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내장 수정체의 상피세포에 있어 TGF-βisoform mRNA 발현의 정량분석

        김성두 인제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목적: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는 백내장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내장 수정체에서 TGF-β isoform mRNA의 발현을 정량분석하여 각각의 TGF-β isoform과 백내장 발생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체 30명, 30안에서 추출한 수정체상피세포조직을 이용하여 real-time SYBR Gree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TGF-β1, β2와 β3 mRNA의 발현을 정량하여 백내장의 종류(노인성 25안, 초로성 5안)와 당뇨병의 유무(당뇨 17안, 비당뇨 13안)에 따라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TGF-β3 mRNA는 30안 모두에서, TGF-β1 mRNA는 당뇨 노인성 백내장 1 안을 제외한 29안(96.7%)에서, TGF-β mRNA는 9안(당뇨 노인성 3/14안, 21.4%; 비당뇨 노인성 2/11안, 18.2%; 당뇨 초로성 2/3안, 66.7%; 비당뇨 초로성 2/2안, 100%)에서 발현되었다. TGF-β1 mRNA의 발현양은 당뇨 노인성 백내장에서 비당뇨 노인성 백내장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O.056). 결론: TGF-β는 백내장의 발생과 연관이 있으며, TGF-β2는 초로성보다는 노인성 백내장에서, TGF-β1은 노인성 백내장에 있어 당뇨가 있는 경우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 듯 하다 Objectives: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0 has been accepted to be associated with cataractogenesis. I quantitated the mRNA expression of TGF-0 isoforms in cataractous crystalline len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isoforms on cataractogenesis. Methods: With lens epithelial cells of total thirty eyes in thirty patients, mRNA expression of TGF-D1, D2 and )33 were quantitated by real-time SYBR Gree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ypes of cataract (senile, 25 eyes vs. presenile, 5 eyes) and presence of diabetus mellitus (diabetic, 17 eyes vs. non-diabetic, 13 eyes). Results: Each isoforms mRNA of TGF-0 were expressed; TGF-03 in all thirty eyes, TGF-01 in 29 eyes (96.7%) except one diabetic senile cataract and TGF-02 in 9 eyes (3/14 eyes of diabetic senile, 21.4%; 2/11 eyes of non-diabetic senile, 18.2%; 2/3 eyes of dabetic presenile, 66.7%; 2/2 eyes of non-diabetic presenile, 100%). The amount of TGF-Dl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 the diabetic senile cataract compared to the non-diabetic senile cataract (P = 0.056). Conclusions: TGF-D would be associated with cataractogenesis. TGF-02 might be more meaningful in the senile cataract than in the presenile and TGF-01 in the diabetic condition of the senile cataract than in the non-diabetic.

      • 백내장 수술이 노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현재헌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백내장 노인을 대상으로 백내장수술 전과 수술 후의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의료사회 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내장 노인의 수술 전 생활만족도 수준을 살펴 본 결과, 만족도가 조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생활만족도를 구성하는 세부항목별로 살펴보면 심리적 상태는 보통수준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역할은 평균 3.368로 약간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눈의 상태는 백내장으로 인해 매우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상생활과 관련해서는 평균 2.368로 백내장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상당히 불편함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백내장 노인의 수술 후 생활만족도 수준을 살펴 본 결과, 평균 3.574로 수술 전 평균 2.736과 비교해 수술 후 만족도가 많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항목별로는 심리적 상태가 보통보다 조금 낮게 조사되었고, 사회적 역할의 경우는 수술 전 평균 3.368에서 수술 후 평균 3.688로 사회적 역할로 인한 생활만족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눈의 상태도 수술 전 평균에 비해 만족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일상생활 만족도도 수술 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백내장 수술을 통한 시력 개선이 일상생활의 만족도를 크게 증진시킨 것을 의미한다. 셋째, 백내장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수술 전․후 생활만족도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대는 수술 전 생활만족도에서 눈의 상태와 일상생활 항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수술 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백내장 수술이 연령대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줄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결혼 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수술 전과 수술 후가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수준과 수술 후 생활만족도는 학력이 낮은 경우 백내장 수술로 인한 생활만족도가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 소득에 있어서는 월 소득이 낮은 경우 백내장 수술 후 생활만족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눈의 상태의 경우 시력이 매우 불편한 경우에 백내장 수술이 생활만족도를 더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백내장 수술 전 생활만족도와 수술 후의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조사해 본 결과, 수술 전 보다 수술 후의 생활만족도의 평균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백내장 수술이 조사대상자의 생활만족도를 크게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조사대상자의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심리적 상태의 경우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에 만족도가 저하된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사회적 역할, 눈의 상태, 일상생활의 경우에는 수술 후 만족도가 크게 증가하여 백내장 수술이 생활만족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섯 가지 생활만족도 증진방안으로 첫째, 고령자·만성질환자에 대한 질병의 조기진단 및 예방,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속한 의료전달체계를 확립, 둘째, 지역사회 노인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대한 의료사업 체계의 구축, 셋째, 만성질환노인의 경제적 부담 감소를 위한 현실적인 비용진료체계를 개발, 넷째, 무료 개안수술 사업을 하는 기관들과의 연계를 활성화하여 백내장 노인 개안수술비 지원, 끝으로 백내장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 조기에 백내장을 치료받을 수 있는 정부차원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targets the senior citizens with cataract and focuses on the changes of their life satisfaction degree before & after of the cataract operations. By research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cataract operations, we are trying to make a medical approach to social welfare proble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nior citizens' life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follows as below. First, the subjects include more women than men, and many of them were over the age of 60. As for the choice of socialized medicine by the subjects, a medical insurance was more preferred to a medical care. The subjects' residence type showed the higher ratio of urban residency than that of rural. Concerning the marital states, many subjects lived with their spouses.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most of the subjects got was the elementary school. Subjects' monthly income usually ranged from 50,000 won to 1 million won. Most of their income came from their sons and daughters or relatives. Regarding the discomfort index on the optical defect caused by cataract, the level of discomfort was prevalent. Second, senior citizens' life satisfaction, before of the cataract operation, was measured at a rather low level. Getting into the more specific items, which consist of the life satisfaction degree charts, the satisfaction with the psychological condition was measured at an average level ,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roles was measured at the high level, by the average figure of 3.368. Subjects' discomfort index on optical defect, which is caused by cataract was measured at a seriously high level. The discomfort index on daily life with cataract showed the average figure of 2.368, which means quite serious discomfort. Third, by researching the changes of senior citizens' life satisfaction degree, after of the cataract operation, We could see that their satisfaction degree had much risen from the average figure of 2.736 to 3.574 after the operations. Getting into the specific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psychological condition was measured at a level of a bit below average. The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roles rose from the average figure of 3.368 to 3.668, which means increased satisfaction. Both of the satisfaction with their optical conditi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daily life increased a lot after of the operation. This means the improvement optical defect through the cataract operations could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Fourth, by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citizens with cataract and their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of the operation, We can see that the gender has statistically nothing to do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Before the operation, the life satisfaction was measured at different levels in each items of optical condition and daily life, depending on the age ranges. However, after the operation, the gap of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age ranges, got removed, which means the cataract operation reduces the life satisfaction gap, depending on the age ranges. Marital states caused the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of the operation. The poor educational backgrounds the subjects had, the more life satisfaction they had after of the cataract operation. Also the subjects with less monthly income had more life satisfaction with the cataract operation. Lastly, those who are in seriously discomfort optical condition had a lot more increased life satisfaction after the operation. Fifth, by researching the changes of subjects' life satisfaction degree, before and after of the cataract operation, we can find that the average degree of subjects' life satisfaction has increased a lot after the operation. This means the cataract operation causes increased life satisfaction. Getting into the specific items, consisting of the life satisfaction chart, the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condition showed less satisfaction after the operation. Contrastively, the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roles, the optical condition, and the daily life showed the increased satisfaction after the operation, which means the cataract operations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a lo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can suggest the ways to develope the senior citizens' life satisfaction as below: First, we should build up the immediate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s for prompt diagnosing and preventing of disease and health caring for those who are seniors or in chronic condition. Second, We should establish the medical business systems for health promotion and the prevention of disease for local senior citizens. Third, We need to develope the down-to-earth medical bill systems to reduce the burden of hospital expenses for the senior citizen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 Fourth, by encouraging the connections with the institutions, which offer free eyesight recovery operations, we can aid the senior citizens' cataract operation expenses. Lastly, through the continual government campaigns to educate and inform the public about cataract, we can make people take immediate actions in the beginning of disease.

      • 40세 이상 성인의 수정체 혼탁 유형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연구 : 2010,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안영주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본 연구는 40세 이상 한국 성인 남, 녀를 대상으로 백내장의 수정체 혼탁 부위별 분포를 파악하고, 수정체 혼탁 부위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제5기 1, 2차년도(2010,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총 8,508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 백내장의 혼탁 부위에 따라 피질백내장, 핵백내장, 기타백내장 (전낭하백내장 + 후낭하백내장 + 혼합백내장)으로 나누어 혼탁 부위별 빈도와 백분율(%)이 산출되었다. 또한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령, 성별,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을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survey logistic regression)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혼탁 부위별 분포는 핵백내장 (2,048명) > 피질백내장 (707명) > 기타백내장 (642명) 순이었다. (2) 연령이 높을수록 피질백내장, 핵백내장 그리고 기타백내장의 교차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소득 1분위에서 핵백내장의 교차비가 높았으며, 초등학교 이하 졸업에서 피질백내장, 핵백내장 그리고 기타백내장의 위험도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현재 음주자의 경우 기타백내장의 위험도가 감소하였다. (3) 근시가 있는 경우 기타백내장의 위험도가 높았으며, 당뇨가 있는 경우 피질백내장, 핵백내장 그리고 기타백내장의 위험도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BMI의 경우 WHO기준으로는 ‘정상’과 ‘과체중’에서, KSSO기준으로는 ‘과체중’과 ‘비만’에서 핵백내장의 위험도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남성의 경우 비백내장군은 백내장군에 비해 쌀, 콩류, 잡곡은 적게 섭취하였으며, 커피, 돼지고기는 많이 섭취하였다. 여성의 경우 비백내장군은 백내장군에 비해 쌀은 적게 섭취하였으며 김, 달걀, 두부, 버섯류, 요구르트, 빵류는 많이 섭취하였다. 결론: 한국 성인에서 백내장의 혼탁 유형별로 관련 요인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련 요인에 대한 교차비 또한 달랐다. 따라서 후속 연구도 혼탁 유형을 구분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환자의 검사와 상담시 한국인 실정에 맞는 기초자료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with cataract by researching dispersion of cataract subtypes of Korean people over age 40. Methods: This study proceeds with cross-sectional surveys including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etween 2010 and 2011, which covers 8,508 participants over age 40. Based on this survey, the percentage of cataract subtypes is calculated; the cataract subtypes include cortical cataract, nuclear cataract, and other types of cataracts such as anterior (sub) capsular, posterior subcapsular and mixed. Furthermore, this study execut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that adjust the data on age, sex, diabetes,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cataract subtypes is as follows in order: nuclear cataract (N=2,048) > cortical cataract (N=707) > other cataracts (N=642). (2) The older people are, the greater cross ratio of cortical cataract, nuclear cataract and other types of cataracts is, and i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ase of current drinkers, the risk of being exposed to cataracts decreases. (3) In case of Myopia, the risk of being exposed to other types of cataracts is higher than usual. In case of diabetes, the risk of being exposed to cortical cataract, nuclear cataract, and other types of cataracts is higher than usual, and i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ase of BMI, WHO standard indicates that those who are normal (18.5∼24.9) or over-weight (25.0∼29.9) have the lower risk of being exposed to the nuclear cataract than usual, and KSSO standard indicates that those who are over-weight (23.0∼24.9) or obese (≥25) have the lower risk of being exposed to the nuclear cataract that usual. This data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4) The non-cataract group of males prefers coffee and pork to rice, bean, and barley. On the contrary, the cataract group of males prefers rice, bean, and barley to coffee and pork. The non-cataract group of females intakes laver, egg, tofu, mushroom, yogurt, bread more frequently than the cataract group of females who prefer rice.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are various in cataract subtypes and cross ratio of related factors is different. Therefore, a follow-up study should proceed by distinguishing types of cataract subtypes, and this data might be used for consultants and examination on patients in Korea.

      • 백내장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지하철 공공사인의 컬러유니버설디자인 현황분석 : 중국 청두, 충칭과 베이징 중심으로

        오춘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e context of global population aging, the phenomenon of population aging in China is also to be on the rise. Especially in super cities with a large population base such as Beijing and medium-sized cities with rapid growing population such as Chengdu and Chongqing, the severe problem of aging population also exists. As the mass transportation develops, the utilization rate of mass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utilization space of mass transportation. The color of signature can improve the inducement of space users and visual recognition for space. Cataract is the most common visual disease for the elderly. Visual information accounts for 80% of the received information. If cataract occurs, the judgment of visual color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ll be affected. However, public design color policy in China is not satisfactory. Therefore, taking the elderly users with cataract as the object, this paper analyzes the signature color of the subway space with high utilization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ignature color in subway stations with high utilization rate in cities with large elderly population and important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based on the visual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senile cataract and color global design, and propose th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or bottom line of public design in China in the future. Research methods: Firstly, analyze the color standard of general design and the visual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cataract patients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nd come up with the color analysis standard of this paper. Secondly, use Mensel color to investigate the signature color site of the subway. Thirdly, based on the "first" color standard, this paper analyzes the subway signature colors in Beijing, Chengdu and Chongqing, and proposes improvement schemes. Research contents: Chapter 1 is about the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purpose, necessity and differences of research and the composition. It introduces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is paper. Chapter 2 is about the major categories of research methods and determines to study the subway stations with high utilization rate in Beijing, Chengdu and Chongqing. Chapter 3 is to analyz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definition of global design, th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trends of color, summarize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ataract,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tendency of senile cataract, explain the research object and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analyze the advantages of international excellent examples and finally put forward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color design with consideration of cataract users through the above analysis. Chapter 3 is to carry out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color in subway stations of Beijing, Chengdu and Chongqing. Chapter 5 is to analyze the lightness, chromaticity and color distribution of subway station cases, so as to provide suitable direction of color design for the visually weak such as cataract patients in the future. Case investigation methods: Took pictures and conducted survey in the subway stations of Beijing, Chengdu and Chongqing through the way of on-site investigation. The corresponding color number was found by comparing the colors of the subway stations investigated with Mensel color card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on-site investigation, when comparing signatures and color cards, we would randomly ask the users passing subway stations and accepted the judgement. There are many factors that affect the color information acquisition of visually impaired people like senile cataract - disease, space environment, light, etc. Only based on the visual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weak people like the senile cataract,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subway sign color in three cities with a larg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and cities where the elderly population will grow rapidly in the next few years. The research results are obtained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lightness difference, chromaticity difference, color frequency and color distribution of the case in combination with the public sign color criterion of senile cataract. Research results; First, the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adjacent colors can reach more than 6 in readability, while it is 40% in Beijing, 10.7% in Chengdu and 46% in Chongqing,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in Chengdu and Beijing. Second, the gap of public signing degree among the three cities has reached 6, with much room for improvement. Third, taking the color toxicity of senile cataract with different adjacent colors as the comparison color standard,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image color and background color of Chengdu and Chongqing are the contrast between black, white and gray, with no contrast between colors, and the contrast between gray and other colors is also the contrast between black and white.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color contrast is suggested to be more considered in color psychology. The lightness and chromaticity of the sign background color and image color of Beijing are both high,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 Fourth, due to the change of lens, the situation will occur to the subway users like senile cataract that they cannot clearly distinguish two different colors, such as blue and purple, blue and green. In the cases of Beijing, such problem have occurred many times, with minor brightness discrepancy. 전 세계적가 급속히 노령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중국의 노령화 현상도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베이징시처럼 인구수가 많고, 청두와 충칭처럼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도시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대중교통이 발전하면서 지하철 등 대중교통의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어, 대중교통 이용공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사인색채는 공간 이용자에 대한 유도성과 시각 인지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백내장은 고령자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시각질환 중 하나이다. 시각정보는 수신정보의 80%를 차지하는데, 백내장이 생기게 되면 고령자의 시각적 색채정보 판단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중국의 공공디자인 사인색채 정책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령의 백내장 질환을 앓고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최근 활용도가 높은 지하철 공간의 사인색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의 백내장 질환자의 시각적 색채특징과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을 기초로 중국에서 고령인구의 비중이 높고, 경제발전에 있어 중요한 도시에서 이용도가 높은 지하철역의 사인색채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중국의 공공디자인 색채 가이드라인의 보완을 위하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색상기준과 고령자와 백내장 환자의 시각적인 색상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본 연구의 색채분석기준을 도출한다. 둘째, 멘셀 색채를 사용하여 지하철의 사인색채현장을 조사한다. 셋째, “첫째"에서 도출된 색채기준을 바탕으로 베이징시 및 청두와 충칭에 대한 지하철 사인색채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범위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은 연구의 배경, 연구목적, 연구의 필요성과 차별성, 연구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당 장에서 본 연구진행의 필요성과 연구의 의의를 소개한다. 제 2 장은 연구방법 및 범위로, 본 연구 사례연구의 범위로 베이징시 및 청두와 충칭에서 이용도가 높은 지하철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확정한다. 제 3 장은 고령자의 시각적 특성,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정의와 색채의 특성 그리고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백내장에 대한 정의와 분류, 고령의 백내장 질환자의 시각적 특성과 연구동향을 요약하며, 본 연구의 연구대상과 연구의 이론적 기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국제적으로 우수한 사례의 장점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상기분석을 통해, 백내장이 있는 이용자를 고려한 공공디자인 색채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4 장에서는 베이징시 그리고 청두와 충칭의 지하철역 색채현황에 대한 현장조사와 분석을 다룬다. 제 5 장에서는 지하철역 사례에서 나타난 명도와 채도 및 색 분포를 분석하여, 백내장 환자와 같은 시각적 약자에게 적합한 색채 디자인 및 향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현장조사의 방식으로 베이징시, 청두, 충칭의 지하철역 사례에 대하여 사진을 찍고 조사를 하였으며, 먼셀 컬러 카드를 통해 조사한 지하철역의 사인색채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컬러 번호를 찾았다. 저자 혼자 조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현장조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사인과 색채 카드를 비교할 때 지나가는 지하철역 이용자들에게 무작위로 질문하여 응답을 얻었다. 고령의 백내장 질환자와 같은 시각적 약자의 색채 정보 획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질병, 공간 환경, 빛 등 다양하다. 본 논문은 고령의 백내장 질환자와 같은 시각적 약자 시각적 색채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고령의 인구가 많은 중국 3개 도시의 지하철 사인 색채현황을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고령의 백내장 질환자의 공공 사인 색채기준에 따른 사례의 명도차, 채도차, 색 빈도, 색 분포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접색상 간의 밝기차이가 가독성 차이에서 6 이상이 요구되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을 때, 베이징시가 40%로 나타났고, 청두가 전체의 10.7%를 차지했으며, 충칭는 46%로 청두와 베이징시 보다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였다. 둘째, 세 도시의 공공서명 명도의 차이가 6에 달할 정도로 개선의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셋째, 인접색에 따른 고령의 백내장 질환자의 색 가독성을 비교색을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청두(成都)와 충칭(重慶)의 그림색 색상과 배경색은 모두 검은색·흰색·회색 간의 대비로, 색상 간의 대비가 없고 회색과 이외의 색채 대비 또한 흑백의 대비였다. 이용자의 체험을 높이기 위해 색채심리학적으로 유(有)채색 대비를 더 많이 고민했다. 베이징시의 사인 색채 배경색과 그림색의 명도와 채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지만, 서로의 차이는 작았다. 넷째, 수정체가 변화한 원인으로 환자와 같은 지하철 이용자는 B계열과 PB계열, B계열과 PB계열의 두 가지 색채를 뚜렷하게 구별하지 못하는 상황이 나타나게 된다. 베이징시의 사례에서 이러한 문제는 다수 존재할 뿐만 아니라, 명도의 차이 또한 너무 작았다.

      • 과일, 채소 및 항산화 영양소 섭취와 백내장 위험도의 관계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012 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이은경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노인 인구 증가 및 서구화된 식생활, 대기오염 등으로 백내장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백내장은 투명한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질환이다. 백내장의 원인으로 시각 체계의 퇴행성 변화에서 산화기전의 작용이 밝혀짐에 따라 대부분 단백질로 이루어진 수정체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항산화 영양소의 역할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항산화 영양소인 비타민 A, 비타민 C와 과일 및 채소의 섭취에 따른 백내장 유병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안검진이 가장 최근 진행된 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성인남녀 총 3,344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항산화 영양소는 비타민 A와 비타민 C를 중심으로, 과일 및 채소는 TVF (Total vegetable+Fruit), NSVF (Non-salted vegetable+Fruit), NSV (Non-salted vegetable), SV (Salted vegetable), F (Fruit)로 구분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중 17%가 백내장이며, 백내장 영향요소인 성별, 나이, 신체활동 등으로 보정 후 분석한 결과 연령증가에 따라 백내장에 대한 OR (Odds Ratios)값이 1.13배(95% CI 1.11-1.14, P < 0.001) 높고, 남자대비 여자가 백내장에 대한 OR값이 1.32배(95% CI 1.02-1.70, P < 0.031) 높고, 당뇨가 없는 군에 비하여 당뇨 환자의 백내장에 대한 OR값이 2.13배(95% CI 1.64-2.76, P < 0.001)로 높았다. 남자 대상자의 TVF는 섭취가 낮은 군(< 500 g/day)이 높은 군(≥500 g/day)에 비해 백내장에 대한 OR값이 1.42배(95% CI 1.01-2.00, P < 0.044)로 유의하게 높았다. NSVF는 섭취가 낮은 군(<400 g/day)이 높은 군(≥400 g/day)에 비해 백내장에 대한 OR값이 1.49배(95% CI 1.04-2.13, P < 0.027)배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 대상자의 TVF는 섭취가 낮은 군(< 500 g/day)이 높은 군(≥500 g/day)에 비해 백내장에 대한 OR값이 0.85배(95% CI 0.63-1.13, P < 0.274)로 낮았지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NSVF는 섭취가 낮은 군(<400 g/day)이 높은 군(≥400 g/day)에 비해 백내장에 대한 OR값이 0.82배(95% CI 0.61-1.10, P < 0.187)배 낮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백내장 군에서 과일 및 채소의 섭취량이 부족했고, 남자에게서 권장량보다 섭취량이 부족했을 때 백내장 유병의 위험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백내장 예방을 위해 전체적인 과일 및 채소의 섭취량을 증진시켜야하고, 적절한 과일과 채소의 섭취에 관한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백내장수술의 적절성 평가와 환자 진료 결과 분석

        최윤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RAND의 백내장 적절성 분류기준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백내장수술에 대해 4가지 등급(매우적절, 적절, 불명확, 부적절) 평가를 하고 이러한 수술의 적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며 둘째,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수술전 시기능, 시력, 증상 등을 통제한 뒤 백내장수술의 적절성이 수술후 12개월 환자진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4개 대학 및 종합 병원에 근무하는 20명의 안과전문의에게 1997년 4월말부터 6월 중순까지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적절성 평가 연구대상자는 222명이었다. 수술전과 수술후 12개월의 환자에 대한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면접 및 전화조사를 하였으며 의사에 대한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자기기입조사로 수행하였으며 백내장 수술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백내장수술의 적절성 평가의 결과로 백내장수술이 매우적절한 경우가 68명(30.6%), 적절한 경우가 103명(46.4%), 불명확한 경우 34명(15.3%) 그리고 부적절한 경우가 17명(7.7%)이었으며 적절성 평가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수술전 수술한 눈의 시력이 나쁜 경우, 수술전 시기능이 낮은 경우, 수술전 시력만족도가 높은 경우, 안과적 질환이 없는 경우와 의료제공자의 연간 백내장 수술횟수가 201회 이상인 경우에 적절한 수술이었다. 환자진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시기능의 변화를 종속변수로 한 경우가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 수술이 적절한 경우는 시기능 변화, 시력만족도와 지기인식 건강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시력과 관련된 기능적(수술한 눈의 시력, 시기능, 증상) 및 주관적(시력 불편도 및 만족도) 결과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니었다.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구대상 병원이 대도시의 대학 및 종합 병원이므로 이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적절성의 평가가 우리나라와는 환경이 다른 미국에서 실시된 것이므로 수정, 보완하여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적절성 평가 방법을 구축해야할 것이다. 적절성 평가가 임상진료지침과 다른 점은 세부적으로 많은 임상적 사례들에 대해 사례별로 적절성에 대한 평가를 하여 모든 상황에 자세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이며 이전 우리나라에서는 적절성 평가가 입원, 재원기간과 퇴원 등에 대해 도구를 이용한 조사만이 이루어졌으며, 미국에서는 주관적 판단에 의한 적절성 평가 연구가 진행되었고 환자진료결과를 평가한 연구는 없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전문위원들에 의한 주관적 판단에 대한 적절성 평가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수술후 12개월의 환자진료결과를 추적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므로 적절성 평가의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증거가 되는 연구이며 이러한 적절성 평가와 환자진료결과 연구는 의사와 환자에게 의료시행에 대한 환자의 객관적 자료와 더불어 주관적 자료를 이용하여 의료시행 전에 최선의 결정을 도와주며 환자의 진료결과를 환류하여 의료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cataract surgery and to assess the outcomes of cataract patients for postoperative 12 months. For this purpose, cataract surgery was rated as 'necessity/crucial', 'appropriate', 'uncertain', and 'inappropriate' based on RAND Ratin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outcomes and appropriateness ratings was analyzed. The patients outcomes include the changes in patients outcomes,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outcomes(the visual acuity of operated eye, visual function, symptom score), the subjective outcomes(satisfaction with vision, trouble with vision) for postoperative 12 months. For this assessment, the cases of 222 patients were studied. These patients have undergone cataract surgery for either one eye or both eyes. The surgery were performed by 20 ophthalmologists who were practicing at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Patients were interviewed and clinical data were obtained. Doctors were questioned with self-entered questionnaire forms. Medical record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surgery process. The ratings were as follows: 30.6% of the surgery belonged to the bracket of 'necessity/crucial', 46.4% to 'appropriate', 15.3% to 'uncertain', and 7.7% to 'inappropriate'. The preoperative lower level of snellen visual acuity, cataract symptom scor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vision and the frequency of surgery per year, no occurrence of ocular disease were associated with appropriate surgery. The change of visual function is the highest R^(2), the change of visual function, satisfaction with vision and health status in overall are related with appropriate surgery. The preoperative lower level of visual function, higher level of cataract symptom score and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functional outcomes for postoperative 12 months. The preoperativ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vision and the frequency of surgery per year, no occurrence of ocular disease were associated with the subjective outcomes for postoperative 12 months. We conclude that, for postoperative 12 months, appropriate surgery is not related to the functional outcomes and subjective outcomes.

      • 노인백내장과 당뇨백내장에서 Fas, FasL 및 Bc1-2의 발현에 관한 연구

        정윤상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목적 : 백내장의 발생 기전에 apoptosis가 관련한다는 많은 보고가 있다. 이 apoptosis의 알려진 원인은 수정체상피세포가 수정체섬유세포로의 비정상적 분화(transdifferentiation)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노인백내장과 당뇨백내장 환자의 전낭하백내장으로부터 얻은 수정체 상피세포에서 apoptotis의 발생 유무를 조사하고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인 Fas/FasL 및 Bcl-2의 발현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전낭하 백내장을 가진 관자 16명(노인백내장 환자 12명, 당뇨백내장 환자 4명)과 대조군으로 2명의 비백내장환자로부터 얻은 수정체 상피세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apoptosis의 발생을 확인하기 위하여 TUNEL assay와 DNA fragmentation assay를 실시하였고, 그리고 apoptosis 관련 단백질인 Fas/FasL 및 Bcl-2의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검사와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의 방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노인백내장과 당뇨백내장에서는 TUNEL 양성 수정체 상피세포들이 절편 전체에 걸쳐 관찰되었으며 DNA fragmentation 검차에서도 전형적인 사다리분절(laddering fragmentation) 양상을 보였다. 반면에 비백내장성 정상 수정체낭에서는 TUNEL 양성 세포와 ladder 양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 백내장 발생에서 apoptosis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FasL과 Bcl-2 mRNA와 단백질은 노인백내장과 당뇨백내장에서 나타났으나 두 백내장군 사이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정상의 비백내장성 수정체에서는 전혀 발현이 없었다. Fas의 경우에서는 노인백내장에 비해 당뇨백내장에서 약간 더 증가하여 나타났으며 정상 수정체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수정체 상피세포의 apoptotisis가 전낭하백내장의 발생과 관련성을 가지며, Bcl-2의 발현이 전낭하백내장의 병적인 세포 기전에서 그 역할을 할 것임을 제시해주었다. 그리고 Fas 발현의 차이에서 볼 때 당뇨백내장에서는 Fas-매개의 신호전달이 관여하는 apoptosis가 백내장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노인백내장에서는 이와 다른 기전의 apoptosis가 관계할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Purpose : The glowing body of data implicating apoptosis in cataractogenesis suggested that aberrant transdifferentiation of lens epithelial cells into myofibroblastic cells might induce the cataract through apoptosis of lens cells, This study examined the apoptotic cell death and the expression of Fas, FasL and Bcl-2 in lens subcapsular epithelial cells from senile and diabetic cataract patients. Methods : Apoptotic cell death of lens epithelial cells from senile cataracts(n=12), diabetic cataracts(n=4) and non-cataractous clear lenses(n=3) was measured by TUNEL assay and DNA fragmentation assay. The expression of Fas, FasL and Bcl-2 was examin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TUNEL-Positive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in whole section of senile cataracts and diabetic cataracts, but not in non-cataractous clear lenses. DNA fragmentation assay showed the characteristic laddering pattern in senile cataracts and diabetic cataracts but not in non-cataractous clear lenses. The expression of FasL and Bcl-2 mRNA, and its protein were shown in senile cataracts and diabetic cataracts with similar amounts. Fas was more expressed in diabetic cataracts than in senile cataracts. Non-cataractous clear lenses did not show any expression of Fas, FasL and Bcl-2.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apoptotic cell death might occur in lens epithelial cells from anterior subcapsular cataracts and that the expression of Bcl-2 might play a role in the pathologic cellular mechanism of anterior polar cataracts. In view of Fas, the apoptosis via Fas-mediated signaling is relevant at diabetic cataracts, however, other mechanisms might be involved at senile cataracts.

      • 성인 한국인에서 백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황일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인 한국인에서 백내장의 연령별 유병률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백내장 형태학적 분류의 유병률을 함께 살펴보고, 특히 당뇨와 백내장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차년도 (2008년) 부터 제 5기 2차년도 (2011년) 의 4개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 모형은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만성질환 특성 및 건강 행태 특성이 백내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특성 별로 성별을 구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제시하였다. 또한, 백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카이제곱 검정과 surveylogistic 을 이용해 무보정 오즈비 및 성별, 연령을 보정한 오즈비를 구하고, 이의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이때, 백내장 질병의 특성 상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선형 회귀보다는 다항 회귀분석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위해 연령의 2차 항을 변수로 추가하였다. 한편, 연령 이외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만 40세 이상 만 60세 미만의 연령 군을 대상으로 하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당뇨와 백내장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백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보정한 다변량 보정 오즈비를 함께 구하고, 이의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당뇨의 치료 방법 및 유병 기간에 따른 백내장 위험도를 함께 구하였다. 연구 결과, 백내장의 유병률은 49.0 % 였고, 40대는 10.9 % 인데 반해 70 세 이상은 93.8 % 로 연령이 많아지면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백내장 형태학적 분류를 살펴 보면, 핵백내장이 56.1 % 를 차지했고, 뒤이어 피질백내장이 22.9 % 였다. 백내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을 살펴보면, 연령과 성별을 보정한 후 낮은 소득 수준 (하)이 약 1.3배 (95% CI 1.106~1.587), 낮은 교육 수준 (초졸 이하)이 약 1.4 배 (95% CI 1.148~1.775), 당뇨병이 약 1.4 배 (95% CI 1.231 ~ 1.721), 저체중이 약 1.5 배 (95% CI 1.109 ~ 2.148), 흡연이 약 1.2 배 (95% CI 1.021 ~ 1.373) 위험도가 증가했다. 만 40세 이상 만 60세 미만의 하위 분석 군에서는 여자의 위험도가 약 0.9 배 (95% CI 0.758 ~ 1.953) 로 전체 분석군과 상이한 결과를 보였고, 낮은 소득 수준 (하) 이 약 1.4 배 (95% CI 1.075 ~ 1.657), 낮은 교육 수준 (초졸 이하) 이 약 3 배 (95% CI 2.377 ~ 3.725) 의 위험도를 나타냈다. 당뇨병 유병자는 약 2.2 배 (95% CI 1.793 ~ 2.673), 비만은 약 1.2 배 (95% CI 1.014 ~ 1.313)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저체중의 위험도는 약 1.3 배 (95% CI 0.878 ~ 2.058)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당뇨와 백내장의 관계에서는, 잠재적인 위험 요인을 보정한 후의 오즈비는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당뇨병 유병 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인슐린주사와 혈당강하제를 병용하는 경우에 위험도가 각각 약 1.6 배 (95% CI 1.161 ~ 2.239) 와 약 4 배 (95% CI 1.135 ~ 14.110) 증가했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 한국인에서 백내장에 미치는 위험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고, 특히 당뇨가 백내장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는 국외에서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일부 변수들에 한정하여 진행된 소수의 연구들 만이 있었고 당뇨와 백내장과의 관련성에 대한 국내 연구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 한국인에게 백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의 위험 요인을 낮추기 위한 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보건 정책적인 접근을 통해 백내장의 유병률을 낮추는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백내장 진단 및 수술과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양보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6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받는 수술은 ‘백내장 수술’이다. 2022년 기준 백내장 수술건수는 735,693건으로, 34개 주요 수술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백내장 수술은 건당 진료비용이 낮은 수술 2위이지만, 진료비용은 일반척추수술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과다한 백내장 의료이용을 부추기는 원인 중 하나로 민간의료보험이 꼽히고 있다. 국내 민간의료보험의 시장 규모는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실손의료보험 가입자 수는 2022년 기준 3,997만명으로 추산된다. 실손보험은 공보험인 국민건강보험의 낮은 보장성을 보완하는 순기능과 함께 과잉의료를 부추기는 역기능도 가지고 있다. 보험 가입자가 보험금을 타내기 위해 불필요한 의료이용을 하기도 하며, 전문적 지식을 가진 의료공급자가 의료서비스의 양과 종류를 보험 가입자인 환자 대신 결정할 수 있다보니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고자 과잉진료를 하기도 한다. 문제는 실손보험이 구조적으로 건강보험 재정의 일부를 소비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과잉진료로 인한 실손보험 보상건수의 증가는 건강보험 재정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의료비 절감을 위한 포괄수가제 적용에도 불구하고 과잉진료로 인하여 의료비 누수의 주범으로 꼽히는 백내장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와 민간의료보험 가입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3년 한국의료패널에 참여한 14,209명으로, 2018년까지 백내장 의료이용 발생 여부를 추적관찰하였다. 그 결과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백내장 진단 발생 위험은 1.17배, 백내장 수술은 1.04배 높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백내장 의료이용 발생 위험이 높았다. 또한 백내장 진단에 비해 수술 발생 위험이 낮았는데, 이는 백내장 관련 과다한 의료이용 발생 요인을 의료 공급자 유인수요 외에 다양하게 검토해봐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백내장 수술 당시 의료비는 민간의료보험 가입에서 증가하였다. 한국의료패널의 2013~2018년 조사 대상자 중 백내장 수술을 받은 692명의 의료비 지출을 분석한 결과, 보험 가입자가 비가입자보다 수납금액 기준으로는 1.12배, 총의료비는 1.06배 증가했다. 연령이 낮을수록, 자영업자, 종합병원, 입원 치료에서 의료비 지출이 더 많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민간의료보험과 백내장 의료이용 및 의료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뿐 아니라 민간의료보험 가입자의 백내장 진단 발생 위험이 백내장 수술보다 높다는 점을 미뤄볼 때 의료공급자에 의한 수요유인보다는 실손보험 상품에 따른 유인효과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손보험 손실을 줄이고 건강보험 재정 지출 감소를 위한 방안으로 보험업계가 비급여 진료 관련 보험 약관을 개선하거나 보험 상품 설계를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