisfactions of volunteers by analyzing their activities. A survey had been conducted with 250 who are volunteering at Guro-gu volunteers service center, Community service center, Social welfare institutes and private volunteering organizations and so on. 24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Regarding characteristics which are related with what they worked, their satisfaction on their volunteer works were overly high. Their task recognition were high as their volunteering career has been long. And people who are well educated and doing their volunteer works at the medical or technical field had a high satisfaction. second, in relationship factors, the volunteers have been a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 volunteers and staffs in general. The over 60s volunteers had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staffs. It turned out 40s old volunteers had more intimate relationship with other volunteers. and volunteers who have experienced volunteer works for a long time had a close relationships with clients. Third, the volunteers are satisfied with management and rewarding programs in general. In management, their satisfaction are similar to regardless of their age. In rewarding programs, about 20s old volunteers' satisfaction were very low. Fourth, 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is important to keep doing their volunteers works, were satisfaction about what they worked rather than reward programs or supports regardless of general factors. Fifth, the correlations between main variables were turned out significantly. The volunteers groups which have high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and reward programs, appropriation of volunteer works and task recognition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 works. Sixth,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on research model are as follows. Task recognition and appropriation of volunteer works were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s works. In terms of relationship, each relationship has influenced at itself, reward programs and management were also influenced on satisfaction of volunteers significantly. Some recommendations on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s works which can make keep doing them are addressed be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the volunteers to have an attitude and recognition about their volunteer works. So it is needed that they should have opportunity to finding works which is suitable for their taste and program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ir level and desire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volunteers who have been doing volunteer works more than 5 years have a high satisfaction about their volunteer works. So there is a necessity that the voluntary service center should make endeavors to allocate longer-experienced volunteers. Third, about 40s old volunte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volunteers. Especially, considering the age when they allocate the volunteers in volunteers is much important because volunteers works are needed corporation and harmony. In conclusion, the institutes which are employing volunteers should allocate them considering their age, what they like and disposition to continue their volunteers works and have a high satisfaction as much as possible. By doing so, volunteers can keep doing their works with their satisfaction about volunteer works.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규태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및 문제점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집은 강원도 원주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2부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자원봉사자의 대다수가 3학년 남학생들이며 연령대는 24세 이상이었다. 대부분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은 자연공학계열이 가장 많았으며, 가족소득은 300만원이상~400만원 미만이었다. 자원봉사 활동분야는 장애인이 가장 높았으며, 이기적 동기를 가지고 동아리나 소모임을 통해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둘째, 대학생자원봉사자의 대인관계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와의 관계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대인관계요인 중 대상자와의 관계(M=3.5899)가 담당직원과의 관계(M=3.4142)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는데, 이는 대학생 자원봉사자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은 동기가 높기 때문에 담당직원 보다 대상자와의 관계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대학생자원봉사자의 사회적지지도 특성을 살펴보면 가족의 지지도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가족의 지지(M=3.3482)가 주변인의 지지(M=3.201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인 사회적 지지가(M=3.2748)로 높게 나왔으며 이는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가족과 주변인들이 대체적으로 높은 관심과 지지를 보인다고 사료된다. 넷째, 대학생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내용의 특성을 살펴보면 업무인식적인 면에서 비교적 많은 수의 학생이 자신의 업무를 인식하고 있으며, 자원봉사활동의 기대합치도에 있어서는 많은 수의 학생이 실제 활동의 소요시간이 적게 들고, 내용은 어렵지 않다고 하였지만, 실제 활동 중 다른 사람과의 관계형성이 어렵다고 나타났다. 업무적절성에 있어서는 대다수의 학생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대학생자원봉사활동의 만족요인의 특성을 살펴보면 만족요인 전체가 매우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내가 누군가에 의해 필요하고 유용한 존재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된 만족감이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특성을 살펴보면 자원봉사활동 지속기간은 3개월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 활동횟수는 월4회, 1회 평균활동시간은 2시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지속의지는 비교적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수요처의 자원봉사자 담당직원은 자원봉사자와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 자원봉사자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주변인과 가족의 지지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공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이다.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지속 및 안정화를 위해서는 봉사자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의 사회봉사과목 수강을 의무화 시켜 대학생이면 누구라도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학생자원봉사활동을 관장할 수 있는 대학 내 자원봉사센터를 설치하여 대학생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참여형태, 활동시간, 활동횟수, 활동 대상들을 고려하여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게끔 관리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to volunteer activities, find out the problems that dis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to volunteering and for last, to find out the solution that will give initiative to the students to participate more to volunteer activities. For this research, 202 students of Wonju city, KangWon province have been surveyed. First, from the survey,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the college student that participate to volunteer activities, are mostly sophomore student around 24 years old. Most of them had religion and they had previous experience on volunteering. Majority of the students were from department of Engineering and their family income were between 300 ~400 million won per month. They mostly participated on helping the disabled person and they joined a volunteering group with personal gain as their motive. Second, they involved more with the voluntee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rate of the volunteers were higher than the volunteering staff as the volunteer student are more eager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than the volunteer staff. Third, one of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the volunteers was the support of the family and friends. Their social support were M = 3.2748 which was the average of the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the family support showed M=3.3482 and friend support M=3.2013. This proved that the volunteer’s family and friend showed more support than those that do not participate to volunteer activities. Fourth, the volunteers’ level of recognition of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high, most of students thought that the actual activity were less long and easier than expected, but they showed that it was difficult to build relationship with others. But generally,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 activity were appropriate. Fifth, the area that the volunteers showed the most satisfaction was that through volunteering, volunteers were able to feel that their help was valuable to others. Sixth, when we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 of the volunteers, their duration was maximum 3 months, around 4 times a month and 2 hours at each time. Their wiliness to keep volunteer activities were positive than expected. Based on this study, measures that should be taken to give initiative to participate on volunteering are as following: First, volunteer staff should try harder to keep a smoother relationship with those that participate on volunteering activities. Second, a new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ncrease the support of close friends and families to the students to participate on volunteer activities. Third, we should develop programs that are related to the student’s majors. New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prepared for student with different interests and abilities. Fourth,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assigned as mandatory class and provide hour credit like other classes to encourage more students to participate. Fifth, there should be a volunteer activity center within the campus with suitable infrastructure, in order for students to be able to participate depending on their interest, time and subject.

      • 學生 自願奉仕活動의 活性化 方案硏究

        오영선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Purpose of study Recently, there are numerous social problems in our youth generation society. This atmosphere is formed to encourage voluntary service learning & moral-ethics education. Furthermore college entrance-examination requires service records of student in orther to, improve youth participation in the voluntary activities as a means of education. Therefor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find the how to service learning in a secondary school & high school. And how to promot for student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To enhance the relevant student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questions as follows: 1. What is the problems in the student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by the character of school situation? 2. What is the experience in the student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by the character of school situation? 3. What is the service learning in schools. 4. How is the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the perception of students? 5. How is the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the accomodation of students? Methodolog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udy questions,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method are employ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s used in measuring the survey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by students of secondary & high school. The statistical techniques employed in this research for analyzing data are frequency and percent using SAS System. Find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 level of students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a secondary & high school by the character of school situation represents that city school is less accomodate than provincial school and less boy's school than girl's school.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 level on the the situation variables of students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a secondary & high school. 2. The perception level of students on the degree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a secondary & high school by the character of school situation shows that provincial students is higher than city students. This results presented that student's living circumstances and availability of voluntary service demands in the community, and provincial students has humanity than city students. 3. Student's volunteer service experience its impact on them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voluntary service projects, understanding of social demands where they could contribute, awareness concerning voluntary service, level of their interest indifferent areas of demand etc. Through this survey were found and result could be used for effective planning of voluntary service programs offered by secondary & high school. Conclusion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ovided more information materials in all of service institutions. 2. Wide & open assess to the opportunity for service and service-learning. 3. Develop coordinated training programs in the school & the service itutions. 4. Teacher should play the role of the circle leader in giving knowledge, work skills and service mind as a volunteer. 5. Using school home room, group activities & special time for ormation exchange. 6. Offer incentives to the students by recongnizing their services, by a thank you letter or an award. 7. Gather worldwide information on service and service-learning by youth and disseminate the program ideas in total service institutions. 8. Improve students' awareness of their role in the community by participating the voluntary service. 9. Make students learned mutual cooperation through voluntary service participation to avoid one's selfishness & searching only for a personal interest.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Cheong-Ju University of Social Welfare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dministration in February, 1997.

      • 靑少年 自願奉仕活動이 自我正體感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 靑少年赤十字(RCY) 奉仕活動 中心으로

        朴在哲 順天大學校 社會文化藝術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특성 및 자원봉사 참여관련 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이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과학적 관리방안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정체감간의 관계에 대한 관련된 변인들을 추출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청소년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자원봉사참여관련 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구성하고, 자아정체감을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사회성, 도덕성으로 구성하여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자아정체감에 대한 주요 문헌연구를 통하여 각 변인들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문항들을 확보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자아정체감에 관한 문항은 허정철(2005)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 사용하였으며, 자원봉사활동의 개인특성요인에 관한 문항은 권순미(2000)가 개발한 도구와 최무연(2002)이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구성하였으며, 가정요인과 학교요인은 김대중(1999)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고등학교 재학중인 청소년 중에서 청소년 적십자(Red Cross Youth: RCY)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1, 2학년 학생 중심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3년 7월 29일부터 2013년 8월 5일까지 선정한 학교에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RCY활동 지도교사를 통하여 남·여 학생들에게 충분히 설명을 하도록 주문하고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고 수거된 287부 중 표기누락 및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2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통계 분석을 위해 SPSS Windows 18.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Cronbach alpha 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원봉사활동의 계획과 운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청소년의 자원봉사참여는 청소년에게 긍정적이고 건전한 사고의 형성을 위해 매우 바람직한 활동이므로 이를 권장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여건의 마련이 중요하다. 2. 자원봉사활동 참여청소년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지지가 중요하다. 자원봉사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지는 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로 밝혀졌다. 3. 부모와 청소년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자원봉사 참여 청소년은 부모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이 필요하다. 즉, 청소년이 정기적으로 체계적인 계획 하에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경험학습과 사회참여를 유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참여요인(횟수, 시간, 유형, 지속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은 조기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어린 청소년이 참여하여 활동 할 수 있도록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를 확대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청소년에게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은 사회참여의 기회가 제한되고, 전인적 인성발달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하여, 자원봉사활동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유익한 경험학습이 가능하도록 RCY등 동아리 활동에 청소년이 보다 쉽게 참여하고 유익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학교 및 가정, 지역사회의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에 따른 장애인 태도조사 연구 : 직업재활학과 학부생을 중심으로

        손정화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재활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자원봉사활동 내용을 통해, 자원봉사활동에 따른 장애인태도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일반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자원 봉사활동과 진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국내 직업재활관련학과인 나사렛대, 대구대, 한신대, 카톨릭대, 평택대에 재학 중인 학부생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도구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부분과 신뢰도를 인정받은 Siller의 장애인태도조사 (Disability Factor Scales)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이때 사용한 분석방법은 1차적으로 자원봉사현황 및 태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였고, 2차적으로 구체적인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 일원배치분산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만을 제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첫째로 개인적 특성요인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지, 둘째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태도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지, 셋째 자원봉사활동시 대상자와의 관계와 관리체계에 있어 태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지, 넷째 재활학과 학생들의 자원봉사와 진로에는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본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적 특성요인에 따른 태도를 보면,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 여성의 경우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거 중고교시절 자원봉사경험이 있는 지에 대해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경우가 '추론된 정서장애'영역에서 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셋째, 학년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7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3학년이 가장 긍정적, 2, 4, 1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변에 관련 장애인이 있느냐에 따라 본인과 가족의 경우가 가장 긍정적인 태도로, 친구나 이웃, 없는 경우 순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태도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보면, 첫째, 대학 재학 중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지에 대해서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7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자원봉사 횟수가 많을수록 태도조사 7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총기간의 경우는 총기간이 길수록 4개 하위영역에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셋째, 자원봉사 활동시 대상 장애인의 연령대에 따른 태도는 아동청소년기 보다 성인기 장애인의 경우가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한 장애종류수는 4가지이하의 경우와 5가지이상의 경우 두가지로 나누어서 비교한 결과 '접촉시 긴장'의 경우만 경험한 장애수가 많을수록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 태도요인 중 자원봉사동기에 따른 태도조사를 보면, 5개 하위영역에서 자발적 동기가 클 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원봉사활동을 하면서 힘들었던 일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부족'과 '활동중에 생기는 대인관계'가 힘든 경우에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 중의 대상자와 관리체계에 따른 장애인태도조사를 보면, 장애인 대상자와의 관계에 따라 '보통'과 '긍정적'인 집단간에 7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긍정적'인 경우 태도가 좋았고, 관리체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 연구문제로 자원봉사활동과 진로와의 관계를 보면, 기술적 분석을 통해, 90% 이상이 진로에 영향을 주어 재활학 학부생들에게 있어 자원봉사활동이 진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의 태도개선을 위해서 무조건적인 자원봉사보다는, 다양하고 연령이 비슷한 장애인을 많이 접하고 대상장애인과의 관계가 좋은 구조적이고 지속적인 환경 속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olunteer experienc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Theref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specific influential factors to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students from Nazarene university, Hanshin university, Catholic university and Pyongtaek university. The survey tools consisted of the survey made by this research and Siller's DF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version 10.0). The results wer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imple statistic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find out the volunteer experience status and attitudes. The t-test method was used on finding relationship among factors and the one-way Anova. This study was based on four main research questions :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attitude toward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the volunteer experience status, third, the effects caused by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management system during the volunteer experience, and fourth, relevance between the volunteer experience and the intention of career deci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the attitudinal results were differentiated by gender. The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by women. Second, students with past volunteer experience in secondary school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hird, the attitudinal difference of the years in school was shown on all seven sub-categories. Juniors were the most positive, followed by sophomores, seniors, and freshmen. Fourth, attitudes were effected by relationship existence on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most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by person with disabilities or acquaintances, friends or neighbors, and no one nearby.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volunteer experience attending college showed positive results in all seven sub-categaries. Second, length and frequency of volunteer experience were related to positive attitudes. Third, the ag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influencing factor on attitudes. Adults were positive attitudes compared to adolescents. Fourth, the numbers of volunteer experience were effected on 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 more experience showed positive attitude. Fifth, the motivation on intention for volunteer experience effected attitudes. Students with higher motivation showed positive attitudes on five sub-categories. Sixth, limited information about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less skilled human relationship showed negative attitude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The intensity of relationship with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wed positive attitudes on all seven categories.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Simple mechan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90% students were effected by volunteer experience would (effect their future career decision. From the above :results,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re needs to be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volunteer work environment where volunteers meet various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imilar age levels and keep a good relationship under a solid volunteer management system compared to unstructured volunteer environment.

      •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지안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에 대한 연구는 시작되었지만, 자원봉사활동에 영성이 미치는 영향력과 의미에 대한 연구의 많지 않다. 사회복지실천에서 영성을 논의한다는 것이 종교성을 논한다는 인식이 많기에 영성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어왔던 것도 사실이다.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인간을 대할 때 영성적 접근을 하는 것이 사회복지의 발전을 가져온다는 것을 인정할 때, 자원봉사자들에 대해 전인적(holistic) 관점을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Walsh(1998)는 영성(spirituality)은 회복, 치유, 레질리언스를 위한 강력한 자원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의 동기욕구, 만족도에 영성이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연구결과에 따라 영성이 자원봉사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포천시 자원봉사센터와 일동천주교회 자원봉사자 3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주요결과를 연구 질문에 따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들의 동기욕구, 만족도의 실태는 어떠한가? 자원봉사자들의 동기욕구는 사회적 책임감욕구(3.925)가 가장 높고. 경험욕구(3.393), 성취욕구(3.795), 사회적 교환욕구(3.607), 사회적 인정욕구(3.250), 사회적 타인기대부응욕구(3.124)순이다. 만족도는 경험욕구만족도(3.953), 사회적 교환욕구만족도(3.808) 사회적 책임감욕구만족도(3.626)순으로 나타났고 성취욕구만족도(3.386)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동기욕구, 만족도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고, 사회적 책임감 동기욕구와 경험욕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1세 이상의 동기욕구가 높고 21~30세 미만이 낮았다. 만족도는 61세 이상이 가장 높고, 20세 미만이 가장 낮았다. 교육수준별로는 중학교 졸업의 동기욕구, 만족도가 높고 대학교 졸업이상이 낮게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동기욕구, 만족도는 자원봉사활동 기간이 길 수 록 높고, 사회적 책임감욕구 동기와 타인기대부응욕구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 단체의 동기욕구, 만족도는 종교단체가 높고, 사회적 책임감욕구와 경험욕구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 대상에 따른 동기욕구, 만족도 모두 아동 청소년 대상이 가장 높았다 참여형태별 동기욕구, 만족도는 참여형태가 정기적일 수록 동기욕구와 만족도가 높고. 성취욕구동기와 타인기대부응욕구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질문] 2.자원봉사자들의 영성의 실태는 어떠한가? 자원봉사자들의 영성은 수직영성보다 수평영성이 높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영성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다. 연령별로는 수직. 수평. 영성전체. 모두 61세 이상이 높고, 20세 미만이 가장 낮았다. 교육수준별 영성은 중학교 졸업이 높고, 대학교 졸업 이상이 가장 낮았다. 직업에 따른 영성은 전업주부가 가장 높고 학생이 가장 낮았다. 자원봉사활동의 일반적 특성별 영성은 종교단체가 높고, 자원봉사활동 기간은 3년 이상이 가장 높고, 6개월 미만이 가장 낮았다. 자원봉사활동 참여형태별 영성은 매주참여가 가장 높고, 비정기적인 참여형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질문] 3.자원봉사자들의 영성과 자원봉사활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영성이 자원봉사활동의 동기욕구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영성전체가 사회적 접촉욕구에 영향을, 수직영성은 사회적 접촉욕구, 사회적 인정욕구, 사회적 교환욕구에, 수평영성은 경험욕구, 사회적 책임감욕구, 사회적 접촉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이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영성전체는 경험욕구 만족도에 영향을, 수직영성은 성취욕구 만족도에, 수평영성은 경험욕구만족도, 타인기대부응욕구만족도, 사회적 교환욕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의 관계 연구를 통하여 살펴 본 함의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동기욕구, 만족도 및 영성에서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 특성과 생애주기를 고려한 차별화된 관리와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연령별 동기욕구, 만족도 및 영성에서 61세 이상이 모두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그들의 내면적 자원을 믿고, 수용하여 다양한 자원봉사의 기회를 열어 놓을 것을 제안한다. 또 20세 미만의 자원봉사자들은 그들의 기호와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상방법과 사회적 지지가 요청된다. 셋째, 교육수준별 동기욕구, 만족도 및 영성에서 중학교 졸업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대학교 졸업이상이 낮게 나타났다. 대학교 졸업이상 봉사자들의 수직. 수평. 영성전체. 강화 접근을 통해 동기욕구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종교유무별 동기욕구, 만족도 및 영성에서 종교가 있는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들과 같은 결과를 보이나 신앙기간별 동기욕구, 만족도 및 영성에서 신앙기간이 자원봉사활동 및 영성에 유의하다는 선행연구들과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어 향후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동기욕구, 만족도 및 영성에서 자원봉사활동 기간이 길수록 경험욕구 및 만족, 사회적 책임감욕구 및 만족 정도가 높고, 동기욕구, 만족도, 영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원봉사자들이 기관에 대한 소속감을 갖고 관계망과 유연한 적응을 할 수 있는 교류 기회를 제공하고, 자원봉사활동 기간에 따른 체계화된 영성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여섯째, 자원봉사활동 단체별 동기욕구. 만족도 및 영성에서 모두 종교단체가 높게 나타나 종교인 또는 종교단체의 자원 활용이 요구된다. 기관과 단체는 종교단체와 유기적 협력과 정기적 교류가 필요하다. 일곱째, 자원봉사활동의 참여형태가 매주. 매월. 자주.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 동기욕구. 만족도 및 영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endry(2002)는 그의 연구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공동체 속에서 일 년 이상 정기적으로 자원봉사를 지속할 때, 그리고 만족스러운 관계망과의 공동체생활 속에서 자원봉사자의 영성을 변화시킨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참여는 자원봉사자들의 내적요인들을 변화. 성장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자원봉사들은 꾸준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봉사활동을 통해 대상자에게 양질의 봉사를 하고, 봉사자 자신은 영적 성장을 할 수 있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여덟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영성에서 성별 , 연령, 교육수준, 직업에 수직영성은 유의하였으나 수평영성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각 집단 간 영성의 정도에 수직영성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 접수 및 초기 면접에 영적가계도(spiritural genogram) 사정 도구 활용, 노인이나 장년층의 경우 영적인생도(spiritural time line) 사정 도구를 통한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안한다. 아홉째, 영성이 자원봉사활동의 동기욕구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영성은 사회적 접촉욕구에 영향을, 수직영성은 사회적 접촉욕구, 사회적 인정욕구, 사회적 교환욕구에, 수평영성은 경험욕구, 사회적 책임감욕구, 사회적 접촉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결과는 영성이 자원봉사활동 동기 욕구의 이타적 요인을 넘어 자기성장욕구 및 개인적 이득 욕구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고, 영성이 신앙적 차원을 넘은 인간의 전존재적 다양한 욕구에 영향을 미침을 함의하고 있다 열번째, 영성이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영성은 경험욕구의 만족도에, 수직영성은 성취욕구 만족도에, 수평영성은 타인기대부응욕구만족도, 사회적 교환욕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들에서 영성이 동기욕구와 상관관계 및 영향을 미침을 보고하였지만 본 연구는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서, 자원봉사활동의 만족 요인에 있어 보상과 개인적 환경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영성이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하여, 향후 자원봉사자들의 만족도에 영성을 고려한 관리방안 모색의 의의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