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행환경개선사업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대구시 봉산문화 거리를 중심으로

        김옥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51

        1980년대 이전 도시계획은 도시의 기능적인 측면을 위주로 계획되어 보행보다는 차량통행을 위한 계획이 주로 이루어 졌다. 1980년대 중반부터 도시의 기능적인 측면과 더불어 도시를 구성하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1990년대 뉴어바니즘 개념이 도입되면서 보행자와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른 보행환경의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현재의 보행환경개선사업이 등장하였다. 보행환경개선사업을 통해 물리적인 측면에서의 보행환경개선은 이루어졌으나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사업추진은 보행자를 위한 시설정비 수준에 그치게 되어 직접 가로를 이용하는 상인이나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시설확충이나 환경개선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보행환경개선사업에 있어서 시설정비를 통한 물리적인 환경개선도 중요하지만 가로를 이용하는 상인과 이용자의 의견수렴 및 피드백을 통해 가로활성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성공적인 보행환경개선사업 위해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 봉산문화거리 보행환경개선사업의 만족도를 조사, 연구함으로써 보행환경개선사업이 가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그 영향력을 파악하여 향후 보행환경개선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보행공간과 가로환경개선사업, 문화거리에 대한 개념정리를 통해 보행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다른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봉산문화거리의 상인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인식하는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가로환경개선, 방문객 증가, 매출액 증가에 미치는 영향요인인 쾌적성, 접근성, 편리성, 상징성 등을 높이기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대상지에 대한 정확하고 충실한 조사와 분석작업의 중요성과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차량감소, 불법주차 감소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 보행자 중심의 도로계획, 대상지 가로의 특화된 계획의 필요성, 조성과정에서의 주민참여를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도심의 봉산문화거리를 대상으로 보행환경개선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Before the 1980s, Urban Plan was planned, which was focused on functional aspects. That's why the main plan was consist of vehicle traffic rather than walking. Since the mid-1980s, interested i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city, and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which are made up the city, are increasing. Through the concept of New Urbanism, which was introduced in 1990s, the pedestrians and walking environment's interests were increasing. For this reason, nowadays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was introduced as the implement of improve walking environment. Through the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physical aspects of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was accomplished. But from the supplier-oriented view point, this project is below the level, because it is just maintenance of the pedestrians facilities. So facility expansion or environmental improvement was not accomplished for the merchants and users, who uses sidewalk directly. Though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important to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process of sidewalk invigoration is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to accomplish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which should be consider gathering opinion and feedback of the merchants and users, who is using the side walk directly. Hereupon, this research would survey and research about 'Daegu Bongsan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find out which one is influence and satisfaction to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find out its influence to seek the way of the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s the way of research,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about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about walking space and sidewalk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analyzed the effects of other projec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lso Compared with both parties satisfaction through the conduct a survey of visitors and merchants at 'Bongsan Cultural stree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e way to vitalize that to increase comfort, accessibility, convenience, symbolism and etc, which influenc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increasing visitors and sales, as importance of the accurate and faithful research, and analysis at designation, also to increasing satisfac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it needs necessity of the systematic management to reduce car and illegal parking, pedestrian-oriented street planning, and necessity of the planning sidewalk at designat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during the process. Thi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argeted at Downtown Daegu of the Bongsan Cultural Street.

      •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걷고싶은 거리만들기 시범가로를 대상으로

        윤정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51

        상업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한다는 것은 좁게는 보행자를 위한 물리적 환경의 개선이라는 효과와 넓게는 지역 상업환경의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는 복합적인 시너지 효과가 작용한다. 본 연구는 가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 상업활동의 어느정도의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보행환경개선사업이 가로특성에 맞게 상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압구정로와 홍릉길을 사례가로로 선정하여 보행환경개선사업 후의 가로의 물리적 변화를 분석하고, 사업이 실시된 지역의 상가점포주와 상가방문자들의 설문을 통해 매출액의 변화 및 심리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가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가 상업활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압구정로의 가로이미지는 번화하고 현대적인 상업가로 이미지로, 보행환경개선사업을 통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지만,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는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되어졌다. 압구정로의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면서 상업환경을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편의시설 및 문화시설을 확보하고, 노점상 및 불법주차 감소를 위해 힘쓰며, 안내표지판을 설치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로환경이 청결하고, 안전한 거리를 만들며, 홍보 및 이벤트 행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홍릉길은 정겹고 고풍스러운 이미지의 상업가로로,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고,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개선, 매출액, 방문객 증가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어진다. 홍릉길의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면서 상업환경을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차량감소를 유도하고 불법주차를 관리하며 도로횡단를 용이하게 하며 안내표지판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홍보 및 이벤트 행사와 함께 청결한 가로환경을 조성하고 편의시설, 휴게시설, 문화시설 등을 확충해야 한다. 각 대상가로에 대한 개별적인 계획과 동시에 건축물 외관 정비에 대한 행정기관의 지원 및 지역 특성에 맞는 가로공간 계획, 점포주들의 자발적인 참여 등이 더불어 이루어진다면 보행환경개선사업의 긍정적 효과가 더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상권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보행가로환경의 물리적 요소를 도출하여 향후 보행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지역 특성에 따른 가로환경개선사업 효과분석

        홍진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68815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 promoted focusing on pedestrians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through positive case researches.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the study specified the selection of target area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 of Seoul, and examined the necessity of categorizing local characteristics in the project. Also, by reviewing discussions to categorize street types of the project, the study set its subject and 2nd Design Seoul Street development project, and categorized local characteristics into community center targeting users from, wider region neighborhood center targeting neighborhood users. Thus, as a standard of categorizing local characteristics, the study utilized sub-regional plan in seoul which categorizes based on user and function of the region. Based on this, the case study set hypothesis regarding community center and neighbor center with different local characteristics from the aspects of psychological and practical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the hypothesis. The study conducted survey targeting users who use the street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 The users marked degree of improvement for each project purpose and overall satisfaction on 7 point scale. As the result, users were mostly satisfied in community center and neighborhood center with over 4 points(average), but expressed dissatisfaction in effects of improvement of vitalization of commercial area below 4(average). Especial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community and neighborhood center based 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community center had higher correlationship regarding commercial zone vitalization than neighborhood center, specifically, retailers showed higher correlationship than residents. Meanwhile, as for the community center and neighborhood center, the correlationship of each improvement element and entir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The correlationship between entir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effects on commercial zone vitalization were significantly large in community center, while correlationship regarding improvement effects of landscape, image and traffic safety was large in neighborhood center. To examine the increase of property value, which is the practical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 the study investigated on annual average increase rate of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land price, and investigated on floating information to see actual demand and number of traffic accidents to see the improvement on traffic safety for analysis. Also, the study conducted precise analysis on project effects through comparison with nearby regions that did not conduct street improvement project.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official land value of 6 case study subjects relatively rose by a big deal than yearly official land value fluctuation of Seoul and autonomous regions, especially, the community center showed higher rate of increase than neighborhood center. As for the floating population, it showed overall decrease, which indicates no relationship between street improvement project to increase of the population, but the decrease of community center was relatively lower than neighborhood center. Also, as for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the number clearly rose in community center while it dropped in neighborhood center. By comparing with nearby reg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et improvement plan relatively improved traffic safety.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different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and it is different from other discussions as it utilized central place system of Sub-Regional Plan in Seoul as a measure to categorize local characteristics. For future contest and evaluation on subjects of Seoul street improvement proj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result could contribute as an index evaluating adequacy of selecting region for each purpose of project. It is hard to generalize that the improvement effects that differ by local characteristics are all related to street improvement project. Also, the utilization of data was limited as it was not easy to obtain data from the past. Thus, for follow-up researches,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the result by accumulating case studies targeting streets that are constructed recently or to be constructed. 이 연구는 보행자 중심으로 추진되는 가로환경개선사업 효과가 지역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실증적 사례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서울시 가로환경개선사업의 대상지 선정측면을 적시하는 한편, 가로환경개선사업에서 지역 특성을 유형화하는 것에 대한 필요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가로환경개선사업의 거리유형을 분류하고자 했었던 논의들을 고찰하여, 본 연구의 대상을 2차 디자인 서울거리 조성사업으로 선정하고, 광역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중심과 근린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근린중심으로 지역 특성을 분류하였다. 이에 지역 특성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지역의 이용자와 기능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중심지 체계를 활용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연구에서는 가로환경개선사업의 심리적 효과와 실질적 효과, 두 가지 측면에서 서로 다른 지역 특성을 가진 지역중심과 근린중심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이 가설을 분석의 틀로 삼아 가로환경개선사업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가로환경개선사업의 심리적 효과는 거리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용자 설문을 통해, 사업목적별 개선정도와 전반적인 만족도를 7점 척도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설문분석결과 지역중심과 근린중심에서 대부분의 부문에서 4점(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가지고 있으나, 상권활성화의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4점(보통) 이하로 불만족스러움이 나타났다. 특히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지역중심과 근린중심을 비교한 결과, 지역중심에서는 근린중심에서 보다 상권활성화의 개선효과에 대해 상관성이 크다고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주민보다 상인이 큰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지역중심과 근린중심에서는 전반적인 만족도와 개선요소별 상관성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전반적인 만족도와 상권활성화의 개선효과에 대한 상관성은 지역중심에서 크게 나타났고, 경관ㆍ이미지와 교통안전에 대한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근린중심에서 큰 상관이 있다고 나타났다. 가로환경개선사업의 실질적 효과인 부동산 가치상승을 보기 위해 개별공시지가의 연평균 증가율을 조사했고, 실제 수요를 보기 위한 유동인구 정보, 그리고 교통안전에 대한 개선정도를 보기 위한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로환경개선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인접지역과의 비교를 통하여 사업효과를 정밀하게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별공시지가는 서울시와 자치구의 연도별 공시지가 변동에 비해서 사례연구 대상지 6개소가 상대적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 근린중심보다 지역중심에서 더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었다. 유동인구는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가로환경개선사업이 유동인구의 증가로 이어지지는 못한다고 분석되었지만, 상대적으로 근린중심보다 지역중심에서 감소하는 정도가 적다고 분석되었다. 또한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지역중심에서는 상승하고 근린중심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통안전에 대한 개선효과가 근린중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인접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가로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한 곳에서 교통안전에 대한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가로환경개선사업의 효과가 지역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지역의 특성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서울시생활권계획의 중심지 위계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기존 논의들과 차이를 갖는다. 앞으로 추진되는 서울시 가로환경개선사업의 대상지를 공모하고 심사하는 과정에서 사업목적별 지역선정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지역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개선효과가 모든 가로환경개선사업에 대한 것이라고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또한 과거시점에 대한 자료구득이 용이하지 않아 자료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비교적 최근에 조성하였거나 조성되는 거리를 대상으로 하는, 추후 사례연구의 축적을 통해 더욱 보완해야 할 부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