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제 금석문 연구

        박중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에서는 百濟 金石文의 형태적 특징과 銘文 내용을 함께 분석·검토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금석문 자료의 분포 상황을 漢城期와 熊津期, 泗沘期의 세 시기로 나누어 정리했고 七支刀와 木簡의 材質 문제 등을 검토했다. 칠지도의 경우 炭素가 다량 포함된 硬鐵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鍛造가 아니라, 鑄造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백제 지역에서 竹簡이 사용되지 못했던 것은 당시의 기후환경 하에서 백제 중심지역에 대나무가 生長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금석문의 機能은 명문을 담고 있는 금석문 자료 자체의 기능과 銘文 기능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銘文專用 金石文’과 ‘補助銘文 金石文’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비기 印章瓦의 경우 기와 건축물 내에서의 위치나 제작시기, 제작자를 나타낸 것으로 보이며, 그 중 위치 표시의 기능은 웅진기 塼築墳의 銘文 벽돌들로부터 영향받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백제 인장와에서는 도장 글씨의 숫자가 짝수로만 이루어져 있어 백제인들의 숫자에 대한 관습도 볼 수 있다. 또한 백제의 금석문에는 국토의 영역을 표시하는 척경비 성격의 석비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마한의 중심지 병합을 통하여, 최소한 명분상으로는 마한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가질 수 있었던, 백제 영역확장 과정의 특수한 경험과 무관치 않은 듯하다. 명문 기법은 음각에 의한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금상감 유물인 칠지도는 金絲가 溝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마무리 공정이 빠진 원시적 상감기법을 적용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명문 내용의 해석에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남긴다. 금석문 자료의 형태에 있어서는 백제 목간의 규격과 무령왕릉 지석의 외형적 특징에 주목해 보았다. 백제 목간의 일반적인 크기는 신라 목간의 그것에 비하여 대체로 10cm 정도 길며, 일본 목간의 평균적인 길이와 유사하다. 이것은 일본에서의 목간 사용에 백제의 영향이 있었음을 암시한다. 무령왕릉 지석의 경우 梁代 지석보다 크기가 작고, 서식 또한 단순하다는 점에서, 동진대에 유행한 假葬墓誌와 유사하다고 지적된 바 있다. 무령왕릉 지석과 동진대 가장묘지의 유사성은 한강 이북지역에 대한 회복 열망 때문에 백제 왕실이, 南遷한 東晋 사족들의 중원 회복 의지에 공감했던 결과일 수 있다. 백제 금석문의 서체는 비교 시기 신라 금석문의 古拙한 서체에 비하여 일찍부터 세련된 면모를 보인다. 백제 서체의 발달은 중국과의 지리적 근접성과 함께 名迹 소장 열의와 같은 문화적 풍토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한편 무령왕릉 지석이 북조 서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생각한 견해도 있지만, 지석의 서체에 대한 검토 결과 북조적 영향이 우세하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3장에서는 국가 운영체제의 문제를 검토했다. 백제에 漢字가 처음 전래된 시기는 한군현과의 교류 관련 기사 등을 통하여 건국과 거의 동시기인 기원 전후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백제에서 금석문 제작자 중 최고 전문가인 鑪盤박사의 경우 7품 將德에 해당된다. 이들은 관등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문사용 능력과 함께 왕실과의 밀접한 관계에 의해서 높은 사회적 지위를 누렸다. 능산리 목간에서는 ‘地方城名 + 部名 + 官等名 + 人名’의 순으로 사람을 표기하고 있는데 이것은 『日本書紀』의 백제인명 표기법과 일치하며, 평양성 석각에 보이는 고구려의 인명표기법과도 같다. 반면 ‘직명 + 부명 + 인명 + 관등명’의 순서로 표기했던 진흥왕순수비의 기록법과는 다른 것이어서, 백제 문화가 고구려의 그것과 친연성을 가지는 반면, 신라 문화와는 구별되었던 또 하나의 사례를 남기고 있다. 칠지도의 연호 ‘泰□’에 대하여는 중국의 연호가 아닌 백제의 연호일 가능성을 지적했으며, 그 배경을 충주 출토 ‘建興五年’銘 金銅光背의 연호가 백제 연호라는 데서 찾았다. 칠지도의 명문 해석에서는, 裏面 명문의 앞 부분에 의미상 ‘칠지도 제작상의 어려움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백제의 왕세자가 父王께서 맡긴 어려운 분부를 기묘한 방법으로 이루었으므로 이를 왜왕에게 보낸다”는 내용으로 해석하였다. 왕의 어려운 분부란 “철대도의 표면에 금실로 글씨를 새기도록 하라”는 百濟史上 未曾有의 금상감 작업 자체를 가리킨다. 나아가 칠지도의 명문에서 칼을 수증받는 주체는 왜왕이지만 칼의 제공 주체는 백제의 왕세자라는 점에서, 백제 왕과 왜 왕의 ‘格의 차이’를 읽을 수 있다. 이는 사실상의 불평등 관계로서 백제왕이 왜왕보다 우월한 위치에 있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要點이다. 능산리 목간에서는 ‘此法’으로 표현된 백제 율령의 존재 형태에 대한 端緖를 얻을 수 있었다. ‘六部五方’명 목간의 字迹 검토에서, 그동안 판독되지 않았던 묵서 한 글자를 ‘尸’로 판독한 것이다. 이와 같은 판독에 따라 이 목간을 戰死者처럼 비정상적인 죽음을 당한 사람들의 死體 처리나 장례 절차를 규정한 내용이었다고 해석했다. 한편 능산리 출토 ‘六部五方’명 목간의 ‘육부’라는 표현은 사비기 도성의 행정구역에 대하여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육부’가 익산의 別部에서 비롯된 표현이라는 견해를 수용하여, 무왕대에 도성 五部의 행정체제가 六部체제로 변화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무왕대에 들어 扶餘族 共通의 전통적 인식이 변화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능산리 출토 ‘對德’명 목간의 ‘(韓)城下部’ 표기는 都城 뿐 아니라 地方城에도 上·中·下·前·後의 방위별로 細分된 하부 행정조직이 있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백제에서의 部의 개념을 새롭게 이해해야 하는 계기가 되었다. 백제의 部는 더 이상 전국 단위의 행정구역이라거나, 사비기의 도성의 행정구역이라는 등의 특정 용어로 보기 어렵게 되었다. 그것은 방위개념을 수반하여 행정조직의 다양한 단계에서 사용되었으며, 일반명사화된 개념이었다고 이해된다. 4장에서는 백제인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토착사상으로서 내세관의 문제를 검토했다. 무령왕릉 매지권의 내용에는 지하세계의 諸神들로부터 왕의 묘지를 구입하는 내용이 들어있는데, 이는 墓室 내부를 타계로 생각하는 지하타계관의 반영이다. 더하여 27개월이라는 유례없이 긴 殯葬은 인간의 사후 그 영혼이 산 자들의 공간에서 머물면서 生者들과 같은 생활을 누린다고 생각한 계세적 내세관의 발현이었다고 생각했다. 한편 ‘天’ 銘을 書刻한 부여 목간에서는 하늘[天]을 대상으로 한 백제의 국가 제사의 실제 사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백제인들의 ‘天’에 대한 관념과 신앙을 읽을 수 있다. 음양오행사상을 위하여 다시 무령왕릉 매지권의 干支圖와 목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위표의 의미를 가진 간지도에서 음양 오행설에 입각한 卜術과의 관련성을 읽을 수 있었으며 능산리 목간에서도 점복의 결과를 기록한 내용이 확인되어 백제인들의 卜筮占相에 대한 이해와 실제를 접할 수 있었다. 도교사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무령왕릉의 방격규구신수문경과 익산 연동리 출토 반용경의 명문 및 문양을 검토했고 이 거울들에 장생불사의 소망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익산 출토 반용경의 경우 그 표면에 용과 호랑이가 서로 대응하는 문양을 배치했는데, 이는 도교에서 수명을 늘리는 延命의 약제를 제조하는 과정에 등장하는 동물적 상징과 일치한다. 무령왕릉 매지권에서의 위계를 갖춘 지신들의 존재도, 백제가 이 단계에서 중국적 도교의 사유체계를 수용하고 있음을 물질적 자료로 보여준다. 불교사상에 있어서는 사비시대의 ‘정지원’명 금동삼존불입상과 능산리의 ‘宿世結業’銘 목간 등에 緣起論과 윤회사상이 내포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이는 무령왕릉 단계에서 보이는 일원적 타계관이 이원적 타계관으로 바뀐 것이어서 백제인들이 겪은 사후세계관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필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백제인들은 전세에서의 행위에 의해 현세의 삶이 결정된다고 믿었으며, 현세에 남은 가족들의 追善으로도 亡者의 영혼상태를 바꿀 수 있다고 믿었다. 뿐만 아니라 현세의 삶과 내세의 삶이 상호 소통 가능하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택지적비의 비문내용에 대한 복원적 검토 결과 결락된 두 글자는 ‘迎霓’일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 비의 발원문에 소승불교적 성격이 내포되어 있다고 보았다. 사택지적비 단계에 나타나는 소승불교적 思惟는 大乘의 戒經인 『涅槃經』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고 알려져 온 백제 불교신앙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다른 것이다. 이러한 소승불교적 사유가 나타나게 된 것은 중국불교를 거치지 않고 인도로부터 바로 경전을 수입해 온 겸익에 의한 구법활동의 결과일 것으로 생각했다. 백제 멸망 후에 세워진 연기 지역의 불비상 자료들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백제의 호국불교 사상의 실체를 보여준다. 이러한 호국불교신앙은 왕실이 건재하던 백제의 국가 존립 당시에는 발견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백제 불교에 내포된 王卽佛 사상을 역설적인 형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epigraph from the Baekje dynasty. In chapter 2,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Baekje epigraph are classified by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capital, and the material of 'Sword with 7 branches' and the wooden sticks with inscriptions are examined. Bamboo trees were not used for the wooden sticks, because the bamboos were not native plants in Baekje area at that time. The rooftile with stamp design of the Sabi period, shows the location, date of production and the artisan of the architecture. This function of the stamp design was influenced by bricks with inscriptions which played a role of location mark for the brick tomb in Ungjin period. The numbers of the stamp are always even number and it shows the glimpse of the thought of Baekje number system. Unlike Goguryeo and Silla, there was no landmark stone epitaph in Baekje. This fact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Baekje dynasty, which annexed the Mahan area. The sword with seven branches is the unique inlaid epigraph of Baekje dynasty, which shows the primitive inlay technique without any treatment for the gold thread not to peel off from the sword. This characteristic of this technique has the significant meaning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cription. The average length of the Baekje wooden sticks with inscriptions are 10cm longer than those of Silla dynasty and their length is rather similar to those of Japan. It means that there were deep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Japan. Compared to the stone epitaph of Liang dynasty, the stone epitaph from King Muryeong's tomb is very small, and the format of the epitaph is very simple. Therefore, it is often pointed that the epitaph from King Muryeong's Tomb is similar to the epitaph from East Jin period. It is supposed that the epitaph from King Muryeong's tomb was the copy of those of East Jin. Baekje people also desired to recover the territory around the Han river, as the aristocrat of East Jin desired to recover the territory of the center of the Chinese continent. Compared to the calligraphy of Silla dynasty, that of Baekje dynasty was very sophisticated from the early period. The development of the Baekje calligraphy was influenced by the social trend to collect the masterpieces and the adjacent geographical location from Southern China. It is hard to insist that the calligraphy of the epitaph from King Muryeong's tomb was influenced by that of the Northern China. Chapter 3 focused on the state system. Considering the recor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Han, it is supposed that Chinese characters were introduced in Baekje right before or right after christ, when the state was established. The best producers of the epigraph in Baekje dynasty were not in the high rank, but they were men of high social standing, based on the literary ability and intimacy with the royal family. The order of the name and the position written on the wooden stick from Neungsan-ri was as following- the name of district, department, official rank, and person's name. This order is similar to those of the inscriptions in Pyeonyang and that of Nihonshoki. It is different from the order of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King Jinheng of Silla dynasty. The name of the year in the sword with seven branches seems to be that of Baekje, because the year of 'Geonheung' inscribed on the halo of the buddha image is thought to be the name of Baekje year. A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cription of the sword, the front part is about the difficulties of producing the sword. Therefore, it says that the prince of Baekje solved the problem of the difficult order from the King by using the strange method and he sent this sword to the king of Wai, Japan.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the difficult order from the king could be the gold inlay technique, which never existed until then. The giver of the sword is the prince of Baekje dynasty and the receiver is the king of Japan. It shows that Baekje king held the superior position, compared to that of Japanese King. The law system of Baekje dynasty is seen from the inscription of the wooden sticks from Nengsan-ri. The unknown letter on one of the wooden sticks was deciphered as the letter 尸, and it means that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is about the process of the funeral for the killed in action. Mentions of six administrative districts, bu 部, expressed on the wooden stick, suggest that the chang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abi period. The five districts were changed into six districts in the capital. Furthermore, bu 部 in Baekje didn't mean the specific name of the district anymore, and it became the general term for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cluding the notion of direction. Chapter 4 focused on the thought of Baekje people, starting from the native thoughts on afterlife. One of the stone epitaph-plaques from King Muryeong's Tomb,, Maejigwon - the record of land purchase from the god of the earth to build a tomb - also shows the vertical thought on the underworld as other world. It is the belief that the inside of the tomb chamber is the other world. 27 month funerary ritual also expressed the thoughts that the life still continues after the death. It is believed that the soul of the dead inhabited with the quick at his lifetime house. Through the inscriptions of the wooden stick with the letter 'Heaven 天', it is manifest that the state ritual to the Heaven existed. The notion of the Heaven and the belief in the Heaven were also shown in it. As for the notion of Yinyangwuxing 陰陽五行, sexagenary cycles and augural notions of Maejigwon were examined. The inscription of sexagenary cycles, which also indicate the direction, is related to the augural notion based on yinyang notion. As for the Taoism of Baekje dynasty, bronze mirrors from King Muryeong's Tomb and from Yeondong-ri, Yiksan. were examined. The inscriptions show the wishes for the longevity. Tigers and dragons, which are need to make medicine for the longevity,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mirror. The god of the earth reflects the influence of Taoism from China, too. The Buddha Triad with the inscription 'Jeongjiwon' and the wooden stick with the inscription 'Suksegyeolup' have the buddhist thought of causationism and incarnation. The thought of afterlife seen in the King Muryeong's tomb was changed in Sabi period. In this period Baekje people believed that the act of former life could influence this world. If the family created merits for the dead,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dead could be reborn in the Western Paradise-even though he couldn't create any merit in his lifetime. It became the concept that the come-and-go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world could be possible. It is supposed that the two missing letters of the stele, Sataekjijeokbi, are 迎霓, and that the two letters include the notion of Hinayana Buddhism. This could be cuased by Gyeomik, who was a pilgrim and brought sutras directly form India. The new buddhist thought on the defense of the homeland is also seen through inscriptions of the steles with buddhist images, which was patronized by Baekje people after the collapse of their country.

      • 7세기 백제 승려들의 활동 : 백제 주변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황철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7세기 전반에 활동한 백제 불교 승려들의 활동 양상을 연구한 논문이다. 7세기에 활동한 백제 승려들의 활동상을 들여다보면 한 가지 특징이 있다. 상당수의 백제 승려가 백제 국내에서만 그치지 않고 백제 주변국들인 왜국, 당나라, 신라의 불교계에 있어 폭넓은 관계를 가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7세기 당시 백제 불교가 동아시아의 국가들 가운데 불교적인 영향력이 강했다는 점을 알려주는 사례이다. 물론 고구려나 신라의 승려들도 자국을 둘러싼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의 불교계에 진출하여 활동한 사례는 있지만, 백제 승려들이 가장 영향력이 강하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백제 승려들이 가장 많이 진출하여 불교 활동을 전개한 나라는 왜국이다. 6세기부터 백제와 왜국 사이에 불교 교류 활동이 시작되면서 다수의 백제 승려들이 왜국으로 건너가 활발한 불교 포교 및 학문 활동을 전개하기에 이른다. 7세기에는 왜국의 불교계가 사상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바로 이 시기에 파견된 백제 승려로 관륵과 법명을 들 수 있다. 왜국에 파견되어 왜국 불교계의 중심 인물로 자리잡은 관륵과 법명은 불교를 통해 왜국의 문화 수준을 끌어올렸던 점과 더불어 백제 승려로서 왜국과의 교류 활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려는 목적의식을 가졌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삼론학을 바탕으로 하여 왜국으로 건너가서 불교 전교 활동을 전개한 승려인 관륵은 천문, 지리, 둔갑술 등 다양한 학문들까지 두루 섭렵한 종합지식인이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관륵은 왜국의 초대 승정이 되어 왜국 불교계의 핵심 승려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백제의 법명 또한 여승으로서 왜국 관료를 불교 경전을 통해 치료를 해 준 독특한 역사가 있다. 7세기 전반에 왜국 불교계로 진출하여 활동한 관륵과 법명에 이어 백제 멸망 이후에도 다수의 백제 승려들이 왜국으로 건너가서 불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각종, 의각, 홍제, 도녕, 도장 등의 승려들이 백제 멸망 이후왜국 불교계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승려들이다. 다만 백제 멸망 이후에 왜국으로 건너가서 활동한 백제 승려들은 백제 멸망 이전에 활동한 백제 승려들과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왜국의 왕실 및 지배계층의 후원을 받아 활동한 승려가 있는 반면에 왜국의 중앙 정계와 관계를 맺지 않고 지방에서 수도 생활에 전념한 승려들도 있기 때문이다. 그 밖에 왜국과 불교를 통한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백제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은 승려인 지명, 백제 멸망 이후 백제부흥운동을 전개한 승려인 도침 등도 왜국과 연관하여 간접적인 관계가 있었던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지명의 활동은 백제 불교의 영향을 받은 왜국 불교가 국가가 주도적으로 사찰을 건설하는데 있어 참고할 만한 사례가 되었다. 도침의 경우는 백제부흥운동을 전개하는 과정 속에서 왜국에 있던 백제 왕자인 부여풍을 모시고 온 점을 토대로 왜국과의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더불어 백제 승려들은 중국 당나라와 신라의 불교계에 있어서도 직간접적인 관계를 찾아볼 수 있다. 삼론학에 능통하고 법화경을 꾸준히 독송한 혜현은 직접 당나라에 간 적은 없어도 수도승으로서의 명성이 당나라에게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백제 멸망 이후에 신라 불교계로 진출하여 활동한 백제 출신 승려인 경흥은 신라 문무왕이 국사로 삼을 정도였다. 그만큼 경흥은 다양한 불교 신앙 및 이론을 두루 섭렵하여 수많은 주석서를 집필하는 등 불교학 전반에 있어 상당한 실력을 갖춘 승려였다. 종합하면 상당수의 7세기 백제 승려들은 백제를 둘러싼 주변국들과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백제 불교계를 대표하는 종교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불교사적인 의의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가 7세기 백제 불교사 연구에 있어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마한ㆍ백제권 통형기대 고찰

        이건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changing process of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excavated in the Mahan and Baekje area by period and area through their typology. Although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have been recognized for their uniqueness as ritual earthenwar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ir changes and the backgrounds behind the changes due to a small number of excavation cases in the complete form. The recent excavation projects increased the number of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excavated in the complete form, thus helping to shed light onto the changes of their form not known so far. The investigator thus carried out a comprehensive research paper by reviewing the pieces of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exclud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analyzing new data.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a type of ritual earthenware, show clear changes compared with earthenware for daily life, which led to typology by combining their nominal attributes with their continuous attributes. Typology targeted the shapes of the cylinder part and the pivot adornment attached to it. The nominal attributes include the three shapes of the cylinder part and the four patterns of vertical pivot (a clay band attached vertically) attachment. The continuous distributions of length of horizontal pivots (clay bands attached horizontally) were combined and resulted in 11 forms. The study further tested the validity of typology and examined the time scope of the forms by consulting a chronology of the relations of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by form and such earthenware pieces as pedestal dishes, tripod vessels, and round and large bowls with shaped-handle among the excavated artifacts. As a result,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from the Mahan and Baekje area went through three periods. Period 1 spanned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4th century to 475 when Hanseong Baekje was ruined. During the period,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were made and used at the Pungnap Earthen Welled Town and Mongchon Earthen Welled Town, which were capital cities during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Period 2 spanned from 475 to the second quarter of the 6th century, when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were made and used at the Kongsan Fortress, the capital city during the Woongjin Period of Baekje, its surrounding areas, and also by local settlers. Period 3 spanned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to 660 when Baekje collapsed, during which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were concentrated in Buyeo near the capital city of Sabi Baekje and also distributed in parts of Iksan.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first appeared in the mid 4th century and lasted until 660 in the Mahan and Baekje area, being used as ritual earthenware at the capital cities of Baekje. The study found that the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of Baekje completed their uniqueness distinguished from their counterparts of Shilla and Gaya through ongoing development. People would make pottery stands by mimicking the Baekje pottery stands and used them for independent rituals in local areas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mid 6th century. Entering the late 6th century, however, Baekje began to control the manufacture and use of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by local settlers. 본고의 목적은 마한ㆍ백제권에서 출토된 통형기대의 형식분류를 통해 시기별ㆍ지역별 분포와 변천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통형기대는 제사용 토기로 그 특수성을 인정받았지만, 완형의 출토사례가 적기 때문에 변천과 그 배경에 대하여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최근 발굴성과로 통형기대 완형의 출토사례가 증가하여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통형기대의 형태 변화를 밝혀볼 수 있게 되었다. 통형기대는 당시 높은 수준의 토기제작 기술이 반영된 제사용 토기로서 일반 생활용 토기에 비하여 비교적 시간적인 변화가 뚜렷하다. 그래서 명목형 속성과 연속형 속성을 결합하여 형식분류하였다. 형식분류는 통부 형태와 통부에 부착되는 돌대 장식을 대상으로 삼았다. 명목형 속성으로 통부의 3개 형태와 수직돌대가 부착되는 4개의 양상을 조합하고 수평돌대 길이의 연속형 분포를 결합한 결과, 11개 형식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형식분류에 대한 타당성 검토와 형식들의 시간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통형기대의 형식별 공반관계와 공반된 유물 중 고배, 배형 삼족기, 자배기와 같은 토기들이 정리된 편년안을 참고하였다. 그 결과 마한ㆍ백제권 통형기대는 크게 3개의 분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1기는 4세기 3/4분기에서 한성백제가 함몰되는 475년까지로, 백제에 의해 본격적으로 통형기대가 제작되는 시기이다. 주로 한성백제 도성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에서 사용된다. 2기는 475년 이후 6세기 2/4분기까지로, 통형기대 형식이 가장 다양해지는 시기이다. 웅진백제 도성인 공산성과 그 주변뿐만 아니라 지방 토착세력에 의해 제작되고 사용된다. 3기는 6세기 3/4분기에서 백제가 멸망하는 660년까지이다. 통형기대가 정형화되는 시기로 사비백제 도성 주변인 부여일대에 집중되고, 일부 익산지역에서도 분포한다. 마한ㆍ백제권에서 통형기대는 4세기 중엽에 등장하여 660년까지 백제 도성에서 사용된 제사용 토기로,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신라, 가야와 다른 백제 고유의 양식을 이룩하였다. 한편 지방 토착세력은 백제의 통형기대를 모방하여 제작하고 제사에 사용하였으나, 6세기 후엽 이후에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백제 귀걸이의 유형과 양식 연구

        현재중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백제 귀걸이의 유형과 양식 변천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백제양식이라 부를 수 있는 귀걸이가 어떤 계기를 통해 만들어져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서기 5세기를 전후하여 주변국 귀걸이와는 형태적으로 구분되는 백제 스타일 귀걸이가 탄생하였다. 그것은 서울, 강원, 충청, 전라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특히 충청지역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었다. 그 이유는 그 지역이 5세기대 백제의 지방 가운데 핵심 거점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백제가 현재의 서울인 한성에 도읍하였던 시기의 귀걸이는 시기적 특징을 현저히 갖추었으므로 '한성 양식'이라 부를 수 있다. 그것의 특징은 속이 빈 둥근 구슬과 사슬형 연결금구, 그리고 심엽형 끝장식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중심적 특징이기는 하지만 주변국 귀걸이에 비한다면 개별 부품의 형태가 다양한 편이다. 즉, 한성기의 백제 귀걸이는 획일적이지 않았고 다양한 형태가 공존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475년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의 귀걸이는 한성기의 그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준다. 일부 부품은 한성기 귀걸이를 계승하였지만 새로운 요소가 많이 보인다. 특히 무령왕의 귀걸이에서 볼 수 있듯이 신라 귀걸이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보인다. 또한, 이 시기의 귀걸이 대부분은 웅진, 즉 현재의 공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현상이 뚜렷하다. 백제 성왕은 538년 현재의 부여에 해당하는 사비 지역으로 천도하였다. 그 시기의 고고학 자료에서는 정형성이 확인되며 귀걸이에서도 그러한 경향이 살펴진다. 사비기 백제 귀걸이는 지금까지 10여 점이 발굴되었는데, 이전 시기의 경우와 달리 제작 기법이나 외형이 획일적이어서 주목된다. 이 시기의 귀걸이는 아직 자료가 부족하긴 하지만, 고구려 귀걸이로부터 영향을 받아 출현한 것 같다. 그리고 백제 귀걸이는 정치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대가야와 왜로 전해졌다. 대체로 5세기 전반 무렵 대가야로 완제품이 전해졌고 대가야에서는 그것을 모방하여 대가야 양식을 만들어냈다. 왜로도 백제 귀걸이 완제품이 전해졌지만, 그곳에서 유행한 귀걸이는 백제 양식이라기 보다는 백제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대가야 양식’을 갖춘 것이었다.

      •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 연구

        복문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까지 백제석실과 관련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백제석실의 전반적인 전개는 어느 정도 규명된 상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백제석실의 기원과 한강유역 석실의 성격문제 등과 관련된 고고학적 해석은 여전히 일치된 의견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고고학적 해석에 있어서 여러 의견이 분분한 것은 한성기 석실의 분석이 상대적으로 미진함에 기인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고는 우선 차령산맥와 수계를 기준으로 한성기 석실이 밀집된 한반도 중서부를 2개 권역(북부권과 남부권)으로 구분하고, 한성기 석실을 구성하는 속성인 평면·천장·배부름기법의 적용여부·현실면적·연도 접속위치·입구시설 등에서 분류에 유의미한 속성을 선별하였다. 그 결과 평면형태·천장형태·배부름기법을 형식분류의 기준 속성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러한 속성들의 조합을 통해 한성기 석실을 모두 4개 형식(ⅠA형식·ⅠB형식·ⅡA형식·ⅡB형식)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한성기 석실을 부장유물 중 출토빈도가 높은 일부 토기류와 함께 중국제 유물 등을 근거로 네 시기 구분하고, Ⅰ기는 4세기 중엽부터 4세기 후엽, Ⅱ기는 4세기 말부터 5세기 초, Ⅲ기는 5세기 전엽부터 5세기 중엽, Ⅳ기는 5세기 중엽부터 한성백제 멸망기인 475년까지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백제석실의 기원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필자는 낙랑·고구려·중국의 횡혈계 묘제를 한성기 석실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진 전실과 한성기 석실은 천장 단면형태가 반구형인 점, 평면형태와 배부름기법에서 다양한 형식이 혼재하는 점, 묘실 수량에서 단실화 경향 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또 한성기 석실에서 출토되는 중국제 유물의 부장사례가 중국 동진전실에도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晉書와 같은 사료에서 볼 수 있듯이 백제와 중국 간의 빈번한 교섭활동이 감지된다. 따라서 분묘의 구조, 부장유물 사용례의 유사성과 사료의 기록을 근거로, 필자는 백제석실이 중국 동진으로부터 유입되었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한성기 석실의 전반적인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Ⅰ기(4세기 중엽∼4세기 후엽)동안에는 북부권과 남부권 모두 방형계 석실축조가 우세하고 원저호류의 부장이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이는 Ⅰ기 동안 중국에서 전파된 석실이 백제 중앙세력의 주도 아래 지방으로 전파되었기 때문에 해당 시기동안 묘제 간 통일성이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백제 중앙세력의 주도 아래 도입된 횡혈계 묘제는 지방 유력세력과의 공고한 유대관계 형성하여 고구려와의 대결구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결과로 이해된다. Ⅱ기(4세기 말∼5세기 초)는 한성기 석실에 배부름기법이 적용되기 시작하여 모든 형식의 석실이 축조되며, 평저호류의 부장이 증가한다. 다만 권역별로 축조되는 석실형식에서 차이가 존재하고, 부장유물에서도 원저단경호의 부장양상에서 권역별 차이점이 확인된다. 이는 고구려와의 대결구도에서 수세에 몰린 백제 중앙세력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Ⅲ기(5세기 전엽∼5세기 중엽)는 앞선 Ⅱ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의 석실축조가 유지되며, 점진적으로 원저호류의 부장감소, 평저호류 및 광구호류의 부장증가가 확인된다. 다만 권역별 석실축조 경향에서 변화양상이 확인되며, 북부권은 앞선 Ⅱ기 동안 축조되지 않았던 종장방형계 석실이 몽촌토성 기점 반경 15km 이내 축조되는 한편, 남부권에서는 종장방형계 석실의 축조경향에서 방형계 석실축조로 변화된다. 위와 같이 공간별 석실형식의 점유양상과 부장유물의 유사성 증가는 백제 중앙세력의 영향력이 다시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전개양상은 고구려와의 대결구도에서 소강상태 접어든 역사적 배경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Ⅳ기(5세기 중엽∼475년)는 앞서 Ⅲ기와 마찬가지로 특정 석실형식의 공간적 분포양상이 그대로 이어지는 한편, 부장유물에서 단경소호와 심발형토기를 중심으로 통일된다. 또 기존 몽촌토성 기점 반경 15km까지 종장방형계 석실이 축조되던 북부권은 해당 시기에 이르러 몽촌토성 기점 반경 30km까지 확대된다. 이렇듯 특정 석실형식의 공간적 분포확대와 부장유물의 통일은 백제 중앙세력의 영향력 확대를 짐작하게 하며, 해당 시기에 이르러 백제 중앙세력을 구심점으로 내부 결속력이 상당히 강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위와 같이 한성기 석실의 전개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백제 중앙세력의 주도 아래 백제 영역으로 확산되고, 백제 중앙세력과 지방 유력세력 간 역학관계의 변화에 따라 석실의 전개에서 시공간적 차이를 지니게 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백제 중앙세력과 지방 유력세력 간 역학관계의 변화는 고구려와의 갈등과 같은 대외적 환경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So fa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tone chambers of Baekje, and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stone chambers of Baekje has been identified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still no consensus on the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related to the origin of the stone chamber of Baekje and the character of the stone chamber in the Han River basin. Such divergence of opinions in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is due to the relatively poor analysis of the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Based on this idea, I divided the mid-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stone chamber of Baekje in the Hanseong period is concentrated, into two regions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based on the Charyeong Mountains and main hydrosphere, and the stone chamber tombs of Beakje during the Hanseong period were analyzed in their planes, ceilings, the Baebureum techniques applied or not, dimensions of bed, corridor access location, entrance facility. As a result, planar shape, ceiling shape, and the Baebureum techniques were extracted as reference attributes for type classific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ose attributes, the stone chamber of Beakje in the Hanseong period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IA, Type IB, Type IIA, and Type IIB). And the stone chamber of Beakje in the Hanseong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based on Chinese-made artifacts along with some pottery items with high frequency of excavation among the burial artifacts, and estimated the dates of each period. In other words, the period I was established from the mid-4th century to the end of the 4th century, the period II from the end 4th century to the very early 5th century, the period III from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mid-5th century, and the period IV from the mid-5th century to A.D. 475 as the year of the collapse of Hanseong Baekje. Next, In order to confirm the origin of the stone chamber tombs of Baekje based on the above archaeological analysis, I compared and analyzed the system of tombs of Nakrang(樂浪), Goguryeo, and China with the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Analysis revealed that the brick chamber tombs of Dōngjìn(東晋) and the stone chamber tombs of Baekje in the Hanseong period had in common structurally hemispherical shapes in the cross-section of the ceiling, various types mixed in the planar shape, the Baebureum technique and simplified tendency in the number of chamb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nese-mad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tone chamber tomb of Baekje in the Hanseong period were the same as those found in the brick chamber tombs of the Dōngjìn(東晋) in China. Frequent bargaining activities between Baekje and China seem to have taken place, as shown in historical records such as Jinseo(晉書). Therefore, based on the similarities in the structure of the tombs and the use of burial artifacts, and the historical records, I judged that the stone chamber of Baekje had been introduced from Dōngjìn (東晋) in China. Lastl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one chamber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was reviewed. In other words, During period I (the mid-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a system of square shaped stone chamber tomb is more prevalent in both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where the round bottom shaped jar is commonly observed. Thus, during period I, the chambers that came from China spread to the province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entral forces of Baekje, which explains why there was a uniform system of tombs. As such,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of tombs by the Central Forces of Baekje 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political intention to gain an edge in the confrontation with Goguryeo by forming a solid ties with the local forces. In Period II (the end 4th century to the very early 5th century) as the Baebureum technique began to be applied to stone chamber tombs of Hanseong period, stone chamber tombs were built in various types and the burial of the flat bottom shaped jar began to rise.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stone chamber tombs depending on the areas, an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burial style of short-necked jar depending on the area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weakening of control of the local provinces by the central forces of Baekje in their battle against Goguryeo. In Period III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mid-5th century), as in Period II, various types of stone chamber tombs were maintained, and the burial of the round bottom shaped jar gradually decreased, and burial of the flat bottom shaped jar and large mouth shaped jar began to increase. However, a pattern of changes in the stone chamber construction trends by region is confirmed. In the northern region, stone chamber tombs with a system of rectangular shape, which were not built during Period II, were built within a 15km radius of the Mongchontoseong(夢村土城). On the other hand, in the southern region, the trend changes from the construc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the system of rectangular shape to the construction of those with the system of square shape. As mentioned above, the similarity between the occupation patterns in the stone chamber tomb types by space and the increased similarity of the burial artifacts can be construed as the strengthened influence of the central forces of Baekje,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such as the relative peaceful period in their confrontation with Goguryeo. In Period IV (the mid 5th century to A.D. 475), as in Period III,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certain types were maintained, while burial artifacts are unified centering on short neck shaped jar and deep depth shaped potteries. In addition, in the northern region where stone chamber tombs with the system of rectangular shape were built up to a radius of 15km from the base of the Mongchontoseong(夢村土城), they were extended to a radius of 30km from the base of the Mongchontoseong(夢村土城) by that time. In this way, expans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ertain stone chamber tomb types and the uniformity of burial artifacts seem to be good indicators of the strengthened influence of the Baekje's central forces of whose consolidation of power at that time seemed to be really strong. As such, the stone chamber of Baekje in the Hanseong period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spread to all areas of Baekje under the leadership of Baekje’s central forces, and the stone chamber became a space-tim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dynamics between Baekje’s central forces and local influential forces. Meanwhile, the change in dynamics between Baekje’s central forces and local powers is believed to be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conflict with Goguryeo.

      • 백제 성왕의 국호 개칭과 정치적 지향

        이희성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글은 백제 성왕이 국호를 백제에서 남부여로 개칭한 사건을 통해, 그가 추구했던 정치적 지향을 살펴본 것이다. 논의는 크게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국호 개칭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백제의 역대 국호의 연원을 분석하고, ‘南扶餘’에 담긴 부여 계승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국호를 통해 지향했던 성왕의 정치적 목적을 시조묘 제사와 지방통치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추론하였다. 475년에 이루어진 웅진 천도로 인하여 백제의 내부 사정은 매우 혼란스러웠다. 동성왕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즉위하였고, 권력의 안정화를 위해 재지세력과의 타협을 도모했다. 그러나 동성왕의 계속된 군사 활동으로 재지세력들이 반발하였고, 동성왕은 위사좌평 백가가 보낸 자객에 의해 시해되었다. 무령왕 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재지세력에 대한 통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 무령왕은 국가를 재정비하기 위해 국내외 백성들의 동향을 관리하였고, 遊食者들을 활용하여 제방사업과 농업을 장려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무령왕은 512년에 이른바 ‘任那 四縣’을, 513년에는 己汶을 영역화하였다. 뒤이어 성왕이 529년 帶沙(多沙津)를 병합하여 섬진강 수계를 완전히 장악하였다. 성왕은 섬진강 수계를 장악한 뒤, 영산강 유역에 대한 병합작업에 돌입하였다. 성왕은 영산강 유역에 대하여, 주변 세력과의 협력을 통해 서서히 장악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는 무령왕 대 유리하게 전개되던 대 고구려전 양상이 악화되어 영산강유역에서 군사 활동을 병행하는 데 어려움이 따랐기 때문이다. 성왕은 신흥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던 복암리 고분군 축조세력과의 협력을 통해 반남 고분군 세력을 압박하였고, 마침내 사비 천도에 즈음하여 영산강 유역 마한 세력에 대한 병합작업을 완료하였다. 즉 성왕이 국호를 개칭하였던 요인에는 영산강유역의 마한세력을 병합함으로써 국가의 전반적인 상황이 크게 변화한 배경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 개칭된 남부여라는 국호에는 백제의 새로운 지향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백제의 역대 국호가 개칭된 배경에는 정치 단계의 발전과 영토의 확장이라는 요인이 있었다. 백제 건국 이후에는 十濟, 伯濟, 百濟, 尉禮國, 鷹準, 羅鬪, 南扶餘의 국호를 사용했는데, 특히 十濟-伯濟-百濟-南扶餘의 변천과정은 백제가 마한을 병합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十濟-伯濟-百濟의 국호에는 마한과의 연관성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성왕은 마한과의 연관성을 해소하고, 왕실의 출자 인식인 ‘扶餘’를 드러내고자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한 것으로 판단된다. 백제가 ‘南扶餘’의 국호를 사용한 데에는 ‘북쪽의 부여’를 염두에 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백제가 상정한 ‘북쪽의 부여’는 『삼국사기』를 비롯한 여러 사서에 기록된 북부여를 가리킨다고 볼 수 없다. 이는 사서의 찬자들이 상정한 북부여가 고구려의 시각에서 호명된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백제가 상정한 ‘북쪽의 부여’는 고구려와 백제를 포함하여 북방계통 국가들의 원류로서, 기원전 2-3세기경에 존속했던 ‘原扶餘’를 의미한다. 즉 성왕이 개칭한 남부여에는 왕실의 부여 계승 의식을 드러냄과 동시에 原扶餘를 재건하고자 한 의지가 들어 있었던 것이다. 성왕은 原扶餘 계승에 대한 실현으로써 새롭게 仇台廟 제사를 지냈다. 그런데 『삼국사기』 백제본기 분주에 구태와 함께 優台가 기록되고 있는 점과, 우태가 『삼국지』와 『후한서』 동이전에서 왕 아래의 고위 관직으로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볼 때, 구태가 특정 인명은 아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데 온조가 비류집단을 아우르고 국호를 백제로 개칭한 것과 마한을 병합한 행적은, 성왕이 마지막 마한 세력을 병합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했던 행적과 유사하다. 이에 성왕이 구태묘 제사를 시행한 것은 백제의 실질적 건국주인 온조를 구태로 설정하여 추앙하고자 한 의지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성왕은 구태묘 제사를 실시함과 동시에 담로제를 방ㆍ군ㆍ성제로 개편하였다. 이 가운데 5방제는 음양오행에 입각하여, 국토를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실시되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특히 남방은 무령왕 대부터 성왕 대에 확보한 섬진강 수계와 영산강 유역을 통치하기 위한 행정구역으로 설정되었다. 남방의 치소는 무진주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무진주는 동성왕 대 탐라 공략을 위해 진출한 지역으로, 백제의 영향권 안에 있던 지역이었다. 또한 『삼국사기』 지리 백제조에서는 무진주에 15군이 소속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37군 체제에서 22담로가 22군으로 개편되고, 새롭게 편입된 마지막 마한 소국들을 15군으로 개편하여 통치하고자 했음을 가늠하게 한다. 요컨대, 성왕의 남부여 국호 개칭은 마지막 마한 세력을 병합한 이후, 왕실의 출자 인식인 ‘扶餘’로서 마한 세력을 통치하고자 한 의지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왕실의 부여 계승 의식을 국호에 드러냄으로써 왕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 정치적 지향점이 반영된 것이라 생각한다.

      • 한국선도의 '신인합일' 사상으로 바라본 백제금동대향로의 신해석

        김명식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백제금동대향로를 한국선도적 관점에서 해석했다. 백제금동대향로는 금속공예 기술이 탁월하고 예술적 감각이 빼어난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백제금동대향로의 형태와 의미에 대한 세 가지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뚜껑 꼭지, 동체, 받침의 세 부분으로 나뉜 이 향로의 형태는 인간까지 합해서 모든 존재를 하나[一, 한]로 보지만, 이것이 하늘·땅·사람의 세 차원을 가지고 있다는 한국선도의 중심철학, 삼원론을 배경으로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세 부분의 상징물 중에 뚜껑 꼭지의 봉황은 하늘[天]을, 동체의 밝산과 연꽃은 사람[人]을 의미하며, 받침에 해당하는 용은 땅[地]을 의미한다. 인체에 비유하면 상단전, 중단전, 하단전이라 볼 수 있다. 둘째, 백제금동대향로는 한국선도 수행의 핵심인 제천을 상징한다. 대향로의 동체 부분은 많은 산(밝산)과 그 사이에 부조되어 있는 인물과 동물 및 자연물들이 조화롭게 살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제천을 위한 정화와 수행의 과정으로, 이런 모습은 한국선도 수행의 핵심인 제천의례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한국인들은 제천하기 위해 인체를 정화시키는 수행을 행하였고, 특히 만물이 조화롭고 기운이 상서로운 산을 애호하였다. 한국선도 수행의 꽃은 제천의례이다. 셋째, 백제금동대향로는 수승화강을 상징한다. 수승화강은 우주에서와 마찬가지로 선도 수행을 통해 인체에 일어나는 변화로써 하늘을 상징하는 봉이 땅으로 내려오고 땅의 상징인 용은 하늘로 오르는 형상을 동시에 표현하여 생명에너지가 하나로 순환하는 우주적 수승화강 현상에 대한 표현이자, 선도수행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인체의 수승화강 현상을 표현한 것이다. 백제금동대향로는 수행이 몸에 배어 신인합일 상태를 유지한 사람들이 만들어낸 작품이라고 해석한다. 선도 사상에 입각한 이러한 해석은 백제금동대향로 뿐만 아니라 상고 시기 한국의 유물들이 형상화된 사상적 배경의 설명에도 유용할 것이다.

      • 百濟의 書藝 : 金石文을 中心으로

        방재호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漢)나라 문화(文化)의 영향(影響)을 깊이 받은 북조선방면(北朝鮮方面)의 유이민(流移民)으로 형성(形成)된 진한(辰韓)에 부여(夫餘)의 일족(一族)이 세운 나라인 백제(百濟)는 일찍부터 한자(漢字)를 사용하여 고구려(高句麗)나 신라(新羅)비하여 가장 일찍이 서기를 편찬(編纂)하였다던가 또는 일본(日本)에 한문자(漢文字) 전(傳)하였다는 사실(事實)로 그 문화(文化) 특히 문학관계(文學關係)의 척도(尺度)는 더욱 깊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문장(文章)이나 서화(書畵)는 고구려(高句麗)나 신라(新羅)에 비해 일찍부터 중국(中國)의 것을 모방(模倣)하고 중국의 남북조(南北朝) 문화의 영향(影響)을 받아, 보다 세련되고 다채(多彩)로운 귀족예술(貴族藝術)이 발달(發達)하였다. 본고에서 논하고자 하는 백제의 금석문은 백제대로 글씨를 썼을 것이라는 점을 전재로 하며, 아쉽게도 왕가(王家) 귀족서품(貴族書品)만 남아있어 일반 서민들의 서예세계를 볼 수 없음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그리고 무녕왕릉지석(武寧王陵誌石)과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를 중점으로 고찰하는 이유는 백제(百濟) 서예(書藝)의 정화(精華)이면서, 서예(書藝) 미학적(美學的) 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역사적(歷史的) 가치(價値)도 크기 때문이다. 백제(百濟)의 서(書)는 지금까지 논(論)한바와 같이 발굴된 것은 비(碑), 지(誌), 등 석각이 3종에 지나지 아니하며 금문(金文)이라 하여도 은팔지의 착각(鑿刻)과 금동은상의 배면에 착각(鑿刻)인 2종이 있고 와당(瓦當) 및 전(塼)의 명(銘)이 모두 해서(楷書)이고 하나의 전명(塼銘)이 초서(草書)이다. 목간(木簡) 또한 그 유물(遺物)이 온전한 형태(形態)가 아니고 파손(破損)되거나 묵서(墨書)의 글자가 완전한 상태는 아니다. 백제의 최고 금석문인 무령왕지석과 무령왕비지석은 여러면에 있어서 중국(中國)의 문화(文化)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우리는 소극적이던 고구려(高句麗)보다 일보 전진한 백제사회(百濟社會)의 선진(先進) 외래문화(外來文化)의 대담한 수용자세를 볼 수 있다. 또한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는 당대에 중국(中國), 일본(日本)에서 제작된 어느 비문과 비교해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뛰어난 격조를 지냈다. 무녕왕릉지석(武寧王陵誌石)과 사택지적비는 서체(書體)는 북위(北魏)를 본받고 내용은 남조(南朝)를 본받아 백제(百濟)다운 화려함을 더하였으니 명실공히 백제(百濟) 왕실(王室)의 최고 명문(銘文)이라 할 만하다. 백제(百濟)의 서풍(書風)이 고구려(高句麗)나 신라(新羅)에 비하여 보다 세련(洗練) 되었으리라는 추측은 당연하다. 남조의 연미(軟媚) 에 북조(北朝)의 강기(剛氣)를 동시(同時)에 보여 주고 있다. 백제(百濟)인들은 그들의 풍토(風土)속에서 그들의 생리에 맞는 백제(百濟)의 서예(書藝)는 맑고 온아(溫雅)한 모습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Baikjai, a Korean ancient nation found in Jinhan by a tribe from Buyo which was formed with immigrants from north and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seemed to have rather profound culture and literature, when we consider that it used Chinese letter, edited history books earlier than its rivals of Goguryo and Shilla, and initiate Japan into Chinese letter. Therefore, it had learned advanced literature and painting from China earlier than Gogureo and Shilla, and developed stylish and diverse noble art, influenced from its contemporary states in China. The assumption of present study is that the letters on Baikjai's Geomsuckmun (ancient inscription on a stone monument) would be of Baikjai's style, however, unfortunately, it is impossible to see the common people's calligraphy since there only remains the work by royal family or noble men. The reason why the study considers the Epigraph of King Munyong and Sataikjijokbi(사택지적비) is that they are essences of Baikjai's calligraphy and have so many aesthetic and historical values. As stated above, three letter carvings were only exhumed; two metal carvings with chakkak(착각) were found on a silver wrest ring and a Buddhist golden statue; the letters on roof tile were written with the square style of Chinese handwriting(해서) and one epitaph was written with script type(초서); and other wooden heritages were damaged of unclear. Epigraphs of King and Queen Munyong, the best Geomsuckmun from Baikjai, shows that the dynasty had actively accepted Chinese culture, through which we can see that it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 accept the advanced culture of China than rather negative Goguryo. And the Sataikjijokbi is highly elegant compared to the any contemporary inscriptions made in China or Japan. The Epigraph of King Munyong and Sataikjijokbi(사택지적비) imitated its literal style from Bookwi(북위) and contents Namjo(남조), which added the elegance of Baikjai style, and it is worth called as the best sentence from royal Baikjai. It would be no doubt that we guess the calligraphy of Baikjai was far more refined than that of Goguryo or Shilla; it shows the smooth of Namjo and strength of Bookjo at the same time. Within their own climate, the people of Baikjai represented their clear, graceful shape on the calligraphy as they were.

      • 百濟土器의 成立과 發展過程에 나타난 中國 陶磁器의 影響

        이명엽 한신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백제의 국가성립과정에서 백제토기 신기종의 출현과 그 배경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한강유역의 몽촌토성, 풍납토성, 석촌동 고분군, 미사리 유적 등이 조사되면서 한성기 백제토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백제토기 신기종의 출현과 배경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백제토기 신기종이 새로운 토기제작기술과 중국도자기의 모방으로 출현하게 되었고, 이는 백제 지배층의 정치적 의도로 제작되었음을 밝혔다. 백제토기 신기종은 백제의 국가성립과정에서 새로운 토기제작기술의 도입과 중국 도자기의 모방으로 출현하게 되었다. 서북한 지역에 위치한 낙랑군은 313년 멸망할 때 까지 원삼국~백제의 국가형성시기에 주요하게 영향을 끼쳐왔다. 토기 제작기술은 中國 郡縣 특히 낙랑의 토기제작기술의 영향인데, 원삼국 당시 3단계에 걸쳐 유입된다. 하나는 2세기 중반경으로 타날문토기의 출현이다. 원삼국 당시 중부지역은 小國으로 존재하여 정치적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중국 군현과 교섭을 진행하여 성장하게 되었다. 중국 군현과의 교섭과정에서 중부지역의 소국은 군현의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성장하게 되어 군현의 주민이 유입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주민의 유입과 함께 낙랑토기제작 기술 중 녹로성형 기술, 낙랑(계)토기도 함께 유입되었다. 다른 하나는 3세기 중반경으로 낙랑토기 제작기술 중 깎기, 마연, 암문 등의 유입이다. 당시 중부지역의 소국과 중국 군현은 대립적이 긴장관계 속에서 3세기 중반경 대규모 전쟁으로 그 결과 伯濟國의 성장하게 되었다. 이 전쟁을 틈타 백제국은 낙랑의 변경민을 빼앗았다 돌려주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낙랑의 제도기술이 유입되었다. 마지막으로 313년과 314년 차례로 축출된 낙랑군과 대방군의 주민의 유입으로 전반적인 생산기술이 유입되었다. 이러한 중국 군현과의 교섭과정에서 새로운 토기제작기술이 유입되었던 것이다. 백제국은 3세기 중반경에 있었던 대규모의 전쟁으로 중국 군현 및 중국과 韓濊와의 중계무역을 독점하면서 고대국가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과정속에 수입되었던 선진문물은 위세품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어 백제의 국가 지배 방식의 하나로 변경지역의 수장층에게 賜與하여 지배력의 공고히 하였다. 한성기 백제의 변경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는 중국 도자기가 출토되었는데, 이를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치적 의도로 수입된 도자기는 한정된 수량으로 정치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미흡하여, 백제 중앙 지배층의 의도로 중국 도자기를 모방한 토기를 제작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백제토기 신기종이다. 백제토기 신기종은 중국 도자기와 같은 위세품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도자기와 함께 지방 수장층에게 사여되었다. 이처럼 백제토기 신기종은 백제 중앙의 국가 지배 방식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