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 우울, 삶의 질

        임은정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신대체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수는 꾸준히 상승하여 최근 10년 사이에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환자들의 증상을 조절하고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 신대체 요법의 주요 목적이지만, 최근에는 장기적인 치료로 자리매김 하면서 이들의 삶의 질 향상 또한 강조되고 있다. 만성 신부전 환자들은 다른 만성질환을 동반하여 갖고 있어 자가간호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질병이 악화되고 생명의 위협이 초래되기 때문에 자가간호를 계속해야만 하는 어려움에 놓여있다. 특히 복막투석환자는 매일 본인이 관리를 해야 하므로 그들에게 자가간호행위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만성 신부전 환자들이 가장 흔히 경험하는 우울증의 유병률은 우리나라의 경우 35~42%로 높으며, 지속될 경우 면역기능 저하와 자가간호를 소홀히 하여 질병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복막투석환자에게 자가간호를 강화하고 우울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간호, 우울,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여 간호중재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2014년 7월 24일부터 9월 30일 까지 서울지역 종합병원에서 외래 관리를 하고 있는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간호를 측정하기 위해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송미령(1999)이 개발하고, 조미경(2007)이 수정보완 한 도구를 복막투석환자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 한 도구,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Beck의 우울척도를 Lee와 Song(1991)이 한국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시킨 도구,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Ware와 Sherboune(1992)이 개발한 SF-36을 Kim 등(2003)이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방법, 단순상관관계분석, t-test, One way ANOVA, Scheffe방법 그리고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자가간호 점수는 5점 만점에 3.73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우울 점수는 평균 13.33점으로 경한 우울상태에 속했다. 삶의 질 점수는 65.87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자의 자가간호와 우울은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회귀분석에서 자가간호(ß=-.336, p<.01)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간호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 우울과 삶의 질은 음의 상관관계로 두 변수가 모두 삶의 질에 유의한 변인이며 자가간호(ß=.393, p<.001)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우울(ß=-.419, p<.001)이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가간호 점수가 높아지면 우울이 낮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고, 우울이 낮아지면 삶의 질이 상승하고, 자가간호 점수가 높아지면 삶의 질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가간호를 강화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 복막투석액의 pH와 삼투압이 백서의 복강 대식세포 탐식능에 미치는 영향

        윤현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복막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신대체 요법으로 널리 이용되는 방법이며,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복막염은 투석치료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복막염 발생시 일차적으로 대식세포가 주된 방어를 담당하지만 현재 사용하는 복막투석액은 높은 삼투압과 산성 pH로 인해 복강의 면역체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체적합성이 좋은 다양한 투석액이 개발되어 생체내 방어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복막투석액과 생체적합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산 복막투석액과 Icodextrin 복막투석액에서 삼투압과 pH가 백서의 복강 대식세포의 탐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백서의 복강 대식세포를 분리하고 생리식염수, 1.5% 포도당 복막투석액, 1.1% 아미노산 복막투석액, Icodextrin 복막투석액을 기본용액으로 하여 각각 pH를 7.4로 교정하고 각 배지마다 C. albicans에 대한 대식세포의 탐식능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H가 낮고 고장성인 포도당 복막투석액에서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가장 낮았다. 2. 등장성의 Icodextrin 복막투석액과 pH 6.5인 아미노산 복막투석액에서는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높게 나타났다. 3. pH 7.4로 교정 후 산성 pH이던 포도당 복막투석액에서는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4. 아미노산 복막투석액과 Icodextrin 복막투석액에서는 pH 7.4로 교정 후에 대식세포의 탐식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높은 삼투압과 산성 pH는 대식세포의 탐식능을 억제하며, 포도당 복막투석액에서는 pH의 교정이 대식세포의 탐식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아미노산 복막투석액과 Icodextrin 복막투석액에서는 대식세포의 탐식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codextrin 복막투석액에서는 pH의 영향보다는 삼투압이 대식세포의 탐식능에 더욱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며 복막투석액에 포함된 이온이나 Icodextrin자체로 인한 영향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is accepted as one of a standard renal replacement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But the peritonitis is major problem of CAPD. In CAPD patients, peritoneal macrophages are most predominant cell type in peritoneal fluid and it play role in host defense against invading microorganism. Non-physiologic composit ion of peritoneal dialysis solution such as low pH and high osmolality is known as a leading cause local peritoneal defense impairment. Recently more physiologic pH amino-acid dialysis solution and iso-osmolar Icodextrin dialysis solution are clinically introduced. Improvement of macrophage activity under the physiologic dialysis solutions were reported. Our study is designed for evaluation of the effect of pH and osmolality on the peritoneal macrophage(PM) phagocytic activity in various peritoneal dialysis solutions. Method : Peritoneal macrophages were isolated from Sprague-Dawley rat peritoneum. Four dialysis solutions which contain none(normal saline) or 1.5% glucose or 1.1% amino-acid or Icodextrin are used as a original pH and corrected pH 7.4 status respectively. Phagocytic activity of PM is measured by ratio of C. albicans(AT CC 10231) uptake macrophage under high power microscope field. Result : PM phagocytosis activity in Icodextrin dialysis solution or amino-acid dialysis solution is better than those in glucose dialysis solution(p<0.05). There is significant increment of phagocytic activity after pH 7.4 correction in glucose dialysis solution. But these effect is not found in amino acid and Icodextrin contained dialysis solution. Conclusion : Our data suggest that phagocytic activity of PM was increased in iso-osmolar Icodextrin dialysis solution and pH 7.4 glucose dialysis solution. But pH in amino acid dialysis solution and Icdextrin dialysis solution did not in dependently affect phagocytic activity of rat PM. Further study should be planned for the confirmation of direct effect of pH and osmolality on PM ph agocytosis.

      • 복막투석환자의 지식, 태도 및 자가간호수행

        이정이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복막투석요법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의 복막투석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평가한 후 주요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소재 일 대학병원에서 말기신부전을 진단받고, 복막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자료수집은 2008년 4월 1일부터 5월 31까지 2개월 동안 수거된 설문지 10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연구도구는 복막투석관련 지식정도 측정도구는 박미화(1994)의 측정도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19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복막투석관련 태도 측정도구는 김분한과 김영민(2003)의 복막투석에 대한 환자의 태도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는 김영희(1987)의 측정도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19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지식정도는 19점 만점에 최저 7점에서 최고 19점이고 평균은 16.25 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복막투석에 관한 지식정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결혼여부로 이에 대한 Scheffe 검정을 실시한 결과 미혼이거나 현재 배우자가 있는 기혼 그룹에 비해 이혼한 그룹에서 복막투석에 관한 지식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F=-0.28, P=.004).2. 복막투석관련 태도 및 의지력은 120점 만점에 최저 61점에서 최고 103점이었 으며 평균 80.6을 나타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없었고 질병 및 치료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최초 진단후 기간(F=4.86, P=.019)과 치료비 급여방식(F=4.93, P=.009) 및 복막투석관련 정보습득 장소(F=3.49, P=.004)이었다. 그룹 간 비교에 대해 사후 검정을 시행한 결과 신부전 진단시기가 24개월 미만인 경우가 25개월 이상인 경우에 비하여, 건강보험방식으로 치료비를 부담하는 경우가 기타 그룹에 비하여 유의하게 자가관리ⅵ태도 점수가 낮았다.3. 대상자의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보면 대상자의 자가간호 수행정도 총점은 76점이며 최저 35점에서 최고 74점, 평균 58.4점으로 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76.8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수행정도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없었다. 자가간호 수행정도가 낮게 측정된 항목은 “매일 샤워를 하고 속옷을 갈아입는다”, “ 한번 사용한 마스크나 타올은 다시 사용하지 않는다”, “매일 체중을, 하루 두 번 혈압을 측정한다” 등 일상생활 수행과 관련된 내용이었다.4. 대상자가 인지하는 지지정도를 보면 친구나 친지의 지지보다는 가족이나 의료진의 지지를 높게 느끼고 있었다.5. 본 연구의 주요변수인 복막투석관련 자가간호 수행정도와 지식, 태도, 지지(가족,친구,의료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식, 태도, 자가간호 수행정도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족지지와 태도 및 자가간호 수행사이, 의료인 지지와 태도 사이에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본 연구의 결과, 복막투석환자의 긍정적인 태도 및 자가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해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대상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상생활 수행에 관한 지침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신부전 진단 및 복막투석시작을 기준으로 이른 시기에 제공됨으로써 대상자의 긍정적인 투석관리 태도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is the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in order to confirm the interrelation of main variable, after evaluati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the degree of self-nursing accomplishment of the peritoneal dialysis for the patient who has the disease of the end stage of renal failure with receiving the peritoneal dialysis medical therapy.This study was executed the patient who received a diagnosis of the end stage of renal failure in th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andundergone a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The research analyzed the questionnaire 102 issues in the object from April 1st to May 31th for 2 months in 2008.The measurement tool of the knowledge about the peritoneal dialysis in the research used the questionnaire composed with 19 question items based on the measurement tool of Park min-wha(1994). Researcher complemented and used the measurement tool of attitude about peritoneal dialysis based on the measurement tool of Kim bun-han and Kim young-min(2003) .In the last, the measurement tool of the self-nursing accomplishment degree used the questionnaire composed with complemented 19 questions based on the measurement tool of Kim young-hee(1987) .The result of research follows the below.1. Knowledge degree of the object was from the lowest 7 point to the maximum 19 point and averages 16.25 point in 19 perfect point scores. The variable which showed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from knowledge degree of the peritoneal dialysis was whether married or not. The result which executes a Scheffe official approval was that the divorce group had a low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degree as compared with a single or a present married group (F=-0.28, P=.004).2. The attitude and willpower of the peritoneal dialysis in 120 perfect point scores got the scores from the lowest 61 point to the highest 103 point and average 80.6 point. There was no variable which shows the special difference of the population social characteristic. The variable in disease and therapeutic peculiarities was a period after the first diagnosis(F=4.86, P=.019), a grant method of medical fee(F=4.93, P=.009), and a place of obtaining information(F=3.49, P=.004)of the peritoneal dialysis. The result that performed the after-death inspection about the comparison with the groups was like this. Compared to the case that the time of the diagnose of renal failure was over 25months, the case of the time that was below 24months and the case of charging the medical fee through the health insurance had low points in self-nursing accomplishment comparing to other groups.3. The own nursing accomplishment degree’s total score of the object person was 76 points and from the lowest 35 points to the maximum 74 points, with average 58.4 points, and at 100 perfect scores appeared with change at the time of 76.8 points. The variable which shows the difference considered statistically was not from comparison of the own nursing accomplishment degree which follows in quality of the object person. The item that the own nursing accomplishment degree is measured lowly was the contents which relates with a daily life accomplishment. For instance, “I take a shower everyday and change the underwear”, “The mask or the towel which used does not use once again”, ”Measures weight everyday and blood pressure twice on one day”.4. The support degree which the object person recognizes was like this. The object person feels more highly the support of the family or the medical staffs than the support of the friend or the relative.5. After trying to observe a correlation with an self-nursing accomplishment degree, knowledge, attitude and support (family, friend, medical staff) with relating the peritoneal dialysis, the study shows that knowledge, attitude and self-nursing accomplishment degree have an interrelation. Moreover, between family support, attitude and self-nursing accomplishment or between medical staff support and attitude have a special interrelation..I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 order to raise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patients who has peritoneal dialysis and the self-nursing accomplishment, we have to make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the family participates together , and it would be planed and provided considering the quality of the each patients. By offering this education and consultation program to the patients diagnosed in renal failure and the objects of the beginning of peritoneal dialysis on early time , the object person can have the affirmative dialysis management attitude.

      • 복막투석 환자의 복막염 발생요인 분석

        박양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복막투석 환자의 복막염 발생 실태와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K시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서 2007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복막투석실을 방문한 환자와 신장내과 병동에 입원한 복막투석 환자들 중 2000년 3월부터 2007년 7월 사이에 복막투석 시술을 받은 환자를 임의표출 하였으며, 총 12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수집은 예비연구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연구도구는 복막투석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에 관한 14문항, 복막투석과 관련된 특성에 관한 8문항, 자가간호 행위 측정도구 23문항으로 구성하였다(Cronbach's α=.82 ). 투석 초기 건강상태 지표로 복막투석 시작 1개월 이내의 혈청 알부민, 혈청 크레아티닌, %Lean body mass, 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Body mass index, Residual renal function, Hemoglobin 수치를 이용하였다.자료분석은 SPSS 11.5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52.4%, 여자가 47.6%이고, 평균연령은 58.3(± 13.6세)였다. 말기신부전의 원인질환은 당뇨가 39.7%로 가장 많았고 고혈압이 34.1%, 사구체신염이 18.3%였다. 복막투석 기간은 평균 38.8(± 27.5)개월 이었고, 투석기간은 5년 이상이 전체의 26.2%로 가장 많았다. 1회 이상 복막염이 발생한 환자는 53.2%였고 복막염 발생률은 0.63(±0.49)회/환자-년 (1회/18개월)이었고 첫 번째 복막염은 복막투석 시작 후 평균 18.7(± 17.59)개월에 발생되었다.가장 많은 동반질환으로는 고혈압이 53.8%였고, 다음은 관상동맥질환 (20.9%)이었다. 복막염의 발생사유는 ‘Bag 교환 시 실수로 인한 오염’ 이 26.9%로 가장 많았다.2. 대상자의 특성과 복막염 발생1) 일반적 특성 중 남성의 62.1%, 여성의 43.3%가 복막염을 경험하여 성별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²=4.455, p = 0.035).2) 복막투석관련 특성 중 투석기간(χ²=14.937, p=0.005)과, 출구염 유무(χ²=5.783, p=.016)가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 대상자의 투석 초기 건강상태와 복막염 발생투석 초기 건강상태 지표 중 %LBM (t =-2.01, p = .047), Hemoglobin(t = .74, p = .019) 두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4. 대상자의 자가간호 행위와 복막염 발생자가간호 행위에 대한 점수는 복막염 발생 군이 평균 79.79(±7.46), 복막염 미발생 군이 평균 84.85(±5.6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000).이상의 연구결과 남성, 출구염증이 있을 때, 투석 기간이 길수록, 빈혈이 있을 때, 자가간호 행위가 낮을 때 복막염 발생이 더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환자 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복막염 발생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복막투석 환자가 장기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peritonitis and the risk factors related peritoniti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and comparative design.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07 at peritoneal dialysis unit or renal internal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in 'K' city of Gyeonggi-do. Participants composed of 126 patients with peritoneal dialysis (PD), 67 of them experienced peritonitis but 59 of them didn't experience peritoniti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designed by the preliminary stud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4 items about patients' demographic variables, 8 items about characteristics of peritoneal dialysis and 23 items about self-care behaviors. (Cronbach's α=.82). Patients' health condition indices were serum albumin, serum creatinine, %lean body mass, 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body mass index, residual renal function and hemoglobin value within 1 month of PD start.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1.5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hi-square test.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1. 52.4% of the patients were males and 47.6% of them were females. Their average age was 58.3 (± 13.6) years. The primary disease causing the end stage renal disease was diabetes (39.7%), hypertension (34.1%) and chronic glomerulonephritis (18.3%). The average periods of PD were 38.8(± 27.5) months, and 26.2% of the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peritoneal dialysis for more than 5 years. 53.2% of them had been once or more inflicted on by peritonitis. The rate of progression into peritonitis was 0.63(±0.49) time/patient-year (once/18 months), and the first peritonitis occurred 18.7(± 17.59) months after PD start on average.The most frequently accompanying disease was high blood pressure (58.3%), and the second was coronary artery disease (20.9%). The most cause of peritonitis was contamination during exchange of bag due to mistake (26.9%).2. Comparison with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 of peritonitis1)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nly gend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ith occurrence of peritonitis ; 62.1% of male patients and 43.3% of female patients had experienced peritonitis. (χ² = 4.455, p = .035)2) Amo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PD, periods of peritoneal dialysis (χ² = 14.937, p = .005) and occurrence of exit site infection (χ²= 5.783, p= .01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ith occurrence of peritonitis.3. Patients' health conditions at the earlier stage of PD and occurrence of peritonitisAmong the health condition indices, %LBM (t = -2.01, p = .047) and hemoglobin value ( t = .74, p = .019 )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ith occurrence of peritonitis.4. Patients' self-care behaviors and occurrence of peritonitis.The group experienced peritonitis scored 79.79(±7.46) on the self-care scale on average, while the group didn't experienced peritonitis scored 84.85(±5.64). Thus, the level of self-care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occurrence of peritonitis. (p <.000).As discussed above, gender (male), occurrence of exit site infection, periods of PD, level of hemoglobin and the score of self-care behavi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elated to occurrence of peritonit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atients' management and education programs. Lastly, continued research efforts to determine the causes of peritonitis and development of patients' education program would contribute to patients' healthy life in a long term.

      • 복막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

        김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복막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 정도에 따른 자가간호수행도 및 생리적 지표를 파악하여 복막투석 환자의 자가간호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9년 1월 3일부터 2월 10일까지 G 광역시에 소재한 C 대학교병원에서 복막투석을 받는 외래환자 중 연구 대상자의 기준에 충족된 80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 검토와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Sherer 등(1982)이 개발하고 오현수(1993)가 번역한 일반적 자기효능 측정도구와 김은민(2005)이 사용한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생리적 지표는 NKF-K/DOQI(2002) 가이드라인에서 말기 신부전 환자의 임상적인 중재를 위한 사정 시 권고하고 있는 5개 영역중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빈혈, 영양장애, 골 대사 이상 등의 3개 영역과 혈압, 기타혈액검사를 생리적 지표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version 17.0)를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acut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복막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38(±.59)점, 자가간호수행 정도는 4점 만점에 3.12(±.37)점으로 나타났다. 2. 복막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정도는 성별(t=2.06, p= .043), 종교유무(t=2.21, p= .32), 직업유무(t=-4.18, p= .000), 월평균 수입(F=4.88, p= .01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즉 여성 보다는 남성이, 종교와 직업이 없는 군 보다 있는 군이,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이하 군보다 200만원 이상인 군에서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수행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3. 복막투석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정도는 복막투석 기간(t=2.10, p= .039), 복막투석 시행 후 입원 횟수(F=4.12, p= .009), 복막염 경험 횟수(F=2.80, p= .04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가간호수행 정도는 퇴원 후 복막투석에 관한 공식적인 교육 참여여부(t=2.17, p= .035), 복막투석 시행 후 복막염 경험 횟수(F=2.01, p= .047)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복막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 정도에 따른 자가간호수행도는 자기효능감 상위군이 중위군과 하위군보다 자가간호수행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F=6.33, p= .003). 5. 복막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리적 지표는 혈중 총콜레스테롤(F=5.01, p= .012)과 저밀도 콜레스테롤(F=4.63, p= .0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총콜레스테롤 수치는 자기효능감 하위군과 중위군이 상위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는 자기효능감 하위군이 상위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자기효능감 상위군이 자가간호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리적 변수와도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을 지속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 볼 필요가 있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elf care practi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80 out patients receiving the follow-up care at peritoneal dialysis(PD) clinic of CNUH in Gwang-ju.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res and chart review. Results: The mean score for PD patient's self-efficacy was 3.38(1-5poi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eligion, occupation, monthly income, duration of PD, number of admission and number of peritonitis history after PD. The mean score for PD patients' self-care practice was 3.12(1-4poi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D education experience and peritonitis experience after P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are practi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 efficac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a need to promote self-efficacy for self-care practice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염 발생과 그 임상양상: 단일 기관 연구

        문종주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배경 및 목적: 복막투석 치료는 말기 신질환의 확립된 신대체 요법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신기능을 보다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복막투석 치료의 대표적인 합병증인 복막염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복막투석 환자의 이병과 사망 그리고 복막투석을 중단하고 혈액 투석으로 전환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을 차지한다. 이에 복막염의 양상과 예후 및 잔여 신기능 그리고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4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복막투석을 시행한 환자 245명 중에서 3개월 이상 복막투석을 유지하고 복막염 병력이 있는 환자 9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투석실 기록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91명의 복막투석 환자에게서 평균 1,290±817일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총 182회의 복막염이 발생하였으며 치료에 실패하여 도관을 제거한 경우가 15회로 8.2%였고, 사망한 경우가 8회로 4.4%였다. 복막염 발생과 잔여 신기능의 저하 속도와는 연관성이 없었으며(p=0.932), 복막염 치료에 사용하는 amikacin의 총용량과 잔여 신기능 변화의 기울기와의 연관 관계는 없었다 (p=0.945). 복강 도관 제거와 사망과 관련된 위험 인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연령, 성별, 동반 질환, 복막염의 횟수, Kt/V, 복막투석 방법과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 중 복막염 횟수만이 복강 도관 제거의 위험 요인이었다(p=0.020). 치료 시작일로부터 배액내의 백혈구 숫자가 100개 미만으로 감소할 때까지 기간은 평균 4.4±2.6일 이었고, 치료 3일째의 복막액 LDH 농도가 복막염 치료 실패(p=0.007)와 사망(p=0.049)과 연관 관계가 있었다. 결론: 복막투석 환자에게서 반복적인 복막염은 복강 도관의 제거를 초래하므로 적절한 항균제 사용으로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고, 복막액의 LDH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 예후 판단에 도움이 된다. ABSTRACT Clinical aspects of Peritonitis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 A single center experience. Jong Joo Moon Major in Intern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Medicine, Soon Chun Hyang University,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eung Duk Hwang, M.D., Ph.D Background: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is an established renal replacement therapy for end stage renal disease. It is widely introduced in the whole world including Korea and tends to increase each year because of the merit of longer maintenance of residual renal function compare to hemodialysis. Peritonitis, the typical complication of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tends to decrease continuously, but it still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removal of peritoneal catheter, death, stopping peritoneal dialysis and converting to hemodialysis. Thus, the author carried out a study to grasp the condition and prognosis of peritonitis, remaining renal function and factors which affect the clinical course. Method: Among 245 patients who had been on peritoneal dialysis in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from April 2001 to March 2012, the author selected 91 patients who had kept on peritoneal dialysis for more than 3 months and experienced the episode of peritoneal dialysis related peritonitis. The medical record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reviewed. Result: During the average period of 1,290±817 days of peritoneal dialysis, total of 182 episodes of peritonitis developed in 91 study subjects (1.44±3.30 episode/patient-year). Among them, the 15 cases(8.2%) did not improve despite of intraperitoneal antibiotics and peritoneal catheter was subsequently removed. Another 8 patients(4.4%) were dead because of peritonitis related complications. The declining rate of residula renal function after peritonitis were not significantly accelerated(p=0.932). Mor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administered amount of intraperitoneal aminoglycosides and the decline of the remaining renal function(p=0.945). To find risk factors related to the removal of the peritoneal catheter and patient's death, associated parameters such as age, sex, comorbidity, the number of peritonitis Kt/V or the method of peritoneal dialysis were analyzed. Among them, the number of peritonitis was the sole risk factor for the catheter removal(p=0.020). The average days required for decreasing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in drained dialysate below 100mm3 was 4.4±2.6 days after commencing intraperitoneal antibiotics. The LDH level of peritoneal fluid at the third day of treat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itonitis treatment failure(p=0.007) and death(p=0.0049), respectively. Conclusion: In peritonitis patients, the sole risk factor for the peritoneal catheter removal was the episodes of peritonitis. The LDH level of peritoneal fluid at the third day of treatment was correlated with treatment failure or death. The clinical parameters such as, age, sex, comorbidity, the number of peritonitis, Kt/V or the method of peritoneal dialysis did not influence the treatment failure. The declining rate of residual renal function after peritoniti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eritonitis or administration of intraperitoneal aminoglyosides.

      • 지속성복막투석 환자에서 골밀도 저하 관련 요인 분석과 영양교육 혹은 alphacalcidol 투여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박진경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연구 1. 골감소증 CAPD 환자의 골밀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관련 위험요인 분석 및 screening tool 개발, 영양상담 protocol 및 recipe 개발 본 연구는 말기 신부전으로 진단 받고 투석을 시행 (CAPD,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하는 환자 154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먼저, 설문조사 (식이 관련 요인, 인구사회학적 조사 및 기타 투석과 관련된 사항들 조사), 신체계측, 혈액검사 및 투석배액 검사, 골밀도 검사를 실시하여, 이 중 골밀도 검사에 응한 골감소증을 보이는 환자 96명과 골감소증 환자와 나이, 성별, 경제수준이 유사한 골밀도가 정상인 투석 환자 45명을 대상 (총 141명)으로 분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투석환자의 골밀도 저하 위험요인 분석 및 screening tool 개발, 골밀도 개선을 위한 표준 recipe 개발과 무기질 함량 분석, 영양상담 및 교육 프로토콜 (protocol)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PD 환자 총 154명 (남자 70명, 여자 84명)이 random하게 조사되었으며, 이 중 골밀도를 보기 위한 DEXA 검사에 응한 환자는 총 141명 (남자 63명, 여자 78명) 이었는데, DEXA 검사 결과,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으로 분류된 (T-score <-1.0) 군은 남자 39(40.6%)명, 여자 57(59.4%)명이었으며, 정상군은 남자 24명(53.3%), 여자 21명(45.7%) 이었다. 1. CAPD 환자들의 골밀도에 따른 비교 골밀도를 기준으로 비교시, 평균 교육 년수가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연령, 투석 전 후 직업의 분포, 가구의 월 평균 소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골밀도에 따른 음주여부에 있어서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음주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흡연, 운동 여부 및 운동 강도, 운동 빈도의 분포는 차이가 없었다. 만성신부전의 원인 질환으로는 '알 수 없는 원인', '당뇨' 순으로 많았고, 고혈압, 당뇨, 간질환, 심장질환, 위장질환 순으로 합병증을 갖고 있었는데, 특히, 골감소증군의 '간질환' 합병률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받은 시점 기준으로 만성신부전을 앓아온 기간은 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투석기간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만성신부전을 진단 받고 나서 투석을 시작한 시점이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다소 늦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한편, 복막염 경험 여부에 대하여 경험이 없거나 1-2회 경험한 것의 응답비율이 높았다. 주관적 영양상태 판정 (SGA) 결과, '병력: 암, AIDS, 호흡 및 심장악액질 유무, 60세 이상이거나 외상의 유무, 대사적 스트레스 정도' 항목에서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SGA 총 점수는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생활과 관련된 일반적인 특성 중, 골밀도에 따른 영양 상담 (교육) 경험 여부 및 상담횟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간호사, 영양사, 의사 순으로 상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식사 횟수, 식사의 규칙성도 분포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PD 관련 식이요법 지식 정도를 보면, 단백질과 관련된 2 항목의 점수가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식이요법 지식도 총 점수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CAPD 관련 식이요법 실천 정도를 보면, 알코올 섭취와 관련한 실천 항목에 있어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실천 점수를 보였고, 포화지방산 또는 콜레스테롤 섭취와 관련된 실천 항목에서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은 실천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CAPD 식이요법 실천도 총 점수에 있어서는 골밀도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영양소 섭취량을 보면, 총 열량 및 3대 열량원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고, 골감소증군의 인결합제로부터 얻는 칼슘의 섭취량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는데 비해 인의 섭취량은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골감소증군의 Ca:P ratio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타 무기질 및 비타민 섭취량에 있어서는 골밀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대상자들은 총 열량에 있어서 투석액을 포함한 열량은 정상 한국인 RDA에 비해 75% 경계 수준의 섭취 부족 상태였고, 식사만으로는 67% 미만의 매우 낮은 섭취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우리 나라 CAPD 식이요법 guideline에 비해서는 기준량 범위 내에 있었다. 한국인 RDA에 비해, 대상자들의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단백질, 인, 비타민 B6 등의 섭취는 비교적 양호하였고, (식사만으로 섭취되는) 칼슘, 철분,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D, 비타민 E 등의 섭취량은 중간정도 또는 매우 심각한 영양 섭취 상태를 보였으나, 이 중 칼슘, 철분,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나이아신, 비타민 C, 엽산 등의 영양소는 보충약제 섭취량과 함께 보았을 때는 한국인 RDA를 훨씬 초과하는 섭취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평균 단백질 섭취량은 우리 나라 CAPD 식이요법 guideline 기준량 범위보다 낮았다. 인의 섭취의 경우, 한국인 RDA에 비교해 최소 권장량에도 다소 못 미치는 섭취를 보였으나, 1000kcal당 섭취량으로 계산한 INQ값에서는 섭취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우리 나라 CAPD guideline에 대해서는 기준량 범위 내에 있어 비교적 안전선의 섭취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에 따라 보면, 골감소증군의 (식사와 약제로부터 섭취한) 칼슘의 RDA%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여자 골감소증군이 여자 정상군에 비해 비타민 D 섭취 %RDA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NAR 및 MAR은 골밀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들은 투석액을 포함한 열량에 대한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칼슘,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엽산, 비타민 D의 INQ 값이 1에 못미쳐 이들 영양소들의 식사 중의 섭취 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칼슘, 비타민 D는 식사 자체만으로 얻은 열량에 대한 INQ값 조차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골밀도에 따라 보면, 골감소증군의 (식사와 약제로부터 섭취한) 칼슘의 INQ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여자 골감소증군이 남자 정상군에 비해 (식사와 약제로부터 섭취하는) 총 칼슘의 INQ가, 남자 골감소증군이 여자 정상군에 비해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비타민 B1, B2의 INQ가, 여자 정상군이 남자 정상군 및 여자 골감소증군에 비해 엽산의 INQ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50가지의 다빈도 섭취 음식에 대한 빈도를 보면, '미역국' 섭취빈도가 여자 정상군이 남자 골감소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북어국' 섭취빈도가 여자 정상군이 남자 정상 및 골감소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액상 요구르트' 섭취빈도는 여자 골감소증군이 남자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이스크림' 섭취빈도의 경우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류 중 '사과'의 섭취빈도가 남자 골감소증군이 여자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50가지 음식 중 인, 나트륨, 칼륨, 단백질 함량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골감소증 복막투석 환자들에게 비교적 안전한 권장 음식 및 식품들로는, 쌀밥, 인절미, 흰죽, 아이스크림, 시루떡, 두부부침, 계란후라이, 치즈, 쇠고기국, 포도, 땅콩, 사과, 도토리묵무침, 오렌지쥬스, 콩나물, 복숭아, 양배추찜, 김구이, 상추, 오이 등 20 가지였다. 의사로부터 처방받아 복용하는 약을 조사한 결과, 골밀도별로, 정상군의 경우 '수용성비타민 보충제', '칼슘-인 결합제', '혈압강하제', '철분보충제', '심장질환치료제', 골감소증군의 경우 '수용성비타민 보충제', '철분보충제', '혈압강하제', '칼슘-인 결합제', '심장질환치료제' 순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에 따른 일조량 시간, 골질환 진단 유무, 골절 경험 유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신성골이영양증 임상 증상 10가지 항목 중, '신체 골절로 인해 곤란을 받고 있다.', '허리가 굽었거나 통증을 느낀다.', '피부 가려움증, 궤양, 궤사 등이 있다.' 등의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고, 총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문항으로 구성된 우울 정도 지표 조사 결과, 골밀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남자 골감소증군의 외출 기피정도 및 투석 생활에 대한 우울 정도가 다른 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신체계측 결과, 체지방과 관련한 지표들은 모두 골밀도에 따라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액 검사 결과에서는,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혈청 헤모글로빈 (Hb)과 헤마토크리트치 (Hct)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크레아티닌 (creatinine) 수준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골밀도에 따른 혈중 당질, 지질 수준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남자 정상군의 혈청 인 (P)의 수준이 여자 골감소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혈청 칼슘 (Ca), 나트륨 (Na), 마그네슘 (Mg) 수준은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골 건강과 관련된 중요한 지표들인 ALP, 25(OH)2D3, osteocalcin, iPTH 수준을 본 결과, 골밀도에 따른 이들 지표들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골감소증군의 PCR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여 체내 단백질 분해 정도는 비교적 정상군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 골감소증군이 남자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PCR 값을 나타내었다. NPCR은 남자 골감소증군이 여자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 PCR 값과는 다소 다른 결과는 보였고, 이러한 nPNA (nPCR) 평균 값들은 두 군 모두 정상기준 (1.2-1.5) 내에 속하였다. Creatinine Clearance의 경우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두 군의 평균치가 모두 정상 범위 보다 낮았다. 2. CAPD 환자들의 골감소증 위험 요인 분석 본 연구에서는 앞서 분석된 모든 결과들을 바탕으로, 골감소증 위험요인들을 선별하기 위해서 단계적인 분석을 실시 해 나갔다. 그 결과, 낮은 식이요법 지식, 2시간 미만의 조사시간, 신성골이영양증이 있을 수록, 우울증상이 심할수록, 교육연한이 짧을수록 골감소증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혈청 인이 3.5mg/dl 이상, 혈청 iPTH 55pg/ml 이상, BUN 25mg/dl 이상, 혈청 ALP 20U/L 이상, 혈청 크레아티닌 0.9mg/dl 이상이 유의한 골감소증 위험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에 투석기간이 24개월 이상으로 갈수록 골감소증 위험도는 낮아졌다. 3. 골감소증을 예측할 수 있는 screening tool, recipe, protocol 개발 위에서 돌출된 골밀도 관련 요인들 중 골밀도와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혈액 지표를 제외한) 항목 10가지를 최종 선택하여 이를 가지고, 골감소증군을 예측할 수 있는 screening tool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항목별로 가중치를 주었으며, 총 20점 만점으로, 점수에 따라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predictive value 등을 본 후에, 8점 이상일 경우 골감소증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cut off point를 정하였다. Screening tool 총 점수와 DEXA검사를 통한 골밀도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cut-off point인 8점을 기준으로 특히 대퇴부위(femur)의 BMD에 있어서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으로 나누어 본 평균 screening tool 총 점수도 집단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음식빈도조사를 통해 분석된 대상자들의 다빈도 섭취 음식 50가지와 각각의 recipe 내용을 토대로 하여 무기질 분석치를 기준으로 인과 나트륨 함량을 줄이고 Ca과 단백질은 늘리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32가지의 음식 recipe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가지고 영양 교육 및 상담시 부분적으로 적용하였다. 기존의 CAPD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교육 지침들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앞서 분석된 골감소증군과 정상군과의 비교 결과와 개발된 screening tool, 개발된 recipe의 내용들을 중심으로 여러 번의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친 후에 최종적인 골감소증 CAPD 환자들을 위한 영양교육 및 상담 프로토콜 (protocol)을 개발하였다. 연구 2. 영양교육 혹은 Vitamin D 유도체(alphacalcidol, 1α(OH)D3)의 투여가 CAPD 환자의 골밀도와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연구 2에서는 말기 신부전으로 진단 받고 투석을 시행하는 환자중 골밀도 감소증으로 판별된 환자 중 90명을 영양교육 및 상담군 (30명) / Alphacalcidol 투여군 (30명) / 대조군 (30명) 으로 나누어 영양교육군은 개발한 영양상담 프로토콜 (protocol)에 따라 2개월 동안 상담을 하였고, Alphacalcidol 투여군은 alphacalcidol 0.5㎍/day을 6개월간 투여 하였다. 6개월 후에 식이섭취조사, 신체계측, 혈액검사, 골밀도 검사 등을 통해 intervention 기간 전/후를 비교함으로써 앞서 개발한 골밀도 개선을 위한 recipe와 영양상담 및 교육 프로토콜 (protocol)를 이용한 영양상담 및 교육의 골밀도 개선효과를 alphacalcidol 투여 등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인 특성 비교 Baseline에서, 세 군간에 연령, 성별, 동거 가족 수, 교육 년 수, 월 수입, 운동, 흡연, 운동, 영양 교육 및 상담 받은 경험 및 회수 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복막투석을 시행한 기간은 영양 교육군이 alphacalcidol 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실제 골밀도와 관련성을 가질 수 있는 만성신부전 진단 받은 시점으로부터 복막투석을 시작한 시점 사이의 간격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복막염률은 세 군 모두 1-2회 미만의 감염률을 나타냄과 함께 대조군이 다소 높은 빈도를 보임으로써 분포의 유의차를 보였다. 2. 영양교육 및 alphacalcidol 투여 후의 변화 비교 평균 SGA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값의 변화를 보면 intervention 전 후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이요법 지식도의 변화를 보면 먼저 전체 지식도 총 점수에서 군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교육 후만 비교해 봤을 때, 영양교육군이 alphacalcidol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어 영양교육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항목 별로 보면, 특히 단백질, 나트륨, 인의 섭취 지식 정도가 alphacaldicol 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덜 감소되었거나 증가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식이요법 실천도의 변화를 보면 실천도 총 점수에 있어서 영양교육군이 나머지 2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어 교육의 효과를 보여 주었는데, 항목 중에서는 단백질, 나트륨과 관련된 실천 정도가 영양교육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한 향상을 가져왔다. Intervention 후 영양소 섭취량을 보면, 먼저 영양교육군의 (식사와 투석액으로부터 얻은) 총 열량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주목할만한 것은 3군의 (dextrose를 포함시켰을 경우와 포함시키지 않았을 경우 모두) 탄수화물 및 지방 섭취가 변화를 보이지 않은 가운데, 영양교육군의 총 단백질 섭취, 특히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과 열량에 대한 섭취비율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영양교육군의 단백질 RDA%, NAR, INQ (정상인 기준) 등도 다른 두 군,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백질 섭취량은 CAPD 식이요법 guideline에 대하여는 여전히 기준 미만의 섭취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콜레스테롤 섭취에 있어서 baseline에서는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던 것이 6개월 후 영양교육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섭취량을 나타내었다. 교육군의 회분의 섭취도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무기질 중에서는, 영양교육군의 (식사와 약제로부터 얻은) 총 칼슘 섭취량이 다른 두 군, 특히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식사와 약제로부터 얻은) 총 칼슘의 정상인 기준 RDA%, NAR, INQ가 (INQ의 경우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인의 섭취량과 RDA%, NAR, INQ도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단백질 섭취 증가와 연관있어 보인다. 영양교육군의 (식사 중의) 철분의 섭취량과 RDA%, NAR, INQ가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교육군의 (식사와 약제로부터 얻은) 총 철분 NAR이 다른 두 군,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 유의하게 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군의 나트륨과 칼륨의 섭취량은 다른 두 군에 비해 매우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아연의 NAR의 경우 교육군이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덜 감소하였다. 영양교육군의 (식사와 보충약제를 포함한) 비타민 B1, B2의 %RDA, NAR, INQ가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덜 감소하였으며, 비타민 B6는 영양교육군의 식사로부터의 섭취 %RDA, NAR, INQ가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면서 약제를 포함한 총 섭취 %RDA, NAR, INQ가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 유의하게 덜 감소하였다. 또한, 영양교육군의 (식사로부터의) 나이아신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 하면서 (식사와 약제를 포함한) 총 나이아신 섭취량과 %RDA, NAR, INQ가 특히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덜 감소했으며, 교육군의 (식사와 보충약제를 포함한) 엽산의 %RDA, NAR도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 유의하게 덜 감소하고 INQ는 증가하였다. 반면, 총 비타민 C 섭취량은 intervention 후 특히 alphacalcidol 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섭취량을 나타내었고, 영양교육군의 비타민 E 섭취 RDA%, NAR가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 외 다른 영양소들은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 중 비타민 A의 경우는 권장량보다 매우 낮은 섭취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영양 관리 대책이 필요하였다. 영양교육군의 MAR값이 전부 두 군, 특히 alphacalcidol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식사만으로부터 섭취한 영양소에 대한 MAR이 alphacalcidol 투여 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신성골이영양증의 자각 증상 변화를 보면, 먼저, 총 점수는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세부 항목별로는 영양교육군의 '피부 가려움증, 궤양, 궤사 등이 있다.'는 증상 점수가 오히려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기대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였다. 12항목으로 구성된 우울정도 지표를 사용한 intervention 전 후의 우울 정도 변화에서는, 총 우울 정도 점수에서는 군 간에 유의한 변화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우울증 항목별로 '매사에 흥미나 의욕이 없다.'의 우울 정도가 alphacalcidol 투여군이 영양교육군 및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가끔 사는 것이 지루하다고 느낀다.'의 우울 정도는 반대로 영양교육군이 alphacalcidol 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 기대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였다. 신체계측 결과, 영양교육군의 제지방 (Fat Free Mass)량이 alphacalcid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면서 건체중, BMI, PIBW의 증가를 가져왔다. 혈액 검사 결과, 대부분의 지표들에 있어서 군간에 뚜렷한 변화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iPTH 수준은 영양교육군이 alphacalcidol 투여군 만큼 유의하게 감소하여 골 대사 지표가 개선됨으로써 지속적인 intervention시 iPTH와 같은 골 대사 지표들이 호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혈중 빈혈과 관련된 지표들은 교육 후에도 여전히 정상 미만의 범위 내에 있었으나, alphacalcidol 투여군의 경우, baseline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hemoglobin, hematocrit 수준을 보였다가 6개월 후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빈혈 관련 지표들의 수준이 유지되어) 이들 지표의 약간의 호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혈압 및 대부분의 투석 적절도 지표들은 세 군 모두 비교적 정상 수준 내에 있었던 baseline에서 intervention 후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Spine 및 Femur 부위의 DEXA 검사 결과, Spine L2 부위의 BMD와 T-score, Peak Reference, Femur neck 부위의 Z-score, Femur trochanter의 BMD, T-score, Peak Reference, Z-score의 변화 정도 (difference)에 있어서, 영양교육군이 나머지 2군, 특히 alphacalcidol 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해 영양교육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3.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 분석 이상의 변화된 변수들을 가지고 영양교육 또는 alphacalcidol 투여 후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을 분석 해 본 결과, 먼저 영양교육군에서는, Spine L2-4 BMD의 증가에 식물성 지방 섭취량의 증가, Ca:P ratio의 증가, 마그네슘 섭취의 증가, 건조체중의 감소가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변수들로 나타났고, Spine L2-4 T-score의 증가에는 마그네슘 섭취의 증가, 식이요법 실천도 총 점수의 증가, 신성골이영양증 항목 중 피부의 가려움증 및 궤양, 궤사 정도의 감소가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변수들로 나타났다. 또한, Femur (neck+trochanter+intertrochanter) BMD의 증가에 식이와 약제로부터의 칼슘 섭취량 증가가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변수로 나타났고, Femur (neck+trochanter+intertrochanter) T-score 증가에는 식이와 약제로부터의 칼슘과 마그네슘의 섭취량 증가가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변수들로 나타났다. 한편, alphacalcidol 투여군의 경우에는, Spine L2-4 BMD의 증가에 혈중 iPTH 수준의 감소, 식이로부터의 회분 섭취량 감소, 식이 및 약제로부터의 비타민 B2 섭취량의 증가가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변수들로 나타났고, Spine L2-4 T-score의 증가에는 신성골이영양증 증상 총 점수의 감소, 식이로부터의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의 증가 및 아연 섭취량의 감소가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변수들로 나타났다. 또한, Femur (neck+trochanter+intertrochanter) BMD의 증가에 식이로부터의 식물성 지방 및 아연 섭취량의 감소가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변수들로 돌출되었고, Femur (neck+trochanter+intertrochanter) T-score 증가에는 식이와 투석액의 덱스트로즈로부터 얻는 총 열량 중 단백질 섭취량의 % 감소와 아연 섭취량의 감소가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변수들로 나타났다. Nutritional risk factors related to osteopenia and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r alphacalcidol treatment on the bone density and bone metabolism markers for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is study consisted of two studies. Study 1: Nutrition risk factor related osteopenia for CAPD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and development of screening tool, recipe, protocol for them. Low bone mineral density (BMD) is frequently found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on maintenance dialy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lower BMD in patients on peritoneal dialysis (PD) and develop a screening tool and recipes for BMD improvement based on the mineral content analysis. Nutri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protocol were also developed and used out for PD patients with alphacalcidol treatment. One hundred fifty four PD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out- patients regularly visiting the renal department for check up. The most prevalent disease suspected to cause ESRD was diabetes The 154 PD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osteopenia group (OG:N=96, male:39, female:57) )and control group (CG:N=45, male:24, female:21)) based on the average T score of spine and femur. Both groups were matched with age , income.and sex. Biochemical indices, anthropometric and dietary data were also obtained. OG showed significantly lower education years and higher drinking rate of alcohol compared to CG. OG was also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lower duration of dialysis and higher SGA (Subjective Global Assessment)score assessed with having major disease, age and metabolic stress, which meant higher risk of malnutrition. OG group patients were observed as having lower knowledge score related to protein intake and poor practice score in abstinence of alcohol and fat intake. Dietary assessment with 24-hr recall method showed that OG had significantly lower nutrients intakes in the RDA%, INQ of calcium-from Ca-P binder and dietary Ca. Both group showed that calcium, iron, zinc, vitamin A, vitamin B1, B2, niacin, vitamin C, folate, vitamin D, vitamin E were very low compared with Korean RDA. However, when the nutrient intakes with supplements were counted, they exceeded the Korean RDA. The protein intake was enough compared with Korean RDA, bu, was still lower compared with CAPD diet therapy guideline. The INQ of phosphorous in both group was higher compared with Korean RDA, but was evaluated as good compared with CAPD diet therapy guideline. The severity of clinical symptoms associated with renalosteodystrophy, depression score and the levels of anthropometric indic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 Biochemical indicators of iron statussuch as hemoglobin, hematocri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G..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increased risk of osteopenia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low knowledge for diet therapy, sun light exposure less than 2 hours a day, having symptom of renal osteodystrophy, higher degree of depression. The biochem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osteopenia in PD patients were serum P (≥3.5mg/dl), serum iPTH (≥55pg/ml), BUN (≥25mg/dl), ALP≥20U/L, and creatinine>0.9mg/dl, whereas longer duration of dialysis (≥24 months) was associated with the decreased risk of osteopenia. The screening tool to screen out the patients with higher risk of osteopenia was developed. Ten factors related with BMD T score or higher risk of osteopenia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such a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en items were used for screening tool and 1-3 score were applied for each item. The total score of the screening tool was 20 and validity was estimated with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The score more than 8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to screen out CAPD patients with osteopenia. This study also developed of new dishes for PD patients. 50 dishes that t most frequently consumed in all subject were determined and protein and mineral contents were analyzed for frequently consumed 50 dishes for PD patients. The most safe and recommended dishes based on the contents of protein and mineral for these subjects were white boiled rice, white gruel, beef soup, steamed cabbage, roasted dried laver, fried egg, roasted bean-curd, cooked and seasoned bean sprouts, acorn-starch jelly, cheese, icecream, orange juice, apple, graph, peach, peanut, rawlettue, raw cucumber, injulmi-rice cake. Thirty-two new dishes with modified recipes were developed for PD patients. Protein and mineral contents were analyzed for frequently consumed 50 dishes for PD patients. The recipes were modified to decrease P, Na, and K contents and to increase protein and Ca contents.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xisted guidelines. Study 2: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r alphacalcidol supplementation on the bone density and bone metabolism markers The 90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nutrition education group: NG, alphacalcidol group: AG, and control group: CG). The new education and counseling protocol developed in the study 1 was used for intervention of NG patients. Alphacalcidol supplementation (0.5㎍/day) was carried out for 8 months and nutrition education was performed for the last 2 months. In baseline dat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family number, education years, income,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habit, and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among groups. After intervention, NG showed significantly more increases in knowledge score, and practice score of dietary guideline, especially items related to the protein and sodium intake. NG showed more increases in protein, especially animal protein, ash, calcium-from Ca-P binder and dietary Ca, phosphorous, iron, vitamin B6, niacin, vitamin E. Fat free mass, dry weight, BMI and PIBW were significantly more y increased in NG compared with AG. The changes i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clinical symptoms associated with renalosteodystrophy after intervention were not certainly different among groups. Serum iPTH level showed tendency of decrease both in the AG and NG.. Both group also showed elevated spine L2 BMD and femur trochanter BMD T-score. It seemed that nutrition education is effective as much as alphacalcidol or more in improving bone and general nutritional statu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the most prominent factors that seemed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BMD or T-score in NG were plant fat intake, Ca:P ratio, Mg intake, dry weight, practice total score of diet therapy, the score of clinical renalosteodystrophy symtom that 'Itch necrosis in skin exist.', calcium (including Ca-P binder) intake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se factors explained 37.29%, 28.14%, 18.78%, 25.82%, respectively. In AG, the most prominent factors that seemed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BMD or T-score were serum iPTH level, ash intake, vitamin B2 (including supplement) intake, renalosteodystrophy total score, animal protein intake, zinc intake, plant fat intake, and these factors explained 96.68%, 80.27%, 89.75%, 96.62%, respectively.

      • 장기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한승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은 혈액투석, 신장이식과 함께 신기능 대체 요법의 대표적인 치료법이다.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장기간 유지할 경우 복막기능의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복막기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로 알려진 것은 총 복막염 발생 빈도 및 중증도, 고농도 포도당 투석액의 사용, 투석 기간, 생체 비적합성 투석액의 사용 등이다. 이러한 복막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들 중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시행 후 2년동안의 추적 관찰한 연구에서는 처음 시작당시와 2년 후 사이에 복막기능의 변화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 반면 추적기간이 3년 이상된 연구에서는 복막기능의 변화로 D/P Cr(배액과 혈청의 크레아티닌 비, dialysate/plasma creatinine)의 증가가 관찰되어 좀더 장기간의 추적관찰시 복막기능의 변화가 초래됨을 알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장기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장기간 시행한 환자의 복막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는 5년 이상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복막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로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에서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5년 이상 유지하고 있었고 복막 평형 검사를 시행한 124명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124명이 시행한 복막 평형 검사와 임상적 특성을 근거로 하여 복막기능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단면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중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시작당시에 복막 평형 검사가 되어있는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5년 후 다시 검사를 하였을 때, 복막기능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 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1.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시행 후 5년이 지나서 복막 평형 검사를 시행한 환자 124명의 남녀비는 1:1이였으며 평균 투석기간은 86.5±28.8개월이었고 평균 D/P Cr(dialysate/plasma creatinine)은 0.69±0.13, 평균 D/Do glu(glucose concentration ratio in dialysate at 4 hour/0 hour)는 0.38±0.09이었으며 연간 평균 복막염 발생 빈도는 0.42±0.41회/12개월(총 3.44±3.23회)이었고, 2.5% 이상의 고농도 투석액의 1일 평균 사용횟수는 1.10±0.56회였다. 2. 124명 중 high, high average, low average, low transport군에 속하는 환자는 각각 28명, 43명, 41명, 12명이었으며, high transport군에서 D/P Cr이 가장 높았고(0.87±0.05, p<0.001), 한외여과량은 가장낮았으며 (0.26±0.17 liter, p=0.011), 1일당 2.5% 고농도 포도당 투석액의 사용횟수가 가장 많았고(1.49±0.60회/일, p=0.02), 혈청 알부민 수치가 가장 낮았다(3.21±0.51 g/dl, p<0.001). 3. 이들 124명 중 한외여과 부전은 모두 17명이였고, 그중 13명이 high transport군에 속하였으며 한외여과 부전이 없었던 나머지 107명과 비교시 D/P Cr이 유의하게 높았고(0.83±0.14 vs 0.67±0.12, p<0.001), 1일당 2.5% 이상의 고농도 포도당 투석액의 사용횟수가 더 많았으며(1.64±0.60 vs 1.01±0.59회/일, p<0.001), 평균 복막투석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100.3±25.3개월 vs 84.3±28.8개월, p=0.033). 4. 124 명의 평균 D/P Cr 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인자는 복막염 발생 빈도(p=0.006), 1 일당 2.5% 이상의 고농도 포도당 투석액의 사용횟수였으며(p<0.001) 혈청 알부민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5.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시행후 1년 이내 복막 평형 검사를 시행(3.2±2.8개월)한 31명의 환자를 5년 후 다시 복막 평형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69.2±7.5개월) D/P Cr은 5년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한외여과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6. 총 복막염의 발생 횟수가 0회 또는 1회였던 군(n=17)과 2회 이상이었던 군(n=14)간의 D/P Cr의 변화량(△D/P Cr=5년후 D/P Cr - 시작 당시 D/P Cr)을 비교시 2회 이상이었던 군에서 D/P Cr 변화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 0 . 1 3 ± 0 . 1 8 v s - 0 . 0 4 ± 0 . 1 2 , p =0.014), 이는 총 복막염의 발생 횟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또한 D/P Cr의 변화는 1일당 평균 고농도 포도당 투석액 사용횟수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3).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복막기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투석기간, 복막염의 발생 빈도, 고농도 포도당 투석액의 사용등이었다. 따라서 복막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복막염의 발생을 예방하고, 고농도 포도당 투석액을 가능하면 적게 쓰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포도당 중합체 투석액, 포도당 분해산물이 적은 투석액과 같은 생체 적합성인 투석액을 사용하는 것이 복막 손상을 적게한다는 보고들이 있어 이러한 투석액의 사용이 복막기능을 보존하고 한외여과 부전을 줄여 장기간 복막투석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has been accepted as one of the renal replacement therapies including hemodialysis and kidney transplantation. The change of peritoneal membrane funtion can occur in long-term CAPD patients. The number and the severity of peritonitis, the use of hypertonic glucose exchanges, the duration of peritoneal dialysis, and the use of bioincompatible dialysis solution are known factors affecting peritoneal membrane func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peritoneal membrane function, solute transport significantly increased 3 years after the commencement of peritoneal dialysis, but not before 3 years.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few reports regarding the change of peritoneal membrane function in long-term CAPD patients in Korea. In this study, clinical factors affecting peritoneal membrane function were analyzed, especially in patients who maintained CAPD more than 5 years. One hundred and twenty four patients who maintatined CAPD more than 5 years and performed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 (PET) 5 years after CAPD were included. Cross 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know the difference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mong 4 types of peritoneal membrane transport characteristics based on PET. Also, clinical factors affecting peritoneal memebrane function were analyzed in 31 patients who had undertaken PET initially and 5 years after the commencement of CAPD. 1. Among 124 patients, male to female ratio was 1:1. Mean dialysis duration, mean D/P Cr, mean D/Do glc, the mean number of peritonitis per year, and the number of hypertonic glucose exchanges(more than 2.5%) per day were 86.5±28.8 months, 0.69±0.13, 0.38±0.09, 0.42±0.41/patient-year (total 3.44±3.23), and 1.10±0.56/day, respectively. 2. Among 124 patients, 27, 43, 41 and 12 patients were included in high, high average, low average, and low transport group respectively. D/P Cr was the highest (p<0.001) and ultra-filtration was the lowest(p=0.011) in high transport group. Also, the number of hypertonic glucose exchanges (more than 2.5%) per day was the highest(p=0.02), and serum albumin was the lowest(p<0.001) in this group. 3. Thirteen out of 17 patients, who were included in ultrafiltraion failure group, were in high transport group. D/P Cr and the number of hypertonic glucose exchange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p<0.001, respectively) and the duration of peritoneal dialysis was significantly longer(p=0.033) in ultrafiltration failure group. 4. D/P Cr of 124 patients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eritonitis( =0.246, p=0.006), and the number of hypertonic glucose exchanges( =0.33, p<0.001), but inversely correlated with serum albumin( =-0.452, p<0.001)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5. Thirty one patients who undertook PET within 1 year after the commencement of CAPD repeated PET after the mean duration of 69.2±7.5 months. Although not significant, D/P Cr increased and ultrafiltration decreased after 5 years. 6. A significant increase in D/P Cr(p=0.014) was seen in patients who experienced more than 2 episodes of peritonitis(n=14), compared with patients who experienced either peritonitis free or single episode of peritonitis(n=17). 7.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peritonitis and the number of hypertonic glucose exchanges per da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creased D/P Cr after 5 years(p=0.001, p=0.003, respectively). In conclusion, clinical factors affecting peritoneal membranefunction were the number of peritonitis, the use of hypertonicglucose exchanges and the duration of peritoneal dialysis. Topreserve peritoneal membrane function, it is recommended toavoid hypertonic glucose exchanges and to reduce the number ofperitonitis. To maintain long term peritoneal dialysis, preservationof peritoneal membrane function by using glucose polymerdialysate, dialysate with lesser glucose degradation product,and more biocompatible dialysate solution might be alternativecho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